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432B1 -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432B1
KR101144432B1 KR1020110123674A KR20110123674A KR101144432B1 KR 101144432 B1 KR101144432 B1 KR 101144432B1 KR 1020110123674 A KR1020110123674 A KR 1020110123674A KR 20110123674 A KR20110123674 A KR 20110123674A KR 101144432 B1 KR101144432 B1 KR 10114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length
circumferential length
inner memb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안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2718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444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선 filed Critical 안병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06Large containers flexible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부부재; 및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부재의 개구된 일측과 연통되며,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의 각 모서리에 모서리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격벽을 이루며 상호 접합되는 내피가 구비되어, 외부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부재를 포함하되, 내피의 둘레길이(L220), 외피의 둘레길이(L210) 및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다음 관계식 1을 만족시키며, 외부부재, 내부부재외피 및 내부부재내피의 각 인장강도(σ)는 다음 관계식 2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1] L210 > L100 > L220
[관계식 2] σ(외부부재) > σ(내부부재외피) ≥ σ(내부부재내피)

Description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MULTIPLE BAG TYPE CONTAINER BAG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BULK GOODS}
본 발명은 벌크화물을 운반하고 저장하는데 쓰이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중 포대 각각의 길이 상관관계, 인장강도 상관관계 및 연신율 상관관계에 기술적 특징을 가진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개별 포장되지 않은 물품을 벌크화물(bulk goods)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용도로 단일 포대 형식의 벌크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백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단일 포대 형식의 경우, 컨테이너 백에 담긴 내용물이 포대 하부 및 측부에 집중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컨테이너 백이 외부로 심하게 팽창 돌출되는 배불림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컨테이너 백이 쉽게 파손되거나, 컨테이너 백의 형상이 일관되지 않아서 컨테이너 백 상호간의 적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한국특허등록 제10-01888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단일 포대 형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부재(외부포대) 내에 내부부재(내부포대)가 들어 있는 2중 포대 구조를 채택하여, 내부부재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면 내부부재의 외피 둘레길이가 외부부재의 둘레길이보다 길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부재의 외피 둘레길이가 외부부재의 둘레길이보다 단순히 길다는 기준만을 가지고 있어서, 내부부재의 외피 둘레길이가 외부부재의 둘레길이보다 어느 정도 길어야 최적의 구조적 강인성을 가지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외부부재의 둘레길이보다 내부부재의 외피의 둘레길이가 지나치게 길어버리면, 벌크화물의 하중이 오로지 외부부재에만 가해지는 상태가 되어, 다중 포대의 구조학적 상관관계로부터 발생되는 하중분산 효과 내지 배불림현상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벌크화물의 충전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도 추가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길이관계와 연관되어 인장강도 등의 물성의 상관관계에 따라 포대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달라지는 점은 전혀 고려되지 못한 문제점이 제시된다.
본 발명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내부부재의 외피의 둘레길이 외부부재 둘레길이의 특정 장단관계 및 각 부재의 인장강도의 특정 대소관계를 복합적으로 구현하여 다중 포대의 하중지지력을 높이고자 한다.
둘째, 모서리공간부의 둘레길이를 형성하는 격벽둘레길이와 모서리둘레길이의 특정 장단관계를 구현하여, 다중 포대의 하중지지력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셋째, 컨테이너 백에 내용물이 채워지면 하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측방향으로 균등하게 힘을 배분하고자 한다.
