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107Y1 - 포장용 캔 - Google Patents

포장용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07Y1
KR200410107Y1 KR2020050035663U KR20050035663U KR200410107Y1 KR 200410107 Y1 KR200410107 Y1 KR 200410107Y1 KR 2020050035663 U KR2020050035663 U KR 2020050035663U KR 20050035663 U KR20050035663 U KR 20050035663U KR 200410107 Y1 KR200410107 Y1 KR 200410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aging
container body
band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수
Original Assignee
우성제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제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제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5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고하므로 다단으로 적재하여도 찌그러져 손상될 우려가 없으며, 운반성도 좋은 새로운 구조의 포장용 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단이 개구된 포장용 용기본체(10)와, 둘레부에 하향절곡부(22)가 형성되어 이 하향절곡부(22)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용기본체(10)에 씌워지는 뚜껑(20)을 포함하는 포장용 캔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상면 중앙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함몰부(24)가 형성되어, 포장밴드를 상기 용기본체(10)와 뚜껑(20)에 둘러서 묶으면, 상기 함몰부(24)에 의해 상기 포장밴드(2)와 뚜껑(20) 사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캔이 제공된다.
장류, 포장, 캔, 뚜껑, 함몰부, 체결밴드, 운반

Description

포장용 캔{Ca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포장밴드 10. 용기본체
20. 뚜껑 24. 함몰부
26. 상향돌출부
본 고안은 포장용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하므로 다단으로 적재하여도 찌그러져 손상될 우려가 없으며, 운반성도 좋은 새로운 구조의 포장용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장류는 포장용 캔에 포장되어 유통된다. 이러한 포장용 캔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통체 형상의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단에 씌워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뚜껑은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단순히 용기본체에 씌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포장용 캔은 용기본체에 내용물을 담고 뚜껑을 닫은 후, 포장밴드를 용기본체와 뚜껑에 십자형태로 둘려서 묶는다. 이와 같이 하면, 뚜껑이 포장밴드에 의해 용기본체에 가압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포장용 캔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운반시에는 상기 포장밴드를 잡고 운반한다. 그런데 상기 뚜껑의 상면이 편편하므로 포장밴드로 포장용 캔을 묶으면, 뚜껑의 상면과 포장밴드가 밀착된다. 따라서 뚜껑과 포장밴드 사이에 손을 넣어서 포장밴드를 잡기가 곤란하다. 설령 뚜껑과 포장밴드 사이에 손을 넣어서 포장밴드를 잡는다 하더라도 운반시 포장밴드 때문에 손이 조여서 상당히 아프다.
한편, 이러한 포장용 캔들은 보관이나 운송시 다단으로 적재해 두는데, 다단 적재시 하측에 위치되는 캔에는 상측에 위치되는 캔의 하중이 실린다. 따라서 용기본체와 뚜껑이 모두 고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나, 종래의 캔은 적재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찌그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되며, 운반시 뚜껑과 포장밴드 사이에 쉽게 손을 넣어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포장용 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단이 개구된 포장용 용기본체(10)와, 둘레부에 하향절곡부(22)가 형성되어 이 하향절곡부(22)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용기본체(10)에 씌워지는 뚜껑(20)을 포함하는 포장용 캔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상면 중앙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함몰부(24)가 형성되어, 포장밴드를 상기 용기본체(10)와 뚜껑(20)에 둘러서 묶으면, 상기 함몰부(24)에 의해 상기 포장밴드(2)와 뚜껑(20) 사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캔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기본체(10)는 사각통체 형상이고, 상기 뚜껑(20)의 상면은 상기 용기본체(10)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의 함몰부(24) 외측에는 상기 포장밴드(2)와 교차되는 위치에 상향돌출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캔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개구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사각통체 형상의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상단에 씌워지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0)의 상단에는 보강테(18)가 구비되는데, 보강테(18)는 그 단부가 용기본체(10)의 상단과 함께 컬링되어 용기본체(10)와 결합된다. 이 보강테(18)에 의해 용기본체(10)의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뚜껑(20)은 용기본체(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 상면 둘레부에 하향절곡부(22)가 형성되어, 이 하향절곡부(22)가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용기본체(10)에 씌워진다. 이러한 뚜껑(20)의 상면 중앙부에는 하향으로 소정깊이 함몰된 함몰부(2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함몰부(24)가 뚜껑(20)에 형성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을 닫고 포장밴드(2)를 용기본체(10)와 뚜껑에 둘러서 묶으면, 상기 함몰부(24)에 의해 포장밴드(2)와 뚜껑(20) 사이에는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캔 운반시 포장밴드(2)를 잡고 캔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함몰부(24)의 외측에는 포장밴드(2)와 교차되도록 상향돌출부(26)가 형성된다. 이 상향돌출부(26)는 뚜껑(20) 상면의 전후좌우면을 따라 나란하도록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상향돌출부(26)가 형성되면 함몰부(24)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뚜껑(20)과 포장밴드(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포장밴드(2)를 손으로 잡기가 상대적으로 더 수월해진다.
물론, 상향돌출부(26)를 형성하지 않고 함몰부(24)를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함몰부(24)를 깊에 형성하면 함몰부(24) 저면이 내용물에 닿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뚜껑(20)의 저면이 내용물에 닿으면, 뚜껑(20)에 내용물이 묻어 뚜껑(20)을 열고 닫을 때 뚜껑(20)에 묻은 내용물이 주변에 떨어져 지저분해지며, 그 만큼 내용물도 낭비된다. 따라서 함몰부(24)와 함께 상향돌출부(26)를 함께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24)의 깊이와 상향돌출부(26)의 높이에 의해 뚜껑(20)과 포장밴드(2) 사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뚜껑(20)의 네 모퉁이 부위에는 보강홈(29)이 형성된다. 이 보강홈(29)에 의해 뚜껑(20)의 강도가 한층 더 상승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의 중앙에 하향으로 오목한 함몰부(24)가 형성되어, 이 함몰부(24)에 의해 캔을 묶은 포장밴드(2)와 뚜껑(20) 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새로운 포장용 캔이 제공된다. 이러한 포장용 캔은 포장밴 드(2)와 뚜껑(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포장밴드를 잡고 운반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함몰부(24) 외측에 상향돌출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뚜껑(20)과 포장밴드(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캔의 운반작업이 한층 더 수월하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함몰부(24)와, 상향돌출부(26)에 의해 뚜껑의 강도가 향상되므로 다단으로 적재시 캔, 특히 뚜껑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캔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Claims (2)

