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9483A1 -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9483A1
WO2020149483A1 PCT/KR2019/010249 KR2019010249W WO2020149483A1 WO 2020149483 A1 WO2020149483 A1 WO 2020149483A1 KR 2019010249 W KR2019010249 W KR 2019010249W WO 2020149483 A1 WO2020149483 A1 WO 20201494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overlapping
container bag
contents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2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ublication of WO20201494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94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bag in which stack stability and storage efficiency are improved by maintaining a stable upright state when filling the contents.
  • a container bag is also called a flexible intermediate bulk bag (FIBC), a big bag, or a bulk bag, and stores and transports and stores powders such as grains and synthetic resin materials. For industrial turrets.
  • FIBC flexible intermediate bulk bag
  • the container bag is formed to conveniently store and withdraw powders using a flexible material.
  • the container bag may contain 500Kg to 2,000Kg of chemicals, minerals, grains, synthetic resin powder materials, cement, and the like, and may contain cranes or hoists. ), it is transported by a forklift, etc. and stored in a warehouse or loaded on a truck.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due to a load is applied to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whil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bag.
  • the conventional container bag 100, 200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110 and 210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d a cover portion 120 and 22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s 110 and 210. ), and a bottom portion (130,23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s (110,210).
  • a loop portion (140,240) formed of a transport rope or a belt.
  • the side wall portions 110 and 210 are sealed to form a cylindrical or square column shape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 the load charged therein may increase, but the container is not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bags 100 when stored in a box or warehouse.
  • the porosity increases.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use space when loading/storing the container bag 100.
  • the clearance between the container bags 200 decreases when the truck is loaded or stored in a warehouse, thereby reducing porosity. Accordingly, a larger number of container bags 200 may be loaded than the above-described cylindrical container bags.
  • each side of the corner where the side wall portion 210 and the bottom portion 220 are sewn is minimized in elongation deformation by a sewing line even if a load of contents is applied. do.
  • a swell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center portion projects outward as in FIG. 3. Due to this,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orosity is increased while the side walls 210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bags 200 are not in close contact.
  •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art 200 protrudes convexly downward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stably stacked on a target surface such as an upper side of a container bag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r a lower side. Due to this, as the container bag 200 loses balance and collap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earby worker is greatly injured or the storage received therein is spill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tainer bag that improves stacking stability and storage efficiency by maintaining a stable upright state when filling the cont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wall portion in which each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partitioned through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is curved so that an inner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contents are accommodated is formed; A cover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to cover an upper side of the interior space; And convex forme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and each outer sid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curved inward, and adjacent to each corner portion by the load of the contents.
  • a container bag including a bottom portion in which each edge is overlapped and overlapped so that the surface portion protrudes downward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bu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c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rinkled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 each rim of the lower portion is curved concavely, but wrinkles are formed to supply a free space in the form of a new moon so as to protrude more convexly to the outer side adjacent to each corner portion. Therefore, the stacking st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as the load of the loaded contents is distributed and supported so as to be concentrated in the form of a clover on the outer side of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bag.
  • the wrinkles are formed such that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side of the bottom portion overlaps widely, but the overlapping width de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side, so that the clearance area in the form of a new moon at the four corners is more convex tha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bag is us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delay the intensification of the swelling phenomen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usable period of the product.
  • 1 and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by the load is applied to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whil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bag.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as viewed from below.
  • FIG.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bottom overlapping end is formed in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example showi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bottom portion by the load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stacked in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pressure applied by the load of the contents from the bottom.
  • Figures 7a and 7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in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the load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ectional example showi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bottom part.
  • the container bag 300 includes a side wall part 310, a cover part 320, and a bottom part 330.
  • the container bag 30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refore, the container bag 300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minimized volume when the contents are not stored. In addition, the outer shape of the container bag 300 can be easily deformed so that a large amount of contents can be filled in a limited space when storing contents.
  • the container bag 300 is preferably woven from natural fiber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 PVC polyvinyl chloride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the outer shape of the container bag may be formed with a strength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external force while maintaining a deform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storage of the contents.
  • an inner liner (not shown)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o which water resistance is provid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ag 300 and used together.
  • each surface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partitioned through the edge portion 312 is preferably formed by bend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upward (r1).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ior space is preferably set to a square shape so that the porosity is minimized when stacking the plurality of container bags 300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 the side wall portion 310 is preferably divided into four surface portions through four corner portions 312.
  • the side wall part 310 is provided with four side sheets 310A, 310B, 310C, and 310D individually cut and adjacent to each side sheet 310A, 310B, 310C, 310D.
  • the edges 312a, 312b, 312c, and 312d of each end may be interconnected to be formed as the corner portion.
  • the side wall part 310 may be formed as a hollow body part having a quadrangular column shape with open top and bottom sides.
