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970B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970B1
KR101966970B1 KR1020180123919A KR20180123919A KR101966970B1 KR 101966970 B1 KR101966970 B1 KR 101966970B1 KR 1020180123919 A KR1020180123919 A KR 1020180123919A KR 20180123919 A KR20180123919 A KR 20180123919A KR 101966970 B1 KR101966970 B1 KR 10196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elt
reinforcing
side wall
wall portion
contain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8012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65D88/1687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forks of a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Abstract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용물이 충적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하측이 개구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개구된 상측의 단부 테두리부를 하향 절곡하여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가 구비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상벽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인양벨트; 및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외부보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가 중첩되어 일체로 재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의 내용물을 충적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이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이 충적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컨테이너 백은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운반되고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이러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직조한 형태로 제조되며, 이렇게 제조된 컨테이너 백은 수송작업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인장력이 요구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백(A,B)은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측벽부(1), 상벽부(2) 및 하벽부(3)를 포함하는 본체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벽부(2)와 하벽부(3)에는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충적 및 배출하기 위한 투입부(2a) 및배출부(3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의 각 모서리부(1a) 좌우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인양벨트(4)가 재봉되어 부착된다. 상세히, 상기 인양벨트(4)는 양단부(4b)가 상기 모서리부(1a)의 좌우 양측에 부착됨에 따라 중앙부(4a)가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경우에 따라 상기 인양벨트(4)의 양단부(4b) 외측으로는 보강편(5)이 상기 측벽부(1)의 상단부 외측을 따라 박음질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백(A,B)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인양벨트(4)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쉽게 뜯겨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양벨트(4)의 외측으로 보강편(5)이 구비되더라도, 상기 인양벨트(4)와 상기 보강편(5)이 교차되는 부분(e)에 하중이 집중된다. 이는, 상기 인양벨트(4)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뜯겨 나가거나, 상기 교차되는 부분(e)의 본체부가 찢어지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로 인해, 인양 중인 컨테이너 백이 낙하되어 충적된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외부로 유실되어 심각한 경제적인 손상이 발생하고, 낙하된 컨테이너 백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더욱이, 충적된 내용물이 독성, 유해성 물질일 경우 주변 환경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이 충적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하측이 개구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가 구비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상벽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인양벨트; 및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외부보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가 중첩되어 일체로 재봉되고,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이중으로 중첩된 중첩폭과 상기 외부보강덮개의 세로길이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가 겹쳐지는 겹침폭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측벽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보강덮개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를 동시에 커버하되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내측 경계까지의 간격이 기설정된 제1간격에 대응되고, 상기 외부보강덮개의 양단부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외곽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외측경계로부터 기설정된 제2간격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하되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벽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개구된 하측의 단부 테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하벽부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체결부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가 일체로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외부보강덮개는 상기 측벽부의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말단부 테두리를 상향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외부보강덮개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 사이에 삽입되어 동시에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인양시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인양벨트의 양단부가 이중의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와 외부보강덮개 사이에 실질적으로 감싸지도록 중첩된 상태에서 3개의 부재가 일체로 재봉되므로 측벽부의 파손 내지 인양벨트의 단락을 방지하여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 및 내용물의 손실, 작업지연 등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는 단지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의 하향 절곡하여 이중으로 형성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측벽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저강도의 저렴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고강도의 고가의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컨테이너 백과 대응되는 인양강도를 제공받을 수 있어 제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면적의 외부보강덮개를 아우르도록 형성된 재봉라인을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분산되어 인양강도가 향상되면서도, 상기 인양벨트의 장력과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외측을 상기 외부보강덮개가 커버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더욱 개선된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C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D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2의 C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C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은 내용물을 충적할 수 있는 저장공간(g)이 형성되도록 측벽부(10), 상벽부(20) 및 하벽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10)의 상측에는 인양벨트(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은 내용물이 충적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공간(g)에 최대한 많은 양이 충적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테이너 백(100)은 외형 변경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 백(100)은 천연섬유재질 내지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g)에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도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외형 및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내측에는 방수 기능을 갖는 비닐류 등으로 제작된 내피(이너라이너)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이 다중포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g)은 곡물, 구황작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광물질, 시멘트 등의 분체류 내지 화학물질과 같은 다양한 내용물이 충적되며 상기 측벽부(10), 상기 상벽부(20) 및 상기 하벽부(30)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10)는 상하측이 개구되며, 상기 저장공간(g)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측벽부(10)의 단면형상은 원형 