  1. 상단이 개구된 포장용 용기본체(10)와, 둘레부에 하향절곡부(22)가 형성되어 이 하향절곡부(22)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용기본체(10)에 씌워지는 뚜껑(20)을 포함하는 포장용 캔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상면 중앙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함몰부(24)가 형성되어, 포장밴드를 상기 용기본체(10)와 뚜껑(20)에 둘러서 묶으면, 상기 함몰부(24)에 의해 상기 포장밴드(2)와 뚜껑(20) 사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사각통체 형상이고, 상기 뚜껑(20)의 상면은 상기 용기본체(10)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의 함몰부(24) 외측에는 상기 포장밴드(2)와 교차되는 위치에 상향돌출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캔.
KR2020050035663U 2005-12-19 2005-12-19 포장용 캔 KR200410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63U KR200410107Y1 (ko) 2005-12-19 2005-12-19 포장용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63U KR200410107Y1 (ko) 2005-12-19 2005-12-19 포장용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07Y1 true KR200410107Y1 (ko) 2006-03-06

Family

ID=4176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63U KR200410107Y1 (ko) 2005-12-19 2005-12-19 포장용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69Y1 (ko) 2009-08-20 2010-04-14 주식회사 옥봉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대형 포장용기
KR200469559Y1 (ko) * 2013-01-25 2013-10-18 주식회사 대원금속캔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KR101364644B1 (ko) * 2011-11-25 2014-02-19 주식회사 승일 포장용 캔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 캔 시스템
KR20220019948A (ko) * 2020-08-11 2022-02-18 박용호 장 수납통 뚜껑 조립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69Y1 (ko) 2009-08-20 2010-04-14 주식회사 옥봉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대형 포장용기
KR101364644B1 (ko) * 2011-11-25 2014-02-19 주식회사 승일 포장용 캔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 캔 시스템
KR200469559Y1 (ko) * 2013-01-25 2013-10-18 주식회사 대원금속캔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KR20220019948A (ko) * 2020-08-11 2022-02-18 박용호 장 수납통 뚜껑 조립구조
KR102383267B1 (ko) 2020-08-11 2022-04-05 박용호 장 수납통 뚜껑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107Y1 (ko) 포장용 캔
US9440770B2 (en) Plastic pallet for flexible bulk containers
US20180208349A1 (en) Shipping Container
JP4564961B2 (ja) 格納および搬送用コンテナ
JP2010111401A (ja) 運搬用容器
JP4271316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包装装置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JP5514937B1 (ja) 梱包箱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KR200454669Y1 (ko) 재사용 가능한 팰릿커버
JP2001139046A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
JP4285662B2 (ja) 切り花搬送容器
ZA200409212B (en) A method of transporting unit loads.
KR101340429B1 (ko) 포장 박스용 덮개 조립체
KR200373563Y1 (ko) 화물포장용 절첩식 나무 상자 패키지
US20170043941A1 (en) Container, assembly, set, and kit of parts
KR200187668Y1 (ko) 포장용 깡통
TWM612930U (zh) 易於搬運之太空袋
JP2000318736A (ja) 運搬用パレット
JP3058348U (ja) ガスボンベケース
KR200233427Y1 (ko) 포크 삽입관을 구비한 백
KR200202295Y1 (ko) 적하물 운반용 컨테이너백
KR200194348Y1 (ko) 일체형 스틸 박스
JP4163587B2 (ja) ばら物収容等するためのコンテナ
JP3030005U (ja) 液体・粉体用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