  • the cross-section is a rectangular shape encompassing a rectangular or square orthogonal angle formed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four sides.
  • the side wall portion 310 is provided with a single side sheet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pace, and may be formed by interconnecting both edge portions thereof.
  • a bending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edge portion 312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sheet.
  • the cover portion 32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311a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interior space.
  •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320 may be form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321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and selectively close the interior spa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put portion 321 A fastening means to be formed may be formed.
  • the bottom portion 33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311c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interior space.
  • a discharge portion that is selectively opened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30 to close the interior space.
  • the cover portion 320 and the bottom portion 330 is provided to be cut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ior space, preferably may be provided as a sheet of a rectang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 a plurality of lifting belts 340 ar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310.
  • the lifting belt 340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orner portion 312, one side is formed of a ring portion 341 by folding each center sid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ide wall portion 310 It can be formed of a coupling portion 342. In this way, when the lifting belt 340 is coupled, the lifting device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341 and the upper side of the lid part 320, and the lifting device is hooked to the hook portion 341 to move the container. The bag 300 can be lifted.
  • the outer sid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30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r1) of each lower portion partitioned by the side wall portion 310 through the edge portion 312 is curved inward (r2) It is preferably formed.
  •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each side of a square shape.
  • each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partitioned through the corner portion 312 and each outer sid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30 are curved inwards (r1, r2), respectively, in correspondenc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is is preferred. Furthermore, each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partitioned through the edge portion 312 and each outer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30 are curved at mutually symmetric intervals w1 and w2 (r1 and r2). It is desirable.
  • each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partitioned through the edge portion 312 and each outer sid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30 It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portion (r) concavely recessed toward the interior space.
  • each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30 are connected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tainer bag 3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four virtual cylinders g are inscribed to be adjacent to each corner portion 312 of a predetermined rectangular profile.
  •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300 may be formed in a clover shape. According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bag 300 may be offset by each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30 are connected by the load of the contents. Through this, each center portion to which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30 are connected can prevent the filling phenomenon that protrudes outward. Moreover, the load of the contents can be distributed to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virtual cylinder g formed of four. Therefore, even if the length of the container bag 300 becomes longer than in the prior art, a stable upright state can be maintained.
  • the bottom portion 33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four virtual cylinders (g) is formed adjacent to each corner portion (312).
  • each edge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overlapped and overlapped so that the outermost sid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is project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contents, and a wrinkle 334 is formed along the overlapped circumference.
  • the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s provided along each out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That is, the fact that the side wall part 310 and the bottom part 330 are interconnected is understood as the bottom part 311c of the side wall part 310 and the bottom overlapping end part 333 being sewn together and coupled. desirable.
  •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entir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That is, the side wall portion 310 has a horizontal width gap (A, C) of the upper end portion 311a and a lower end portion 311c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the horizontal width gap D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It is largely formed. Accordingly, the bottom portion 33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circumferential profile of the inner space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inner boundary surface 331 to be sewn and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It is cut including the part 335.
  • an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is set between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and the inner boundary surface 331 of the bottom portion 330.
  •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line that guides the bending so that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s superimposed. That is, based on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the marginal portion 335 may be entirely overlapped and overlapp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to be formed as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 the crease 334 is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widely overlapped, so that the overlapping width is reduced toward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side where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s overlapped It is preferably formed. That is, the wrinkles 334 have a triangular shape in which one end 334a overlapping width f1, which is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side of the bottom 330, is wider than the overlapping width f2 of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It can be formed overlapping.
  • the entire length of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side is the one end 334a overlapping width f1 ).
  • the inner boundary surface 331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maintains the original length and area.
  • a surplus-shaped marginal area (a portion indicated by e1 in FIG. 6) is form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wrinkles 334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dge portion 312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That is, the outermost profile of each edge 312 sid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may be convex downward in a super crescent shape by the clearance area e1.
  •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protrudes downward while the double reinforced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 333) may be formed.
  • the bottom 330 and the adjacent edges of the side wall parts 310 may be sewn to be mutually coupled, but the state in which the wrinkles 334 are formed may be firmly maintained.
  • a sewing line may be further formed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wrinkle 334. That is, the bottom portion 330 and the side wall portion 310 may be sewn to each other in a first sewn state so that the wrinkles 334 are fixed.
  • the container bag 300 may increase the receiving area in which the conten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end of the edge portion 312 in response to the depth at which the convex portion 336 protrudes downward.
  • the bottom portion 330 itself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to a predetermined area by the load of the contents, the convex shape and elongation force of the convex portion 336 may be combined. Accordingly, when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ag 300, loads may be distributed while each edge portion 312 side of the lower portion protrudes further downward than the central portion k of the bottom portion 330.
