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256A -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 Google Patents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256A
KR20240041256A KR1020230125480A KR20230125480A KR20240041256A KR 20240041256 A KR20240041256 A KR 20240041256A KR 1020230125480 A KR1020230125480 A KR 1020230125480A KR 20230125480 A KR20230125480 A KR 20230125480A KR 20240041256 A KR20240041256 A KR 2024004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tact
assembly
locking
contac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비안 발트자우어
안드레아스 오에틀
슈테판 라브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4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5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having different types of direc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특히 자동차 분야의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나노 또는 피코 핀-접촉 조립체(1)에 관한 것으로, 조립체는 길이 방향(Lr)으로 연장되는 핀-접촉 디스이스(2) 및 상기 길이 방향(Lr)으로 연장되는 접촉 본체(3)를 포함하고, 핀-접촉 디바이스(2)는 접촉 본체(3)에/접촉 본체(3) 내에 고정되고, 핀-접촉 디바이스(2)는 설정된 1차 잠금부(11) 및 설정된 2차 잠금부(12)에 의해 접촉 본체(3)에/접촉 본체(3) 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TWO-PART ELECTRICAL PIN-CONTACT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 분야에서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electrical plug-in connection)를 위한 2-부품, 전기 핀-접촉(pin-contact) 조립체, 특히 나노(nano) 또는 피코(pico) 핀-접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섹터를 위한 전기 개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분야(전자 장치(electronics), 전기 공학(electronic engineering), 전기 장치(electrics), 전력 공학(electrical power engineering), 등)에서, 다수의 전기 커넥터 디바이스(electrical connector device)들 또는 커넥터 조립체들, 소켓, 핀, 및/또는 하이브리드 커넥터(hybrid connector)들 등 ─ 이하에서 (전기) 커넥터들(또한: 정합 커넥터들)로 지칭됨 ─ 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들은 다양한 전류들, 전압들, 주파수들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들로 전류들, 전압들,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저-, 중- 또는 고-전압 및/또는 전류 범위에서, 그리고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이러한 커넥터들은, 영구적으로, 반복적으로, 그리고/또는 기계식으로 로딩된, 가온, 가능하게는 고온, 오염된 습한 그리고/또는 화학적으로 공격적인 환경들에서 단시간 동안 비활성의 상대적으로 긴 기간 후에 전력,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보장해야 한다. 다양한 적용들로 인해, 다수의 특별히 설계된 커넥터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또한: 전기 개체) 및, 적용가능하다면, 이의 연관된(예를 들어, 커넥터 디바이스 또는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에) 또는 상위(예컨대, 커넥터 조립체의 경우에)의 하우징은 전기 라인, 케이블(cable), 케이블 하네스(cable harness) 등 ─ 이하에서 조립된 (전기) 케이블(또한: 전기 개체)로 지칭됨 ─ 상에, 또는 전기 조립체 또는 디바이스 상에/안에, 예컨대 하우징 상에/안에, 펀칭 그리드(punching grid) 상에,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등, (전력-) 전기, 전기-광학 또는 전자 구성요소 또는 대응하는 집합체 등(또한: 전기 개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을 갖는/없는) 커넥터가 케이블, 라인 또는 와이어링 하네스 상에 위치된다면, 이 커넥터는 또한, 플라잉(flying) (플러그(plug)) 커넥터 또는 플러그, 소켓 또는 커플링으로서 지칭되며; 커넥터가 전기, 전기-광학 또는 전자 구성요소, 집합체 등 상에/안에 위치된다면, 커넥터는 또한, 커넥터 조립체, 예컨대 (오목한/표면-장착된) 커넥터, (오목한/표면-장착된) 플러그 또는 (오목한/표면-장착된) 소켓으로 지칭된다. 더욱이, 이러한 조립체 상의 커넥터는 종종 또한, (플러그-) 리셉터클, 핀 커넥터, 핀 스트립 또는 헤더로 지칭된다. - 전기 전력 공학(electrical power engineering)(바람직하게는 3상 고전압 전송을 갖는, 전기 그리드들에서, 전력 전류의 생성, 변환, 저장, 및 수송)의 맥락에서, 여기서 케이블 피팅(cable fitting)들에 대한 참조가, 이들의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인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의 오류 없는 전송을 보장해야 하며, 상호 대응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커넥터들(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은 보통, 커넥터를 정합 커넥터에/안에 영구적으로 하지만 보통 해제가능하게 잠금시키고 그리고/또는 체결하기 위한 또는 그 반대를 위한 잠금 조립체들 및/또는 체결 조립체들을 갖는다. - 더욱이, 예컨대, 실제 접촉 디바이스(단자; 통상적으로 일체로 또는 통합적으로 재료적으로 형성되거나, 예컨대 (크림프-) 접촉 요소 등) 또는 접촉 조립체(단자; 보통 일체로 그리고 다수의 부품들 또는 2 개의 부품들로 또는 일체로 형성됨, 예컨대, (크림프) 접촉 조립체)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갖는 커넥터를 위한 전기 연결 조립체는 내부에 고정되게 수용되어야 한다.
전기 단자들, 및 이에 따라 또한 2-부품 전기 접촉 조립체들을 개선시키고 그리고 설치 공간들이 점점 더 작아짐에 따라 2-부품 전기 접촉 조립체들을 보다 견고하게 설계하는 것뿐만 아니라, 2-부품 전기 접촉 조립체들을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그리고/또는 제조하려는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본 발명의 목적은 2-부품 핀-접촉 조립체, 특히 나노 또는 피코 핀-접촉 조립체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에 의해, 특히, 본 독립항들에 따라,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전기 플러그 연결부를 위한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특히; 및 전기 개체에 의해, 해결된다. -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예들, 부가의 특징들, 및/또는 이점들은 종속항들 및 하기의 설명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핀-접촉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핀-접촉 디바이스(2-부품 핀-접촉 조립체의 제1 부품)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촉 본체(2-부품 핀-접촉 조립체의 제2 부품)를 포함하며, 핀-접촉 디바이스는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고정되며, 그리고 핀-접촉 디바이스는 구축된 1차 잠금부 및 구축된 2차 잠금부에 의해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고정된다. - 2차 잠금부는, 1차 잠금부의 고장 상황시에, 2차 잠금부가 1차 잠금부의 작업 또는 목적을 건네받는 방식으로 상기 핀-접촉 조립체에서/안에서 형성될 수 있다.