넷째, 내용물이 채워진 컨테이너 백의 인양시에 포대 하부 및 측부의 배불림 현상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부부재;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부재의 개구된 일측과 연통되며,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의 각 모서리에 모서리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격벽을 이루며 상호 접합되는 내피가 구비되어, 외부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내피의 둘레길이(L220), 외피의 둘레길이(L210) 및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다음 관계식 1을 만족시키며, 외부부재의 인장강도(σ1), 내부부재 외피의 인장강도(σ2) 및 내부부재 내피의 인장강도(σ3)는 다음 관계식 2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L210 > L100 > L220
[관계식 2] σ1 > σ3 ≥ σ2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이며, 다음 관계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3] ((1/2)×L211))2 + ((1/2)×L211))2 > (L221)2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이며,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다음 관계식 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4] L211 > 1.102R (여기서, R은 내부부재 내피의 반지름임)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부부재의 연신율(ε1), 내부부재 외피의 연신율(ε2) 및 내부부재 내피의 연신율(ε3)은 다음 관계식 5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5] ε2 ≥ ε3 ≥ ε1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부부재의 내피는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이 외피와 겹쳐져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부부재의 내피는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은 외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에는 보강부재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각 격벽에는 다수의 관통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부부재 외피의 높이는 채워진 내용물의 높이 이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다음 관계식 6을 만족하면서, 외피의 둘레길이(L210)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6] (7.0×R) ≤ L100 ≤ (7.548×R)
(여기서, R = 내부부재 내피의 둘레길이÷(2×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부부재의 외피에서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모서리 둘레길이(L211)가 다음 관계식 7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7] (1.2×R) ≤ L211 ≤ (1.5×R)
(여기서, R = 내부부재 내피의 둘레길이÷(2×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피 중심과 격벽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는 다음 관계식 8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8] 40 ≤ θR ≤ 45°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내부부재의 외피의 둘레길이 외부부재 둘레길이의 상호 장단관계 및 각 부재의 인장강도에 관한 특정의 상호 대소관계가 복합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보다 강인성을 가진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모서리공간부의 둘레길이를 형성하는 격벽둘레길이와 모서리둘레길이의 특정 장단관계가 구현됨에 따라, 다중 포대의 하중지지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제시된 상호 관계식에 따른 둘레길이관계가 적용되면, 충전된 내용물이 하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측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내용물이 충전된 포대는 인양시 포대 하부 및 측부의 배불림 현상이 최소화 되어 포대의 강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호 관계식으로 명확히 구현된 외부부재 및 외피의 둘레길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외부부재 및 내부부재의 둘레길이 관계로부터 발생한 불균일한 제품제작의 문제점을 시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외피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내피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수학적 관계식 도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내부부재 내피 격벽에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바닥부에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보강부재가 추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내용물을 담는 포대가 파손되면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벌크화물을 안전하게 운반 및 저장하기 위하여,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재질 자체가 강인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기하학적인 특수성도 함께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해당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다중 구조로 된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을 외부부재와 내부부재의 상호 둘레길이의 상관관계와 각 부재의 인장강도 등 물성의 특정 상관관계를 제시하여 보다 최적화된 강인한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중포대 형식'이란, 1개의 포대 안에 다른 포대가 더 삽입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대'란 외부부재, 내부부재와 같은 백(bag)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테이너 백'이란 다중포대 형식으로 구비된 포대의 총칭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부재'란 컨테이너 백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포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부재'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피'는 외부부재와 접촉되도록 외부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포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피'는 외피 내부에 별개의 포대로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고, 외피 모서리에 격벽을 형성하여 개념상의 내피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표현은 컨테이너 백에 내용물이 충전되기 전의 상태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내용물이 충전되면 형상이 변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정사각형'이란 의미는 사전적 의미의 정사각형을 포함하되 그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실적으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하고 또한 각 모서리의 각도가 90°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로길이가 10cm이고 세로길이가 13cm이면 정사각형으로 보기는 곤란할 것이며 직사각형에 가까울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가로길이가 110cm이고 세로길이가 113cm이면 사전적 의미의 정사각형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실질적 의미의 정사각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일부 미세한 길이차이는 존재하여도,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에 기인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정사각형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제작시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상태로 두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포대의 재질 자체가 직물인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평단면이 구체적으로 정형화된 모양을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즉, 제작 전에 플렉시블(flexible)한 상태의 포대를 펼치는 방법에 따라 원형으로 펼쳐질 수도 있고, 사각형 등으로 펼쳐질 수도 있다. 이는 제작공정상 적절한 방법을 취하면 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는 pallet type, bead type, powder type 등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부부재(10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백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최외측에 있는 외부부재(100)의 측면은 외부로 적절한 정도가 팽창된 볼록한 형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제작단계에서는 정사각형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둘레길이'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횡방향의 둘레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200)는 외부부재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200)는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부재의 개구된 일측과 연통되며,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피(210)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의 각 모서리(211)에 모서리 공간부(202)가 형성되도록 격벽(221)을 이루며 상호 접합되는 내피(220)로 이루어진다.
내부부재 외피(210)의 둘레길이(L210)는 도 3의 실선 길이에 해당되며, 내부부재 내피(220)의 둘레길이(L220)는 도 4의 실선 길이에 해당된다.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도 2의 최외곽 실선의 길이에 해당된다.
내피의 둘레길이(L220), 외피의 둘레길이(L210) 및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다음 관계식 1을 만족시킨다.
