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42B1 - 플렉시블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컨테이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9842B1 KR102649842B1 KR1020207012772A KR20207012772A KR102649842B1 KR 102649842 B1 KR102649842 B1 KR 102649842B1 KR 1020207012772 A KR1020207012772 A KR 1020207012772A KR 20207012772 A KR20207012772 A KR 20207012772A KR 102649842 B1 KR102649842 B1 KR 1026498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outlet
- flexible container
- contents
- 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573881 Corolla Speci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06—Large containers flexible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6—Gates or closures operating by deformation of flexibl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개봉이 용이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바깥 자루와, 안쪽 자루와, 제 1 결속구와, 덮개를 구비하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바깥 자루는, 하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부를 가진다. 안쪽 자루는, 바깥 자루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관상(筒狀)의 안쪽 자루로, 배출구부를 가진다. 배출구부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개구를 통해서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된다. 제 1 결속구는, 배출로를 닫도록 배출구부를 묶는다. 덮개는, 하부개구를 닫고, 배출구부를 덮도록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배출구부는,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조여진다. 제 1 결속구는, 배출구부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출구부를 묶는다. 덮개는, 제 1 결속구로 묶인 배출구부를 덮도록,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컨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립체나 곡물, 야채 등의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여 수송하기 위해 종종 플렉시블 컨테이너가 사용된다. 플렉시블 컨테이너에는 다양한 타입의 것이 존재하지만, 그 중 하나로, 상부에 내용물의 충전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그 배출구가 형성되는 타입의 것이 있다(특허문헌 1 ~ 3 참조). 이러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개봉시에 매달리게 되고, 하부의 배출구에서부터 내용물이 배출된다.
특허문헌 1 ~ 3의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이중 구조이며, 내용물이 충전되는 안쪽 자루와, 안쪽 자루가 수용되는 바깥 자루를 구비한다. 바깥 자루의 저면부에는 하부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부개구는, 개봉시 이외, 저면부에서 하부개구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로 연속되는 화관 형상의 덮개로 덮어져 있다. 또한, 화관 형상의 덮개는, 특허문헌 1에서는 "아래쪽 바깥 덮개"(16)라고 불리고, 특허문헌 2에서는 "덮개 압편"(16a ~ 16d)이라고 불리고, 특허문헌 3에서는 "키쿠와리(菊割, 국화모양)부"(18)라고 불리고 있다. 화관 형상의 덮개는, 복수의 화변(花弁, 꽃잎)에 대응하는 부위로 이루어지고, 이들 부위의 중앙을 통과한 끈을 묶는 것에 의해, 이들 부위가 저면부와 동일한 평면 내에서 화관을 형성하듯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하부개구가 닫힌다. 한편, 개봉시에는, 이 끈의 묶음을 푸는 것으로, 화변에 대응하는 부위가 아래 쪽으로 늘어지고, 하부개구가 열린다. 그리고, 이 하부개구에서부터 당겨져 나오는 안쪽 자루의 하부에 대응하는 배출구부를 통해서, 내용물이 꺼내진다.
이상과 같은 플렉시블 컨테이너로는, 예를 들면, 개봉시에 화관 형상의 덮개를 고정하고 있는 끈을 풀어서 덮개를 열고, 안쪽 자루의 배출구부를 당기고, 배출구부의 선단의 히트실링(heat seal)된 부분을 절단하고, 배출구부를 묶고 있는 끈을 푸는 것과 같은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하부개구는 바깥 자루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개봉 작업은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옆 쪽에 서는 작업자에게 꼭 쉽지는 않다. 또한,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중량이 무겁고, 기울이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러한 경우에는 특히 개봉 작업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개봉이 용이한 플렉시블 컨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바깥 자루와, 안쪽 자루와, 제 1 결속구와, 덮개를 구비한다. 바깥 자루는 하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부를 가진다. 안쪽 자루는 바깥 자루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관상(筒狀)의 안쪽 자루로, 배출구부를 가진다. 배출구부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개구를 통해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된다. 제 1 결속구는 배출로를 닫도록 배출구부를 묶는다. 덮개는 배출구부를 덮도록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배출구부는 배출로를 닫도록 조여진다. 제 1 결속구는 배출구부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출구부를 묶는다. 덮개는 제 1 결속구로 묶인 배출구부를 덮도록,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제 2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상기 배출구부는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조인 후, 한쪽으로 접히고, 혹은,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한쪽으로 접힌 후, 조여진다. 상기 제 1 결속구는 상기 배출구부가 한쪽으로 접히고 또한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출구부를 묶는다. 상기 덮개는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후, 접힌 상기 배출구부를 덮도록, 상기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제 3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 또는 제 2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저면부에서부터 덮개를 떼어내면, 저면부에서부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태의 배출구부가 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4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 내지 제 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덮개는 저면부에 면패스너에 의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5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 내지 제 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제 1 결속구는 면패스너가 부착되어 있는 끈형상의 부재이다.
제 6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바깥 자루는 배출구부를 둘러싸는 배출구 커버를 더 가진다. 배출구 커버는 하부 개구에서부터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도록 저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결속구는 배출구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제 7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 내지 제 6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바깥 자루는 상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부를 더 가진다. 안쪽 자루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투입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부개구를 통해 상면부의 위 쪽으로 연장되는 충전구부를 더 가진다.
제 8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7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투입로를 닫도록 충전구부를 묶는 제 2 결속구를 더 구비한다.
제 9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8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바깥 자루는 충전구부를 둘러싸는 충전구 커버를 더 가진다. 충전구 커버는 상부개구에서부터 상면부의 위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결속구는 충전구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제 10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8 관점 또는 제 9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제 2 결속구 또는 상기 바깥 자루의 상부 중앙 부근의 부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하는 걸이구에 걸 수 있는 피걸이구를 더 구비한다.
제 11 관점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는, 제 1 관점 내지 제 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내용물은 흡수성 수지 입자이다.
