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884B1 -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884B1
KR101696884B1 KR1020160046905A KR20160046905A KR101696884B1 KR 101696884 B1 KR101696884 B1 KR 101696884B1 KR 1020160046905 A KR1020160046905 A KR 1020160046905A KR 20160046905 A KR20160046905 A KR 20160046905A KR 101696884 B1 KR101696884 B1 KR 10169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ortion
rope
contents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식
최용덕
김진석
김환수
Original Assignee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다단 적층시 안정성이 개선되되 최대적재량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도록 사각 기둥 형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측벽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복수의 높이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수단; 및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가 상기 수납공간측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수단 중 상호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된 각각을 둘레방향으로 순차 경유하며,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에 밀착되는 지지영역 및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이격되는 통제영역이 반복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되, 상기 각 높이위치를 따라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로프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다단 적층시 안정성이 개선되되 최대적재량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최근에는 국제 간의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동량이 증가되면서 효율적인 운송과 보관을 위해서, 그리고 심화되는 경쟁에 따른 운송비 및 보관비의 절감을 위해서 트럭 또는 컨테이너 차량을 통한 운반시나 창고 적재시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컨테이너백은 창고나 트럭 등에 보관/적재시 공극률이 감소되도록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되며, 측벽부 외면 상단부에 운반을 위한 인양벨트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백은 일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수납되면 내용물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의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적재 공간을 더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1)에는 내부공간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통공(2a)이 형성된 격벽부재(2)가 결합되며, 상기 격벽부재(2)가 컨테이너백의 네 측면(1a) 중앙부를 지지함에 따라 내용물의 충전시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은 컨테이너백(1)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주입되되, 컨테이너백(1)의 중앙부분(1b)으로 주입된 후 각 격벽부재(2)에 형성된 통공(2a)을 따라 컨테이너백(1)의 모서리부분(1c)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용물이 유동될 수 있는 유동로가 통공(2a)으로 한정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백(1)의 중앙부분(1b)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밀도보다 상기 격벽부재를 통과하여 모서리부분(1c)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밀도가 낮아 전체적인 컨테이너백(1)의 적재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컨테이너백(1)의 다단 적재시 저밀도의 모서리부분(1c)이 일정 시간 경과 후 꺼져버리게 되므로 상측에 적재된 컨테이너백이 쉽게 넘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수납된 내용물이 쏟아져 오염되거나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내용물의 주입시 격벽부재(2)와 내용물 간의 마찰열이 발생됨에 따라 격벽부재(2)가 쉽게 파손되어 배부름의 방지하는 기본적인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격벽부재(2)의 마모 및 파손에 따른 부산물이 내용물에 섞여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컨테이너백은 높이가 140cm 이상이 되는 대규격으로 제조되는 데, 네 측면부 테두리를 상호 결합하며 인접한 두개의 측면부 마다 격벽부재(2)를 결합하는 공정이 매우 어려우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4443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다단 적층시 안정성이 개선되되 최대적재량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도록 사각 기둥 형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측벽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복수의 높이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수단; 및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가 상기 수납공간측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수단 중 상호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된 각각을 둘레방향으로 순차 경유하며,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에 밀착되는 지지영역 및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이격되는 통제영역이 반복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되, 상기 각 높이위치를 따라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로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보강부가 중첩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각 로프부가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반으로 접힌 원단의 중첩된 단부가 상기 보강부에 재봉되어 좌우방향 폭이 상기 측벽부 일면 폭의 10~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터널형 고리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로프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길이 미만이되 상기 수납공간의 횡방향 단면에 대응되는 내접원의 둘레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알루미늄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비된 