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93Y1 - 운반백 - Google Patents
운반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5993Y1 KR0135993Y1 KR2019950028282U KR19950028282U KR0135993Y1 KR 0135993 Y1 KR0135993 Y1 KR 0135993Y1 KR 2019950028282 U KR2019950028282 U KR 2019950028282U KR 19950028282 U KR19950028282 U KR 19950028282U KR 0135993 Y1 KR0135993 Y1 KR 01359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sling
- carrying
- shaped
- hook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65D88/1687—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forks of a fork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위 포장되는 포대를 적재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개량된 운반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게차 등을 이용한 운반 및 적재가 간편하고 효율적인 운반백에 관한 것으로서, 폐곡선의 슬링과 함체형 포대로 이루어지며, 슬링이 함체형 포대의 하부에서 우물정자를 형성하여 포대를 받쳐주며, 슬링의 고리형 걸이부에 함체형 포대의 모서리부가 부분 삽입되면서 접착수단에 의해 슬링이 포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대 상부 테두리를 조이는 조임줄 고정 수단이 착설되고, 포대 측벽은 지퍼에 의해 결합되며, 슬링의 고리형 걸이부를 서로 묶을 수 있는 묶음수단이 부설된다.
이러한 운반백에 대량의 분말, 곡물 또는 화학 제품을 적재하여 지게차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하고자 할 때 특히 편리할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백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백의 일 사용예의 사시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백의 또 다른 사용예의 사시도.
제3도는 지퍼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함체형 포대를 가진 운반백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의 설치 상태도로서 보자기형 운반백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형 포대 20 : 슬링
30,30',30 : 걸이부 40 : 조임줄
50 : 공동부 60 : 고정수단
65 : 통공플레이트 70 : 미끄럼 방지수단
80 : 묶음수단 90 : 지퍼
95 : 접착수단
본 고안은 단위 포장되는 포대를 적재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개량 된 운반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게차 등을 이용한 운반 및 적재가 간편하고 효율적인 운반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류, 밀가루, 시멘트, 화학제품, 그리고 비료 등을 운반하기 위해서 통상의 포대를 이용하고 있으나, 상술한 제품 등이 적재된 포대로부터 제품의 누출 없이 포대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포대를 포장하거나 별도의 수단에 의해 포대를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그 만큼 운반작업 시간을 연장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적재기(예를 들면, 트랙터 로더)틀 사용하고 있으나 다량의 제품을 한꺼번에 운반하기 위해서는 용이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일반적인 함체형 포대(10) 상에 슬링(Sling)(20)을 부착하여, 지게차 등에 이 슬링(20)을 걸어 상기 포대(1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운반 백은 착탈 가능하게 하는 접착수단(95)에 의해 함체형 포대(10) 상에 슬링(2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림(20)은 함체형 포대(10)의 하부 저면에서 우물 정(井)자 형으로 부착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상술한 슬링(20)은 함체형 포대(10) 상에 다수의 고리형 걸이부(30)를 형성한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며 부착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또한, 이 다수의 고리형 걸이부(30)는 서로 묶어서 하나 이상의 걸이부(30',3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폐곡선의 슬링(20)을 펼쳐서 중앙부가 우물 정자형이 되도록(재봉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각 모서리가 고리형 걸이부(30)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함체형 포대(10)의 저면에 우물 정자형의 슬링(20)을 고정시킨 다음에 함체형 포대(10)의 각 모서리 부를 슬링(20)의 고리형 걸이부(30)에 각각 부분 삽입시켜 고리형 걸이부(30)를 함체형 포대(10)의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체형 포대(10)의 전체 모서리 부가 각각 슬링(20)의 걸이부(30)에 부분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 렇게 하기 위해서, 함체형 포대(10)의 외측부와 슬링(20)의 내측부의 적절한 지점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접착수단(95)을 부착하여 슬링(20)을 포대(10)에 고정 부착시키면, 슬링(20)으로부터 함체형 포대(1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아울러, 슬링(20)이 약간의 경질(硬質)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슬링(20)이 부착된 함체형 포대(10)는 적절한 사각 입방체로 유지 될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함제형 포대(10)에 운반하고자 하는 제품을 적재한 다음에, 지게차 등의 운반수단에 착설되어 있는 포크를 상기 고리형 걸이부(30)에 삽입시켜 함체형 포대(10)를 운반하는 것으로 운송작업이 완료된다.
