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377B1 -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377B1
KR101922377B1 KR1020180070721A KR20180070721A KR101922377B1 KR 101922377 B1 KR101922377 B1 KR 101922377B1 KR 1020180070721 A KR1020180070721 A KR 1020180070721A KR 20180070721 A KR20180070721 A KR 20180070721A KR 101922377 B1 KR101922377 B1 KR 10192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holes
linear
container bag
linea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경
Original Assignee
박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경 filed Critical 박찬경
Priority to KR102018007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377B1/ko
Priority to PCT/KR2018/014287 priority patent/WO20190988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중공 형상의 수용부를 한정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4 개의 측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종방향 보강부들; 상기 몸체의 4 개의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공들; 및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통하여 삽입 통과되어 상기 몸체의 상기 내부와 상기 외부를 왕래하면서 상기 몸체의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선형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Baffle type container bag}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인양, 적재, 및 운반 시 내용물의 부피 및 중량에 의해 컨테이너 백의 측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백은, 일반적으로,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 원료(resin)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작은 입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비교적 큰 용량의 포대를 말한다.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올레핀 테이프와 같은 합성수지사로 직조된 직물을 재단 및 봉제하여 제작되며,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시킬 수 있게 한다.
항공 또는 선박을 통한 운송시에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하여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컨테이너 백은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배불림 현상으로 인해 컨테이너 백의 변형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적재 공간 활용에 불리한 점이 있다. 통상의 컨테이너 백은 내용물을 완전히 충전한 뒤, 네 코너부들에 각각 설치된 벨트를 매개로 하여 인양되거나, 인양 후 이동시킬 때 투입된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 몸체의 측부가 팽창되고, 나아가 상기 몸체 하부가 더 팽창하고 반대로 상부는 축소되어, 컨테이너 백이 직립된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컨테이너 백은 내용물을 주입 후 인양하여 이동할 때, 내용물이 내부 중력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성형된 내부의 배플 자체나 봉제된 부분이 팽창하면서 부스러기 형태로 구성 물질이 탈락되고, 상기 부스러기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서 이물질로서 작용하여 식품이나 정밀화학물질의 경우 오염의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09589호(2001.12.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컨테이너 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용물의 인양, 적재 및 운반 시 내용물의 중량에 의해 컨테이너 백 몸체의 측부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벌어지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여 외형이 직립된 육면체를 유지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최대한의 활용과 함께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 또는 다단 적층시킬 수 있고, 오염의 문제가 없어 식품이나 정밀화학물질의 대량 인양, 적재 및 운반에도 사용이 가능한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중공 형상의 수용부를 한정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4 개의 측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종방향 보강부들; 상기 몸체의 4 개의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공들; 및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통하여 삽입 통과되어 상기 몸체의 상기 내부와 상기 외부를 왕래하면서 상기 몸체의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선형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은 상기 몸체의 측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섬유체 직물지의 종사를 국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하거나 강도가 더 큰 종사를 사용하여 상기 몸체의 측부에 일체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상기 측부에 덧대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형 보강 부재의 양 단부는 매듭 방식 또는 길이 조절 장치를 매개로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선형 보강 부재는 상기 몸체의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로 배치된 선형 보강 부재들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배치될수록 인접하는 선형 보강 주재들 사이의 상호 간격이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로 배치된 선형 보강 부재들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배치될수록 인장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동공들의 개수는 짝수개일 수 있다. 상기 선형 보강 부재의 외측 섹션부는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외측에 선접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섹션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는 외측 섹션 사이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백은,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인양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 고리에 인양 선재가 통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백은, 상기 종방향 보강부와 상기 션형 보강 부재의 외부 섹션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백은 상기 종방향 보강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를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횡방향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측부에 덧대어지거나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횡방향 보강부와 상기 종방향 보강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백은,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에 결합되는 결합 섹션부 및 상기 몸체의 코너부에 이웃하는 2 개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섹션부를 포함하는 내부 배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섹션부에 의해 상기 선형 보강 부재의 내부 섹션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보강부들이 몸체의 측부 중앙에 정확히 배치되어 컨테이너 백의 