1차 잠금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에 재료 접합식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용접된 연결부에 더하여(아래 참조), 이는 또한, 땜납된 연결 또는 가능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 연결부일 수 있다. 2차 잠금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에 기계식 착좌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기 내용에서, 예를 들어, 접촉 디바이스 정지부 또는 잠금 연결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차 잠금부는 용접된 연결부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2차 잠금부는 접촉 디바이스 정지부 및/또는 기계식 잠금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2차 잠금부는 또한,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에 프레스 연결부, 클립 연결부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용접된 연결은 스팟(spot) 용접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1차 잠금부는 핀-접촉 조립체의 원주방향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핀-접촉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예컨대, 결함이 있거나 온전한 용접된 연결부) 또는 3개 모두(예컨대, 온전한 용접된 연결부) 병진운동 자유도로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잠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핀-접촉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 또는 3개 모두의 회전 자유도로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잠금될 수 있다. 더욱이, 1차 잠금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에 용접된 그리고 가능하게는 원주방향의 형상-끼워맞춤 연결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더욱이, 이는, (전체) '1차 잠금부’(핀-접촉 조립체에 구축됨)는, 핀-접촉 디바이스의 적어도 이러한 (전체) 1차 잠금부가 접촉 본체에/안에 위치되는 핀-접촉 조립체의 완전한 길이방향 범위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2차 잠금부는 핀-접촉 조립체의 길이방향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핀-접촉 디바이스는 5개의 병진운동 방향들로 또는 3개 모두의 병진운동 자유도로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잠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핀-접촉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 또는 3개 모두의 회전 자유도로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잠금될 수 있다. 더욱이, 2차 잠금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의 정지부 또는 잠금부, 및 가능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인 원주방향으로의 형상-끼워맞춤 연결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더욱이, 이는, (전체) '2차 잠금부’(핀-접촉 조립체에 구축됨)는, 핀-접촉 디바이스의 적어도 이러한 (전체) 2차 잠금부가 접촉 본체에/안에 위치되는 핀-접촉 조립체의 완전한 길이방향 범위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실제 2차 잠금부 자체의 수반된 잠금 표면들만은, 핀-접촉 디바이스를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정확히 하나의 병진운동 방향 또는 자유도로 잠금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는 핀-접촉 디바이스를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회전 방향 또는 자유도로 잠금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잠금 표면들은,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의 실제 정지부 또는 잠금 연결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제 2차 잠금부 자체'는 단지 이의 수반된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의 이의 협동 잠금 표면들; 즉, 개개의 연결부가 없고 그리고 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로/내로의 개개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를 통한 주변부를 갖는 잠금 표면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정지부 연결의 경우에, 예컨대, 이는 핀-접촉 조립체의 단지 2개의 상호 연관된 표면들, 및 잠금 연결부의 경우에, 예컨대, 마찬가지로, 단지 2개의 상호 연관된 표면들 또는 2배의 2개 이상의 상호 연관된 표면들일 수 있다.
기계식 정지 연결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의 길이방향 단부와 접촉 본체 내로 안쪽을 가리키는 돌출부 사이에 구축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접촉 본체 내로 안쪽을 가리키는 접촉 본체의 돌출부(비드, 벌지, 래치 등)에 의해, 또는 접촉 본체 내로 안쪽을 가리키는 접촉 본체의 탭(벽 부분)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기계식 잠금 연결부에서, 핀-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는 서로 맞닿게 지탱할 수 있거나, 서로 맞물릴 수 있다. 특히, 기계식 잠금 연결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의 외부 측면과 접촉 본체의 내부 측면 사이에 구축될 수 있다.
2차 잠금부는 핀-접촉 디바이스의 2차 잠금 조립체 및 접촉 본체의 2차 잠금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잠금부에서, 2차 잠금 조립체들은 서로 맞닿게 착좌되거나(거의 어떠한 유격도 없거나 유격 없음) 서로 맞닿게 착좌될 수 있다(유격). 핀-접촉 디바이스의 2차 잠금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정확히 2개, 또는 복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본체의 2차 잠금 조립체는 유사하게, 적어도 1개, 정확히 2개 또는 복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 또는 접촉 본체의 단일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는 여기서 정지부 또는 멈춤쇠 디바이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멈춤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멈춤쇠 돌출부, 잠금 러그, 잠금 숄더, 잠금 림, 잠금 에지, 멈춤쇠 오목부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호 연관된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접촉 본체에 핀-접촉 디바이스를 차단시키거나 잠금시키거나, 핀-접촉 디바이스 상에 접촉 본체를 차단시키거나 잠금시킨다. 그리고 물론, 필요하다면, 2개 초과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2차 잠금 조립체 당 제공될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의 상호 연관된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핀-접촉 조립체에 정지부 또는 래칭(latching)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확히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래칭은 핀-접촉 조립체에서 구축될 수 있다. 하나의 (단지) 이러한 래칭은, 예컨대, 블라인드 홀(blind hole)에서의 돌출부의 맞물림으로서 형성된다. 2개의 이러한 래칭들은 횡단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을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는 멈춤쇠 디바이스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접촉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는 또한 멈춤쇠 디바이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핀-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의 멈춤쇠 디바이스들로 인해, 접촉 본체에 대한 핀-접촉 디바이스의 조건적인 변위가 단지 길이방향으로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멈춤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단부, 압입부, 치형부, 압축부, 비드(bead), 스탬핑(stamping), 컷(cut), 노치(notch), 오목부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의 2개의 상호 연관된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멈춤쇠 돌출부들로서 또는 멈춤쇠 돌출부 및 멈춤쇠 오목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멈춤쇠 돌출부 및/또는 멈춤쇠 오목부, 또는 2차 멈춤쇠 디바이스는 핀-접촉 디바이스 및/또는 접촉 본체의 플라스틱 냉간 성형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접촉 디바이스의 적어도 2개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핀-접촉 디바이스의 반대편의 길이방향 측면들 상에 멈춤쇠 오목부들 또는 바깥쪽으로 지향되는 멈춤쇠 돌출부들로서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멈춤쇠 오목부들 또는 멈춤쇠 돌출부들은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다. 혼합된 형태, 즉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오목부 및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돌출부가 물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냉간 성형된 멈춤쇠 돌출부는, 예를 들어, 엠보싱(embossing), 압축부, 컷, 릴리프(relief)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멈춤쇠 오목부는, 예컨대, 엠보싱, 압축부, 비드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접촉 본체의 적어도 2개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접촉 본체의 반대편의 길이방향 측면들 상에 내부 멈춤쇠 오목부들 또는 안쪽으로 지향되는 멈춤쇠 돌출부들로서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멈춤쇠 오목부들 또는 멈춤쇠 돌출부들은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다. 혼합된 형태, 즉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오목부 및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돌출부가 물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냉간 성형된 멈춤쇠 돌출부(안쪽) 또는 이러한 냉간 성형된 멈춤쇠 오목부(바깥쪽)는, 예컨대, 전단 컷, 비드 등의 압입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의 잠금 표면들의 법선 벡터들은 핀-접촉 디바이스에서/안에서 반대 방향들로 구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접촉 본체의 잠금 표면들의 법선 벡터들은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반대 방향들로 구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호 연관된 법선 벡터들은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멀어지게 가리키며, 법선 벡터들은 단일 디바이스에서 병렬로 구축될 필요가 없다.