제 12 관점에 관한 제조 방법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하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부를 가지는 바깥 자루를 준비하는 단계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관상의 안쪽 자루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형성하는 배출구부를 가지는 안쪽 자루를 준비하는 단계
·배출구부가 하부개구를 통해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도록 바깥 자루 내에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
·배출로를 닫도록 배출구부를 조이는 단계
·제 1 결속구에 의해 배출구부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출구부를 묶는 단계
·제 1 결속구로 묶인 배출구부를 덮도록, 저면부의 바깥쪽에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
제 13 관점에 관한 제조 방법은, 제 12 관점에 관한 제조 방법으로, 바깥 자루는 상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부를 더 가진다. 안쪽 자루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투입로를 형성하는 충전구부를 가진다. 바깥 자루 내에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는, 충전구부가 상부개구를 통해 상면부의 위 쪽으로 연장되도록, 바깥 자루 내에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4 관점에 관한 제조 방법은,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제 13 관점에 관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제조하는 단계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투입로를 통해, 안쪽 자루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단계
·내용물의 충전 후, 투입로를 닫는 단계
제 15 관점에 관한 개봉방법은,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개봉방법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제 14 관점에 관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제조하는 단계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매달리게 하는 단계
·저면부에서부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태의 배출구부가 늘어지도록, 상기 저면부에서부터 상기 덮개를 떼어내는 단계
·늘어진 배출구부에서부터 제 1 결속구를 푸는 것에 의해, 배출로를 여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바깥 자루의 저면부에서부터 연장되는 안쪽 자루의 배출구부가,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덮개에 의해 덮어진다. 따라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개봉시, 작업자가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옆 쪽에서부터 그 아래 쪽으로 손을 내밀어 덮개를 떼어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마찬가지로 옆 쪽에서부터 손을 내밀어, 안쪽 자루의 배출구부에서부터 이를 묶어 있는 제 1 결속구를 풀고, 배출구부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아래 쪽에 서서 배출구부의 개봉 작업을 꼭 실시할 필요는 없으며, 옆 쪽에서부터라도 개봉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개봉시 이외는, 안쪽 자루의 배출구부는 한쪽으로 접힌 후, 조여지고(혹은, 조여진 후, 접히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결속구에 의해 묶이고, 또한 묶인 상태의 배출구부가 접히고, 덮개로 덮어진다. 안쪽 자루의 배출구부는, 안쪽 자루 및 바깥 자루의 최하단부의 근방에 위치하며,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매달리게 하고 반송할 때, 좌우로 크게 움직이기 쉬우며(즉, 덜걱거리기 쉬우며), 덮개와 간섭하기 쉬운 부분이다. 배출구부와 덮개가 과도하게 간섭하면, 의도치 않게 덮개가 열려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상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개봉시 이외는, 배출구부는 접힌 상태로 제 1 결속구에 의해 묶여 있기 때문에, 배출구부의 최하단이 되는 위치가 약간 높아지고, 덮개와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반송시에 있어서, 덮개로 덮어져 있는 배출구부가 덜걱거린다 해도, 의도치 않게 덮개가 열려버리는 일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가 전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배출 포트를 접고 결속구로 고정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덮개를 설치한 상태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덮개를 절반 정도 떼어낸 상태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화관 형상의 덮개를 닫은 상태의 바깥 자루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걸이구에 의해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충전 포트의 피걸이구를 걸이구에 걸지 않고,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걸이구에 의해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결속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배출 포트의 결속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배출 포트를 접고 결속구로 고정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덮개를 설치한 상태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덮개를 절반 정도 떼어낸 상태의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화관 형상의 덮개를 닫은 상태의 바깥 자루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걸이구에 의해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충전 포트의 피걸이구를 걸이구에 걸지 않고,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걸이구에 의해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결속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배출 포트의 결속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에 대해 설명한다.
<1.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전체 구성>
도 1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이하, 단순히 컨테이너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다만, 후술하는 덮개(5)는 생략되어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로, 내용물을 저장하여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그 이름대로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컨테이너(1)는,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는 입체적으로 펴지만, 빈 상태로는 평면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상부 및 하부는 후술하는 소정의 방법으로 접히고, 형상이 정돈되지만, 도 1에서는, 컨테이너(1)의 상부 및 하부를 전개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컨테이너(1)에 충전되는 내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형적으로는 분립체나 곡물, 야채 등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수지 입자(펠릿)이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2중구조이며, 바깥 자루(2)와, 바깥 자루(2) 내에 수용되는 안쪽 자루(3)를 구비한다(도 6 참조). 내용물은, 안쪽 자루(3)의 내부에 충전된다. 바깥 자루(2)의 본체부(20)는, 상면부(21)와 저면부(22)와 측면부(23)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면부(21) 및 저면부(22)는 정사각형 형상이다. 즉, 바깥 자루(2)의 본체부(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측면부(23)는 직사각형 형상의 4개의 측면부를 포함한다. 측면부(23)에는 라벨 등을 삽입하는 포켓(23a)이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21)의 중앙에는 개구(이하, 상부개구라고 한다)(21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저면부(22)의 중앙에는 개구(이하, 하부개구라고 한다)(22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1a, 22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원형이다. 또한, 본래라면 도 1의 측면도에는 개구(21a, 22a)는 나타나지 않지만, 참고를 위하여, 그 위치가 음영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본체부(20), 상면부(21), 저면부(22) 및 개구(21a, 22a)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하, 이들에 공통되는 중심축을 부호(A1)으로 나타낸다.
안쪽 자루(3)는 관상이다. 안쪽 자루(3)의 상부는 상부개구(21a)를 통해서 상면부(21)의 위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용물의 충전구부(3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안쪽 자루(3)의 하부는 하부개구(22a)를 통해서 저면부(22)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용물의 배출구부(32)를 형성하고 있다. 내용물은 충전구부(31)를 통해서 안쪽 자루(3) 내에 충전되고, 배출구부(32)를 통해서 안쪽 자루(3) 내에서부터 배출된다. 즉, 충전구부(31)는 내용물을 안쪽 자루(3) 내에 충전하기 위한 투입로(R1)를 형성하고 있으며, 배출구부(32)는 내용물을 안쪽 자루(3) 내에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R2)를 형성하고 있다.
