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37Y1 -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 Google Patents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37Y1
KR200495937Y1 KR2020210003933U KR20210003933U KR200495937Y1 KR 200495937 Y1 KR200495937 Y1 KR 200495937Y1 KR 2020210003933 U KR2020210003933 U KR 2020210003933U KR 20210003933 U KR20210003933 U KR 20210003933U KR 200495937 Y1 KR200495937 Y1 KR 200495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lding member
bag
stored material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자
이홍주
Original Assignee
김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자 filed Critical 김숙자
Priority to KR2020210003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16Large container flexible

Abstract

본 고안은 PP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곡물, 채소와 같은 작물 또는 흙, 돌, 폐기물과 같은 공사용 자재를 보관하는 톤백(100)에 있어서, 사각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보관물이 담기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투입구(121)가 형성되며 4등분으로 분할되는 평면부(120); 상기 몸체(110)와 평면부(12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담기는 보관물의 높이가 몸체(110)의 높이보다 높아 일부 돌출되는 경우 보관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평면개폐부(13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출구(141)가 형성되며 4등분으로 분할되는 저면부(140); 상기 몸체(110)와 저면부(14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담긴 보관물이 저면부(140)의 배출구(141)를 통과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서 개방하여 보관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저면개폐부(150); 보관물을 담아 중량물이 된 톤백(10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지게차의 지게발에 걸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60)의 일측면에 수직유지부재(200)가 더 형성되어 손잡이부(160)가 항상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지게차를 이용하여 톤백(100)을 옮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TONNE BAG WITH VERTICAL HOLDING HANDLE}
본 고안은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톤백의 손잡이가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톤백 운반 시 지게차의 지게발을 보조 작업자의 도움 없이 톤백의 손잡이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사람의 작업자가 톤백의 운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톤백은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곡물, 채소 등의 작물을 보관 및 운반하거나, 공사현장에서 흙, 돌 등의 자재를 보관 및 운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규격에 따라 500 ~ 1000kg까지의 중량을 담을 수 있다.
이때, 물건이 적재된 톤백은 중량물이 되어 일반인의 근력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지게차와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지게발을 톤백 손잡이에 걸어 들어올린다.
그러나, 톤백 손잡이의 윗부분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처지므로 지게차 운전자가 지게발을 톤백 손잡이 가까이 이동시키면 보조 작업자가 톤백 손잡이를 지게발에 걸어주는 작업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보조 작업자가 톤백 손잡이를 지게발에 거는 작업 중 지게차 운전자의 실수 또는 조작미숙 등으로 인하여 상해를 입힐 수 있으며, 다수의 톤백 운반 시 톤백 손잡이를 거는 단순한 작업을 위하여 톤백 하나 당 지게차 운전자와 보조 작업자를 포함하여 최소 2인 이상의 인력이 필요하므로 비용 및 시간적인 부분에서 작업의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톤백은 PP재질로 제작하기 때문에 금속 또는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 등을 톤백에 덧붙이는 경우 톤백 폐기 과정에서 수거가 불가능 하거나 덧붙여진 다른 재질을 다시 분리 배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7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434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톤백 손잡이가 항상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여 보조 작업자의 도움 없이 지게차 운전자가 단독으로 지게차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톤백 손잡이에 지게발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구성이 PP재질로 형성되어 폐기 시 별도의 분해과정 없이 분리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PP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곡물, 채소와 같은 작물 또는 흙, 돌, 폐기물과 같은 공사용 자재를 보관하는 톤백(100)에 있어서, 사각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보관물이 담기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투입구(121)가 형성되며 4등분으로 분할되는 평면부(120); 상기 몸체(110)와 평면부(12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담기는 보관물의 높이가 몸체(110)의 높이보다 높아 일부 돌출되는 경우 