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556A -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556A
KR20130103556A KR1020137012961A KR20137012961A KR20130103556A KR 20130103556 A KR20130103556 A KR 20130103556A KR 1020137012961 A KR1020137012961 A KR 1020137012961A KR 20137012961 A KR20137012961 A KR 20137012961A KR 20130103556 A KR20130103556 A KR 2013010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andle
container
wire
wir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에이 카로시아
바이드야나스 바라타 라잔
Original Assignee
링컨 글로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컨 글로벌, 인크. filed Critical 링컨 글로벌,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0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이 용기(14) 및 가방(12)을 포함한다. 용기(14)는 용기 수용공간(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측벽(26)을 포함한다. 측벽은 제1 손잡이 구멍 및 제2 손잡이 구멍을 형성한다. 가방은 와이어 더미를 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가방은 용기 수용공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본체,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체(18)는 와이어 수용공간(24)을 형성한다. 제1 손잡이는 본체와 연결되고, 제1 손잡이 구멍을 통과하는 경로를 갖는다. 제2 손잡이(22)는 본체(18)와 연결되고 제2 손잡이 구멍(42)을 통하는 경로를 갖는다.

Description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와이어 수용 구조물(wire containment structure)은 용기(container) 및 가방(bag)을 포함한다. 가방은 용기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 수용 구조물의 리프팅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handle)를 포함한다.
와이어 더미(wire stack)가 와이어 수용 구조물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 구조물은 와이어 수용 구조물을 이용한 와이어 더미의 리프팅 및/또는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종래의 한 구조에서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이 카드보드 박스(cardboard box)와 같은 강성 외부 용기(rigid outer container)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가방이 강성 외부 용기 내에 제공되고, 와이어 더미는 가방 내에 제공된다. 가방은 습기가 와이어 더미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와이어 더미 위에서 폐쇄된다. 리프팅 끈(lifting strap)이 강성 외부 용기와 가방 사이에 개재되도록 가방의 아래를 지나는 경로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리프팅 끈은 가방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된다. 리프팅 끈은 강성 외부 용기의 양 측벽을 통과하는 경로를 갖는 두개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손잡이를 이용한 와이어 수용 구조물 및 와이어 더미의 리프팅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리프팅 끈이 가방으로부터 분리되므로, 가방이 끈으로부터의 쓸림(chafing)으로 인해 악화되기 쉽다. 또한, 가방으로부터 별개인 리프팅 끈을 이용하는 것은 어떤 안전 및/또는 운송 표준에 맞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을 요구할 것이며, 그 것은 실행하기에 시간소모적이고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수용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 및 제14항에 따른 와이어 수용 구조물 및 제8항에 따른 용기를 갖는 장치가 개시된다. 종속항들로부터 양호한 해법들이 얻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수용 구조물이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한다. 용기는 용기 수용공간(container receptacle)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측벽(sidewall)을 포함한다. 측벽은 제1 손잡이 구멍(handle aperture) 및 제2 손잡이 구멍을 구성한다. 가방은 와이어 더미를 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가방은 용기 수용공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본체(body),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체는 와이어 수용공간(wire receptacle)을 구성한다. 제1 손잡이는 본체와 연결되고, 제1 손잡이 구멍을 통과하는 경로를 갖는다. 제2 손잡이는 본체와 연결되고, 제2 손잡이 구멍을 통과하는 경로를 갖는다. 본체,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는 원피스 구성(one-piece construction)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명세서가 이 발명을 자세하게 드러내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로 끝맺어지지만,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이루어진 다음의 기술로부터 그 것들이 더 잘 이해될 것이라고 생각되며: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라 용기, 가방, 내부 지지 부재, 및 뚜껑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와 연계하여 와이어 더미를 도시하는 분해 투시도이고;
도 2는, 와이어 더미가 가방 내에 배치된, 도 1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의 조립도이며;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의 가방의 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의 가방의 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에 비추어,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기술되며, 유사한 숫자는 도면의 전반에 걸쳐 동일 또는 대응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은 가방(12) 및 용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방(12)은 본체(18), 및 본체(18)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방(12)의 본체(18)는 와이어 수용공간(24)을 구성할 수 있다. 