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40B1 -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40B1
KR102006940B1 KR1020190005996A KR20190005996A KR102006940B1 KR 102006940 B1 KR102006940 B1 KR 102006940B1 KR 1020190005996 A KR1020190005996 A KR 1020190005996A KR 20190005996 A KR20190005996 A KR 20190005996A KR 102006940 B1 KR102006940 B1 KR 10200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overlapping
width
contents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9000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40B1/ko
Priority to PCT/KR2019/010249 priority patent/WO20201494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통해 구획된 하단부의 각 중앙부가 만곡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만곡된 부분에 대응되는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되,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볼록면부가 하향 돌출되도록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주름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가 구비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container bag}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bag),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의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백은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이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은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최근에는 국제 간의 거래 활성화 및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효율적인 운송과 보관, 심화되는 경쟁에 따른 운송비/보관비 절감 등을 위해 차량을 통한 운반 또는 창고에 적재시 안정적이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한 압력이 측벽부 및 바닥부에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100,200)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0,210)와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120,220), 그리고 상기 측벽부(110,2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닥부(130,230)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측 둘레를 따라 운반 로프 또는 벨트로 형성된 고리부(140,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10,210)는 내용물이 충전될 때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를 형성하도록 봉합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측벽부(110)가 원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경우, 내부에 충전되는 적재량이 증가할 수 있으나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시 복수개의 컨테이너백(100)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형성되면서 공극률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100)을 적재/보관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측벽부(210)가 사각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경우, 트럭에 적재되거나 창고에 보관될 때 컨테이너백(200) 사이의 여유공간이 줄어들어 공극률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상술한 원기둥 형태의 컨테이너백보다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백(200)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사각기둥 형태의 컨테이너백(200)의 경우, 상기 측벽부(210) 및 상기 바닥부(220)가 재봉되는 각 모서리부측은 내용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재봉라인에 의해 신장 변형이 최소화된다. 그러나, 면적이 넓은 각 면의 중심부측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신장 변형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중심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상기 컨테이너백(200)들의 각 측벽부(210)가 밀착되지 못하면서 공극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바닥부(200)의 중심부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바닥면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의 상측 등의 대상면에 안정적으로 적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200)이 균형을 잃고 쓰러지면서 주변의 작업자가 크게 다치거나 내부에 수납된 수용물이 쏟아져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통해 구획된 하단부의 각 중앙부가 만곡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만곡된 부분에 대응되는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되,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볼록면부가 하향 돌출되도록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주름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가 구비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최외곽 경계면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재봉되는 내측 경계면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여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상기 여유부가 상기 바닥부의 외곽측을 따라 전체적으로 포개어져 중첩되면서 형성되되, 상기 주름은 상기 최외곽 경계면측이 넓게 겹침되되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지는 중첩경계면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주름의 겹침길이는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진 중첩폭의 이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불어, 상기 측벽부에는 하단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는 측벽중첩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외면이 상기 바닥부의 외면과 마주보도록 포개어져 중첩되되, 상기 측벽중첩단부와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복수개의 재봉라인에 의해 동시에 재봉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는 상부폭 및 하부폭이 길이방향 중앙부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 모서리부의 중앙부측과 구배지게 연결되는 면적감소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면적감소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시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의 중앙부측 팽창폭이 상기 상부폭 및 상기 하부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횡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호 대응되는 각 중앙부는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대칭으로 만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단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오목하게 만곡되되 각 모서리부와 인접한 외곽은 하측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여유면적을 공급하는 주름이 형성되어 네 모서리부가 명확한 클로버 형태로 형성되므로 내용물이 컨테이너백의 각 모서리부측에 집중되도록 분산될 수 있어 적층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주름은 상기 바닥부의 최외곽 경계면측은 넓게 겹침되되 중첩경계면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면서 네 모서리부측이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보다 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어 컨테이너백을 장기간 사용시 바닥부 중심측의 배부름 