필름부가 중첩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필름부의 내면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배부름 현상 방지를 위해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를 지지하는 로프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의 모서리부분과 중앙부분이 밀도차 없이 균일하게 충진될 수 있어 최대적재량의 향상과 더불어 다단 적재시 안전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기 로프부는 팔각 형상으로 배치된 각 지지영역을 통해 모서리부분 사이를 평탄하게 지지하여 모서리부분의 과도한 돌출을 방지하므로 몸체부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에 가까운 클로버 형태로 유지될 수 있어 돌출부로 인한 공극률이 감소되어 제품의 적재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보강부를 통해 측벽부 각 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수단이 한번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로프부로부터 측벽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분산 지지됨에 따라 측벽부의 찢어짐 등 손상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알루미늄 내지는 폴리에틸렌 등의 필름부가 구비되어 별도의 이너라이너 없이도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보관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측벽부의 내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배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측벽부의 내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배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100)은 몸체부(10), 지지수단(30), 그리고 로프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내용물 미수납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하고, 분체류 등의 내용물 수납시 정해진 공간에 적재량이 최대화되도록 외형 변형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재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 등으로 직조될 수 있으며, 내용물 충진시 외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측벽부(10a), 덮개부(10b), 바닥부(1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0a)의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납되도록 사각 기둥 형상의 수납공간(f)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부(10a)는 네 장의 분리된 소재의 양측단부가 상호 접합됨에 따라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좌우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갖는 한장 소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접혀 양측단부가 상호 접합됨에 따라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측벽부(10a)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단부를 따라 덮개부(10b)가 결합되고, 하단부를 따라 바닥부(10c)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백(100)의 내부에 외부공간과 구획된 수납공간(f)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0a)가 네 장의 분리된 부재로 구비되되 각 부재의 폭이 균일한 경우 상기 측벽부(10a)는 정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부재의 폭이 좁고 두 부재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벽부(10a)가 좌우 폭이 넓은 한장의 부재로 구비된 경우 각 면을 형성하기 위해 접는 간격이 동일한 경우 상기 측벽부(10a)는 정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접는 간격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0b)는 중앙부에 내용물의 삽입을 위한 삽입관부(11)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10a)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0b)는 상기 측벽부(10a)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사각 내지 정사각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10b)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부(11)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10b)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부(11)는 수납공간(f)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외면 일측에 구비된 고정끈(12)을 통해 내용물의 충전 후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c)는 상기 측벽부(10a)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0c)는 상기 측벽부(10a)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사각 내지 정사각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10c)는 상기 측벽부(10a) 내부의 수납공간(f)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벽부(10a)의 하단부로부터 외곽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 측벽부(10a)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0c)의 중앙부에는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부(10c)에 배출관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삽입관부(11)를 통해 수납공간으로 내용물이 주입되되, 몸체부(10)를 뒤집은 상태에서 삽입관부(10)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c)에 배출관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에는 배출관부가 밀봉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수납공간으로 주입되고, 몸체부(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배출관부를 개봉하여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측벽부(10a)의 각 면 중앙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복수의 높이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높이위치는 측벽부(10a)의 일면에서 좌우방향 폭을 기준으로 한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정되되, 하나의 면에 복수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면에 설정된 높이위치는 다른 면에 동일하게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각 높이위치마다 구비되며 