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204Y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204Y1
KR200246204Y1 KR2020010019540U KR20010019540U KR200246204Y1 KR 200246204 Y1 KR200246204 Y1 KR 200246204Y1 KR 2020010019540 U KR2020010019540 U KR 2020010019540U KR 20010019540 U KR20010019540 U KR 20010019540U KR 200246204 Y1 KR200246204 Y1 KR 200246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ag
container body
protrusi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묵
Original Assignee
박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묵 filed Critical 박영묵
Priority to KR2020010019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204Y1/ko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 백의 저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받침대를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 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팔레트(Pallet)를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운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의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하게 형성된 주입구 및 배출구와,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운반손잡이 등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 중앙부위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양 측면으로 단차진 받침부가 형성되며, 이 받침부에 돌출부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팔레트를 기능을 갖는 받침대가 삽입 부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
본 고안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백의 저면 중앙부위를 돌출 형성시키고 그 양 측면에 포크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받침대를 부착할 수 있게 컨테이너 백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팔레트(Pallet)를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은 다량의 운반물을 넣어 장시간 선박 혹은 차량 수송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쌀, 보리, 조와 같은 곡물이나 해조류와 같은 운반물을 다량 넣어 운반할 때에는 통기성이 좋아야 만이 운반물이 상하지 않게 되고, 석유 화학제품 등의 적하물을 운반 및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저장용기로서 가요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컨테이너 백은 섬유재,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직조하여 운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포대본체를 만들고, 그 상, 하단부를 포대본체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진 덮개부와 받침부로 봉합하며, 이 덮개부와 받침부의 중간부위에는 운반물의 투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투입구와 배출구를 부착하고 포대본체에는 운반물을 선박이나 차량에 이동하기 쉽도록 운반걸이를 부착하여 만들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컨테이너 백에 운반물을 넣고자 할 때에는 컨테이너 백을 이동하여 운반물을 가공 또는 운반하여 최종 배출하는 호퍼(Hopper)의 바로 밑에 위치시키고 컨테이너 백의 투입구에 있는 끈을 풀어 제친 다음 호퍼로부터 배출하는 운반물을 투입구에서 받아 넣고 일정량만큼 투입 완료되면 끈으로 투입구를 묶은 다음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작업을 하여 배출구에 묶여있는 끈을 풀어 운반물을 하역하게 되어 있었다.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백의 구조에 의해 이를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크레인 등에 구비된 바(bar) 또는 후크를 상기 운반손잡이에 결합하여 견인하거나, 혹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백(100)을 팔레트(2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포크리프트(지게차)를 사용하여 상기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상기 팔레트(200) 내의 삽입구에 삽입한 후 소정의 높이로 들어 올려 수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백(100)을 이용한 적하물 운반 시에는 적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 백(100)을 크레인 등으로 견인하여 팔레트(200) 상에 올려놓은 후, 이 상태서 다시 포크리프트로 들어 올려 수송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컨테이너 백(100)을 적재 이송하기 위해 목재 팔레트를 사용할 경우, 컨테이너 백(100)의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부서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고, 수출 시 목재 팔레트는 방역을 하여야 하는 단점 및 경우에 따라서는 수입을 금지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목재 팔레트 대신에 플라스틱 팔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팔레트 가격이 비싸 가격 경쟁력에 있어서 다소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팔레트는 최종적으로 자기 역할이 끝나게 되면, 재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폐기처분되게 되는 데, 사용되는 팔레트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폐기물량이 만만치 않아 폐기 처분하는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테이너 백의 저면 중앙부위를 돌출 형성시키고 그 양 측면에 포크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받침대를 부착할 수 있게 컨테이너 백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팔레트(Pallet)를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컨테이너 백을 팔레트에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시킨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테이너 본체 11 ; 운반손잡이
12 ; 주입구 13 ; 배출구
14 ; 조임끈 15 ; 돌출부
16 ; 받침부 17 ; 고정벨트
20 ; 받침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운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의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하게 형성된 주입구 및 배출구와,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운반손잡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 중앙부위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양 측면으로 단차진 받침부가 형성되며, 이 받침부에 돌출부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포크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팔레트를 기능을 갖는 받침대가 삽입 부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는 폐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직사각형의 봉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시킨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운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컨테이너 본체(10)가 구비되고, 그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한 주입구(12)와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운반손잡이(11)가 형성된 통상의 구조를 갖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 중앙부위에 돌출부(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15)의 양 측면으로 단차진 받침부(16)가 형성되며, 이 받침부(16)에 돌출부(15)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포크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팔레트를 기능을 갖는 받침대(20)가 삽입 부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벨트(17)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통상 사각박스 또는 원통체 형태를 이루나,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주입구(12) 및 배출구(13)는 컨테이너 본체(10) 내에 운반물을 투입하고, 또한 내부에 수용된 운반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 백에 운반물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12) 또는 배출구(13)의 둘레에 꾀어져 있는 조임끈(14)을 당겨 묶은 후, 상기 주입구(12) 및 배출구(13)를 밀봉하여 포장한다.