현상을 상쇄시켜 제품의 사용가능기간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져 지지강도가 개선됨과 함께, 상기 주름이 복수개로 형성되되 각 겹침길이가 상기 바닥중첩단부의 중첩폭 이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부의 네 모서리부측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깊이가 증가하면서도 대상면과의 밀착영역이 상기 각 모서리부의 외곽측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어 적층 안정성 및 직립 안정성이 동시에 개선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한 압력이 측벽부 및 바닥부에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바닥중첩단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바닥부의 돌출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바닥중첩단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바닥부의 돌출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300)은 측벽부(310), 덮개부(320) 및 바닥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수납시 한정된 공간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외형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천연 섬유재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재로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어백의 외부 형상이 상기 내용물의 수납량에 대응하여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는 방수성이 부여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작된 이너라이너(미도시)를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내부에 구비하여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이 분체류 등의 세밀한 입자 형태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각 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의 틈 사이로 유출/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분의 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3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면부는 하단부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r1)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 형상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백(300)을 전후 및 좌우로 적층시 공극률이 최소화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측벽부(310)는 네 개의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네 개의 면부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측벽부(310)는 도 5에서와 같이, 네 장의 측면시트(310A, 310B, 310C, 310D)가 개별 재단되어 구비되되, 각 측면시트(310A, 310B, 310C, 310D)의 이웃하는 각 양단 테두리(312a, 312b, 312c, 312d)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서리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벽부(310)는 상하측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몸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면이 사각 형상이라 함은 네 개의 변의 각 단부가 연결되어 이루는 각도가 직교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벽부(310)는 상기 내부공간의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한 장의 측면시트로 구비되되, 그의 양단 테두리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시트의 둘레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모서리부(312)가 형성되도록 종방향의 절곡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320)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310)의 상단부(311a)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3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관통된 투입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부(3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조임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311c)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닥부(330)의 중앙부에도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되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320) 및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재단되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시트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310)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인양벨트(3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양벨트(340)는 각 상기 모서리부(312)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중심측을 접어 일측이 고리부(341)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310)에 연결되는 결합부(342)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양벨트(340)가 결합되면 상기 고리부(341)의 하면 및 상기 덮개부(320)의 상측 사이로 인양장비를 삽입하고, 상기 인양장비를 상기 고리부(341)에 걸어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인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310)가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각 하단부의 만곡(r1)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r2)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이라 함은 사각 형상의 각 변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는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각각 만곡(r1,r2)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는 상호 대칭되는 간격(w1,w2)으로 만곡(r1,r2)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되면,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가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부(r)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곡면부(r)가 형성됨에 따라 도 6에 표시된 h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인장력(tension)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측은 네 개의 가상의 원기둥(g)이 기설정된 사각 프로파일의 각 모서리부(312)에 인접하도록 내접되는 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는 단면 형상이 클로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에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네 개로 형성된 가상의 원기둥(g)의 하면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길이가 종래보다 길어지더라도 안정적인 직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330)에는 상기 네 개의 가상의 원기둥(g)의 단면에 대응하는 볼록면부(336)가 각 상기 모서리부(312)에 인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바닥부(330)의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되, 중첩된 둘레를 따라 주름(334)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333)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상호 연결된다 함은,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311c)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상호 재봉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의 전체 길이는 상기 측벽부(310)의 전체 둘레 길이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310)는 상단부(311a) 