보관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평면개폐부(13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출구(141)가 형성되며 4등분으로 분할되는 저면부(140); 상기 몸체(110)와 저면부(14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담긴 보관물이 저면부(140)의 배출구(141)를 통과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서 개방하여 보관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저면개폐부(150); 보관물을 담아 중량물이 된 톤백(10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지게차의 지게발에 걸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60)의 일측면에 수직유지부재(200)가 더 형성되어 손잡이부(160)가 항상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지게차를 이용하여 톤백(100)을 옮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유지부재(200)는 톤백(100)과 같은 PP재질로 이루어진 외피(210) 내부에 PP재질의 섬유사(221)를 다수 엮어 형성된 섬유심(220)을 삽입하여 형성되고, 하나의 수직유지부재(200) 내부에 두 개 이상의 섬유심(220)이 삽입되도록 하여 손잡이부(160)가 변형되었을 때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수직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수직유지부재(200)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60)에 삽입주머니(163)가 더 형성되어 삽입주머니(163) 내부에 수직유지부재(200)를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은 손잡이가 항상 수직을 유지하여 지게차 운전자가 손잡이를 지게발에 끼워 톤백을 운반하는 작업을 단독으로 수행 가능하여 최소한의 인력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작업자가 톤백 손잡이를 지게발에 끼우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성이 사라져 작업 수행 중 지게차 운전자의 실수 또는 조작미숙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톤백을 구성하는 부분이 모두 PP재질로 형성되어 폐기 시 별도의 해체과정 없이 그대로 분리배출 가능하여 인력의 추가적인 낭비를 방지하고 친환경적인 톤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수직유지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을 지게차의 지게발을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수직유지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을 지게차의 지게발을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농촌에서 곡물, 채소 등의 수확한 작물 또는 공사현장에서 흙, 돌 등의 자재를 적재 및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톤백(100)에 관한 것으로 크게 몸체(110), 평면부(120), 평면개폐부(130), 저면부(140), 저면개폐부(150), 손잡이부(160), 수직유지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PP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여 농사 작물 또는 공사 자재 등을 보관하는 것으로, PP재질의 특성 상 방수 및 보온 성능이 뛰어나 저장된 보관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 몸체(110) 내부에 보관물을 빈틈없이 적재하여도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섬유 형태이므로 표면이 일부 변형 가능하여 불규칙적인 형상의 보관물을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이 햇빛과 눈, 비 등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같은 PP재질로 몸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평면상에서 'x'자 형상의 경계로 4등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면부(120)의 중심부에는 몸체(110) 내부에 보관물을 적재할 때 보관물 투입이 용이하도록 사각형 또는 원형의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투입구(121)가 형성된 평면부(120)의 단부에는 각각의 분할된 평면부(1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투입구조임끈(1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21) 및 투입구조임끈(122)을 통해 몸체(110) 내부에 적재되는 보관물이 투입구(121)의 면적보다 큰 경우 투입구조임끈(122)을 풀어 분할된 평면부(120)의 중앙 상단부와 연결된 투입구(121)를 열어서 확대시킴으로써 보관물을 적재할 수 있고, 보관물을 모두 적재한 뒤 투입구조임끈(122)을 다시 조여 적재된 보관물을 평면부(120)로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0)에 형성된 투입구(121) 및 투입구조임끈(122)을 이용하여 몸체(110) 내부에 보관물을 적재 및 보호할 때 분할된 각각의 평면부(120) 사이의 틈과 투입구조임끈(122)을 조여도 유지되는 투입구(121)의 기본 개방 공간을 통해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보관물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개폐부(130)가 몸체(110)와 평면부(120) 사이에 더 형성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적재된 보관물을 보호하고 보관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평면개폐부(130)는 몸체(110)와 평면부(120)의 사이에서 몸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앙 부분이 개방된 PP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지며, 중앙의 개방부(131)가 투입구(1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개방부(131)는 단부에 형성된 개방부조임끈(132)으로 묶어 평면개폐부(130)를 밀봉함으로써,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관물이 몸체(110)의 높이보다 일부 높게 적재되는 경우 평면개폐부(130)를 통해 보관물을 덮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개방부(131)가 과하게 돌출되어 