인양시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부들의 장력을 몸체의 측부 중심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고 이를 몸체의 측면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코너부까지 동일하게 작용시킴으로써 몸체의 측면을 리프팅하는 면 리프팅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면 리프팅 효과는 종방향 보강부들의 외측에서 선접하는 선형 보강 부재에 의해 종방향 보강부들이 내측으로 압박됨으로써 종방향 보강부들의 변형 없는 직립을 도와 완전한 면 리프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면 배불림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백을 인양후 적재하는 경우에도 내용물에 의해 발생하는 선형 보강 부재의 내측 섹션부에 의해 이웃하는 측벽의 벌어짐, 즉, 코너부의 벌어짐이 제한되고, 측벽 중앙의 벌어짐이 외측 섹션부에 의해 종방향 보강부들에 작용하는 외부에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직립과 사각 단면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플 역할을 수행하는 선형 보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컨테이너 백의 외측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백 내부의 내용물과의 마찰로 인한 선형 보강 부재의 탈락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식품 또는 정밀화학원료의 보관 및 이송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이 채워지기 전의 상태와 채워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의 적재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3b는 비교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의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들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선 A-A를 따라 절취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문맥상 단수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용어는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100A, 100B)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100A, 100B)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중공 영역을 갖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몸체(110), 종방향 보강부(120A, 120B) 및 선형 보강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몸체(1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곡물, 사료, 건축 또는 금속 폐기물, 세일 가스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쇄된 암석, 토목 잔재와 같은 수 톤의 중량을 갖는 대량의 재료 또는 폐자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몸체는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실재 사용시에는 상기 내용물을 가능한 한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변형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몸체(110)는, 천연섬유재질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질의 섬유체를 이용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유연성 산업용 포장재(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일 수 있다. 컨테이너 백(100A, 100B)은 내부에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도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내측에는 경우에 따라 방수성이 있는 비닐류 등으로 제작된 내피(이너라이너)를 더 구비하여 내용물을 다중 포장할 수도 있다.
몸체(1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내용물이 담길 수 있는 중공 형상의 수용부를 가지며, 상부면을 통해 내용물이 투입되고 하부면을 통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면에는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면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면에 상부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와 덮개의 중앙에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삽입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채워 넣은 후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삽입관의 외면을 조여 밀폐하는 조임끈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하부면에는 하부면을 커버하는 바닥부가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 역시 상기 삽입관과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외면에 조임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의 상부면의 덮개에는 삽입관, 하부면의 바닥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 또는 배출관은 조임끈에 의해 조여 몸체(110) 내부를 밀폐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관의 일측을 절단하거나 배출관에 구비된 조임끈을 풀어 배출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바닥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바닥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종방향 보강부(120A, 120B)는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인양시 몸체(110)의 강도를 수직 방향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상기 육면체의 4 개의 측부 각각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방향 보강부(120)는 몸체(110)의 면 리프팅(plane-lifting)을 위해 측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종방향 보강부(120)는 소정 폭을 가지면서 분리되지 않고 몸체(110)에 결합되는 단일한 부재일 수 있다.
종방향 보강부(120A, 120B)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10)를 형성하는 섬유체 직물지에 있어서, 상기 직물지의 종사를 몸체(110)의 측부 중앙 부분에만 국지적으로 2 배 또는 3 배 이상으로 고밀도로 형성하거나 강도가 더 큰 섬유체를 종사로서 이용하여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방향 보강부(120A, 120B)는 몸체(110)와 일체화되어 몸체(110)의 측부 중앙에서 종방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종방향 보강부(120A, 120B)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10)의 측부에 덧대어져 봉제, 체결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110)의 측부 중앙 부분의 종방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정 폭의 벨트, 라이너, 띠 또는 와이어일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탄소 섬유, 금속, 또는 복합 소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료로 이루어진 종방향 보강부(120B)는 몸체(110)의 바깥 측부 중앙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4 개의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은 모두 몸체(110)의 바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4 개의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의 각 단부는 몸체(110)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바닥 중앙부 주위로 배치되는 4 개의 조임 고리(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임 고리들에는 로프가 연속 통과 결합되어 4 개의 종방향 보강부들(120)의 단부들이 로프에 의해 지지되어 몸체(110)의 바닥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조임 고리들은 동일 출원인의 한국 출원 제10-2017-0154554호를 참조할 수 있다.
