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975B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975B1
KR102068975B1 KR1020180121764A KR20180121764A KR102068975B1 KR 102068975 B1 KR102068975 B1 KR 102068975B1 KR 1020180121764 A KR1020180121764 A KR 1020180121764A KR 20180121764 A KR20180121764 A KR 20180121764A KR 102068975 B1 KR102068975 B1 KR 10206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net
bag
side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8012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측면 배부름을 방지토록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네트가 구비되어 네트의 양단이 컨테이너백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컨테이너백의 각 측면을 3등분하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 HAVING NET}
본 발명은 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측면 배부름을 방지토록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네트가 구비되어 네트의 양단이 컨테이너백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컨테이너백의 각 측면을 3등분하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화학 제품(분체 또는 분말), 곡물, 곡분, 사료, 비료, 석재, 흙, 시멘트 등의 다양한 제품을 담아 적재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상기 컨테어너 백은 컨테이너의 내측에 용이하게 적재토록 육면체의 형상인 단위규격으로 이루어져 운반 및 적재가 용이하여 널리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선박이나 차량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벌크(bulk) 제품, 즉 비드(bead), 그래뉼(granule), 펠릿(pellet), 플레이크(flake) 등의 형태로 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백은 일반적으로 수백 Kg 내지 수 톤(ton)에 이르는 무게의 화물을 적재하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PP, PE 등)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원단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백은 화물의 종류나 사용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며, 특히 화물의 수용 및 배출, 그리고 운반을 위하여 특별한 재질, 형상 및 구조를 갖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 백의 전체 형상은 사용처에 따라 직육면체 타입과 원통형 타입으로 대별된다.
더하여, 화물의 수용 및 배출을 위해 컨테이너 백의 상부에 화물 유입부를 가지며, 그 하부에 화물 유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컨테이너 백의 상측에 하나의 유출입부를 마련하고, 이 유출입부를 통해 화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백을 하역(loading/unloading)하거나 근거리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의 상부 또는 측부에 손잡이(handle)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형태에 따라 로프형(rope type)과 벨트형(belt type)으로 대별되며, 컨테이너 백에 부착된 벨트(또는 로프) 중 일부를 로프(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 형태(beltwith rope type, 또는 belt with belt type 등)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647251호에 컨테이너 백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내부에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컨테이너 백(10)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백(10)의 본체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부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측면부(11a; 11b) 사이에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물의 슬립(slip)을 방해하지 않도록 코드(cord) 또는 스트랩(strap)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면부(11a; 11b)가 접하는 지점은 상기 측면부(11a; 11b)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11a; 11b)와 결합되는 양단측 결합부(30a, 30b), 및 상기 결합부 사이를 잇는 끈부재(20)를 가지며,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는 상기 측면부(11a; 11b)와는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측면부(11a; 11b)와 봉재사(4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끈 부재(20)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를 지그재그 형태로 잇는 하나의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끈 부재(20)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에 미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를 상기 봉재사(40)에 의해 상기 측면부(11a; 11b)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 백(10)의 내부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백은, 끈 부재(20)가 지그재그로 양측의 결합부(30a)(30b)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견고한 결합이 힘들게 됨은 물론 끈 부재(20)의 절단시 쉽게 풀리게 되어 컨테이너 백의 형태유지가 힘들게 되고, 세로방향의 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면서 형태의 유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백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며, 내용물의 충진시에도 내용물의 분산으로 충진이 용이하면서도 백의 전체적인 형상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측면 배부름을 방지토록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네트가 구비되어 네트의 양단이 컨테이너백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컨테이너백의 각 측면을 3등분하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네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로서 이루어져 컨테이너백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재봉을 통하여 네트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네트는, 격자무늬 형상으로 가로및 세로방향에서 교차되면서 그 교차부에서 매듭으로 연결되어 격자무늬의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밴드는, 매듭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네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호 접합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면서 형태의 유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백의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며, 내용물의 충진시에도 내용물의 분산으로 충진이 용이하면서도 백의 전체적인 형상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네이너백의 적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네이너백의 적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백(100)은, 컨테이너(200)의 내측에 일정수량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밀착되어 적재토록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컨네터너백(100)은, 내용물의 충전시 컨테이너백의 측면 배부름을 방지토록 백몸체(110)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네트(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150)는, 백몸체(110)에 결합시 결합되는 좌,우방향 양단이 컨테이너백의 다른 측면(S1)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7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170)는, 컨테이너백의 각 측면(S1)을 3등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70)는, 네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171)로서 이루어지면서 컨테이너백에 형성되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재봉라인(173)을 통하여 네트가 백몸체(1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부(170)는, 밴드와 재봉라인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밴드(171)는 일면에 접착제가 더 도포되어 백몸체에 결합시 용이하게 부착토록 되고, 상기 접착제의 일측에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어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네트(150)는, 격자무늬 형상을 갖도록 줄(151)이 가로 및 세로방향에서 교차되면서 그 교차부에서 매듭(153)으로 연결되어 격자무늬의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네트(150)는 직조기에 의해 제작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밴드(171)는, 매듭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공(172)이 형성되면서 네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호 접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방와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백(100)은, 모서리부 내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토록 각각 구비되는 네트(150)에 의해 컨테이너백(100)에 내용물을 충진하면 정확한 육면체를 이루게 되어 컨테이너(200)의 내측에 일정수량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밀착되어 적재토록 된다.
즉, 상기 컨네터너백(100)은, 백몸체(110)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네트(150)가 구비되어 내용물의 충전시 컨테이너백의 측면 배부름을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150)는, 백몸체(110)에 결합시 결합되는 좌우방향 양단이 컨테이너백의 측면(S1)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170)를 형성할 때 컨테이너백의 각 측면(S1)을 3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측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할시켜 정확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70)는, 네트(150)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171)로서 이루어지면서 컨테이너백(100)에 형성되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재봉라인(173)을 통하여 네트가 백몸체(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네트(150)는, 격자무늬 형상을 갖도록 줄(151)이 가로및 세로방향에서 교차되면서 그 교차부에서 매듭(153)으로 연결되어 가로 및 세로방향에서 하중이 작용하여도 격자무늬의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하중의 불균일한 전달로 배부름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즉, 상기 네트(150)는, 줄(151)이 가로및 세로방향에서 일정크기를 갖도록 교차되면서 그 교차부에서 매듭(153)으로 연결되어 가로 및 세로방향의 하중에 견딜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이 용이하게 투입토록 되어 정확한 형상의 유지가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171)는 일면에 접착제가 더 도포되어 네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백몸체의 측면에 용이하게 위치결정하여 부착토록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의 일측에 이형지(미도시)가 부착되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사용시 이형지를 분리하여 접착제를 노출한 후 밴드를 네트 또는 백몸체에 부착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밴드(171)는, 매듭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공(172)이 형성되면서 네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호 접합되는 구성으로 네트와 신속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네트를 측면에 재봉시 밴드의 들뜸이 최소화 되어 재봉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0...컨테이너백 110...백몸체
150...네트 170...결합부
171...밴드 173...재봉라인
200...컨테이너