[관계식 1] L210 > L100 > L220
한편,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항장력(抗張力)이라고도 하며, 재료의 기계적 강도를 표시하는 값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막대 모양의 시험편을 잡아당겨 그 가해진 하중과 시험편의 변형의 모양에서 인장 강도를 구한다. 시험편에 하중을 가하면 시험편은 하중에 비례하여 늘어나며, 이후 비례 관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어떤 늘어나는 값에서 최대하중을 시험편의 원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인장 강도(σ)이며, 단위면적에서 지탱할 수 있는 최대하중을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다양한 컨테이너 백은 한 겹이든 두 겹이든 각각 동일한 소재로서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제작되었다. 이는 각기 다른 여러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제작공정상 쉽지 않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선행기술들이 각 부재의 인장강도를 달리하면서 발생되는 효과에 주목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내용물이 충전되면 각 부재가 늘어나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발생된다. 그런데 각 부재가 파손(파단)되면 내용물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인장강도의 차이를 두어 각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늘어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은 각 부재의 인장강도의 상관관계에 기술적 특징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구성하는 각 부재 즉, 외부부재의 인장강도(σ1), 내부부재 외피의 인장강도(σ2) 및 내부부재 내피의 인장강도(σ3)는 다음 관계식 2와 같은 특정한 상관관계로 구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2] σ1 > σ3 ≥ σ2
먼저 최외곽에 배치되는 외부부재의 인장강도(σ1)는 내부부재의 인장강도(σ2,σ3)보다 강하게 설정된다. 외부부재와 내부부재의 대비 관점에서 살펴보면, 내부부재는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한 하중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잘 늘어나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신속히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내부부재가 신속히 확장변형되는 경우 그 늘어나는 내부부재의 확장성을 일정하게 제한하여야 한다. 내부부재가 계속 늘어나게 되면 특정 방향의 배불림 현상의 발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의 역학적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부부재가 신속히 확장변형되면서도 내부부재의 확장성을 제한하고, 또한 내부부재의 확장성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파손(파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장강도가 보다 높은 외부부재가 내부부재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어야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부부재와 내부부재의 인장강도의 차이는 외부부재의 둘레길이가 내부부재 외피의 둘레길이보다 짧은 기술적 구성과 복합적으로 조합되면서 보다 큰 하중분산의 역학적 효과가 나타난다.
다음으로, 내부부재의 경우, 내피의 인장강도(σ3)가 외피의 인장강도(σ2)보다 크거나 같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는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에서 내용물이 충전되는 공간부를 둘러싸게 된다. 공간부의 경우, 신속히 확장변형되어야 하는 것은 외피이다. 즉 내피의 확장변형보다 외피의 확장변형이 더 활발하여야 모서리 공간부가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백의 몸체의 경우에도 내피의 확장변형을 외피가 방해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외각에는 인장강도가 가장 강한 외부부재가 둘러싸면서 컨테이너 백 전체의 파손(파단)을 방지하므로 이러한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다만 내피와 외피의 인장강도가 동일하여도, 외부부재의 인장강도보다 약한 내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점에서 또한 바람직하다.
인장강도의 관계를 둘레길이의 관계와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부재의 둘레길이보다 내부부재 외피의 둘레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부재의 둘레길이에 의해 형성되는 용적보다 내부부재 외피 둘레길이에 의해 형성되는 용적이 크게 된다. 하지만 외부부재의 둘레길이에 의해 내부부재 외피 용적은 제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인장강도의 측면에서 외부부재의 인장강도가 내부부재의 인장강도보다 작으면 외부부재가 내부부재를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영향력이 감소되게 된다. 즉, 내부부재 외피 및 내피의 인장강도가 외부부재보다 크면 내부부재에 충전되는 내용물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미치는 힘이 감소된다. 반면, 외부부재의 인장강도가 내부부재의 인장강도보다 크면 내부부재에 충전된 내용물에 의해 확장되는 용적에 의해 바깥 특정방향으로 미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부재 외피의 인장강도는 내부부재 내피의 인장강도와 동일하여도 무방하며, 내피의 인장강도가 더 크면 외피의 확장변형에 의한 모서리공간부의 확장을 원활히 하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외부부재의 둘레길이가 내부부재 외피의 둘레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기술구성에, 외부부재의 인장강도가 내부부재의 인장강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추가구성이 부가되면서 컨테이너 백의 배불림현상 등의 방지가 현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에 해당된다. 여기서 둘레길이는 횡방향 둘레길이를 의미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다음 관계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3] ((1/2)×L211))2 + ((1/2)×L211))2 > (L221)2
또한, 제1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이며,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다음 관계식 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4] L211 > 1.102R
여기서, R은 내부부재 내피의 반지름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모서리에 형성된 원호를 이루는 각도(θR)가 45°이고, 원호가 가상의 최외곽 정사각형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모서리 둘레길이(L211)(여기서는 원호의 둘레길이)를 수학적으로 산출하면 1.102R이 된다. 이렇게 도출된 1.102R 값을 적용하면,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보다 외피의 둘레길이(L210)가 약간 길게 된다.
