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062B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062B1
KR102426062B1 KR1020200111771A KR20200111771A KR102426062B1 KR 102426062 B1 KR102426062 B1 KR 102426062B1 KR 1020200111771 A KR1020200111771 A KR 1020200111771A KR 20200111771 A KR20200111771 A KR 20200111771A KR 102426062 B1 KR102426062 B1 KR 10242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dge
liner
r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053A (ko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20011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Abstract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용물이 충적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되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라이너; 상하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내부라이너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개구된 상측의 단부 테두리부를 하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형성된 보강덧댐부가 구비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중앙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상벽부와,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부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리벨트와, 양단부에 각 상기 고리벨트의 중앙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인양벨트와, 각 상기 인양벨트의 중앙부를 상호 결합하는 밸크로를 포함하는 포장부; 및 상기 포장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는 외부라이너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의 내용물을 충적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이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이 충적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컨테이너 백은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운반되고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이러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직조한 형태로 제조되며, 이렇게 제조된 컨테이너 백은 수송작업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인장력이 요구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백(A,B)은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측벽부(1), 상벽부(2) 및 하벽부(3)를 포함하는 본체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벽부(2)와 하벽부(3)에는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충적 및 배출하기 위한 투입부(2a) 및 배출부(3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의 각 모서리부(1a) 좌우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벨트(4)가 재봉되어 부착된다. 상세히, 상기 벨트(4)는 양단부(4b)가 상기 모서리부(1a)의 좌우 양측에 부착됨에 따라 중앙부(4a)가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경우에 따라 상기 벨트(4)의 양단부(4b) 외측으로는 보강편(5)이 상기 측벽부(1)의 상단부 외측을 따라 박음질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백(A,B)은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벨트(4)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쉽게 뜯겨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벨트(4)의 외측으로 보강편(5)이 구비되더라도, 상기 벨트(4)와 상기 보강편(5)이 교차되는 부분(e)에 하중이 집중된다. 이는, 상기 벨트(4)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뜯겨 나가거나, 상기 교차되는 부분(e)의 본체부가 찢어지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로 인해, 인양 중인 컨테이너 백이 낙하되어 충적된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외부로 유실되어 심각한 경제적인 손상이 발생하고, 낙하된 컨테이너 백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더욱이, 충적된 내용물이 독성, 유해성 물질일 경우 주변 환경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컨테이너 백(A,B)은 내용물이 상기 투입부(2a) 및 상기 배출부(3a)을 통해 내부에 보관되거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이물질이 내용물에 혼입되어 내용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컨테이너 백(A,B)은 복수개의 컨테이너 백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데, 상기 벨트(4)가 다른 컨테이너 백의 하부에 가압되어 눌러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컨테이너 백(A,B)의 인양을 위해 별도의 인양수단을 상기 벨트(4)에 삽입시켜 컨테이너 백(A,B)을 들어올리는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른 컨테니어 백에 의해 상기 벨트(4)가 눌러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인양수단에 삽입하기 위해 작업자가 컨테이너 백(A,B)의 상부에 올라가 상기 벨트(4)를 잡고 인양수단에 삽입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상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이 충적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되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라이너; 상하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내부라이너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개구된 상측의 단부 테두리부를 하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형성된 보강덧댐부가 구비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중앙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상벽부와,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부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리벨트와, 양단부에 각 상기 고리벨트의 중앙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인양벨트와, 각 상기 인양벨트의 중앙부를 상호 결합하는 밸크로를 포함하는 포장부; 및 상기 포장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는 외부라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덧댐부는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하향 절곡하여 이중으로 중첩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에는 상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부봉제부가 형성되며,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며 묶음 마감된 상기 투입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덮개라이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라이너에는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상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중첩 형성된 외곽봉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라이너는 하부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는 원추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라이너에는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융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융착부의 일측에 개구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를 관통하여 상기 융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외부라이너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하고 