몸체(110)의 4 개의 측부 각각에는 소정 패턴을 갖도록 배열되는 관통공들(130h)이 제공될 수 있다. 관통공들(130h)은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멍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각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2 개의 관통공들(130h)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들(130h)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그 재그로 배열되거나 미언더 타입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공들(130h)의 적어도 일부의 위치는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통공들(130h)의 강도가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에 의해 확보되어 후술하는 선형 보강 부재(130)와의 마찰이나 이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관통공들(130h)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관통공들(130h)의 적어도 일부는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 주변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관통공들(230)을 통하여, 선형 보강 부재(130)가 삽입 통과되어 몸체(110)의 내부과 외부를 왕래하면서 몸체(110)의 횡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형 보강 부재(130)의 적어도 일부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나의 선형 보강 부재(130)는 몸체(110)의 각 측면에 형성된 2 개의 관통공들(130h)을 통해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를 왕래하고 있는 것이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되었으며, 이들 관통공들(130h)은 측부 중앙 수직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몸체(110)의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들(130h)을 삽입 관통하여 몸체(110)의 횡방향으로 연결된 선형 보강 부재(130)는, 컨테이너 백(100A, 100B)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면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몸체(110)가 확장되면서 선형 보강 부재(120)에 장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장력은,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선형 보강 부재(130)의 일부(이하, 외부 섹션부라 지칭함)가 몸체(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가되는 힘으로 변환되며, 상기 힘은 상기 외부 섹션부에 접하는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에 국지적으로 작용하여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인양시 또는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적재시 종방향 보강부들(120A, 120B)의 수직 직립 나아가 몸체(110)의 직육면체 직립을 돕는다. 이에 관하여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선형 보강 부재(130)는 로프 또는 벨트와 같은 연속된 선형 부재일 수 있으며, 단일 한 선형 구조체이거나 여러 개의 선형 구조체가 서로 엮여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선형 보강 부재(130)의 재질은 신축성이 작으면서도 인장 강도가 큰 합성섬유, 탄소섬유, 금속 와이어 또는 이의 복합 소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선형 보강 부재(130)는 관통공들(130h)의 왕래 후 서로 만나는 양 단부를 결속하여 연속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선형 보강 부재(130)의 양 단부를 서로 매듭 방식으로 결속한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내용물의 충전 전, 충전 중 또는 충전 후에 선형 보강 부재(130)의 매듭을 풀어 길이를 조절하거나, 선형 보강 부재(13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 필요한 어느 한 측면 쪽으로 더 길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선형 보강 부재(130)의 양 단부는 서로 매듭 없이 일체로 연속된 구조를 가지거나, 버클과 같은 길이 조절 장치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단부가 각각 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선형 보강 부재(130)는 몸체(110)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 행들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수직 방향으로 4 행의 선형 보강 부재들(130)이 결합된 것을 예시한다. 이 경우, 복수의 선형 보강 부재들(130)은 수직 간격 측면에서 균등 배치되거나 차등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형 보강 부재들(130)은 몸체(110)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배치될수록 인접하는 선형 보강 부재들(130)의 사이의 상호 간격이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컨테이너 백(120A, 120B) 내에 내용물이 충전될 경우, 하부쪽으로 갈수록 더 많은 압력이 작용하여 하부쪽이 횡방향으로 더 많이 팽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선형 보강 부재들(130)을 하부쪽에 더 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몸체(110)의 하부쪽에서 발생하는 배불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형 보강 부재들(130)은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배치될수록 더 강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부쪽에 배치되는 선형 보강 부재들(130)의 두께가 상부쪽에 배치되는 선형 보강 부재들(130)의 두께보다 더 크거나 동일 두께이더라도 더 고강도를 갖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의 내용물이 채워지기 전의 상태와 채워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측면에 2 개의 관통공들(130h)이 제공되고 이를 선형 보강 부재(130)가 관통하여 몸체(210)의 내측과 외측을 왕래한다. 이에 의해, 선형 보강 부재(130)는 몸체(110)의 외측 중 종방향 보강부(120)의 외측 상에 위치하는 외부 섹션부(130S1)와 몸체(110)의 내측에서 몸체(110)의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 개의 몸체 측부를 가로지르는 내부 섹션부(130S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공들(130h)에는 비제한적 예로서 와셔 또는 볼트와 같이 관통 홀을 갖는 고강도의 고정 부재(130W)가 종방향 보강부(120) 및/또는 몸체(110)에 제공되고, 고정 부재(130W)의 관통홀에 선형 보강 부재(130)가 통과 연장될 수 있다. 