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312B1 - 운반용 포대 - Google Patents

운반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312B1
KR101900312B1 KR1020170163101A KR20170163101A KR101900312B1 KR 101900312 B1 KR101900312 B1 KR 101900312B1 KR 1020170163101 A KR1020170163101 A KR 1020170163101A KR 20170163101 A KR20170163101 A KR 20170163101A KR 101900312 B1 KR101900312 B1 KR 10190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ping portion
inner skin
skin
overlapp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상
Original Assignee
(주)성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림산업 filed Critical (주)성림산업
Priority to KR102017016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피 내측에 내피가 일체화되어 있어 내용물을 쏟아내는 과정에서 내피가 외피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피와 외피의 결합부위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피의 재질의 특성상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운반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면 중앙에 주입부(100)가 하면 중앙에 배출부(110)가 구비된 사각 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 상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주입부재가 봉제처리한 덮개부(200)와 상기 내피 하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210)와 상기 내피(10) 사각 몸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00)와 바닥부(210)가 별도로 봉제처리토록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외피(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10)의 사각 몸체 상단부 및 하단부 사방을 중첩하여 형성된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의 일측에 융착 결합하는 띠 형태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덮개부(200) 및 바닥부(210)의 사방을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2 중첩부(212)와,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 사방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3 중첩부(201)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중첩부(212)와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제3 중첩부(201)를 일련되게 중첩한 후 동시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포대"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의 운반용 포대는, 합성수지재로 된 제2 중첩부(212)와 상기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 일측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3 중첩부(201)를 순차적으로 중첩 결합한 다음 봉제처리토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하부로 쏟아져 내리는 과정에서 비닐로 된 내피(10)가 외피(20)의 하부로 빠져나오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내피(10)가 기계로 빨려들어가 고장을 유발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내피(10)와 외피(20)의 결합부위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피(10)의 재질의 특성상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기밀성 측면에서도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운반용 포대{Sack for transporting}
본 발명은 운반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피 내측에 내피가 일체화되어 있어 내용물을 쏟아내는 과정에서 내피가 외피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피와 외피의 결합부위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피의 재질의 특성상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운반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용 포대는 다량의 운반물을 넣어 장시간 선박 혹은 차량 수송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쌀, 보리, 조와 같은 곡물이나 해조류와 같은 수용물을 다량 넣어 운반할 때에는 통기성이 좋아야만 수용물이 상하지 않게 되고, 석유화학제품 등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의 적하물을 운반 및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밀성과 방수성이 요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운반용 포대는 섬유재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Polyetylene :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직조하여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포대 본체를 만들고, 그 상, 하단부를 포대 본체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진 덮개부와 받침부로 봉합하며, 이 덮개부와 받침부의 중간부위에는 수용물의 투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투입구와 배출구를 부착하고 포대 본체에는 수용물을 선박이나 차량에 이동하기 쉽도록 운반걸이 즉 걸이부재를 부착하여 만들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포대 본체는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어 있되 내피가 비닐로 되어 있어 채워지는 내용물이 내피에 의해 빗물이나 습기로부터 보호되도록 된 것이 있다.
외피와 내피를 갖는 종래의 포대 본체는 비닐로 된 내피가 단순히 외피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일 뿐 외피와 내피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로 인하여 내피에 채워진 내용물을 하부로 쏟아낼 때 내피가 내용물과 함께 외피의 하부로 상당히 빠져나오고, 이와 같이 빠져나온 내피가 기계로 빨려들어가 기계의 고장을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대를 제조하여 유통하는 과정이나 내용물을 내피에 담는 과정 등에서 내피와 외피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그러한 이물질이 내용물과 함께 쏟아져 내려 기계로 들어가므로 제품의 불량률 등을 높이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290557호가 발명되었고 이에 대한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물건 삽입을 위하여 개봉된 입구의 천의 단부를 접어서 끈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재봉한 끈 삽입부와, 상기 끈 삽입부의 대향측 2지점을 외부에 대하여 개방시킨 개구부와, 상기 끈 삽입부로 삽입되며 고리형상의 양단이 2지점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포대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의 조임끈의 중간부분은 상기 끈 삽입부에 재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수납 운반용 포대"를 구성적 특징이 있고,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256955호의 기술적 내용을 살펴보면,
"내부 수용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부 입구와 하부 출구를 갖는 육면체의 외피; 상기 외피의 입구에 구비되는 입구 개폐용 덮개부재; 상기 외피의 출구에 구비되는 출구 개폐용 바닥부재; 상기 외피의 네 측부에서 인접한 측부와 측부 각각에 일단부(一端部)와 타단부(他端部)가 연결되는 인상(引上)용 고리부재; 및 상기 외피의 네 측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풍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통풍공은 이의 내주면이 용융된 마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를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반적인 선행기술은 내피의 상단 모서리 변 즉, 4군데에 봉재부를 형성하여 내피와 외피를 함께 상기 봉재부만을 봉재처리하고 있는 기술로서, 상기 봉재부가 내피와 일체로 되어 있는 부재가 아니라 별도의 봉재부를 내피에 구비하고 이와 같이 구비된 봉재부를 외피와 함께 봉재하는 것으로서 봉재부가 내피와 일체로 되어 있지 아니함에 따른 견고성에 문제가 있고 상기와 같이 별도의 봉재부를 내피에 또 다시 봉재한 후 외피와 봉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사 상기 봉재부가 내피와 일체로 되어 있다면 상기 내피의 제작시 별도의 봉재부를 형성하기 위한 재단과정에서의 작업의 복잡성에 문제가 있어 비록 내피와 외피의 일체화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하나 그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롭거나 아니면 봉재부만으로 내외피가 일체로 되어 있는 관계로 봉재부의 견고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290557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2569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와 