내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을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시, 상기 컨테이너 백(100) 간의 공극률이 감소되어 적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10)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모서리부(10c)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부(10c)에 의해 복수개의 측벽(10a,10b)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측벽(10a,10b)은 복수개로 재단된 직물지의 양단부를 재봉 또는 열융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체로 연장된 단일의 직물지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저장공간(g)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10)가 단일의 직물지로 구비될 경우 상기 모서리부(10c)에 해당되는 기설정된 간격마다 직각으로 절곡함에 따라 각각의 측벽(10a,1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10)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봉 또는 열융착으로 연결된 부분이나 절곡된 부분은 상기 모서리부(10c)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부(10c)는 도면에서와 같이 협소한 꼭지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완만한 곡선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측벽(10a,10b)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각도로 꺾여 구분되는 경계부분을 상기 모서리부(10c)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상벽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벽부(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장공간(g)으로 유입되도록 투입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벽부(2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상측 체결부(20b)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체결부(20b)는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상측과 열융착 내지 재봉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내측으로 상기 내용물을 채운 후 상기 저장공간(g)을 밀폐하도록 상기 투입부(20a)의 외면을 조여 밀폐하는 조임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투입부(20a)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상벽부(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공에 열융착 혹은 재봉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상벽부(20)와 상기 투입부(20a)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하측에는 상기 하벽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벽부(30)의 중앙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장공간(g)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배출부(3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벽부(2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하측 체결부(도4의 30b)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체결부(30b)는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하측과 열융착 내지 재봉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30a) 역시 상기 투입부(20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공간(g)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조임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공간(g)은 상기 측벽부(10), 상기 상벽부(20) 및 상기 하벽부(30)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내측의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입부(20a)와 상기 배출부(30a)에 구비된 조임끈을 조여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거나,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 상기 조임끈을 풀거나 상기 배출부(30a) 주변을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벽부(30)에는 상기 배출부(30a)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하벽부(30)를 절개하여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투입부(20a)와 상기 배출부(30a)는 상술한 조임끈 외에도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열융착하거나 재봉하여 봉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인양벨트(40)는 상하측이 상기 상벽부(20)와 상기 하벽부(30)로 각각 커버된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40)가 이격된 간격은 각각 균등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쌍씩 상호 대칭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양벨트(40)가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의 인양수단에 걸린 상태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양벨트(40)는 기설정된 폭(40w)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끈 내지 벨트 형태로 형성되며, 양단부(40b)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됨에 따라 중앙부(40a)가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을 운반시 상기 인양수단에 걸어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모서리부(10c)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인양수단에 상기 인양벨트(40)의 고리형 중앙부(40a)가 손쉽게 삽입 및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하중이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인양 및 운반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양벨트(40)가 상기 측벽부(10) 상단부에 결합된다 함은 상기 인양벨트(40)가 상기 측벽부(10)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양벨트(40)가 결합된다 함은 상기 인양벨트(40)가 고정됨 내지 연결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상측에는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가 포함되며,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10)의 외측에는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와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상기 외부보강덮개(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50)는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일체로 재봉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이중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가 상기 측벽부(1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인양벨트(40)가 결합되는 부분의 내구성 및 지지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을 인양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결합된 주변의 측벽부(1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는 상기 측벽부(10)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의 중첩폭(L1)은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의 겹침폭(L2)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첩폭(L1)이라 함은 상기 측벽부(10)의 상측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이중으로 형성되는 영역의 총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겹침폭(L2)이라 함은 상기 인양벨트(40)가 상기 측벽부(10)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겹쳐지는 영역의 총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첩폭(L1)이 상기 겹침폭(L2)보다 크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가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전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측으로 상기 외부보강덮개(50)가 중첩되되,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세로길이 역시 상기 겹침폭(L2)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는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와 상기 외부보강덮개(50) 사이에 실질적으로 삽입된 형태로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50) 순으로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재봉사(51)로 재봉하되,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아울러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봉사(51)를 이용한 재봉방법은 다이아몬드 재봉방법 내지 지그재그 재봉방법을 예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봉방법은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아우름으로써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폭(40w)보다 넓은 면적으로 재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을 인양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연결된 결합부(k)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재봉사(51)가 재봉된 라인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백(100)에 충적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인양벨트(40)의 분리 내지 상기 측벽부(10) 