핀-접촉 디바이스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핀-접촉 조립체에서 서로 반대 방향들로 구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접촉 본체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핀-접촉 조립체에서 서로 반대 방향들로 구축될 수 있다. - 다시 말해, 단일 디바이스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은 병진운동에 의해 정렬될 수 없으며; 미러링(mirroring) 또는 와이어링(wiring)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또한 요구된다.
접촉 본체는 핀-접촉 디바이스를 위한 기계식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길이방향 부분에서, 길이방향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길이방향 부분에서, 접촉 본체는, 접촉 본체에 그의 안정성을 부여하는, 저부 벽, 2개의 측벽들, 및 최상부 벽을 가질 수 있다. 장착 길이방향 부분을 완전히 폐쇄하기 위해, 측벽 안에서 또는 측벽을 통해 맞물림하거나, 측벽은 최상부 벽 안에서 또는 최상부 벽을 통해 맞물린다(플러그-인 폐쇄, 키-잠금 원리).
1차 잠금부는 접촉 본체에서 2개의 이러한 장착 길이방향 부분들 사이에 구축될 수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서로 반대편에 있는, 핀-접촉 조립체를 위한 내부 베어링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이러한 내부 베어링 표면들은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을 위해 리셉터클의 내측 상에 구축된다. 내부 베어링 표면들은 리셉터클 내로 도입되는 내부 돌출부들의 내부 표면들일 수 있다(위 내용 참조). 또한, 2차 멈춤쇠 디바이스의 잠금 표면은 내부 베어링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
1차 잠금부는 핀-접촉 조립체의 길이방향 범위 부분에서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1차 잠금부는, 리셉터클의 원주방향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잠금부에서, 핀-접촉 디바이스는 단면 방식으로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1차 잠금부에서, 리셉터클의 원주방향 탭, 리셉터클의 벽, 및 핀-접촉 디바이스는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더욱이, 원주방향 탭의 그리고 벽의 자유 에지 및, 바람직하게는, 핀-접촉 디바이스의 코너 구역은 1차 잠금부에서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접촉 본체는 하우징에 래치결합될 수 있는 접촉 본체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본체는 하우징에서 핀-접촉 조립체를 위한 1차 잠금 조립체 및 2차 잠금 조립체를 가질 수 있다. - 1차 잠금 조립체는 접촉 본체에 바람직하게는 탄성 잠금 랜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랜스는 접촉 본체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그리고 접촉 본체에 대해 탄성적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스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접촉 본체로부터 상향(수직 방향)으로 또는 측방향(횡단 방향)으로 돌출한다.
2차 잠금 조립체는 접촉 본체에서/안에서 바람직하게는 강성 잠금 에지 또는 잠금 숄더로서 설계될 수 있다. 잠금 에지 또는 잠금 숄더는 여기서 접촉 본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접촉 본체 상에 고정되게 안착하고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에지 또는 잠금 숄더는 여기서 횡단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부품들로 형성되는 핀-접촉 조립체는 일체로, 또는 재료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 일체형 설계는, 핀-접촉 조립체의 설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 설계에서, 이의 개별 부품들(핀-접촉 조립체 및 접촉 본체)은 마찰식으로 맞물림된 그리고/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개별 부품들 중 하나의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들의 개별 부품들로 분리될 수 있다. 다중-부품 설계의 경우에, 마찰 맞물림 및/또는 형상 끼워맞춤이 (조건부로) 존재하지 않거나, 접촉 조립체의 응집은 제3 부품에 의해 발생된다.
재료적으로 (접착제) 일체식 설계는, 이의 개별 부품들(핀-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이 재료적으로 접합된 방식(용접, 솔더링, 접착결합 등)으로 서로 고정되며, 그리고 핀-접촉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개별 부품들 중 하나를 손상시키지 않고 개별 부품들로 분리될 수 없는, 핀-접촉 조립체의 설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핀-접촉 조립체의 응집은 또한 여기서 마찰 맞물림 및/또는 형상 끼워맞춤(일체형 설계의 경우가 아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핀-접촉 조립체는 일체형이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부품들로 형성되지 않는다. - 핀-접촉 조립체의 일체형 설계의 경우에, 단지 파괴됨으로써 분할될 수 있는 단일의 구성요소가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단일의 고유 피스(시트 금속, 블랭크 등) 및/또는 단일의 고유 질량체(금속/플라스틱 용융물)로 제조될 것이며, 이는 결국 일체형이도록 강제될 것이다. 내부 응집은 접착 및/또는 응집에 의해 예외적으로 달성될 것이다.
