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339B1 -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339B1
KR101646339B1 KR1020140112115A KR20140112115A KR101646339B1 KR 101646339 B1 KR101646339 B1 KR 101646339B1 KR 1020140112115 A KR1020140112115 A KR 1020140112115A KR 20140112115 A KR20140112115 A KR 20140112115A KR 101646339 B1 KR101646339 B1 KR 10164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container body
outlet
inlet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213A (ko
Inventor
류현곤
김지형
윤준철
최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분사 철계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입구부와 출구부를 갖는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몸체부와;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묶어 밀폐하는 밀폐부; 및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에 양측단이 고정되며,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IRON-BASED POWDER PACKING MATERIALS}
본 발명은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계 분말을 안전하게 보관 및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계분말은 입자 크기가 작고 비중이 높아 일반적인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로 포장할 경우 내피와 외피의 결합부분이 철계분말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찢어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FIBC는 원통형으로 설계되어 철계분말 충진 후 볼록한 형태에 외관을 나타내고 이송 등의 취급 시 부딪히거나 찢겨질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FIBC 포장공정은 외부 대기나 습기를 차단하거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는 밀폐형 내피 재질선택 및 동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포장 제품 취급 시 미세 분말이 새거나 유출될 수 있다.
이는 포장 제품에 대한 변질 및 부패 가능성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려 철계분말 제품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30793호(공개일 : 2011년 03월 24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계 분말을 안전하게 보관 및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계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포장 용기 몸체의 형상이 과도하게 변형됨을 방지하여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분사 철계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입구부와 출구부를 갖는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몸체부와;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묶어 밀폐하는 밀폐부; 및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에 양측단이 고정되며,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는, 서로 겹쳐서 배치되는 다중의 포장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의 포장재는, 상기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입구부와, 내측 출구부를 갖는 내측 포장재와, 상기 내측 포장재의 외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외측 입구부와, 외측 출구부를 갖는 외측 포장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포장재는, 폴리 에틸렌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포장재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포장재의 부피는, 상기 외측 포장재의 부피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입구부와, 상기 외측 입구부는 박음질을 통해 서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 출구부와, 상기 외측 출구부는 박음질을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출구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포장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포장재의 일단은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부에 고정되 고, 상기 커버 포장재의 타단은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 타측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 몸체부를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철계 분말을 저장하여 이송하는 경우, 일측으로 볼록하게 치우쳐 지지 않도록 하여 포장재 자체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철계 분말을 안전하게 보관 및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철계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포장 용기 몸체의 형상이 과도하게 변형됨을 방지하여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는 크게 포장 용기 몸체부(100)와, 밀폐부(200)와, 커버부(300)로 구성된다.
포장 용기 몸체부(100)
본 발명에 따르는 포장 용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저장 공간(100a)이 형성된다.
저장 공간(100a)의 상단에는 철계 분말이 유입되는 입구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저장 공간(100a)의 하단에는 철계 분말을 배출하는 출구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100)는 다중의 포장재로 형성된다.
상기 다중의 포장재는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중의 포장재는 외측 포장재(120)와, 내측 포장재(11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포장재(110)는 폴리 에틸렌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포장재(110)는 내측 입구부(111)와, 내측 출구부(112)를 갖고, 내부에 상기 저장 공간(100a)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포장재(120)는 내측 포장재(110)를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측 포장재(120)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 포장재(120)는 외측 입구부(121)와, 외측 출구부(12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입구부(121)는 내측 입구부(111)를 에워싸고, 외측 출구부(122)는 내측 출구부(111)를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외측 포장재(120)의 두께는 내측 포장재(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내측 포장재(110)의 부피는 외측 포장재(120)의 부피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 입구부(111)와, 상기 외측 입구부(121)는 박음질(G)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내측 출구부(112)와, 상기 외측 출구부(122)는 박음질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밀폐부(200)
상기 밀폐부(200)는 입구부 및 출구부 각각에 형성되며, 입구부와 출구부를 묶어 저장 공간(100a)을 밀폐한다.
