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48B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48B1
KR101940548B1 KR1020180038726A KR20180038726A KR101940548B1 KR 101940548 B1 KR101940548 B1 KR 101940548B1 KR 1020180038726 A KR1020180038726 A KR 1020180038726A KR 20180038726 A KR20180038726 A KR 20180038726A KR 101940548 B1 KR101940548 B1 KR 10194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present
folding
shap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상
Original Assignee
(주)성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림산업 filed Critical (주)성림산업
Priority to KR102018003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밀가루 등의 분상물 등을 다량 넣어 육상 및 해상으로 이송할 때 사용되기 위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직조된 원단 재질인 외피와 비닐 재질인 속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속지내에 수납되는 내용물을 동일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서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며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분상물 형태의 내용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4각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사방에 측벽부(200)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200)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제1 보강대(61)가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외피(20)와 상기 외피(20)의 상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주입공(300)이 천공되며 상기 주입공(300) 사방에 십자형태로 형상유지를 위한 보강편(310)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덮개부(30)와 상기 외피(20)의 하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배출공(400)이 천공되며 상기 배출공(400) 사방으로 각각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된 4각형상의 바닥부(40)와 상기 측벽부(200)의 상측 중앙에 각각 복수개가 봉제처리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벽부(200) 하측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절첩부(210)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보강대(61)를 봉제처리하며, 상기 바닥부(40)의 배출공(400) 사방으로 외주 중앙부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2 절첩부(220)를 형성한 후 상기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각각 같은 길이로 절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과,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순차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길게 형성한 것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내피에 수납시 내용물이 바닥부의 제2 보강대에 의해 양측 모서리 및 제1 보강대에 의해 측벽부의 모서리로 집중됨과 동시에 제1 절첩부 및 제2 절첩부에 의해 상기와 같은 현상을 더욱 촉진토록 함으로서 측벽부의 가운데 부분을 불룩하게 하는 배부름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하중이 바닥부의 모서리 및 측벽부의 모서리 부분으로 집중되어 고리부를 당길때 상기 외피의 중심으로부터 모서리방향으로 네 개의 가상적인 기둥 형성되므로 컨테이너 백의 하중이 네 기둥의 바닥부로 분산되어 상측부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몸체부의 직립형태가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를 당길때 보강편이 컨테이너 백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측벽부에 결합된 제1 보강대 및 바닥부에 결합된 제2 보강대에 의해 내용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함과 함께 외피의 상부 및 하부에 동시에 인양력을 전달하므로 컨테이너 백 전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운반시 안전성이 향상되며, 컨테이너 백의 요동에 따른 고리부와 외피 간 연결부분의 찢어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며, 내피 내부로 내용물을 최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 자체를 없애고 밀폐 공간부를 최소화함으로서 같은 용량의 컨테이너 백과 비교시 내용물의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최대량의 내용물 투입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장점을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 {Container bag}
본 발명은 시멘트, 밀가루 등의 분상물 등을 다량 넣어 육상 및 해상으로 이송할 때 사용되기 위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직조된 원단 재질인 외피와 비닐 재질인 속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속지내에 수납되는 내용물을 동일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서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며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은 곡물이나 사료 및 광석, 목재의 칩과 같은 입상물 또는 시멘트, 밀가루 등의 분상물 등을 다량 넣어 육상 및 해상으로 수송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은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피를 이루게 되고, 내측으로는 방수성이 있는 비닐류 등으로 상기 외피 내면과 형합되는 내피를 형성하여, 상기 내피를 외피안에 끼워 넣어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최근에는 국제 간의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동량이 증가되면서 효율적인 운송과 보관을 위해서, 그리고 심화되는 경쟁에 따른 운송비 및 보관비의 절감을 위해서 트럭 또는 컨테이너 차량을 통한 운반시나 창고 적재시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 백은 외피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닥부와 상기 외피내에 결합되는 내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부의 상측 둘레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로프(rope) 또는 벨트(belt)로 형성된 고리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백은 상기 내피에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 차량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 개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시 내용물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측벽부의 가운데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현상(이하 '배부름 현상'이라 한다)이 발생하게 되어 운송 또는 보관시에 자리를 많이 차지하며 원형형태를 나타낸다