내피가 일체화되어 있어 내용물을 쏟아내는 과정에서 내피가 외피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음으로써 기계의 고장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는 안전한 운반용 포대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내피와 외피의 결합부위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피의 재질의 특성상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제품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면 중앙에 주입부(100)가 하면 중앙에 배출부(110)가 구비된 사각 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 상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주입부재가 봉제처리한 덮개부(200)와 상기 내피 하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210)와 상기 내피(10) 사각 몸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00)와 바닥부(210)가 별도로 봉제처리토록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외피(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10)의 사각 몸체 상단부 및 하단부 사방을 중첩하여 형성된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의 일측에 융착 결합하는 띠 형태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덮개부(200) 및 바닥부(210)의 사방을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2 중첩부(212)와,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 사방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3 중첩부(201)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중첩부(212)와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제3 중첩부(201)를 일련되게 중첩한 후 동시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포대"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반용 포대는, 합성수지재로 된 제2 중첩부(212)와 상기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 일측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3 중첩부(201)를 순차적으로 중첩 결합한 다음 봉제처리토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하부로 쏟아져 내리는 과정에서 비닐로 된 내피(10)가 외피(20)의 하부로 빠져나오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내피(10)가 기계로 빨려들어가 고장을 유발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내피(10)와 외피(20)의 결합부위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피(10)의 재질의 특성상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기밀성 측면에서도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내피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내피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내피와 외피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내피와 외피가 결합된 상태의 미완성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4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4의 상태에서 덮개부와 바닥부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6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6의 결합된 완성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내피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내피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내피와 외피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내피와 외피가 결합된 상태의 미완성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4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4의 상태에서 덮개부와 바닥부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6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운반용 포대에 있어서 도 6의 결합된 완성 사시도이다.
우선, 종래의 공지된 운반용 포대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면 중앙에 주입부(100)가 하면 중앙에 배출부(110)가 구비된 사각 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 상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주입부재가 봉제처리한 덮개부(200)와 상기 내피 하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210)와 상기 내피(10) 사각 몸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00)와 바닥부(210)가 별도로 봉제처리토록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외피(20)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인 운반용 포대의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운반용 포대에서 본 발명은 외피(20)와 그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내피(10)와의 결합구조 및 이와 함께 덮개부(200)와 바닥부(210)의 결합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내피(10)의 사각 몸체 상단부 및 하단부 사방을 중첩하여 형성된 제1 중첩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중첩부(111)의 일측에 띠 형태의 결합부재(120)를 융착 결합한다. 물론, 봉제처리도 가능하나 내피(10)가 비닐지로 이루어진 것으므로 봉제보다는 융착 결합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 사방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제3 중첩부(201)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3 중첩부(201)과 상기 결합부재(120)가 융착 결합된 제1 중첩부(111)을 결합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상기 제1 중첩부(111)와 제3 중첩부(201)을 우선적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00) 및 바닥부(210)의 사방을 절곡 절첩하여 제2 중첩부(212)를 형성한 다음,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첩부(212)와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제3 중첩부(201)를 일련되게 중첩한 후 동시에 봉제처리토록 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00)과 바닥부(210)의 사방을 절곡 절첩하여 제2 중첩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내피(10)의 사각 몸체 상단부 및 하단부 사방을 중첩하여 제1 중첩부(111)를 형성한 다음, 상기 외피(20)를 상기 내피(10) 외주부로 씌운 후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 사방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제3 중첩부(201)를 형성한 연후에 상기 제2 중첩부(212)와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제3 중첩부(201)를 일련되게 중첩한 후 동시에 봉제처리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덮개부(200), 바닥부(210) 및 결합부재(120)과 외피(20)는 합성수지재로서 봉제처리함에 따라 기존 단순히 비닐로 된 내피(10)와 합성수지재로 된 외피(20)를 융착 또는 봉제처리함에 따른 내피(10)의 재질상의 문제로 인한 손상의 빈번함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직조된 합성수지재인 결합부재(120)와 합성수지재로서 직조된 상기 덮개부(200), 바닥부(210) 및 외피(20)는 같은 재질이든 또 다른 재질이든 간에 봉제처리는 그 기밀성에서 비닐지인 내피(10)를 단순히 봉제처리하는 것보다는 월등히 기밀성과 견고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함으로서 합성수지재로 된 제2 중첩부(212)와 상기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 일측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3 중첩부(201)를 순차적으로 중첩 결합한 다음 봉제처리토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하부로 쏟아져 내리는 과정에서 비닐로 된 내피(10)가 외피(20)의 하부로 빠져나오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내피(10)가 기계로 빨려들어가 고장을 유발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내피(10)와 외피(20)의 결합부위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피(10)의 재질의 특성상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기밀성 측면에서도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내피 20 : 외피
100 : 주입부 110 : 배출부
111 : 제1 중첩부 120 : 결합부재
200 : 덮개부 201 : 제3 중첩부
210 : 바닥부 212 : 제2 중첩부