Claims (4)

  1. 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측면 배부름을 방지토록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네트가 구비되어 네트의 양단이 컨테이너백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컨테이너백의 각 측면을 3등분하여 네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밴드 및 재봉라인으로 이루어져 컨테이너백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재봉을 통하여 네트가 결합되며,
    상기 네트는, 격자무늬 형상을 갖도록 줄이 가로 및 세로방향에서 교차되면서 그 교차부에서 매듭으로 연결되어 격자무늬의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밴드는, 매듭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네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네트의 양측에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21764A 2018-10-12 2018-10-12 컨테이너 백 KR10206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64A KR102068975B1 (ko) 2018-10-12 2018-10-12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64A KR102068975B1 (ko) 2018-10-12 2018-10-12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975B1 true KR102068975B1 (ko) 2020-01-22

Family

ID=6936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64A KR102068975B1 (ko) 2018-10-12 2018-10-12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93B1 (ko) * 2020-07-09 2021-10-13 박형욱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192U (ko) * 1990-08-29 1992-04-23
JPH0728894U (ja) * 1993-11-11 1995-05-30 ソイル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グ
JP2011042391A (ja) * 2009-08-21 2011-03-03 Tds Corp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1586610B1 (ko) * 2015-05-08 2016-01-20 최방림 네트형상의 모서리격벽부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192U (ko) * 1990-08-29 1992-04-23
JPH0728894U (ja) * 1993-11-11 1995-05-30 ソイル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グ
JP2011042391A (ja) * 2009-08-21 2011-03-03 Tds Corp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1586610B1 (ko) * 2015-05-08 2016-01-20 최방림 네트형상의 모서리격벽부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93B1 (ko) * 2020-07-09 2021-10-13 박형욱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647251B1 (ko) 컨테이너 백
US20120281932A1 (en)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2068975B1 (ko) 컨테이너 백
US10259646B2 (en) Insert-structured container bag having inner bag to be inserted in outer bag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200441487Y1 (ko) 벌크 백
KR200454330Y1 (ko) 컨테이너 백
US20180265280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verlap-structured container bag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US20200047923A1 (en) Soft-sided bulk material containers with hold-ins
KR102137966B1 (ko) 컨테이너백
KR102312193B1 (ko)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JP3202790U (ja) 角型形成コンテナバッグ
CN212126267U (zh) 新型吨包袋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WO2017171691A2 (ru) Большой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KR101891726B1 (ko) 평탄안내가이드 및 평탄안내가이드가 부착된 컨테이너백
CN216806646U (zh) 一种可快速卸料的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