바깥 자루(2)는 상부개구(21a)에서부터 상면부(21)의 위 쪽으로 연장되는 관상의 충전구 커버(25)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개구(22a)에서부터 아래 쪽으로 연장되는 관상의 배출구 커버(26)를 더 가진다. 충전구 커버(25)는 상부개구(21a)를 통해서 상면부(21)에서부터 돌출하는 안쪽 자루(3)의 충전구부(31)를 바깥쪽으로부터 덮는 커버이며, 배출구 커버(26)는 하부개구(22a)를 통해서 저면부(22)에서부터 돌출하는 안쪽 자루(3)의 배출구부(32)를 바깥쪽으로부터 덮는 커버이다. 충전구 커버(25)는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상면부(2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개구(21a)를 규정하는 가장자리 부근에서부터 기립하도록 배치된다. 충전구 커버(25)의 단면 형상은 상부개구(21a)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배출구 커버(26)는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저면부(22)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개구(22a)를 규정하는 가장자리 부근에서부터 기립하도록 배치된다. 배출구 커버(26)의 단면 형상은 하부개구(22a)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 형상이다.
바깥 자루(2)의 본체부(20)는 충전구 커버(25) 및 배출구 커버(26)보다도 직경이 크다. 또한, 안쪽 자루(3)는 중심축(A1)의 방향으로 직경이 일정하며, 그 직경은 충전구 커버(25) 및 배출구 커버(26)의 직경보다도 크다. 그렇기 때문에, 안쪽 자루(3)의 상부(충전구부(31))는 바깥 자루(2) 내에 수용되었을 때 구김이 형성되어 직경을 조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쪽 자루(3)의 하부(배출구부(32))도 바깥 자루(2) 내에 수용되었을 때 구김이 형성되어 직경을 조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충전구부(31)는 충전구 커버(25)와 함께 충전구를 형성하므로, 이하에서는 충전구부(31) 및 충전구 커버(25)를 합해서 충전 포트(P1)라고 부를 때가 있다. 마찬가지로, 배출구부(32)는 배출구 커버(26)와 함께 배출구를 형성하므로, 이하에서는 배출구부(32) 및 배출구 커버(26)를 합해서 배출 포트(P2)라고 부를 때가 있다.
<1-1. 배출 포트 근방의 구성>
다음으로, 배출 포트(P2) 근방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 포트(P2)는 배출로(R2)를 닫도록 결속구(40)(제 1 결속구)에 의해 묶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속구(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 커버(26)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결속구(40)는 면패스너(42, 43)가 부착된 끈형상의 부재(이하, 끈이라고 한다)(41)이다. 끈(41)은 배출 포트(P2)를 묶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출구 커버(26)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면패스너(42, 43)는 서로 고착되는 구조이며, 끈(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본래라면 끈(4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면패스너(43)의 위치가 참고로서 표시되어 있다.
배출로(R2)를 닫는 경우에는, 우선, 배출구부(32)를 이를 덮고 있는 배출구 커버(26)와 함께 배출로(R2)를 닫도록 조인다. 그 후, 도 2에 나타내듯이 배출구부(32)를 배출구 커버(26)와 함께 한쪽으로 접고, 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속구(40)로 배출 포트(P2)를 묶는다. 도 2는 배출 포트(P2)를 접고, 결속구(40)로 고정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때, 배출 포트(P2)는 그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접히고, 이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끈(41)이 감긴다. 그리고, 끈(41)에 고정되어 있는 면패스너(42, 43)에 의해 끈(41)의 감김 상태가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저면도이다. 같은 도면에 나타내듯이,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하부개구(22a)를 개폐하기 위해 저면부(22)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5)를 구비한다. 덮개(5)는 하부개구(22a)를 닫을 때 저면부(22)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덮개(5)는 시트 형상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상이다. 덮개(5)에 있어서 저면부(22)와 대향하는 내면(5a)에는 바깥 둘레부를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면패스너(51)가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저면부(22)에 있어서 면패스너(51)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면패스너(52)가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면패스너(51, 52)가 서로 고착되는 것에 의해, 덮개(5)가 저면부(22)에 설치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는, 덮개(5)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바깥쪽에서 보이지 않는 면패스너(51)의 위치가 참고로서 표시되어 있다.
덮개(5)가 저면부(22)에 설치되었을 때, 배출 포트(P2)는 외부에서 시인할 수 없도록 그 전체가 덮개(5)로 덮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출 포트(P2)는 결속구(40)로 묶인 후, 접히고, 이 접힌 배출 포트(P2)를 덮도록, 덮개(5)가 저면부(22)에 설치된다. 이 때, 배출 포트(P2)는 덮개(5)와 저면부(22) 사이에 끼어서 수용된다. 도 4는 덮개(5)를 절반 정도 떼어낸 상태의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저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저면부(22)에서부터 덮개(5)를 떼어내면, 저면부(22)에서부터 결속구(40)로 묶인 상태의 배출 포트(P2)가 노출된다. 이 때, 배출 포트(P2)는 중력에 의해 늘어지고, 옆 쪽에서 봐서 도 2의 상태가 된다.
<1-2. 충전 포트 근방의 구성>
다음으로, 충전 포트(P1) 근방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충전 포트(P1)는 투입로(R1)를 닫도록 결속구(45)(제 2 결속구)에 의해 묶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속구(4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구 커버(25)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결속구(45)는 끈형상의 부재이다. 결속구(45)는, 충전 포트(P1)를 묶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충전구 커버(25)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투입로(R1)를 닫는 경우에는, 우선, 충전구부(31)를 이를 덮고 있는 충전구 커버(25)와 함께, 투입로(R1)를 닫도록 조인다. 그 후, 이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전 포트(P1)에 결속구(45)가 감겨진다. 이 때, 결속구(45)는 예를 들면, 나비매듭 등의 방법으로 묶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구 커버(25)와 충전구부(31)를 함께 한겹매듭을 묶고, 그 후, 충전구부(31)의 선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충전구 커버(25)에서 돌출한 충전구부(31)를 한쪽으로 접고, 충전구부(31)의 이 접힌 부분과 충전구 커버(25)를 나비매듭으로 묶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바깥 자루(2)는 상부개구(21a)를 개폐하기 위한 화관 형상의 덮개(이하, 화관덮개라고 한다)(24)를 가진다. 도 5는 화관덮개(24)를 닫은 상태의 바깥 자루(2)의 평면도이다. 화관덮개(24)는 복수의 화변 형상의 부위(이하, 화변부라고 한다)(24a)를 포함한다. 이들 화변부(24a)는, 화관덮개(24)의 닫힘 상태로 중심축(A1)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부개구(21a)를 그 중앙부를 제외하고 덮는다. 화변부(24a)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각각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지만, 저변이 상부개구(21a)의 윤곽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이다. 즉, 화변부(24a)의 저변은, 상면부(21)에 있어서 상부개구(21a)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로 연속되어 있다.
