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704B1 -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704B1
KR102006704B1 KR1020190001732A KR20190001732A KR102006704B1 KR 102006704 B1 KR102006704 B1 KR 102006704B1 KR 1020190001732 A KR1020190001732 A KR 1020190001732A KR 20190001732 A KR20190001732 A KR 20190001732A KR 102006704 B1 KR102006704 B1 KR 10200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bulk cargo
container bag
main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강
Priority to KR102019000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백 및 이 컨테이너 백에 이용되는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백은,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단면에는 벌크 화물의 주입구, 하단면에는 벌크 화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외표면이 백 본체의 내표면과 맞닿아서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벌크 화물의 주입구, 하면에는 벌크 화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인 라이너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라이너에는 4개의 측면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보강재가 마련되며, 각각의 보강재는 라이너의 상하로 연장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폭방향 일 단부가 라이너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과 인접한 다른 측면에 접합되며, 라이너의 측면에서 보강재가 접합되는 위치는 라이너의 모서리로부터 각각의 측벽의 폭방향 중심쪽으로 이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A Container Bag and a Liner for the Container Bag}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분말이나 팰릿 형태의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백 및 이 컨테이너 백에 사용하는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곡물이나 팰릿 또는 파우더 형태의 합성수지나 기타 물질들(이하, '벌크 화물')을 컨테이너를 통하여 운송하는 경우에는, 운송 작업의 편의성 및 오염 물질의 차단을 위하여, 벌크 화물을 컨테이너에 직접 담기보다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백(이하, '컨테이너 백')에 담아서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직육면체이고, 컨테이너 백의 본체는 통상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직물로 만들어지지만, 벌크 화물을 수용하였을 때에 직육면체가 되도록 4개의 측면과 상단면 및 하단면이 구분되도록 재단 및 봉재를 하여 형성한다.
또한, 운송 중에 컨테이너 백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통상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하는 라이너을 백의 본체 내부에 배치하고 벌크 화물이 라이너에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벌크 화물을 수용하였을 때에 라이너의 외표면이 백 본체의 내표면과 맞닿게 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며, 라이너와 백 본체의 상단면에는 벌크 화물을 투입하는 주입구가 마련되고, 하단면에는 운송된 벌크 화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라이너와 백 본체 모두 유연성의 소재로 형성되므로 백 본체가 직육면체가 되도록 재단 및 봉재를 하여도 벌크 화물의 중량에 의해 컨테이너 백의 측면이 폭방향 중심측에서 부풀어 돌출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벌크 화물을 수용한 후에 컨테이너에 적재할 때에 컨테이너 백의 측면이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 밀착되지 못하고, 컨테이너 백 상호 간의 적층이 밀집된 적재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가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 특허 제1556495호(문헌 1)은 '모서리 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 백'이라는 명칭의 발명을 개시한다. 문헌 1의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평단면 원형의 내피에 모서리에 포대를 덧대어 형성하는 모서리공간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의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는 백 본체에 수용되는 라이너로서의 내부 부재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4곳에 모서리 공간부라고 명명하는 별도의 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형성하여, 화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중심의 원형의 공간은 측면이 부풀지 않고 둘레에 마련되는 모서리 공간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문헌 1의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여러 부재를 복잡한 형상으로 절단 및 봉재하여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곤란하고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벌크 화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다중 구조로 인하여 빈 컨테이너 백의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도 있다.
한국 특허 제1144432호(문헌 2)에서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이라는 명칭의 발명을 개시한다.
문헌 2의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백에서 라이너로서의 내부 부재가 외피와 내피의 이중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에서는, 내피와 외피는 서로 접합되지만 각 모서리에서는 서로 접합되지 않고 내피가 격벽이 되어서 내피와 외피 사이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문헌 2의 기재에 따르면, 이러한 구성에서 공간부는 내부 부재의 측벽이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지나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용물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고, 라이너가 내피와 외피를 접합하여 이중으로 형성됨으로써 라이너의 강성이 보강되어 라이너 측벽의 지나친 팽창이 방지된다.
결국, 문헌 2의 발명에서는 라이너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모서리에 별도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통하여 컨테이너 백의 측면이 폭방향 중심측에서 부풀어 돌출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라이너를 2매의 소재를 접합하여 형성하므로, 소재가 많이 소요되고 제조 과정이 복잡하여 컨테이너 백의 제조 원가 상승하고, 특히 이중으로 제조된 라이너의 강성이 증대하여 이를 컨테이너 백 본체에 삽입하는 작업을 어렵게 한다.