그런데 실험을 통해서 확인해보면, 원호각도 45°에서 모서리 둘레길이(L211)로 1.102R 값을 적용하면 컨테이너 백의 측면 배불림 현상의 완화효과가 미미하였다. 또한 원호각도를 보다 적게 변경하면서 모서리 둘레길이(L211)로 1.102R 값을 적용하여도 위와 마찬가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1.102R 값보다 길수록 측면 배불림현상의 완화효과가 현저하게 구현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1.102R보다는 길게 구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의 내피는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이 외피와 겹쳐져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내부부재의 내피는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은 외피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에는 보강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격벽에는 다수의 관통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부재 외피의 높이는 채워진 내용물의 높이 이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 포대는 연신율(ε)의 차이를 두어서, 컨테이너 백의 구조적 강인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각 포대 즉 외부부재(100), 외피(210) 및 내피(220)는 모두 동일한 연신율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연신율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서로 상이한 연신율을 가지는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외부부재(100)는 최외곽에 배치되며, 내용물이 충전됨에 따라 외피(210)와 내피(220)가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부재(100)의 연신율(ε1)은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공간부(202)를 살펴보면, 외피(210)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에 지나치게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즉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공간부(202)가 빨리 팽창하여야 컨테이너 백의 기둥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외피(210)의 연신율(ε2)은 가장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220)는 외피(210)보다는 연신율이 낮아서 모서리공간부(202)가 최대한 확보되도록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백의 "측면영역"을 살펴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1겹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내피(220) 또는 외피(210)의 연신율을 따르게 될 것이다. 다만, 연신이 잘 되어도 최외곽에 배치된 외부부재의 연신율이 보다 낮으므로 외피(210)의 연신율을 따르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예와 같이 2겹인 경우에, 측면영역에서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것은 아니다. 내피(210)의 연신율이 보다 낮고, 외피의 연신율이 보다 높아서 내피의 외측팽창을 용인해주어도, 가장 낮은 연신율의 외부부재가 최외곽에 배치되므로 구조적으로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정리하면, 외부부재(100)의 연신율(ε1), 내부부재 외피(210)의 연신율(ε2) 및 내부부재 내피(220)의 연신율(ε3)은 아래의 관계식 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5] ε2 ≥ ε3 ≥ ε1
즉, 보강부재(203)의 연신율은 외피의 연신율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모두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는 일치되는 여러 조합도 가능하다.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아래의 관계식 6을 만족하면서, 외피의 둘레길이(L210)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는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가 외피의 둘레길이(L210)보다 긴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이중포대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관계식 6] (7.0×R) ≤ L100 ≤ (7.548×R)
여기서, R은 내피의 둘레길이÷(2×π)를 의미한다. 또한, 상한치의 '7,548×R'은 수학적으로 도출된 것이고, 하한치의 '7.0×R'은 실험적으로 도출된 것이다.
상한치의 '7,548×R'의 수학적 도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내경은 R이며, 모서리에 형성된 원호를 이루는 각도(θR)은 45°를 가지며, 가상의 정사각형에 내접하는 외피의 평단면도를 상정한다. 이 경우 외피의 둘레길이(L210)는 모서리 원호의 길이(L211) 4곳의 합과, 원둘레길이에서 모서리 원호길이(L211)를 제외한 둘레길이(πR)의 총합이 될 것이다. 이를 수학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210 = (4×L211)+πR = (4×1.102R)+πR = 7.548×R
하한치의 '7.0×R'은 실험적으로 도출된 것이며,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될 것이다.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가 '7,548×R'을 초과하면, 내부부재(외피, 내피)가 지나치게 외측으로 팽장되므로 측면 배불림현상이 현저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내피와 외피의 접합부(204)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지므로 접합부(206)가 취약 내지 파손되었다. 또한, 컨테이너 백의 측면 또는 하면의 배불림현상이 발생되면, 접합부(206)가 파손될 우려도 커지며, 운송용 컨테이너 등의 특정 공간에 복수 개의 컨테이너 백을 좌우로 배치하거나 상하로 적층할 때, 공간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가 '7.0×R' 미만이면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하중분산효과는 발생되나, 내부부재(내피 및 외피)가 충분히 확장되지 못하여 내용물을 충분히 충전시킬 수 없는 비효율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이며,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다음 관계식 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4] L211 > 1.102R
여기서, R은 내부부재 내피의 반지름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모서리에 형성된 원호를 이루는 각도(θR)가 45°이고, 원호가 가상의 최외곽 정사각형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모서리 둘레길이(L211)(여기서는 원호의 둘레길이)를 수학적으로 산출하면 1.102R이 된다. 이렇게 도출된 1.102R 값을 적용하면,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보다 외피의 둘레길이(L210)가 약간 길게 된다.