화변부(24a)의 안쪽의 단부 부근에는, 중심축(A1)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끈을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통로에 1개의 끈(24b)이 끼워 넣어져 있다. 끈을 통과시키는 통로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는 끈(24b)의 양단부는 슬라이더(24c)에 의해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24c)가 2개의 끈(24b)의 묶음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화관덮개(24)가 개폐된다. 구체적으로는, 끈(24b)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가 작아지도록 슬라이더(24c)를 이동시키면, 즉, 끈(24b)을 묶으면, 화변부(24a)가 상면부(21)와 동일한 평면 내에 펴지도록 기울어지고, 도 5에 표시되는 닫힘 상태가 된다. 한편, 끈(24b)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가 커지도록 슬라이더(24c)를 이동시키면, 즉, 끈(24b)을 느슨하게 하면, 도 1과 같이, 화변부(24a)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으로 기립시킬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충전구 커버(25)는 화관덮개(24)의 안쪽에 배치된다. 즉, 화관덮개(24)는 바깥쪽으로부터 충전구 커버(25)를 둘러싸도록 상면부(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충전구 커버(25)의 바깥쪽이자 화관덮개(24)의 안쪽에는, 안쪽 덮개(4)가 배치된다. 안쪽 덮개(4)도, 바깥쪽으로부터 화관덮개(24)로 둘러싸인다. 결속구(45)에 의해 묶인 충전 포트(P1)는 적절히 접히고, 화관덮개(24)의 안쪽에 수용되고, 그 후, 화관덮개(24)가 닫힌다. 이 때, 안쪽 덮개(4)는 화관덮개(24)의 안쪽에서 충전 포트(P1)를 위 쪽으로부터 덮는다. 또한, 화관덮개(24)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완전히 닫힐 필요는 없다. 즉, 충전 포트(P1)를 부분적으로, 화관덮개(2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24d)에서부터 돌출시켜도 좋다.
컨테이너(1)는, 결속구(45)에 고정되어 있는 피걸이구(48)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이구(48)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걸이구(48)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하는 걸이구(7)에 걸기 위한 부재이다. 도 6은, 걸이구(7)에 피걸이구(48)를 거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피걸이구(48)는, 충전 포트(P1)를 화관덮개(24) 내에 수용했을 때, 화관덮개(24)의 중앙부의 개구(24d)에서부터 외부로 당겨져 나와, 걸이구(7)에 걸린다. 또한, 걸이구(7)는 전형적으로는 훅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듯이, 걸이구(7)에는, 피걸이구(48)에 더하여, 바깥 자루(2)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피걸이구(35b)도 걸 수 있다. 피걸이구(35b)는, 바깥 자루(2)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는 가늘고 긴 끈형상의 부재(이하, 테두리끈이라고 한다)(35)의 상부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테두리끈(35)의 중부(35a)가, 바깥 자루(2)의 4면의 측면부(23)의 경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측면부(23)에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고정된다. 테두리끈(35)의 상부는, 루프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이것이 피걸이구(35b)가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4개의 테두리끈(35)의 하부(35c)는 저면부(22)를 따라 접히고, 저면부(22)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고, 전체로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하부(35c)는 저면부(22)에 바느질 등의 태양으로 고정된다. 하부(35c)의 가장 안쪽의 단부는 하부개구(22a) 및 덮개(5)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하부(35c)의 가장 안쪽의 단부도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루프의 구멍에 끈(36)이 끼워 넣어진다. 끈(36)은, 안쪽 자루(3)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바깥 자루(2)의 본체부(20)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될 때, 테두리끈(35)의 하부(35c)에 의해 저면부(22)의 네 모퉁이를 향해 당겨지다. 이 장력에 의해 끈(36)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펴지고, 이에 따라 내용물이 들어 있는 컨테이너(1)의 저면부(22)가 평면 형상으로 유지된다.
<2.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사용방법>
다음으로, 전술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빈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준비하는 방법(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제조 방법), 빈 플렉시블 컨테이너(1)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방법(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제조 방법),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개봉방법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2-1. 빈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우선, 바깥 자루(2) 및 안쪽 자루(3)를 준비하고, 안쪽 자루(3)를 바깥 자루(2)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안쪽 자루(3)의 상부의 충전구부(31)를, 바깥 자루(2)의 상면부(21)의 상부개구(21a) 및 충전구 커버(25)에 삽입하고 충전구 커버(25)의 상단에서부터 약간 노출되도록 당긴다. 이에 따라, 상부개구(21a)를 통해서 상면부(21)의 위 쪽으로 돌출한 충전구부(31)와, 충전구 커버(25)에 의해, 충전 포트(P1)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안쪽 자루(3)의 하부의 배출구부(32)를, 바깥 자루(2)의 저면부(22)의 하부개구(22a) 및 배출구 커버(26)에 삽입하고 배출구 커버(26)의 하단에서부터 약간 노출되도록 당긴다. 이에 따라, 하부개구(22a)를 통해서 저면부(22)의 아래 쪽으로 돌출한 배출구부(32)와, 배출구 커버(26)에 의해, 배출 포트(P2)가 형성된다.