또한, 라이너는 유연성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라이너를 이중으로 제작한다고 하여도 컨테이너 백의 측벽의 부풀음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는 미미할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특허 제1556495호(문헌 1) 대한민국 특허 제1144432호(문헌 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벌크 화물을 수용하였을 때에 수용한 벌크 화물의 중량에 의해 측벽의 부풀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의 컨테이너 백 및 이 컨테이너 백에 이용되는 라이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통상의 컨테이너 백의 구조, 특히 라이너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는 일이 없고 추가되는 구성을 최소한의 작업으로 부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컨테이너 백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에 의해 측벽의 부풀음이 최소화할 수있는 구성의 컨테이너 백 및 라이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너의 제조에 있어서 소요되는 합성수지 필름을 최소화하고 그 제조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컨테이너 백 및 라이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컨테이버 백에 수요되는 벌크 화물의 오염이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의 컨테이너 백 및 라이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 및 이 컨테이너 백에 이용되는 라이너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단면에는 벌크 화물의 주입구, 하단면에는 벌크 화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외표면이 백 본체의 내표면과 맞닿아서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벌크 화물의 주입구, 하면에는 벌크 화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인 라이너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라이너에는 4개의 측면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보강재가 마련되며, 각각의 보강재는 라이너의 상하로 연장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폭방향 일 단부가 라이너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과 인접한 다른 측면에 접합되며, 라이너의 측면에서 보강재가 접합되는 위치는 라이너의 모서리로부터 각각의 측벽의 폭방향 중심쪽으로 이격되며, 라이너의 상면에는 라이너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 포트가 마련되고, 공기 배출 포트의 입구는 백 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라이너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의 하중에 의해 라이너와 본체를 측면이 부풀어지는 힘을 받게 되지만, 이러한 힘은 라이너의 인접하는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재의 폭방향의 인장력으로 작용하여 보강재에 의해 라이너와 본체의 측면이 부풀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이 억제된다.
또한, 라이너의 내부 공간에 벌크 화물을 수용한 후에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빼냄으로써, 내부 공간에 수용된 벌크 화물이 잔류 공기에 의해 변질되는 일이 억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 구성으로서, 각각의 보강재에는 라이너의 측면에의 접합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 라이너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구멍에 의해 보강재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라이너의 내부 공간이 분할되지 않고 벌크 화물이 라이너의 전체 내부 공간에 원할히 충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라이너는 1매의 합성수지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서로 융착하여 4개의 측면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의 상단 및 하단으로 연장되는 필름 부분을 서로 인접하는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서로 융착하여 각각 상면과 주입구 및 하면과 배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라이너는 1매의 합성수지 필름을 재단 및 서로 융착하여 형성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라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본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본체(10)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컨테이너 백이 수용하는 벌크 화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도 3의 1, 2)을 갖춘 라이너(2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중 직조한 합성수지 직물을 4개의 측면(12)과 상면(11) 및 하면(13)이 구분되도록 재단 및 봉재를 하여 대체로 직육면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본체(10)를 직육면체로 도시하고 본 명세서 전반에서 직육면체로 설명하지만, 본체(10)는 합성수지 직물로 형성하여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조 상태에서는 직육면체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고,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벌크 화물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직육면체가 된다.
본체의 상면(11)에는 컨테이너 백에 벌크 화물을 투입하는 주입구(16)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입구(16)는 별도의 합성수지 직물 소재로 형성되어 상면(11)에 봉재로 부착되어 있다.
주입구(16)의 하단과 상면(11) 사이에는 둘레 부재(14)를 덧대고 둘레 부재(14)에는 조임끈(15)이 삽입되어 있다. 조임끈(15)을 조임으로써 주입구(16)가 폐쇄되어 컨테이너 백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본체(10)의 하면(13)에는 컨테이너 백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을 최종 운송처에서 배출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배출구는 주입구(16)와 같은 구성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 측면(12)의 상측으로는 서로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서 연결되는 운반용 띠(17)가 부착되어 있다. 운반용 띠(17)는 컨테이너 백을 운반할 때에 이용된다.