핀-접촉 디바이스는 탭-접촉 디바이스 또는 핀-접촉 디바이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접촉 본체는 전기 전도체 크림핑 구역 및 기계식 절연 크림핑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 본체는 크림핑 가능한 접촉 본체로서 설계되며, 그리고 핀-접촉 조립체는 크림프 접촉 조립체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체는 본 발명에 따른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를 포함한다. - 여기서, 개체는, 예컨대, 개체 하우징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광학식 및/또는 유체 디바이스 또는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체는 (또한), 예컨대, 디바이스(개체 하우징으로서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개체 하우징으로서 조립체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전기 커넥터를 갖는)(예비) 조립된 케이블, 서브조립체, 인쇄 회로 기판, 구성요소, 모듈, 유닛, 장치, 집합체, 플랜트, 시스템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척이 아닌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단일의 또는 유사한 설계 및/또는 기능을 가지는 부분들, 요소들, 부품들, 유닛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스켐(scheme)들은 도면 설명(하기 참조), 도면 부호들의 리스트, 청구항들에서 그리고 그림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설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는,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 스켐, 유닛, 부품, 요소 또는 이의 부분에 대한 가능한 대안예, 정적 및/또는 운동학적 역전, 조합 등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결정적인 것이 아니며, 추가적으로 도면 부호들의 리스트 및/또는 도면 설명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부분, 요소, 부품, 유닛, 구성요소, 기능, 크기 등)은 포지티브(positive) 즉, 존재할 수 있거나, 네거티브(negative), 즉 부재할 수 있다. 본 출원서[설명(발명의 설명(위 참조)), 도면 설명(하기 참조), 도면 부호들의 리스트, 청구항들, 도면]에서, 네거티브한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 특징이 부재한 것이 강조되지 않는 한, 특징으로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실제로 제조되는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에 의해 구성되지 않는 것은 이러한 특징을 생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특징은 언급된 방식 및/또는 방법으로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 및/또는 방법(격리, 조합, 대체, 부가, 독립형 제공, 생략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청구항들 및/또는 설명에서 특징을 대체하고, 부가하거나 생략하는 것이, 참조 부호 및 그것과 연관된 특징에 기초하여 또는 그 반대로, 설명, 도면 부호들의 리스트, 청구항들 및/또는 도면에서 가능하다. 또한, 이에 의해, 청구항의 특징은 보다 상세하게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특정될 수 있다.
(초기에는 대부분 공지되지 않은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설명의 특징들은 또한 선택적인 특징들로서 해석될 수 있으며; 즉, 각각의 특징은 선택적인, 임의의, 또는 바람직한, 즉 비-결합 특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가능하게는 그의 주변부들을 포함하는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특징은 그 후, 본 발명의 일반화된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특징(네거티브 특징)의 부재는, 적용 가능한 바와 같이, 특징이 본 발명에 대해 선택적인(당업자)인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특징에 대한 유형 용어의 경우에, 특징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는 또한, (가능하게는, 아속(subgenus) 등으로의 추가의 계층적인 세분)을 따라 판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컨대, 동등한 효과 및/또는 동등한 값을 고려하여, 특성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도 1은 핀-접촉 디바이스 및 접촉 본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의 실시예를 위로부터 비스듬한 측방향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핀-접촉 디바이스와 접촉 본체 사이에 구축된 2차 잠금부를 2차원, 단면, 및 분리-세부 평면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하우징에서 핀-접촉 조립체의 구축된 1차 및 2차 래칭의 2차원의, 단면, 및 분리-세부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나노 또는 피코 핀-접촉 조립체(1)의 변형예의 3개의 실시예들(도 1 내지 도 3: 제1 실시예, 실선 참조 선들, 도 2: 제2 및 제3 실시예들, 각각의 파선 참조 선들)의 예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되고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기본적인 성질을 갖는다.
다른 변경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내용(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개체의 경우의 전기장에서 적용가능하다(상기 내용 참조). 예외는 접지 기반 전력 공학이다. 도면에서,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본 발명의 대상물의 이들 공간 부분들이 도시된다. 커넥터들 및 정합 커넥터, 단자(상기 내용 참조), 및 카운터 단자 등과 같은 지정들은 동의어로 해석될 수 있으며, 즉, 필요하다면,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하기 내용에서, 도면 ─ 도 1 참조 ─ 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설명은, 핀-접촉 조립체(1)의 길이방향(Lr)(이의 선택은 플러그-인 방향(Sr)임), 수직 방향(Hr), 횡단 방향(Qr), 및 원주방향(Ur)을 지칭한다. 여기서, 길이방향(Lr)은 핀-접촉 조립체(1)의 범위의 주요 방향에 대응하며, 수직 방향(Hr)은 핀-접촉 조립체(1)의 잠금 랜스(341)의 스프링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그리고 횡단 방향(Qr)은 잠금 랜스(341)의 잠금 에지 또는 잠금 숄더의 범위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또한, 원주방향(Ur)은 길이방향(Lr) 주위에서 이어진다.
도 1은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핀-접촉 조립체(1)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재료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지만, 또한 단지 일체로, 즉 재료 연결부 없이 형성될 수 있다. 핀-접촉 조립체(1)는 예컨대, 하우징(0)(도 4 참조), 예컨대, 커넥터 하우징(0), 개체 하우징(0) 등에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래치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차 잠금부(41)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2차 잠금부(42)는, 핀-접촉 조립체(1)와 하우징(0) 사이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본 핀-접촉 조립체(1)는, 본 경우에, 제1 부품으로서 전기식 핀-접촉 디바이스(2), 및 제2 부품으로서 전기 접촉 본체(3)를 포함한다. 핀-접촉 디바이스(2)는 여기서 직선형 핀(2), 직선형 탭(2)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2)를 추가로 구별하는 것은, 핀-접촉 디바이스가 소켓으로서 형성되지 않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중실형 재료 단면을 가지는 것이다.
