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64B1 -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64B1
KR101874264B1 KR1020170154554A KR20170154554A KR101874264B1 KR 101874264 B1 KR101874264 B1 KR 101874264B1 KR 1020170154554 A KR1020170154554 A KR 1020170154554A KR 20170154554 A KR20170154554 A KR 20170154554A KR 101874264 B1 KR101874264 B1 KR 101874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olding
container bag
longitudinal reinforc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경
Original Assignee
박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경 filed Critical 박찬경
Priority to KR1020170154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64B1/ko
Priority to PCT/KR2018/014287 priority patent/WO20190988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컨테이너백으로서, 내부는 중공형상으로서, 상측에 배치된 상판과 하측에 배치된 하판이 구비된 몸체부; 몸체부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몸체부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폴딩 보강부; 및 연속된 형상으로서, 몸체부 측부 내면 일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CONTAINER BAG}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포대원단을 접어서 형성되는 폴딩 보강부와 컨테이너백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수지원료, 곡물원료 등 다양한 내용물의 포장 및 운송을 위한 유연성 중형 벌크 컨테이너(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이하 '컨테이너백'으로 칭함)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곡물이나 농산물 포장과 플라스틱 계통의 합성수지류 포장 그리고 광산물 등의 무거운 중량의 벌크 포장을 위해 고안되었다. 컨테이너백은 산업용 포대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오랜 기간 컨테이너백은 무거운 중량의 입자 또는 분말 자재의 포장 및 운송에 사용되었다. 전통적인 컨테이너백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에 상당하는 실로 짠 직물로 만들어졌으며, 네 모서리에 네 개의 벨트(끈)가 있거나, 한 지점에서 두 개의 벨트가 연결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론상으로 이러한 컨테이너백은 500kg에서 2000kg에 달하는 적재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지게차 또는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장거리 운송을 위해 큰 트럭이나 컨테이너로 운송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컨테이너백의 적재량은 안전을 고려하여 실제로는 1000kg 정도이다. 현재의 컨테이너백은 완전 충전 뒤, 네 코너에 설치된 벨트로 인양하거나, 인양 후 이동시킬 때, 컨테이너백 몸체 하부는 팽창되고, 몸체 상부는 축소되어, 컨테이너 백이 직립된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컨테이너백에 투입된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6884호 (2017.01.16)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내부에 별도의 격벽구조를 가지지 않으면서도, 컨테이너백의 외형이 육면체로 유지되도록 한다.
둘째, 컨테이너백의 배불림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컨테이너백으로서, 내부는 중공형상으로서, 상측에 배치된 상판과 하측에 배치된 하판이 구비된 몸체부; 몸체부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몸체부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폴딩 보강부; 및 연속된 형상으로서, 몸체부 측부 내면 일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는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는 내부에 통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로 속에 보강벨트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횡방향 보강부는 몸체부 각 측부 내면의 1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횡방향 보강부는 몸체부 각 측부 내면의 2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측부 외면에는 외부 횡방향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측부에는 종방향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보강벨트 또는 위사보다 경사가 더 추가되도록 직조된 경사강화직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보강벨트인 때, 상기 보강벨트의 하단이 상기 하판에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조임고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고리는 통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조임끈이 각 조임고리를 관통하여 조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상기 상판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인양 선재가 구비되며, 상기 인양 선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자립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는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호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 측부에는 종방향 보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폴딩 보강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 및 상기 종방향 보강부 모두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복수개로 상하 이격 배치된 때에는, 각 횡방향 보강부는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강도가 더욱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마주보도록 복수개로 상하 이격 배치된 때에는,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의 높이는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마주보도록 3개 이상 상하 이격 배치된 때에는, 상하 상호간격은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내피와 외피를 갖는 컨테이너백으로서, 중공형상의 내피 몸체부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몸체부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내피 폴딩 보강부; 연속된 형상으로서, 내피의 몸체부 측부 내면 일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 및 상기 내피 외측에 추가로 덧대어지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는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외피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외피 내면 또는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외피 폴딩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외피의 외면에는 외부 횡방향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각 측부 또는 상기 외피의 각 측부에는 종방향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위사보다 경사가 더 추가되도록 직조된 경사강화 직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외피의 