더욱이 최근에는 컨테이너 백을 적층 보관하기 위한 자동화 창고가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창고는 가로세로가 적당히 구획된 적치대 위에 상기 컨테이너 백을 팔레트에 받쳐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옮겨서 보관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배부름 현상으로 인하여 적치대의 폭이 컨테이너 백의 폭과 일치하지 아니하여 적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백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하중이 상기 측벽부로 분산되어 상기 바닥부로 하중이 집중되지 못해 안정적으로 적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 백이 안정적으로 직립치 못하여 넘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크게 다치거나,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쏟아져 파손되거나 손실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그 중 하나의 방법은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백의 상하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보강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배부름 현상이 어느 정도 억제되기도 하지만, 보강부의 형성에 따른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보강부의 인접부분에 형성된 집중하중으로 인한 컨테이너 백의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각 수직방향 모서리의 인접 측면부의 안쪽 벽면을 연결하는 칸막이를 재봉하여 배부름 현상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칸막이의 형성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칸막이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이 충전물과 섞여 제품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칸막이의 장애로 인하여 방수 내피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다단 적재시 하단에 적재된 컨테이너 백의 칸막이 연결부위가 파손됨으로써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공개 제10-2004-0027809호 국내 특허등록 제10-0678622호 국내 특허공개 제10-2006-0086303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45911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피 내부로 내용물을 최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를 최소화함으로서 같은 용량의 컨테이너 백과 비교시 내용물의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최대량의 내용물 투입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장점을 발휘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으며,
또한, 내용물 충전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다단 적재시 안정성을 향상 효과를 발휘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분상물 형태의 내용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4각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사방에 측벽부(200)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200)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제1 보강대(61)가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외피(20)와 상기 외피(20)의 상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주입공(300)이 천공되며 상기 주입공(300) 사방에 십자형태로 형상유지를 위한 보강편(310)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덮개부(30)와 상기 외피(20)의 하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배출공(400)이 천공되며 상기 배출공(400) 사방으로 각각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된 4각형상의 바닥부(40)와 상기 측벽부(200)의 상측 중앙에 각각 복수개가 봉제처리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벽부(200) 하측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절첩부(210)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보강대(61)를 봉제처리하며, 상기 바닥부(40)의 배출공(400) 사방으로 외주 중앙부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2 절첩부(220)를 형성한 후 상기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각각 같은 길이로 절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과,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순차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길게 형성한 것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내피에 수납시 내용물이 바닥부의 제2 보강대에 의해 양측 모서리 및 제1 보강대에 의해 측벽부의 모서리로 집중됨과 동시에 제1 절첩부 및 제2 절첩부에 의해 상기와 같은 현상을 더욱 촉진토록 함으로서 측벽부의 가운데 부분을 불룩하게 하는 배부름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하중이 바닥부의 모서리 및 측벽부의 모서리 부분으로 집중되어 고리부를 당길때 상기 외피의 중심으로부터 모서리방향으로 네 개의 가상적인 기둥 형성되므로 컨테이너 백의 하중이 네 기둥의 바닥부로 분산되어 상측부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몸체부의 직립형태가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를 당길때 보강편이 컨테이너 백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측벽부에 결합된 제1 보강대 및 바닥부에 결합된 제2 보강대에 의해 내용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함과 함께 외피의 상부 및 하부에 동시에 인양력을 전달하므로 컨테이너 백 전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운반시 안전성이 향상되며, 컨테이너 백의 요동에 따른 고리부와 외피 간 연결부분의 찢어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며, 내피 내부로 내용물을 최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 자체를 없애고 밀폐 공간부를 최소화함으로서 같은 용량의 컨테이너 백과 비교시 내용물의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최대량의 내용물 투입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장점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피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바닥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피의 결합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납되기 전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피에 내용물 수납시 외피의 변형 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보강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저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제1 절첩부와 제2 절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의 저면도,
도 12는 종래 컨테이너 백의 내피에 내용물 수납시 외피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종래 컨테이너 백의 적재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피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바닥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외피의 결합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납되기 전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피에 내용물 수납시 외피의 변형 상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보강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저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제1 절첩부와 제2 절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의 저면도이며, 도 12는 종래 컨테이너 백의 내피에 내용물 수납시 외피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종래 컨테이너 백의 적재된 상태의 도면이다.