개방부조임끈(132)을 묶는 작업이 불편하지 않도록 개방부(131)를 평면부(120)로부터 30 ~ 100cm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이 바닥에 있는 물, 흙 등의 이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같은 PP재질로 몸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저면상에서 'x'자 형상의 경계로 4등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면부(140)의 중심부에는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을 다시 꺼낼 때 보관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사각형 또는 원형의 배출구(141)가 형성되고, 배출구(141)가 형성된 저면부(140)의 단부에는 각각의 분할된 저면부(140)를 동시에 관통하는 배출구조임끈(142)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41) 및 배출구조임끈(142)을 통해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이 배출구(141)의 면적보다 큰 경우 배출구조임끈(142)을 풀어 분할된 저면부(140)의 중앙 하단부와 연결된 배출구(141)를 열어서 확대시킴으로써 보관물을 꺼낼 수 있고, 보관물을 모두 꺼낸 뒤 배출구조임끈(142)을 다시 조여 몸체(100)의 바닥면을 저면부(140)로 덮어 톤백(100) 내부로 바닥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면부(140)에 형성된 배출구(141) 및 배출구조임끈(142)을 이용하여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을 외부 바닥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때 분할된 각각의 저면부(140) 사이의 틈과 배출구조임끈(142)을 조여도 유지되는 배출구(141)의 기본 개방 공간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과 접촉하여 보관물이 오염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면개폐부(150)가 몸체(110)와 저면부(140) 사이에 더 형성되어 외부 바닥에 있는 이물질로부터 적재된 보관물을 보호하고 보관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저면개폐부(150)는 몸체(110)와 저면부(140)의 사이에서 몸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앙 부분이 개방된 PP재질의 섬유로 이루어지며, 중앙의 개방부(151)가 배출구(14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개방부(151)는 단부에 형성된 개방부조임끈(152)으로 묶어 저면개폐부(150)를 밀봉함으로써, 몸체(110) 하부를 완전히 밀폐하여 적재된 보관물이 외부 이물질과 접촉하여 오염되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톤백(100)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경우 보관물의 무게로 인해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저면개폐부(150)가 일부 처질 수 있도록 하여 저면개폐부(15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개방부(151)가 과하게 돌출되어 개방부조임끈(152)을 묶는 작업이 불편하지 않도록 개방부(151)를 저면부(140)로부터 30 ~ 100cm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160)는 보관물이 적재된 톤백(10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몸체(110)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평면상에서 4개의 손잡이부(160)가 상하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160)는 몸체(110)와 결합되는 지지부(161)와 지지부(161)에서 연장되어 손이나 지게차의 지게발에 걸 수 있도록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162)로 구성되어 손잡이부(160)를 이용하여 톤백(10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61)는 몸체(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몸체(110) 위로 일부 돌출되고, 돌출된 지지부(161)의 단부에서부터 아치 형상으로 고리부(162)가 연장 형성되며 고리부(162)의 타측면에서부터 다시 지지부(161)가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161)는 몸체(110)의 일측면에 좌우 대칭의 형태로 주위 4면에 모두 형성되며, 몸체(110)의 정면 좌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는 고리부(162)가 연장 형성되고 다시 고리부(162)에서 몸체(110)의 좌측면 우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로 연장되어 하나의 손잡이부(160)를 구성하고, 몸체(110)의 정면 우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는 고리부(162)가 연장 형성되고 다시 고리부(162)에서 몸체(110)의 우측면 좌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로 연장되어 하나의 손잡이부(160)를 구성하고, 몸체(110)의 배면 좌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는 고리부(162)가 연장 형성되고 다시 고리부(162)에서 몸체(110)의 우측면 우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로 연장되어 하나의 손잡이부(160)를 구성하고, 몸체(110)의 배면 우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는 고리부(162)가 연장 형성되고 다시 고리부(162)에서 몸체(110)의 좌측면 좌측에 형성된 지지부(161)로 연장되어 하나의 손잡이부(160)를 구성하여 각각의 손잡이부(160)의 중간에 몸체(110)의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부(160)는 정면 또는 측면 상에서 고리부(162)가 좌측 및 우측 끝에 노출되어 지게차의 지게발을 동시에 끼울 수 있으며 네 개의 손잡이부(160)에 지게발을 모두 끼운 후 들어올리면 안정적으로 톤백(100)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부(160)에 지게발을 끼워 톤백(100)을 들어올렸을 때 보관물이 적재된 톤백(1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손잡이부(160)의 두께를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 배 이상으로 형성하고, 몸체(110)와 같은 PP재질을 