KR102651015B1 - 전기 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015B1
KR102651015B1 KR1020210134987A KR20210134987A KR102651015B1 KR 102651015 B1 KR102651015 B1 KR 102651015B1 KR 1020210134987 A KR1020210134987 A KR 1020210134987A KR 20210134987 A KR20210134987 A KR 20210134987A KR 102651015 B1 KR102651015 B1 KR 10265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ing
axial
wall
locking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955A (ko
Inventor
다니엘 라이민거
요헨 브란트
안드레아스 욋틀레
스테판 라압
울리히 레흘러
마리나 헤르트라인
플로리안 스타우핑거
지리 콘라드
안드레아스 머클
줄리아 스테그마이어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20126888.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2012688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21117168.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21117168A1/d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4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섹션(10), 전이 섹션(40) 및 커넥터 섹션(50)을 포함하는, 전기 단자(1), 특히 NanoMQS 단자(1),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부문용 접촉 수단(1) 또는 접촉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접촉 섹션(10)은 전기 커넥터(0)의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1)를 잠금하기 위한 세장형 잠금 랜스(110)를 포함하고, 전이 섹션(40)은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1)를 래치 결합하기 위한 2차 래치 결합 디바이스(302)를 갖는 2차 래치 결합부(300)를 가지며, 잠금 랜스(110)는 접촉 섹션(10)에 축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접촉 섹션(10)에 대해 그의 부착부로부터 멀리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단자(1)의 측벽(11, 13)은 2차 래치 결합 디바이스(302)에서 원주 방향 연결부(312, 332)에 의해 폐쇄된다.

Description

전기 단자 {ELECTRIC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 단자, 특히 나노MQS 단자,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부문용 접촉 수단 또는 접촉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부문을 위한 전기 엔티티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부문(전자 공학, 전기 공학, 전기학, 전기 에너지 기술 등)에서, 다수의 전기 커넥터 수단 또는 커넥터 디바이스들; 소켓, 핀 및/또는 하이브리드 커넥터들 등 ― 이하, (전기) 커넥터들(또한, 정합 커넥터들)로 지칭됨 ― 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류들, 전압들, 신호들 및/또는 광범위한 전류들, 전압들, 주파수들 및/또는 데이터 속도들을 갖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낮은, 중간 또는 높은 전압들 및/또는 전류들의 범위에서, 그리고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 그러한 커넥터들은 기계적으로 응력을 받고, 따뜻하거나, 가능하게는 고온이거나, 오염되고, 습기가 많으며, 그리고/또는 화학적으로 공격적인 환경에서 짧은 시간 동안 비교적 오랜 비활성 시간 후에, 영구적으로 그리고/또는 반복적으로 전력,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을 보장해야 한다. 광범위한 적용들로 인해, 특수하게 설계된 다수의 커넥터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커넥터 및 적용가능하다면, 커넥터의 관련된(예를 들어, 커넥터 수단 또는 커넥터 디바이스의 경우) 또는 상위 하우징(예를 들어, 커넥터 디바이스의 경우)은 전선, 케이블, 케이블 하네스 등 ― 이하, 미리 조립된(전기) 케이블(또한, 전기 엔티티)로 지칭됨 ―, 또는 (전력) 전기, 전기 광학 또는 전자 구성요소 또는 해당 집합체 등(전기 엔티티)의 전기적 디바이스 또는 수단에/전기적 디바이스 또는 수단 내에, 예를 들어, 하우징에/하우징 내에, 리드 프레임에/리드 프레임 상에, 인쇄 회로 기판 등에/인쇄 회로 기판 등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하우징이 있음/하우징이 없음)가 와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 하네스 상에 위치되는 경우, 이는 또한 플라잉(플러그) 커넥터 또는 플러그, 소켓 또는 커플링으로 불리며; 커넥터가 전기, 전기 광학 또는 전자 구성요소, 집합체 등에 위치되는 경우, 이는 또한 커넥터 디바이스, 이를 테면, (내장(buily-in)/장착된) 커넥터, (내장/장착된) 플러그 또는 (내장/장착된) 소켓으로 불린다. 더욱이, 그러한 디바이스의 커넥터는 종종 (플러그) 리셉터클, 핀 헤더, 핀 스트립 또는 헤더로 지칭된다. - 전력 공학(전력망(electricity grids)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3상 고전압 송신(three-phase high-voltage transmission)을 이용하여 고전압 전류를 생성, 변환, 저장 및 운송)의 맥락에서, 여기서는, 케이블 피팅들(cable fittings)의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인해 이에 대해 언급한다.
그러한 커넥터는 전기의 적절한 송신을 보장해야 하며, 상호 대응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커넥터들(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은 일반적으로 정합 커넥터에서/정합 커넥터 내의 커넥터의 영구적이지만 일반적으로 해제 가능한 잠금 및/또는 체결을 위한 잠금 디바이스들 및/또는 체결 디바이스들을 가지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더욱이, 예컨대, 실제 접촉 수단(단자;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단일 부품으로 또는 일체로 제조됨, 예를 들어 (크림프) 접촉 요소 등) 또는 접촉 디바이스(단자; 일반적으로 수개의 부분 또는 2개의 부분들을 갖는 단일 부품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단일 부품, 예를 들어 (크림프) 접촉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갖는 커넥터를 위한 전기 연결 디바이스가 내부에 단단히 유지되어야 한다.
전기 커넥터들을 개선하고, 이들을 더 작게 만들고, 그리고/또는 덜 비싼 방식으로 이들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들이 항상 이루어지고 있다. 진행되는 소형화는 또한 여기서도 케이블들 및/또는 관련 단자들의 단면들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 공간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대치 전류 운반 용량이 주어진 경우에 라인 단면이 가능한 한 만족스럽게 활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그리고 자원들, 특히 구리를 절약하기 위해, 케이블들 및 이들의 단자들의 치수들을 감소시키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소형화는 원하는 중량 절감을 초래한다. - 본 발명의 목적은 작지만 또한 견고한 단자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단자, 특히 나노MQS 단자(MQS:Micro Quadlok System),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부문을 위한 접촉 수단 또는 접촉 디바이스(상기 참조)에 의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부문을 위한 전기적 엔티티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 발명의 유리한 개량예들, 부가적인 특징들 및/또는 이점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기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는, 전기 기계 접촉 섹션 및/또는 기계-전기 전이 섹션(mechanical-electric transition section) 및/또는 전기 기계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며, 접촉 섹션은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잠금하기 위한 세장형 잠금 랜스를 갖고, 그리고/또는 전이 섹션은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래치결합하기 위한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를 갖는 2차 래치결합부를 포함하며, 잠금 랜스는 접촉 섹션에 축 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접촉 섹션에 대한 자신의 부착부로부터 멀리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단자의 측벽들이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의 원주 방향 연결부에 의해 폐쇄된다.