  • the container bag 300 has a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rget surface, such as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bag 300, which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lower side of each corner portion 312 than the center portion k of the bottom portion 330. ) Side. Accordingly, each outer sid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is formed to be more convex than the central portion k of the bottom portion 330, but the contact area with the target surface is maximiz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Since i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upright state when stacking and stacking.
  • the bottom portion of the edge portion side of the container bag 300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since each corner portion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side of the container bag 3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column shape, upright and stacking st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may have a width that protrudes downward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width f1 of one end portion 334a of the wrinkle 334 and the number of wrinkles 334. That is,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may protrude downward in propor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of the bottom portion 330 and the length of the inner boundary surface 331 that are reduced as the wrinkles 334 are formed. have. Accordingly, as the overlapping width f1 of one end portion 334a of the pleats 334 increases or the number of pleats 334 increases, the extent in which the clearance area e1 is convex increases, so the convex portions ( The thickness at which the 336) protrudes downward may increase.
  • the wrinkles 334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each of the corner portions 312 and the curved borders (ra) adjacent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corner portions 312.
  • the curved boundary (ra)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boundary on both sides curved (r2) so that the curved portion (r) is formed concave. That is, the wrinkles 334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straight edges 331a and 331b sides ex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ut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curved to form the curved portion r. have.
  • the wrinkles 334 are formed in 6 to 10 places along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on the edge portion 312 side of each convex portion 336.
  •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adjacent to each of the corner portions 312 increases in accommodating volume as it has the clearance area e1, but each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30
  • the curved portion (r) is formed can be maintained in a concave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upright state while the load of the contents is distributed to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 the folds 33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overlapping end 333, the overlapping length w3 of the fold 334 overlaps the bottom overlapping end 333 It is preferably formed within a width.
  • the overlapping width of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s substantially understood as an interval between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of the bottom portion 330 and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 the area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is formed narrowly. That is, each center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formed adjacent to each corner portion 312 of the bottom portion 330 protrudes in a narrow conical shape. Due to this,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protrudes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received, so that an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target surface is formed narrowly, and the close contact position is between the outer side and the central portion (k)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set on.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bag 300 containing the contents is inclined to one side by external force or vibration, the container bag 300 is erected due to the air gap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and the seated target surface. Stability decreases.
  • the overlap length (w3) of the wrinkles 334 is more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of 65 to 100% of the overlap width between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and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of the bottom portion 330.
  • the overlapping length w3 of the wrinkles 334 is formed to be less than 65% of the overlapping width between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of the bottom part 330 and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the The outer side of the edge portion 312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is not substantially convex.
  • the overlapping length w3 of the wrinkle 334 is formed within the overlapping width from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of the bottom portion 330 where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s overlapped to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This is preferred. Accordingly, while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is naturally convex, the load of the contents can be uniformly applied to each corner portion 312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ag 300.
  • the edge portion 312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has a receiving volume convex downward by a plurality of the wrinkles 334 while maintaining the area of the substantial bottom portion 330.
  • an area where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protrudes downward may be formed as a whole to the outer edge of the edge portion 312 side.
  • the curved surface portion r can maintain the shape of a concave clover.
  • the outer portion of the edge portion 312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is expanded by the load of the contents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ide of the convex portion 336 has already protruded downward,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30 It may protrude downward with a width greater than (k).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336 may offset the filling interval of the center portion k of the bottom portion 330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Through this, even if the container bag 300 is repeatedly used or used for a long time, the upright and lamination stabilit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service lif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side wall portion 3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ide wall overlapping end portion 313 overlapping the lower border.
  • the bottom overlapping end 333 and the sidewall overlapping end 313 are simultaneously sewn and coupled by a plurality of sewing lines 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are combined is simultaneously sewed while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and the sidewall overlapping end portion 313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done.
  • the sewing line s may be set along the inner boundary surface 331 of the bottom portion 330 in a state where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and the sidewall overlapping end portion 313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sewing line (s) is formed of a plurality of at least two or more lines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art 310 and the bottom part 330 from being broken or separated by a load applied whil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ag 300.
  •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and the outer side end portions 313b and 333b of the side wall overlapping end portion 313 are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bag 300, so that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s the relief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335) is superimposed on the basis of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so as to face each other.
  • the side wall overlapping end portion 313 may be superimposed and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13a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faces.
  •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by a method of simultaneously sewing each overlapping end portion 313,333 where the lower end side edge of the container bag 300 to which the load of the contents is relatively large is overlapped. Therefor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30 is prevented from being stretched and deformed by the load of the content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300 can maintain a substantially clover shape.
  • each overlapping end portion 313 and 333 is sewn by a plurality of sewing lines 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30 from being separated or broken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Can.
  • each edge portion 312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portion.