용기(14)는 용기 수용공간(30)을 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측벽(26) 및 바닥부(floor portion)(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방(12)은, 가방(12)의 본체(18)가 용기(14) 안에 덧대어지도록, 용기 수용공간(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방(12)의 본체(18)는 상부(upper portion)(32) 및 하부(lower portion)(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18)의 상부(32)는 용기(14) 너머로 연장할 수 있고, 용기(14)의 상단 위에서 접힐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방(12)의 본체(18)가 용기(14)의 바닥부(28)와 와이어 더미(36) 사이에 개재된 채로 와이어 더미(36)가 용기(14)의 바닥부(28)에 안착하도록, 와이어 더미(36)가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내에(예를 들어, 가방(12)의 와이어 수용공간(24) 속에)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더미(36)는 와이어 권선 더미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와이어 스풀(wire spool) 또는 와이어 번들(wire bundle)과 같은 다양한 다른 와이어 더미 중 어느 것이든 될 수 있다. 용기(14)의 상단 위로 가방(12)의 상부(32)를 접음으로써,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속에 와이어 더미(36)를 적재하는 동안에 가방(12)이 용기(14)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뚜껑(lid)(37)이 가방(12) 및 용기(14)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용기(14) 및 뚜껑(37)은 카드보드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4) 및 뚜껑(37)이 정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적절한 다양한 형상 중 어느 것이든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더미(36)가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내에 제공되면, 용기(14)는,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운송 중에) 와이어 더미(36)에 접촉하고 손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및 다른 재료로부터 와이어 더미(36)를 보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용기(14)가 다수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들을 서로의 위에 쌓을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게 뻣뻣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방(12), 용기(14), 및 뚜껑(37)이 습기가 와이어 수용공간(24) 속으로 들어가서 와이어 더미(36)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력하도록, 가방(12)의 상부(32)가 용기(14)와 뚜껑(37)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습기가 와이어 더미(36)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용기(14)를 뚜껑(37)으로 덮기 전에, 가방(12)의 상부(32)가 한데 모아져서 밀봉(예를 들어, 금속 클립으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이 내부 지지 부재(39)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더미(36)가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내에 제공될 때, 내부 지지 부재(39)가 와이어 더미(36)의 둘레에 제공되어 내부 지지 부재(39)가 와이어 더미(36)와 가방(12) 사이에 개재되게 할 수 있다. 내부 지지 부재(39)는 와이어 더미(36)를 둘러쌀 수 있고, 따라서, 와이어 더미(36)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지지 부재(39)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운송 중에 와이어 더미(36)가 변위 및/또는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더미(36)의 주위를 따라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서, 내부 지지 부재(39)는, 뚜껑(37)에 대해 부가적인 하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예를 들어, 와이어 수용 구조물들이 서로의 위에 쌓여질 때 더 효과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용기(14)의 바닥부(28)와 뚜껑(37)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내부 지지 부재(39)는 카드보드, 써모플라스틱(thermoplastic), 또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다양한 재료들 중 어느 것으로든 형성되는 강성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지지 부재가 8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내부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은 대안적으로 적절한 다양한 형상 중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14)의 측벽(26)은 복수의 벽 창(wall windows)(50)을 구성할 수 있고, 가방(12)은 복수의 가방 창(bag windows)(52)을 구성할 수 있으며, 내부 지지 부재(39)는 복수의 지지 창(support windows)(54)을 구성할 수 있다. 가방(12) 및 내부 지지 부재(39)가 용기(14) 내에 배치될 때, 벽 창(50)의 각각은 가방 창(52) 및 지지 창(54)의 제각각 하나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와이어 수용 구조물(10)를 통하여 복수의 조망창(viewing windows)(56)(도 2)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더미(36)가 조망창(56)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벽 창(50) 및 지지 창(54)이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가방 창(52)은, 가방 창(52)에 의해 가방(12)의 완전성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가방(12)의 본체(18)의 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라미네이션(lamination)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더미(36)의 높이가 용기(14)의 내부를 보기 위해 뚜껑(37)을 제거할 필요 없이 판단될 수 있도록 조망창(56)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네개의 조망창(56)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가방, 내부 지지 부재, 및 용기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다양한 위치들 중 어디에든 와이어 더미를 위한 어떤 수의 조망창이든 형성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음도 알 것이다.
