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538B1 -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538B1
KR100847538B1 KR1020070045303A KR20070045303A KR100847538B1 KR 100847538 B1 KR100847538 B1 KR 100847538B1 KR 1020070045303 A KR1020070045303 A KR 1020070045303A KR 20070045303 A KR20070045303 A KR 20070045303A KR 100847538 B1 KR100847538 B1 KR 10084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lifting member
lifting
body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filed Critical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Priority to KR102007004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53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240 priority patent/WO20081401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538B1/ko
Priority to ZA200900306A priority patent/ZA200900306B/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은 컨테이너백을 인양할 때 커버부에의 하중집중을 방지하여 부분 파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은, 내용물이 충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위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부; 및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백을 끌어올리는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으로서, 인양부재는 연통된 내부 공간인 터널부 및 터널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인양스트링을 포함하며, 몸체부와 커버부의 경계선 아래에서 몸체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양부재, 컨테이너백, 커버부, 몸체부, 터널부

Description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CONTAINER BAG HAVING LIFTING MEMBER}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제1 유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제2 유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제3 유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인양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의 인양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3 실시예의 인양부재 및 커버부를 형 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종래 기술에 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연장부재
200 : 커버부 300 : 투입부
400 : 인양부재 410 : 터널부
430 : 결합부 450 : 인양스트링
470 : 개구부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양스트링이 관통되는 터널부를 가진 인양부재에 의해 인양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백의 내부에 벌크화물 등의 다양한 내용물을 충전하여 운송하는 백을 의미한다.
컨테이너백의 인양방식은 일반적으로 벨트인양방식과 로프인양방식으로 나뉜다. 여기서 로프인양방식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로프로 인양하므로, 인양시에 로프 전체의 형상은 대략 환형(環形)을 형성하면서 인양된다. 이로 인해 예로 포크리프 트로 인양하는 경우, 포크가 직접 삽입되는 로프부분뿐 아니라 그 인접한 로프부분에도 하중이 직접 전달되어 컨테이너백 상부에 인양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각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타 벨트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는 벨트인양방식과 확연히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양로프식 가진 컨테이너백은 인양될 때 인양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컨테이너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28002호(이하 '종래기술 1')의 경우, 인양끈을 이용해 컨테이너백을 인양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인양부재에 해당하는 다수의 마감끝단(14)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 특히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부분적인 파열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도 8에 도시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14979호(이하 '종래기술 2')를 들 수 있다. 종래기술 2는 기본적으로는 종래기술 1과 유사하다. 종래기술 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삽입부(122)의 끝단에 세로보강띠(180)를 덧댄 후, 각 로프삽입부(112)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분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보강띠(190)를 덧대는 기술적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와 같은 기술적 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컨테이너백의 제작공정이 비효율적, 비경제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양시의 하중이 각 인양부재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분에 집중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을 단지 여러 겹을 덧대어 파 열을 방지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어떤 소재로 몇겹을 덧대는 가에 따라 파열을 방지하는 정도가 변동되는 곤란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목적은 각 인양부재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 특히 컨테이너백의 모서리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컨테이너백을 인양할 때 부분 파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목적은 컨테이너백에 별도로 제작된 인양부재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통해 컨테이너백 제작공정이 단순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3 목적은 컨테이너백의 몸체부와 커버부를 일체로 제작함에 따라. 양자간의 별도의 결합수단이 불필요한 실시예를 통해컨테이너백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4 목적은 컨테이너백의 몸체부의 연장부재를 이용하여 인양부재 및/또는 커버부를 제작함에 따라, 작업의 간소화, 원자재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은, 내용물이 충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위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부; 및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백을 끌어올리는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으로서, 인양부재는 연통된 내부 공간인 터널부 및 터널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인양스트링을 포함하며, 몸체부와 커버부의 경계선 아래에서 몸체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경우, 인양부재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와 결합되며, 커버부는 몸체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결합되거나,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경우, 인양부재는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를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되며, 커버부는 몸체부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경우, 인양부재는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를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되며, 커버부는 인양부재를 형성하고 남은 연장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는 터널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통해 인양스트링을 터널부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인양부재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수용된 컨테이너백을 끌어올릴 때 컨테이너백의 상측인 커버부에, 특히 커버부의 모서리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인양부재 및 몸체부 간의 상호 결합이 몸체부와 커버부의 경계선 아래에서, 즉 커버부가 아닌 몸체부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버부(특히 커버부의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는 연통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공간에 인양스트링을 삽입하여 연결한 후 인양스트링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시켜 컨테이너백을 인양한다.
