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34Y1 - 컨테이너 백의 외피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의 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34Y1
KR200495734Y1 KR2020200002529U KR20200002529U KR200495734Y1 KR 200495734 Y1 KR200495734 Y1 KR 200495734Y1 KR 2020200002529 U KR2020200002529 U KR 2020200002529U KR 20200002529 U KR20200002529 U KR 20200002529U KR 200495734 Y1 KR200495734 Y1 KR 20049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ewn
edge
sides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03U (ko
Inventor
박현근
Original Assignee
박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근 filed Critical 박현근
Priority to KR2020200002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3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16Large container flexible
    • B65D2588/16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2588/167FIBC in multipl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외피의 재봉구조만으로 측면부가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직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과,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의 외피{OUTER SKIN OF CONTAINER BAG}
본 고안은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되어 컨테이너 백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진(Resin)과 같은 화학약품이나 시멘트 등과 같은 분상물 또는 곡물과 같은 입상물을 다량 넣어 육상 및 해상으로 수송할 때에 컨테이너 백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은, 합성수지재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 안에 배치되어 내용물이 담기는 부분인 내피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는 방습 및 방수를 위한 비닐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바닥부와, 둘레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부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에는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피의 상부에도 상기 외피의 투입부와 대응되게 투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피의 하부에도 상기 외피의 배출부와 대응되게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내피의 투입부는 외피의 투입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내피의 배출부도 외피의 배출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과 운반기기를 통해 컨테이너 백을 들어올려 운반하기 위한 복수개의 운반고리가 재봉된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운반고리 대신에 상기 측면부의 상측둘레에는 운반로프가 끼워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백을 사용하여 운반물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덮개부의 투입부를 열고 상기 외피의 투입부 내부에 있는 상기 내피의 투입부를 고정시킨 후 내용물을 투입하며, 내용물 투입이 완료되면 내피의 투입부와 외피의 투입부를 동시에 끈으로 묶는다.
그리고, 상기 운반고리 또는 상기 운반로프를 상기 운반기기의 후크에 걸어 운반하거나 또는 운반장소에서 대기 보관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컨테이너 백 내의 내용물을 운반 목적지에까지 운반하여 목적지의 저장탱크나 가공기계에 투입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운반기기의 후크를 상기 운반고리 또는 상기 운반로프에 걸어 컨테이너 백을 들어 올린 다음 컨테이너 백의 바닥부를 저장탱크나 가공기계의 호퍼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바닥부의 배출부를 묶은 끈을 풀고 다시 내피의 배출부 끈을 풀어 내피 내의 내용물이 호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컨테이너 백은 상기 외피 및 상기 외피가 모두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피에 내용물이 투입되었을 때, 상기 측면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면서 내용물이 고르게 담기지 못하게 되어서, 상기 컨테이너 백의 형상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 백의 적재작업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상기 컨테이너 백의 상하차 작업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209호(2006.04.04.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내피의 내부에 열십자 형상의 격벽형태로 중앙에 다수개의 타원형 관통공이 구비된 보강재를 설치하여, 컨테이너 백의 측면부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컨테이너 백의 측면부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피의 내부에 상기 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하였으므로, 컨테이너 백의 제작공정이 복잡해지고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209호(2006.04.04. 공고일)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외피의 재봉구조만으로 측면부가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직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바닥부, 덮개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에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덮개부에는 투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재봉된다. 상기 측면부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재봉된다. 상기 측면부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패널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1 패널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의 양측은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제1 수직부 및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는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외피의 서로 이웃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를 각각 형성하는 사각형의 2개의 패널이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2개의 패널이 재봉되는 부분은 상기 외피의 측면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 중 상기 투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밑변이 윗변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다리꼴로 된 4개의 패널의 상기 양측변이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밑변은 상기 측면부의 상단 변에 재봉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은 상기 투입부에 재봉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재봉된 상기 양측변은 상기 측면부의 상단 꼭지점에서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 중 상기 배출부를 제외한 부분은 밑변이 윗변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다리꼴로 된 4개의 패널의 상기 양측변이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밑변은 상기 측면부의 하단 변에 재봉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은 상기 배출부에 재봉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재봉된 상기 양측변은 상기 측면부의 하단 꼭지점에서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직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바닥부, 덮개부 및 측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에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덮개부에는 투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재봉된다. 상기 측면부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재봉된다. 상기 측면부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패널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1 패널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의 양측은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재봉된다.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피는, 제1 패널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이 제2 패널의 양측에 재봉되었을 때,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이 팽팽해지게 되므로, 측면부가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패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패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패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컨네이너 백의 외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고, 외피(100)의 내부에 비닐로 된 내피가 설치되어서 컨테이너 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 고안은 외피(100)의 재봉구조만으로 내용물에 의해 측면부(30)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외피(100)는 직조될 수 있다. 외피(100)는 합성수지재인 폴리프로필렌 필림이 가늘게 절단된 후 직조될 수 있다. 직조된 외피(100)는 약간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외피(100)는 바닥부(10), 덮개부(20) 및 측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0)는 외피(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0)에는 배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는 바닥부(10)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배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15)의 상단은 바닥부(10)에서 재봉될 수 있다.