우선, 분상물 형태의 내용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4각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사방에 측벽부(200)가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외피(20)와 상기 외피(20)의 상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주입공(300)이 천공된 4각형상의 덮개부(30)와 상기 외피(20)의 하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배출공(400)이 천공된 4각형상의 바닥부(40)와 상기 측벽부(200)의 상측 중앙에 각각 복수개가 봉제처리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본 구성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백의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일반적인 컨테이너 백의 구성요소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구조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핵심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의 주입공(300) 사방에 십자형태로 일측이 봉제처리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측벽부(200)와 상기 덮개부(30)가 봉제처리된 부위에 2중으로 봉제처리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피(10)에 내용물을 수납한 후 고리부(50)를 통해 운반시 컨테이너 백의 덮개부(30)가 일그러짐으로서 형상 유지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최대한 컨테이너 백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보강편(31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적재시 상기 보강편(310)이 컨테이너 백의 형상을 유지함으로서 상단에 적재되는 컨테이너 백의 직립 형태 유지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적재를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다음,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00)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제1 보강대(61)를 각각 봉제처리하되,
상기 측벽부(200) 하측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절첩부(210)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보강대(61)를 상측 상면에는 고리부(50)를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40)에는 바닥부(40)의 배출공(400) 사방으로 각각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바닥부(40) 외주 중앙부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2 절첩부(220)를 형성한 후 상기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대(61)와 제2 보강대(62)는 일체로 형성되어 보강대(60)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각각 같은 길이로 절첩 형성한 것이며,
다른 형태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순차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길게 형성한 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B는 본 발명 및 종래기술의 컨테이너 백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정면에서 볼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0) 하측에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제1 절첩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참고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40)에 제2 절첩부(220)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보강대(61) 및 제2 보강대(62) 또는 일체로된 보강대(60)로 상기 제1 절첩부(210)와 제2 절첩부(220)가 절첩된 상태에서 봉제처리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우선 보강대(60) 또는 제1 보강대(61)와 제2 보강대(62)에 의해 1차적으로 내피(10)에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도 최소한 측벽부(200)의 배불림 현상은 해소 가능하나, 상기 제1 절첩부(210)와 제2 절첩부(220)에 의해 수납되는 내용물이 빠르게 바닥부(40)의 4모서리부위로 충진되면서 컨테이너 백(B) 전체의 하중이 하측으로 집중되고 이로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후 순차적으로 측벽부(200)의 하측에 충진되되 이때에도 상기 제1 절첩부(210)에 의해 측벽부(200)의 중앙부가 아니라 양측 즉, 4모서리부로 내용물이 자연스럽고 빠르게 충진되어 하중을 하측으로 집중하면서 순차적으로 내용물이 충진되며 이를 나타낸 도면이 도 7인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수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대략적으로 4각형상을 이루되 물론 재질이 직조된 원단이므로 외형적으로 볼때 외곽선이 직선형태는 아니며 도면상에서는 편리성을 위해서 4각형상으로 표현한 것이며 아무튼 도 6에서와 같이 4각형상이지만 내용물이 수납된 이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0)의 외곽선이 4모서리에는 상대적으로 측벽보다 불룩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도에서도 마찬가지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를 형성한 상태에서 그 외주면에 제1 보강대(61) 및 제2 보강대(62)가 구비됨에 따른 형상의 변화인 것이다.