중앙부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하벽부와, 상기 제2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에는 하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하되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하부봉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각 상기 고리벨트의 중앙부는 각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 결합되는 고리형 인양연결부로서 형성되되, 상기 인양연결부는 각 상기 고리벨트의 양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상벽부로부터 상측으로 탄성 복원되며 이격되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다겹으로 중첩 형성되며, 각 상기 인양벨트의 길이는 한쌍의 인접한 상기 측벽부의 모서리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고, 각 상기 인양벨트는 상기 상벽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투입부에 상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부봉제부가 형성되어 투입부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내부라이너의 저장공간에 보관된 내용물에 혼입됨을 방지하므로 보관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배출부에 하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하되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하부봉제부가 형성되어 내부라이너의 저장공간으로부터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부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외부라이너의 상부에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된 융착부의 둘레방향 일측에 슬릿부가 형성되되, 슬릿부를 관통하여 탄성밴드가 삽입됨에 따라 포장부를 외부라이너의 내부에 보관 및 분리시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각 고리벨트의 인양연결부가 다겹으로 중첩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 고리벨트에 걸림 결합된 한쌍의 인양벨트의 중앙부가 밸크로에 의해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굽힘시에도 고리벨트가 상벽부 상측으로 자동 탄발 복원됨에 따라 각 인양벨트가 상벽부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인양수단이 각 인양벨트의 중앙부 하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작업자가 컨테이너 백의 상부에 올라가 수작업으로 인양수단을 인양벨트에 결합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포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투입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덮개라이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포장부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고리벨트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외부라이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포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투입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덮개라이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포장부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고리벨트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외부라이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은 내부라이너(10), 포장부(20) 및 외부라이너(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100)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광학 LED판넬용 원료나 의료용, 식품포장용으로 쓰이는 고청정 기능성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적 및 보관되도록 내부에 저장공간(10a)이 형성된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라이너(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되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1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라이너(10)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될 수 있으며, 상하부가 각각 선택적으로 스완넥 묶음되어 마감되면 상기 저장공간(10a)이 외부와 밀폐 차단되어 상기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 및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완넥 묶음이라 함은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상하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밀하게 밀집된 상태에서 상단 및 하단이 상하방향 내측으로 절곡 접힘되어 꺽인 상태에서 묶음처리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라이너(10)는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광학필름, 비닐 등의 인장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라이너(10)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이 1:1 비율로 혼합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라이너(10)에는 전후방향 양측으로 펼침되도록 상기 내부라이너(10)의 내측으로 'W' 형태로 접힌 상태로 배치된 여유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라이너(10)가 각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배치되어 전후방향 양측으로 펼침되도록 여유부가 구비되므로 미사용시 접이 보관하여 부피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상기 내부라이너(10) 내부에 보관되는 내용물 수용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라이너(10)는 상기 포장부(2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포장부(20)의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상단이 후술되는 투입부(24)의 상단보다 기설정된 제1높이(H1)만큼 더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하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라이너(10)의 하단이 후술되는 배출부(26)의 하단부다 기설정된 제2높이(H2)만큼 더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부(2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내부라이너(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10a)에 상기 내용물을 주입 및 배출시 상기 투입부(24) 및 상기 배출부(26)로부터 상기 저장공간(10a)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부(20)는 내용물을 충적할 수 있는 수용공간(20a)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측벽부(21), 상벽부(23), 투입부(24) 및 하벽부(2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포장부(20)는 상기 측벽부(21)의 상측에는 배치되는 고리벨트(27), 인양벨트(28) 및 밸크로(29)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포장부(20)는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저장공간(10a)에 내용물이 충적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공간(10a)에 최대한 많은 양이 충적되도록 외형 변경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포장부(20)는 천연섬유재질 내지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저장공간(10a)에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도 상기 포장부(20)의 외형 및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장공간(10a)에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라이너(10)가 상기 포장부(20)의 수용공간(20a) 내부에 배치되어 다중 포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20a)은 내부에 상기 내부라이너(10)가 배치되며, 상기 측벽부(21), 상기 상벽부(23) 및 상기 하벽부(25)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21)는 상하측이 개구되며, 상기 내부라이너(10)가 배치되는 상기 