핀-접촉 조립체(1)는 전기 접촉 부분(20)(핀-접촉 디바이스(2)의 일부분), 기계식 래칭 부분(30)(실질적으로 접촉 본체(3)의 일부분), 및 전기기계식 케이블 연결 부분(35)(접촉 본체(3)의 일부분)으로 분할된다. 래칭 부분(30)은 1차 잠금부(41)을 위한 1차 잠금 구역(31) 및 2차 잠금부(42)를 위한 2차 잠금 구역(32)으로 추가적으로 분할된다. 또한, 케이블 단자 부분(35)은 전기 케이블(미도시됨)을 위한 전기 전도체 크림핑 구역(36) 및 기계식 절연체 크림핑 구역(37)으로 추가적으로 분할된다.
본 경우에서, 핀-접촉 디바이스(2)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간단한 핀-접촉 디바이스(2)로서 설계된다. 타원형, 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이 물론 사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물론, 다른 접촉 디바이스(2), 예컨대, 탭-접촉 디바이스(2) 등이 또한 사용가능하다. 핀-접촉 디바이스(2)는 바람직하게는 이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들에서 삽입 경사들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규칙적인 단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선 중실형 원통체의 형상을 갖는다.
접촉 본체(3)는 이의 래칭 부분(30)에서, 핀-접촉 디바이스(2)를 위한 리셉터클(300)을 가지며, 이 리셉터클에, 핀-접촉 디바이스(2)가 수용되고 그리고 고정된다. 리셉터클(300)은 원주방향(Ur)으로 이의 전방 및 후방 길이방향 단부 부분들에서 완전히 폐쇄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개개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은 저부 벽, 2개의 측벽들, 및 최상부 벽을 포함하며, 최상부 벽은 잠금 목적들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래칭 부분(30)을 따라 연장하는 측벽 내로 플러그된다(plugged). 횡단 방향(Qr)으로 반대편에 있는 측벽 및 저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실질적으로 전체 래칭 부분(30)을 따라 연장한다. 최상부 벽은 여기서 차단된다.
접촉 본체(3)의 1차 잠금 조립체(341)는 원주방향(Ur)으로 각각 완전히 폐쇄된, 리셉터클(300)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들 사이에 구축된다. 이러한 경우에, 1차 잠금 조립체(341)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Hr)으로 탄성적인 잠금 랜스(341)로서 설계된다(도 4를 또한 참조). 이러한 경우에, 잠금 랜스(341)는 길이방향(Lr)으로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Hr)으로 다소 폐쇄된 전방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랜스(341)는, 잠금 랜스에 인접한 측벽의 윈도우에서 잠금 랜스로부터 멀리 횡단 방향(Qr)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의 자유 길이방향 단부에서, 잠금 랜스(341)는 멈춤쇠 돌출부(detent protrusion)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도 4을 참조) 원주방향(Ur)으로 완전히 폐쇄되는, 리셉터클(300)의 후방 길이방향 단부 부분의 후방 구역은 2차 잠금 조립체(342)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2차 잠금 조립체(342)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잠금 숄더(342)로서 형성된다. 강성 잠금 숄더(342)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단 방향(Qr)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직 방향(Hr)으로 연장한다.
또한, 접촉 본체(3)를 갖는 접촉 디바이스(2)의 전기식 및 기계식 1차 잠금부(11)은 바람직하게는 1차 잠금부(341) 아래의 수직 방향(Hr)으로, 즉 리셉터클(300)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1차 잠금부(11)는 핀-접촉 디바이스(2) 주위의 접촉 본체(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한 원주방향 형상-끼워맞춤 연결부로서 형성되며(최상부에서의 길이방향 부분 참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재료 접합식 연결, 특히 용접된 연결에 의해 길이방향(Lr)으로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접촉 디바이스(2)의 병진운동 변위는 재료 연결이 온전한 경우에 가능하지 않다.
원주방향의 형상-끼워맞춤 연결부는 기초 벽의 길이방향 부분들 및 2개의 측벽들뿐만 아니라, 리셉터클(300)의 원주방향 탭(310)(길이방향 부분, 커버)에 의해 구성되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실질적으로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이들 부분들 사이에 수용된다. 원주방향 탭(310)은 여기서, 하나의 측벽으로부터 시작하여 원주방향 탭에 대해 반대편에 있는 측벽을 향해 구부러진다. 재료 접합식 연결, 특히 용접된 연결은 원주방향 탭(310)의 자유 단부 및 그와 연관된 측벽의 전환 부분에서 구축된다.
특히, 재료 접합식 연결체는 원주방향 탭(310)의 자유 단부, 이러한 단부와 연관된 측벽의 자유 에지, 및 핀-접촉 디바이스(2)를 서로 체결시킨다. 핀-접촉 디바이스(2)는 여기서, 특히 그의 코너 구역들 중 하나에 의해 접촉 본체(3)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 래칭(latching), 압입 끼워맞춤 등과 같은 대안적인 1차 잠금부(11)가 물론 사용가능하다.
리셉터클(300) 내에, 핀-접촉 디바이스(2)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베어링 표면들(303) 사이에 수용되고 그리고 내부 베어링 표면들에 맞닿게 착좌된다. 내부 베어링 표면들(303)은 여기서 리셉터클(300) 내로 안쪽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리셉터클(300)의 내부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 베어링 표면들(303)은 바람직하게는 전단 컷(cut)들의 압입들에 의해 리셉터클(300)의 측벽들 내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이러한 내부 베어링 표면들(303)은 측벽마다 제공된다. 측벽 당 상이한 수, 특히 단일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내부 베어링 표면들이 물론 사용가능하다. 물론, 홀수개의 내부 베어링 표면들(303)은 또한, 하나의 측벽 상에 내부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반대편 측벽 상에 짝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핀-접촉 디바이스(2)와 접촉 본체(3) 사이에 1차 잠금부(11) 또는 재료 접합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즉 재료 접합의 가능한 적어도 부분적인 고장의 경우에, 핀-접촉 조립체(1)는 구축된,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그리고 특히 기계식 2차 잠금부(12)를 갖는다. 여기서, 2차 잠금부(12)는 핀-접촉 디바이스(2)를 접촉 본체(3)에서/그 안에서, 특히 리셉터클(300)에서 잠금시킨다.