일반적인 컨테이너백에 대한 안전율(Safety Factor)은 통상적으로 5:1 이 요구된다. 이는 컨테이너백에 수용될 내용물의 하중보다 5배 이상 무거운 하중에서도 컨테이너백이 안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나아가 위험물 포장용 컨테이너백에 대한 안전율은 통상적으로 6:1 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인양시 몸체부와 커버부의 경계선 아래에서 하중이 가해지는 구조이고, 종래 로프인양방식의 컨테이너백은 몸체부와 커버부의 경계선에 하중이 가해지는 구조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과 종래 컨테이너백을 대비하기 위하여 하중테스트(인장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자체중량이 약 1.62 kgs인 컨테이너백의 안전작업하중(safety working load:SWL)이 500kgs일 때, 하중테스트 결과 4.1 tons 정도까지 하중을 지지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경우, 제1 실시예의 제3 유형을 제작하여 시험을 하였는데, 자체중량이 약 1.42 kgs 인 컨테이너백의 안전작업하중(safety working load:SWL)이 500kgs일 때, 약 4.3 tons 정도까지 하중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하중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이 종래 컨테이너백보다 자체중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하에서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단면이 다각형 또는 대략 원형인 몸체부를 가지는 컨테이너백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은 단면이 대략 정방형인 몸체부를 갖는 컨테이너백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제1 유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제2 유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제3 유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1 실시예의 경우, 별도 제작된 인양부재(400)를 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양부재(400)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100)와 결합되며, 커버부(200)는 몸체부(100)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결합되거나, 몸체부(100) 상측의 연장부재(110)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400)와 몸체부(100)의 상호 결합수단은 봉재, 열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1 유형은, 몸체부(100)의 각 측면에 하나의 인양부재(400)를 결합시키고 각 인양부재의 연통된 내부공간인 터널부(410)에 인양스트링(450)을 삽입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2 유형은, 몸체부(100)의 각 측면에 복수 개 의(여기서는 두 개의) 인양부재(400)를 결합시키고 각 인양부재(400)의 연통된 내부공간인 터널부(410)에 인양스트링(450)을 삽입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400)는 각 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의 인양부재(400)가 각 측면에 배치되면, 컨테이너백을 인양하기 위해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선택할 수 있는 인양스트링(450)이 많아지므로, 컨테이너백의 인양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스트링(450)은 단면이 원형인 종래의 로프뿐만 아니라, 단면이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인 다양한 형태의 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종래의 '인양로프'라는 용어 대신 '인양스트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도 1c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3 유형은, 인양부재(400)의 터널부(410)의 일측에 개구부(470)를 형성하여 그 개구부(470)를 통해 인양스트링(450)을 터널부(410) 외부로 인출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 유형은 컨테이너백 몸체부(100)의 측면에도 적용가능하며, 특히 컨테이너백 몸체부(100)의 모서리부분에 인양부재(400)를 배치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별도로 제작된 인양부재(400)를 나타내며, 인양부재(40)는 터널부(410)를 위 또는 아래로 향하게 배치하여 몸체부(100)와 결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도 2c는 터널부(410)의 일측에 인양스트링(450)이 외부로 인출되어 고리형상을 갖추도록, 개구부(470)가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 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의 인양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부분을 이용하여 인양부재(400)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양부재(400)는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를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되며, 커버부(200)는 몸체부(100)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100)와 상호 결합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측 연장부재(100)를 중첩되게 접은 후, 접힌 아래 부분에 연통되는 내부공간인 터널부(410)를 형성하고, 접힌 윗 부분을 몸체부(100)에 대고 상호 결합(430)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40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100)의 상측 연장부재(110)는 인양부재(400)를 형성할 정도의 길이가 요구되므로, 커버부(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100)와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200)와 몸체부(100)의 상호 결합수단은 봉재, 열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3 실시예의 인양부재 및 커버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3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100)로부터 충분히 연장된 연장부재(110)를 확보하여, 연장부재(110)의 일부는 인양부재(400)를 형성 하는데 사용하며, 나머지는 커버부(200)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양부재(400)는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를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되며, 커버부(200)는 인양부재를 형성하고 남은 연장부재로 형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몸체부(100)의 상측 연장부재(100)를 중첩되게 접은 후, 접힌 아래 부분에 연통되는 내부공간인 터널부(410)를 형성하고, 접힌 윗 부분을 몸체부(100)에 대고 상호 결합(43)시킨다. 이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음으로, 남은 연장부재(110)를 활용하여 커버부(200)를 형성시킨다. 커버부(200) 형성시 남은 연장부재(110)를 소정의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하고 이를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상호결합하는 과정이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양부재(400) 터널부(410)의 일측에 개구부(470)를 형성하여 인양스트링(450)을 터널부(410) 외부로 인출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400)의 터널부(410)의 양 단 및/또는 개구부(470)는 터널부 안쪽으로 중첩되게 접혀진 구조 또는 별도의 소재를 중첩되게 덧댄 구조로 이루어져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은, 몸체부의 형상과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내용물이 충전되는 이너백(inner-bag)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컨테이너백을 인양할 때 하중이 커버부 특히 커버부의 모서리에 집중되어 커버부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컨테이너백에 별도로 제작된 인양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백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백의 몸체부와 커버부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백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내용물이 충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위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부; 및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백을 끌어올리는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으로서,