부가해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함체형 포대(10) 상부 모서리의 테두리 상에 공동부(50)를 형성하여 공동부(50)내부에 조임줄(40)을 삽입한다. 이때, 조임줄(40)을 공동부(50)에 삽입하여 포대(10) 삼부 테두리에 권선하고, 권선 된 조임줄(40)의 일단과 타단이 함체형 포대 (10)의 동일 측면상의 거의 같은 지점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왜냐하면, 조임줄(40)의 양단 부근에 조임줄 고정수단(60)을 착설하여, 조임줄(40)의 양단을 상술한 고정수단(60) 내부로 통과시키고 적절하게 조임줄(40)을 당겨 포대(10) 상부를 조인 후에 조임줄 미끄럼 방지수단(70)을 고정수단(60)내부에 삽입(제1도상의 부분 확대도 참조)하여 서로 밀착시키면 조임줄(40)이 고정지지 될 것 이다. 이러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임줄 고정수단(60)은 테이퍼형 통공플레이트(65)로 형성되며, 조임줄 미끄럼 방지수단(70)은 이 플레이트(65) 보다 큰 경사각으로 테이퍼 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조임줄(40)은 고정수단(60) 내에서 내벽 쪽으로 분리되어 미끄럼 방지 수단(70)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포대(10)내의 제품의 적재로 인해서 조여진 조임줄(40)이 느슨하게되는 것이 방지 될 것이다. 이러한 조임줄 고정수단(60)은 함체형 포대(10)의 양측부에 각각 착설될 수도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체형 포대(10)의 양측부를 지퍼(90)에 의해 수직으로 결합시켜 포대(10)에 제품을 적재하거나 하적할 때 포대(10)를 개방하여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퍼(9)는 함체형 포대(10)의 각 측부에 착설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작용에 따르면, 제2a도 및 2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다수의 걸이부(30)를 함체형 포대(10) 상부 방향에서 서로 묶어서 하나 이상의 걸이부(30',30)로 만들어 간편하게 포대를 운반할 수도 있다. 이렇게 걸이부(30)를 서로 묶기 위해서 걸이부(30) 상에 일정 길이의 다수의 묶음수단(80)을 부착하고, 착탈 가능하게 하는 접착수단(85)을 묶음수단(80) 또는 그것의 단부 및 슬링(20)의 걸이부(30)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제2a도는 두개의 고리형 걸이부(30')로 이루어진 운반 백을 나타내며, 제2b도는 한 개의 고리형 걸이부(30)로 이루어 진 운반 백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함체형 포대(10)를 보자기로 대체하여 보자기형 운반 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 본 고안의 운반 백은 다량의 곡물류, 밀가루, 시멘트, 화학제품, 그리고 비료 등을 운반하는데 용이할 것이며, 지게차와 같은 운반수단의 포크 개수에 적절하게 맞추어서 본 고안의 걸이부(30,30',30) 개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반수단에 본 고안의 운반 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슬링(20)이 함체형 포대(10) 저면에서 우물 정자로 형성되어 포대(10)의 하부 외측에 부착 고정되기 때문에, 슬링(20)은 제품이 적재된 포대(10)를 충분히 받쳐주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효과로서, 본 고안의 슬링(20)은 폐곡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함체형 포대(10)에 부착된 후에 별도로 묶어서 연결할 필요가 없어서 포장작업을 간편하게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일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게 될 수 있지만, 고안의 사상에 있어서, 그 수정 또는 변경 역시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 폐곡선의 슬링(20)과 함체형 포대(10)로 이루어지는 운반 백에 있어서, 상기 슬링(20)은 상기 함체형 포대(10) 하부 저면에 우물 정(井)자형으로 부착되며, 착탈 가능하게 하는 접착수단(95)에 의해 상기 함체형 포대(10)의 각 모서리 부가 슬링(20)의 고리형 걸이부(30)에 각각 부분 삽입되어 고정 부착되며, 상기 함체형 포대(10) 측부에는 포대(10) 상부 테두리를 조이는 조임줄(4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이 착설되며, 상기 고리형 걸이부(30)에 일정 길이의 묶음수단(80)을 부착해서 상기 고리형 걸이부(30)를 적정 개수의 걸이부(30',30)가 되도록 서로 묶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8282U KR0135993Y1 (ko) | 1995-10-10 | 1995-10-10 | 운반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8282U KR0135993Y1 (ko) | 1995-10-10 | 1995-10-10 | 운반백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7839U KR970017839U (ko) | 1997-05-23 |
KR0135993Y1 true KR0135993Y1 (ko) | 1999-03-30 |
Family
ID=1942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28282U KR0135993Y1 (ko) | 1995-10-10 | 1995-10-10 | 운반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5993Y1 (ko) |
-
1995
- 1995-10-10 KR KR2019950028282U patent/KR013599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7839U (ko) | 1997-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88806B1 (ko) | 벌크 화물 운반용 포대 | |
US4499599A (en) |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 |
US5860525A (en) | Bag for transporting substantially rigid elongate loads | |
CA2085792C (en) | Reusable pallet wrapper | |
US4917507A (en) | Bag | |
KR101625405B1 (ko) |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 |
EP2785616B1 (en) |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 |
US4811419A (en) | Receptacle having improved hopper | |
JPH11334786A (ja) | クレーン・フォークリフト等の揚重機器用運搬袋及びその使用方法 | |
KR101964076B1 (ko) | 컨테이너 백 | |
KR0135993Y1 (ko) | 운반백 | |
IE55554B1 (en) | Flexible container to be filled with bulk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
JPH0144430Y2 (ko) | ||
JPH0350071Y2 (ko) | ||
JP2004345710A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3100141U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
KR200246204Y1 (ko) | 컨테이너 백 | |
JPH0128042Y2 (ko) | ||
JP3633875B2 (ja) | 均等積付、段積み荷物の積替え装置 | |
JP3231028B2 (ja) | 荷崩れ防止網 | |
JPS6231432Y2 (ko) | ||
JPS5837787Y2 (ja) | 輸送用器具 | |
US5823684A (en) | Protective belt for a drum formed by a transport bag for powdery materials | |
JPH05193691A (ja) | 底部開閉可能運搬容器 | |
KR200202295Y1 (ko) |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