및 하단부(311c) 횡폭 간격(A,C)이 상호 대응되되, 상기 바닥부(330)의 횡폭 간격(D_이 상기 측벽부(310)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 프로파일 둘레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재봉되는 내측 경계면(331)과 상기 최외곽 경계면(335a)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여유부(335)를 포함하여 재단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 및 상기 내측 경계면(331) 사이에 중첩경계면(333a)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첩경계면(333a)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절곡을 가이드하는 라인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첩경계면(333a)을 기준으로 상기 여유부(335)가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을 따라 전체적으로 포개어져 중첩되면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측이 넓게 겹침되되,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지는 상기 중첩경계면(333a)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측인 일측단부(334a) 겹침폭(f1)이 상기 중첩경계면(333a)측 겹침폭(f2)보다 넓은 삼각 형상으로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334)이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을 따라 복수개로 겹쳐지면, 상기 최외곽 경계면(335a)측의 전체 길이가 상기 일측단부(334a) 겹침폭(f1)에 대응하여 축소되되, 상기 바닥부(330)의 내측 경계면(331)측은 원래 길이 및 면적이 유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볼록면부(336)의 상기 모서리부(312)측 외곽을 따라 여유면적(도 6의 e1로 표시된 부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주름(334)에 의해 상기 볼록면부(336)는 복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바닥부(330)의 각 모서리부(312)측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첩경계면(333a)을 따라 상기 여유부(335)를 포개어 중첩 및 재봉하면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면서도 이중으로 보강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330)와 상기 측벽부(310)의 인접한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도록 재봉될 수도 있으나,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주름(334)의 중앙부측을 따라 재봉라인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름(334)이 고정되도록 1차 재봉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330) 및 상기 측벽부(310)가 상호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된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서리부(312)측 하단부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바닥부(330) 자체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소정의 면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볼록면부(336)의 볼록한 형상과 신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면, 하단부의 각 모서리부(312)측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면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바닥부(330)의 중심부로 집중되면서 볼록해지던 종래에 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도 6의 k로 표시된 부분)보다 각 상기 모서리부(312)에 대응하는 상기 볼록면부(336)가 더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주름(334)이 각 상기 모서리부(312)와 인접한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각 상기 모서리부(312)측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바닥면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300)의 상면과 같은 대상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각 상기 모서리부(312)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록면부(336)의 각 외곽측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더 볼록하게 형성되면서도 대상면과의 밀착면적이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에 최대로 형성되므로 적재 및 적층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곡면부(r)만 형성되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되면서 바닥부의 모서리부측이 돌출되는 두께(p2)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300)의 모서리부측 바닥부(330)가 돌출되는 두께(p1)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바닥부(330)측 각 모서리부측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기둥형태로 형성되므로 직립 및 적층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록면부(336)는 상기 주름(334)의 일측단부(334a) 겹침폭(f1) 및 상기 주름(334)의 개수에 따라 하향 돌출되는 폭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면부(336)는 상기 주름(334)이 형성되면서 축소되는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 길이와 상기 내측 경계면(331) 길이 간의 차이에 비례하여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름(334)의 일측단부(334a) 겹침폭(f1)이 크거나 상기 주름(334)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여유면적(e1)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범위가 증가하므로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는 두께는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은 각 상기 모서리부(312) 및 각 상기 모서리부(312)의 양측으로 인접한 만곡 경계(ra)까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만곡 경계(ra)라 함은 상기 곡면부(r)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만곡(r2)된 양측의 경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름(334)은 상기 곡면부(r)가 형성되도록 만곡(r2)된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를 제외한 직선형 테두리(331a, 331b)측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주름(334)은 각 볼록면부(336)의 상기 모서리부(312)측 최외곽 경계면을 따라 6~10개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상기 모서리부(312)와 인접한 상기 볼록면부(336)는 상기 여유면적(e1)을 가짐에 따라 수용용적이 증가하면서도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는 상기 곡면부(r)가 형성되어 오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볼록면부(336)로 분산되면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는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지는 중첩폭에 이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의 중첩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과 상기 중첩경계면(333a) 간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주름(334)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까지 길게 겹쳐지는 경우, 상기 볼록면부(336)의 면적이 협소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부(330)의 각 모서리부(31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기 볼록면부(336)의 각 중심이 협소한 원추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면부(336)가 돌출되어 상기 대상면에 밀착되는 면적이 협소하게 형성되며, 밀착되는 위치가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과 중심부(k)측 사이에 설정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수용된 상기 컨테이너백(300)이 외력 또는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과 안착된 대상면 사이의 