  • the padding reinforcement parts may be sewn by overlapping each of the corner parts 312.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tents are stacked in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area reduction unit 415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the side wall portion 410 has an upper width (A) and a lower width (C) that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entral width (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area to be connect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corners at both ends. It can be formed, including 415.
  • the area reduction portion 415 has the upper width (A) and the lower width (C) of the central side expansion width (e2) of the side wall portion 410 due to the load when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It may be formed to have a lateral width set to correspond to.
  • each side sheet of the side wall portion 41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portion 411a with first extension portions 41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area reducing portion 415 to both sides, and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 a second extension portion 41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rea reduction portion 415 to both sides may be formed.
  •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4 may be connected to the area reduction portion 415 by gradient extension portions 416a and 416b, respectively, and the inner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411a.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ortion 411c is relatively wide, but may be formed in an hourglass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entral portion 411b is narrowed. Therefore, even if the side wall portion 410 expands to the outside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bloating phenomenon in which the center portion 411b side is further expanded to the outside.
  • the cent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10 is already formed in a narrow shape through the area reduction portion 415, even if it expands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the area reduction portion 415 expands as much as the inside.
  • the width can be offset.
  • the container bag 400 has a shape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bottom portion 430 as well as the outer side of each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410 can be inscrib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rofile as a whole. Can keep. That is, the container bag 400 is a container bag 400A disposed at the bottom when stacking up and down as the convex surface portion 436 formed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bottom portion 43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side. Stacking stability with) may be improved.
  •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411b of the side wall portion 410 is formed narrower than the upper and lower ends 411a and 411c, thereby offsetting the expansion width due to the contents. Accordingly, the porosity between the container bags 400B disposed in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can be minimized.
  • the container bag 400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a limited space having a certain horizontal and vertical specification such as an automated warehouse, may be stacked in two or more layers during storage.
  • the upright shape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1,000kg container bag 400 in which the height is increased by 33.3% or in the 1,500kg container bag 300 in which the height is increased by 100%.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the loading capacity that can be transported once is increased, the number of transporting can be reduced, so that the loading and transporting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he wrinkles 334 supplying a free area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each rim of the lower end is concavely curved, and the outer side adjacent to each corner portion protrudes more convexly downward. Therefore, since the four corner portions 312 of the container bag 300 are formed in a clearly formed clover shape, the contents can be dispersed so as to be concentrated at each corner portion 312 side of the container bag 300,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stacking stability. Can be.
  • the crease 334 is the outermost boundary surface (335a)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is widely overlapped, but is formed so that the overlap width decreases toward the overlapping boundary surface (333a) side four corners (312) side is the bottom portion It may be formed more convex than the central portion (k) of (330). Therefore, even when the container bag 300 is used for a long time, the usability period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anceling the swelling phenomenon at the center (k) side of the bottom portion 330.
  • the plurality of wrinkles 334 is formed, but the overlapping length w3 of each wrinkle 334 overlaps the bottom overlapping end portion 333. It is formed within width. Accordingly, while the depth at which the four corner portions 312 of the bottom portion 330 protrudes convexly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target surface is formed wider on the outer side of each corner portion 312, so that the product stack stability And synergistic effects in which upright stability is improved at the same time.
  • the upper width and the lower width of the side wall portion 410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entral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into an hourglass shape, even if a bloating phenomenon occurs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410, expansion due to contents Since the width is offset, the porosity between the container bags 400, which are disposed in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can be minimiz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industry for the manufacture and use of container bags by providing a container bag in which stack stability and storage efficiency are improved by maintaining a stable upright state when fi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통해 구획된 하단부의 각 중앙부가 만곡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만곡된 부분에 대응되는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되,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볼록면부가 하향 