선형 보강 부재(130)의 양단은 서로 묶여 매듭(130M)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 보강 부재(220)는 단선없이 일체화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형 보강 부재(130)의 매듭(130M)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선형 보강 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장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매듭이나 길이 조절 장치는 컨테이너 백(100)의 인양 과정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몸체(1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 장치는 예를 들면 버클(buckle), 또는 로프 조임 장치와 같은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형 보강 부재(130)는 예시적으로 낮은 신축성과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로프, 와이어, 또는 강도가 큰 벨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테이너 백(100)의 몸체(110)에 내용물이 담겨 있지 않을 때에는 선형 보강 부재(130), 특히 내부 섹션부(130S2)에 장력이 인가되지 않아 선형 보강 부재(130)는 몸체(110)에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의 몸체(110) 내에 내용물(WT)이 채워지면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몸체(11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그리고 화살표 A2로 나타낸 것과 같이 코너 방향으로 몸체(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미는 힘이 발생한다. 컨테이너 백(100)의 인양시 이러한 힘을 그대로 용인한다면 몸체(110)의 사각 단면이 둥글게 변형되는 배불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10)의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들(130h)을 삽입 관통하여 몸체(110)의 횡방향으로 연결된 선형 보강 부재(130)는, 컨테이너 백(100) 내부의 내용물(WT)에 의해 컨테이너 백(100A, 100B)의 몸체(110)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선형 보강 부재(130)에 장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장력은,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선형 보강 부재(130)의 외부 섹션부(130S1)가 화살표 B로 나타낸 것과 같이 몸체(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으로부터 변환된 압력은 외부 섹션부(130S1)가 종방향 보강부들(120)과 선접하면서 선접된 길이 T 만큼의 영역에서 균일하게 종방향 보강부들(120)에 내측 방향으로 압력 B를 발생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 백(100C)을 인양하는 경우 종방향 보강부들(120)에도 수직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며, 종방향 보강부들(120)의 상기 장력은 내용물(WT)에 의한 배불림을 억제하기 위해 컨테이너 백(100C)의 측면을 누르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상기 장력은 외부 섹션부(130S1)에 의한 상기 압력 B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중첩 인가되어 배불림을 발생시키는 힘 A1에 대항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보강부들(120)이 배불림에 의한 변형 없이 수직 직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보강 부재(1300의 내부 섹션부(130S2)에 작용하는 장력이 내용물(WT)에 의해 몸체(110)의 코너부로 작용하는 힘(A2)에 대한 대항력으로서 작용하여, 상기 코너부의 배불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보강부들(120)이 몸체(110)의 측부 중앙에 정확히 배치되어 컨테이너 백(100C)의 인양시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부들(120)의 장력을 몸체의 측부 중심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고 이를 몸체의 측면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코너부까지 동일하게 작용시킴으로써 몸체의 측면을 리프팅하는 면 리프팅(plane lifting)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면 리프팅 효과는 종방향 보강부들(120)의 외측에서 선접하는 선형 보강 부재(130)에 의해 종방향 보강부들(120)이 내측으로 국지적으로 압박됨으로써 종방향 보강부들(120)의 변형 없는 직립을 도와 완전한 면 리프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배불림 현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100)을 인양후 적재하는 경우에도 내용물(WT)에 의해 발생하는 선형 보강 부재(130)의 내부 섹션부(130S2)에 의해 이웃하는 측벽의 벌어짐, 즉, 코너부의 벌어짐이 제한되고, 측벽 중앙의 벌어짐이 외부 섹션부(130S1)에 의해 종방향 보강부들(120)에 작용하는 외부에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컨테이너 백(100D)의 직립과 사각 단면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100)의 적재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3b는 비교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100R)의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종방향 보강부들(120)과 선형 보강 부재(130)를 갖는 컨테이너 백들(100)은 수평 정렬시 내용물(WT)에 의한 배불림이 억제되어 사각 단면을 유지함으로써 컨테이너 백들(100) 사이의 공극(EV)이 거의 없다. 이것은 동일 면적 내에 공극(EV)에 의한 공간 손실이 최소회됨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컨테이너 박스에 적재시 최대 적재가 가능함을 예시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종방향 보강부들과 선형 보강 부재를 결여하는 비교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들(100R)은 내용물(WT)의 채워짐에 의해 배불림 현상이 나타나고 이에 의해 공극(EV)이 발생함으로써, 공극(EV)에 의한 공간 손실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컨테이너 백들(100) 대비 동일 개수의 컨테이너 백들(100R)을 더 채우기 위해서는 더 큰 적재 공간이 필요하며, 이는 물류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들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D, 100E)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100D)에서 관통공들(130h)은 몸체(100)의 각 측부 상에 4 개씩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들(130h) 중 적어도 일부는 종방향 보강부(120)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4a에서는 4 개의 관통공들(130h)이 종방향 보강부(120)에 