이어서, 배출 포트(P2)를 닫는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구부(32)의 안쪽에 형성되는 배출로(R2)를 닫도록 배출 포트(P2)를 조인 후, 가늘고 길어진 배출 포트(P2)를 한쪽으로 접는다. 그리고, 접힌 배출 포트(P2)를 바깥쪽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이에 결속구(40)를 강하게 감은 후, 면패스너(42, 43)로 감김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배출 포트(P2)를 더 접고, 접힌 배출 포트(P2)를 덮도록 저면부(22)에 덮개(5)를 설치한다. 이 때, 저면부(22)의 면패스너(52)와, 덮개(5)의 면패스너(51)의 위치를 맞추고, 저면부(22)의 외면에 덮개(5)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하부개구(22a)가 닫히고, 배출 포트(P2)가 덮개(5)의 안쪽에 수용된다. 이상에 따라,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아래쪽 면이 형성되고, 충전 포트(P1)에서부터 내용물을 충전 가능한 플렉시블 컨테이너(1)가 제조된다.
<2-2.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준비된 빈 플렉시블 컨테이너(1)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빈 컨테이너(1)를, 내용물을 공급하는 호퍼 등의 장치(이하, 공급 장치라고 한다)의 아래 쪽에, 상면부(21)가 위를 향하는 태세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바깥 자루(2)의 네 모퉁이의 피걸이구(35b)를 공급 장치의 훅 등의 걸이구에 걸고,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4c)를 느슨하게 하고 화관덮개(24)를 여는 것과 동시에, 안쪽 덮개(4)도 열고, 또한 충전 포트(P1)를 가능한 한 크게 관상으로 연다. 이에 따라, 투입로(R1)가 위 쪽을 향해, 즉, 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향해 크게 열린다. 이어서, 공급 장치의 배출구를 투입로(R1)에 삽입한다. 이어서, 공급 장치의 배출구를 여는 것에 의해, 투입로(R1)를 통해서 안쪽 자루(3) 내로 공급 장치로부터 내용물이 투입된다.
내용물의 충전 후, 충전 포트(P1)를 닫는다. 구체적으로는, 충전구부(31)의 안쪽에 형성되는 투입로(R1)를 닫도록, 충전 포트(P1)를 조인다. 그리고, 가늘고 길어진 충전 포트(P1)를 바깥쪽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여기에 결속구(45)를 강하게 감은 후, 결속구(45)를 묶고 감김 상태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충전 포트(P1)를 접고, 그 위에 안쪽 덮개(4)를 놓고, 화관덮개(24)를 더 닫는다. 이에 따라, 상부개구(21a)가 닫히고 충전 포트(P1)가 화관덮개(24)의 안쪽에 수용된다. 이 때, 화관덮개(24)의 중앙부의 개구(24d)에서부터, 결속구(45)에 고정되어 있는 피걸이구(48)를 바깥쪽으로 당긴다. 이상으로,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가 제조된다.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는, 적당한 보관 장소에 보관되며, 필요에 따라 수송된다. 수송시 등,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이동시킬 때에는, 팰릿에 놓고 이를 지게차 등의 반송장치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훅 등의 걸이구를 가지는 크레인 등의 반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피걸이구(35b)를 반송장치의 걸이구에 건 상태로 반송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2-3.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개봉방법>
다음으로,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개봉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내용물이 들어 있는 컨테이너(1)를, 내용물이 공급되는 호퍼 등의 장치(이하, 피공급장치라고 한다)의 위 쪽에, 저면부(22)가 아래를 향하는 태세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바깥 자루(2)의 네 모퉁이의 피걸이구(35b)를 전용 걸이장치(예를 들면, 호이스트)의 훅 등의 걸이구(7)에 걸고,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다. 또한, 이 때, 충전 포트(P1)에 감겨져 있는 결속구(45)에 고정되어 있는 피걸이구(48)도, 걸이장치의 걸이구(7)에 건다. 그리고, 작업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옆 쪽에 서서, 저면부(22)의 아래 쪽으로 손을 내밀어 덮개(5)를 떼어낸다. 또한, 덮개(5)의 전술한 구성에 의해, 이 때 덮개(5)는 원터치로 떼어낼 수 있다. 덮개(5)를 떼어냄과 동시에, 배출 포트(P2)의 자체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저면부(22)에서부터 결속구(40)로 묶인 상태의 배출 포트(P2)가, 도 2에 나타내듯이 늘어진다.
이어서, 작업자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옆 쪽에 선 채,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아래 쪽으로 손을 내밀어, 늘어진 배출 포트(P2)의 결속구(40)를 푼다. 또한, 결속구(40)의 전술한 구성에 의해, 이 때 결속구(40)는 원터치로 풀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접혀 있었던 배출 포트(P2)는, 자체 무게에 의해 당해 하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직선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배출로(R2)가 아래 방향을 향해, 즉, 피공급장치에 있어서 내용물을 받아들이는 투입구를 향해 크게 열리고, 배출로(R2)를 통해 피공급장치로 내용물이 투입된다.
도 7은, 피걸이구(48)를 걸이구(7)에 걸지 않고, 플렉시블 컨테이너(1)를 걸이구에 의해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및 도 7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도 7의 예에서는, 내용물의 무게로 안쪽 자루(3)가 상면부(21)를 아래 쪽으로 당기기 때문에, 안쪽 자루(3)가 아래 쪽으로 내려간다. 특히, 내용물이 감소하면, 안쪽 자루(3)의 부풂이 사라지고 안쪽 자루(3)가 보다 상하 방향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안쪽 자루(3)의 하단은 더욱더 아래 쪽으로 늘어진다. 이 때, 피공급장치와 컨테이너(1)의 위치관계에 따라서는, 안쪽 자루(3)의 하부가 피공급장치의 투입구를 막고, 내용물의 배출을 방해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듯이, 피걸이구(48)를 걸이구에 거는 것으로, 안쪽 자루(3)의 하단이 일정 이상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의 요지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3-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바깥 자루(2)의 본체부(20)는 각진 관상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원통상으로 할 수도 있다.