돌출되도록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주름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가 구비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bag),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의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백은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이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으며,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최근에는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효율적인 운송과 보관, 심화되는 경쟁에 따른 운송비/보관비 절감 등을 위해 차량을 통한 운반 또는 창고에 적재시 안정적이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한 압력이 측벽부 및 바닥부에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100,200)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0,210)와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120,220), 그리고 상기 측벽부(110,2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닥부(130,230)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측 둘레를 따라 운반 로프 또는 벨트로 형성된 고리부(140,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10,210)는 내용물이 충전될 때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를 형성하도록 봉합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측벽부(110)가 원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경우, 내부에 충전되는 적재량이 증가할 수 있으나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시 복수개의 컨테이너백(100)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형성되면서 공극률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100)을 적재/보관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측벽부(210)가 사각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경우, 트럭에 적재되거나 창고에 보관될 때 컨테이너백(200) 사이의 여유공간이 줄어들어 공극률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상술한 원기둥 형태의 컨테이너백보다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백(200)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사각기둥 형태의 컨테이너백(200)의 경우, 상기 측벽부(210) 및 상기 바닥부(220)가 재봉되는 각 모서리부측은 내용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재봉라인에 의해 신장 변형이 최소화된다. 그러나, 면적이 넓은 각 면의 중심부측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신장 변형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중심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상기 컨테이너백(200)들의 각 측벽부(210)가 밀착되지 못하면서 공극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바닥부(200)의 중심부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바닥면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의 상측 등의 대상면에 안정적으로 적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200)이 균형을 잃고 쓰러지면서 주변의 작업자가 크게 다치거나 내부에 수납된 수용물이 쏟아져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통해 구획된 하단부의 각 중앙부가 만곡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만곡된 부분에 대응되는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되,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볼록면부가 하향 돌출되도록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주름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가 구비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단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오목하게 만곡되되 각 모서리부와 인접한 외곽에 하측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초생달 형태의 여유면적을 공급하는 주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적재된 내용물의 하중이 컨테이너백의 각 모서리부 외곽측에 클로버 형태로 집중되도록 분산 지지되어 적층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주름은 상기 바닥부의 최외곽 경계면측은 넓게 겹침되되 중첩경계면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면서 네 모서리부측의 초생달 형태의 여유면적이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보다 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백을 장기간 사용시 바닥부 중심측의 배부름 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지연시켜 제품의 사용가능기간을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져 지지강도가 개선됨과 함께, 상기 주름이 복수개로 형성되되 각 겹침길이가 상기 바닥중첩단부의 중첩폭 이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의 네 모서리부측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깊이가 증가하면서도 대상면과의 밀착영역이 상기 각 모서리부의 외곽측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어 적층 안정성 및 직립 안정성이 동시에 개선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중에 의한 압력이 측벽부 및 바닥부에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바닥중첩단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바닥부의 돌출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바닥중첩단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바닥부의 돌출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300)은 측벽부(310), 덮개부(320) 및 바닥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수납시 한정된 공간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외형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천연 섬유재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재로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어백의 외부 형상이 상기 내용물의 수납량에 대응하여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는 방수성이 부여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작된 이너라이너(미도시)를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내부에 구비하여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이 분체류 등의 세밀한 입자 형태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각 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의 틈 사이로 유출/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분의 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3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면부는 하단부 중앙부가 상측으로 만곡(r1)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 형상은 복수개의 컨테이너백(300)을 전후 및 좌우로 적층시 공극률이 최소화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측벽부(310)는 네 개의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네 개의 면부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측벽부(310)는 도 5에서와 같이, 네 장의 측면시트(310A, 310B, 310C, 310D)가 개별 재단되어 구비되되, 각 측면시트(310A, 310B, 310C, 310D)의 이웃하는 각 양단 테두리(312a, 312b, 312c, 312d)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서리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벽부(310)는 상하측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몸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면이 사각 형상이라 함은 네 개의 변의 각 단부가 연결되어 이루는 각도가 직교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벽부(310)는 상기 내부공간의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한 장의 측면시트로 구비되되, 그의 양단 테두리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시트의 둘레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모서리부(312)가 형성되도록 종방향의 절곡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320)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310)의 상단부(311a)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3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관통된 투입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부(321)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조임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311c)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닥부(330)의 