위치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4 개의 관통홀들(130h)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선형 보강 부재(130)는 몸체(210)의 내측과 외측을 왕래하면서, 각 측부의 종방향 보강부(120) 상에 2 개의 외부 섹션부(130S1)을 갖는다. 2 개의 외부 섹션부(130S1)는 종방향 보강부(120)의 외측에 선접하여, 컨테이너 백(100D)의 인양시 또는 인양 후 적재시 선형 보강 부재(130)의 장력을 종방향 보강부(120)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누르는 압력을 제공하여 컨테이너 백(100D)의 면 리프팅과 배불림을 억제하여 육면체 형태의 직립을 유도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100D)에서, 관통공들(130h)은 몸체(100)의 각 측부 상에 6 개씩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들(130h) 중 적어도 일부는 종방향 보강부(120)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4b에서는 6 개의 관통공들(130h)이 종방향 보강부(120)에 위치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6 개의 관통홀들(130h)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선형 보강 부재(130)는 몸체(210)의 내측과 외측을 왕래하면서, 각 측부의 종방향 보강부(120) 상에 3 개의 외부 섹션부(130S1)를 갖는다. 3 개의 외부 섹션부(130S1)는 종방향 보강부(120)의 외측에 선접하여 선형 보강 부재(130)의 장력을 종방향 보강부(120)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누르는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예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몸체(100)의 각 측면에 제공되는 관통공들(130h)의 개수는 짝수개일 수 있으며, 2 개, 4개, 또는 6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공들(130h) 사이의 간격은 균일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보강부(120)를 외측에서 눌러주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통공들(130h)의 거리는 종방향 보강부(120)에 대한 외부 섹션부(130S1)의 선접 거리(도 2b의 T 참조)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섹션부(130S1)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T1)는 상기 제 1 관통공들 사이의 선형 보강 부재의 내측 일부(130S3, 코너부를 가로지르는 내부 섹션부(130S2)와 구별하기 위해, 외측 섹션 사이부라 지칭한다)의 양 단부의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G)와 같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섹션부(130S1)가 배치되는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T1)의 총합이 외부 섹션부(130S1)이 종방향 보강부(120)와 외접하는 선접 거리(T)가 될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2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4a의 선 A-A를 따라 절취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200)은 몸체(210), 종방향 보강부(220), 및 종방향 보강부(220)에 결합된 선형 보강 부재(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백(200)은, 예를 들면, 지게차의 포크리프트(PL)로 컨테이너 백(200)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고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양 고리(240)는 종방향 보강부(4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인양 고리(240)는 종방향 보강부(2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종방향 보강부(220)에 봉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 또는 바인더를 이용하여 합체될 수도 있다. 도 4a에서는 인양 고리(240)를 별개로 형성하여 종방향 보강부(220)에 봉제 합체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양 고리(240)는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인양 고리(240)는 자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양 고리(240) 내부에 탄성 부재 또는 형상기억 소재를 식재하거나, 탄성 재료 또는 형상기억 소재 자체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로 인양 고리(24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인양 선재(250)가 인양 고리(440)들에 삽입 통과되어 연속된 선형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인양 선재(250)는 비제한적 예로서 로프일 수 있다. 포크리프트(PL)로 컨테이너 백(200)을 인양할 때, 컨테이너 백(200)의 하중은 인양 고리(240)를 매개로 종방향 보강부(220)에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고, 종방향 보강부(220)가 몸체(210)의 측부 중앙에 정확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방향 보강부(220)의 장력은 몸체의 정중심부터 측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양측 모서리를 향하여 균등하게 힘이 배분되며, 그에 의해 컨테이너 백의 인양은 면 리프팅(plane-lifting)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선형 보강 부재(230)의 노출된 외부 섹션부(230S1)에 의해 종방향 보강부(200)의 외측부에 강한 압박이 이루어지면 종방향 보강부(220)는 내용물에 의한 배불림 현상에 더욱 강하게 반작용함으로써 수직 직립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컨테이너 백(200)의 육면체가 변형없이 인양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백(200)의 인양 후 적재시에도 선형 보강 부재(230)의 외부 섹션부(230S1)의 압력과 내부 섹션부(230S2)의 장력에 의해 육면체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어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적재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인양 고리(240)에 인양 선재(250)가 통과 결합되어 인양 선재(250)를 매개로 포크리프트(PL)로 인양되고, 포크리프트의 연장선이 몸체(210)의 측면과 나란히 정렬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양 고리(440)가 직접 포크리프트(PL)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큰 내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양 선재(25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인양 고리(240)가 각 측부에 2 개씩 제공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이며, 1 개 또는 3 개 이상일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4 개의 선형 보강 부재(230)가 예시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이들 선형 보강 부재들(230)은 균등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선형 보강 부재들(230)은 몸체(210)의 하부쪽으로 갈수록 더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여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선형 보강 부재들(230) 사이의 간격이 하부쪽으로 갈수록 감소되거나 더 강한 재료로 선형 보강 부재들(2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300)은 몸체(310), 종방향 보강부(320), 및 선형 보강 부재(330)를 포함한다. 