상기 밀폐부(200)는 상측 묶음끈(210)과, 하측 묶음끈(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묶음끈(210)은 외측 입구부(121)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하측 묶음끈(220)은 외측 출구부(122)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측 묶음끈(210)을 사용하여 입구부를 묶고, 하측 묶음끈(220)을 사용하여 출구부를 묶어 저장 공간(100a)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포장재(120)의 상단측 사각 모서리부에는 크레인에 설치되는 이송 고리에 걸릴 수 있는 다수의 이송 고리(130)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이송 고리(130)는 외측 포장재(120)의 사각 모서리부에 박음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포장재(120)의 외면에는 내측 포장재(110)와의 사이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폐부(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커버부(3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커버부(300)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00)는 중앙에 상기 출구부가 관통되는 관통홀(310a)이 형성되는 커버 포장재(310)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포장재(310)의 일단은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100)의 하단 일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은 박음질(G)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포장재(310)의 타단은 외측 포장재(120)의 하단 타측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커버 포장재(310)의 타단에는 커버측 묶음끈(311)이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 포장재(120)의 하단 타측부에는 커버측 묶음끈(311)이 묶어질 수 있는 묶음 고리(312)가 다수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하측 묶음끈(220)을 통해, 출구부를 묶을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출구부(122)와 내측 출구부(112)는 서로 박음질이 된 상태로 묶여져 밀폐될 수 있다.
이어, 저장 공간(100a)에는 소정의 양의 수분사 철계 분말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장 용기 몸체부(100)의 테두리가 사각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수분사 철계 분말이 저장 공간에 저장되면서, 일측으로 볼록하게 치우쳐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되는 철계 분말이 일측으로 치우쳐 짐으로써, 내측 또는 외측 포장재(110,12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 공간(100a)에 수분사 철계 분말이 모두 저장되면, 입구부는 상측 묶음끈(210)을 통해 묶여지고, 외측 입구부(121)와 내측 입구부(111)는 서로 박음질(G)이 된 상태로 묶여 저장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 포장재(110)의 부피 또는 사이즈를 외측 포장재(120)의 부피 또는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저장 공간(100a)에 저장되는 철계 분말의 하중이 내측 포장재(110)에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내측 포장재(110)와 외측 포장재(120)는 입구부 및 출구부에서 박음질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철계 분말을 하방의 출구부를 통해 배출하는 경우, 내측 포장재(110)가 외측 포장재(120)의 외측 출구부를 따라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입구부에서 2단 묶음 방법을 통해 밀폐한다.
1단 묶음은 입구부를 말아서 케이블 타이 또는 클립, 클램프 등으로 내측 및 외측 입구부를 묶어 고정한다.
2단 묶음은, 다수의 이송 고리를 지게차의 고정 고리에 걸치도록 통과시킨 후, 입구부 끝부분을 묶어서 마감한다.