외면에는 종방향 보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별도의 보강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내부에 횡방향 보강부가 구비되어, 컨테이너백 내부쪽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되어, 컨테이너백의 육면체 외형이 잘 유지되고 직립이 잘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컨테이너백 원단을 접어서 형성된 폴딩 보강부로 인해, 컨테이너백 내부쪽으로 향하는 힘이 증가되며, 나아가 배불림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폴딩 보강부, 횡방향 보강부 및 종방향 보강부가 모두 연결되면, 컨테이너백에 투입된 내용물에 의한 하중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컨테이너백의 외관도 안정적인 직립 육면체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보강부와 종방향 보강부 및 조임고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몸체부 각 측면에 2점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몸체부 각 측면에 1점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몸체부의 각 측부에서 1점 결합을 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b 및 도 7c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가 몸체부의 각 측부에서 2점 결합을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1겹의 컨테이너백에 대한 실시예로서, 폴딩 보강부 및 외부 횡방향 보강부가 추가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d는 내피와 외피를 갖는 컨테이너백에 대한 실시예로서, 폴딩 보강부의 다양한 배치위치와 외부 횡방향 보강부가 추가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고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우, 컨테이너백 내부에 횡방향 보강부가 구비되는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물질과의 마찰에 의해 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에는 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내용물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경우, 1겹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과 내피 및 외피를 갖는 2겹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먼저, 1겹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2겹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보강부와 종방향 보강부 및 조임고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1겹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백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컨테이너백으로서, 내부는 중공형상으로서, 상측에 배치된 상판(110)과 하측에 배치된 하판(120)이 구비된 몸체부(100); 몸체부(100)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몸체부(100)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폴딩 보강부(200);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몸체부(100) 측부 내면 일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보강부(200)는 컨테이너백의 소재가 되는 원단 자체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폴딩 보강부(200)는 몸체부(100)를 이루는 원단이 2겹으로 된 것이다. 물론 폴딩(folding) 즉 접는 횟수에 따라, 폴딩 보강부(200)는 3겹, 4겹 등도 가능하다.
폴딩 보강부(200)는 몸체부(100)와 동일한 외주길이를 가지는 원단을 접어서 몸체부(100) 외측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팽창되는 몸체부(100)가 팽창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컨테이너백 내부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딩 보강부(200)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도 포함하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힘을 집중적으로 지지하는 측면에서 폴딩 보강부(200)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딩 보강부(200)는 내부에 통로(21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상기 통로(210) 속에 보강벨트가 삽입될 수도 있다. 통로속에 삽입되는 보강벨트는 컨테이너백 원단과 동일한 소재와 강도일수도 있으나, 더 높은 강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몸체부(100) 각 측부 내면의 1점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몸체부(100) 각 측부 내면의 2점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몸체부의 각 측부에서 1점 결합을 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b 및 도 7c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몸체부(100)의 각 측부에서 2점 결합이 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의 실시예는, 각 측부의 1점 결합의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4각형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도 7b 및 도 7c는 각 측부의 2점 결합의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8각형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몸체부(100)에 봉재에 의해 직접 결합된다.
연속된 형상인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예를 들어, 폭이 넓은 벨트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4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맞서서 안쪽으로 향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배불림현상도 방지되며, 육면체 형상이 잘 유지되도록 하여, 컨테이너백의 직립유지에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 측부 외면에는 외부 횡방향 보강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횡방향 보강부(400)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벨트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 측부에는 종방향 보강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보강부(500)는 컨테이너백 포대 원단 자체에 형성되는 경사강화직조부의 실시예와 별도로 구비되는 보강벨트의 실시예가 모두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방향 보강부(500)의 상단부에 결합 고리(500a)가 배치되고, 결합 고리(500a)에는 인양 선재(111)가 통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보강부(500)는 보강벨트 또는 위사보다 경사가 더 추가되도록 직조된 경사강화직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보강부(500)가 별도로 구비되는 보강벨트인 것도 바람직하다(도 6 참조).
한편, 별도로 구비되는 보강벨트인 경우, 보강벨트의 하단이 하판(120)에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조임고리(121)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조임고리(121)는 통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조임끈(122)이 각 조임고리(121)를 관통하여 조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및 도 11 참조).