수용공간(20a)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측벽부(21)의 단면형상은 원형 내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포장부(20)를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시, 상기 포장부(20) 간의 공극률이 감소되어 적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21)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모서리부(21c)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부(21c)에 의해 복수개의 측벽(21a,21b)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측벽(21a,21b)은 복수개로 재단된 직물지의 양단부를 재봉 또는 열융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체로 연장된 단일의 직물지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2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21)가 단일의 직물지로 구비될 경우 상기 모서리부(21c)에 해당되는 기설정된 간격마다 직각으로 절곡함에 따라 각각의 측벽(21a,21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21)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봉 또는 열융착으로 연결된 부분이나 절곡된 부분은 상기 모서리부(21c)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부(21c)는 도면에서와 같이 협소한 꼭지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완만한 곡선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측벽(21a,21b)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각도로 꺾여 구분되는 경계부분을 상기 모서리부(21c)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상측에는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개구된 상측의 단부 테두리부를 하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중첩 형성된 보강덧댐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강덧댐부(22)는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하향 절곡하여 이중으로 중첩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덧댐부(22)가 상기 측벽부(21)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고리벨트(27)가 결합되는 부분의 내구성 및 지지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포장부(20)을 인양시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가 결합된 주변의 측벽부(21)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강덧댐부는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상벽부(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벽부(23)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상측 체결부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체결부는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상측과 열융착 내지 재봉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벽부(23)의 중앙부에는 제1개구부(23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개구부(23a)는 원형 단면 등의 테두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벽부(23)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입부(24)가 연결되되, 상기 투입부(24)는 하단이 상기 제1개구부(23a)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20a)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부(24)는 상기 상벽부(23)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상벽부(23)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제1개구부(23a)에 재봉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벽부와 상기 투입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포장부(20)의 내측으로 상기 내용물을 채운 후 상기 수용공간(20a)을 밀폐하도록 상기 투입부(24)의 외면을 조여 밀폐하는 조임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하측에는 상기 하벽부(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벽부(2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하측 체결부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체결부는 상기 측벽부(21)의 개구된 하측과 열융착 내지 재봉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벽부(25)의 중앙부에는 제2개구부(25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개구부(25a)는 원형 단면 등의 테두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부(20)는 상기 하벽부(25)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상기 배출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26)는 상단이 상기 제2개구부(25a)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20a)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배출부(26) 역시 상기 투입부(24)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공간(20a)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조임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20a)은 상기 측벽부(21), 상기 상벽부(23) 및 상기 하벽부(25)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내측의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입부(24)와 상기 배출부(26)에 구비된 조임끈을 조여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거나, 상기 내용물을 배출시 상기 조임끈을 풀거나 상기 배출부(26) 주변을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벽부(25)에는 상기 배출부(26)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하벽부(25)를 절개하여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투입부(24)와 상기 배출부(26)는 상술한 조임끈 외에도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열융착하거나 재봉하여 봉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24)에는 상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하향 절곡하여 중첩 형성된 상부봉제부(24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봉제부(24a)는 상기 투입부(24)의 상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함과 동시에,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봉제부(24a)의 단부가 상기 투입부(24)의 상측 단부 외측으로 삽입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봉제부(24a)는 상기 투입부(24)의 둘레방향을 따라 재봉사가 재봉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20a)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상기 투입부(24)에 상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기 상부봉제부(24a)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0a)에 배치된 투입부(24)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저장공간(10a)에 보관된 내용물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관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26)에는 하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상향 절곡하여 중첩 형성된 하부봉제부(26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봉제부(26a)는 상기 배출부(26)의 하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함과 동시에,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봉제부(26a)의 단부가 상기 배출부(24)의 상측 단부 외측으로 삽입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봉제부(26a)는 