그런데 실험을 통해서 확인해보면, 원호각도 45°에서 모서리 둘레길이(L211)로 1.102R 값을 적용하면 컨테이너 백의 측면 배불림 현상의 완화효과가 미미하였다. 또한 원호각도를 보다 적게 변경하면서 모서리 둘레길이(L211)로 1.102R 값을 적용하여도 위와 마찬가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1.102R 값보다 길수록 측면 배불림현상의 완화효과가 현저하게 구현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1.102R보다는 길게 구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보다 외피의 둘레길이(L210)가 긴 것이 특징이다. 외피(210)의 다양한 부분을 길게 하여 외부부재의 둘레길이보다 길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외피의 모서리 둘레길이(L211)를 길게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관계식 6에 해당되는 길이관계를 갖게 하는 것이다.
외피(210)와 상호 접합된 내피(220)의 격벽(221)에 의해 모서리공간부(202)를 형성하며, 모서리공간부(202)에 해당되는 외피부분의 둘레길이가 모서리둘레길이(L211)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둘레길이(L211)가 아래의 관계식 7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7] (1.2×R) ≤ L211 ≤ (1.5×R)
여기서, R은 내부부재 내피의 둘레길이÷(2×π)에 해당된다. 도 5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모서리에 형성된 원호를 이루는 각도(θR)가 45°이고, 원호가 가상의 최외곽 정사각형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1.102R이 된다. 이렇게 도출된 1.102R 값을 적용하면,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보다 외피의 둘레길이(L210)가 약간 길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호각도 45°에서 모서리 둘레길이(L211)로 1.102R 값을 적용하면 컨테이너 백의 측면 배불림 현상이 일부 완화되기는 하나, 현저한 개선이 이루어지지는 않는 단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원호각도를 보다 적게 변경하면서 모서리 둘레길이(L211)로 1.102R 값을 적용하여도 위와 마찬가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둘레길이(L211)를 상기 관계식 7과 같은 하한치와 상한치를 결정하게 되었다.
정리하면, 관계식 4의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길이관계가 바람직하며, 관계식 7의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길이관계는 더욱 바람직하다.
외피의 모서리 둘레길이(L211) 부분을 길게 하면, 모서리공간부(202)가 더욱 많이 확보되어, 모서리공간부(202)에 보다 많은 내용물이 충전될 수 있다. 내용물이 충전된 모서리공간부(202)는 육면체의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기둥역할을 한다. 또한, 컨테이너 백의 측벽이 지나치게 팽창되지 않도록 내용물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관계식 6의 길이 상관관계를 외피 모서리둘레길이(L211)로 구현하는 것은 보다 바람직하다.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모서리 둘레길이(L211)를 1.102R값으로 하면 모서리공간부(202)의 팽창이 컨테이너백의 측면 팽창보다 부족하여, 전술한 모서리공간부(202)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모서리 둘레길이(L211)가 '1.2×R'에 도달하였을 때, 측면 팽창 대비 모서리공간부(202)의 팽창도 충분하여, 접합부(204)의 좌우측이 대략 균일하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모서리 둘레길이(L211)가 '1.5×R'을 초과하면, 모서리공간부(202)의 팽창이 상대적으로 과다한 결과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실험은 모서리둘레길이(L211)외의 부분은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진행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둘레길이(L211)는 관계식 7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관계식 7] (1.2×R) ≤ L211 ≤ (1.5×R)
(여기서, R = 내부부재 내피의 둘레길이÷(2×π))
도 5에 도시된 실선 원호(211)의 길이가 모서리둘레길이(L211)이다. 도 5에서는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실선원호가 외부부재(100)의 가로, 세로에 내접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관계식 7을 만족하는 실제 길이는 실선원호(211) 보다 더 긴 점선원호(211a)의 길이가 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모서리(211)에는 외피(210)와 내피(220)가 접합되는 2개의 접합부(204)가 있다. 접합부(204) 사이에 놓인 내피(220)는 격벽(221)이 된다. 외피(210) 및 내피(220)가 같은 원 중심을 가지며, 이는 수용부(201)의 중심과 같은 의미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접합부(204)는 격벽(221)의 양단과 같은 의미에 해당된다.
