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59Y1 -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 Google Patents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59Y1
KR200469559Y1 KR2020130000649U KR20130000649U KR200469559Y1 KR 200469559 Y1 KR200469559 Y1 KR 200469559Y1 KR 2020130000649 U KR2020130000649 U KR 2020130000649U KR 20130000649 U KR20130000649 U KR 20130000649U KR 200469559 Y1 KR200469559 Y1 KR 200469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band
edg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금속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금속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금속캔
Priority to KR2020130000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캔의 하단부가 하측에 위치한 캔의 커버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캔의 커버에 결속용 밴드가 지나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하 개방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측판,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하판, 그리고 상기 측판의 하단부와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가 상호 맞물리어 상기 하판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시밍부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을 폐쇄하게 되는 가림판, 그리고 상기 가림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지게 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림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상방 돌출되되 상기 가림판의 가장자리에 시밍부걸림턱을 이루며 돌출된 네 융기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가 지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융기부 사이에 각각 마련된 네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바디와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가 네 공간부에 의해 커버의 가장자리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바디의 시밍부가 하측에 위치한 커버의 융기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캔의 적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packing cans which is easy to stack}
본 고안은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캔의 하단부가 하측에 위치한 캔의 커버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캔의 커버에 결속용 밴드가 지나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캔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107호(2006년 03월 06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포장용 캔"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단이 개구된 포장용 용기본체와, 둘레부에 하향절곡부가 형성되어 이 하향절곡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씌워지는 뚜껑을 포함하는 포장용 캔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 중앙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함몰부가 형성되어, 포장밴드를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에 둘러서 묶으면, 상기 함몰부에 의해 상기 포장밴드와 뚜껑 사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며, 운반시 뚜껑과 포장밴드 사이에 쉽게 손을 넣어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뚜껑의 상면 중앙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캔의 운반시 포장밴드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용기본체의 하향절곡부와 뚜껑의 상단부가 상호 겹쳐질 수 있도록 뚜껑의 상면이 돌출됨에 따라, 뚜껑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포장밴드가 뚜껑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고, 이에 의해 캔의 적치시 용기본체의 하향절곡부와 뚜껑의 상단부가 상호 안정적으로 겹쳐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캔의 하단부가 하측에 위치한 캔의 커버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캔의 커버에 결속용 밴드가 지나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은,
상하 개방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측판,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하판, 그리고 상기 측판의 하단부와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가 상호 맞물리어 상기 하판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시밍부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을 폐쇄하게 되는 가림판, 그리고 상기 가림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지게 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림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상방 돌출되되 상기 가림판의 가장자리에 시밍부걸림턱을 이루며 돌출된 네 융기부; 그리고
상기 바디와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가 지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융기부 사이에 각각 마련된 네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은,
바디와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가 네 공간부에 의해 커버의 가장자리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바디의 시밍부가 하측에 위치한 커버의 융기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캔의 적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캔이 적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이하, '포장용 캔'이라고 함)은 크게 바디(100) 및 커버(2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바디(100)는
상하 개방된 내부 수용부(111)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측판(110),
측판(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용부(111)의 하측을 폐쇄하는 하판(120), 그리고
측판(110)의 하단부와 하판(120)의 가장자리가 상호 맞물리어 하판(120)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시밍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바디(100)는 측판(110) 및 하판(120)이 시밍(seaming) 작업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사각 통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바디(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판(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40)은 수용부(111)가 상방 개방될 수 있도록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판(120)과 마찬가지로 시밍 작업에 의해 측판(110)에 결합된다.
커버(200)는
바디(100)의 상단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수용부(111)의 상측을 폐쇄하게 되는 가림판(210), 그리고
가림판(210)의 가장자리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측판(110)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지게 되는 절곡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커버(200)는 바디(100)의 상단부에 씌워져 바디(100)의 수용부(111)를 폐쇄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210)의 중앙에는 가림판(210)을 지나는 결속용 밴드(10)의 파지(把持)를 위한 함몰부(260)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속용 밴드(10)는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용 캔을 보관 및 운반할 때에, 상호 결합된 바디(100) 및 커버(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바디(100)와 커버(200)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커버(200)를 십자형으로 가로지르도록 체결된다.
결국, 함몰부(260)는 가림판(210)의 중앙에 작업자의 손이 진입하게 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포장용 캔의 적치 및 운반시 결속용 밴드(10)를 더욱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커버(200)에는
가림판(2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상방 돌출된 네 융기부(240), 그리고
결속용 밴드(10)가 지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융기부(240) 사이에 각각 마련된 네 공간부(250)가 형성된다.
네 융기부(240)는 가림판(2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가림판(210)의 가장자리에 시밍부걸림턱(230)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시밍부걸림턱(230)은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바디(100)의 시밍부(130)가 걸리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용 캔이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게 한다.
네 공간부(250)는 상호 인접한 두 융기부(240) 사이에 비(非)돌출된 자리로서, 그 바닥면이 융기부(240) 및 안착홈(280)을 제외한 가림판(210)의 상면과 평탄하게 연이어진다.
이에 의해 네 공간부(250)를 지나는 결속용 밴드(10)는 가림판(210)의 상면에 밀착되되, 특히 가림판(210)의 상면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가림판(210)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결속용 밴드(10)가 들뜨거나, 결속용 밴드(10)가 바디(100)의 시밍부(130)와 커버(200)의 시밍부걸림턱(230)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포장용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부(250)에는 이를 지나는 결속용 밴드(10)가 끼워지게 되는 안착홈(28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80)은 각 공간부(250)의 바닥면에 결속용 밴드(10)가 지나는 길을 따라 하방 요입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가람판(210)을 지나는 결속용 밴드(10)는 가림판(210)에 매립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치한 바디(100)의 시밍부(130)가 하측에 위치한 커버(200)의 가림판(210) 가장자리에 더욱 면밀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장용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안착홈(280)은 밴드(10)의 폭과 상응한 너비를 갖고, 또 상기 안착홈(280)의 바닥은 상기 함몰부(260)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280)에 끼워진 밴드(10)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안착홈(280)으로부터 밴드(10)가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함몰부(260)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안착홈(280) 바닥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안착홈(28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함몰부(260)의 기능(밴드(10) 파지 시 공간 확보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공간부(250)는 상기 안착홈(280) 보다 큰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잦은 사용 등의 이유로 상기 밴드(10)가 느슨해질 경우, 상기 밴드(10)가 상기 안착홈(280)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상기 공간부(250) 바닥, 즉 상기 공간부(250)에서 상기 안착홈(280)이 비(非)형성된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용 캔은
각 융기부(240)의 표면에 하방 요입 형성된 걸림부(270), 그리고
바디(100)의 하판(120)에 각 걸림부(270)와 상응하도록 하방 돌출 형성된 대응걸림부(15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포장용 캔의 적치시 상측에 위한 바디(100)의 각 대응걸림부(150)는 하측에 위치한 가림판(210)의 각 걸림부(270)에 접하게 되며, 따라서 포장용 캔이 더욱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10 ; 측판
111 ; 수용부
120 ; 하판
130 ; 시밍부
140 ; 상판
150 ; 대응걸림부
200 ; 커버
210 ; 가림판
220 ; 절곡부
230 ; 시밍부걸림턱
240 ; 융기부
250 ; 공간부
260 ; 함몰부
270 ; 걸림부
280 ; 안착홈