잠금 랜스는 기계적이며 그리고/또는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연결부에 의해 축 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적 연결부는 독점적인 기계적 연결부(exclusively mechanical connection)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연결부는, 예컨대, 용접부(용접 지점), 납땜 연결 또는 접착제 본드이다. 추가의 축 방향 고정은, 단자의 정확히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축 방향들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추가의 축 방향 고정은, 접촉 섹션에 대한 잠금 랜스의 부착부에 대향하게 놓이는 방식으로 접촉 섹션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의 축 방향 고정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스의 부착부와 관련하여 단자의 횡단 방향으로 대향하게 놓이도록 설정된다. 물론, 잠금 랜스의 2개의 축 방향 잠금부들의 축 방향 오프셋(접촉 섹션에 대한 잠금 랜스의 부착 및 추가의 축 방향 고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소형화된 단자 상의 관련 로딩 방향들에 대해, 잠금 랜스의 유지력(제1 접촉 고정)과 관련하여 단자의 높은 안정성 및 2차 래치결합부의 구역에서의 단자의 높은 안정성(제2 접촉 고정의 플러그-인 방향들: 우측, 최상부 또는 좌측으로부터)이 있다. 단자의 저항력들은, 접촉 섹션에서의 잠금 랜스의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 및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의 측벽들의 본 발명에 따른 원주 방향 연결부에 의해 상당히 증가된다. 단자 및 단자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2개의 구역들은 제조 요건들과 관련하여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제조될 수 있다. -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구역들 중 하나만이 단자 상에/단자 내에 셋업되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 랜스는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에 의해 축 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접촉 섹션에 셋업될 수 있다.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는 잠금 랜스의 접촉 섹션에 대한 래치결합, 잠금 또는 구속하는 것(arresting)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는 접촉 섹션의 벽을 통해(by way of) 그리고/또는 벽에 의해(by means of) 셋업될 수 있다. 여기서, 축 방향 잠금부는 실질적으로 유격(play)(틈새 끼워맞춤(clearance fit))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거나, 또는 접촉 섹션에서의 유격(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 오버사이즈 끼워맞춤(oversize fit))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는, 서로 맞물리는 2개의 잠금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잠금 수단은 잠금 오목부(locking recess) 및 잠금 러그(locking lug)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잠금 오목부 및 잠금 러그는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오목부는 잠금 랜스에 또는 접촉 섹션 또는 접촉 섹션의 벽에 설정될 수 있고, 잠금 러그는 접촉 섹션 또는 접촉 섹션의 또는 잠금 랜스의 벽에/벽 내에 설정될 수 있다. 벽은 단자의 측벽일 수 있거나, 벽은 단자의 실제 접촉 챔버와 잠금 랜스 사이의 단자의 중간 벽으로서 셋업될 수 있다.
보강 디바이스는 잠금 오목부에 대해 인접하게 셋업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디바이스는 특히, 보강 비드(reinforcement bead) 또는 보강 스탬핑된 부분(reinforcement stamped portion)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강 디바이스는 잠금 오목부의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 디바이스는 단자의 인출 방향(pull-out direction)으로 잠금 오목부 전방에 셋업될 수 있다. 여기서, 인출 방향(풀-오프 방향(pull-off direction))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단자를 당기기 위해, 단자에 연결된 전선에 대해 당기는 동작이 가해지는 방향이다.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는 전이 섹션에서 래치결합 박스로서 설정될 수 있다. 래치결합 박스는, 예컨대, 그것이 단자의 내부측에 공동(cavity)을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여기서, 공동은 전이 섹션 또는 단자의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유형의 래치결합 박스는 단자에 간단히 설정될 수 있다. 래치결합 박스의 공동은 가능하게는 래치결합 박스의 수축된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전이 섹션의 시트 금속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래치결합 박스 내의 이러한 유형의 수축된 부분은 예컨대 보강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래치결합 박스는 보강 디바이스, 특히 보강 비드 또는 보강 스탬핑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오탐지 방식(falsely positive manner)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플러그결합된 단자는, 래치결합 박스의 신장(stretching)으로 인해 작업자 또는 기계에 의해 만족스럽게 검출될 수 있다.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는 단자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는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을 가질 수 있다. 개개의 원주 방향 섹션은 단자의 측벽 밖으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은, 기계적이고 그리고/또는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원주 방향 연결부에 의해 이들의 자유 원주 방향 섹션들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적 연결부는 독점적인 기계적 연결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연결부는, 예컨대, 용접부(용접 지점), 납땜 연결 또는 접착제 본드이다. 원주 방향 연결부는 단자의 정확히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원주 방향들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원주 방향 연결부는 전이 섹션의 측부 구역에 단자의 횡단 방향으로 셋업될 수 있다.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은, 플러그-인 연결부에 의해 이들의 자유 원주 방향 단부 부분들 상에서 서로 플러그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 방향 플러그-인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정확히 하나 또는 2개의 원주 방향/원주 방향들, 축 방향/축 방향들 및/또는 반경 방향/반경 방향들로 기계적 힘들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원주 방향 섹션은, 특히 오목부로서 또는 잠금부로서 구성된 폐쇄 수단(closure means)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는 특히, 통로 오목부(passage recess)로서 구성된다. 제2 원주 방향 섹션은, 특히 러그 또는 키로서 구성된 폐쇄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제1 폐쇄 수단은, 원주 방향 플러그-인 연결부의 제2 폐쇄 수단에 실질적으로 포지티브 잠금 방식(positively locking manner)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단자는, 분극을 통해 일측에서만 단자에 기계적으로 통합되는 잠금 랜스를 갖는 분극(polarization)을 가질 수 있다. 단자의 분극은, 예컨대, 1차 래치결합(하기 참조), 강성들 등과 같은 다른 작업들에 부가하여, 분극 또는 인코딩, 즉, 커넥터 하우징 내로의 단자의 정확하게 배향된 플러그결합을 위해 기능하는 단자의 전체 축 방향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소켓 단자로서 구성된 단자의 경우에, 분극은 단자의 플러그-인 면-측(plug-in face-side) 자유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일 수 있고, 그리고 예컨대 핀 단자로서 구성되는 단자의 경우에, 상기 단자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잠금 랜스는 바람직하게 단자에 대한 1차 래치결합부의 1차 래치결합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며, 1차 래치결합부는 단자의 분극과 결합된다. 특히, 잠금 랜스는 탄성 잠금 랜스로서 설계되고, 그리고/또는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는 강성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로서 설계된다. 나노MQS 단자들은 0.35mm² 미만, 특히 0.30mm² 또는 0.25mm² 미만의 라인 단면들을 갖는 케이블들에 적합하다.