사용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관물이 적재된 톤백(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부(160)는 자체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아래로 꺾이거나 약한 충격에 모양이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지게차의 지게발을 끼울 때 보조 작업자가 옆에서 지게발이 고리부(16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손으로 직접 걸어주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도록 손잡이부(160)의 일측면에 수직유지부재(2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수직유지부재(200)는 손잡이부(160)의 지지부(161)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10) 및 손잡이부(160)와 같은 PP재질로 형성된 외피(210)의 내부에 마찬가지로 PP재질로 형성된 섬유심(220)이 삽입되어 섬유심(220)의 지지력으로 손잡이부(160)가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외피(210)는 섬유심(220)이 손상되지 않도록 섬유심(220)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외피(210)의 내부에 섬유심(2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211)는 섬유심(220)의 크기와 동일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수용된 섬유심(220)이 외피(210)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섬유심(220)의 지지력이 일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심(220)은 다수의 섬유사(221)를 엮어 심지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PP재질의 탄성과 섬유사(221)를 나선형으로 꼬아 만든 형상으로 인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힘을 가하여 일부 휘어지도록 하여도 가해진 힘이 제거되었을 때 빠르게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피(210) 내부에 2개 이상의 섬유심(220)을 삽입하여 다수의 섬유심(220)으로 인해 수직유지부재(200)의 손잡이부(160) 수직 유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각각의 섬유심(220) 사이의 거리는 5 ~ 10mm 범위로 형성하여 섬유심 사이 공간을 통해 수직유지부재(200)와 손잡이부(160)를 결합하도록 하고, 수직유지부재(200)의 중앙을 몸체(110)의 상단 끝 모서리와 맞추도록 하여 하부 절반은 손잡이부(160) 및 몸체(110)와 결합하고 상부 절반은 손잡이부(160)와 결합하도록 하여 손잡이부(160)가 수직을 유지하되 고리부(162)가 일부 유동 가능하도록 하여 지게차의 지게발에 쉽게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유지부재(200)를 손잡이부(160)에 결합할 때 견고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부(160)의 수직 유지가 용이하도록 PP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외피(210)와 지지부(161) 사이를 박음질 처리하여 결합할 수 있고, 필요 시 수직유지부재(200)를 탈착하여 톤백(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60)에 삽입주머니(163)를 더 형성하여 삽입주머니(163) 내부에 수직유지부재(200)를 삽입 또는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주머니(163)는 하단은 밀봉되고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단의 개방된 틈으로 수직유지부재(2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삽입주머니(163) 자체가 수직유지부재(200)의 외피(210)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삽입주머니(163) 내부에 다수의 섬유심(220)을 그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부(160)의 수직 유지가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톤백(100)을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 손잡이부(160)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아래로 향하게 위치하면 삽입주머니(163)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수직유지부재(200)가 이탈될 수 있으므로 삽입주머니(163)의 상단에 지퍼 또는 단추를 형성하여 상단의 틈을 막아 손잡이부(160)의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유지부재(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모서리마다 수직유지부재(300) 및 수평유지부재(400)를 다수 결합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의 몸체(110)가 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물을 적재할 때 보조작업자가 몸체(110)의 모양을 잡아줄 필요 없이 한 명의 작업자가 단독으로 작업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는 수직유지부재(300) 및 수평유지부재(400)는 손잡이부(160)에 결합되는 수직유지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수직 또는 수평 유지가 용이하도록 PP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수직유지부재(300) 또는 수평유지부재(400)와 몸체(110)를 박음질 처리하여 결합할 수 있고, 필요 시 수직유지부재(300) 또는 수평유지부재(400)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모서리에 삽입주머니(111)를 더 형성하여 삽입주머니(111) 내부에 수직유지부재(300) 또는 수평유지부재(400)를 삽입 또는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주머니(111)는 하단은 밀봉되고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단의 개방된 틈으로 수직유지부재(3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좌우측 단부 중 일측은 밀봉되고 타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틈으로 수평유지부재(4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삽입주머니(111) 