용기(14)의 측벽(26)은 제1 손잡이 구멍(40) 및 제2 손잡이 구멍(42)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방(12)의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상향 리프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구멍(40, 42)을 통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가방(12)의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포크리프트(forklift)(도시 안됨), 크레인(crane)(도시 안됨), 또는 다른 적절한 대안적 리프팅 장치에 의한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리프팅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각각의 제1 및 제2 고리 단부(looped end)(44, 4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크리프트로부터의 포크(forks)가 제1 및 제2 고리 단부(44, 46) 속에 제공될 수 있고,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은 포크를 리프팅함으로써 리프팅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 구조물(10)를 리프팅 하기 전에, 제1 및 제2 고리 단부(44, 46)는, 그들이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도록, 용기(14)의 외측을 따라 제공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다수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이 제공되면(예를 들어, 저장시설에서), 포크의 폭이 제1 및 제2 고리 단부(44, 46)의 위치에 알맞게 설정될 수 있다. 조작자는 포크를 재조절하기 위해 포크리프트로부터 내리지 않고도 와이어 수용 구조물(예를 들어, 10)의 각각을 리프팅 및 이동시킬 수 있고, 그럼으로써 조작자가 시간을 절감하고 위험을 줄이게 한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제각각의 제1 및 제2 손잡이 구멍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다양한 손잡이 배열 중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22)에 의한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리프팅은 와이어 더미(36)의 무게가 가방(1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이 제1 및 제2 손잡이(20, 22)에 의해 리프팅될 때,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와이어 더미(36)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가방(12)의 본체(18)를 당겨 가방(12)이 와이어 더미(36)를 위한 실질적으로의 하부 지지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방(12)은 와이어 더미(36)의 리프팅 중에 제1 및 제2 손잡이(20, 22)에 의해 와이어 더미(36)를 지지하도록(예를 들어, 찢어짐, 째짐 또는 파손 없이)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가방(12)은, 하중에 대해 요구되는 승인된 업계 표준에 맞는 두께를 갖는 예를 들어, 직조된 폴리프로필렌 시트와 같은, 와이어 더미(36)의 전체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약 0.01인치 내지 약 0.03인치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더 특정하게는, 약 0.015인치 내지 약 0.020인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본체(18),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22)는 원피스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방(12)은 마주하는 엣지를 갖는 패턴으로 절단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는 연속적인 재료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연속적인 재료 시트의 엣지는 가방(12)의 본체(18)를 형성하기 위해 재봉, 열접(heat welding)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손잡이(20) 및 제2 손잡이(22)는 가방(12)의 본체(18)와 연결되어, 절단 또는 가열 등을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손잡이(20, 22)가 본체(18)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재봉 또는 열접을 통해 본체(18)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예를 들어, 제조 중에,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를 가방(12)의 본체(18)와 섞어 짬으로써, 가방(12)의 본체(18)를 형성하는 재료와 일체로 직조될 수 있다. 그러나, 가방(12)은, 본체,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원피스 구성으로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다른 적절한 배열 중 어느 것이든 갖고 대안적으로 적절한 다양한 재료 중 어느 것이든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가방(112)이 보강 끈(reinforcement strap)(141)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방(112)은 많은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가방(12)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방(112)은 본체(118), 제2 손잡이(120), 및 제1 손잡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끈(141)은 가방(112)에 대해 부가적 리프팅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가방(112)의 본체(118)의 아래로 연장할 수 있다. 본체(118), 제1 손잡이(120), 제2 손잡이(122), 및 보강 끈(141)은 원피스 구성으로서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방(112)은, 가방(12)에 관해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일의 재료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끈(141)은 가방(112)의 본체(118)와 일체인 더 두꺼운 재료의 스트립(strip)으로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손잡이(120, 122)의 사이로 가방(112)의 본체(118)를 따르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보강 끈(141)은 가방(112)의 본체(118)와 함께 일체로 직조될 수 있다. 와이어 더미(예를 들어, 36)가 가방(112) 속에 제공될 때, 보강 끈(141)은 와이어 더미의 아래에 있다. 가방(112)이 제1 및 제2 손잡이(120, 122)에 의해 리프팅 될 때, 와이어 더미의 무게는 보강 끈(141)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탱될 수 있다. 가방(112)의 본체(11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18)처럼 많은 지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그러므로, 더 얇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가방(112)의 비용 및 제조 시간을 개선한다. 도 4의 가방(112)이 8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보강 끈을 갖는 가방은 직사각형인 것과 같은 다양한 구성 중 어느 것으로든 형성될 수 있음(예를 들어, 가방(12)과 유사하게)을 알 것이다.