이러한 2차 잠금부(12)의 3개의 실시예들이 여기에(특히 도 2 참조)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물론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도 2는, 핀-접촉 디바이스(2)와 접촉 본체(3) 사이의 연결 구역의 좌측 및 중간 상에, 각각의 경우에, 접촉 본체(3)에 대한 핀-접촉 디바이스(2)의 잠금 연결, 및 우측 상에서,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핀-접촉 디바이스(2)의 접촉 디바이스 정지부를 도시한다. 도 2의 중간 잠금 연결부는 또한 맞물림 연결로서 설명될 수 있다. - 이러한 기계식인 연결체들 모두는 또한 기계식 착좌 연결부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위 내용 참조).
도 2의 중심의 착좌 연결부에서, 돌출부는 오목부에 맞물린다. 핀-접촉 디바이스(2)의 돌출부는 여기서 접촉 본체(3)의 오목부에 맞물릴 수 있거나, 그 반대로, 접촉 본체(3)의 돌출부는 핀-접촉 디바이스(2)의 오목부에 맞물릴 수 있다. - 도 2의 우측 상의 착좌 연결부에서, 핀-접촉 디바이스(2)의 자유 단부는 접촉 본체(3)의 리셉터클(300)의 돌출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예를 들어, 비드(bead), 접촉 본체(3)로부터 밖으로 구부러진 탭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좌측 상의 착좌 연결부(또한 도 3을 참조)는 잠금 연결부로서 설계된다. 여기서, 핀-접촉 디바이스(2)는 2차 잠금 조립체(220)를 가지며, 그리고 접촉 본체(3)는 또한 2차 잠금 조립체(320)를 갖는다. 2차 잠금 조립체들(220, 320)은 부분들에서 상보적이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리셉터클(300)의 핀-접촉 디바이스(2)의 장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일부 유격으로 서로에 대해 안착된다(도 3). - 본 경우에서, 관련된 2차 잠금 조립체(220, 320)는 2개의 2차 잠금 조립체들(2220, 3220)을 포함하며, 각각은 잠금 표면(2222, 3222)을 갖는다. 개개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2220, 3220)는, 예컨대, 멈춤쇠 돌출부, 잠금 러그, 잠금 숄더, 잠금 림, 잠금 에지, 멈춤쇠 오목부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구축된 2차 잠금부(12)에서, 상호 연관된 2개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3220) 또는 상호 연관된 2개의 잠금 표면들(2222/3222)은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단지 단일 병진운동 방향으로 핀-접촉 디바이스(2)를 차단한다. 따라서, 2회의 상호 연관된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3220)은 바람직하게는, 1차 잠금부(11)로부터 멀리 있는 핀-접촉 디바이스(2)가 이를 위해,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여전히 가능한 둘 모두의 병진운동 방향들로 유지되거나 차단되는 방식으로(즉, 완전한 병진운동 자유도) 핀-접촉 조립체(1)에서 구축된다.
여기서, 핀-접촉 디바이스(2)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 및 접촉 본체(3)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3220)은 핀-접촉 조립체(1)에서 서로 반대 방향들로 구축된다. 다시 말해, 2개의 상호 연관된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3220)의 상호 연관된 잠금 표면들(2222/3222)이 서로를 대면할 뿐만 아니라, 핀-접촉 디바이스(2)의 잠금 표면들(2222/2222) 및 접촉 본체(3)의 잠금 표면들(3222/3222)이 또한, 핀- 접촉 조립체(1)에서 서로를 대면한다.
여기서, 핀-접촉 디바이스(2)의 2개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 또는 2개의 잠금 표면들(2222)은, 바람직하게는 횡단 방향(Qr)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는 핀-접촉 디바이스(2)의 측면들 상에 구축된다. 더욱이, 핀-접촉 디바이스(2)의 2개의 잠금 표면들(2222) 또는 2개의 2차 디바이스들(2220)은 핀-접촉 디바이스(2)에서/안에서 길이방향(Lr)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구축된다. - 이는 물론, 접촉 본체(3) 또는 리셉터클(300)에 내부적으로 유사하게 적용된다.
물론, 멈춤쇠 돌출부(2220/3220), 멈춤쇠 오목부(3220/2220)에 더하여, 예컨대, 다른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 322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 3220)을, 예컨대, 단일 측면, 3개의 측면들 또는 4개의 측면들 상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핀-접촉 디바이스(2)가 접촉 본체(3)에서 2개 또는 3개의 회전 포지션들에서 분극화된 상태 또는 배향된 상태로 설정될 필요가 없거나, 분극화된 상태 또는 배향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핀-접촉 조립체(1)에서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 3220)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하우징(0)과의 핀-접촉 조립체(1)의 구축된 1차 잠금부(41) 및 구축된 2차 잠금부(42)를 더 도시한다. 여기서, 잠금 랜스(314)는 하우징(0)의 내부 돌출부에 맞닿아 지탱하며, 따라서 1차 잠금부(41)를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2차 잠금 조립체(342)는 또한 하우징(0) 내에 착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우징(0) 또는 하우징 외부의 부품의 회전 또는 병진운동 이동가능한 돌출부는, 핀-접촉 조립체(1)의 2차 잠금 조립체(342) 상의 대응하는 구역에 맞닿아 지탱할 수 있으며, 따라서 2차 잠금부(41)를 형성한다.