중앙부에도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되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320) 및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재단되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시트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310)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인양벨트(3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양벨트(340)는 각 상기 모서리부(312)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중심측을 접어 일측이 고리부(341)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310)에 연결되는 결합부(342)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양벨트(340)가 결합되면 상기 고리부(341)의 하면 및 상기 덮개부(320)의 상측 사이로 인양장비를 삽입하고, 상기 인양장비를 상기 고리부(341)에 걸어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인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310)가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각 하단부의 만곡(r1)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r2)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이라 함은 사각 형상의 각 변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는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각각 만곡(r1,r2)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는 상호 대칭되는 간격(w1,w2)으로 만곡(r1,r2)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되면, 상기 모서리부(312)를 통해 구획된 상기 측벽부(310)의 각 하단부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가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부(r)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곡면부(r)가 형성됨에 따라 도 6에 표시된 h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인장력(tension)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측은 네 개의 가상의 원기둥(g)이 기설정된 사각 프로파일의 각 모서리부(312)에 인접하도록 내접되는 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는 단면 형상이 클로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에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네 개로 형성된 가상의 원기둥(g)의 하면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길이가 종래보다 길어지더라도 안정적인 직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330)에는 상기 네 개의 가상의 원기둥(g)의 단면에 대응하는 볼록면부(336)가 각 상기 모서리부(312)에 인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볼록면부(336)의 최외곽측이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바닥부(330)의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되, 중첩된 둘레를 따라 주름(334)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333)가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상호 연결된다 함은,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311c)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상호 재봉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의 전체 길이는 상기 측벽부(310)의 전체 둘레 길이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310)는 상단부(311a) 및 하단부(311c) 횡폭 간격(A,C)이 상호 대응되되, 상기 바닥부(330)의 횡폭 간격(D)이 상기 측벽부(310)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330)는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 프로파일 둘레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재봉되는 내측 경계면(331)과 상기 최외곽 경계면(335a)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여유부(335)를 포함하여 재단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 및 상기 내측 경계면(331) 사이에 중첩경계면(333a)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첩경계면(333a)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절곡을 가이드하는 라인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첩경계면(333a)을 기준으로 상기 여유부(335)가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을 따라 전체적으로 포개어져 중첩되면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측이 넓게 겹침되되,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지는 상기 중첩경계면(333a)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측인 일측단부(334a) 겹침폭(f1)이 상기 중첩경계면(333a)측 겹침폭(f2)보다 넓은 삼각 형상으로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334)이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을 따라 복수개로 겹쳐지면, 상기 최외곽 경계면(335a)측의 전체 길이가 상기 일측단부(334a) 겹침폭(f1)에 대응하여 축소된다. 반면에, 상기 바닥부(330)의 내측 경계면(331)측은 원래 길이 및 면적이 유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볼록면부(336)의 상기 모서리부(312)측 외곽에 형성된 복수개의 주름(334)에 인접하여 초생달 형상의 여유면적(도 6의 e1로 표시된 부분)이 형성된다. 즉, 이러한 여유면적(e1)에 의해 상기 볼록면부(336)의 각 모서리(312)측 최외곽 프로파일이 초생달 형상으로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첩경계면(333a)을 따라 상기 여유부(335)를 포개어 중첩 및 재봉하면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면서도 이중으로 보강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330)와 상기 측벽부(310)의 인접한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도록 재봉될 수도 있으나,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주름(334)의 중앙부측을 따라 재봉라인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름(334)이 고정되도록 1차 재봉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330) 및 상기 측벽부(310)가 상호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된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서리부(312)측 하단부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바닥부(330) 자체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소정의 면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볼록면부(336)의 볼록한 형상과 신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면, 하단부의 각 모서리부(312)측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면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바닥부(330)의 중심부(도 6의 k로 표시된 부분)로 집중되면서 볼록해지던 종래기술과 본 발명은 차이가 있다. 더욱이, 상기 각 볼록면부(336)의 중심부보다 각 각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에 인접한 최외곽부가 초생달 형상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주름(334)이 각 상기 모서리부(312)와 인접한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각 상기 모서리부(312)측으로 안적적이고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바닥면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300)의 상면과 같은 대상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각 상기 모서리부(312)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볼록면부(336)의 각 외곽측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더 볼록하게 형성되면서도 대상면과의 밀착면적이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에 최대로 형성되므로 적재 및 적층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곡면부(r)만 형성되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되면서 바닥부의 모서리부측이 돌출되는 두께(p2)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300)의 모서리부측 바닥부(330)가 돌출되는 두께(p1)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바닥부(330)측 각 모서리부측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기둥형태로 형성되므로 직립 및 적층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록면부(336)는 상기 주름(334)의 일측단부(334a) 겹침폭(f1) 및 상기 주름(334)의 개수에 따라 하향 돌출되는 폭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면부(336)는 상기 주름(334)이 형성되면서 축소되는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 길이와 상기 내측 경계면(331) 길이 간의 차이에 비례하여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름(334)의 일측단부(334a) 겹침폭(f1)이 크거나 상기 