와이어 수용 구조물은 종래의 어떤 플렉서블 인터미디에이트 벌크 용기(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배열보다 더 효과적인 와이어 더미의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FIBC는 유연한 본체의 상부 개구의 둘레에 고르게 이격된 네개의 고리형 손잡이를 갖는 유연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종래의 FIBC는 예를 들어, 모래, 비료, 또는 펠릿 플라스틱인 알갱이 물질로 채워진 후, 고리형 손잡이로 리프팅(예를 들어, 포크리프트에 의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FIBC는, 유연한 본체가 와이어 더미를 위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와이어 더미를 운송하기에는 비효과적이다. 와이어 더미를 보호하기 위해 종래의 FIBC를 강성 용기로 보강하는 것은 어렵고, 종래의 FIBC의 완전성을 해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성 용기 내에 느슨하게 제공된 종래의 FIBC는 강성 용기 속으로 쓰러져 내리기 쉬울 것이고, 그럼으로써, 종래의 FIBC의 리프팅 전에 강성 용기로부터 종래의 FIBC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FIBC 속에 와이어 더미를 적재하기 전에 종래의 FIBC가 강성 용기와 적절히 정렬하지 않으면, 고리형 손잡이는 강성 구조물에 대해 적절히 정렬되지 않을 수 있고, 강성 구조물 속으로 쓰러져 내릴 수도 있을 것이다. 접근하는 포크리프트는, 손잡이를 먼저 회수하지 않고 강성 구조물과 위험하게 접촉하지 않은 채, 고리형 손잡이 속으로 포크를 미끄러 넣기가 곤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강성 용기는 종래의 FIBC가 강성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분리 가능한 패스너 또는 접착제에 의하는 것과 같이 종래의 FIBC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FIBC를 강성 구조물에 이렇게 부착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들고 시간소모적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FIBC가 고리형 손잡이로 리프팅될 때, 강성 용기는 FIBC를 당기거나 및/또는 긴장시킬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FIBC의 완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은, 단지 종래의 FIBC를 강성 용기와 조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와이어 더미(예를 들어, 36)를 리프팅 및/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구멍(40, 42)을 통하는 제1 및 제2 손잡이(20, 22)의 경로를 가지면, 용기(14)는 가방(12)의 완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방(12)을 용기(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이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로 리프팅될 때,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용기(14)가 가방(12)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방(12)에 대해 용기(14)를 유지할 수 있다. 가방(12)은,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리프팅 중에 용기(14)가 와이어 더미(36)에 대해 아무런 하부 지지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므로, 와이어 더미(36)의 무게를 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멍(40, 42)을 통하는 제1 및 제2 손잡이(20, 22)의 경로를 갖는 것은 가방(12)이 용기(14) 내에 적절히 배치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 22)는,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들이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도록 용기(14)의 외측을 따라 일관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어떤 종래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 배열에서는, 가방이 와이어 더미를 리프팅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습기 차단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배열에서는, 와이어 더미의 리프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리프팅 끈은 가방 아래로의 경로를 갖는다. 가방(12)과 용기(14) 사이로 리프팅 끈의 경로를 형성하는 대신에 와이어 더미(36)를 리프팅 및 지지하기 위해 가방(12)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의 전반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가방(12)은, 다른 방식에 의한 것이라면 리프팅 끈으로 와이어 더미를 리프팅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쓸림에 덜 민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방(12)이 용기(14) 속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손잡이(20, 22)가 제1 및 제2 손잡이 구멍(40, 42)을 통하는 경로를 가지면,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가방(12)을 적절하게 배향하도록 당겨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종래의 와이어 수용 구조물 속에 와이어 더미가 제공되기 전에, 와이어 더미의 무게가 리프팅 끈의 전반에 걸쳐 적절히 분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리프팅 끈은 가방의 아래에 정렬되어야 한다. 와이어 더미가 리프팅 끈으로 리프팅되면, 리프팅 끈은 와이어 더미의 아래의 위치를 벗어나서 이동하기 쉽고, 그럼으로써, 와이어 더미가 운송 중에 넘어질 우려가 커진다. 