공극으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직립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는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과 상기 중첩경계면(333a) 사이 중첩폭의 65~100% 범위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가 상기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과 상기 중첩경계면(333a) 사이 중첩폭의 65% 범위 미만으로 a형성되는 경우, 상기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측 외곽이 실질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는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지는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으로부터 상기 중첩경계면(333a)까지의 중첩폭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볼록면부(336)가 자연스럽게 볼록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의 각 모서리부(312)에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바닥부(330)의 면적은 유지하면서도 상기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측 테두리가 복수개의 상기 주름(334)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한 수용용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면,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는 면적이 상기 모서리부(312)측 외곽까지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곡면부(r)는 오목하게 형성된 클로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적층되더라도 상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300)의 바닥부(330)와 상기 대상면이 밀착되는 부분이 각 모서리부(312)로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직립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334)이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측 외곽이 이미 하향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더 큰 폭으로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록면부(336)의 두께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의 배부름 간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직립 및 적층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310)에는 하단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는 측벽중첩단부(3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는 복수개의 재봉라인(s)에 의해 동시에 재봉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결합된다 함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가 상호 대면 배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재봉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가 상호 대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330)의 내측 경계면(331)을 따라 상기 재봉라인(s)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호간의 결합강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재봉라인(s)은 적어도 2 줄 이상 복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의 연결부분이 파손되거나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의 각 외곽단부(313b,333b)가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중첩단부(333)는 상기 여유부(335)의 외면이 마주보도록 중첩경계면(333a)을 기준으로 포개어져 중첩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측벽중첩단부(313)는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측 외면이 마주보도록 측벽 중첩경계면(313a)을 기준으로 포개어져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가해지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측 테두리가 이중으로 중첩된 각 중첩단부(313,333)를 동시에 재봉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의 연결부분이 신장 변형됨이 방지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가 실질적인 클로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중첩단부(313,333)가 복수개의 재봉라인(s)에 의해 재봉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의 연결부분이 분리되거나 파단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측벽부(310)의 각 모서리부(312)에는 덧댐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덧댐보강부는 각 상기 모서리부(312)를 감싼 상태로 포개어져 재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재봉되어 연결되는 각 단부에 가해지더라도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면적감소부(415)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410)는 상부폭(A) 및 하부폭(C)이 길이방향 중앙부폭(B)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 모서리부의 중앙부측과 구배지게 연결되는 면적감소부(41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적감소부(415)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시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410)의 중앙부측 팽창폭(e2)이 상기 상부폭(A) 및 상기 하부폭(C)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횡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410)의 각 측면시트는 상단부(411a)의 양단에 상기 면적감소부(415)의 상측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상향 확장된 제1확장부(413)가 형성되며, 하단부 양단에 상기 면적감소부(415)의 하측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확장된 제2확장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확장부(413)와 상기 제2확장부(414)는 각각 구배연장부(416a,416b)에 의해 상기 면적감소부(415)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단부(411a) 및 하단부(411c)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으면서도 중앙부(411b)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410)가 외측으로 팽창하더라도, 특히 중앙부(411b)측이 외측으로 더 팽창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부(310)는 상기 면적감소부(415)를 통해 중앙부가 이미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상기 면적감소부(415)가 내측으로 인입된 간격만큼 팽창된 폭이 상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400)은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430)의 외곽측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410)의 각 모서리부측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프로파일에 내접할 수 있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백(400)은 상기 바닥부(430)의 각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기 볼록면부(436)가 중심부측보다 하향 돌출됨에 따라 상하로 적층시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400A)과의 적층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컨테이너백(400)은 상기 측벽부(410)의 길이방향 중앙부(411b)가 상하단부(411a,411c)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에 의한 팽창폭이 상쇄된다. 