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06B1 -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 Google Patents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06B1
KR100188806B1 KR1019900008610A KR900008610A KR100188806B1 KR 100188806 B1 KR100188806 B1 KR 100188806B1 KR 1019900008610 A KR1019900008610 A KR 1019900008610A KR 900008610 A KR900008610 A KR 900008610A KR 100188806 B1 KR100188806 B1 KR 100188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rame
inner member
packag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487A (ko
Inventor
안소니우스 마리아 부츠 게라더스
Original Assignee
안소니우스 마리아 부츠 게라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5285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888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안소니우스 마리아 부츠 게라더스 filed Critical 안소니우스 마리아 부츠 게라더스
Publication of KR91000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8Linings or internal coatings spaced appreciably from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Bag Fram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Golf Clubs (AREA)
  • Pape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본 발명은 벌크화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데 쓰여지는 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부재와 내부부재의 2중구조로 되어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정규격으로 개별포장되지 않은 물품을 벌크물(bulk goods)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경우, 내용물을 담는 포대나 그물 등이 파손되면 내용물이 쏟아 지게 되므로 특수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벌크물 운반용 포대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예컨대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 8601365호와 동국 특허출원 제 870063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이들은 모두 유동하기 쉬운 내용물을 담는 포대에 관한 것들로서, 각각 원통형상을 한 보호부재로 작용하는 외부부재와 내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부재의 직경이 외부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으면서 내부부재의 상단부가 프레임쪽으로 당겨지도록 되어 있고 원통형상을 한 보호부재에 최소한 4곳 이상의 부분에서 서로 접착되도록 되어 있어서, 내부부재가 덮개부재 밖으로 부풀어져 나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 8601365호에 기재된 포대는 내부부재가 외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부재의 내면에 접착되면서 내부부재의 길이가 포대 높이의 30 내지 100%로 되어 있는 반면,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 870063호 에서는 포대의 전체길이보다 더 길게 뻗은 보강부재가 갖춰져, 이 보강부재가 내부부재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핀란드 특허출원 제 61174호와 동국 특허출원 제 67382호 및 동국 특허출원 제 68590호에도 벌크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쓰여지는 큰 가방형상을 한 운반용 포대가 기재되어 있는 바, 이러한 포대로는 수백킬로그램에서부터 수톤정도까지의 벌크물을 담아 운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포대는 대개 인양용 고리가 갖춰진 포대의 상단부나 바닥부분에다 로프를 걸어 끌어올리거나 또는 인양용 루프를 사용하지 않고 개방된 포대의 상부를 로프 같은 것으로 묶어 고리를 만들어 끌어올리도록 된 것이다. 또한, 서로 이음매로써 연결된 포대덮개의 양쪽끝부분을 묶어 고리를 만들어 이를 인양용 고리로 사용하도록 된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대에서는 인양용 고리에 이음대가 없어야 할 뿐만 아니라, 덮개와 바닥부가 이음대로 연결된 가요성 재질로 만들어지게 됨으로써 인양용 고리가 포대의 상부에 형성되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이 인양용 고리에 링크를 끼워 포대를 운반할 경우 내용물의 하중이 포대의 바닥부분에 집중되어 바닥부분이 파손될 염려가 크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벌크물 운반용 포장용기 및 포대를 개량하여 포대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여러종류의 벌크화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함에 있어 파손될 염려가 적은 벌크물 운반용 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포대의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의 내부부재의 개략평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 포대를 위에서 본 단면도.
제3(b)도는 종래의 포대를 위에서 본 단면도.