자체가 수직유지부재(300) 또는 수평유지부재(400)의 외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삽입주머니(111) 내부에 다수의 섬유심(220)을 그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몸체(110) 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유지가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톤백(100)을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 몸체(110)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아래로 향하게 위치하면 삽입주머니(111)의 개방된 틈을 통해 수직유지부재(300) 또는 수평유지부재(400)가 이탈될 수 있으므로 삽입주머니(111)의 개방된 단부에 지퍼 또는 단추를 형성하여 틈을 막아 몸체(110)의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유지부재(300) 또는 수평유지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톤백 110: 몸체 111: 삽입주머니
120: 평면부 121: 투입구
122: 투입구조임끈
130: 평면개폐부 131: 개방부
132: 개방부조임끈
140: 저면부 141: 배출구
142: 배출구조임끈
150: 저면개폐부 151: 개방부
152: 개방부조임끈
160: 손잡이부 161: 지지부
162: 고리부 163: 삽입주머니
200: 수직유지부재 210: 외피 211: 수납부
220: 섬유심 221: 섬유사
300: 수직유지부재
400: 수평유지부재

Claims (2)

  1. PP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곡물, 채소와 같은 작물 또는 흙, 돌, 폐기물과 같은 공사용 자재를 보관하는 톤백(100)에 있어서,
    사각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보관물이 담기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투입구(121)가 형성되며 4등분으로 분할되는 평면부(120);
    상기 몸체(110)와 평면부(12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담기는 보관물의 높이가 몸체(110)의 높이보다 높아 일부 돌출되는 경우 보관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평면개폐부(130);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출구(141)가 형성되며 4등분으로 분할되는 저면부(140);
    상기 몸체(110)와 저면부(14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몸체(110) 내부에 담긴 보관물이 저면부(140)의 배출구(141)를 통과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서 개방하여 보관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저면개폐부(150);
    보관물을 담아 중량물이 된 톤백(10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지게차의 지게발에 걸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60)의 일측면에 수직유지부재(200)가 더 형성되어 손잡이부(160)가 항상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지게차를 이용하여 톤백(100)을 옮길 수 있으며,
    상기 수직유지부재(200)는 톤백(100)과 같은 PP재질로 이루어진 외피(210) 내부에 PP재질의 섬유사(221)를 다수 엮어 형성된 섬유심(220)을 삽입하여 형성되고, 하나의 수직유지부재(200) 내부에 두 개 이상의 섬유심(220)이 삽입되도록 하여 손잡이부(160)가 변형되었을 때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수직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수직유지부재(200)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60)에 삽입주머니(163)가 더 형성되어 삽입주머니(163) 내부에 수직유지부재(200)를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평면부(120)의 중심부에는 몸체(110) 내부에 보관물을 적재할 때 보관물 투입이 용이하도록 사각형 또는 원형의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투입구(121)가 형성된 평면부(120)의 단부에는 각각의 분할된 평면부(1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투입구조임끈(122)이 더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21) 및 투입구조임끈(122)을 통해 몸체(110) 내부에 적재되는 보관물이 투입구(121)의 면적보다 큰 경우 투입구조임끈(122)을 풀어 분할된 평면부(120)의 중앙 상단부와 연결된 투입구(121)를 열어서 확대시킴으로써 보관물을 적재할 수 있고, 보관물을 모두 적재한 뒤 투입구조임끈(122)을 다시 조여 적재된 보관물을 평면부(120)로 덮어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저면부(140)의 중심부에는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을 다시 꺼낼 때 보관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사각형 또는 원형의 배출구(141)가 형성되고, 배출구(141)가 형성된 저면부(140)의 단부에는 각각의 분할된 저면부(140)를 동시에 관통하는 배출구조임끈(14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41) 및 배출구조임끈(142)을 통해 몸체(110) 내부에 적재된 보관물이 배출구(141)의 면적보다 큰 경우 배출구조임끈(142)을 풀어 분할된 저면부(140)의 중앙 하단부와 연결된 배출구(141)를 열어서 확대시킴으로써 보관물을 꺼낼 수 있고, 보관물을 모두 꺼낸 뒤 배출구조임끈(142)을 다시 조여 몸체(100)의 바닥면을 저면부(140)로 덮어 톤백(100) 내부로 바닥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40)의 바닥면을 상기 몸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대각선 'x'자 형상으로 절개하고,
    보관물이 상기 몸체(110)의 높이보다 높게 적재되는 경우 평면개폐부(130)를 통해 보관물을 덮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개방부(131)가 과하게 돌출되어 개방부조임끈(132)을 묶는 작업이 불편하지 않도록 개방부(131)를 평면부(120)로부터 30 ~ 100cm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수직유지부재(200)는 상기 외피(210) 내부에 2개 이상의 섬유심(220)을 삽입하여 다수의 섬유심(220)으로 인해 수직유지부재(200)의 손잡이부(160)의 수직 유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각각의 섬유심(220) 사이의 거리는 5 ~ 10mm 범위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유지부재(200)의 중앙을 몸체(110)의 상단 끝 모서리와 맞추도록 하여 하부 절반은 손잡이부(160) 및 몸체(110)와 결합하고 상부 절반은 손잡이부(160)와 결합하도록 하여 손잡이부(160)가 수직을 유지하되 고리부(162)가 일부 유동 가능하도록 하여 지게차의 지게발에 쉽게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2. 삭제