수용부(201) 중심과 격벽(221)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은 다양한 각도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음 관계식 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8] 40° ≤ θR ≤ 45°
상기 각도(θR)가 40°미만이면 모서리공간부(202)가 이루는 기둥형상이 너무 작아지게 된다. 즉 모서리공간부(202)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적어지게 되고, 하중분산효과도 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도(θR)가 45°를 초과하면, 모서리공간부(202)가 이루는 기둥형상이 너무 크게 된다. 즉 모서리공간부(202)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너무 많아져서, 전체적인 구조가 부적절해지며, 접합부(204)에는 모서리공간부(202)의 팽창에 의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를 중복적용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상기 각도(θR)가 관계식 8을 만족시키면서, 모서리둘레길이(L211)는 관계식 2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관계식 7 및 관계식 8을 만족시키면서도,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관계식 1을 만족시키면서 외피의 둘레길이(L210)보다 짧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공간부(202)를 형성하는 격벽(221)을 제외한 각 측면을 "측면영역"이라고 명칭한다. 측면영역에 모서리둘레길이(L211)를 형성하는 외피(210)부분이 제외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4개의 모서리에 있는 각 내피 격벽(221)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격된 각 내피 격벽(221)을 연결하는 실시예가 다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측면영역에 내부부재(200)의 내피(220)와 외피(210)가 겹쳐져서 2겹으로 배치되는 실시예이다. 즉 별개의 내피와 외피가 존재하므로 2겹이 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측면영역에 1겹 만이 배치되는 실시예이다. 즉 측면영역에 있는 1겹의 포대부분이 개념적으로 외피(210)를 형성시킬 수도 있고, 내피(220)를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외피와 내피의 구분이 없이 1겹만이 존재하는 것이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내피(220)의 4군데 외측 부분에 외피(210)를 접합하여 내부부재(200)를 제작한다고 설명할 수도 있고, 외피(210)의 4군데 모서리 내측 부분에 내피(220)를 접합하여 내부부재(200)를 제작한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설명의 관점이 상이할 뿐, 결과물은 동일하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측면영역"에 추가로 보강부재를 추가로 덧대는 실시예이다. 도 8은 보강부재(203)가 추가로 부착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 격벽(22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부(206)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백의 수용부(201)에 내용물이 충전되면서, 모서리공간부(202)에도 내용물이 충전되어 모서리공간부(202)가 둥근 기둥 형상을 구비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격벽(221)의 상하로 다수의 관통공(206)이 구비되면 수용부(201)에 충전된 내용물이 관통공(206)을 통해 모서리공간부(202)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부재 외피(210)의 높이는 채워진 내용물의 높이 이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210)와 외부부재(100) 상호간의 길이관계가 주된 특징인데, 채워진 내용물의 높이보다 외피(210)의 높이가 낮으면 해당 높이에서 상호 길이관계가 형성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상측에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투입구(미도시)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부재(100)의 바닥면(110)은 폐쇄된 구조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외피(210) 및 내피(220)의 경우, 2개 모두 폐쇄된 구조일 수도 있고, 2개 중 어느 하나만 폐쇄되고 나머지 하나는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고, 2개 모두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한편,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0)에 배출부(1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관계 등이 반영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험을 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의 재질은 내부부재(200)보다 외부부재(100)의 인장강도가 강한 것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제작에 사용한 외부부재용 원단의 인장강도가 1400N/㎡~1500N/㎡ 또는 1900N/㎡~2000N/㎡되는 것을 사용하였고, 내부부재용 원단의 인장강도는 620N/㎡~700N/㎡가 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인장강도는 파대(破袋)가 났을 때까지 가해진 힘에 해당한다. 외부부재의 인장강도가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은 같은 인장 강도를 가지는 포대를 사용하는 것보다 외부부재가 보다 강한 인장강도를 사용하여 내부부재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수용부(201) 중심과 격벽(221)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를 달리하면서, 반경(R)을 다양하게 하여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와 외피 둘레길이(L210)의 비율관계를 측정하였다.