본체(10)의 상면에는 공기 배출 포트(29)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 공기 배출 포트(29)는 라이너(도 2의 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컨테이너 백에 벌크 화물을 수용하고 본체(10)와 라이너(20)를 폐쇄한 후에, 이 공기 배출 포트(29)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라이너(20)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으로써, 라이너(20)의 내부에서 벌크 화물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한 화물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벌크 화물의 밀집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라이너(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라이너(20)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그 외표면에 본체의 내표면에 밀착되는 것이므로, 본체와 마찬가지로 벌크 화물을 수용하였을 때에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것이고, 도면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직육면체로 도시하고 있다.
라이너(20)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재단하고 초음파 융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여 형성한다.
라이너(20)는 본체(10)와 마찬가지로 4개의 측면(21) 및 상면(22)와 하면(26)을 갖추고 있으며, 1매의 필름을 소재로 하여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서로 융착함으로써 4개의 측면들(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필름 부분을 서로 인접하는 필름 부분끼리 폭방향 단부를 융착함으로써 상면(22) 및 하면(26)을 형성하고 있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23은 필름 부분이 서로 접합된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상면(22)의 종단부는 서로 접합되지 않고 개구된 주입구(24)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면(26)의 종단부는 배출구(27)를 형성한다. 배출구(27)는 대체로 주입구(24)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 화물의 수용하여 운반되는 중에는 본체(10)의 배출구와 함께 접혀서 하면(26)에 포개진 상태로 되어 있다.
라이너(20)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하여 컨테이너 백을 조립할 때에, 라이너의 주입구(24)는 본체의 주입구(16)와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벌크 화물이 투입된 후에 본체의 조임끈(15)을 조임으로써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배출구(27) 역시 라이너와 본체의 조립 상태에서 본체의 배출구(미도시)와 중첩되어 도 2의 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본체 하면(13)에 배치되는 조임끈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라이너(20)의 내부에는 4개의 보강재(30)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재(30)는 라이너(20)와 마찬가지로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일정한 폭을 가지고 라이너(20) 내부의 공간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보강재(30)는 라이너(20)의 하나의 측면(21)과 그 측면에 인접한 측면(21)에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인접한 측면(21)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보강재(30)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로서, 벌크 화물을 수용하는 상태에서 서로 수직한 관계를 이루는 서로 인접하는 측면(21) 사이를 연결하되, 폭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측면(21)의 모서리와 중심 사이에 보강재(30)와 라이너(20) 사이의 접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30)의 내부는 벌크 화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 2)를 이루는데, 라이너(20) 및 본체(10) 모두 유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벌크 화물의 하중이 수용 공간(1. 2)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4는 보강재(30)를 갖추지 않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횡단면을 나타내는데, 벌크 화물의 하중에 따른 힘은 컨테이너 백의 측면(12, 21)을 외측으로 부풀게 만든다. 특히, 도 4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측면의 폭방향의 중심이 더 부풀어져 컨테이버 백의 횡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형태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는 각각의 보강재(30)가 라이너의 측면(21) 사이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측면(21)에 접합된 접합부(31) 사이의 길이가 보강재(30)를 이루는 소재의 탄성에 따른 신장 이상으로는 늘어나지 않게 되므로, 보강재(30)가 폭방향으로 인장력(화살표 F)을 지지함으로써 측면(21)이 벌크 화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부푸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도 3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의 접합부(31) 사이 및 모서리와의 사이가 약간 부풀어 오르는 정도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보강재(30)에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2)은 보강재(30)의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관통 구멍(32)은 보강재의 접합부(3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30)의 4개의 모서리의 공간(2)이 보강재(30)에 의해 내측의 공간(1)과 분리되지만, 관통 구멍(32)에 의해 서로 통하게 되고, 주입구(24)로부터 투입되는 벌크 화물은 관통 구멍(32)을 통하여 모서리의 공간(2)도 채우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에서 보강재(30')는 라이너의 측면(21)의 폭방향 중심에서 서로 중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라이너의 측면(21)에 접합되어 있고, 관통 구멍(32')은 폭방향으로 2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30)는 라이너의 서로 인접하는 측면(21)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이면 되고, 라이너(20)의 측면에 접합되는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라이너(20)에는 라이너의 내부 공간(1, 2)으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공기 배출 포트(29)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본체(10)의 내부에 라이너(20)가 배치되어 라이너의 외표면이 본체의 내표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공기 배출 포트(29)는 각각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는 공기 흡입구(291)와 덮개(294)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 흡입구(291)는 원통형의 측벽(293)이 라이너(20)의 내외부로 공기가 통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측벽(293)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92)가 형성되어 있어서, 플랜지(292)가 라이너(20)의 내표면에 맞닿아 초음파 융착이나 열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공기 흡입구(291)를 라이너(20)에 결합시키고 있다.