리프팅 끈은 와이어 더미의 운반이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웹드 스트랩(webbed strap)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래서 커지고 비싸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방(12)은 리프팅 끈보다 더 효과적으로, 좀더 시간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와이어 더미를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 더미(36)가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속에 제공되면, 가방(12)의 본체(18)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리프팅 중에 와이어 더미(36)에 대해 더 효과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와이어 더미(36)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의 운송 중에 와이어 더미(36)가 이동할지라도, 가방(12)의 본체(18)는, 와이어 더미(36)가 용기(14) 내에서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더미(36) 아래에 잔류한다. 종래의 리프팅 끈의 이용을 배제함으로써,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은, 실행하기에 시간소모적이고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는, 어떤 안전 및/또는 운송 표준에 맞출 것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을 수 있을 것임도 알 것이다. 오히려, 와이어 수용 구조물은 주름진 오버팩(corrugated overpack)을 갖는 FIBC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고, 그래서 리프팅 끈을 갖는 용기를 위해 준비된 안전 및/또는 운송 표준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가방(12)이 단지 두개의 손잡이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가방은 용기의 대응하는 손잡이 구멍을 통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는 두개 이상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두개의 손잡이로 물건을 리프팅함으로써 때때로 일어나는 전도(overturning)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손잡이가 가방(12)에 제공될 수 있음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가방(12)의 상부(32)와 연결될 수 있고 서로 반대 방향이다. 와이어 더미(36)가 가방(12)의 와이어 수용공간(24) 내에 제공될 때, "상향 리프팅(top lifting)"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는 와이어 더미(36)의 각각의 측부 및 와이어 더미(36)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더미(36)의 중력의 중심은 제1 및 제2 손잡이(20, 22)의 아래로 수직할 수 있다. 그래서, 제1 및 제2 손잡이(20, 22)로 와이어 수용 구조물(10)을 상향 리프팅하는 것은 어떤 종래의 배열보다 넘어짐에 덜 민감하다.
와이어 수용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앞서의 기술에 의해 예시되어 있고, 도 1 내지 도 4에 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을지라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그러한 상세사항으로 빠짐 없이 기재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위 가르침에 비추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경의 일부는 설명되었고, 다른 변경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가 알 것이다.
10 : 와이어 수용 구조물
12 : 가방
14 : 용기
18 : 본체
20 : 손잡이
22 : 손잡이
24 : 와이어 수용공간
26 : 측벽
28 : 바닥부
30 : 용기 수용공간
32 : 상부
34 : 하부
36 : 와이어 더미
37 : 뚜껑
39 : 내부 지지 부재
40 : 손잡이 구멍
42 : 손잡이 구멍
44 : 고리 단부
46 : 고리 단부
50 : 벽 창
52 : 가방 창
54 : 지지창
56 : 조망창
112 : 가방
118 : 본체
120 : 손잡이
122 : 손잡이
141 : 보강 끈

Claims (15)

  1. 와이어 수용 구조물(10)로서:
    용기 수용공간(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측벽(26) - 상기 측벽(26)은 제1 손잡이 구멍(40) 및 제2 손잡이 구멍(42)을 형성함 - 을 포함하는 용기(14); 및
    용기 수용공간(3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가방(12; 112)을 포함하고, 상기 가방(12; 112)은, 와이어 더미를 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방은,
    와이어 수용공간(24)을 형성하는 본체(10; 110);
    본체(18; 118)와 연결되고 제1 손잡이 구멍(40)을 통하는 경로를 갖는 제1 손잡이(20; 120); 및
    본체(18; 118)와 연결되고 제2 손잡이 구멍(42)을 통하는 경로를 갖는 제2 손잡이(22; 122)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수용공간(2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내부 지지 부재(39)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14)의 측벽(26)은 복수의 벽 창(50)을 형성하고, 가방(12; 112)은 복수의 가방 창(52)을 구성하며, 벽 창(50)의 각각은 가방 창(52)의 각각의 하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창(50)은 구멍(40, 42)을 포함하고, 가방 창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방(12)은 본체(118)의 아래로 연장하는 보강 끈(141)을 더 포함하고, 보강 끈(141 ), 제1 손잡이(120), 제2 손잡이(122), 및 본체(118)는 원피스 구성으로서 제공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방(12; 112)은 직조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방(12; 112)은 약 0,01인치 내지 0,03인치 사이, 양호하게는,
