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295Y1 -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95Y1
KR200202295Y1 KR2020000018048U KR20000018048U KR200202295Y1 KR 200202295 Y1 KR200202295 Y1 KR 200202295Y1 KR 2020000018048 U KR2020000018048 U KR 2020000018048U KR 20000018048 U KR20000018048 U KR 20000018048U KR 200202295 Y1 KR200202295 Y1 KR 200202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cargo
container
container body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홍
Original Assignee
최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홍 filed Critical 최수홍
Priority to KR2020000018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93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적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컨테이너 본체가 구비되고, 그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한 주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운반손잡이가 형성된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에는 그 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요성 재질의 인서트 포켓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인서트 포켓 내에는 적하물을 수송하는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중공지지대가 밀착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컨테이너백의 저면에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일체형의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적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팰릿(Pallet)을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Container bag for cargo}
본 고안은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백의 저면에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일체형의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적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팰릿(Pallet)을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게 한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제품 등의 적하물을 운반 및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저장용기로서 가요성 재질의 컨테이너백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컨테이너백은 적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의 컨테이너 본체가 구비되고, 그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한 주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운반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백의 구조에 의해 이를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크레인 등에 구비된 바아 또는 후크를 상기 운반손잡이에 결합하여 견인하거나, 혹은 상기 컨테이너백을 팰릿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포크 리프트(지게차)를 사용하여 상기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상기 팰릿 내의 삽입구에 삽입한 후 소정의 높이로 들어 올려 수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이용한 적하물 운반시에는 적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백을 크레인 등으로 견인하여 팰릿 상에 올려 놓은 후, 이 상태에서 다시 포크 리프트로 들어 올려 수송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컨테이너백의 저면에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일체형의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적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팰릿을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은 적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컨테이너 본체가 구비되고, 그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한 주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운반손잡이가 형성된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에는 그 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요성 재질의 인서트 포켓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인서트 포켓 내에는 적하물을 수송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중공지지대가 밀착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포켓은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 양측 모서리를 따라 함몰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 및 인서트 포켓의 저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의 구조를 부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백을 적층시킨 상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컨테이너 본체 11 ; 운반손잡이
12, 13 ; 보강벨트 14 ; 표찰꽂이부
15 ; 주입구 16 ; 배출구
17 ; 조임끈 18 ; 슬라이더
19 ; 인서트 포켓 20 ; 중공지지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의 구조를 부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백을 적층시킨 상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은 적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컨테이너 본체(10)가 구비되고, 그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한 주입구(15)와 배출구(16)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운반손잡이(11)가 형성된 통상의 구조를 이루되, 상기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에는 그 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요성 재질의 인서트 포켓(19)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인서트 포켓(19) 내에는 적하물을 수송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중공지지대(20)가 밀착 삽입된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통상 사각박스 또는 원통체 형태를 이루나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10)의 외측면 둘레에는 종횡으로 보강벨트(12)(13)가 부착되어 있어 그 자체의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일측면 상에는 적하물의 소유자 및 제원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표찰꽂이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입구(15) 및 배출구(16)는 컨테이너 본체(10) 내에 적하물을 투입하고, 또한 내부에 수용된 적하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백에 적하물을 충전시킨 상태에서는 단관 형태의 슬라이더(18)를 손으로 잡고 상기 주입구(15) 또는 배출구(16)의 둘레에 꾀어져 있는 조임끈(17)을 당겨 묶은 후, 상기 주입구(15) 및 배출구(16)를 별도의 묶음 테잎(미도시) 등으로 밀봉하여 포장한다. 본 고안의 컨테이너백으로부터 내부에 수용된 적하물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묶음 테잎을 제거한 후 조임끈(17)을 풀어 개방하면 되고, 컨테이너백의 적층시 상기 주입구(15) 및 배출구(16)를 연통시켜 다량의 적하물을 신속하게 투입 또는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인서트 포켓(19)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중공지지대(20)를 분리하였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변형되어 다수의 컨테이너백을 상하로 연속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본체(10), 운반손잡이(11) 및 인서트 포켓(19)의 재질은 가요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중공지지대(20)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었을 때 지지 가능하도록 고형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탄성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10) 저면의 양측 모서리를 전체 길이에 걸쳐 그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함몰된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한 쌍의 중공지지대(2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인서트 포켓(19)이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10) 및 인서트 포켓(19)의 저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중공지지대(20)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컨테이너 본체(10)의 저면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평면상태를 유지하여 지면에 내려 놓았을 때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컨테이너백은 별도의 팰릿이 없이도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상기 중공지지대(20) 내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의하면, 컨테이너백의 저면에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일체형의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적하물이 저장된 컨테이너백을 운반하고자 할 때 별도의 팰릿을 구비하지 않고도 포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적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가요성 재질의 컨테이너 본체가 구비되고, 그 상, 하면에 밀폐 가능한 주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운반손잡이가 형성된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에는 그 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요성 재질의 인서트 포켓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인서트 포켓 내에는 적하물을 수송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중공지지대가 밀착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포켓은 컨테이너 본체의 저면 양측 모서리를 따라 함몰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본체 및 인서트 포켓의 저면이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KR2020000018048U 2000-06-24 2000-06-24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KR200202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048U KR200202295Y1 (ko) 2000-06-24 2000-06-24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048U KR200202295Y1 (ko) 2000-06-24 2000-06-24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95Y1 true KR200202295Y1 (ko) 2000-11-15

Family

ID=1966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048U KR200202295Y1 (ko) 2000-06-24 2000-06-24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511A (ko) * 2000-11-10 2002-05-16 김재욱 다기능 콘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511A (ko) * 2000-11-10 2002-05-16 김재욱 다기능 콘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206Y1 (ko)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박스
MY136691A (en) Pallet for coiled carrying article, loading structure for loading coiled carrying article to pallet, containing structure for containing coiled carrying article loading pallet into container and transport method
US20050152801A1 (en) Combined storage apparatus
WO2006137321A1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202295Y1 (ko)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JP2010111401A (ja) 運搬用容器
US20040264814A1 (en) Stackable and forklift positionable bulk bags
KR200410107Y1 (ko) 포장용 캔
KR200246204Y1 (ko) 컨테이너 백
JP4585680B2 (ja) 移送用トレイ
US20050100248A1 (en) Easy-to-transport sack
JP3289083B2 (ja) 梱包器具
JP2928457B2 (ja) 蓋付容器
KR200233427Y1 (ko) 포크 삽입관을 구비한 백
CN219216114U (zh) 一种动力锂电池外壳专用气相防锈装置
JP4303356B2 (ja) 運搬用パレット
CN213385380U (zh) 一种具有固定结构的鲜切花包装运输盒
JP3058348U (ja) ガスボンベケース
KR100502448B1 (ko) 박스형 플렉시블 벌크 백
RU8338U1 (ru) Ящик-обрешетка
CN118124936A (zh) 一种高强度承重的隔热型环保包装箱
EP0449062A1 (en) Support structure for cardboard containers to be handled by fork lift trucks
JPH068053Y2 (ja) 物品輸送箱
KR20220019861A (ko) 컨테이너 백
KR0135993Y1 (ko) 운반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