제4(a)도는 종래의 포대에 내용물이 채워져 끌어올려질때의 하중전달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b)도는 본 발명 포대에 내용물이 채워져 끌어올려질때의 하중전달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a) 내지 (f)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외부부재 12 : 내부부재
13 : 외부프레임 14 : 내부프레임
15 : 보강부재 16,17 : 공간부
19 : 접합부 20 : 인양고리
21 : 바닥부 24 : 모서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부재 내에 내부부재가 들어 있는 2중의 구조를 한 것으로, 이를 내부부재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면 내부부재의 외부프레임 길이가 외부부재의 내부프레임 길이보다 길어짐과 더불어 내부부재의 내부프레임 길이가 외부부재의 내부프레임 길이보다 짧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내부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외부부재의 각 프레임이 인장력을 받아 이 인장력이 외부부재의 각 모서리로부터 포대 전체에 작용하는 합력을 발생시켜, 이 합력이 내부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결국 내부부재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각 접합부들이 거의 힘을 받지 않는 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포대는 끌어올려질 때 바닥부분의 형태가 변하지 않게 되고, 포대의 벽제가 파손될 염려도 없게 됨으로써, 종래의 포대용 등에 비해 강성이 훨씬 커져 벌크화물을 운반하는 동안 파손될 위험이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포대를 쌓아놓게 될 경우에도 포대의 측벽제가 파손되어 화물이 쏟아지게 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적재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를 개략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외부부재(11)의 내부에 내부부재(12)가 들어 있는 2중의 구조를 하고 있는 바, 폭을 W, 길이를 L, 높이를 H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내부부재(12)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프레임(13)과 내부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고서 이들 내/외프레임(14,13) 사이에 공간부(17)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부프레임(14)의 안쪽에도 공간부(16)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내부부재(12)를 지지하도록 보강부재(1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3(a)도는 본 발명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를 위에서 본 단면도로서, 이 포대(10)는 외부부재(11)내에 외부프레임(13)과 내부프레임(14)을 갖춘 내부부재(12)가 배치된 구조를 하고서, 이들 내부부재(12)의 내/외프레임(14,13)이 부분적으로 상호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9는 이들 내/외프레임(14,13)의 접합부이고, 참조부호 24는 외부프레임(13)의 모서리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대와 본 발명에 따른 포대에 대해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의 포대내의 내부압력에 따른 포대의 저항력에 대해 실험을 하였다. 종래의 포대는 폴리에텐(polyethene=polyethylene)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용량이 1,250ℓ로 된 것을 시험용으로 사용한 결과, 2,000㎏의 내부압력에 대해 내부부재(12')가 10%이상 늘어났고, 내부압력을 2,400㎏까지 증가 시켰더니 외부부재(11')와 내부부재(12')의 이음매중 하나가 완전히 파손되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포대(10)는 외부부재(11)가 표준직조된 포대지로 만들어지고 내부부재(12)는 별도로 덮개와 바닥부재를 갖지 않는 구조를 한 것으로, 시험에 쓰인 포대(10)의 외부부재(11)의 프레임의 길이가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 길이보다 약 2%정도 짧게 된 것이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대(10)는 10,000㎏의 내부압력에 대해서도 단지 1% 정도만 늘어났는데, 이같이 큰 압력에도 외부부재(11)의 이음매들 중 단지 하나만 손상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포대(10)에 가해지는 내부압력(P1)은 외부부재(11)에 작용하는 인장력(F2)으로 받쳐지게 되고, 이 인장력(F2)은 제3(a)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외부부재(11)의 모서리부(2)로 모아져 합력(F3)을 유발시켜, 이 합력(F3)이 내부부재(12)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내·외부프레임(14,13)의 접합부(19)가 힘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로 되었다.