접촉 섹션을 갖는 분극의 제1 측벽은 실질적으로 폐쇄된 구성일 수 있고, 접촉 섹션을 갖는 분극의 제2 측벽은, 가능하게는 거기에 설정된 기계적 축 방향 잠금 수단과는 별개로, 축 방향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개방된 구성일 수 있다. 잠금 랜스는, 잠금 랜스가 단자의 커버 벽뿐만 아니라, 오히려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극의 측벽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 잠금 랜스는 그의 구속된 단부와 그의 자유 단부 사이에 2개의 상당 부분들(substantial portions), 실질적으로 단자의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실질적으로 단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는, 예컨대 위에서부터 잠금 랜스에 압축력이 가해질 때, 단자의 제1 부분/상기 제1 부분이 축 방향(구부림 축(bending axis)으로서의 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구부러지게 되고 그리고 단자의 제2 부분/상기 제2 부분이 단자의 횡단 방향(구부림 축으로서의 횡단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구부러지게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단자는, 인장력이 예컨대 커넥터 하우징에 실제로 또는 이상적으로 여기에 설정되는 단자에 축 방향으로 가해질 때, 단자의 제1 부분/상기 제1 부분이 상방 방향(비틀림 축(torsion axis)으로서 상방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비틀리게 되고 그리고 단자의 제2 부분/상기 제2 부분이 횡단 방향(구부림 축으로서 횡단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구부러지게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 방향에서 제1 부분의 (상방 방향에 걸쳐 평균화된) 폭은, 횡단 방향에서 제2 부분의 (축 방향에 걸쳐 평균화된)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 단자의 축 방향((정합) 플러그 방향), 횡단 방향 및 상방 방향은 모두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놓인다. 여기서, 축 방향은 단자가 그의 주요 범위 방향으로 이어지는 방향이다. 단자의 단면들은 횡단 방향 및 상방 방향으로 놓이고, 단자의 크림프 플랭크들(crimp flanks)은 크림프 단자로서 상기 단자의 크림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이어진다.
단자의 측벽 내로의 잠금 랜스의 연장 또는 그의 분극은, 특히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처음으로 잠금하는 경우, 잠금 랜스의 스프링 길이를 증가시키고 잠금 랜스의 더 작은 이완(smaller relaxation)을 유발한다. 더욱이, 그 결과, 예컨대, 유지력(holding force) 또는 인발력(pull-out force)이 존재하는 경우, 잠금 랜스의 내부 상호 변위 이동이 개선된 방식으로 규정된다. 예컨대, 단자에 대한 높은 인발력 또는 심지어 잡아뜯는 힘(rip-out force)이 존재하는 경우에, 결과적으로 잠금 랜스의 그리고 그에 따른 단자의 고장 거동에 대해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유사한 단자들과 비교하여 잠금 랜스의 더 높은 유지력들이 초래된다.
잠금 랜스의 제1 부분은 분극의 측벽의 일 측에서만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단자의 측벽이다. 제1 부분은 단자의 원주 방향으로 중앙 구역에서 연장될 수 있고, 이어서 제2 부분에 병합될 수 있다. 잠금 랜스의 제2 부분은 상승 방식으로 상방 방향으로 단자의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잠금 랜스의 실질적인 축 방향 부분은 단자에서 편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랜스의 완전한 길이 방향 측은 바람직하게는 단자의 길이 방향 측으로 종결된다.
잠금 랜스는, 분극의 측벽/상기 측벽의 루트(root)로부터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상방 방향으로 (제1) 상방 부분으로 먼저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에 후속하여, 잠금 랜스는 실질적으로 상방 방향 및 횡단 방향으로 (제2) 상방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방 부분은 분극의 그리고 그에 따른 단자의 실제 분극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에 후속하여, 잠금 랜스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제1) 축 방향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후속하여, 잠금 랜스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 및 상방 방향으로 (제2) 축 방향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 여기서, 제2 상방 부분과 제1 축 방향 부분 사이에 보강 구역이 설정될 수 있다.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는 단자의 벽과 잠금 랜스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벽은 단자의 중간 커버 벽 또는 측벽일 수 있다. 잠금 러그는 벽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벽으로부터 구부러 질 수 있거나, 또는 잠금 랜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잠금 오목부는 잠금 랜스 또는 벽에 셋업될 수 있다.
단자의 접촉 섹션은, 그 접촉 챔버 내로 연장되는 접촉 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스프링은 단자의 중간 커버 벽/상기 중간 커버 벽으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챔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중간 커버 벽은 잠금 랜스로서 구성될 수 있는 커버 벽과 최하부 벽 사이의 단자 내에 셋업된다. 접촉 스프링/상기 접촉 스프링은 일 측 상에 부착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서 또는 2개의 측들 상에 부착된 겹판 스프링(spring lamella)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임프레션(impression)들과는 별개로, 접촉 스프링의 실질적으로 또는 주로 모든 단면들은 바람직하게는 단순한 단면들, 특히 실질적으로 또는 주로 직사각형 단면들로서 구성된다. 즉, 더욱이, 접촉 스프링은, 예컨대 L-형상 프로파일을 갖지 않는다.
접촉 스프링은, 단자 내의 지지 러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자신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부분에 설정될 수 있다. 단자는, 특히 측벽 상에/측벽 내에 폐쇄 러그가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정확히 하나의 고정된 앤빌이 단자의 최하부 벽에 있는 정합 단자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앤빌은 바람직하게는 최하부 벽에 함몰부(depression)로서 설정되며, 이 함몰부는 최하부 벽에 스탬핑된다. 접촉 스프링의 정합 단자/상기 정합 단자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또는 정확히 하나의 고정 앤빌이 설정될 수 있다. 정확히 하나의 스탬핑된 안착 오목부(seating recess) 또는 안착 비드가 지지 러그에 설정될 수 있다. 스탬핑된 안착 오목부 또는 안착 비드는, 지지 러그에 대해 단자의 내부측에서 접촉 스프링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작은 평면 베어링(plain bearing) 구역 또는 평면 베어링 지점을 규정한다.
이는, 정합 단자에 대해 활성인 수직력에 대한 가장 높은 플러그-인 힘의 개선된 비율을 갖는 개선된 전기 접촉 구역을 초래한다. 더욱이, 하방 지향 접촉력(중력 방향) 및 상방 지향 수직력에 대한 일반적인 고객 요청이 충족될 수 있다. 더욱이, 접촉 챔버의 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은 고객 및/또는 그 제품의 기술적 요건들(수정들)에 따른 유연한 설계를 초래한다. 리프 스프링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을 위한 지지 러그와 함께 접촉 스프링으로서 일 측 상에 부착된 리프 스프링은, 플러그-인 힘의 관점에서 개선된 궤적을 초래한다.