종방향 보강부(320)의 상단에는 인양 고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300)은 종방향 보강부(320)와 선형 보강 부재(330)의 외부 섹션부 사이에 종방향 보강부(320)에 결합되는 보강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대(360)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탄소섬유, 또는 금속 섬유의 직조체 또는 복합체일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가죽이나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여하의 보강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대(360)는 컨테이너 백(300)의 인양시 몸체(410)의 배불림에 대하여 선형 보강 부재(330)가 저항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관통공들(430h)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관통공들(430h)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대(360)는 선형 보강 부재(330)의 외부 섹션부가 종방향 보강부(320)에 직접 선접하지 않고, 보강대(360)에 선접함으로써 종방향 보강부(320)를 압박하는 선형 보강 부재(330)의 입력을 보강대(360)의 면적만큼 균일하게 종방향 보강부(320)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400A, 400B, 400C)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400A)은 전술한 것과 같이 몸체(410), 종방향 보강부(420) 및 선형 보강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보강부(420)의 상단에는 인양 고리(440)가 결합될 수 있다. 인양 고리(440)에는 인양 선재(450)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300)은 종방향 보강부(420)와 결합되는 횡방향 보강부(4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보강부(470A)와 종방향 보강부(420)은 상호 교차 위치에서 비제한적 예로서 봉제 또는 와셔와 같은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보강부(470A)는 몸체(410)를 횡방향으로 둘러쌈으로써 배부름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횡방향 보강부(470A)는 몸체(410)를 횡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강화시키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400A)의 인양시 또는 적재시 육면체 유지에 기여하기 보다는 전방위로 발생하는 배부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횡방향 보강부(470A)에 관통홀들(430h)이 형성되고 선형 보강 부재(430)가 횡방향 보강부(470A)에 결합되면, 선형 보강 부재(430)가 종방향 보강부(420)와 선접하는 측부의 중심 영역에서 국지적으로 측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보강부(420)을 더욱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컨테이너 백(400A)의 인양시 또는 적재시 육면체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 보강부(470A)와 선형 보강 부재(430)의 강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관통홀들(430h)은 횡방향 보강부(470A)와 종방향 보강부(420)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 보강부(470A)는 벨트, 와이어, 띠 또는 로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횡방향 보강부(470A)는 몸체(410)의 외측, 내측 또는 이들 모두에 덧대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몸체(410)의 외측에 봉제 결합된 벨트로 구성된 횡방향 보강부(470A)가 개시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400B)은 몸체(410)를 소정 폭만큼 횡방향으로 폴딩하여 형성된 횡방향 보강부(47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폴딩에 의해 횡방향 보강부(470B)는 몸체(410)를 구성하는 직조 구조체가 적어도 3 겹 이상 구성되어 몸체(410)와 일체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 보강부(470B)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폴딩되어 구성되는 횡방향 보강부(470B) 내부에 벨트, 와이어 또는 끈과 같은 고강도 재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 횡방향 보강부(470B)에 관통공들(430h)을 마련하고 선형 보강 부재들(430)을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400B)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400C)은 폴딩 구조의 횡방향 보강부(470B)와 함께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보강대(46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보강부(470B)는 폴딩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벨트, 또는 띠와 같이 덧대어 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보강대(460)는 횡방향 보강부(470B)에 봉재 결합되거나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선형 보강 부재(430)에 선접되어 선형 보강 부재(430)로부터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부(420)에 제공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5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500)은 전술한 것과 같이 몸체(510), 종방향 보강부(520) 및 선형 보강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보강부(520)의 상단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인양 고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양 고리에는 인양 선재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500)의 내부에는 내부 배플(58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배플(580)은 종방향 보강부(520)에 결합되는 결합 섹션부(580S1)와 몸체(510)의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 측부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연장 섹션부(580S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배플(580)은 벨트,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의 직조체, 또는 합성 수지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배플(580)의 결합 섹션부(580S1)는 종방향 보강부(520)에 봉제 또는 접착제와 같은 여하의 수단에 의해 강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선형 보강 부재(530) 및 관통홀들(530h)을 몸체(510)의 내측에서 피복하여 보호할 수 있다.