    상기 인양부재는 연통된 내부 공간인 터널부 및 터널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인양스트링을 포함하며, 몸체부와 커버부의 경계선 아래에서 몸체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는 몸체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결합되거나,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는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를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몸체부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는 몸체부 상측의 연장부재를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인양부재를 형성하고 남은 연장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는 터널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양스트링을 터널부 외부로 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의 터널부의 양 단이 터널부 안쪽으로 중첩되게 접혀진 구조 또는 터널부의 양단에 별도의 소재를 중첩되게 덧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의 개구부가 터널부 안쪽으로 중첩되게 접혀진 구조 또는 터널부의 개구부에 별도의 소재를 중첩되게 덧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1020070045303A 2007-05-10 2007-05-10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10084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303A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7-05-10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PCT/KR2008/000240 WO2008140172A1 (en) 2007-05-10 2008-01-15 Container bag having lifting member
ZA200900306A ZA200900306B (en) 2007-05-10 2009-01-14 Container bag having lift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303A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7-05-10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538B1 true KR100847538B1 (ko) 2008-07-21

Family

ID=3982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303A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7-05-10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47538B1 (ko)
WO (1) WO2008140172A1 (ko)
ZA (1) ZA200900306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831B1 (ko) 2010-12-22 2012-09-20 박정윤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사면보강 백
KR101548653B1 (ko) 2015-06-29 2015-08-31 (주)성림산업 대용량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KR101626569B1 (ko) 2015-12-04 2016-06-01 한상학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KR101803469B1 (ko) * 2017-03-20 2017-11-30 박찬경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894832B1 (ko) * 2018-05-16 2018-09-04 안병선 가변식 상부구조를 가지는 몸체부 일체형 컨테이너백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0053A (ko) * 2020-09-02 2022-03-10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200495937Y1 (ko) * 2021-12-24 2022-09-23 김숙자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3008A1 (en) * 2011-03-11 2012-09-20 Fritz Egger Gmbh & Co. Og Bag-shaped container for bulk goods, transpor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bulk goods
UA98739C2 (ru) * 2011-05-16 2012-06-11 Иван Георгиевич Рабизо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грузов
UA126464C2 (uk) * 2016-04-01 2022-10-12 Іван Георгійович Рабізо Великий м'який контейнер
JP6188184B1 (ja) * 2017-03-07 2017-08-30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
JP6589081B1 (ja) * 2019-07-19 2019-10-09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および土木工事用構造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485U (en) * 1995-04-17 1996-11-19 Kim Young Kap Reinforced container
JP3085876U (ja) * 2001-11-07 2002-05-24 明世興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1078D0 (en) * 1994-01-20 1994-03-16 Mulox Ibc Ltd Container ba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485U (en) * 1995-04-17 1996-11-19 Kim Young Kap Reinforced container
JP3085876U (ja) * 2001-11-07 2002-05-24 明世興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バック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831B1 (ko) 2010-12-22 2012-09-20 박정윤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사면보강 백
KR101548653B1 (ko) 2015-06-29 2015-08-31 (주)성림산업 대용량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KR101626569B1 (ko) 2015-12-04 2016-06-01 한상학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KR101803469B1 (ko) * 2017-03-20 2017-11-30 박찬경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WO2018174381A1 (ko) * 2017-03-20 2018-09-27 박찬경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US10259646B2 (en) 2017-03-20 2019-04-16 Chan Kyung Park Insert-structured container bag having inner bag to be inserted in outer bag
KR101894832B1 (ko) * 2018-05-16 2018-09-04 안병선 가변식 상부구조를 가지는 몸체부 일체형 컨테이너백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0053A (ko) * 2020-09-02 2022-03-10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2426062B1 (ko) 2020-09-02 2022-07-26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200495937Y1 (ko) * 2021-12-24 2022-09-23 김숙자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0172A1 (en) 2008-11-20
ZA200900306B (en)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538B1 (ko)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950000585B1 (ko) 화물용 자루 및 그의 형성방법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US9446897B2 (en) Bag for transporting and handling liquid or quasi liquid substances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CN207174502U (zh) 一种钻孔基布型木柴集装袋
AU2015299917A1 (en) Container bag
WO2024082528A1 (zh) 一种简约型集装箱专用集装袋
KR200491173Y1 (ko) 크레인용 자재 안전연결장치
AU2009100871A4 (en) Bulk bag
WO2024074010A1 (zh) 一种改进小包袋装货物专用集装袋
KR950011761B1 (ko) 다수의 리프팅 수단을 지니는 유연성 용기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RU179701U1 (ru) Строп самозатягивающийся
KR200388979Y1 (ko) 컨테이너 백
CN206842837U (zh) 饲料原料包的吊装吨包
AU2020339175B2 (en) Improved dedicated bulk bag for container use conveni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KR200414979Y1 (ko) 로프 인양형 벌크 백의 보강구조
CN218259927U (zh) 一种便于调运集装袋
GB2488228A (en) Flexible container
WO2009027989A1 (en) Builder's bags
CN219567277U (zh) 一种新型捆扎吊装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