단자는, 소켓 단자 또는 핀 단자(프롱 단자(prong terminal))로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가능하게는, 단자가 또한 탭 단자로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분극은 박스-형상 분극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극의 "박스"는, 예컨대, 일 측의 하나의 지점에서 개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가능하게는 폐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단자는 하나의 부분으로 (단일 부품으로 그리고 2개의/수개의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단자는 손으로 또는 공구에 의해 그리고 그것의 2개 이상의 개별 부분들에 대한 손상 없이 분리될 수 있다. 단자의 응집성은 바람직하게는 비-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잠금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 더욱이, 단자는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단자는 단순히 손으로 또는 공구에 의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손상 없이는 그 개별 부분들로 분리될 수 없다. 응집성은, 바람직하게는 비-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잠금 연결부 및 가능하게는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단자는 재료 또는 접착면에서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그 개별 부분들은 일체로 결합된 방식(용접, 납땜, 접착 본딩)으로 서로 고정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단자가 손상 없이 그 개별 부분들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더욱이, 비-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잠금 연결부에 의한 응집성이 존재할 수 있다. - 더욱이, 단자는 단일 또는 일체형 구성일 수 있다. 즉, 오직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단자)만이 존재하며, 이는 오직 하나의 구성요소의 파괴로만 분리될 수 있다. 단자는 그 부분이 반드시 일체형 등이어야 하는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다. 내부 응집성은 부착 및/또는 응집에 의해 발생하며, 단자의 재료는 여기에서 균질, 비정질 및/또는 등방성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티티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를 갖는다. 여기서, 예컨대, 엔티티 하우징에 부가하여, 엔티티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 전기, 전자, 광학 및/또는 유체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엔티티는 (또한), 예컨대 수단(전기 커넥터), 디바이스(전기 커넥터 디바이스), (사전) 조립된 케이블, 조립체, 인쇄 회로 기판, 구성요소, 모듈, 유닛, 인스트루먼트, 기기, 시스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척이 아닌 개략적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다음 텍스트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하거나, 단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기능을 갖는 부분들, 요소들, 구성요소 부분들, 유닛들, 구성요소들 및 패턴들은 도면들의 설명(하기 참조), 참조 부호들의 리스트, 특허 청구항들 및 도면 항목의 도면들(도)의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라벨링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결론적이지 않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상기 참조) 가능한 대안, 정적 및/또는 운동학적 반전, 조합 등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는 이들의 구성요소, 패턴, 유닛, 구성요소 부품, 요소 또는 부분과 관련하여, 도면들의 설명 및/또는 참조 부호들의 리스트로부터 추가로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특징(부분, 요소, 구성요소 부분, 유닛, 구성요소, 기능, 변수 등)은 긍정적인 구성(즉, 존재함) 또는 부정적인 구성(즉, 존재하지 않음(absent))일 수 있다. 본 명세서(설명(발명의 설명(상기 참조), 도면들의 설명(하기 참조)), 참조 부호들의 리스트, 특허 청구항들, 도면)에서, 부정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 존재하지 않는 것에 가치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 특징으로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즉, 실제로 이루어지고 종래 기술에 의해 구성되지 않는 본 발명은 상기 특징을 생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특징은, 특정된 방식 및/또는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 및/또는 방법(분리, 조합, 교체, 추가, 그 자체, 생략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설명, 참조 부호들의 리스트, 특허 청구범위 및/또는 도면에서, 참조 부호를 기반으로 설명 및/또는 특허 청구범위의 특징 및 이에 할당된 특징 또는 그 반대의 경우로 대체, 추가 또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특허 청구범위의 특징은 결과적으로 보다 상세히 해석 및/또는 특정될 수 있다.
설명의 특징들은 또한 (초기에 대부분 알려지지 않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선택적 특징들로서 해석될 수 있으며; 즉, 각각의 특징은 선택적인, 임의적인 또는 바람직한 특징, 즉, 강제적이지 않은 특징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가능하게는 그 주변부를 포함하는 특징의 분리가 가능하며, 그런 다음, 상기 특징이 일반화된 본 발명의 개념으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징(부정적인 특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특징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택적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더욱이, 특징에 대한 유형 용어의 경우에, 특징에 대한 일반 용어가 또한 암묵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가능하게는 하위 속으로의 추가의 계층적 분해 등), 그 결과로서, 예컨대, 동등한 효과 및/또는 동등성을 고려하여, 특징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단지 예시적인 도면들에서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의 일 실시예의 전방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단자를, 자신의 전이 섹션 뒤의 컷-어웨이 섹션에 도시된 레이아웃으로서 도시한다.
도 3은 단자의 본 발명에 따른 2차 래치결합부의 후방으로부터 비스듬히 본 상세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 세대의 접촉 수단(1)으로서 구성된 전기 단자(1), 특히 자동차 부문을 위한 나노MQS 단자(1)의 일 변형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다음 텍스트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되고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다 근본적인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예컨대, 단자(1)는 또한 접촉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이 이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본 발명의 설명)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엔티티의 경우에 전기 부문에서 사용될 수 있다(상기 참조). 여기서, 지상 전력 공학(errestrial electrical power engineering)에 의해 하나의 예외가 형성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이러한 공간 부분들만을 도시한다.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 단자 및 정합 단자 등과 같은 지정들은 동의어로 해석되어야 하며, 즉, 각각의 경우에 선택적으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음의 텍스트에서, 단자(1)의 구성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며, 단자(1)가 커넥터 하우징(전기 커넥터(0))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단자(1)는 커넥터(0)의 커넥터 하우징에서 1차 및 2차 방식으로 래치결합 또는 잠금될 수 있으며, 이는 파선들을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다. 본 경우에, 단자(1)는 소켓 단자(1)로서 구성되고 여기서, 특히 크림프 단자(1)로서 구성되지만, 또한 핀(pin), 프롱(prong) 또는 탭(tab) 단자(1)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좌측에서) 전방으로부터 단자(1)의 축 방향(Ar)((정합) 플러그-인 방향)에서, 단자(1)는 전기 정합 단자를 위한 전기 기계 접촉 섹션(10)을 포함하며, 전기 케이블을 위한 전기 기계 커넥터 섹션(50)(크림프 부분) 및 기계-전기 전이 섹션(40)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 접촉 섹션(10)은 단자(1)의, (제1)(측) 벽(11), (최하부) 벽(12), (제2)(측) 벽(13) 및 (중간 커버) 벽(14)을 갖는 소켓 접촉 섹션(10)으로서 구성된다.
비-소켓 단자, 즉, 예컨대, 핀, 프롱 또는 탭 단자의 경우에, 소켓으로서의 소켓 접촉 섹션(10)의 기능이 생략되고; 대신에, 대안적인 접촉 수단, 이를 테면, 예컨대, 핀, 프롱 또는 탭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단자의 구성은 소켓 단자와 관련하여 유사하며, 단자(1)의 분극(100)(다음 텍스트에서 설명됨)은 단자(1)의 전방 자유 단부가 아니라, 축 방향(Ax)으로의 단자(1)의 실제 접촉 수단(여기서는, 실제 소켓) 뒤에 설정된다.