한편, 제1 절첩부(210)과 제2 절첩부(220)의 길이를 일정하게 함으로서 균일하게 하중을 하측으로 유지할 수도 있고 제1 절첩부(210)과 제2 절첩부(220)의 길이를 순차적으로 짧게 하거나 또는 길게 함으로서 직립형태의 안정적인 유지와 더불어 내용물의 충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테이너 백(B)을 적재시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한 도 13과 달리 컨테이너 백(B)간의 간격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같은 공간에 최대의 컨테이너 백(B)을 적재 가능하도록 하며 더 나가서 하중이 하측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단순히 사각형상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안정적인 직립 형태를 유지 가능하게 함으로서 컨테이너 백(B)의 적재 또는 직립시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또는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B)에 내용물을 수납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를 적재할 경우 도 13에서와 같이 직립의 불안정성과 더불어 적재공간에서 로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히 컨테이너 백(B)의 측벽부(200)의 배불림 현상만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측벽부(200)의 하측과 바닥부(40)에 더욱 하중을 집중토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직립 형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내피(10) 내부로 내용물을 최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 자체를 없애고 밀폐 공간부를 최소화함으로서 같은 용량의 컨테이너 백과 비교시 내용물의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최대량의 내용물 투입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인 장점을 발휘하는 것이다.
10 : 내피 20 : 외피
30 : 덮개부 40 : 바닥부
50 : 고리부 60 : 보강대
61 : 제1 보강대 62 : 제2 보강대
200 : 측벽부 210 : 제1 절첩부
220 : 제2 절첩부 300 : 주입공
310 : 보강편 400 : 배출공
B : 컨테이너 백

Claims (4)

  1. 분상물 형태의 내용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4각형상의 내피(10)와 상기 내피(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사방에 측벽부(200)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200)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제1 보강대(61)가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외피(20)와 상기 외피(20)의 상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주입공(300)이 천공되며 상기 주입공(300) 사방에 십자형태로 형상유지를 위한 보강편(310) 봉제처리되어 있는 4각형상의 덮개부(30)와 상기 외피(20)의 하부에 봉제처리되며 중앙에 배출공(400)이 천공되며 상기 배출공(400) 사방으로 각각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된 4각형상의 바닥부(40)와 상기 측벽부(200)의 상측 중앙에 각각 복수개가 봉제처리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벽부(200) 하측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절첩부(210)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보강대(61)를 봉제처리하며, 상기 바닥부(40)의 배출공(400) 사방으로 외주 중앙부에는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2 절첩부(220)를 형성한 후 상기 제2 보강대(62)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각각 같은 길이로 절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 이상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절첩부(210) 및 제2 절첩부(220)는 순차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길게 형성한 것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4. 삭제
KR1020180038726A 2018-04-03 2018-04-03 컨테이너 백 KR10194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26A KR101940548B1 (ko) 2018-04-03 2018-04-03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26A KR101940548B1 (ko) 2018-04-03 2018-04-03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48B1 true KR101940548B1 (ko) 2019-01-21

Family

ID=6527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726A KR101940548B1 (ko) 2018-04-03 2018-04-03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7237A (en) * 1996-04-09 1997-03-04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Bulk bag with lift straps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060086303A (ko) 2005-01-26 2006-07-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음성 신호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700085B1 (ko) *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7237A (en) * 1996-04-09 1997-03-04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Bulk bag with lift straps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060086303A (ko) 2005-01-26 2006-07-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음성 신호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700085B1 (ko) *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1769B1 (en) Container bag for granular materials
US4499599A (en)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US20010041023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support members
EP2744717B1 (en) Collapsible semi-bulk container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JPH0880994A (ja) 袋容器
KR101906795B1 (ko) 모서리 격벽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
US4781473A (en) Large bag with lift straps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AU2015299917B2 (en) Container bag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101940548B1 (ko) 컨테이너 백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20170109363A (ko)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JP2015151194A (ja) 排出口が二重に構成されたコンテナバッグ用の内皮及びそれを含むコンテナバッグ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200346357Y1 (ko)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CN210455940U (zh) 一种收腰防膨胀集装袋
SK278368B6 (en) Flexible container
KR200246203Y1 (ko) 컨테이너 백
KR200255475Y1 (ko) 콘테이너 백
CN215437883U (zh) 一种打孔式透气集装袋
KR20200129689A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