이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로 배치되는 컨테이너백(400B)들 간의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 창고 등과 같이 일정한 가로 및 세로 규격을 갖는 한정된 공간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상기 컨테이너백(400)을 보관시 2층 이상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750kg 컨테이너백(400) 대신에 높이가 33.3% 증가된 1,000kg 컨테이너백(400)이나 높이가 100% 증가된 1,500kg 컨테이너백(300)에서도 직립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적재시 보관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1회 운반 가능한 적재용량이 증가되므로 운반횟수를 줄일 수 있어 적재 및 운반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오목하게 만곡되되 각 모서리부와 인접한 외곽은 하측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여유면적을 공급하는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네 모서리부(312)가 명확히 형성된 클로버 형태로 형성되므로 내용물이 컨테이너백(300)의 각 모서리부(312)측에 집중되도록 분산될 수 있어 적층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측은 넓게 겹침되되 중첩경계면(333a)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면서 네 모서리부(312)측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측 배부름 현상을 상쇄시켜 제품의 사용가능기간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져 지지강도가 개선됨과 함께, 상기 주름(334)이 복수개로 형성되되 각 주름(334)의 겹침길이(w3)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의 중첩폭 이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330)의 네 모서리부(312)측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깊이가 증가하면서도 대상면과의 밀착영역이 상기 각 모서리부(312)의 외곽측으로 넓게 형성되므로 제품의 적층 안정성 및 직립 안정성이 동시에 개선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410)의 상부폭 및 하부폭이 길이방향 중앙부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벽부(410)의 중앙부측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내용물에 의한 팽창폭을 상쇄시키므로 전후 또는 좌우로 배치되는 컨테이너백(400)들 간의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300,400: 컨테이너백 110,210,310,410: 측벽부
120,220,320: 덮개부 130,230,330,430: 바닥부
140,240,340: 인양벨트 313:측벽중첩단부
333: 바닥중첩단부 334: 주름
g: 볼록면부 r: 곡면부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통해 구획된 하단부의 각 중앙부가 만곡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만곡된 부분에 대응되는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되,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볼록면부가 하향 돌출되도록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주름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가 구비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는 최외곽 경계면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재봉되는 내측 경계면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여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상기 여유부가 상기 바닥부의 외곽측을 따라 전체적으로 포개어져 중첩되면서 형성되되,
    상기 주름은 상기 최외곽 경계면측이 넓게 겹침되되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지는 중첩경계면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의 겹침길이는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진 중첩폭의 이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하단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는 측벽중첩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외면이 상기 바닥부의 외면과 마주보도록 포개어져 중첩되되,
    상기 측벽중첩단부와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복수개의 재봉라인에 의해 동시에 재봉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부폭 및 하부폭이 길이방향 중앙부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 모서리부의 중앙부측과 구배지게 연결되는 면적감소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면적감소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시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의 중앙부측 팽창폭이 상기 상부폭 및 상기 하부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횡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호 대응되는 각 중앙부는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대칭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KR1020190005996A 2019-01-17 2019-01-17 컨테이너백 KR10200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96A KR102006940B1 (ko) 2019-01-17 2019-01-17 컨테이너백
PCT/KR2019/010249 WO2020149483A1 (ko) 2019-01-17 2019-08-13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96A KR102006940B1 (ko) 2019-01-17 2019-01-17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940B1 true KR10200694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996A KR102006940B1 (ko) 2019-01-17 2019-01-17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6940B1 (ko)
WO (1) WO202014948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5659A1 (en) * 1999-07-20 2001-01-25 Linpac, Inc. A collapsible bag for stacking and method thereof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130048460A (ko) * 2011-11-02 2013-05-10 고재원 석재파편 운반용 마대
KR101459113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 2013-04-19 2014-12-23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892218B1 (ko) * 2017-02-16 2018-08-28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5659A1 (en) * 1999-07-20 2001-01-25 Linpac, Inc. A collapsible bag for stacking and method thereof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130048460A (ko) * 2011-11-02 2013-05-10 고재원 석재파편 운반용 마대
KR101476400B1 (ko) * 2013-04-19 2014-12-23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892218B1 (ko) * 2017-02-16 2018-08-28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83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622B1 (ko)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US6415927B1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868373B1 (en) Flexible container for flowable materials
EP1274628B1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196080A1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US20040184679A1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US1113618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FIBC, FIBC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102006940B1 (ko) 컨테이너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WO2018016537A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202200850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EP0376622B1 (en) Flexible container
KR20240040238A (ko) 컨테이너백
KR20240040241A (ko) 컨테이너백
JP3198103U (ja) コンテナ
KR20240042699A (ko) 컨테이너백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