단자(1)(도 1 및 도 2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섹션(10)의 전방 구역(소켓 단자(1))에 또는 전이 섹션(40)으로서 또는 전이 섹션(40)의 일부(핀/프롱/탭 단자)로서 박스-형상 분극(100)을 갖는다. 다음 텍스트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소켓 단자(1)만을 참조한다. 분극(100)은 (제1)(측) 벽(101), (최하부) 벽(102), (제2)(측) 벽(103) 및 (중간 커버) 벽(104)을 갖는다. 여기서, 분극(100)의 벽들(101, 102, 103, 104)은 마찬가지로 단자(1)의 벽들(11, 12, 13, 14)이다.
단자(1)는 분극(100)에 부착되거나 분극(100)에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탄성 잠금 랜스(resilient locking lance)(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잠금 랜스(110)의 길이 방향 범위(Hr, Ar)에서, 잠금 랜스(110)는 구속된 제1 (길이 방향) 부분 및 자유 제2 (길이 방향) 부분을 포함하며, 잠금 랜스(110)는 분극(100)의 (측)벽(11, 101)에 일측에서 잠금 랜스(110)의 제1 부분에 부착된다. 여기서, 2개의 부분들은 잠금 랜스(110)와는 다르게 단자(1)에서 각을 이루고 배향되도록 셋업된다.
분극(100) 상에/분극(100) 내에 측 방향으로 (도 1에서 좌측의 단자(1)의 원격 측) 루트로부터 시작하여, 구속된 제1 부분은 우선, 수직 상방 방식으로 (도 1의 최상부를 향해) 실질적으로 단자(1)의 상방 방향(Hr)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그에 바로 후속하여, 제1 부분은 실제 단자(1) 또는 접촉 섹션(10)에 걸쳐 단자(1)의 원주 방향(Ur)으로 만곡되고, 제2 부분에 병합된다. 여기서, 제1 부분은 단자(1)의 상방 방향(Hr)으로 이어지고, 이어서 상방 방향(Hr) 및 횡단 방향(Qr)(원주 방향(Ur))으로 이어진다.
잠금 랜스(110)의 자유 제2 부분은 외부측 상에 (커버) 벽으로서 편심으로 놓이고, 단자(1) 상에/단자(1) 내에서 최상부에서,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일체로 인접한다. 여기서, 제1 부분으로부터 시작하여, 제2 부분은 우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Ar)으로, 그리고 이에 후속하여, 단자(1)의 축 방향(Ar) 및 상방 방향(Hr)으로 이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홀딩 수단(116), 특히 홀딩 탭(116)이 바람직하게 제2 부분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며, 그 홀딩 수단(116)에 의해, 잠금 랜스(110)는 커넥터 하우징의 1차 래치결합부 상에 잠금될 수 있다.
여기서, 더욱이, 잠금 랜스(1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분극(100) 상에서 측 방향으로 루트로부터 시작하여, 잠금 랜스(110)는 실질적으로 독점적으로 상방 방향(Hr)으로 제1 상방 부분(111)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방 부분(111)은 단자(1) 및 분극(100)의 (제1)(측) 벽(11, 101; 111)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스(110)에 바로 후속하여, 잠금 랜스(110)는 제2 상방 부분(112)을 포함하며, 제2 상방 부분은 단자(1) 및 분극(100)의 (제1)(측) 벽(11, 101; 112)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2 상방 부분(112)은 상방 방향(Hr) 및 횡단 방향(Qr)(원주 방향(Ur))으로 단자(1) 상에서 비스듬히 외부측 상에서 이어지고, 여기서 분극(100)의 실제 분극 디바이스(112)(실질적으로 대칭인 예컨대 직사각형 정합면으로부터의 편차)를 형성한다.
다시 한번,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스(110)에 바로 후속하여, 잠금 랜스(11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U-형상 단면을 갖는 제1 또는 구속된 축 방향 부분(113)을 갖는다. 상기 제1 축 방향 부분(113)은 단자(1) 및 분극(100)의 (커버) 벽(113)을 형성한다. 다시 한번,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스(110)에 바로 후속하여, 잠금 랜스(11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U-형상 단면을 갖는 제2 또는 자유 축 방향 부분(114)을 갖는다. 상기 제2 축 방향 부분(114)은 마찬가지로 단자(1) 및 분극(100)의 (커버) 벽(114)을 형성한다.
보강 구역(115)은, 제2 상방 부분(112)과 구속된 축 방향 부분(113) 사이에서 잠금 랜스(110)에 일체로 설정될 수 있다. - 잠금 랜스(110) 자체는 (축 방향(Ar) 및 상방 방향(Hr)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측) 벽들(117, 118)(U-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측) 벽(117, 11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참조 부호(120)가 아님).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도 1 참조), 잠금 랜스(110)는, 잠금 랜스의 구속된 제1 부분(도 1에서 후방 좌측에 있음)에 의한 접촉 섹션(10)에 대한 그의 부착과 별개로, 접촉 섹션(10)에서 (도 1의 전방 좌측에) 부가적으로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는 횡단 방향(Qr)으로 구속된 제1 부분에 주로 또는 실질적으로 대향하게 놓인다. 여기서,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는 기계적이고(도 1) 그리고/또는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도시생략)인 연결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랜스(110)의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는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에 의해 설정되며, 축 방향 잠금부(120, 121)는 본 경우에, 서로 맞물리는 2개의 잠금 수단(120, 121)의 래치결합부로서 구성된다. 잠금 수단(120, 121)은 바람직하게 잠금 오목부(120,(121)) 및 잠금 러그(121,(120))로서 구성되며; 괄호들 사이의 참조 부호들은 잠금 수단(120, 121)이 잠금 오목부(120,(121))로서 구성되는지 또는 잠금 러그(121,(120))로서 구성되는지가 주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잠금 수단(120)은 잠금 오목부(120)로서 도시되고, 잠금 수단(121)은 잠금 러그(121)로서 도시된다.
단자(1)의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촉 섹션(10) 또는 (중간 커버) 벽(104) 그리고 또한, 더 작은 비율(대략적으로 재료 두께의 치수들)로 (제2)(측) 벽(103)은 먼저, 바람직하게는 잠금 러그(121)로서 구성되는 잠금 수단(121)을 갖는다. 둘째로, 잠금 랜스(110) 또는 거기에서, 특히 제1 구속된 축 방향 부분(113) 및/또는 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측) 벽(118)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오목부(120)로서 구성된 잠금 수단(120)을 갖는다. - 단자(1)의 자유 평면도(축 방향(Ar) 및 횡 방향(Qr)의 평면)에서, 잠금 수단(120, 12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잠금 러그(121)는 잠금 오목부(12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방식으로(위치 끼워맞춤, 상기 참조) 끼워맞춤된다.