측벽부(10a)의 일면의 중앙부를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높이위치는 상기 측벽부(10a)의 상하방향 높이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측벽부(10a)의 상하방향 높이가 등분되도록 하나의 높이위치 및 그에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높이위치 사이의 간격이 상호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부(10a)의 높이가 140cm인 경우에 하나의 면에 4개 내외의 높이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높이위치마다 4개의 지지수단(30)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높이위치 및 상기 지지수단(30)은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생산비용과 자재비용을 고려할 때 10~40cm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벽부(10a)의 첫번째 면에 4개의 지지수단(30)이 설치되는 경우, 나머지 세개의 면에도 첫번째 면과 동일한 높이위치를 따라 각각 4개씩의 지지수단(3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지지수단(30)은 측벽부(10a)에 직접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0a)에 덧댐된 보강부(4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로프부(50)는 상기 측벽부(10a)의 각 면 중앙부가 상기 수납공간(f)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지지수단(30) 중 상호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된 각각을 둘레방향으로 순차 경유하여 하나의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하나의 폐쇄 루프는 상기 측벽부(10a)의 각 면 중앙부에 밀착되는 지지영역(a) 및 상기 측벽부(10a)의 각 모서리로부터 이격되는 통제영역(b)이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부(50)는 각 높이위치를 따라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벽부(10a)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폐쇄 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로프부(50)는 측벽부(10a)의 네 면을 따라 동일한 높이위치에 구비된 4개의 지지수단을 거쳐 양단부가 결합됨에 따라 폐쇄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 면에 네개의 높이위치가 설정된 경우, 즉 상기 측벽부(10a)에 네 개의 상이한 높이위치가 설정된 경우에 하나의 높이위치마다 하나의 로프부(50)가 배치되어 4개의 로프부(5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영역(a)은 상기 각 로프부(50) 내지는 각 폐쇄 루프에서 측벽부(10a) 각면의 중앙부에 밀착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통제영역(b)은 상기 각 로프부(50) 내지는 각 폐쇄 루프에서 측벽부(10a)의 각 모서리측에 측벽부(10a)로부터 이격 배치된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하나의 로프부(50) 내지는 폐쇄 루프에서 상기 지지영역(a) 및 통제영역(b)은 측벽부(10a)의 각 면 중앙부 및 각 모서리를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프부(50)는 각 지지영역(a)을 통해 측벽부(10a) 각 면을 구속한 상태에서 지지영역(a) 사이를 연결하는 통제영역(b)이 지지영역(a)의 확장범위를 한정함에 따라 측벽부(10a)의 각 면 중앙부에 대한 변형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각 로프부(50)의 길이는 상기 측벽부(10a)의 둘레길이 미만이되 상기 수납공간의 횡방향 단면에 대응되는 내접원의 둘레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로프부(50)의 길이가 측벽부(10a) 네면 폭의 합보다 작게 설정됨에 따라 각 지지영역(a)에서 측벽부(10a) 각 면이 수납공간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내접원은 상기 측벽부(10a)가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정원, 측벽부(10a)가 직사격형인 경우에는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로프부(50)의 길이가 상기 내접원의 둘레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벽부(10a) 각면에 대한 충분한 지지영역(a)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프부(50)의 길이가 측벽부(10a)의 둘레길이 이상인 경우에는 실질적인 배부름 방지 효과가 부족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로프부(50)의 길이가 내접원의 둘레길이 이하인 경우에는 로프부(50)가 측벽부(10a) 각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때, 로프부(50)의 길이는 매듭 등 양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길이를 의미하며, 매듭 등을 위한 부분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길이로부터 소정의 여유길이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프부(50)의 양단부는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매듭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로프부(50)의 양단부가 매듭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매듭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질수록 조임되는 피셔맨 방식의 매듭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의 수납공간(f)에 내용물이 충진되면, 상기 바닥부(10c)의 중심부터 내용물이 쌓이게 되고 일정 높이 이상 쌓인 내용물은 상기 측벽부(10a)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변형가능한 소재로 몸체부(10)는 내용물의 충진시 일정한 표면적을 유지하며 최대의 체적으로 쌓이려는 경향이 있으며, 총 길이 변화 없이 최대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측벽부(10a)의 중심부에 전체적으로 원형(circular shape)이 되려고 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로프부(50)의 지지영역(a)을 통해 측벽부(10a) 각 면의 중앙부가 수납공간(f)의 중앙측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백(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기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운반 차량이나 창고 등을 이용한 적재 및 보관시 백 사이의 공극률이 감소되어 동일한 넓이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프부(50)는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도 표면이 매끄럽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밧줄 이외에 얇은 띠나 와이어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프부(50)는 수납공간(f)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미소하므로 수납공간(f)의 중앙부분(e)과 모서리부분(d) 사이에 내용물이 유동될 수 있는 통로가 