상단부의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백(100)은 상기 중첩폭(L1)이 상기 겹침폭(L2)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에 집중되는 하중을 더욱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0)는 상기 측벽부(10)의 상측 테두리가 중첩되도록 절곡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부(k)가 다중층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양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강도라 함은 상기 컨테이너 백(100)에 충적된 내용물의 하중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k)가 분리 내지 파손되지 않고 유지되는 강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측벽부(10)가 1600데니어에 경사 14목, 위사 14목으로 제조된 직물지로 제조된 경우,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측은 3200데니어에 경사 28목, 위사 28목인 직물지과 대응되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벽부(10)가 1400데니어에 경사 13목, 위사 12목으로 상술한 직물지보다 낮은 강도의 직물지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측은 실질적으로 2800데니어에 경사 26목, 위사 24목인 직물지와 대응되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 백(100)이 강도가 다소 낮은 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더라도, 상기 인양벨트(40)가 결합되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단측이 이중으로 중첩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로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는, 저강도의 저렴한 직물지를 사용하더라도 고강도의 고가의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컨테이너 백과 대응되는 강도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0)는 공간효율 및 적재효율이 최대화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는 상기 측벽부(10)의 각 모서리부(10c)의 양측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보강덮개(50)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에 결합되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양단부(50y)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측경계(40y)의 외곽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부보강덮개(50),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및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는 순차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재봉사(51)를 이용하여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봉사(51)를 이용한 재봉방법은 상술한 다이아몬드식 및 지그재그식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봉사(51)를 이용하여 재봉시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면적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따라 재봉라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테이너 백(100)에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 인양시,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면적을 아울러 형성된 상기 재봉라인으로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에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하중이 집중됨에 의한 상기 인양벨트(40)의 단락을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이 개선되며 작업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k) 주변 영역이 상기 외부보강덮개(50)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의 중첩된 두께만큼 두껍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1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양벨트(40)가 상기 측벽부(10)에 직접적으로 재봉되어 결합되면서도, 상기 외부보강덮개(50)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가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삽입된 상태에서 동시에 재봉됨에 의해 간접적인 결합력 또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양벨트(40)에 작용하는 장력과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중력이 집중되는 상기 결합부(k) 외측을 상기 외부보강덮개(50)가 견고하게 고정시켜 더욱 향상된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양벨트(40)는 상기 측벽부(10)의 각 모서리부(10c)로부터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내측경계(40x)까지의 간격이 기설정된 제1간격(w1)에 대응하여 대칭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보강덮개(50)의 양단부(50y)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측경계(40y)로부터 기설정된 제2간격(w2)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w2)은 상기 인양벨트(40)의 단면폭(40w)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내측경계(40x)라 함은 상기 측벽부(10)에 상기 인양벨트(40)가 결합시 상기 모서리부(10c)와 인접한 일측 길이방향 테두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측경계(40y)라 함은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내측경계(40x)와 대향되는 타측 길이방향 테두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부보강덮개(50)는 상기 인양벨트(40)의 겹침폭(L2)보다 세로폭이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와 상기 외부보강덮개(50) 사이에 중첩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는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와 상기 외부보강덮개(50) 사이에 실질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동시에 재봉되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w2)이 상기 인양벨트(40)의 단면폭(40w)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재봉라인을 따라 하중이 분산되는 면적이 충분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인양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제2간격(w2)이 상기 인양벨트(40)의 단면폭(40w)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인양강도의 크기는 크게 증가하지 않으나 상기 외부보강덮개(50)를 제조하기 위한 불필요한 재화가 낭비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간격(w2)이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충분한 인양강도를 제공받으면서도 재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w2)이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과 대응된다 함은 상호 간격이 일치함에 국한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의 80~120% 범위 사이에서 설정됨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간격(w1)도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간격(w1)이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보다 작은 폭으로 이격될 경우,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상기 모서리부(10c)와 과도하게 인접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모서리부(10c)의 상단측으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하중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간격(w1)이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보다 큰 폭으로 이격될 경우, 상기 인양수단이 삽입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불필요하게 긴 길이의 끈 내지 벨트가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간격(w1)은 상기 인양벨트(40)의 가로폭(40w)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모서리부(10c)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재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도 2의 D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10)에는 개구된 하측의 단부 테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12)가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벽부(3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하측 체결부(30b)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12)가 일체로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10)는 상기 개구된 상측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된 하측 역시 이중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벽부(30)와 상기 측벽부(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도 상기 컨테이너 백(100)을 안정적으로 인양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5는 도 2의 C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와 외부보강덮개를 제외한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보강덮개(211a)는 상기 측벽부(210)의 상측 테두리 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211)의 말단부 테두리를 상향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는 상기 외부보강덮개(211a)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211) 사이에 삽입되어 동시에 재봉될 수 있다.