종래 기술의 2-부품 핀-접촉 조립체에서, 단지 하나의 용접 지점은 길이방향으로 핀-접촉 조립체를 고정(잠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용접 지점이 불완전하거나 결함이 있게 형성된다면, 이 용접 지점은, 차량에서 핀-접촉 조립체의 사용 전에 또는 사용 동안 느슨해질 수 있다. 이는, 핀-접촉 조립체에서의 핀-접촉 디바이스의 길이방향 위치결정이 보장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전기 접촉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접촉 본체(3) 상에/내부에 핀-접촉 디바이스(2)의 1차 잠금부(11)의 용접 지점에 더하여, 부가의 위치결정 또는 고정을 제공한다. 이는, 접촉부 본체(3)에서/안에서 또는 핀-접촉 조립체(1)에서 핀-접촉 디바이스(2)의 2차 잠금부(12)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고장이 있거나 결함이 있는 용접 지점의 경우에, 핀-접촉 디바이스(2)는 접촉 본체(3)로부터 나올 수 없거나, 접촉 본체 내로 너무 멀리 푸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핀-접촉 조립체(1)와 소켓 단자(미도시) 사이의 전기 접촉은, 심지어 핀-접촉 조립체(1)에서의 고장난 또는 결함이 있는 용접 지점의 경우에도 보장된다.
0 하우징
1 2-부품(전기) 핀-접촉 조립체
2 (전기) 핀-접촉 디바이스
3 (전기) 접촉 본체
11 구축된 1차 잠금부
12 구축된 2차 잠금부
20 (전기) 접촉 본체
220 2차 잠금 조립체
2220 2차 잠금 디바이스
2222 잠금 표면
30 (기계식) 래칭 부분
31 1차 잠금 구역
32 2차 잠금 구역
35 (전기기계식) 케이블 연결 부분
36 (전기식) 전도체 크림핑 구역
37 (기계식) 절연체 크림핑 구역
300 리셉터클
302 내부 돌출부
303 내부 베어링 표면
310 원주방향 탭
320 2차 잠금 조립체
3220 2차 잠금 디바이스
3222 잠금 표면
341 접촉 본체(3)의 1차 잠금 조립체
342 접촉 본체(3)의 2차 잠금 조립체
41 구축된 1차 잠금부
42 구축된 2차 잠금부
Lr 길이방향(지향되지 않음)
Sr 길이방향(Lr)에 평행한, 플러그-인 “‡향(지향됨)
Hr 길이방향(지향되지 않음)
Qr 횡단방향(지향되지 않음)
Ur 길이방향(Lr) 주위에 있는 원주방향(지향되지 않음)

Claims (15)

  1. 2-부품 전기 핀-접촉(pin-contact) 조립체(1)로서,
    상기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특히 나노(nano) 또는 피코(pico) 핀-접촉 조립체(1)는 자동차 분야에서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electrical plug-in connection)를 위한 것이며, 상기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는,
    길이방향(Lr)으로 연장하는 핀-접촉 디바이스(pin-contact device)(2) 및 상기 길이방향(Lr)으로 연장하는 접촉 본체(3)를 포함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안에서 고정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구축된 1차 잠금부(11) 및 구축된 2차 잠금부(12)에 의해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고정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잠금부(12)는, 상기 1차 잠금부(11)의 고장 상황시에, 상기 2차 잠금부(12)가 상기 1차 잠금부(11)의 작업(task) 또는 목적(purpose)을 건네받는 방식으로 상기 핀-접촉 조립체(1)에서/안에서 형성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잠금부(11)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와 상기 접촉 본체(3) 사이에 재료 접합식 연결부(11)를 가지며,
    상기 2차 잠금부(12)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와 상기 접촉 본체(3) 사이에 기계식 착좌(seating) 연결부(12)를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상기 1차 잠금부(11)는 용접된 연결부(11)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2차 잠금부(12)는 접촉 디바이스 정지부(12) 또는 기계식 잠금 연결부(12)를 가지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잠금부(11)는 상기 핀-접촉 조립체(1)의 원주방향(Ur) 길이방향 부분으로서 제공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적어도 2개 또는 3개 모두의 병진운동 자유도로 잠금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적어도 2개 또는 3개의 회전 자유도로 잠금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와 상기 접촉 본체(3) 사이에, 용접된 그리고 원주방향 형상-끼워맞춤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잠금부(12)는 상기 핀-접촉 조립체(1)의 원주방향(Ur) 길이방향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5개의 병진운동 방향들로 또는 3개 모두의 병진운동 자유도로 잠금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적어도 2개 또는 3개의 회전 자유도로 잠금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와 상기 접촉 본체(3) 사이에, 정지부 또는 잠금부, 및 적어도 부분적인 원주방향 형상-끼워맞춤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지 실제 2차 잠금부(12) 자체의 상기 수반된 잠금 표면들(2222, 3222)은,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를 정확히 하나의 병진운동 방향 또는 자유도로 잠금시키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회전 방향 또는 자유도 없이,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회전 방향 또는 자유도로 잠금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와 상기 접촉 본체(3) 사이의 실제 정지부 또는 잠금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정지 연결부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접촉 본체(3) 내로 안쪽을 대면하는 돌출부 사이에 구축되며,
    상기 기계식 잠금 연결부에서,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 및 상기 접촉 본체(3)는 서로 맞닿게 지탱하거나 서로 맞물리며, 그리고/또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외부 측면과 상기 접촉 본체(3)의 내부 측면 사이의 기계식 잠금 연결부가 구축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잠금부(12)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2차 잠금 조립체(220) 및 상기 접촉 본체(3)의 2차 잠금 조립체(320)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잠금부(12)에서, 2차 잠금 조립체들(220, 320)은 서로 맞닿게 착좌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맞닿게 착좌될 수 있으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2차 잠금 조립체(220)는 적어도 하나, 정확히 2개 또는 복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detent device)들(2220)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본체(3)의 2차 잠금 조립체(320)는 적어도 하나, 정확히 2개 또는 복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3220)을 포함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적어도 하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2220)는 멈춤쇠 디바이스(2220)로서 설계되며, 그리고 상기 접촉 본체(3)의 적어도 하나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3220)는 또한, 멈춤쇠 디바이스(3220)로서 설계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 및 접촉 본체(3)의 2개의 상호 연관된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 3220)은 멈춤쇠 돌출부들(2220, 3220)로서 또는 멈춤쇠 돌출부 및 멈춤쇠 오목부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또는
    상기 멈춤쇠 돌출부(2220, 3220) 및/또는 멈춤쇠 오목부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 및/또는 상기 접촉 본체(3)의 플라스틱 냉간 성형물로서 형성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잠금 표면들(2222)의 법선 벡터(normal vector)들은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에서/안에서 반대 방향들로 설정되며,