최대한으로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수납공간(f)의 중앙부분(e)과 모서리부분(d)에 균일하게 충진될 수 있으며, 종래에 격벽부재가 적용된 것과 비교할 때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백에서 5% 정도 적재량이 증가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납공간(f)의 중앙부분(e)과 모서리부분(d) 사이의 밀도차가 최소화되므로 모서리부분(d)의 꺼짐 현상으로 인한 백의 넘어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감 있는 다단 적재를 통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백의 넘어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나 내용물의 소실/오염이 예방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 및 보관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각 로프부(50)가 상기 측벽부(10a)의 둘레방향을 따라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터널형 고리부(31)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터널형 고리부(31)는 원단을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중첩된 단부를 측벽부(10a)의 내면에 재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널형 고리부(31)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여 상기 로프부(50)의 각 지지영역(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리부(31)의 중첩된 단부는 상기 측벽부(10a)에 직접 재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측벽부(10a)에 별도로 덧댐된 보강부재(40)에 재봉되어 측벽부(10a)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로프부(50)는 측벽부(10a)의 네 면을 따라 고리부(31)를 부착하고, 부착된 고리부(31) 중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된 각각을 경유하도록 통과시켜 양단부를 결합하는 것으로 몸체부(10)에 대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측벽부(10a) 중 인접한 두면을 따라 격벽부재를 재봉하는 것과 달리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규격의 컨테이너백에도 용이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내용물의 충진되며 접힌 상태의 몸체부(10)가 확장됨과 함께 로프부(50)가 고리부(31)의 홀을 따라 자연스럽게 슬립되며 측벽부(10a) 각 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각 로프부(50)의 팔각 형상 배치를 위해 상기 측벽부(10a) 각 면 폭의 10%~45%에 대응되는 지지영역(a)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리부(31)는 좌우방향의 폭이 상기 측벽부(10a) 일면 폭(c)의 10%~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각 로프부(50)는 측벽부(10a)의 각 면에 밀착된 지지영역(a)과 측벽부(10a)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된 통제영역(b)이 반복된 팔각 형상의 폐쇄 루프를 이루며 내용물의 하중을 측벽부(10a)의 모서리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에 가까운 클로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내용물의 충진시 로프부(5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단면을 살펴보면, 네 모서리방향의 측벽부(10a)가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늘어나되 각 변의 중심측이 지지영역(a)에 의해 평탄하게 유지되며 네 모서리방향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백(100)의 하중이 수납공간(f)의 네 모서리부분(d)측으로 분산되어 직립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함과 더불어, 모서리부분(d)의 과도한 돌출을 방지하여 사각형에 매우 가까운 클로버 형태의 단면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백 사이의 공극률이 최소화되어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영역(a)이 상기 측벽부(10a) 일면 폭(c)의 1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가압력이 고리부(31) 및 측벽부(10a)가 접촉된 좁은 영역으로 집중되어 측벽부(10a)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영역(a)이 상기 측벽부(10a) 일면 폭(c)의 45%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하중이 각 모서리부분(d)으로 원활하게 분산되지 못해 제품의 직립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지지영역(a)을 통한 측벽부(10a) 각 면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측벽부(10a)의 찢어짐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영역 내지 지지수단의 폭은 각각이 설치되는 면의 폭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10a)가 정사각 기둥 아닌 직사각 기둥인 경우에는 긴 폭의 면에 형성된 지지영역이 짧은 폭의 면에 형성된 지지영역보다 길게 형성되며, 직사각기둥의 형상을 유지하며 배부름 방지 효과 및 직립성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0a)의 각 면에는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보강부(40)가 중첩 결합되되,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보강부(40)의 내면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수단(30)이 고리부(31)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고리부(31)는 보강부(40)를 따라 재봉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40)는 상기 측벽부(10a)의 네 면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며, 각 보강부(40)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고리부(31) 내지는 지지영역(a)의 폭 이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40)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측벽부(10a)의 상하방향 높이 이하로 구비되되 상기 각 높이위치 중 최하측 하나와 최상측 하나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보강부(40)를 따라 상기 각 높이위치에 대응되는 고리부(31)를 설치하고, 고리부(31)가 설치된 보강부(40)를 측벽부(10a) 각 면 중앙부에 재봉함으로써 한번에 다수의 고리부(31)가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측벽부(10a)의 각 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이루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인접한 각 면 중앙부 사이에 격벽부재를 연결하는 난해한 공정과 달리 상기 보강부(40)는 측벽부(10a)의 양단부가 결합되기 이전 단계에서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부(50)는 