컨테이너백에 투입된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이는 컨테이너백 아래부분을 볼록하게 팽창시켜, 육면체 형상이 유지되지 못하게 하고, 직립유지를 곤란하게 하며,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조임고리(121)를 조임끈(122)로 조이면, 그 지지력이 연결된 종방향 보강부(500)로 전달된다. 종방향 보강부(500)는 전달받은 지지력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그 힘을 상하 방향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로써 컨테이너백 하부의 팽창현상이 손쉽게 방지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상측 또는 상판(110) 중 어느 한 곳에 전술한 인양 선재(line-type lift element; 111)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fork)가 인양고리(111)에 삽입된 후, 컨테이너백을 인양하게 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컨테이너백이 적층되는 경우, 인양 선재(111)가 상판에 붙은 상태로 유지되어,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컨테이너백 위로 올라가서 인양 선재를 들어 올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곤란함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 선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양 선재가 스스로 자립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양 선재(111)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윗층에 쌓인 컨테이너백이 제거되면, 아래층 컨테이너백의 인양 선재(111)가 스스로 자립가능하도록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딩 보강부(200)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호 결합되며, 몸체부(100) 측부에는 종방향 보강부(500)가 더 구비되며, 폴딩 보강부(200),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 및 종방향 보강부(500) 모두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로 인해,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고자 하는 힘에 맞서는 지지력을 컨테이너백 전체에 가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복수개로 상하 이격 배치된 때에는, 각 횡방향 보강부(300)는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강도가 더욱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딩 보강부(200)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마주보도록 복수개로 상하 이격 배치된 때에는, 폴딩 보강부(200)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의 높이는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딩 보강부(200)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마주보도록 3개 이상 상하 이격 배치된 때에는, 상하 상호간격은 아래쪽에 배치될수록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투입되면, 중력에 의해 하중이 아래로 향하게 되므로, 컨테이너백 아래 부분에 팽창현상이 더욱 증가된다. 따라서, 컨테이너백 아래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내피와 외피를 갖는 2겹의 컨테이너백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전술한 1겹의 컨테이너백과 중복되는 부분은 해당 내용이 그대로 차용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내피(10)와 외피(20)를 갖는 컨테이너백으로서, 중공형상의 내피(10) 몸체부(100)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몸체부(100)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내피 폴딩 보강부(200a); 연속된 형상으로서, 내피(10)의 몸체부(100) 측부 내면 일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 및 상기 내피(10) 외측에 추가로 덧대어지는 외피(20)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보강부(200)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는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피(20)는 외피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외피 내면 또는 외면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외피 폴딩 보강부(200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피(10)와 상기 외피(20)의 사이 공간 또는 외피(20)의 외면에는 외부 횡방향 보강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a은 내피(10) 안쪽에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배치되고, 내피(10)와 외피(20)의 사이공간에 내피 폴딩 보강부(200a)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b는 내피(10) 안쪽에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배치되고, 내피(10)와 외피(20)의 사이공간에 내피 폴딩 보강부(200a)가 배치되고, 외피(20)의 외측에 외피 폴딩 보강부(200b)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c는 내피(10) 안쪽에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배치되고, 내피(10)와 외피(20)의 사이공간에 내피 폴딩 보강부(200a) 및 외피 폴딩 보강부(200b)가 함께 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d는 내피(10) 안쪽에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배치되고, 내피(10)와 외피(20)의 사이공간에 내피 폴딩 보강부(200a)가 배치되고, 외피(20)의 외측에 외부 횡방향 보강부(400)가 추가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피(10)의 각 측부 또는 외피(20)의 각 측부에는 종방향 보강부(500)가 형성되며, 종방향 보강부(500)는 위사보다 경사가 더 추가되도록 직조된 경사강화 직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피(10)와 외피(20)의 사이 공간 또는 외피(20)의 외면에는 종방향 보강부(500)가 더 구비되며, 종방향 보강부(500)는 별도의 보강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내피 20 : 외피
100 : 몸체부 110 : 상판
111 : 인양 선재 112 : 투입구
120 : 하판 121 : 조임고리
122 : 조임끈 123 : 배출구
200 : 폴딩 보강부 210 : 통로
300 : 내부 횡방향 보강부 310 : 결합부
400 : 외부 횡방향 보강부 500 : 종방향 보강부

Claims (21)

  1.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육면체 컨테이너백으로서,
    내부는 중공형상으로서, 상측에 배치된 상판과 하측에 배치된 하판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 측부에 수직 연장된 종방향 보강부들;
    상기 몸체부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종방향 보강부와의 교차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폴딩 보강부, 상기 몸체부 측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 및 상기 몸체부 측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횡방향 보강부 중 어느 하나의 횡방향 보강부; 및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 고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 중 이웃하는 종방향 보강부들 사이로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어 상기 컨테이너백이 인양되도록 상기 결합 고리들에 인양 선재가 통과 결합되며,