KR2020210003933U 2021-12-24 2021-12-24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KR200495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33U KR200495937Y1 (ko) 2021-12-24 2021-12-24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33U KR200495937Y1 (ko) 2021-12-24 2021-12-24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37Y1 true KR200495937Y1 (ko) 2022-09-23

Family

ID=8344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33U KR200495937Y1 (ko) 2021-12-24 2021-12-24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612B1 (ko) * 2023-06-23 2023-12-14 김대수 내구성이 향상된 양파 마늘 톤백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892U (ja) * 1992-02-18 1993-08-31 山九株式会社 吊り紐付きコンテナ
JPH0731687U (ja) * 1993-04-05 1995-06-13 東洋パック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0847538B1 (ko) * 2007-05-10 2008-07-21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20100023410A (ko) * 2008-08-22 2010-03-04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절취된 상판을 갖는 컨테이너백
KR20160000781U (ko) 2014-08-28 2016-03-09 김형석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KR200479821Y1 (ko) * 2015-02-11 2016-03-10 양성희 액체 운반용 백
KR101609339B1 (ko) * 2015-12-24 2016-04-05 박은숙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KR20170005995A (ko) * 2015-07-07 2017-01-17 도창옥 인양이 용이한 벌크 백
JP6298333B2 (ja) * 2014-03-24 2018-03-20 株式会社三洋 自立型フレコン
KR101994349B1 (ko) 2017-12-19 2019-06-28 손상민 개폐 가능한 톤백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892U (ja) * 1992-02-18 1993-08-31 山九株式会社 吊り紐付きコンテナ
JPH0731687U (ja) * 1993-04-05 1995-06-13 東洋パック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0847538B1 (ko) * 2007-05-10 2008-07-21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20100023410A (ko) * 2008-08-22 2010-03-04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절취된 상판을 갖는 컨테이너백
JP6298333B2 (ja) * 2014-03-24 2018-03-20 株式会社三洋 自立型フレコン
KR20160000781U (ko) 2014-08-28 2016-03-09 김형석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KR200479821Y1 (ko) * 2015-02-11 2016-03-10 양성희 액체 운반용 백
KR20170005995A (ko) * 2015-07-07 2017-01-17 도창옥 인양이 용이한 벌크 백
KR101609339B1 (ko) * 2015-12-24 2016-04-05 박은숙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KR101994349B1 (ko) 2017-12-19 2019-06-28 손상민 개폐 가능한 톤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612B1 (ko) * 2023-06-23 2023-12-14 김대수 내구성이 향상된 양파 마늘 톤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772B2 (en) Carryable plastic mattress bag
US8202000B2 (en) Large capacity waste disposal bag
US8365912B2 (en) 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KR101256955B1 (ko)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
KR200495937Y1 (ko)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US9120620B2 (en) Flexible bulk container and detachable support structure therefor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US20230150728A1 (en) Firewood transport & storage assembly
JP2015182787A (ja) 自立型フレコン
KR200441487Y1 (ko) 벌크 백
US20120160626A1 (en) Suitcase with hard base and soft cover
EP1193192A1 (en) Flexible container
KR200346357Y1 (ko)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JP3100141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75750Y1 (ko) 해먹
KR200246203Y1 (ko) 컨테이너 백
JP2004345710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3211109U (ja) カバー
KR200495734Y1 (ko) 컨테이너 백의 외피
JP3010718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用キャップ
JPH0431284A (ja) 穀物運搬袋
JPH04242551A (ja) 穀粒収納袋
KR0135993Y1 (ko) 운반백
JPH04114868A (ja) 穀粒収納袋
JPH11105887A (ja) 自立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