연장 섹션부(580S2)는 선형 보강 부재(530)의 내부 섹션부(도 5b의 230S2)와 함께 연장 섹션부(580S2)에도 장력이 인가되어 내용물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코너부가 직각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섹션부는 연장 섹션부(580S2)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피복되어 내용물과 상기 내부 섹션부의 마찰이나 상기 내부 섹션부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내부 섹션부로부터 탈리된 재료가 상기 내용물에 섞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 섹션부(580S2)는 코너부의 직각 유지를 위해 한정된 길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연장 섹션부(580S2)는 튜브나 주름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선형 보강 부재(530)의 내부 섹션부가 삽입되어 보호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몸체가 단일 겹의 컨테이너 백에 대한 것이었지만, 당업자라면, 컨테이너 백은 외피와 상기 외피에 수용되는 내피의 2 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외피에 전술한 종방향 보강부, 선형 보강 부재, 횡방향 보강부, 보강대, 또는 내부 배플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내피에도 필요에 따라 선형 보강 부재, 또는 횡방향 보강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200, 300, 400A, 400B, 400C, 500 :
컨테이너 백
110, 210, 310, 410, 510 : 몸체
120, 220, 320, 420, 510 : 종방향 보강부
130, 230, 330, 430, 530 : 선형 보강 부재
140, 240, 340, 440 : 인양 고리
250, 450 : 인양 선재
360, 460 : 보강대
470A, 470B, 570 : 횡방향 보강부

Claims (20)

  1.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중공 형상의 수용부를 한정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4 개의 측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몸체의 측부 중앙에 위치하는 종방향 보강부들;
    상기 몸체의 4 개의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공들; 및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통하여 삽입 통과되어 상기 몸체의 상기 내부와 상기 외부를 왕래하면서 상기 몸체의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선형 보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보강 부재는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외측 상에 선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인양시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장력과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에 의한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의 측부 전체가 면리프팅되도록 하는 외부 섹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중 상기 외부 섹션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의 총합은 상기 제 1 관통공들 사이의 선형 보강 부재의 내측 일부의 양 단부의 관통공들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더 큰 컨테이너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은 상기 몸체의 측부 중앙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섬유체 직물지의 종사를 국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하거나 강도가 더 큰 종사를 사용하여 상기 몸체의 측부에 일체화된 컨테이너 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상기 측부에 덧대어지는 컨테이너 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보강 부재의 양 단부는 매듭 방식 또는 길이 조절 장치를 매개로 결속되는 컨테이너 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보강 부재는 상기 몸체의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로 배치된 선형 보강 부재들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배치될수록 인접하는 선형 보강 주재들 사이의 상호 간격이 감소하도록 배치되는 컨테이너 백.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로 배치된 선형 보강 부재들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배치될수록 인장 강도가 증가하는 컨테이너 백.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의 개수는 짝수개인 컨테이너 백.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인양 고리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고리에 인양 선재가 통과 결합되는 컨테이너 백.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와 상기 선형 보강 부재의 외부 섹션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상기 종방향 보강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를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횡방향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측부에 덧대어지거나 일체화된 컨테이너 백.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들은 상기 횡방향 보강부와 상기 종방향 보강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에 결합되는 결합 섹션부 및 상기 몸체의 코너부에 이웃하는 2 개의 측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섹션부를 포함하는 내부 배플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섹션부에 의해 상기 선형 보강 부재의 내부 섹션부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되는 컨테이너 백.