플랜지(292)의 하면에는 망(29)이 부착되어 있어서, 공기 흡입구(291)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에 라이너 내부 공간(1)에 수용되어 있는 벌크 화물이 함께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컨테이너 백에 벌크 화물을 투입환 후에, 공기 흡입구(291)를 통하여 라이너의 내부 공간(1, 2)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덮개(294)를 측벽(293)에 끼워 넣어서 공기 흡입구(29)를 폐쇄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체(10)와 라이너(20)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백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체(10)와 라이너(20)를 각각 마련한 후에, 라이너(20)를 본체(10)에 내부에 삽입하되, 라이너의 주입구(24)와 배출구(27)는 각각 본체의 주입구(16)와 배출구(미도시)를 통하여 돌출되게 하여 중첩시킨다.
이와 같이 준비된 컨테이너 백에 벌크 화물을 담기 전까지는 라이너(20)의 내부 공간(1, 2)이 오염되지 않도록 조임끈(15)을 조여서 내부를 밀폐한다. 라이너(20)의 배출구(27)는 라이너의 제조시에 선단을 융착하여 밀폐하고, 컨테니어 백으로부터 벌크 화물을 배출할 때에 절단하여 개방되도록 한다.
컨테이너 백에 벌크 화물을 담을 때에는 조임끈(15)을 풀고 라이너의 주입구(24)가 상측을 향하게 한 후에 주입구를 통하여 벌크 화물을 투입한다.
벌크 화물이 라이너의 내부 공간(1, 2)을 채우면, 벌크 화물의 하중에 의해 라이너(20)와 본체(10)는 측면(12, 21)을 외측으로 부풀게 하는 힘이 작용하고, 그러한 힘은 라이너의 측면(21)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재(30)을 인장시키는 힘(도 3의 F)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힘을 보강재(30)가 지탱함으로써 라이너(20)와 본체(10)의 측면(12, 21)이 외측으로 부푸는 현상이 억제되어 컨테이너 백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벌크 화물이 컨테이너 백을 채운 후에, 조임끈(15)을 죄어 본체와 라이너의 주입구(16, 24)를 밀폐한다. 이어서, 공기 흡입구(291)로부터 덮개(294)를 개방한 후에 진공 펌프(미도시)로 라이너의 내부 공간(1, 2)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고 다시 덮개(294)로 공기 흡입구(291)를 밀폐한다.
벌크 화물이 수용된 컨테이너 백이 사용처로 운반되면, 배출구(27)로부터 벌크 화물을 배출한다. 본체와 라이너의 배출구가 하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조임끈(미도시)를 풀고 라이너 배출구(27)의 선단을 절단하면, 라이너의 내부 공간(1, 2)으로부터 벌크 화물이 자중에 의해 배출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 직물제의 본체가 마련되고 보강재가 측면을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라이너를 본체의 내부에 배치하는 구성의 컨테이너 백을 설명하였지만, 컨테이너 백의 용도에 따라서는 본 실시예와 같은 별도의 라이너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라이너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오염물의 침투를 막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컨테이너 백으로 수용하여 운반하려는 벌크 화물이 오염에 민감하지 않은 물질인 경우에는 별도의 라이너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한 용도의 컨테이너 백의 경우에는, 보강재(30)를 본체(10)에 바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강재(30)는 본체와 같은 합성수지 직물로 형성하고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의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본체의 4개의 측면을 서로 직접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보강재의 폭 방향의 일측의 단부가 본체의 어느 하나의 측면(12)에 융착 또는 봉재에 의해 접합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인접한 다른 측면에 접합되어 접합부(31)를 형성한다. 접합부(31)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본체의 측면(12)에서 모서리로부터 폭방향 중심쪽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라이너를 갖지 않는 구성의 컨테이너 백에서도 각각의 보강재에는 본체의 측면에의 접합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 본체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백을 형성하고, 본체의 주입구(16)를 통하여 본체(10) 내부의 공간에 벌크 화물을 투입하면, 본체의 측면(12)이 부풀어지게 하는 벌크 화물의 하중에 의한 힘을 보강재가 지지함으로써 본체(10)의 측면이 부풀어오르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 변형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10: 본체 15: 조임끈
16: 주입구 17: 운반용 띠
20: 라이너 24: 주입구
27: 배출구 29: 공기 배출 포트

Claims (9)

  1.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컨테이너 백으로서,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단면에는 벌크 화물의 주입구, 하단면에는 벌크 화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벌크 화물을 수용하여 외표면이 백 본체의 내표면과 맞닿아서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벌크 화물의 주입구, 하면에는 벌크 화물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인 라이너
    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라이너에는 4개의 측면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보강재가 마련되며,
    각각의 보강재는 라이너의 상하로 연장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폭방향 일 단부가 라이너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접합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과 인접한 다른 측면에 접합되며,
    라이너의 측면에서 보강재가 접합되는 위치는 라이너의 모서리로부터 각각의 측벽의 폭방향 중심쪽으로 이격되고,