    약 0,015인치 내지 약 0,020인치 사이의 범위에 있는 두께를 갖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8. 장치로서,
    용기 수용공간(30)을 형성하는 측벽(26) - 상기 측벽(26)은 제1 손잡이 구멍(40) 및 제2 손잡이 구멍(42)을 형성함 - 을 포함하는 용기(14);
    용기 수용공간(3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와이어 수용공간(24)을 형성하는 본체(18; 118), 본체(18; 118)와 연결되고 제1 손잡이 구멍(40)을 통하는 경로를 갖는 제1 손잡이(20; 120), 및 본체(18; 118)와 연결되고 제2 손잡이 구멍(42)을 통하는 경로를 갖는 제2 손잡이(22; 122)를 포함하는, 가방(12; 112);
    본체(18; 118)와 연결되고 본체(18; 118)의 아래로의 경로를 갖는 보강 끈(141); 및
    가방(12; 112)의 와이어 수용공간(24) 내에 배치되는 와이어 더미(36)를 포함하고:
    본체(18; 118), 제1 손잡이(20; 120), 제2 손잡이(22; 122), 및 보강 끈(141)은 직조된 재료를 포함하며;
    보강 끈(141)은 본체(13; 113)와 일체로 직조되고; 가방(12; 112)은 와이어 더미(36)를 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와이어 수용공간(34)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 더미(36)와 가방(12; 112) 사이에 개재되는 내부 지지 부재(39)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용기(14)의 측벽(26)은 복수의 벽 창(50)을 형성하고, 가방(12; 112)은 복수의 가방 창(52)을 형성하며, 벽 창(50)의 각각은 가방 창(52)의 각각의 하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가방 창(52) 및 벽 창(50)이 양호하게는 투명한,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방(12; 112)은 직조된 폴리프로필렌 가방을 포함하고, 용기(14)는 카드보드 용기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방(12; 112)의 본체(18)는 하부(34) 및 상부(32)를 포함하고, 상부(32)는 용기(14) 너머로 연장하는, 장치.
  13. 본체, 제1 손잡이, 제2 손잡이(22, 122), 및 보강 끈(141)이 원피스 구성으로 제공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양호하게는, 제12항에 따른, 장치 또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14. 와이어 수용 구조물(10)로서:
    용기 수용공간(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측벽(26) - 상기 측벽(26)은 제1 손잡이 구멍(40) 및 제2 손잡이 구멍(42)을 형성함 - 을 포함하는 용기(14); 및
    와이어 더미(36)를 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본체(18; 118), 제1 손잡이 구멍(40)을 통해 연장하는 제1 손잡이(20; 120), 제2 손잡이 구멍(42)을 통해 연장하는 제2 손잡이(22; 122), 및 본체(18; 118)와 연결되는 본체(18; 118) 보강 수단 - 상기 본체와 상기 본체(18; 118) 보강 수단은 원피스 구성으로 제공됨 - 을 포함하는, 가방(12; 122)을 포함하며:
    가방(12; 112)은 용기 수용공간(3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15. 제1 손잡이(20; 120)는 제1 고리 단부(44)를 포함하고, 제2 손잡이(22; 122)는 제2 고리 단부(46)를 포함하며, 제1 고리 단부(44) 및 제2 고리 단부(46)는 용기 수용공간(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 양호하게는, 제8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와이어 수용 구조물(10) 또는 장치.
KR1020137012961A 2010-10-21 2011-10-05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KR20130103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9,230 2010-10-21
US12/909,230 US8365912B2 (en) 2010-10-21 2010-10-21 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PCT/IB2011/002332 WO2012052814A1 (en) 2010-10-21 2011-10-05 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556A true KR20130103556A (ko) 2013-09-23

Family

ID=4490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961A KR20130103556A (ko) 2010-10-21 2011-10-05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65912B2 (ko)
EP (1) EP2630059A1 (ko)
JP (1) JP2013544715A (ko)
KR (1) KR20130103556A (ko)
CN (1) CN103282289B (ko)
BR (1) BR112013009638B1 (ko)
CA (1) CA2815207A1 (ko)
WO (1) WO2012052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2132A1 (en) * 2011-10-04 2013-04-04 Ryan William Gaul Work storage containers
HUE040041T2 (hu) * 2012-10-02 2019-02-28 Tyrepack Gmbh & Co Kg Többször használható csomagolás
USD779228S1 (en) * 2014-03-14 2017-02-21 Phillip Vernon Hamilton, JR. Tissue dispenser
US11053070B2 (en) 2014-08-25 2021-07-06 Pamela A. Butler Waste receptacle with inner bag
USD803503S1 (en) 2015-04-27 2017-11-21 Marine 360 LLC Marine trash receptacle
US10518971B2 (en) 2015-11-20 2019-12-31 Marine 360, LLC Trash receptacle with attachment strap