한편,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포대를 끌어올릴 때 포대에 작용한 동하중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제4(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포대(10')를 끌어올리면 하중이 인양용 고리(20')로부터 바로 내부부재의 접합부로 전달되어, 이 힘(F4')이 내부부재의 접합부에 화살표방향의 비틀림하중을 유발시키게 됨으로써 포대(10')가 파손될 염려가 클 뿐만 아니라, 포대(10')가 끌어올려지는 동안 하중을 받아 포대의 바닥부(21')가 둥글게 변형되어 포대(10')를 평탄한 지면상에다 내려놓더라도 바닥부(21')가 원래의 평탄한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게 됨으로써, 하역된 포대(10')의 적재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포대(10)는, 들어올릴 때 제4(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양용 고리로부터 전달되는 하중(F4)이 화살표방향으로 외부부재(11)의 바닥(21)으로 전달되어 내부부재(12)의 접합부(19)에 전혀 비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포대가 끌어올려지는 동안에도 외부부재(11)의 바닥부(21)가 평탄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하역되어 지면에 놓인 포대(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적재상태가 안정되게 되었다.
제5(a)도 내지 제5(f)도는 각각 내부에 화물이 담겨진 상태의 여러형태의 포대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포대가 얇은 포대지나 그물모양으로 직조된 것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라면 외부부재(11)의 벽체가 평평하게 유지되면서 모서리(23)만 둥글어지게 되는 반면, 포대를 만드는 재료가 다소 강성을 가진 재질로 된 것이라면 상기 모서리(23)가 둥글지 않은 형상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대는 벽체부가 평평한 평면형상을 하면서 정4각형 이나 직4각형 단면을 갖게 되므로, 정적 하중 및 동적 하중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가 있어서 내부부재(12)의 접합부(19)에 하중에 따른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대(10)에 내용물이 채워지면 내부부재(12)의 내부프레임(14)의 길이가 외부부재(11)의 외부프레임 길이보다 같거나 짧아지고,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의 길이가 외부부재(11)의 내부프레임 길이보다 같거나 길어지게 되어, 내부부재(12)가 외부부재(12)를 넘어가 휘어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과 내부프레임(14)의 접합부에(19)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프레임(13)과 내부프레임(14)을 연결하는 접합부(19)의 재질로는 어떤 것을 쓰더라도 좋은 바, 예컨대 망상직물이나 종이로 된 것을 자기접착성 테이프로 나무나 플라스틱에다 쉽게 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즉, 공지의 여러 가지 접합방법 중에서 각 재질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거나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대(10)내에 건조된 내용물이 담겨질 때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의 각 모서리부(24)에 위치한 접합부(19)가 반드시 덮혀져야 할 필요는 없는 바,왜냐하면 내용물이 담겨지는 동안 외부부재(11)가 상기 접합부(19)를 자연히 덮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은 내부부재(12)가 편평해지도록 쉽게 젖혀지게 되는 편리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포대(10)에서의 내부부재(12)가 국부적으로 외부부재(11)에 접합되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내부부재(12)가 외부부재(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내·외부부재(12,11)가 접합부에서 접합되도록 하느냐 여부와 숫자는 포대의 종류와 적용분야에 따라 선택할 수가 있다.
포대(10)의 외부부재(11)의 높이는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 내용물이 바닥부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적어도 포대 높이의 33%정도는 되어야 하지만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의 높이는 내용물이 완전히 채워졌을 때 적어도 포대(10) 높이의 33%는 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외부부재(11)의 내부프레임(14) 높이는 포대(10) 높이의 100%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부재(12)의 내부프레임(14) 높이는 적어도 포대(10) 높이의 33%정도는 되어야 하지만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내부부재(12)가 건조된 내용물을 담는데 사용될 경우에는, 내용물이 완전히 채워지면 내부부재(12)가 저절로 외부부재(11)에 압착시켜지게 되므로 포대(10)에 일부러 별도의 바닥부(21)와 덮개(22)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액상물이 담겨질 경우에는 적어도 내부부재(12)에 바닥부(21)는 갖추어져야 한다.