주름(334)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여유면적(e1)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범위가 증가하므로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는 두께는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은 각 상기 모서리부(312) 및 각 상기 모서리부(312)의 양측으로 인접한 만곡 경계(ra)까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만곡 경계(ra)라 함은 상기 곡면부(r)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만곡(r2)된 양측의 경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름(334)은 상기 곡면부(r)가 형성되도록 만곡(r2)된 상기 바닥부(330)의 각 외곽측 중앙부를 제외한 직선형 테두리(331a, 331b)측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주름(334)은 각 볼록면부(336)의 상기 모서리부(312)측 최외곽 경계면을 따라 6~10개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상기 모서리부(312)와 인접한 상기 볼록면부(336)는 상기 여유면적(e1)을 가짐에 따라 수용용적이 증가하면서도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가 연결된 각 중앙부는 상기 곡면부(r)가 형성되어 오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볼록면부(336)로 분산되면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는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지는 중첩폭에 이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의 중첩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과 상기 중첩경계면(333a) 간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주름(334)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까지 길게 겹쳐지는 경우, 상기 볼록면부(336)의 면적이 협소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부(330)의 각 모서리부(31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기 볼록면부(336)의 각 중심이 협소한 원추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면부(336)가 돌출되어 상기 대상면에 밀착되는 면적이 협소하게 형성되며, 밀착되는 위치가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과 중심부(k)측 사이에 설정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수용된 상기 컨테이너백(300)이 외력 또는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바닥부(330)의 외곽측과 안착된 대상면 사이의 공극으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직립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는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과 상기 중첩경계면(333a) 사이 중첩폭의 65~100% 범위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가 상기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과 상기 중첩경계면(333a) 사이 중첩폭의 65% 범위 미만으로 a형성되는 경우, 상기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측 외곽이 실질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주름(334)의 겹침길이(w3)는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지는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으로부터 상기 중첩경계면(333a)까지의 중첩폭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볼록면부(336)가 자연스럽게 볼록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의 각 모서리부(312)에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바닥부(330)의 면적은 유지하면서도 상기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측 테두리가 복수개의 상기 주름(334)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한 수용용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면, 상기 볼록면부(336)가 하향 돌출되는 면적이 상기 모서리부(312)측 외곽까지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곡면부(r)는 오목하게 형성된 클로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적층되더라도 상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300)의 바닥부(330)와 상기 대상면이 밀착되는 부분이 각 모서리부(312)로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직립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334)이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볼록면부(336)의 모서리부(312)측 외곽이 이미 하향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더 큰 폭으로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록면부(336)의 두께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의 배부름 간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직립 및 적층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310)에는 하단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는 측벽중첩단부(3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는 복수개의 재봉라인(s)에 의해 동시에 재봉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결합된다 함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가 상호 대면 배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재봉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가 상호 대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330)의 내측 경계면(331)을 따라 상기 재봉라인(s)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호간의 결합강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재봉라인(s)은 적어도 2 줄 이상 복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의 연결부분이 파손되거나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와 상기 측벽중첩단부(313)의 각 외곽단부(313b,333b)가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중첩단부(333)는 상기 여유부(335)의 외면이 마주보도록 중첩경계면(333a)을 기준으로 포개어져 중첩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측벽중첩단부(313)는 상기 측벽부(310)의 하단부측 외면이 마주보도록 측벽 중첩경계면(313a)을 기준으로 포개어져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가해지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측 테두리가 이중으로 중첩된 각 중첩단부(313,333)를 동시에 재봉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의 연결부분이 신장 변형됨이 방지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단부가 실질적인 클로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중첩단부(313,333)가 복수개의 재봉라인(s)에 의해 재봉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310)와 상기 바닥부(330)의 연결부분이 분리되거나 파단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측벽부(310)의 각 모서리부(312)에는 덧댐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덧댐보강부는 각 상기 모서리부(312)를 감싼 상태로 포개어져 재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재봉되어 연결되는 각 단부에 가해지더라도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면적감소부(415)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410)는 상부폭(A) 및 하부폭(C)이 길이방향 중앙부폭(B)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 모서리부의 중앙부측과 구배지게 연결되는 면적감소부(41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적감소부(415)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시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410)의 중앙부측 팽창폭(e2)이 상기 상부폭(A) 및 상기 하부폭(C)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횡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410)의 각 측면시트는 상단부(411a)의 양단에 상기 면적감소부(415)의 상측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상향 확장된 제1확장부(413)가 형성되며, 하단부 양단에 상기 면적감소부(415)의 하측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확장된 제2확장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확장부(413)와 상기 제2확장부(414)는 각각 구배연장부(416a,416b)에 의해 상기 면적감소부(415)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단부(411a) 및 하단부(411c)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으면서도 중앙부(411b)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410)가 외측으로 팽창하더라도, 특히 중앙부(411b)측이 외측으로 더 팽창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부(310)는 상기 면적감소부(415)를 통해 중앙부가 이미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상기 면적감소부(415)가 내측으로 인입된 간격만큼 팽창된 폭이 상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400)은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430)의 외곽측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410)의 각 모서리부측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프로파일에 내접할 수 있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백(400)은 상기 바닥부(430)의 각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기 볼록면부(436)가 중심부측보다 하향 돌출됨에 따라 상하로 적층시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백(400A)과의 적층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컨테이너백(400)은 상기 측벽부(410)의 길이방향 중앙부(411b)가 상하단부(411a,411c)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에 의한 팽창폭이 상쇄된다. 