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731B1 -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 Google Patents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731B1
KR101057731B1 KR1020090110075A KR20090110075A KR101057731B1 KR 101057731 B1 KR101057731 B1 KR 101057731B1 KR 1020090110075 A KR1020090110075 A KR 1020090110075A KR 20090110075 A KR20090110075 A KR 20090110075A KR 101057731 B1 KR101057731 B1 KR 101057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ris
stone
attached
reinforced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518A (ko
Inventor
고재원
Original Assignee
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원 filed Critical 고재원
Priority to KR102009011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7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고리가 겹쳐지는 부위에 융통성을 부여하여 광석 또는 콘크리트 파편의 포장량을 늘릴 수 있고,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할 때 적재함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투하구를 봉쇄가 용이한 콘크리트 파편용 마대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상단이 테두리로 보강되는 동시에 윗막이가 부착되고, 한 쌍의 들고리가 나란히 부착되며, 바닥 한복판에 끈으로 동여매어 묶어서 밀봉하는 투하구가 부착된 콘크리트 파편용 마대를 바탕으로 하되, 마대 본체는 바닥을 포함하여 3겹 구조체로 강화하고, 들고리는 2겹으로 강화하되 마대의 상단에 두른 테두리와 마대의 바닥만 재봉하여 주벽에 해당하는 부분이 들뜨게 하며, 투하구의 주벽에 구멍을 뚫어 오므린 굵기를 작게 한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를 특징으로 한다.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3중 주벽, 2중 들고리, 밑덮개, 결착구.