USD796910S1 (en) * 2016-01-11 2017-09-12 Jobar International, Inc. Bowl
USD788538S1 (en) * 2016-02-04 2017-06-06 Suresh Vukkisila Pressed palm leaf dish
USD788539S1 (en) * 2016-04-01 2017-06-06 Oneida Ltd. Bowl
KR102002471B1 (ko) * 2018-02-28 2019-10-21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스트랩 가이드 및 이를 갖는 페일팩
KR101997737B1 (ko) * 2018-02-28 2019-07-0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용 수납 용기
USD938186S1 (en) * 2020-04-27 2021-12-14 Practical Design Solutions LLC Pet poop bag dispenser
USD991299S1 (en) 2021-04-30 2023-07-04 Esab Ab Hood for a welding consumable container
USD998664S1 (en) 2021-04-30 2023-09-12 Esab Ab Welding consumable container
USD998665S1 (en) 2021-04-30 2023-09-12 Esab Ab Welding consuma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2056A (en) 1970-05-07 1971-11-23 John Edward Droeger Convertible satchel
US3933287A (en) * 1974-02-04 1976-01-20 Gerard Foley Book strap
US4143796A (en) * 1977-07-07 1979-03-13 Super Sack Manufacturing Corporatio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owable materials
US4207937A (en) 1977-08-06 1980-06-17 Tay Textiles Limited Flexible bulk container
US4300608A (en) 1980-05-07 1981-11-17 Bonar Industries Inc. Self-raising strap loop
GB2103576A (en) 1981-08-03 1983-02-23 Bulk Lift Int Inc Method of manufacture of a bulk material transport bag
GB2116143B (en) 1982-03-01 1986-05-21 Frank Nattrass Flexible bulk container
US4499599A (en) 1983-01-03 1985-02-12 Polett Walter J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US4832506B1 (en) 1983-03-02 1996-01-09 Norsk Hydro As Flexible container to be filled with bulk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4542826A (en) 1983-12-30 1985-09-24 Adams Mark S Flexible bag type beverage can carrier
US4524457A (en) 1984-04-30 1985-06-18 Marino Technologies, Inc. Cargo bag with reinforced triangular lifting panels
GB8420600D0 (en) 1984-08-14 1984-09-19 Nattrass Frank Bulk containers
US4679242A (en) * 1984-10-17 1987-07-07 Brockhaus Peter B Convertible cooler and cushion
EP0198128A3 (en) 1985-04-17 1990-10-10 Akzo N.V. Flexible bag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GB8520725D0 (en) 1985-08-19 1985-09-25 Nattrass Hickey & Sons Ltd Flexible bulk containers
US4703517A (en) 1986-05-22 1987-10-27 Marino Technologies, Inc. Cargo bag with integral lifting loops
GB2194215B (en) 1986-07-15 1990-03-14 Tay Textiles Ltd Flexible bulk containers
GB8622893D0 (en) 1986-09-23 1986-10-29 Nattrass Hickey & Sons Ltd Bulk containers
EP0332333A1 (en) 1988-03-04 1989-09-13 Mulox Ibc Limited Container bag
NO165718C (no) 1988-12-21 1997-10-23 Norsk Hydro As Anordning ved en fleksibel beholder
US5076710A (en) 1990-11-20 1991-12-31 Super Sa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pread strap flexible bulk container
JPH05278715A (ja) * 1992-04-02 1993-10-26 Nippon Steel Corp 線材コイル梱包用包装材
DK0646086T3 (da) 1992-06-23 1997-06-23 Sean St Anthony Mooney Bæreindretning
IT231566Y1 (it) 1993-02-23 1999-08-04 Sidergas Srl Contenitore di imballaggio e di svolgimento di una matassa di filo metallico
US5340218A (en) * 1993-03-19 1994-08-23 Transac, Inc. Bulk storage bag with remotely openable discharge spout
US5492270A (en) * 1994-07-19 1996-02-20 Georgia-Pacific Corporation Shipping container
AU2346795A (en) 1995-05-04 1996-11-21 Kemira Pigments Oy Flexible bulk container
US6155772A (en) * 1997-11-14 2000-12-05 Beale; Aldon Evans Lift-liner apparatus with improved weight-carrying capacity
US6918699B2 (en) 1999-05-10 2005-07-19 Violet Hanson Flat bottom bag with handle
PT1057751E (pt) 1999-05-31 2003-11-28 C I F E S P A Recipiente de cartao para conter e fornecer arame