또, 본 발명 포대가 건조된 내용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대(10)의 단면 전체에 걸쳐 내용물이 채워지게 되는바,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을 외부프레임(13)과 내부프레임(14) 사이의 공간부(17)와의 내부프레임(14) 안쪽이 공간부(16)의 적어도 30%이상은 채워져야 한다는 점이다. 또, 액상물이 담겨질때는 내부부재(12)의 공간부(16,17)에만 액상물이 채워져야 하는데, 이 경우 내부부재(12)에는 바닥부(21)가 갖춰져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대는 여러 가지 다른 형상을 한 포대에도 응용되어 적용할 수 있는바, 특히 내부부재를 큰 가방형태의 포대의 내부부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내부부재의 형태가 둥글게 된 형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단지 앞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외부부재(11)안에 내부부재(12)가 내장된 2중 포대형식으로 되어 개별포장하지 않은 벌크화물을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하도록 된 포대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12)가 부분적으로 상호 접착되어지는 외부프레임(13)과 내부프레임(14)을 갖고서, 내용물이 채워지면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의 길이가 외부부재(11)내부프레임 길이보다 길어지게 되는 한편 내부부재(12)의 내부프레임(14)의 길이가 외부부재(11)의 내부프레임 길이보다 짧아지게 되어, 포대(10)에 작용하는 내부압력(P1)이 외부부재(11)의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F2)으로 되어 이 인장력(F2)이 외부부재(11)의 각 모서리부(24)에서 작용하는 합력(F3)을 이루게 됨으로써, 이 합력(F3)이 내부부재(12)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감쇄시켜 내부부재(12)의 내부프레임(14)과 외부프레임(13)의 접합부(19)에서는 거의 힘을 받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10)가 끌어올려질 때, 포대(10)에 작용하는 힘(F4)이 외부부재(11)의 바닥부(21)로 전달되어, 상기 포대(10)가 끌어올려진 다음 지면위에 놓여지면 포대(10)의 바닥부(21)가 거의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부재(11)의 높이가 내용물이 포대(10)의 바닥부(21)위에 쌓여져 채워졌을 때 적어도 포대(10) 높이의 33%이상이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12)의 외부프레임(13)의 높이가 적어도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의 포대(10) 높이의 33% 이상으로 됨과 더불어 외부부재(11)의 높이가 포대(10) 높이와 같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12)의 내부프레임(14)의 높이가 적어도 포대(10) 높이의 33%이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12)에 바닥부(21)가 설치되어 액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12)에 액상물이 담겨질 때 내부부재(12) 내부프레임(13) 안쪽의 공간부(16,17)에만 채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8. 제1항에 있어서, 포대(10)내에 건조된 내용물이 채워질 때, 이 포대(10)의 단면적 전체에 쌓여진 상태로 내부부재(12)의 공간부(16,17)의 30%이상이 채워져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12)가 부분적으로 외부부재(11)에 접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10)의 내부부재(12)가 부피가 큰 자루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운반용 포대.
KR1019900008610A 1989-06-06 1990-06-07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KR100188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892756 1989-06-06
FI892756A FI892756A (fi) 1989-06-06 1989-06-06 Foerpackning foer transport och lagring av massagods.
NL892756 1989-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87A KR910000487A (ko) 1991-01-29
KR100188806B1 true KR100188806B1 (ko) 1999-06-01

Family

ID=852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610A KR100188806B1 (ko) 1989-06-06 1990-06-07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071025A (ko)
EP (1) EP0401934B1 (ko)
JP (1) JP2915089B2 (ko)
KR (1) KR100188806B1 (ko)
AT (1) ATE81629T1 (ko)
AU (1) AU630190B2 (ko)
BR (1) BR9002630A (ko)
CA (1) CA2017731C (ko)
DD (1) DD300821A5 (ko)
DE (2) DE69000397T2 (ko)
DK (1) DK0401934T3 (ko)
ES (1) ES2035698T3 (ko)
FI (1) FI892756A (ko)
GR (1) GR3006046T3 (ko)
IE (1) IE64545B1 (ko)
IL (1) IL94572A0 (ko)
NO (1) NO179938C (ko)
NZ (1) NZ233890A (ko)
PT (1) PT94257B (ko)
RU (1) RU1836262C (ko)
TR (1) TR26806A (ko)
ZA (1) ZA9041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20200129689A (ko) 2019-05-09 2020-11-18 (주)티피에스코리아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0552A (nl) * 1990-03-09 1991-10-01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bulkgoed, fluida en dergelijke.