즉, 단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를 다중으로 절곡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내외측을 동시에 커버하는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211)와 상기 외부보강덮개(211a)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직물지를 재단하고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키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으므로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211)와 상기 외부보강덮개(50,211a) 사이에 삽입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를 동시에 재봉시 재봉사가 재봉되는 면적을 선택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인양강도를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도 3b의 k)로부터 양측으로 넓은 면적으로 재봉라인이 형성될 경우, 하중이 상기 재봉라인을 따라 분산되어 인양강도가 증가하므로 고하중의 내용물을 충적시에도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높은 인양강도를 요구하지 않는 내용물을 충적시에는 상기 결합부(도 3b의 k)로부터 양측으로 좁은 면적으로 상기 재봉라인이 형성되면 되므로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은 인양시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가 이중의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와 외부보강덮개(50) 사이에 실질적으로 감싸지도록 중첩된 상태에서 3개의 부재가 일체로 재봉된다. 이를 통해, 상기 측벽부(10)의 파손 내지 인양벨트(40)의 단락을 방지하여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 및 내용물의 손실, 작업지연 등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11)는 단지 측벽부(10)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의 하향 절곡하여 이중으로 형성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측벽부(1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강도의 저렴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고강도의 고가의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컨테이너 백과 대응되는 인양강도를 제공받을 수 있어 제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측으로 연장되는 면적의 외부보강덮개(50)를 아우르도록 형성된 재봉라인을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분산되어 인양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양벨트(40)의 장력과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중력이 집중되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40b) 외면측을 상기 외부보강덮개(50)가 커버하여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더욱 개선된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10)의 하단부 역시 이중으로 일체로 형성된 상기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하벽부(30)의 상기 하측 체결부(30b)와 일체로 재봉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10)와 상기 하벽부(30)가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측벽부 11 :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
20 : 상벽부 30 : 하벽부
40 : 인양벨트 50 : 외부보강덮개
100 : 컨테이너 백

Claims (5)

  1. 내용물이 충적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하측이 개구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가 구비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상벽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인양벨트; 및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외부보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가 중첩되어 일체로 재봉되고,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이중으로 중첩된 중첩폭과 상기 외부보강덮개의 세로길이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가 겹쳐지는 겹침폭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측벽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보강덮개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를 동시에 커버하되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내측 경계까지의 간격이 기설정된 제1간격에 대응되고, 상기 외부보강덮개의 양단부는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외곽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 외측경계로부터 기설정된 제2간격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하되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벽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개구된 하측의 단부 테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하벽부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체결부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가 일체로 재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보강덮개는 상기 측벽부의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의 말단부 테두리를 상향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양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외부보강덮개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보강부 사이에 삽입되어 동시에 재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KR1020180123919A 2018-10-17 2018-10-17 컨테이너 백 KR10196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19A KR101966970B1 (ko) 2018-10-17 2018-10-17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19A KR101966970B1 (ko) 2018-10-17 2018-10-17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970B1 true KR101966970B1 (ko) 2019-04-08

Family

ID=6616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919A KR101966970B1 (ko) 2018-10-17 2018-10-17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861A (ko) 2020-08-10 2022-02-18 주식회사 부강 컨테이너 백
KR20220030053A (ko) * 2020-09-02 2022-03-10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20220111458A (ko) * 2021-02-02 2022-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101377055B1 (ko) * 2013-10-04 2014-03-25 최용덕 컨테이너백
KR20140067504A (ko) * 2012-11-26 2014-06-05 유한회사 에이치지티 톤백
KR20180094549A (ko) * 2017-02-16 2018-08-24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140067504A (ko) * 2012-11-26 2014-06-05 유한회사 에이치지티 톤백
KR101377055B1 (ko) * 2013-10-04 2014-03-25 최용덕 컨테이너백
KR20180094549A (ko) * 2017-02-16 2018-08-24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861A (ko) 2020-08-10 2022-02-18 주식회사 부강 컨테이너 백
KR20220030053A (ko) * 2020-09-02 2022-03-10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2426062B1 (ko) * 2020-09-02 2022-07-26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20220111458A (ko) * 2021-02-02 2022-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559833B1 (ko) 2021-02-02 2023-07-27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3162B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JPH0880994A (ja) 袋容器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20130103556A (ko)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EP3105149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
GB1581438A (en) Containers
GB2130172A (en) Flexible bulk container
WO2011151661A1 (en) Large-volume packing container for bitumen
US11292664B2 (en) Flexible large container with a seam-free useful space
KR200455252Y1 (ko) 포대
SK278368B6 (en) Flexible container
KR200414979Y1 (ko) 로프 인양형 벌크 백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