지지수단(30) 내지는 고리부(31)가 설치된 이후라면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측벽부(10a)의 양단부가 결합된 상태, 측벽부(10a)의 양단부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 모두에서 고리부(31)를 따라 결합될 수 있으며, 측벽부(10a)에 바닥부(10b) 및 덮개부(10c)가 결합되어 몸체부(10)가 완성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통공형 격벽부재 내지는 그물형 격벽부재를 측벽부에 재봉하는 것과 같은 재봉 상의 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부(50)의 지지영역(a)을 통해 상기 측벽부(10a)의 각 면 중앙부가 지지될 때 상기 측벽부(10a)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상기 지지수단(30) 내지는 고리부(31)의 좁은 부분으로 집중되지 않고 상기 보강부(40)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 지지되므로 측벽부(10a)의 찢어짐 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컨테이너백(100)에서도 측벽부(10a)의 손상 없이 사각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40) 및 상기 측벽부(10a) 사이에는 인양벨트(20)가 재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20)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 고강도의 원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양벨트(20)는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등을 통한 몸체부(10)의 인양시 사용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0)의 둘레를 따라 4개소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인양벨트(20)는 상기 측벽부(10a)의 일면 중앙부와 그에 인접한 타면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각 인양벨트(20)의 단부가 상기 보강부(40)의 재봉과 함께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부품 간의 조립 공정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양벨트(20)의 인양시 하중이 상기 보강부(40)를 따라 분산 지지될 수 있으며, 보강부(40)를 수납공간 내측으로 당겨주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몸체부(10)의 이동 및 내용물의 유동시 로프부(50) 중 하나에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0b)는 외곽측 테두리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10a)의 상단 내면을 따라 재봉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10b) 및 상기 측벽부(10a)의 결합부분에 상기 인양벨트(20)가 중첩 결합됨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지지수단의 구체적인 형태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각 높이위치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고리부(32a,32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높이위치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한쌍의 관통홀(33a,33b)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리부(32a,32b)의 사이의 간격 및 상기 관통홀(33a,33b)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32a,32b)의 간격 및 상기 관통홀(33a,33b) 사이의 간격은 측벽부(10a) 일면 폭의 10%~45%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프부(50)는 측벽부(10a) 일면에서 하나의 높이위치에 구비된 한쌍의 고리부(32a,32b)를 통과하여 하나의 지지영역(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측벽부(10a) 일면에서 하나의 높이위치에 구비된 한쌍의 관통홀(33a,33b)을 통과하여 하나의 지지영역(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3a,33b)은 상기 보강부(4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일부 경우에는 상기 측벽부(10a)에 직접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30)이 상기 보강부(40)에 형성된 관통홀(33a,33b)로 구비된 경우 상기 로프부(50)는 하나의 관통홀(33a)을 통과하여 보강부(40) 및 측벽부(10a) 사이 공간을 거친 후 다른 관통홀(33b)을 통과하여 수납공간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부(40)는 상기 관통홀(33a,33b) 사이 공간이 상기 측벽부(10a)와 분리되도록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필름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10a)의 내면에는 알루미늄(Aluminum)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비된 필름부(260)가 중첩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230)은 상기 필름부(260)의 내면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필름부(260)는 상기 측벽부(210a)의 내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210a)에 코팅 등을 적층 공정을 거쳐 직접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260)는 알루미늄으로 구비된 하나, 내지는 폴리에틸렌으로 구비된 하나가 상기 측벽부(210a)의 내면에 구비된 것도 가능하며, 알루미늄으로 구비된 하나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비된 하나가 상기 측벽부(210a)의 내면에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으로 구비된 필름부는 상기 측벽부(210a) 및 상기 폴리에틸렌으로 구비된 필름부 사이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260)는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내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 상기 측벽부(210a)는 내면에 필름부(260)가 중첩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230)은 상기 보강부(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름부(260)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필름부(260)의 내면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알루미늄 재질의 필름부는 상기 수납공간으로의 투습 및 공기 투과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금속나노분말 등 수분이나 공기에 취약한 내용물의 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재질의 필름부는 상기 측벽부(210a)의 강성을 보강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날카로운 형상으로 측벽부(210a)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는 내용물의 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이너라이너 없이도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보관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200: 컨테이너백 10: 몸체부