    상기 접촉 본체(3)의 잠금 표면들(3222)의 법선 벡터들은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반대 방향들로 설정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2220)은 상기 핀-접촉 조립체(1)에서 서로 반대 방향들로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접촉 본체(3)의 2차 멈춤쇠 디바이스들(3220)은 상기 핀-접촉 조립체(1)에서 서로 반대 방향들로 설정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본체(3)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를 위한 기계식 리셉터클(mechanical receptacle)(300)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300)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길이방향 부분에서, 상기 길이방향(Lr) 주위에서 상기 원주방향(Ur)으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1차 잠금부(11)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의 2개의 이러한 장착 길이방향 부분들 사이에서 구축되며,
    상기 리셉터클(30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방향(Lr)에 대해 서로 비스듬하게 반대편에 있는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를 위한 내부 베어링 표면들(302)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상기 2차 멈춤쇠 디바이스(2220, 3220)의 잠금 표면(2222, 3222)은 내부 베어링 표면(302)에 접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잠금부(11)는 상기 핀-접촉 조립체(1)의 길이방향 범위 부분에서 구축되며,
    상기 1차 잠금부(11)는 상기 리셉터클(300)의 원주방향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1차 잠금부에서,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단면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1차 잠금부(11)에서, 상기 리셉터클(300)의 원주방향 탭(310), 상기 리셉터클(300)의 벽, 및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함께 용접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1차 잠금부(11)에서, 상기 원주방향 탭(310)의 자유 에지 및 벽뿐만 아니라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의 코너 구역(corner region)은 각각의 경우에 함께 용접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본체(3)는 하우징(housing)(0)에서 래치결합될(latched) 수 있는 접촉 본체(3)로서 설계되며,
    상기 접촉 본체(3)는 상기 하우징(0)에서 상기 핀-접촉 조립체(1)를 위한 1차 잠금 조립체(341) 및 2차 잠금 조립체(342)를 가지며,
    상기 1차 잠금 조립체(341)는 상기 접촉 본체(3)에 바람직하게는 탄성 잠금 랜스(resilient locking lance)(341)로서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2차 잠금 조립체(342)는, 상기 접촉 본체(3)에서/안에서 바람직하게는 강성 잠금 숄더(rigid locking shoulder)로서 구축되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부품들로 형성되는, 상기 핀-접촉 조립체(1)는 일체로, 또는 재료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핀-접촉 디바이스(2)는 탭-접촉 디바이스(2) 또는 핀-접촉 디바이스(2)로서 설계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접촉 본체(3)는 전기 전도체 크림핑 구역(electrical conductor crimping region)(36) 및 기계식 절연체 크림핑 구역(37)을 가지는,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
  15. 특히,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개체로서,
    상기 전기 개체는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1)를 포함하는,
    전기 개체.
KR1020230125480A 2022-09-22 2023-09-20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KR20240041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24426.1A DE102022124426A1 (de) 2022-09-22 2022-09-22 Zweiteilige, elektrische Stift-Kontakteinrichtung
DE102022124426.1 2022-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256A true KR20240041256A (ko) 2024-03-29

Family

ID=8809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480A KR20240041256A (ko) 2022-09-22 2023-09-20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6148A1 (ko)
EP (1) EP4343978A1 (ko)
JP (1) JP2024046623A (ko)
KR (1) KR20240041256A (ko)
CN (1) CN117748190A (ko)
DE (1) DE1020221244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8967A1 (de) 1983-10-27 1985-05-09 Feinmetall Gmbh, 7033 Herrenberg Federkontaktstif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888107A (en) * 1998-04-22 1999-03-30 Osram Sylvania Inc. Male contact
DE19922560A1 (de) 1999-05-17 2000-11-23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Stecker
US7976353B2 (en) * 2006-09-29 2011-07-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wo-piece electrical terminal
KR101381518B1 (ko) 2007-04-12 2014-04-04 델파이 커넥션 시스템즈 홀딩 프랑스 수형 전기 단자
DE102013223570B4 (de) 2013-11-19 2021-06-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iftkontakt mit einem als Stanzbiegeteil gefertigten Kontaktkörper und einem massiven Kontaktstift
DE102016123162B4 (de) 2016-11-30 2022-05-19 Lear Corporation Zweistückiger elektrischer anschlussstecker und verfahren zum zusammenfügen des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6148A1 (en) 2024-03-28
DE102022124426A1 (de) 2024-03-28
EP4343978A1 (en) 2024-03-27
JP2024046623A (ja) 2024-04-03
CN117748190A (zh)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5174B2 (ja) 電気コネクタ
JP587651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9209582B2 (en) Connector
EP2127039B1 (e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181424B1 (ko) 직각형 헤더 어셈블리
JP4577894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3029578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7118675B2 (ja) コンタクトキャリア、電気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既製のケーブルを作製する方法
JP2009254073A (ja) バスバーの組付構造
JP6039490B2 (ja) コネクタおよび組電池
JP6824703B2 (ja) コンタクトデバイス止めばね、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アセンブリおよび電気コネクタ
US20080261458A1 (en) Housing and Electrical Plug for Transmitting Electrical Drive Power
JP2005050577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におけるバスバーの半嵌合検知構造
JP2024516280A (ja) Pcb基板との柔軟な接続用の基板端コネクタ
WO2011077264A2 (en) Floating connector and system
KR20240041256A (ko) 2-부품 전기 핀-접촉 조립체
EP3719935A1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CN114361841A (zh) 电端子
JP7401500B2 (ja) 電気端子
JP2018129252A (ja) 板状導電部材の接続構造及び板状導電路
US7021956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CN220122156U (zh) 印刷电路板组件和连接器组件
CN218770423U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EP4089846A1 (en) Vibration-proof electrical high-current flat socket contact device
JP7152250B2 (ja) 電気配線ブロック接合体、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