IE76456B1 (en) * 1990-09-11 1997-10-22 Christopher C Cuddy Bulk containers
NL9002520A (nl) * 1990-11-19 1992-06-16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bulkgoed, fluida en dergelijke.
NL9200130A (nl) * 1992-01-23 1993-08-16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met een relatief stijf, vormvast steunframe en een daarin aangebracht flexibel hulsdeel.
US6012266A (en) * 1992-03-10 2000-01-11 Upm-Kymmene Oy Method for packing bulk goods and a container for bulk goods
US5249670A (en) * 1992-03-11 1993-10-05 Jostens, Inc. Award recognition package
US5351849A (en) * 1993-03-12 1994-10-04 Eugene Jagenburg Container for free-flowing material
ATE206382T1 (de) * 1994-11-03 2001-10-15 Amcor Packaging New Zealand Lt Füllorgan für behälter
CA2191611C (en) * 1995-03-29 2001-10-23 Carl D. Ring Composite package for scoopable products
US5735429A (en) * 1995-11-15 1998-04-07 Willamette Industries, Inc. Container for bulk free flowing material
GB9524766D0 (en) * 1995-12-04 1996-02-07 Stone Michael G A container
US5871148A (en) * 1996-02-05 1999-02-16 Hafer; Harold Franklin Bulk box container with supporting side beams
US6004035A (en) * 1996-02-05 1999-12-21 Hafer; Harold Franklin Flexibl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side beams
GB9615271D0 (en) * 1996-07-20 1996-09-04 Lesa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ags from flexible plastics sheet
US7021524B1 (en) 1996-07-30 2006-04-04 Becker John W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perishable foods
US5820268A (en) * 1996-07-30 1998-10-13 Jotan, Inc. Insulated container for packaging perishable goods
US5897210A (en) * 1997-05-01 1999-04-27 Lever Brothers Company, Inc. Reclosable container
DE19749352B4 (de) * 1997-11-07 2012-05-24 Nittel Halle Gmbh Stabilisierter, kubischer, flexibler Behälter
US6010245A (en) * 1998-01-25 2000-01-04 Grayling Industries, Inc. Bulk ba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6287003B1 (en) * 1998-04-16 2001-09-11 Harold F. Hafer Flexible container with supporting side beams
CA2260588C (en) 1999-02-02 2003-12-23 William Shackleton Flexible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s
US6132351A (en) * 1999-05-28 2000-10-17 The Hudson-Sharp Machine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nternally-reinforced bag assembly
US6240709B1 (en) 1999-07-20 2001-06-05 Linpac, Inc. Collapsible bag for stacking and method thereof
US6203198B1 (en) * 1999-09-03 2001-03-20 B.A.G. Corp. Composite container for liquids
US6220755B1 (en) * 1999-12-09 2001-04-24 B.A.G. Corp.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having corner supports
US6331077B1 (en) * 2000-01-07 2001-12-18 Super Sack Mfg. Corp. Bulk bag for dense materials
US7794148B2 (en) * 2000-01-07 2010-09-14 Super Sack Mfg. Corp. Bulk bag for dense materials
US6565256B2 (en) 2000-01-07 2003-05-20 Super Sack Mfg. Corp. Bulk bag for dense materials
CA2410653C (en) 2000-05-30 2007-07-24 Amcor Packaging (New Zealand) Limited Plastics packaging
US20040211825A1 (en) * 2003-02-26 2004-10-28 Champion Robert D. Rectangular bin with octagonal inner walls
EP1510474A1 (en) 2003-08-27 2005-03-02 Gunner Schroll A flexible bag for containing bulk material
BE1017178A3 (nl) * 2004-11-18 2008-04-01 Combes Trading Nv Containerzak.