수용부(201) 중심과 격벽(221)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를 40°로 하였다. 외피둘레길다중 잔여둘레길이는 측면영역 둘레길이를 의미한다. 각도(θR)가 40°인 경우, 잔여둘레길이는 (2πR)×(200/360) = (400/360)πR이 된다. 모서리둘레길이의 하한값((L211-low)은 '1.2×R'이며, 모서리둘레길이의 상한값(L211-high)은 '1.5×R'이다. 하한값 기준의 모서리둘레길이의 총합은 '4(L211-low)'이고, 상한값 기준의 모서리둘레길이의 총합은 '4(L211-high)'이다. 따라서 모서리둘레길이 하한값을 적용한 외피둘레길이(L210)는 '(400/360)πR + 4(L211-low)'이고, 모서리둘레길이 상한값을 적용한 외피둘레길이(L210)는 '(400/360)πR + 4(L211-high)'이다. 이와 같은 길이산출식은 아래의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래 표 1은 R 값이 50~60인 경우의 L210 / L100 길이비율을 산출한 결과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93299660-pat00001
수용부(201) 중심과 격벽(221)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를 43°로 하였다. 외피둘레길이 중 잔여둘레길이는 측면영역 둘레길이를 의미한다. 각도(θR)가 43°인 경우, 잔여둘레길이는 (2πR)*(188/360) = (376/360)πR이 된다. 아래 표 2는 R 값이 50~60인 경우의 L210 / L100 길이비율을 산출한 결과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93299660-pat00002
수용부(201) 중심과 격벽(221)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를 45°로 하였다. 외피둘레길이 중 잔여둘레길이는 측면영역 둘레길이를 의미한다. 각도(θR)가 45°인 경우, 잔여둘레길이는 (2πR)*(180/360)= (360/360)πR이 된다. 아래 표 3는 R 값이 50~60인 경우의 L210 / L100 길이비율을 산출한 결과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93299660-pat00003
상기 실시예 1,2,3 은 연신율을 동일한 조건으로 부여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1,2,3과 같이 실시를 해 본 결과, L210 / L100 길이비율의 관점에서 외부에 배치된 외부부재의 둘레길이가 내부에 배치된 외피의 둘레길이보다 짧을 때 내용물의 하중 집중에 의한 힘이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되었다. 동일한 길이비율이라고 하더라도, 모서리둘레길이를 변경하여 길이비율을 도출한 경우가 힘의 분산효과가 보다 현저하였다.
상기와 같은 범위내에서 컨테이너 백이 제조되면, 모서리공간부(202)가 충분히 형성되어 내용물의 고른 분산이 이루어졌다. 모서리공간부(202)와 측면영역의 팽창에 의해 접합부(204)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종래 문제점은 외부부재로 인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부부재 200 : 내부부재
110 : 바닥부 201 : 수용부
202: 모서리공간부 203 : 보강부재
204 : 접합부 206 : 관통부
210 : 외피 211 : 모서리
220 : 내피 221 : 격벽
L100 : 외부부재 둘레길이 L210 : 외피 둘레길이
L220 :내피 둘레길이 L211 : 모서리 둘레길이

Claims (12)

  1. 일측이 개구되고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부부재; 및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외부부재의 개구된 일측과 연통되며, 평단면이 정사각형인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서 외피의 각 모서리에 모서리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격벽을 이루며 상호 접합되는 내피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부재를 포함하되,
    내피의 둘레길이(L220), 외피의 둘레길이(L210) 및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다음 관계식 1을 만족시키며,
    외부부재의 인장강도(σ1), 내부부재 외피의 인장강도(σ2) 및 내부부재 내피의 인장강도(σ3)는 다음 관계식 2를 만족시키며,
    상기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이며, 다음 관계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관계식 1] L210 > L100 > L220
    [관계식 2] σ1 > σ3 ≥ σ2
    [관계식 3] ((1/2)×L211))2 + ((1/2)×L211))2 > (L221)2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공간부의 둘레길이는 격벽의 둘레길이(L221)와 모서리 둘레길이(L211)의 합이며,
    모서리 둘레길이(L211)는 다음 관계식 4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관계식 4] L211 > 1.102R
    (여기서, R은 내부부재 내피의 반지름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부재의 연신율(ε1), 내부부재 외피의 연신율(ε2) 및 내부부재 내피의 연신율(ε3)은 다음 관계식 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관계식 5] ε2 ≥ ε3 ≥ ε1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부재의 내피는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이 외피와 겹쳐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6. 제1항에 있어서,
    내부부재의 내피는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은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격벽을 제외한 각 측면에는 보강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벽에는 다수의 관통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 외피의 높이는 채워진 내용물의 높이 이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부재의 둘레길이(L100)는 다음 관계식 6을 만족시키면서, 외피의 둘레길이(L210)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관계식 6] (7.0×R) ≤ L100 ≤ (7.548×R)
    (여기서, R = 내부부재 내피의 둘레길이÷(2×π))
  11. 제1항에 있어서,
    내부부재의 외피에서 상기 모서리공간부를 형성하는 모서리 둘레길이(L211)가 다음 관계식 7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관계식 7] (1.2×R) ≤ L211 ≤ (1.5×R)
    (여기서, R = 내부부재 내피의 둘레길이÷(2×π))
  12. 제1항에 있어서,
    내피 중심과 격벽의 양 단을 연결하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θR)는 다음 관계식 8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관계식 8] 40 ≤ θR ≤ 45°
KR1020110123674A 2011-06-07 2011-11-24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101144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308 2011-06-07
KR20110054308 2011-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432B1 true KR101144432B1 (ko) 2012-05-10

Family