<3-2>
개구(21a, 2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이지만, 예를 들면,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개구(21a, 22a)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에 맞춰서 충전구 커버(25), 배출구 커버(26)의 형상도 적절히 동일한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5)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3-3>
결속구(40)의 구성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속구(45)와 마찬가지로 면패스너(42, 43)를 갖지 않는 단순한 끈(41)으로 해도 좋고, 감김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단추(스냅단추를 포함하는)가 부착된 끈(41)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단순한 끈인 경우에는, 결속구(45)와 마찬가지로 나비매듭 등이 실시된다.
또한, 다른 예를 들면, 결속구(40)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고정구(70)로 해도 좋다. 고정구(70)는 1개의 끈(71)과, 끈(71)의 양단이 평행하게 통과되는 슬라이더(72)를 포함한다. 끈(71)과 슬라이더(72)에 의해,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루프에 결속되는 배출 포트(P2)가 삽입된다. 슬라이더(72)는 끈(71, 7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72)에는 끈(71, 71)을 따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재(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부재(73)의 단부에는 끈(7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끈(74)을 당기면 잠금부재(73)가 이동하여 감금이 해제되고, 슬라이더(72)가 끈(7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잠금부재(73)는 슬라이더(72)에서부터 탈락되지 않고, 이에 결합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끈(74)을 더 당겨, 잠금부재(73)를 통해서 슬라이더(72)를 당기면, 끈(71)과 슬라이더(7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루프가 커진다. 그러므로, 배출 포트(P2)에서부터 끈(71)이 탈락되어 결속이 풀린다. 또한, 플렉시블 컨테이너(1)의 개봉시에 결속이 풀린 후, 고정구(70)가 피공급장치 등의 안으로 투입되어 버리는 일이 없도록, 끈(71)은 전술한 결속구(40)와 마찬가지로 바깥 자루(2)에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결속구(45)의 구성도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결속구(45)를 결속구(40)와 동일하게 면패스너가 부착된 끈으로 해도 좋고, 감김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단추(스냅단추를 포함하는)가 부착된 끈(41)으로 해도 좋고,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고정구(70)로 해도 좋다.
또한, 결속구(40, 45) 중 적어도 한쪽은, 각각 충전구 커버(25), 배출구 커버(26)에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바깥 자루(2) 및 안쪽 자루(3)에서부터 독립된 부재로 할 수 있다.
<3-4>
피걸이구(48)는, 결속구(45)가 아닌, 충전구 커버(25), 화관덮개(24), 안쪽 덮개(4) 또는 상면부(21)의 중앙 부근 등, 바깥 자루(2)의 상부의 중앙 부근의 부위에 고정해도 좋다. 이 경우도, 피걸이구(48)를 걸이구에 걸고, 컨테이너(1)를 매달리게 했을 때, 안쪽 자루(3)의 하단이 일정 이상 아래 쪽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5>
덮개(5)를 저면부(22)에 설치하는 방법은, 면패스너를 이용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양자를 단추로 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면부(22) 및 덮개(5) 중 한쪽에 단추를 부착하고, 다른 쪽에 단추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저면부(22) 및 덮개(5) 중 한쪽에 스냅단추의 볼록 부품을 부착하고, 다른 쪽에 오목 부품을 부착할 수도 있다.
<3-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로(R2)를 닫도록 배출 포트(P2)를 조인 후, 가늘고 길어진 배출 포트(P2)를 한쪽으로 접고, 이 접히고 또한 조여진 상태가 결속구(40)에 의해 고정되었다. 그러나, 배출로(R2)를 닫도록 대략 평면 형상의 배출 포트(P2)를 한쪽으로 접은 후, 2중(혹은, 3중 이상)으로 접힌 배출 포트(P2)를 조이고, 이 접히고 또한 조여진 상태를 결속구(40)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혹은, 도 9에 나타내듯이, 배출로(R2)를 닫도록 배출 포트(P2)를 조인 후, 배출 포트(P2)를 접지 않고, 배출 포트(P2)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출 포트(P2)를 결속구(40)에 의해 묶어도 좋다. 그리고, 그 후, 필요에 따라, 배출 포트(P2)를 접은 후, 배출 포트(P2)를 덮개(5)와 저면부(22) 사이에 수납해도 좋다.
1 플렉시블 컨테이너
2 바깥 자루
21 상면부
21a 상부개구
22 저면부
22a 하부개구
25 충전구 커버
26 배출구 커버
3 안쪽 자루
31 충전구부
32 배출구부
40 결속구(제 1 결속구)
42 면패스너
43 면패스너
45 결속구(제 2 결속구)
48 피걸이구
R1 투입로
R2 배출로
5 덮개
51 면패스너
52 면패스너
2 바깥 자루
21 상면부
21a 상부개구
22 저면부
22a 하부개구
25 충전구 커버
26 배출구 커버
3 안쪽 자루
31 충전구부
32 배출구부
40 결속구(제 1 결속구)
42 면패스너
43 면패스너
45 결속구(제 2 결속구)
48 피걸이구
R1 투입로
R2 배출로
5 덮개
51 면패스너
52 면패스너
Claims (15)
- 내용물을 수용(收容)하기 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로,
하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부를 가지는 바깥 자루와,
상기 바깥 자루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전되는 관상(筒狀)의 안쪽 자루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개구를 통해서 상기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는 배출구부를 가지는 안쪽 자루와,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상기 배출구부를 묶는 제 1 결속구와,
상기 배출구부를 덮도록 상기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바깥 자루는, 상기 배출구부를 둘러싸는 배출구 커버를 더 가지며,
상기 배출구 커버는, 상기 하부개구에서부터 상기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저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부는, 상기 배출구 커버의 하단에서부터 노출된 상태로,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조여지고,
상기 제 1 결속구는, 상기 배출구부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출구부를 상기 배출구 커버와 함께 묶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를 덮도록, 상기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부는,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조여진 후, 상기 배출구 커버와 함께 한쪽으로 접히고, 혹은,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상기 배출구 커버와 함께 한쪽으로 접힌 후, 조여지며,
상기 제 1 결속구는,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가 한쪽으로 접히고 또한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를 묶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후, 접힌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를 덮도록, 상기 저면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에서부터 상기 덮개를 떼어내면, 상기 저면부에서부터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태의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가 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저면부에 면패스너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속구는, 면패스너가 부착된 끈형상의 부재인,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속구는, 상기 배출구 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자루는, 상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안쪽 자루는,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투입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서 상기 상면부의 위 쪽으로 연장되는 충전구부를 더 가지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로를 닫도록 상기 충전구부를 묶는 제 2 결속구를 더 구비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자루는, 상기 충전구부를 둘러싸는 충전구 커버를 더 가지며,