NL2005355C2 (en) * 2010-09-15 2012-03-19 Gambo Material Handling B V Bag, in particular for bag-in-box packaging.
US8678652B1 (en) 2011-05-24 2014-03-25 Bulk Lift International, Incorporat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bag container having corner baffles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US20150251799A1 (en) * 2014-03-10 2015-09-10 PaperWorks Industries, Inc. Product container and reinforcement for a product container
DE102014111001A1 (de) * 2014-07-09 2016-01-14 INDUTAINER GmbH Folieneinsatz für flexiblen Schüttgutbehälter und flexibler Schüttgutbehälter
KR102069871B1 (ko) 2018-08-22 2020-01-23 김경륜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119A (en) * 1957-04-15 1961-02-28 Parker Brooks O'c Portable container for liquids
US3145900A (en) * 1962-06-05 1964-08-25 St Joe Paper Company Reinforced container for bulk materials
FR1412328A (fr) * 1964-10-23 1965-09-24 Boîte empilable en carton
NL8601365A (nl) * 1986-05-28 1987-12-16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stortgoederen, poeders, korrels en dergelijke.
NL8700063A (nl) * 1987-01-13 1988-08-01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bulkgoed, fluida en dergelijke material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20200129689A (ko) 2019-05-09 2020-11-18 (주)티피에스코리아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02492D0 (no) 1990-06-05
FI892756A0 (fi) 1989-06-06
ATE81629T1 (de) 1992-11-15
US5071025A (en) 1991-12-10
JP2915089B2 (ja) 1999-07-05
IL94572A0 (en) 1991-03-10
IE901913L (en) 1990-12-06
AU630190B2 (en) 1992-10-22
DD300821A5 (de) 1992-08-06
CA2017731A1 (en) 1990-12-06
JPH03256847A (ja) 1991-11-15
EP0401934A1 (en) 1990-12-12
IE64545B1 (en) 1995-08-23
ZA904122B (en) 1991-03-27
AU5592790A (en) 1990-12-13
DE401934T1 (de) 1992-03-19
RU1836262C (ru) 1993-08-23
NO902492L (no) 1990-12-07
KR910000487A (ko) 1991-01-29
FI892756A (fi) 1990-12-07
EP0401934B1 (en) 1992-10-21
NO179938C (no) 1997-01-22
DK0401934T3 (da) 1992-11-16
ES2035698T3 (es) 1993-04-16
CA2017731C (en) 1997-07-01
NO179938B (no) 1996-10-07
DE69000397D1 (de) 1992-11-26
DE69000397T2 (de) 1993-03-11
TR26806A (tr) 1994-08-08
GR3006046T3 (ko) 1993-06-21
NZ233890A (en) 1992-09-25
PT94257A (pt) 1991-02-08
PT94257B (pt) 1997-05-28
BR9002630A (pt) 199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806B1 (ko)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JP2788028B2 (ja) 自由流動性流体などの材料のための容器
US5607237A (en) Bulk bag with lift straps
US5323922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US4499599A (en)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KR950000585B1 (ko) 화물용 자루 및 그의 형성방법
US7500786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4300608A (en) Self-raising strap loop
US4688979A (en) Strap support system for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s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US4830191A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US4166569A (en) Container
US4781473A (en) Large bag with lift straps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JP2730557B2 (ja) たわみ可能な中間ばら荷コンテナ
JPH0350071Y2 (ko)
EP0180379A2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US4453637A (en) Double compartment valve bag
KR200414979Y1 (ko) 로프 인양형 벌크 백의 보강구조
GB209858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ulk containers
US4781470A (en) Flexible container with separate lifting area
JPH057190Y2 (ko)
GB2185732A (en) Container
KR0116455Y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621

Effective date: 2005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121

Effective date: 2005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