    상기 횡방향 보강부가 상하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횡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의 아래쪽으로 배치될수록 상기 횡방향 보강부의 강도가 더 증가하거나, 상기 횡방향 보강부의 높이가 더 증가하거나, 상하 상호 간격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와 상기 내부 횡방향 보강부는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는 내부에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로 속에 보강벨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보강벨트 또는 위사보다 경사가 더 추가되도록 직조된 경사강화직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보강벨트인 때, 상기 보강벨트의 하단이 상기 하판에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조임고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임고리는 통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조임끈이 각 조임고리를 관통하여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양 선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자립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내피와 외피를 갖는 육면체 컨테이너백으로서,
    상기 외피는
    내부는 중공형상으로서, 상측에 배치된 상판과 하측에 배치된 하판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 측부에 수직 연장된 종방향 보강부들;
    상기 몸체부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종방향 보강부와의 교차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폴딩 보강부, 상기 몸체부 측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부 횡방향 보강부, 및 상기 몸체부 측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횡방향 보강부 중 어느 하나의 횡방향 보강부; 및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 고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보강부들 중 이웃하는 종방향 보강부들 사이로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어 상기 컨테이너백이 인양되도록 상기 결합 고리들에 인양 선재가 통과 결합되며,
    상기 횡방향 보강부가 상하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횡방향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의 아래쪽으로 배치될수록 상기 횡방향 보강부의 강도가 더 증가하거나, 상기 횡방향 보강부의 높이가 더 증가하거나, 상하 상호 간격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보강부는 별도의 보강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KR1020170154554A 2017-11-20 2017-11-20 컨테이너백 KR101874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54A KR101874264B1 (ko) 2017-11-20 2017-11-20 컨테이너백
PCT/KR2018/014287 WO2019098812A1 (ko) 2017-11-20 2018-11-20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54A KR101874264B1 (ko) 2017-11-20 2017-11-20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264B1 true KR101874264B1 (ko) 2018-07-03

Family

ID=6291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554A KR101874264B1 (ko) 2017-11-20 2017-11-20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193B1 (ko) 2018-11-27 2019-08-13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200063952A (ko) 2019-04-15 2020-06-05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200115814A (ko) 2019-03-27 2020-10-08 임강섭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102181187B1 (ko) 2019-10-21 2020-11-23 임강섭 일체형 횡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콘테이너 백
KR102195912B1 (ko) 2020-07-30 2020-12-28 (주)성림산업 컨테이너백용 통형 직물
AT526588A4 (de) * 2023-03-09 2024-05-15 Poerner Ingenieurgesellschaft Mbh Transportbehäl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793A (ja) * 1999-02-19 2000-09-05 Nippon Light Metal Co Ltd 耐高温反応性に優れた輸送用包装材
JP2015182787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三洋 自立型フレコ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793A (ja) * 1999-02-19 2000-09-05 Nippon Light Metal Co Ltd 耐高温反応性に優れた輸送用包装材
JP2015182787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三洋 自立型フレコン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193B1 (ko) 2018-11-27 2019-08-13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200115814A (ko) 2019-03-27 2020-10-08 임강섭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102165313B1 (ko) * 2019-03-27 2020-10-14 임강섭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20200063952A (ko) 2019-04-15 2020-06-05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102181187B1 (ko) 2019-10-21 2020-11-23 임강섭 일체형 횡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콘테이너 백
KR102195912B1 (ko) 2020-07-30 2020-12-28 (주)성림산업 컨테이너백용 통형 직물
AT526588A4 (de) * 2023-03-09 2024-05-15 Poerner Ingenieurgesellschaft Mbh Transportbehälter
AT526588B1 (de) * 2023-03-09 2024-05-15 Poerner Ingenieurgesellschaft Mbh Transportbehä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EP0703162B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FI57913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flexibel saeck och en flexibel saeck
US5607237A (en) Bulk bag with lift straps
US4807299A (en) Bulk containers
US4521911A (en) Bulk container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20130103556A (ko)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KR101647251B1 (ko) 컨테이너 백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RU207461U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насыпных грузов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200422738Y1 (ko) 콘테이너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609339B1 (ko)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GB1581438A (en) Containers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GB2130172A (en) Flexible bulk container
SK278368B6 (en) Flexible container
WO2019098812A1 (ko) 컨테이너 백
KR102547774B1 (ko) 컨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