번수 (D)
KS K 0415:2011 A법
밀도 (올/5cm)
KS K 0511:2009 A법
인장강도 (N/5cm)
KS K 0521:2011 스트립법
인장신도 (%)
KS K 0521:2011 A법
경사 위사 경사 위사 경사 위사 경사 위사
1600 이상 25 이상 2200 이상 19 이상 14 이상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포장 용기 몸체부는 기계적 강도를 갖기 위해, 표 1과 같은 특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포장 용기 몸체부를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철계 분말을 저장하여 이송하는 경우, 일측으로 볼록하게 치우쳐 지지 않도록 하여 포장재 자체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철계 분말을 안전하게 보관 및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철계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포장 용기 몸체의 형상이 과도하게 변형됨을 방지하여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철계분말 포장 시 포장재 외피와 내피의 결합력을 강화한 설계 및 포장제품 취급 시 용이한 외관 설계, 대기접촉과 변질 및 부패 가능성을 줄이도록 상하부 2단계 동봉 방법을 적용한 포장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포장 용기 몸체부
100a : 저장 공간
110 : 내측 포장재
111 : 내측 입구부
112 : 내측 출구부
120 : 외측 포장재
121 : 외측 입구부
122 : 외측 출구부
200 : 밀폐부
210 : 상측 묶음끈
220 : 하측 묶음끈
300 : 커버부
310 : 커버 포장재
311 : 커버측 묶음끈
312 : 묶음 고리

Claims (7)

  1. 내부에 수분사 철계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고, 입구부와 출구부를 갖는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몸체부;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묶어 밀폐하는 밀폐부; 및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에 양측단이 고정되며,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출구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포장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포장재의 일단은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 포장재의 타단은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의 하단 타측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는,
    서로 겹쳐서 배치되는 다중의 포장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의 포장재는,
    상기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입구부와, 내측 출구부를 갖는 내측 포장재와,
    상기 내측 포장재의 외측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외측 입구부와, 외측 출구부를 갖는 외측 포장재를 구비하되,
    상기 내측 포장재는, 폴리 에틸렌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포장재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포장재의 부피는,
    상기 외측 포장재의 부피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입구부와, 상기 외측 입구부는 박음질을 통해 서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 출구부와, 상기 외측 출구부는 박음질을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 몸체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7. 삭제
KR1020140112115A 2014-08-27 2014-08-27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KR10164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115A KR101646339B1 (ko) 2014-08-27 2014-08-27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115A KR101646339B1 (ko) 2014-08-27 2014-08-27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213A KR20160025213A (ko) 2016-03-08
KR101646339B1 true KR101646339B1 (ko) 2016-08-05

Family

ID=5553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115A KR101646339B1 (ko) 2014-08-27 2014-08-27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94A (ko) * 2017-12-19 2019-06-27 손상민 개폐 가능한 톤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736A (ja) * 2003-07-02 2005-01-27 Toho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0441602Y1 (ko) * 2007-05-18 2008-08-27 동양산업 주식회사 비닐로 된 내피가 외피와 일체화되어 있는 대용량 포대
KR101057731B1 (ko) * 2009-11-16 2011-08-18 고재원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736A (ja) * 2003-07-02 2005-01-27 Toho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0441602Y1 (ko) * 2007-05-18 2008-08-27 동양산업 주식회사 비닐로 된 내피가 외피와 일체화되어 있는 대용량 포대
KR101057731B1 (ko) * 2009-11-16 2011-08-18 고재원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94A (ko) * 2017-12-19 2019-06-27 손상민 개폐 가능한 톤백
KR101994349B1 (ko) 2017-12-19 2019-06-28 손상민 개폐 가능한 톤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213A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311B1 (ko) 완충기능이 있는 포장백
EP0983948A1 (en) A container, a container receiving sleeve cap, and a process of unloading and receiving material contained within the container
US11072490B2 (en) Packaging assembly for the transport and storing of roasted coffee and method for packaging roasted coffee beans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JP5294822B2 (ja) 保冷性運搬容器
MXPA04010471A (es) Fardo de estopa de filtro altamente comprimid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l mismo.
KR101646339B1 (ko)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AU2015299917A1 (en) Container bag
KR101303847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JP5937602B2 (ja) 輸送中の少なくとも1つの梱包品を保護するための外側梱包
KR101214121B1 (ko)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KR101393619B1 (ko) 배출구가 이중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백용 내피 및 그를 포함한 컨테이너 백
AU2014200708A1 (en) Lined Bag
KR102174077B1 (ko) 포장 상자 어셈블리
US9422078B2 (en) Transport packaging
KR101907815B1 (ko) 폴리실리콘 포장 및 폴리실리콘 포장 방법
KR200454669Y1 (ko) 재사용 가능한 팰릿커버
KR101361004B1 (ko) 포장외피 일체형 완충용 포장팩
AU2013201046A1 (en) Gusseted Bag
JP5542455B2 (ja) 梱包装置
US20240182194A1 (en) Bag packing methods and systems
EP3353089B1 (en) Packaging assembly for the transport and storing of roasted coffee and method for packaging roasted coffee beans
KR101037598B1 (ko) 컨테이너 라이너
RU2256593C2 (ru) Гибкий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