단자(1)에 설정된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의 경우에, 잠금 수단(120, 121)은 서로 맞물리고, 이 목적을 위해 잠금 러그(121)는 잠금 오목부(120) 내로 그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러진다. - 보강 디바이스(124)가 잠금 오목부(120)에 대해 인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보강 디바이스(124)는 잠금 오목부(120)의 에지를 형성할 수 있고; 즉, 보강 디바이스(124)는 잠금 오목부(120) 내로 "연장"된다. 보강 디바이스(124)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스(110) 또는 제1 구속된 축 방향 부분(113) 또는 제2 (측) 벽(118)에서 잠금 랜스(110)에/잠금 랜스(110) 내에 잠금 랜스(110)의 자유 단부와 잠금 오목부(120) 사이에 설정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는 가능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잠금 랜스(110) 상의 축 방향(Ar)으로의 일정 기계력으로부터만 활성화되고; 즉, 예컨대, 잠금 러그(121)는 잠금 오목부(120)에 유격을 두고 설정된다. 즉, 단자(1)는, 예컨대, 잠금 랜스(110) 상의 규정된 인발력(pull-out force)이 예컨대 단자(1)에 전기 기계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로부터 발산되는 방식으로 초과되는 경우에만,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가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경우를 위해 설계된다. 상기 인발력보다 더 작은 단자(1) 상의 후방으로 인장력들이 지향되는 경우에,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는 바람직하게는 아직 활성이 아니다.
전체 잠금 랜스(110)의 축 방향 이동은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단자(1)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여기서, 잠금 랜스(110)는 물론 여전히 탄성 변형되고 그리고 가능하게는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1)의 내구성의 상당한 증가는, 추가의 축 방향 고정부가 없는 또는 부가적인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가 없는 동일한 단자(1)와 비교하여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단자(1)는 접촉 섹션(10)의 후방 구역 및/또는 전이 섹션(40)의 전방 구역(소켓 단자(1)) 또는 전이 섹션(40)(핀/프롱/탭 단자)(접촉 섹션(10) 및 전이 섹션(40)은 중첩될 수 있음)에서의 2차 래치결합부(200)(도 1 내지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텍스트에서, 도면에 도시된 소켓 단자(1)에 대한 참조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단자(1) 또는 분극(100)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2차 래치결합부(200)는 (제1)(측) 벽(11), (최하부) 벽(12), (제2)(측) 벽(13), 및 바람직하게는 (제1)(중간 커버) 벽(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간 커버) 벽(14) 또는 그 벽(14)의 나머지 부분이 또한 없을 수 있다(도시된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원주 방향 섹션(330), 하기 참조).
여기서, 특히 래치결합 박스(302)로서 구성된 강성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302)는 (중간 커버) 벽(14)과 제2 (측) 벽(13) 사이의 접촉 섹션(10) 및/또는 전이 섹션(40)에/전이 섹션(40) 내에 설정된다. 특히, 래치결합 박스(302)는 단자(1)의 제1 원주 방향 섹션(310), 바람직하게는 폐쇄 디바이스(310), 및 단자(1)의 제2 원주 방향 섹션(330), 바람직하게는 폐쇄 디바이스(330)에 의해 구성된다. 래치결합 박스(302)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측이 중공형이고, 그리고 상기 공동은, 가능하게는, 수축된 부분(보강 디바이스(334))으로부터 떨어져서, 횡단 방향(Qr)으로 단자(1)의 시트 금속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단자(1)의 레이아웃(도 2)에서,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은 러그-형상 구성이며, 먼저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은 (제1)(측) 벽(11) 또는 (중간 커버) 벽(14)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두번째로 (제2 원주 방향 섹션(330))은 (제2)(측) 벽(13)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은 제1 폐쇄 수단(312), 바람직하게는 키/잠금 원리에 따른 (통로) 오목부(312) 또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제2 원주 방향 섹션(330)은 제2 폐쇄 수단(322), 바람직하게는 키/잠금 원리에 따른 러그(332) 또는 키를 포함한다.
단자(1)의 사용 준비 상태(도 1 및 도 3 참조)에서,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은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고 그리고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 상에서 서로 플러그결합되며(플러그-인 연결), 그 결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측 상에서 중공인 래치결합 박스(302)가 구성된다. 여기서, 러그(332) 또는 키는 (통로) 오목부(312) 또는 잠금장치에서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공간을 찾을 수 있다. - 기계적 원주 방향 연결부 대신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원주 방향 연결부가 또한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의 원주 방향 연결부 또는 래치결합 박스(302)는 접촉 섹션(10)의 측 구역에서 또는 전이 섹션(40)에 단자(1)의 횡단 방향(Qr)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관련 중앙 부분(가능하게는 중앙에서 분할된 (중간 커버) 벽(14))에 설정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래치결합 박스(302)는 보강 디바이스(334), 특히 보강 비드(334) 또는 보강 스탬핑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래치결합 박스(302)는, 제2 원주 방향 섹션(330)이 (제2)(측) 벽(13)으로부터 상방 방향(Hr)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성장하고, 바람직하게는 그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 상에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단자(1)에 설정될 수 있다. 횡단 방향(Qr)으로 반대편에 놓이는 방식으로,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은 (중간 커버) 벽(14)으로부터 상방 방향(Hr)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성장하고,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그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 상에서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물론, 이는 또한 반전된 구성일 수 있다. 더욱이,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이 제2 원주 방향 섹션(330)에 대해 유사한 구성일 수 있거나, 또는 제2 원주 방향 섹션(330)이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에 대해 유사한 구성인 것이 가능하다.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원주 방향 섹션(330)의 이러한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은 상방 방향(Hr)으로 서로를 지탱하도록 배열되며, 러그(332) 또는 키는 (통로) 오목부(312) 또는 잠금장치에 맞물린다. (제2)(측) 벽(13)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방 방향(Hr)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스탬핑된 오목부 또는 보강 비드(334)를 갖는다.
본 경우에, 접촉 섹션(10)은 접촉 챔버(202)를 갖는 소켓(200)으로서 구성되는 접촉 구역(200)을 갖는다. 분극(100)의 (중간 커버) 벽(14)으로부터 시작하여, 리프 스프링(210)으로서 설계된 간단한 구성의 탄성 접촉 스프링(210)이 접촉 챔버(202) 내측방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리프 스프링(210)은 길이 방향 단부 부분((중간 커버) 벽(14)) 상에서만 단자(1)에 일체로 부착된다. 물론, 2개의 측들 상에 일체로 부착된 겹판 스프링이 또한, 접촉 스프링(21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스프링(210)은, 단자(1) 내의 지지 러그(240)에 의해 자신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부분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지지 러그(240)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커버) 벽(14)의 일부이고, 이 부분은 더 후방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정합 단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앤빌(212)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비드(214)가 접촉 스프링(210)에 설정된다. 더욱이, 정합 단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앤빌(212)이 바람직하게 단자(1)의 (최하부) 벽(12)에 설정된다.