이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로 배치되는 컨테이너백(400B)들 간의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 창고 등과 같이 일정한 가로 및 세로 규격을 갖는 한정된 공간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상기 컨테이너백(400)을 보관시 2층 이상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의 750kg 컨테이너백(400) 대신에 높이가 33.3% 증가된 1,000kg 컨테이너백(400)이나 높이가 100% 증가된 1,500kg 컨테이너백(300)에서도 직립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적재시 보관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1회 운반 가능한 적재용량이 증가되므로 운반횟수를 줄일 수 있어 적재 및 운반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오목하게 만곡되되 각 모서리부와 인접한 외곽은 하측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여유면적을 공급하는 상기 주름(3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네 모서리부(312)가 명확히 형성된 클로버 형태로 형성되므로 내용물이 컨테이너백(300)의 각 모서리부(312)측에 집중되도록 분산될 수 있어 적층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334)은 상기 바닥부(330)의 최외곽 경계면(335a)측은 넓게 겹침되되 중첩경계면(333a)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면서 네 모서리부(312)측이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보다 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바닥부(330)의 중심부(k)측 배부름 현상을 상쇄시켜 제품의 사용가능기간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중첩단부(333)가 포개어져 지지강도가 개선됨과 함께, 상기 주름(334)이 복수개로 형성되되 각 주름(334)의 겹침길이(w3)가 상기 바닥중첩단부(333)의 중첩폭 이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330)의 네 모서리부(312)측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깊이가 증가하면서도 대상면과의 밀착영역이 상기 각 모서리부(312)의 외곽측으로 넓게 형성되므로 제품의 적층 안정성 및 직립 안정성이 동시에 개선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410)의 상부폭 및 하부폭이 길이방향 중앙부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벽부(410)의 중앙부측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내용물에 의한 팽창폭을 상쇄시키므로 전후 또는 좌우로 배치되는 컨테이너백(400)들 간의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적층 안정성 및 보관 효율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함으로써 컨테이너백의 제조 및 사용을 위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모서리부를 통해 구획된 하단부의 각 중앙부가 만곡되는 측벽부;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만곡된 부분에 대응되는 각 외곽측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되,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볼록면부가 하향 돌출되도록 각 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주름이 형성된 바닥중첩단부가 구비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최외곽 경계면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재봉되는 내측 경계면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여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상기 여유부가 상기 바닥부의 외곽측을 따라 전체적으로 포개어져 중첩되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상기 바닥부의 최외곽 경계면측이 넓게 겹침되되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지는 중첩경계면측으로 갈수록 겹침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름의 겹침길이는 상기 바닥중첩단부가 포개어진 중첩폭의 이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하단테두리가 포개어져 중첩되는 측벽중첩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외면이 상기 바닥부의 외면과 마주보도록 포개어져 중첩되되,
    상기 측벽중첩단부와 상기 바닥중첩단부는 복수개의 재봉라인에 의해 동시에 재봉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부폭 및 하부폭이 길이방향 중앙부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 모서리부의 중앙부측과 구배지게 연결되는 면적감소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면적감소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시 하중에 의한 상기 측벽부의 중앙부측 팽창폭이 상기 상부폭 및 상기 하부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횡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호 대응되는 각 중앙부는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대칭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PCT/KR2019/010249 2019-01-17 2019-08-13 컨테이너백 WO202014948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96 2019-01-17
KR1020190005996A KR102006940B1 (ko) 2019-01-17 2019-01-17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83A1 true WO2020149483A1 (ko) 2020-07-23

Family

ID=682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249 WO2020149483A1 (ko) 2019-01-17 2019-08-13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6940B1 (ko)
WO (1) WO202014948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5659A1 (en) * 1999-07-20 2001-01-25 Linpac, Inc. A collapsible bag for stacking and method thereof
KR20130048460A (ko) * 2011-11-02 2013-05-10 고재원 석재파편 운반용 마대
KR101459113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 2013-04-19 2014-12-23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892218B1 (ko) * 2017-02-16 2018-08-28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5659A1 (en) * 1999-07-20 2001-01-25 Linpac, Inc. A collapsible bag for stacking and method thereof
KR20130048460A (ko) * 2011-11-02 2013-05-10 고재원 석재파편 운반용 마대
KR101476400B1 (ko) * 2013-04-19 2014-12-23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1892218B1 (ko) * 2017-02-16 2018-08-28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940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1370A (en) Container
EP0868373B1 (en) Flexible container for flowable materials
US3907147A (en) Large rigid demountable cargo container with open top and fold-up floor
KR100678622B1 (ko)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US4499599A (en)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WO2024025191A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0009404B1 (en) Bulk container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CA1198990A (en) Bulk material container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WO2018174381A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WO2020149483A1 (ko) 컨테이너백
WO2016021867A1 (ko) 컨테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WO1998021107A1 (en) Bulk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 bands
EP0376622B1 (en) Flexible container
JP2022030908A (ja) 自立性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WO2017003032A1 (ko) 다단적재 조립 박스
WO2019098812A1 (ko) 컨테이너 백
KR102709784B1 (ko) 컨테이너백
JP3208221U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0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0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