Description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A GUNNY BAG FOR CARRIAGE OF PIECE STONE}
본 발명은 광석이나 건축, 토목 구조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칠고 예리한 석재 조각이나 콘크리트 파편을 수송하기 좋게 담는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 벽돌, 시멘트 블록이나 콘크리트로 지어진 각종 시설물을 철거할 때에는 수없이 많은 불규칙 파편(조각)이 발생한다. 이것을 석재 파편이라고 약칭하자.
석재 파편은 공압을 이용하는 파쇄기로 강하게 두들겨 깬 것으로, 덩어리가 큰 것과 모난 것, 거친 것, 잔 부스러기 등이 뒤섞여 있다.
수송 차량을 이용하여 석재 파편을 재생공장으로 옮기든 가공 공장으로 운반하든 상관없이 일단 차량으로 수송할 때 뒷 차량의 안전운행과 노면의 오염방지를 위해서, 도로의 미관과 공해방지를 위해서, 석재 파편이 도로로 떨어져서는 안 되고 분진이 휘날려서도 안 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이 석재 수납용 마대다.
종래의 석재 포대는 마대와 들줄(손잡이 밴드)이 하나같이 홑겹이며, 마대 상단부에 걸고리 형태로 봉제되어 있다. 홑겹의 마대는 외상에 약해서 쉽게 찢어지고 손상되어 사용수명이 짧으며, 들줄도 쉽게 절단되는 등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여 1회용으로 한정하게 되고, 석재 등과 같은 고중량 제품의 운반용 포대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석재용 마대를 2회 이상 반복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대에 석재 파편을 담을 때나 마대에 담긴 석재 파편을 비울 때에 아주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곡물 마대에 입자 균등한 동종의 곡물을 가득 담으면 마대 전반에 걸쳐 곡물의 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하므로 부위 차 없이 팽만한 상태로 되지만, 석재 및 폐 콘크리트용 마대의 경우는 이와 달리 불규칙한 파편 사이에 남는 공간 때문에, 예리한 부분 때문에 마대에 담긴 형태가 울퉁불퉁하여 보기에 좋지도 않을뿐더러 적재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기 때문에 차량 적재함의 용적당 적재량이 적고, 야적 시에도 더 많은 면적을 점유하기도 한다.
석재와 콘크리트 파편은 입도가 균일하지 않다. 마대의 사우에 둘러 재봉한 들고리와 겹친 마대 부분은 융통성(신축성)이 없다. 콘크리트 파편의 모난 부분이 들고리와 겹쳐진 부위에 닿았을 때 모난 부분을 통해 전해지는 무게감에 상응하는 만큼 겹쳐진 부분이 적당히 늘어나 줘야 그런대로 차곡차곡 수납될 수 있지만, 그 런 융통성이 없으니 마대에 담기는 콘크리트 파편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모든 부위는 두께 방향으로 탄성이 없다. 그래서 콘크리트 파편이 가득 담겨서 울퉁불퉁해진 마대를 수송차량의 적재함에 싣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하차할 때 모난 부분이 적재함에 상처를 입히기 쉬운 점도 아쉽다.
한편, 바닥의 한복판에 형성된 투하구는 단순히 지름이 큰 대롱 모양인 데, 투하구를 오므려뜨리고 끈을 둘러 동여매기가 여의치 않고, 오므려진 투하구의 매듭이 굵어 평탄한 바닥에 내려놓으면 한쪽으로 기우는 좋지 못한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들고리가 겹쳐지는 부위에 융통성을 부여하여 석재나 콘크리트 파편의 포장량을 늘릴 수 있고,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할 때 적재함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투하구를 봉쇄가 용이한 석재 파편용 마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대와 들고리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완하여 파손율을 줄이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무거운 제품의 운반용으로 전용할 수 있는 마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테두리로 보강되는 윗막이가 부착되고, 주벽에는 한 쌍의 들고리가 부착되며, 바닥 한복판에 끈으로 동여매어 묶어서 밀봉하는 투하구가 부착된 석재 파편용 마대를 바탕으로 하되, 마대 본체는 바닥을 포함하여 3겹 구조체로 강화하고, 들고리는 2겹으로 강화하되 마대의 상단에 두른 테두리와 마대의 바닥만 재봉하여 주벽에 해당하는 부분이 들뜨게 하며, 투하구의 주벽에 구멍을 뚫어 오므려뜨린 굵기를 작게 한 콘크리트 파편용 마대를 제안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마대의 주벽에서 들고리가 재봉되지 아니한 부분은 거기에 콘크리트 파편의 모난 부분이 닿아 중압감에 의해 마대의 횡방향으로 마대의 주벽을 밀고 나아가서 자리잡을 수 있는 융통성을 발휘하게 된다. 그래서 그런 융통성이 없는 종래의 마대에 비해 콘크리트 파편을 밀도 높게 담을 수 있다.
석재나 콘크리트 파편의 모난 부분은 마대의 두께에 의해 그 예리함이 상쇄되므로 마대가 보호되고 적재 차량의 적재함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우려도 감소된다.
투하구는 구멍의 크기와 그 수만큼 오므려뜨린 굵기가 작아 끈으로 동여매기가 수월하고, 콘크리트 파편이 가득 담기 상태로 평탄한 바닥에 내려놓으면 마대를 곧추설 정도로 자세가 발라진다.
다중 마대와 들고리는 홑겹으로만 된 종래의 마대에 비해 튼튼하고 인열강도도 향상돼 사용수명이 길어 반복 사용도 가능하다.
도 1에서, 마대의 주벽(1) 상단에는 테두리(2)로 보강되어 있고, 주벽(1)과 테두리(2) 사이에는 홑겹으로 이뤄져서 끈으로 가볍게 동여맬 수 있는 윗막이(3)의 하단이 낀 채로 재봉되어 있다.
마대의 주벽(1)에는 바닥의 저면을 나란히 가로지른 한 쌍의 들고리(4)가 나란히 부착되어 있고, 바닥의 한복판에는 끈으로 동여매서 밀봉하는 투하구(5)도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주벽(1)과 바닥(6)은 3중 구조체이다. 다시 말해 같은 재질의 외피(a)와 내피(b) 사이에 중간피(c)를 넣어 재봉한 것이다. 3중 구조의 마대는 홑겹의 마대에 비해 두툼하고, 두께감이 상당하며, 탄성도 지니게 된다.
주벽(1)과 바닥(6)의 두터움에 콘크리트 파편의 모난 부분이 닿아 예리함이 상쇄되어 무뎌진다. 모난 부분 때문에 튀어나온 주벽(1) 또는 바닥(6)이 외부물체에 접촉하더라도 홑겹일 때처럼 상처를 크게 받는다든지 외부물체가 손상을 입는 일이 대폭 준다.
도 1,3에서, 들고리(4)는 내띠(d)에 외띠(e)를 겹쳐 재봉하여 인장강도를 배증시킨 것이다. 들고리(4)가 튼튼해지니 여러 번 사용해도 헤지거나 끊어지는 일이 없어 개량 마대의 기계적 수명연장에 도움이 된다.
도 1,4에서, 2중으로 된 들고리(4)는 3중 구조의 바닥(6) 밑을 휘돌아 3중 구조의 주벽(1)을 거쳐 가게 부착되어 있는 데, 특이점은 주벽(1)에 대한 들고리(4)의 재봉부가 테두리(2)와 겹친 부분(4a) 및 주벽(1)의 하단(4b)과 바닥면까지 봉재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하부 봉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4c)은 재봉되지 않고 들떠 있게 구성하였다.
이처럼 주벽(1)의 나머지 부분과 겹치는 부분(4c)이 들뜸에 따라 그 영역의 주벽은 융통성을 갖는다. 이 융통성은 그 부분에 콘크리트 파편의 모난 부분이 닿아 중압감에 의해 마대의 단면방향으로 밀고 나아갈 수 있는 여지를 주게 되고, 이에 따라 그 같은 융통성이 없는 종래의 홑겹 마대에 비해서 콘크리트 파편을 밀도 높게 담을 수 있다. 더 많이 담을 수 있다는 것이다.
투하구(5)의 주벽에서 끈(11)으로 묶이는 자리의 위쪽에 복수의 구멍(7)이 뚫려 있다. 이들 구멍(7)은 투하구(5)를 묶으려고 오므려뜨렸을 때 그 굵기를 가늘게 한다. 오므려서 끈으로 묶은 투하구(5)는 가늘수록 콘크리트 파편이 가득 담긴 마대의 바닥(6)이 평탄해질 개연성이 있어서 야적 또는 적재시의 자세안정에 도움이 된다.
투하구(5)의 주위에는 결착구(9)가 부착되어 있고, 투하구(5)를 조금 비껴난 바닥(6)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결착구(9)에 대응하는 결착구(10)가 부착된 밑덮개(8)가 부착되어 있다.
도 5에서, 오므려서 끈으로 동여맨 투하구(5)를 바닥(6)에서 마대의 안쪽으로 밀어 넣고 밑덮개(8)를 올려 씌운 다음에 결착구(9,10)끼리 결착시켜 투하구(5)가 바닥(6) 밑으로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둠으로써 이후 마대에 콘크리트 파편을 가득 담더라도 투하구(5)가 바닥(6) 밑으로 도드라져서 마대의 자세가 불안정하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결착구(9,10)는 통상의 매직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복수의 단추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열강도와 인장강도, 내구성 면에서 2중 들고리가 부착된 3겹짜리 마대에 단겹의 들고리와 홑겹으로 된 마대는 비할 바 못된다. 그만큼 튼튼하고 강하다. 그래서 거칠고 예리한 콘크리트 파편 운반용 마대의 사용수명이 길어 반복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파편용 마대의 부분절개 펼침도
도 2는 마대의 주벽과 바닥의 부분 단면 확대도
도 3은 들고리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파편용 마대의 부분절개 펼침도
도 5는 윗막이와 투하구를 끈으로 동여매고, 밑덮개로 투하구를 보호한 경우의 단면도
도6은 들고리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주벽
2: 테두리
4: 들고리
5: 투하구
6: 바닥
7: 구멍
8: 밑덮개
9,10: 결착구