0 : (전기) 커넥터
1 : (전기)(나노MQS)(소켓/핀/프롱/탭)(크림프) 단자
10 : (전기 기계) 접촉 섹션
11 : (제1)(측) 벽
12 : (최하부) 벽
13 : (제2)(측) 벽
14 : (중간 커버) 벽
40 : (기계-전기) 전이 섹션
50 : (전기 기계) 커넥터 섹션, 특히 크림프 부분
100 : (박스형상) 분극
101 : (제1)(측) 벽, 단자(1), 분극(100)
102 : (최하부) 벽, 단자(1), 분극(100)
103 : (제2)(측) 벽, 단자(1), 분극(100)
104 : (중간 커버) 벽, 단자(1), 분극(100)
110 : (탄력적인) 잠금 랜스
111 : 잠금 랜스(110)의 (제1)(상방) 부분; (제1)(측) 벽, 단자(1), 분극(100)
112 : 잠금 랜스(110)의 (제2)(상방) 부분; (제1)(측) 벽, 단자(1), 분극(100)
113 : 잠금 랜스(110)의 (제1/구속된)(축 방향) 부분; (커버) 벽, 단자(1), 분극(100)
114 : 잠금 랜스(110)의 (제2/자유)(축 방향) 부분; (커버) 벽, 단자(1)
115 : 부분들(112, 113) 사이의 보강 구역
116 : 홀딩 수단, 특히 홀딩 러그
117 : (제1) 측벽, 잠금 랜스(110)
118 : (제2) 측벽, 잠금 랜스(110)
120 : 잠금 수단, 특히 잠금 오목부
121 : 잠금 수단, 특히 잠금 러그
124 : 보강 디바이스, 특히 보강 비드/스탬핑된 부분
200 : 접촉 구역(소켓/핀/프롱/탭 접촉부를 가짐)
210 : 접촉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리프 스프링 또는 겹판 스프링
212 : (고정) 앤빌
222 : (고정) 앤빌
240 : 지지 러그
241 : 스탬핑된 안착 오목부/안착 비드
300 : 2차 래치결합부
302 : (강성)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 특히 래치결합 박스
310 : (제1) 원주 방향 섹션, 바람직하게는 폐쇄 디바이스
312 : (제1) 폐쇄 수단, 바람직하게는 (통로) 오목부 또는 잠금장치
330 : (제2) 원주 방향 섹션, 바람직하게는 폐쇄 디바이스
332 : (제2) 폐쇄 수단, 바람직하게는 러그 또는 키
334 : 보강 디바이스, 특히 보강 비드/스탬핑된 부분
Ar : 축 방향, 단자(1), (정합) 플러그-인 방향
Hr : 상방 방향, 단자(1)
Qr : 횡단 방향, 단자(1)
Ur : 원주 방향, 단자(1)

Claims (13)

  1. 전기 단자(1)로서,
    접촉 섹션(contact section)(10), 전이 섹션(transition section)(40) 및 커넥터 섹션(connector section)(50)을 가지며,
    상기 접촉 섹션(10)은 전기 커넥터(0)의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1)를 잠금하기 위한 세장형 잠금 랜스(elongate locking lance)(110)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이 섹션(40)은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1)를 래치결합하기 위한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secondary latching device)(302)를 갖는 2차 래치결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1)의 측벽들(11, 13)은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302)에서 원주 방향 연결부(circumferential connection)(312, 332)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302)는, 상기 단자(1)의 원주 방향(Ur)으로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는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을 갖고,
    상기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은 플러그-인 연결부에 의해 이들의 자유 원주 방향 단부 부분들 상에서 서로 플러그결합된,
    전기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랜스(110)는 접촉 섹션(10)에 축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접촉 섹션(10)에 대해 그의 부착부로부터 멀리 설정되거나,
    상기 잠금 랜스(110)는 기계적인 연결부 또는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연결부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축 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되거나,
    상기 추가의 축 방향 고정은, 상기 단자(1)의 정확히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2개의 축 방향들(Ar)에서 효과적이거나, 또는
    상기 추가의 축 방향 고정은, 상기 접촉 섹션(10)에 대한 잠금 랜스(110)의 부착부에 대향하게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 섹션(10)에 셋업되는,
    전기 단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랜스(110)는,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에 의해 축 방향으로 추가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 섹션(10)에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는 상기 접촉 섹션(10)에 대한 상기 잠금 랜스(110)의 래치결합, 잠금 또는 구속으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는 상기 접촉 섹션(10)의 벽(13, 14)을 통해 또는 벽(13, 14)에 의해 설정되는,
    전기 단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는 서로 맞물리는 2개의 잠금 수단(120, 121)을 갖거나,
    상기 잠금 수단(120, 121)은 잠금 오목부(locking recess)(120) 및 잠금 러그(locking lug)(121)로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오목부(120) 및 상기 잠금 러그(121)는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구성인,
    전기 단자.
  5. 제4 항에 있어서,
    보강 디바이스(124)가 상기 잠금 오목부(120)에 대해 인접하게 설정되거나,
    상기 보강 디바이스(124)는 상기 잠금 오목부(120)의 에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보강 디바이스(124)는 상기 단자(1)의 인출 방향(pull-out direction)으로 잠금 오목부(120)의 전방에 설정되는,
    전기 단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래치결합 디바이스(302)는 상기 전이 섹션(40)에서 래치결합 박스(302)로서 설정되거나,
    가능하게는 상기 래치결합 박스(302)의 수축된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래치결합 박스(302)의 공동(cavity)은 상기 전이 섹션(40)의 시트 금속 두께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상기 래치결합 박스(302)는 보강 디바이스(334)를 갖는,
    전기 단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주 방향 섹션들(310, 330)은 기계적인 연결부 또는 재료 측면에서 단일-부품인 연결부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이들의 자유 원주 방향 섹션들 상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원주 방향 연결부는 상기 전이 섹션(40)의 측 구역에서 상기 단자(1)의 횡단 방향(Qr)으로 설정되는,
    전기 단자.