Claims (4)

  1. 상하 개방된 내부 수용부(111)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측판(110), 상기 측판(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11)의 하측을 폐쇄하는 하판(120), 그리고 상기 측판(110)의 하단부와 상기 하판(120)의 가장자리가 상호 맞물리어 상기 하판(120)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시밍부(130)를 포함하는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111)의 상측을 폐쇄하게 되는 가림판(210), 상기 가림판(210)의 가장자리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측판(110)의 상단부 외측에 끼워지게 되는 절곡부(220), 상기 가림판(2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상방 돌출되되 상기 가림판(210)의 가장자리에 시밍부걸림턱(230)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 네 융기부(240), 상기 바디(100)와 커버(200)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10)가 지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융기부(240) 사이에 각각 마련된 네 공간부(250), 그리고 상기 가림판(210)을 지나는 결속용 밴드(10)의 파지 시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가림판(210) 중앙에 형성되는 함몰부(260)를 포함하는 커버(200);로 이루어진 포장용 캔에 있어서,

    상기 각 융기부(240)의 표면에는 하방 요입된 걸림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00)의 하판(120)에는 포장용 캔의 적치시 하측에 위치한 가림판(210)의 걸림부(270)에 접하게 되는 대응걸림부(150)가 하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공간부(250)에는 이를 지나는 결속용 밴드(10)가 끼워지게 되는 안착홈(280)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280)은 밴드(10)의 폭과 상응한 너비를 갖고,
    또 상기 안착홈(280)의 바닥은 상기 함몰부(260)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각 공간부(250)는 상기 안착홈(280) 보다 큰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0649U 2013-01-25 2013-01-25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KR200469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49U KR200469559Y1 (ko) 2013-01-25 2013-01-25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49U KR200469559Y1 (ko) 2013-01-25 2013-01-25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559Y1 true KR200469559Y1 (ko) 2013-10-18

Family

ID=5073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49U KR200469559Y1 (ko) 2013-01-25 2013-01-25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5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05B1 (ko) * 2001-08-29 2004-05-04 주식회사 윌칸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JP2005096811A (ja) * 2003-09-25 2005-04-14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
KR200410107Y1 (ko) * 2005-12-19 2006-03-06 우성제관주식회사 포장용 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05B1 (ko) * 2001-08-29 2004-05-04 주식회사 윌칸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JP2005096811A (ja) * 2003-09-25 2005-04-14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
KR200410107Y1 (ko) * 2005-12-19 2006-03-06 우성제관주식회사 포장용 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RU2443611C2 (ru) Тарный комплект со средством для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US8418329B2 (en) Urn with latch
USD941024S1 (en) Transport storage box and lid in combination
KR200469559Y1 (ko) 적치가 용이한 포장용 캔
JP5020413B1 (ja) 容器セット
TW201700367A (zh) 食物容器
DE202014100317U1 (de) Behälter zur Verpackung von Lebensmitteln
KR200453692Y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200410107Y1 (ko) 포장용 캔
JP5161915B2 (ja) かご型パレット
CN202717236U (zh) 容器盖子锁定机构及容器
JP7423029B2 (ja) 容器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20160123043A (ko) 포장박스
EP3266302A1 (en) Height adaptable multipurpose bowl for animals feeding
US2508445A (en) Box, crate, or similar receptacle
WO2019198066A1 (en) A container
US20060226302A1 (en) Structure of a securing mechanism for a garbage bag
JP2017088202A (ja) 蓋体付き容器体
KR101340429B1 (ko) 포장 박스용 덮개 조립체
JP6897969B2 (ja) カバー付きごみ箱
JP3152922U (ja) 収納容器
JP3030005U (ja) 液体・粉体用コンテナー
KR200458758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