상기 충전구 커버는, 상기 상부개구에서부터 상기 상면부의 위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결속구는, 상기 충전구 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속구 또는 상기 바깥 자루의 상부의 중앙 부근의 부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위 쪽에서부터 매달리게 하는 걸이구에 걸 수 있는 피걸이구를 더 구비하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흡수성 수지 입자인, 플렉시블 컨테이너. -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으로,
하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부를 가지는 바깥 자루를 준비하는 단계와,
내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전되는 관상의 안쪽 자루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형성하는 배출구부를 가지는 안쪽 자루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구부가 상기 하부개구를 통해서 상기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바깥 자루 내에 상기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로를 닫도록 상기 배출구부를 조이는 단계와,
제 1 결속구에 의해, 상기 배출구부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출구부를 묶는 단계와,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기 배출구부를 덮도록, 상기 저면부의 바깥쪽에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깥 자루는, 상기 배출구부를 둘러싸는 배출구 커버를 더 가지며,
상기 배출구 커버는, 상기 하부개구에서부터 상기 저면부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저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구부를 상기 하부 개구 및 상기 배출구 커버에 삽입하고, 상기 배출구부가 상기 배출구 커버의 하단에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부를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부를 묶는 단계는, 상기 제 1 결속구에 의해, 상기 배출구 커버와 함께 상기 배출구부를 묶는 단계이며,
상기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를 덮도록, 상기 저면부의 바깥쪽에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인, 제조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자루는, 상부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안쪽 자루는,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투입로를 형성하는 충전구부를 가지며,
상기 바깥 자루 내에 상기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구부가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서 상기 상면부의 위 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바깥 자루 내에 상기 안쪽 자루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으로,
제 13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상기 투입로를 통해서, 상기 안쪽 자루 내에 상기 내용물을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내용물의 충전 후, 상기 투입로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제조 방법. -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의 개봉방법으로,
제 14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내용물이 들어 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를 매달리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저면부에서부터 상기 제 1 결속구로 묶인 상태의 상기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가 늘어지도록, 상기 저면부에서부터 상기 덮개를 떼어내는 단계와,
상기 늘어진 배출구부 및 상기 배출구 커버에서부터 상기 제 1 결속구를 푸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로를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11677 | 2017-11-01 | ||
JPJP-P-2017-211677 | 2017-11-01 | ||
PCT/JP2018/039582 WO2019087908A1 (ja) | 2017-11-01 | 2018-10-25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5842A KR20200075842A (ko) | 2020-06-26 |
KR102649842B1 true KR102649842B1 (ko) | 2024-03-21 |
Family
ID=6633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2772A KR102649842B1 (ko) | 2017-11-01 | 2018-10-25 | 플렉시블 컨테이너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155402A1 (ko) |
EP (1) | EP3705421A4 (ko) |
JP (1) | JP7330105B2 (ko) |
KR (1) | KR102649842B1 (ko) |
CN (1) | CN111247073B (ko) |
BR (1) | BR112020008723A2 (ko) |
CA (1) | CA3080892A1 (ko) |
PH (1) | PH12020550492A1 (ko) |
SG (1) | SG11202003844YA (ko) |
TW (1) | TWI741224B (ko) |
WO (1) | WO20190879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L2020001223A1 (es) * | 2020-05-07 | 2020-11-13 | Lean Switch Ingenieria Spa | Un sistema contenedor multiuso y reciclable para llenado, almacenamiento confinado, manipulacion, transferencia, transporte y descarga de grandes volumenes de material a granel; y metodo asociado. |
CN115231141B (zh) * | 2022-09-21 | 2022-12-27 | 苏州盛曼特新材料有限公司 | 一种电子灌封胶氧化铝原料防水吨装袋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37897A1 (en) * | 1996-04-10 | 1997-10-16 | Seec, Inc. | Reusable flexible transport container |
JP3191096B2 (ja) * | 1997-12-27 | 2001-07-23 | ミラエ コーポレーション | モジュールic用のハンドラーのモジュールic保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3911396Y1 (ko) * | 1962-11-19 | 1964-04-30 | ||
AU510003B2 (en) * | 1977-10-13 | 1980-06-05 | Better Agricultural Goals Corp | Flexible bulk container |
GB2050298B (en) * | 1979-06-08 | 1984-04-04 | Super Sack Mfg Corp | Collapsible receptable with integral sling |
JPS57202987U (ko) * | 1981-06-20 | 1982-12-24 | ||
US4479243A (en) * | 1982-05-07 | 1984-10-23 | Super Sack Manufacturing Corporation | Collapsible receptacle with prefabricated lift loops and method of making |
GB9706017D0 (en) * | 1997-03-22 | 1997-05-07 | Rexam Mulox Ltd | Container bag |
JPH1159782A (ja) * | 1997-08-22 | 1999-03-02 | Nippon Light Metal Co Ltd | 気密性及び耐薬品性に優れた輸送用包装材 |
JP3956002B2 (ja) * | 1997-12-25 | 2007-08-08 | 株式会社石井製作所 | 穀類搬送用容器 |
JP3514980B2 (ja) * | 1998-09-04 | 2004-04-05 | 日本ユニカー株式会社 | コンテナ、コンテナ受入筒蓋、並びに取出・受入方法 |