  8. 제1 항에 있어서,
    제1 원주 방향 섹션(310)은 오목부(312)로서 또는 잠금장치(lock)로서 구성된 폐쇄 수단(312)을 가지거나,
    제2 원주 방향 섹션(330)은 러그(332) 또는 키로서 구성된 폐쇄 수단(332)을 가지거나, 또는,
    플러그-인 연결부에서, 제1 폐쇄 수단(312)은 실질적으로 포지티브 잠금 방식(positively locking manner)으로 제2 폐쇄 수단(332)에 수용되는,
    전기 단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는, 상기 잠금 랜스(110)와 함께 분극(100)을 가지며, 상기 잠금 랜스는 일측에서만 그리고 분극(100)을 통해 상기 단자(1)에 기계적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상기 잠금 랜스(110)는 그의 구속된 단부와 그의 자유 단부 사이에 2개의 상당 부분들, 실질적으로 단자(1)의 상방 방향(Hr)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실질적으로 단자(1)의 축 방향(Ar)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단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랜스(110)의 제1 부분은 상기 분극(100)의 측벽(11, 101)의 일 측에서만 기계적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단자(1)의 원주 방향(Ur)으로 중앙 구역에서 연장되고, 이어서 제2 부분에 병합되거나,
    상기 잠금 랜스(110)의 제2 부분은 상승 방식으로 상방 방향(Hr)으로 상기 단자(1)의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잠금 랜스(110)의 실질적인 축 방향 부분은 상기 단자(1)에서 편심으로 설정되는,
    전기 단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랜스(110)는 상기 분극(100)의 측벽(11, 101)에서의 루트(root)로부터 시작하여,
    우선, 실질적으로 독점적으로 상방 방향(Hr)으로 상방 부분(111)으로 먼저 연장되고,
    그에 후속하여, 실질적으로 상방 방향(Hr) 및 횡단 방향(Qr)으로 상방 부분(112)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방 부분(112)은 분극(100)의 및 그에 따른 단자(1)의 실제 분극 디바이스(112)를 형성하고,
    그에 후속하여, 실질적으로 축 방향(Ar)으로 축 방향 부분(113)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그에 후속하여, 실질적으로 축 방향(Ar) 및 상방 방향(Hr)으로 축 부분(114)으로 연장되는,
    전기 단자.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축 방향 잠금부(120, 121)는 상기 단자(1)의 벽(104; 13, 103)과 상기 잠금 랜스(110) 사이에 설정되거나,
    상기 벽(104; 13, 103)은 상기 단자(1)의 중간 커버 벽(104) 또는 측벽(13, 103)이거나,
    상기 잠금 러그(121)가 상기 벽(104; 13, 103)으로부터 절단되고 구부러지거나 또는 상기 잠금 랜스(110)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오목부(120)는 상기 잠금 랜스(110) 또는 상기 벽(104; 13, 103)에 설정되는,
    전기 단자.
  13. 전기 엔티티로서,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전기 단자를 갖는, 자동차 부문을 위한 전기 엔티티.
KR1020210134987A 2020-10-13 2021-10-12 전기 단자 KR102651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26888.2 2020-10-13
DE102020126888.2A DE102020126888A1 (de) 2020-10-13 2020-10-13 Elektrisches Terminal
DE102021117168.7A DE102021117168A1 (de) 2021-07-02 2021-07-02 Elektrisches Terminal
DE102021117168.7 2021-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955A KR20220048955A (ko) 2022-04-20
KR102651015B1 true KR102651015B1 (ko) 2024-03-22

Family

ID=7817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987A KR102651015B1 (ko) 2020-10-13 2021-10-12 전기 단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5756B2 (ko)
EP (1) EP3985801A1 (ko)
JP (1) JP7401500B2 (ko)
KR (1) KR1026510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112B2 (ja) * 1992-09-25 2001-11-05 株式会社東芝 原稿読取装置と原稿読取方法
JP2010537391A (ja) * 2007-08-30 2010-12-02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ウツンク 電気コンタクト
WO2014127817A1 (en) 2013-02-21 2014-08-2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R.L.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WO2015110661A1 (de) 2014-01-27 2015-07-30 Hirschmann Automotive Gmbh Kontaktelement
US20200176917A1 (en) 2018-11-30 2020-06-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401B2 (ja) * 1996-07-25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3575583B2 (ja) 1997-03-25 2004-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FR2765033B1 (fr) * 1997-06-24 1999-08-06 Framatome Connectors Int Contact electrique miniature
JP3494857B2 (ja) * 1997-08-08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US7950972B1 (en) * 2009-12-02 2011-05-31 J. S. 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JP5712673B2 (ja) * 2011-02-28 2015-05-0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EP2797173B8 (en) * 2013-04-26 2019-01-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DE102013223570B4 (de) * 2013-11-19 2021-06-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iftkontakt mit einem als Stanzbiegeteil gefertigten Kontaktkörper und einem massiven Kontaktstift
CN106463867B (zh) * 2014-04-24 2019-04-16 莫列斯有限公司 端子接头件
JP2016207253A (ja) * 2015-04-15 2016-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FR3044172B1 (fr) 2015-11-20 2019-05-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tact electrique femelle avec patte de guidage du lingue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ntact
JP2017139213A (ja) * 2015-11-30 2017-08-10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接続ターミナルおよび接続アッセンブリ
KR102168847B1 (ko) * 2016-02-08 2020-10-22 몰렉스 엘엘씨 단자 피팅
DE102016106717B4 (de) * 2016-04-12 2021-02-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einrichtung mit solch einem Kontaktelement
DE102016116937B4 (de) 2016-09-09 2019-10-02 HARTING Electronics GmbH Schirmblech
DE202017101632U1 (de) 2017-03-21 2018-06-2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eckeranordnung und Verriegelungsein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Gegensteckverbinders an einem Steckverbinder
WO2019111320A1 (ja) * 2017-12-05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US11699869B2 (en) * 2021-06-11 2023-07-11 J.S.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112B2 (ja) * 1992-09-25 2001-11-05 株式会社東芝 原稿読取装置と原稿読取方法
JP2010537391A (ja) * 2007-08-30 2010-12-02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ウツンク 電気コンタクト
WO2014127817A1 (en) 2013-02-21 2014-08-2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R.L.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WO2015110661A1 (de) 2014-01-27 2015-07-30 Hirschmann Automotive Gmbh Kontaktelement
US20200176917A1 (en) 2018-11-30 2020-06-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4312A (ja) 2022-04-25
US11955756B2 (en) 2024-04-09
US20220115791A1 (en) 2022-04-14
KR20220048955A (ko) 2022-04-20
JP7401500B2 (ja) 2023-12-19
EP3985801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09572B2 (ja) コネクタ用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US7168990B2 (en) Female side connector for high current
JP4761397B2 (ja) 組合せコネクタ
JPH11345645A (ja) リセプタクル電気端子
JP2007220327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EP2507874A1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JP2020071926A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KR20240005055A (ko) Pcb 보드와의 플렉시블한 연결을 위한 보드 단부 커넥터
KR102651015B1 (ko) 전기 단자
JP4876012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CN111224256B (zh) 连接器
CN114361841A (zh) 电端子
EP204465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493907B2 (ja) バルブソケット
JPH0345873B2 (ko)
JP3682824B2 (ja) コネクタ
CN105164864A (zh) 连接器
KR200448593Y1 (ko) 커넥터
JP2012069469A (ja) コネクタ
CN112825391A (zh) 用于轨道型端子装置的导电组件结构
CN110729579A (zh) 端子
CN211605433U (zh) 用于轨道型端子装置的导电组件结构
KR101493986B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240041256A (ko)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