상기 배출부(26)의 둘레방향을 따라 재봉사가 재봉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20a)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상기 배출부(26)에 하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하되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기 하부봉제부(26a)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저장공간(10a)으로부터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부(26)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각 상기 고리벨트(27)는 양단부(27a)가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리벨트(27)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하측이 상기 상벽부(23)와 상기 하벽부(25)로 각각 커버된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리벨트(27)가 이격된 간격은 각각 균등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쌍씩 상호 대칭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후술될 상기 인양벨트(28)가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의 인양수단(T)에 걸린 상태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리벨트(27)는 기설정된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끈 내지 벨트 형태로 형성되며, 양단부(27a)가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에 결합됨에 따라 중앙부가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포장부(20)을 운반시 상기 인양벨트(28)에 걸어 인양수단(T)을 상기 인양벨트(28) 하측으로 삽입하여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가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모서리부(21c)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인양수단(T)에 의해 인양시 상기 포장부(20)의 하중이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인양 및 운반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는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덧댐부(22)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벽부(21)의 외측에는 상기 보강덧댐부(22)와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상기 외부보강덮개(2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덧댐부(22),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22a)는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일체로 재봉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덧댐부(22)의 중첩폭은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와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의 겹침폭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첩폭이라 함은 상기 측벽부(21)의 상측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이중으로 형성되는 영역의 총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겹침폭이라 함은 상기 고리벨트(27)가 상기 측벽부(21)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겹쳐지는 영역의 총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첩폭이 상기 겹침폭보다 크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보강덧댐부(22)가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전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외측으로 상기 외부보강덮개(22a)가 중첩되되,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세로길이 역시 상기 겹침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는 상기 보강덧댐부(22)와 상기 외부보강덮개(22a) 사이에 실질적으로 삽입된 형태로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강덧댐부(22),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및 상기 외부보강덮개(22a) 순으로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재봉사로 재봉하되,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아울러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봉사를 이용한 재봉방법은 다이아몬드 재봉방법 내지 지그재그 재봉방법을 예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봉방법은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아우름으로써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폭보다 넓은 면적으로 재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기 포장부(20)을 인양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가 연결된 결합부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재봉사가 재봉된 라인을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부(20)에 충적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리벨트(27)의 분리 내지 상기 측벽부(21) 상단부의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포장부(20)는 상기 중첩폭이 상기 겹침폭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에 집중되는 하중을 더욱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덧댐부(22)는 상기 측벽부(21)의 상측 테두리가 중첩되도록 절곡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부가 다중층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양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강도라 함은 상기 포장부(20)에 충적된 내용물의 하중에 대하여 상기 결합부가 분리 내지 파손되지 않고 유지되는 강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측벽부(21)가 1600데니어에 경사 14목, 위사 14목으로 제조된 직물지로 제조된 경우, 상기 보강덧댐부(22)측은 3200데니어에 경사 28목, 위사 28목인 직물지과 대응되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벽부(21)가 1400데니어에 경사 13목, 위사 12목으로 상술한 직물지보다 낮은 강도의 직물지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보강덧댐부(22)측은 실질적으로 2800데니어에 경사 26목, 위사 24목인 직물지와 대응되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장부(20)가 강도가 다소 낮은 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더라도, 상기 고리벨트(27)가 결합되는 상기 측벽부(21)의 상단측이 이중으로 중첩된 상기 보강덧댐부(22)로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는, 저강도의 저렴한 직물지를 사용하더라도 고강도의 고가의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컨테이너 백과 대응되는 강도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21)는 공간효율 및 적재효율이 최대화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는 상기 측벽부(21)의 각 모서리부(21c)의 양측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보강덮개(22a)는 상기 측벽부(21)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보강덧댐부(22)와, 상기 보강덧댐부(22)에 결합되는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양단부는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외측경계의 외곽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부보강덮개(22a),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및 상기 보강덧댐부(22)는 순차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재봉사를 이용하여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봉사를 이용한 재봉방법은 상술한 다이아몬드식 및 지그재그식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봉사를 