CA2336282A1 (en) 2000-03-08 2001-09-08 James Robert Carpente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fork lift guide
JP2002125757A (ja) * 2000-10-19 2002-05-08 Leben Co Ltd ロール紙を使用したあぶらとり紙ケース
SE518918C2 (sv) 2001-04-05 2002-12-03 Tezzi Woldekidan Påse för att bära lådformiga föremål
US6827217B2 (en) 2001-07-11 2004-12-0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Welding wire container
JP3788771B2 (ja) * 2001-08-31 2006-06-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ワイヤ収納用容器及び容器入り溶接ワイヤ
US6564943B2 (en) 2001-07-13 2003-05-20 Lincoln Global, Inc. Container for welding wire
JP2003181646A (ja) * 2001-12-15 2003-07-02 Hiroshi Kondo 段ボール紙容器を含む吊り上げ機構を備えた組立式容器
US6857521B2 (en) * 2002-07-13 2005-02-22 Plasticos Y Alambres, S.A. Container and retaining device for packaging and unwinding coiled welding wire
JP2003312763A (ja) * 2002-04-19 2003-11-06 Yamato Shiki Co Ltd ワイヤ収納容器
KR101075214B1 (ko) * 2003-02-13 2011-10-19 텔랍 인코퍼레이션 벌크 백
US7341377B1 (en) 2003-11-26 2008-03-11 Baxter John D Cylindrical container bags
US7222734B2 (en) * 2004-07-15 2007-05-29 Lincoln Global, Inc. Welding wire package with lifting strap
WO2007081361A2 (en) * 2005-02-28 2007-07-19 Pactec, Inc. Lifting bag device
US20060245671A1 (en) 2005-04-27 2006-11-02 Jianyi Sun Free Standing Bag
JP2007029971A (ja) * 2005-07-25 2007-02-08 Kobe Steel Ltd 溶接ワイヤ収納容器及び容器入り溶接ワイヤ
US7524111B1 (en) 2005-07-25 2009-04-28 Williams Sudie M Rigid-bottomed resealable bag with handles
US20070280568A1 (en) 2006-06-01 2007-12-06 Yosseph Levy Disposable and collapsible packaging unit
US20080013867A1 (en) 2006-07-14 2008-01-17 The Gift Bag Factory, Llc 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53528B1 (ko) 2006-12-13 2008-08-21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US7437784B1 (en) * 2007-05-22 2008-10-21 Steven Turnipseed Mattress cover
US20090080808A1 (en) 2007-09-25 2009-03-26 Setareh Hagen Grocery bag with pockets
JP2009102041A (ja) * 2007-10-23 2009-05-14 Daido Steel Co Ltd コイル状線材の梱包材
US20090250460A1 (en) * 2008-04-02 2009-10-08 Chin-Chuan Chang Multi-Purpose Storage Bas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2289B (zh) 2016-02-24
US8365912B2 (en) 2013-02-05
BR112013009638B1 (pt) 2020-06-23
EP2630059A1 (en) 2013-08-28
JP2013544715A (ja) 2013-12-19
WO2012052814A1 (en) 2012-04-26
CN103282289A (zh) 2013-09-04
US20120097672A1 (en) 2012-04-26
BR112013009638A2 (pt) 2016-07-12
CA2815207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3556A (ko)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US4499599A (en)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US9751691B2 (en) Silosack container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6935500B1 (en) Bulk bag with support system
US9120620B2 (en) Flexible bulk container and detachable support structure therefor
US20100025275A1 (en)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US20120281932A1 (en)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US20140029872A1 (en) Bulk bag apparatus
US20010027826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fork lift guide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US20140154045A1 (en) Flexible freight bag and method of transferring cargo using the same
AU2015299917A1 (en) Container bag
AU2009100871A4 (en) Bulk bag
GB1581438A (en) Containers
EP0180379A2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UA73592C2 (en) Large bale made from insulating material products, especially mineral wool products in the form of panels or rolls or similar
KR200454669Y1 (ko) 재사용 가능한 팰릿커버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
GB2315731A (en) Two layered bulk bag
JP6312750B2 (ja) ドラム容器
JPH0128042Y2 (ko)
WO2011039766A2 (en) Trans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