JP3066896B1 (ja) * | 1999-04-22 | 2000-07-17 | 和歌山精化工業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US6305845B1 (en) * | 2000-02-07 | 2001-10-23 | Grayling Industries, Inc. | Lined bulk bag |
JP2002128186A (ja) * | 2000-10-19 | 2002-05-09 | Okamoto Ind Inc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JP2002337939A (ja) * | 2001-03-16 | 2002-11-27 | Diatex Co Ltd | 物流容器の構造体 |
JP3911396B2 (ja) | 2001-08-01 | 2007-05-09 | サクサ株式会社 | 自動通報装置 |
TW515435U (en) * | 2001-10-09 | 2002-12-21 | Fujimori Ind Co Ltd | Container |
JP2004026202A (ja) | 2002-06-25 | 2004-01-29 | Taiheiyo Consultant:Kk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JP2005022736A (ja) * | 2003-07-02 | 2005-01-27 | Toho Kk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
TWM278462U (en) * | 2005-02-25 | 2005-10-21 | Yung-Ching You | Improvement of wonderful spring ring structure |
JP2007131348A (ja) * | 2005-11-09 | 2007-05-31 | Degussa Japan Kk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ーバック |
JP4904079B2 (ja) * | 2006-05-09 | 2012-03-28 | 日新産商株式会社 | コンテナ容器用内袋とその使用方法 |
KR101057731B1 (ko) * | 2009-11-16 | 2011-08-18 | 고재원 |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
JP2013049444A (ja) * | 2011-08-30 | 2013-03-14 | Diatex Co Ltd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JP3179161U (ja) * | 2012-08-06 | 2012-10-18 | 日豊製袋工業株式会社 | フレコンバッグ |
CN104417965A (zh) * | 2013-09-10 | 2015-03-18 | 宜兴市华福塑料制品有限公司 | 一种拉筋内袋集装袋 |
JP3191096U (ja) | 2014-03-27 | 2014-06-05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JP2016008056A (ja) * | 2014-06-23 | 2016-01-18 | 協全商事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
JP6127027B2 (ja) | 2014-07-31 | 2017-05-10 | 株式会社ホクリョウ | 二重構造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
EP3279107A4 (en) * | 2015-03-30 | 2018-09-26 |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 Packaging bag and packaged product |
CN205418612U (zh) * | 2015-10-30 | 2016-08-03 | 中橡集团炭黑工业研究设计院 | 一种可回用防泄漏包装袋 |
CN205274256U (zh) * | 2016-01-21 | 2016-06-01 | 山东联合包装有限公司 | 一种谷物集装袋 |
AT518328B1 (de) * | 2016-03-15 | 2019-02-15 | Poerner Ingenieurgesellschaft Mbh | Transportbehälter |
CN206172249U (zh) * | 2016-10-27 | 2017-05-17 | 常州商隆产业用纺织品有限公司 | 安全式卸料口防潮型咖啡袋 |
CN106516461A (zh) * | 2016-11-16 | 2017-03-22 | 广西柳州信社包装物品有限公司 | 软包装袋 |
JP3212140U (ja) * | 2017-06-15 | 2017-08-24 | 株式会社日章コーポレーション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内袋 |
-
2018
- 2018-10-25 KR KR1020207012772A patent/KR1026498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0-25 US US16/760,841 patent/US2021015540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10-25 WO PCT/JP2018/039582 patent/WO2019087908A1/ja unknown
- 2018-10-25 JP JP2019551217A patent/JP7330105B2/ja active Active
- 2018-10-25 EP EP18874910.5A patent/EP3705421A4/en active Pending
- 2018-10-25 CN CN201880068784.8A patent/CN111247073B/zh active Active
- 2018-10-25 BR BR112020008723-8A patent/BR112020008723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10-25 CA CA3080892A patent/CA30808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10-25 SG SG11202003844YA patent/SG11202003844YA/en unknown
- 2018-10-29 TW TW107138164A patent/TWI741224B/zh active
-
2020
- 2020-04-24 PH PH12020550492A patent/PH12020550492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37897A1 (en) * | 1996-04-10 | 1997-10-16 | Seec, Inc. | Reusable flexible transport container |
JP3191096B2 (ja) * | 1997-12-27 | 2001-07-23 | ミラエ コーポレーション | モジュールic用のハンドラーのモジュールic保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41224B (zh) | 2021-10-01 |
WO2019087908A1 (ja) | 2019-05-09 |
KR20200075842A (ko) | 2020-06-26 |
TW201922593A (zh) | 2019-06-16 |
EP3705421A1 (en) | 2020-09-09 |
SG11202003844YA (en) | 2020-05-28 |
US20210155402A1 (en) | 2021-05-27 |
JP7330105B2 (ja) | 2023-08-21 |
BR112020008723A2 (pt) | 2020-11-03 |
JPWO2019087908A1 (ja) | 2020-10-01 |
CA3080892A1 (en) | 2019-05-09 |
CN111247073B (zh) | 2022-12-13 |
CN111247073A (zh) | 2020-06-05 |
EP3705421A4 (en) | 2021-06-30 |
PH12020550492A1 (en) | 2021-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05845B1 (en) | Lined bulk bag | |
US4573204A (en) | Slide fastener for flexible bulk container | |
US5484207A (en) | Discharge outlet for a bulk bag utilizing a side entry release | |
KR102649842B1 (ko) | 플렉시블 컨테이너 | |
KR101625405B1 (ko) |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 |
JP4959850B1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 |
US4811419A (en) | Receptacle having improved hopper | |
US20160316897A1 (en) | Portable hammock | |
US8256063B2 (en) | Strap with rigid barbs | |
US10364097B2 (en) | Trash bag securing system | |
GB2081213A (en) | Flexible bulk container | |
US20180141721A1 (en) | Portable bag having improved handling features and improved volumetric characteristics and assembly for use therewith | |
CA2393288A1 (en) | A bag formed in two sections with a bridging portion for resting over a chair | |
JP2016033022A (ja) | 二重構造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 |
CN113260583B (zh) | 柔性容器 | |
GB2468482A (en) | Bag for use on the beach | |
JP3022284U (ja) | 粒体収納袋 | |
JPS6344383Y2 (ko) | ||
JP2977485B2 (ja) | 大型袋体の開閉口装置 | |
JP4323438B2 (ja) | 自動蓋閉じ鞄 | |
JP5369131B2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
JPS6112829B2 (ko) | ||
JP2023059192A (ja) | 留め具 | |
JP2527694Y2 (ja) | コンテナー | |
JPH0811981A (ja) | 調節自在な投入口を有する大型袋の構造体及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