이용하여 재봉시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면적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따라 재봉라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포장부(20)에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 인양시,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면적을 아울러 형성된 상기 재봉라인으로 따라 상기 포장부(2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에 상기 포장부(20)의 하중이 집중됨에 의한 상기 고리벨트(27)의 단락을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부(2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이 개선되며 작업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 주변 영역이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와 상기 보강덧댐부(22)의 중첩된 두께만큼 두껍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21)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리벨트(27)가 상기 측벽부(21)에 직접적으로 재봉되어 결합되면서도,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와 상기 보강덧댐부(22)가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가 삽입된 상태에서 동시에 재봉됨에 의해 간접적인 결합력 또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리벨트(27)에 작용하는 장력과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중력이 집중되는 상기 결합부 외측을 상기 외부보강덮개(22a)가 견고하게 고정시켜 더욱 향상된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벨트(27)는 상기 측벽부(21)의 각 모서리부(21c)로부터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내측경계까지의 간격이 기설정된 제1간격에 대응하여 대칭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보강덮개(22a)의 양단부는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외측경계로부터 기설정된 제2간격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은 상기 고리벨트(27)의 단면폭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내측경계라 함은 상기 측벽부(21)에 상기 고리벨트(27)가 결합시 상기 모서리부(21c)와 인접한 일측 길이방향 테두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외측경계라 함은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 내측경계와 대향되는 타측 길이방향 테두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부보강덮개(22a)는 상기 고리벨트(27)의 겹침폭보다 세로폭이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가 상기 보강덧댐부(22)와 상기 외부보강덮개(22a) 사이에 중첩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는 상기 보강덧댐부(22)와 상기 외부보강덮개(22a) 사이에 실질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동시에 재봉되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이 상기 고리벨트(27)의 단면폭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재봉라인을 따라 하중이 분산되는 면적이 충분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인양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제2간격이 상기 고리벨트(27)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인양강도의 크기는 크게 증가하지 않으나 상기 외부보강덮개(22a)를 제조하기 위한 불필요한 재화가 낭비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간격이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충분한 인양강도를 제공받으면서도 재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이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과 대응된다 함은 상호 간격이 일치함에 국한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의 80~120% 범위 사이에서 설정됨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간격도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간격이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격될 경우,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가 상기 모서리부(21c)와 과도하게 인접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모서리부(21c)의 상단측으로 상기 포장부(20)의 하중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간격이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보다 큰 폭으로 이격될 경우, 상기 인양벨트(28)가 걸림 결합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불필요하게 긴 길이의 끈 내지 벨트가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고리벨트(27)의 가로폭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상기 모서리부(21c)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재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양벨트(28)는 양단부에 각 상기 고리벨트(27)의 중앙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크로(29)는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중앙부를 동시에 감싸며 상호 결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고리벨트(27)가 4개 구비되고 상기 인양벨트(28)가 2개 구비되어 양단이 한쌍의 고리벨트(27)에 각각 걸림 결합되며,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중앙부가 상기 밸크로(29)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부(20)를 인양하도록 구비되는 인양수단(T)이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중앙부 하측 및 상기 상벽부(23)의 상측 사이로 삽입되어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하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각 상기 인양벨트(28)는 상기 상벽부(2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8을 참조하면, 각 상기 고리벨트(27)의 중앙부는 상기 인양벨트(28)의 각 걸림고리가 걸림 결합되는 고리형 인양연결부(27b,27c)로서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로부터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양연결부(27b,27c)는 각 상기 고리벨트(27)의 양단부(27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인양연결부(27b,27c)는 상기 상벽부(23)로부터 상측으로 탄성 복원되며 이격되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다겹으로 중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양연결부(27b,27c)가 다겹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테두리를 따라 재봉사가 재봉됨에 따라 상기 인양연결부(27b,27c)가 다겹으로 중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양연결부(27b,27c)가 이중으로 중첩 형성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길이는 한쌍의 인접한 상기 모서리부(21c)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고, 각 상기 인양벨트(28)는 상기 상벽부(2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인양벨트(28)의 걸림고리가 걸림 결합되는 각 상기 고리벨트(27)의 인양연결부(27b,27c)가 두께방향을 따라 다겹으로 중첩 형성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굽힘시에도 상기 상벽부(23)로부터 상측으로 자동 탄발 복원되며 이격되므로 인양수단(T)이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중앙부 하측 및 상기 상벽부(23)의 상측 사이로 삽입되어 각 상기 인양벨트(28)의 하부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되어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각 고리벨트(27)의 인양연결부(27b,27c)가 다겹으로 중첩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 고리벨트(27)에 