10a,210a: 측벽부 10b: 덮개부
10c: 바닥부 20: 인양벨트
30,230: 지지수단 40,240: 보강부
50,250: 로프부 260: 필름부

Claims (5)

  1.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도록 사각 기둥 형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측벽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복수의 높이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수단; 및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가 상기 수납공간측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수단 중 상호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된 각각을 둘레방향으로 순차 경유하며,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에 밀착되는 지지영역 및 상기 측벽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이격되는 통제영역이 반복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되, 상기 각 높이위치를 따라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로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각 면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보강부가 중첩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각 로프부가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반으로 접힌 원단의 중첩된 단부가 상기 보강부에 재봉되어 좌우방향 폭이 상기 측벽부 일면 폭의 10~45%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터널형 고리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길이 미만이되 상기 수납공간의 횡방향 단면에 대응되는 내접원의 둘레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알루미늄 및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비된 필름부가 중첩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필름부의 내면을 따라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KR1020160046905A 2016-04-18 2016-04-18 컨테이너백 KR10169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05A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6-04-18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05A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6-04-18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884B1 true KR101696884B1 (ko) 2017-01-16

Family

ID=5799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05A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6-04-18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8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312B1 (ko) 2017-11-30 2018-09-19 (주)성림산업 운반용 포대
KR101922377B1 (ko) * 2018-06-20 2018-11-26 박찬경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WO2019098812A1 (ko) * 2017-11-20 2019-05-23 박찬경 컨테이너 백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195912B1 (ko) * 2020-07-30 2020-12-28 (주)성림산업 컨테이너백용 통형 직물
RU202948U1 (ru) * 2020-07-17 2021-03-16 Иван Георгиевич Рабизо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егких сыпучих грузов
KR20220126529A (ko) * 2021-03-09 2022-09-16 이준식 컨테이너 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833A1 (en) * 2002-04-29 2005-05-19 Avram Levi Net-based baffle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KR200479149Y1 (ko) * 2014-06-16 2015-12-24 서정욱 비닐 내피가 구비된 이중 톤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5833A1 (en) * 2002-04-29 2005-05-19 Avram Levi Net-based baffle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KR200479149Y1 (ko) * 2014-06-16 2015-12-24 서정욱 비닐 내피가 구비된 이중 톤백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812A1 (ko) * 2017-11-20 2019-05-23 박찬경 컨테이너 백
KR101900312B1 (ko) 2017-11-30 2018-09-19 (주)성림산업 운반용 포대
KR101922377B1 (ko) * 2018-06-20 2018-11-26 박찬경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RU202948U1 (ru) * 2020-07-17 2021-03-16 Иван Георгиевич Рабизо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егких сыпучих грузов
KR102195912B1 (ko) * 2020-07-30 2020-12-28 (주)성림산업 컨테이너백용 통형 직물
KR20220126529A (ko) * 2021-03-09 2022-09-16 이준식 컨테이너 백
KR102547774B1 (ko) * 2021-03-09 2023-06-23 이준식 컨테이너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100678622B1 (ko)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7476028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7500786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US5873655A (en) Bulk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 bands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1906795B1 (ko) 모서리 격벽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JP6822795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2547774B1 (ko) 컨테이너 백
KR101940548B1 (ko) 컨테이너 백
KR20220030053A (ko) 컨테이너 백
KR101891726B1 (ko) 평탄안내가이드 및 평탄안내가이드가 부착된 컨테이너백
KR102006940B1 (ko) 컨테이너백
KR20240040236A (ko) 클로버형 바닥부를 갖는 배플 일체형 클로버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42699A (ko) 컨테이너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