KR1020180070721A 2017-11-20 2018-06-20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KR10192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21A KR101922377B1 (ko) 2018-06-20 2018-06-20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PCT/KR2018/014287 WO2019098812A1 (ko) 2017-11-20 2018-11-20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21A KR101922377B1 (ko) 2018-06-20 2018-06-20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377B1 true KR101922377B1 (ko) 2018-11-26

Family

ID=6460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21A KR101922377B1 (ko) 2017-11-20 2018-06-20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37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66B1 (ko) * 2019-02-14 2020-07-27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142237B1 (ko) * 2020-01-30 2020-08-07 임강섭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KR102296082B1 (ko) 2021-03-09 2021-09-02 주식회사 진우 베플 백
KR20220126529A (ko) * 2021-03-09 2022-09-16 이준식 컨테이너 백
KR20230150420A (ko) 2022-04-21 2023-10-31 주식회사 진우 공기 배출 기능을 포함한 방수 베플 백
KR20230150422A (ko) 2022-04-21 2023-10-31 주식회사 진우 단일 레이어 방수 베플 백 및 그 제작방법
KR20240040241A (ko) 2022-09-21 2024-03-28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20240040236A (ko) 2022-09-21 2024-03-28 제일산업 주식회사 클로버형 바닥부를 갖는 배플 일체형 클로버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40238A (ko) 2022-09-21 2024-03-28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349Y1 (ko) * 2006-05-26 2006-08-07 (주)동주피엔씨 팽창방지 직조 구조를 갖는 대용량 포대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KR101696884B1 (ko) * 2016-04-18 2017-01-16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1803469B1 (ko) * 2017-03-20 2017-11-30 박찬경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349Y1 (ko) * 2006-05-26 2006-08-07 (주)동주피엔씨 팽창방지 직조 구조를 갖는 대용량 포대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KR101696884B1 (ko) * 2016-04-18 2017-01-16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1803469B1 (ko) * 2017-03-20 2017-11-30 박찬경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66B1 (ko) * 2019-02-14 2020-07-27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142237B1 (ko) * 2020-01-30 2020-08-07 임강섭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KR102296082B1 (ko) 2021-03-09 2021-09-02 주식회사 진우 베플 백
KR20220126529A (ko) * 2021-03-09 2022-09-16 이준식 컨테이너 백
KR102547774B1 (ko) 2021-03-09 2023-06-23 이준식 컨테이너 백
KR20230150420A (ko) 2022-04-21 2023-10-31 주식회사 진우 공기 배출 기능을 포함한 방수 베플 백
KR20230150422A (ko) 2022-04-21 2023-10-31 주식회사 진우 단일 레이어 방수 베플 백 및 그 제작방법
KR20240040241A (ko) 2022-09-21 2024-03-28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20240040236A (ko) 2022-09-21 2024-03-28 제일산업 주식회사 클로버형 바닥부를 갖는 배플 일체형 클로버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40238A (ko) 2022-09-21 2024-03-28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20070127852A1 (en) Lifting Bag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US6402378B1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an enlarged interior baffle space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JPH0220499B2 (ko)
US5785175A (en) Flexible bulk bag with improved base
US20120281932A1 (en)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KR20130103556A (ko)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US10259646B2 (en) Insert-structured container bag having inner bag to be inserted in outer bag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US1026633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verlap-structured container bag
AU2015299917B2 (en) Container bag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WO2019098812A1 (ko) 컨테이너 백
KR0128002Y1 (ko) 강화 콘테이너 백
SK278368B6 (en) Flexible container
GB2130172A (en) Flexible bulk container
KR102068975B1 (ko) 컨테이너 백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