걸림 결합된 한쌍의 인양벨트(28)의 중앙부가 밸크로(29)에 의해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굽힘시에도 고리벨트(27)가 상벽부(23)의 상측으로 자동 탄발 복원됨에 따라 각 인양벨트(28)가 상벽부(2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인양수단(T)이 각 인양벨트(28)의 중앙부 하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작업자가 컨테이너 백의 상부에 올라가 수작업으로 인양수단(T)을 인양벨트(28)에 결합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21)에는 개구된 하측의 단부 테두리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22b)가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벽부(25)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하측 체결부와 상기 일체형 접이식 하측보강부(22b)가 일체로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21)는 상기 개구된 상측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된 하측 역시 이중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벽부(25)와 상기 측벽부(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도 상기 포장부(20)을 안정적으로 인양 및 운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라이너(30)는 상기 포장부(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라이너(30)는 광학필름, 비닐 등의 인장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라이너(30)는 상기 포장부(20)를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의 이물질 및 수분으로부터 다중으로 보호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라이너(30)는 하부(31)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는 원추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융착부(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융착부(32)는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상측 단부 테두리로부터 외측 또는 내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열융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열융착 이외의 방식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융착부(32)의 둘레방향 일측에는 슬릿부(3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릿부(32a)에 의해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상부 외면과 상기 융착부(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개구되며 외부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백(100)은 상기 슬릿부(32a)를 관통하여 상기 융착부(32)의 내측, 즉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상부 외면과 상기 융착부(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되 상기 외부라이너(3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밴드(3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30)가 선택적으로 수축 및 확장되며 상기 외부라이너(30)의 내측에 상기 포장부(2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상부에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된 상기 융착부(32)의 둘레방향 일측에 상기 슬릿부(32a)가 형성되되 상기 슬릿부(32a)를 관통하여 상기 탄성밴드(33)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포장부(20)를 상기 외부라이너(30)의 내부에 보관 및 분리시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100)은 파레트(40) 및 덮개라이너(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레트(40)는 상기 외부라이너(30)의 외경을 초과하는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평판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레트(10)는 목재 재질로서 복수개의 각대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호 교차된 격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라이너(30)의 하단부가 상기 파레트(40)의 상면에 열부착 등의 방식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라이너(5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일측 테두리가 상기 제1개구부(23a)의 테두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라이너(50)의 일측 테두리가 상기 제1개구부(23a)의 테두리 하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재봉사를 통해 재봉되거나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라이너(50)는 스완넥 묶음 마감된 상기 투입부(24)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라이너(50)에는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상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중첩 형성된 외곽봉제부(5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곽봉제부(50a)는 상기 덮개라이너(50)의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하되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곽봉제부(50a)의 단부가 상기 덮개라이너(50)의 상측 단부 외측으로 삽입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곽봉제부(50a)는 상기 덮개라이너(5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재봉사가 재봉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라이너(50)의 외곽 테두리에 상기 외곽봉제부(50a)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외곽봉제부(50a)의 일측 테두리 상면이 상기 제1개구부(23a)의 테두리 하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재봉사를 통해 재봉되거나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라이너(50)의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하되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기 외곽봉제부(50a)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저장공간(10a)에 보관된 내용물에 상기 덮개라이너(50)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컨테이너 백(100)은 상기 덮개라이너(50) 면적에 대응되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일측 테두리가 상기 제2개구부(25a)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묶음 마감된 상기 배출부(26)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에는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하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중첩 형성된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는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의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의 단부가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의 상측 단부 외측으로 삽입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는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재봉사가 재봉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의 외곽 테두리에 상기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의 일측 테두리 상면이 상기 제2개구부(25a)의 테두리 하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재봉사를 통해 재봉되거나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의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기 보조외곽봉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라이너(10)의 하부를 보호하되 상기 내부라이너(10)의 저장공간(10a)에 보관된 내용물의 배출시 상기 보조덮개라이너(미도시) 단부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컨테이너 백 10: 내부라이너