ID=4627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74A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1-11-24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43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8406A (zh) * 2014-02-11 2015-08-12 王彩霞 集装袋的内袋
KR101556495B1 (ko) * 2015-03-09 2015-10-01 안병선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KR20160088714A (ko) 2015-01-16 2016-07-26 박혜진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진 컨테이너 백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7-01-16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20180094549A (ko) 2017-02-16 2018-08-24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1906795B1 (ko) * 2018-04-04 2018-10-11 (주)성림산업 모서리 격벽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
KR101911881B1 (ko) * 2018-03-31 2018-10-25 민인순 구조 개선형 포대
KR101935728B1 (ko) 2018-06-28 2019-01-04 최광수 관통 밴드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006704B1 (ko) 2019-01-07 2019-08-02 주식회사 남강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20200129689A (ko) 2019-05-09 2020-11-18 (주)티피에스코리아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백
KR102220494B1 (ko) 2020-10-08 2021-02-25 (주)티피에스코리아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806B1 (ko) 1989-06-06 1999-06-01 안소니우스 마리아 부츠 게라더스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JP2003511317A (ja) 1999-10-13 2003-03-25 バイエ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テナを充填する方法
KR20050049025A (ko) * 2003-11-20 2005-05-25 윤영숙 유골함용 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806B1 (ko) 1989-06-06 1999-06-01 안소니우스 마리아 부츠 게라더스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JP2003511317A (ja) 1999-10-13 2003-03-25 バイエ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コンテナを充填する方法
KR20050049025A (ko) * 2003-11-20 2005-05-25 윤영숙 유골함용 포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8406A (zh) * 2014-02-11 2015-08-12 王彩霞 集装袋的内袋
KR20160088714A (ko) 2015-01-16 2016-07-26 박혜진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진 컨테이너 백
KR101556495B1 (ko) * 2015-03-09 2015-10-01 안병선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7-01-16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20180094549A (ko) 2017-02-16 2018-08-24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1911881B1 (ko) * 2018-03-31 2018-10-25 민인순 구조 개선형 포대
KR101906795B1 (ko) * 2018-04-04 2018-10-11 (주)성림산업 모서리 격벽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
KR101935728B1 (ko) 2018-06-28 2019-01-04 최광수 관통 밴드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006704B1 (ko) 2019-01-07 2019-08-02 주식회사 남강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KR20200129689A (ko) 2019-05-09 2020-11-18 (주)티피에스코리아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백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220494B1 (ko) 2020-10-08 2021-02-25 (주)티피에스코리아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432B1 (ko)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CN101041388B (zh) 用于装入粉体类的包装袋
US10793336B2 (en) Crossed, staggered and stacked-type air pack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30248540A1 (en) Container, container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JPH03256847A (ja) バラ荷運搬および貯蔵用パッケージ
CN103998347B (zh) 与外包装一起使用的折叠内衬及制造该内衬的方法
JP2000502015A (ja) 流動性材料用軟質容器
SK280347B6 (sk) Polotuhý uzatvárateľný obal
US20140144974A1 (en) Bag, in Particular for Bag-in-Box Packaging
CN111591591A (zh) 一种包装袋及包装单元
KR101556495B1 (ko)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906795B1 (ko) 모서리 격벽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
JP2023518561A (ja) 液体輸送システム、並びにライナー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367457A (zh) 逆向吊床式空气防震套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20170109363A (ko)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JP2730557B2 (ja) たわみ可能な中間ばら荷コンテナ
KR101911187B1 (ko) 내부 격벽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JP2015151194A (ja) 排出口が二重に構成されたコンテナバッグ用の内皮及びそれを含むコンテナバッグ
CN206665316U (zh) 一种内充气气柱包装袋
CN211894030U (zh) 一种多层复合瓦楞纸板箱
ES2744922T3 (es) Bolsa soldada, rollo, uso y método de fabricación
WO2012069080A1 (en) Collapsibl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245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803

Effective date: 201804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04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414

Effective date: 2022120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56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206

Effective date: 20240129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