    라이너의 상면에는 라이너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 포트가 마련되고, 공기 배출 포트의 입구는 백 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인, 컨테이너 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보강재에는 라이너의 측면에의 접합된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 라이너에 수용되는 벌크 화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컨테이너 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재는 라이너와 동종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컨테이너 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라이너는 1매의 합성수지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서로 융착하여 4개의 측면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의 상단 및 하단으로 연장되는 필름 부분을 서로 인접하는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서로 융착하여 각각 상면과 주입구 및 하면과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인, 컨테이너 백.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01732A 2019-01-07 2019-01-07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KR10200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32A KR102006704B1 (ko) 2019-01-07 2019-01-07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32A KR102006704B1 (ko) 2019-01-07 2019-01-07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704B1 true KR102006704B1 (ko) 2019-08-02

Family

ID=6761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32A KR102006704B1 (ko) 2019-01-07 2019-01-07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7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52B1 (ko) * 2019-09-02 2020-03-11 (주)동주피엔씨 개폐부의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 보관용 백 원단
KR102179694B1 (ko) * 2020-04-16 2020-11-17 최용덕 카톤컨테이너를 이용한 공급시스템
WO2022075837A1 (en) * 2020-10-09 2022-04-14 Winza Holding B.V. Adapter for connecting a vacuum system to a container and container therewith
CN114746347A (zh) * 2019-12-11 2022-07-12 昭和帕库斯株式会社 气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475Y1 (ko) * 1999-02-08 2001-12-20 박영묵 콘테이너 백
KR20090119132A (ko) * 2008-05-15 2009-11-19 김영옥 운반용 백 및 이것의 제작방법
KR200455252Y1 (ko) * 2009-05-27 2011-08-26 동양산업 주식회사 포대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101556495B1 (ko) 2015-03-09 2015-10-01 안병선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KR20180002636U (ko) * 2017-02-27 2018-09-05 (주)동주피엔씨 팽창 방지형 대용량 포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475Y1 (ko) * 1999-02-08 2001-12-20 박영묵 콘테이너 백
KR20090119132A (ko) * 2008-05-15 2009-11-19 김영옥 운반용 백 및 이것의 제작방법
KR200455252Y1 (ko) * 2009-05-27 2011-08-26 동양산업 주식회사 포대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101556495B1 (ko) 2015-03-09 2015-10-01 안병선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KR20180002636U (ko) * 2017-02-27 2018-09-05 (주)동주피엔씨 팽창 방지형 대용량 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52B1 (ko) * 2019-09-02 2020-03-11 (주)동주피엔씨 개폐부의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 보관용 백 원단
CN114746347A (zh) * 2019-12-11 2022-07-12 昭和帕库斯株式会社 气袋
KR102179694B1 (ko) * 2020-04-16 2020-11-17 최용덕 카톤컨테이너를 이용한 공급시스템
WO2022075837A1 (en) * 2020-10-09 2022-04-14 Winza Holding B.V. Adapter for connecting a vacuum system to a container and container therewi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USRE37915E1 (en) Collapsible, lightweight bulk shipping container
US6015057A (en) Flexible container for flowable materials
US6688471B2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810478A (en) Bulk bag with lift straps and exterior liner
US5865541A (en) Bulk container liner and method
KR950011762B1 (ko)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101700085B1 (ko)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KR200422738Y1 (ko) 콘테이너 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200346357Y1 (ko)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KR100547512B1 (ko) 콘테이너 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테이너 백
KR101011503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AU2013201046A1 (en) Gusseted Bag
KR102151927B1 (ko) 콘테이너 백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JP2926474B2 (ja) 粉粒体の袋容器
KR200255475Y1 (ko) 콘테이너 백
KR20200107432A (ko) 컨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컨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