20: 포장부 21: 측벽부
22: 보강덧댐부 23: 상벽부
24: 투입부 25: 하벽부
26: 배출부 27: 고리벨트
28: 인양벨트 29: 밸크로
30: 외부라이너 40: 파레트
50: 덮개라이너

Claims (5)

  1. 내용물이 충적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되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라이너;
    상하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내부라이너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되 상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중첩되도록 개구된 상측의 단부 테두리부를 하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형성된 보강덧댐부가 구비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중앙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상벽부와,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부와, 양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리벨트와, 양단부에 각 상기 고리벨트의 중앙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인양벨트와, 각 상기 인양벨트의 중앙부를 상호 결합하는 밸크로를 포함하는 포장부; 및
    상기 포장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개구되는 외부라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덧댐부는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하향 절곡하여 이중으로 중첩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에는 상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하향 절곡하되 하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상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상부봉제부가 형성되며,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1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며 묶음 마감된 상기 투입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덮개라이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라이너에는 외곽 테두리를 내측으로 상향 절곡하여 다중으로 중첩 형성된 외곽봉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라이너는 하부가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양측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는 원추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라이너에는 상측 단부 테두리를 하향 절곡하여 융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융착부의 일측에 개구된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를 관통하여 상기 융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외부라이너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하고 중앙부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하벽부와, 상기 제2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에는 하측 단부 테두리를 외측으로 1차 상향 절곡하되 상향 절곡된 단부를 내측으로 2차 하향 절곡하여 다겹으로 중첩된 하부봉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고리벨트의 중앙부는 각 상기 걸림고리가 걸림 결합되는 고리형 인양연결부로서 형성되되,
    상기 인양연결부는 각 상기 고리벨트의 양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상벽부로부터 상측으로 탄성 복원되며 이격되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다겹으로 중첩 형성되며,
    각 상기 인양벨트의 길이는 한쌍의 인접한 상기 측벽부의 모서리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되고, 각 상기 인양벨트는 상기 상벽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KR1020200111771A 2020-09-02 2020-09-02 컨테이너 백 KR102426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771A KR102426062B1 (ko) 2020-09-02 2020-09-02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771A KR102426062B1 (ko) 2020-09-02 2020-09-02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053A KR20220030053A (ko) 2022-03-10
KR102426062B1 true KR102426062B1 (ko) 2022-07-26

Family

ID=8081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771A KR102426062B1 (ko) 2020-09-02 2020-09-02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0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76B2 (ja) 1995-04-25 2000-09-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ワーク撮像装置
KR100503972B1 (ko) * 2004-02-06 2005-07-27 동양산업 주식회사 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8-07-21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101459114B1 (ko) 2014-08-06 2014-11-12 최용덕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JP2016216114A (ja) 2015-05-25 2016-12-22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紐倒立具
KR101966970B1 (ko) * 2018-10-17 2019-04-08 최용덕 컨테이너 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877A (en) * 1990-02-26 1991-05-28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ackaging assembly for contaminable materials
JP3085876U (ja) * 2001-11-07 2002-05-24 明世興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ク
KR20040027809A (ko)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101148184B1 (ko) * 2010-01-13 2012-05-23 김중관 티엠알 보관-발효용 벌크백, 이를 이용한 티엠알 사료 포장방법 및 발효방법
KR101892218B1 (ko) * 2017-02-16 2018-08-28 영우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76B2 (ja) 1995-04-25 2000-09-1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ワーク撮像装置
KR100503972B1 (ko) * 2004-02-06 2005-07-27 동양산업 주식회사 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8-07-21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101459114B1 (ko) 2014-08-06 2014-11-12 최용덕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JP2016216114A (ja) 2015-05-25 2016-12-22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紐倒立具
KR101966970B1 (ko) * 2018-10-17 2019-04-08 최용덕 컨테이너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053A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3162B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JPH0220499B2 (ko)
JPH0880994A (ja) 袋容器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20130103556A (ko) 용기 및 가방을 포함하는 와이어 수용 구조물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WO2001025101A1 (en) Bulk container suitable for dangerous goods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US4948265A (en) Container bag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
EP3105149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GB1581438A (en) Containers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JP6590777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