Claims (2)

  1. 주벽(1)의 상단에 윗막이(3)가 부착되고, 한 쌍의 들고리(4)가 주벽(1)에 나란히 부착되며, 바닥(6)의 한복판에는 끈으로 동여매서 밀봉하는 투하구(5)가 부착된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에 있어서,
    상기 주벽 및 바닥(6)은 상단이 테두리(2)로 보강되고 내피(a)와 외피(b) 및 중간피(c)로 이뤄지는 3겹 구조체로 형성하고,
    상기 들고리(4)는 내띠(d)에 외띠(e)를 겹쳐서 재봉하고, 테두리(2)와 주벽(1)의 하단부와 겹치는 부분(4a,4b)만 재봉하고 주벽(1)의 나머지 부분과 겹치는 부분(4c)은 재봉하지 않은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투하구(5)는 주벽에 복수의 구멍(7)이 뚫린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2. 삭제
KR1020090110075A 2009-11-16 2009-11-16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KR101057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075A KR101057731B1 (ko) 2009-11-16 2009-11-16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075A KR101057731B1 (ko) 2009-11-16 2009-11-16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518A KR20110053518A (ko) 2011-05-24
KR101057731B1 true KR101057731B1 (ko) 2011-08-18

Family

ID=4436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075A KR101057731B1 (ko) 2009-11-16 2009-11-16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13A (ko) * 2014-08-2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113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US20210155402A1 (en) * 2017-11-01 2021-05-2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Flexible container
KR102024509B1 (ko) 2018-12-10 2019-09-24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폐석 운반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855A (ja) 2005-03-14 2006-09-21 Toshiaki Shirota コンクリート原料およびコンクリート原料の輸送袋
KR100913853B1 (ko) 2007-08-03 2009-08-2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855A (ja) 2005-03-14 2006-09-21 Toshiaki Shirota コンクリート原料およびコンクリート原料の輸送袋
KR100913853B1 (ko) 2007-08-03 2009-08-2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13A (ko) * 2014-08-2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KR101646339B1 (ko) * 2014-08-27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518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796A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KR101057731B1 (ko)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US4224970A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US4759473A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US5547331A (en) Method for loading bulk material into a cargo container with an aeration/vacuum liner pad system
US8794833B2 (en) Two-handled bag
US9388022B2 (en) Soft-sided container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oft-sided containers
US4092051A (en) Multi-purpose freight vehicle
JP4221387B2 (ja) コンクリート原料およびコンクリート原料の輸送袋
CN104661929B (zh) 用于将散装物料包装在柔性集装箱中的方法
AU2013101620A4 (en) Materials Handling Bag, Bag System and Method of Materials Handling using a Bag or Bag System.
AU2002213503A1 (en)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EP1332096A1 (en)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KR20130048460A (ko) 석재파편 운반용 마대
KR102024509B1 (ko) 폐석 운반구
GB2429198A (en) Lifting sleeves of a bulk bag
CA1158574A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US20200047923A1 (en) Soft-sided bulk material containers with hold-ins
JP2004084183A (ja)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JPS593966Y2 (ja) 粉粒物の荷役用袋
JPH07268855A (ja) 軟弱地盤等の締固め工法及び締固め用水袋
CN114212392B (zh) 一种双层集装袋
CN2428419Y (zh) 电石包装袋
JP2000168884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3920903B1 (ja) 拘束補強材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