상기 돌출부(15)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의 저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돌출부(15)의 용적만큼 컨테이너 백의 용적을 보다 크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받침부(16)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 중앙부위로부터 소정 높이로 단차진 형상을 유지하며, 이 받침부(16)에 상기 받침대(20)를 삽입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컨테이너 백을 상하로 연속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5)의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부(16)에는 각각 다수개의 고정벨트(17)가 구비됨에 따라 이 고정벨트(17)를 통해 받침부(16) 내에 상기 받침대(20)를 삽입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벨트(17)는 일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을 벨크로우 테이프 형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가방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버클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는 등 상기 받침대(20)를 착탈 가능하도록 묶어 맬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상기 받침대(20)는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었을 때 지지 가능하도록 고형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탄성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폐 자원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 돌출부(15)와 받침대(20)의 바닥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본체(10) 저면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평면상태를 유지하여 지면에 내려놓았을 때 좌우 측면이 받침대(2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받침대(20)는 운반물이 들어 있는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 양 가장자리에서 부분적인 하중만을 받으면서 컨테이너 본체(10)를 지지하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적음은 물론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이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컨테이너 백은 별도의 팔레트가 없이도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상기 받침대(20) 내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컨테이너 백에 의하면, 컨테이너백의 저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받침대를 삽입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에 팔레트 기능을 합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 게 있게 되고, 운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 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팔레트를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컨테이너 백을 적재 및 운반 이송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팔레트 제작에 따른 생산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받침대를 제작 가능함에 따라 폐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운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컨테이너 본체와, 컨테이너 본체의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하게 형성된 주입구 및 배출구와,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운반손잡이 등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 중앙부위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양 측면으로 단차진 받침부가 형성되며, 이 받침부에 돌출부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팔레트를 기능을 갖는 받침대가 삽입 부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폐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직사각형의 봉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KR2020010019540U 2001-06-28 2001-06-28 컨테이너 백 KR20024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540U KR200246204Y1 (ko) 2001-06-28 2001-06-28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540U KR200246204Y1 (ko) 2001-06-28 2001-06-28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204Y1 true KR200246204Y1 (ko) 2001-10-17

Family

ID=7310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540U KR200246204Y1 (ko) 2001-06-28 2001-06-28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2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591B1 (ko) * 2011-03-16 2013-09-30 조성식 카톰백용 지게차의 발 삽입구
KR20170000240U (ko) 2015-07-09 2017-01-18 최광수 컨테이너 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591B1 (ko) * 2011-03-16 2013-09-30 조성식 카톰백용 지게차의 발 삽입구
KR20170000240U (ko) 2015-07-09 2017-01-18 최광수 컨테이너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6704C (en) Composite shipping container
US4821879A (en) Cradle type shipping container
JP2000335636A (ja) 大量のワイヤを出し入れできる厚紙からなる箱
US7475526B2 (en) Knock-down crate with walls stored in base and method employing such a crate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US20060070905A1 (en)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for spindled contents
EP0354953A1 (en) Containment device for items of irregular shape or configuration
JPS5899385A (ja) たわみ可能な容器
JP4361871B2 (ja) 載置用レッジ
WO2006137321A1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JP4564961B2 (ja) 格納および搬送用コンテナ
KR200246204Y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200246203Y1 (ko)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200346357Y1 (ko)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KR200202295Y1 (ko)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KR200255475Y1 (ko) 콘테이너 백
JP2005527439A (ja) 物品配送のための方法及びユニットロード
KR100899250B1 (ko) 폐비닐 재활용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팔레트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0233427Y1 (ko) 포크 삽입관을 구비한 백
KR200367502Y1 (ko) 밴딩홈이 구비된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