Claims (1)

  1. 상면 중앙에 주입부(100)가 하면 중앙에 배출부(110)가 구비된 사각 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 상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주입부재가 봉제처리한 덮개부(200)와 상기 내피 하면에 결합되되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210)와 상기 내피(10) 사각 몸체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200)와 바닥부(210)가 별도로 봉제처리토록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외피(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10)의 사각 몸체 상단부 및 하단부 사방을 중첩하여 형성된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의 일측에 융착 결합하는 띠 형태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덮개부(200) 및 바닥부(210)의 사방을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2 중첩부(212)와,
    상기 외피(20)의 개구된 상단 및 하단 사방을 내측으로 절곡 절첩하여 형성된 제3 중첩부(201)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중첩부(212)와 제1 중첩부(111)와 상기 제1 중첩부(111)에 융착 결합된 결합부재(120)와 상기 제3 중첩부(201)를 일련되게 중첩한 후 동시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포대.
KR1020170163101A 2017-11-30 2017-11-30 운반용 포대 KR10190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01A KR101900312B1 (ko) 2017-11-30 2017-11-30 운반용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101A KR101900312B1 (ko) 2017-11-30 2017-11-30 운반용 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312B1 true KR101900312B1 (ko) 2018-09-19

Family

ID=6371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101A KR101900312B1 (ko) 2017-11-30 2017-11-30 운반용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494B1 (ko) * 2020-10-08 2021-02-25 (주)티피에스코리아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7-01-16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84B1 (ko) 2016-04-18 2017-01-16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494B1 (ko) * 2020-10-08 2021-02-25 (주)티피에스코리아 컨테이너 백 내부부재, 이중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0046C (en) Gusseted bag made of a flexible weldable material
US4597102A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
JPH05132092A (ja) バルクコンテナ
KR101032147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JPH08175597A (ja) リサイクル可能なバルクバッグコンテナー
KR101700085B1 (ko)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KR200479149Y1 (ko) 비닐 내피가 구비된 이중 톤백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US20120099809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draining valve fitted on bags intended for the transport and handling of liquid or quasi-liquid substances
KR101900312B1 (ko) 운반용 포대
KR20120134992A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EP0041586B1 (en) Flexible container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bulk material
US20140205209A1 (en) Bare liner bulk bag
CN103979180B (zh) 内塞外盖组合一体奶粉罐
US6206568B1 (en) Flexible shipping container
KR101393619B1 (ko) 배출구가 이중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백용 내피 및 그를 포함한 컨테이너 백
KR101095116B1 (ko) 컨테이너 백 구조
KR200455252Y1 (ko) 포대
KR101011503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KR102439927B1 (ko)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US20110158559A1 (en) Side strap handle bag
US11292664B2 (en) Flexible large container with a seam-free useful space
AU2013201046A1 (en) Gusseted Bag
KR20150002905U (ko) 포장과 운반이 용이한 포장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