덮개부(20)는 외피(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덮개부(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는 바닥부(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20)에는 투입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25)는 덮개부(2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투입통로를 통해 컨테이너 백의 내부로 내용물이 투입될 수 있다. 투입부(25)의 하단은 덮개부(20)에 재봉될 수 있다.
측면부(30)는 외피(10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부(30)의 하단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될 수 있다. 측면부(30)의 상단은 덮개부(2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될 수 있다. 바닥부(10) 및 덮개부(2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부(30)의 하단이 바닥부(1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되고, 측면부(30)의 상단이 덮개부(2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되면, 바닥부(10), 덮개부(20) 및 측면부(30)가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은 상하로 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30)는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널(40)의 하단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널(40)의 상단은 덮개부(20)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될 수 있다.
제2 패널(50)의 하단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50)의 상단은 덮개부(20)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될 수 있다.
바닥부(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즉, 바닥부(10)는 전방변, 후방변, 좌측변 및 우측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도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즉, 덮개부(20)도 전방변, 후방변, 좌측변 및 우측변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널(40)은 4개의 제1 패널(40)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1 패널(40)은 바닥부(10)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제1 패널(40)은 덮개부(20)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될 수 있다.
제2 패널(50)은 4개의 제2 패널(50)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2 패널(50)은 바닥부(10)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제2 패널(50)은 덮개부(20)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될 수 있다.
제2 패널(50)의 양측은 제1 패널(40)의 양측에 재봉될 수 있다. 제1 패널(40)의 양측은 제2 패널(50)의 양측에 재봉될 수 있다.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이 재봉되기 전에는, 제2 패널(50)은 제1 패널(40)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패널(4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45; 도 3 내지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의 재봉이 완료되었을 때,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의 재봉선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 및 덮개부(20)의 각각의 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2개씩 배치될 수 있고, 바닥부(10)의 각각의 꼭지점 및 덮개부(20)의 각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패널(40)의 양측에 오목부(45)가 형성된 후, 제1 패널(40)의 양측에 제2 패널(50)의 양측이 재봉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내용물이 투입되었을 때, 제1 패널(40)보다 수평 폭이 넓은 제2 패널(50)은 제1 패널(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부(30)는 팽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에 의해 측면부(30)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면부(30)의 상단부에는 운반고리(60)가 재봉될 수 있다. 다만, 운반고리(60) 대신에 측면부(30)의 상단 둘레에 운반로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측면부(30)의 상단부에 운반고리(60)가 재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운반고리(60)는 4개의 운반고리(60)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운반고리(60) 각각은 덮개부(20)의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1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전방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좌측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2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전방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우측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3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후방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좌측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4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후방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우측에 배치된 제1 패널(40)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 내의 내용물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부(20)의 투입부(25)를 열고 외피(100)의 투입부(25) 내부에 있는 상기 내피의 투입부를 고정시킨 후 내용물을 투입하며, 내용물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내피의 투입부와 외피(100)의 투입부(25)를 동시에 끈으로 묶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고리를 운반기기의 후크에 걸어 운반하거나 또는 운반장소에서 대기 보관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백 내의 내용물을 운반 목적지에까지 운반하여 목적지의 저장탱크나 가공기계에 투입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운반기기의 후크를 상기 운반고리에 걸어 컨테이너 백을 들어 올린 다음 외피의 바닥부(10)를 저장탱크나 가공기계의 호퍼 위에 위치시키고, 바닥부(10)의 배출부(15)를 묶은 끈을 풀고 다시 상기 내피의 배출부 끈을 풀어 상기 내피 내의 내용물이 상기 호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패널(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5)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1 패널(4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패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은 상하 길이(L1)가 수평 길이(L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45)의 상하 길이(L3)는 제1 패널(40)의 수평 길이(L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40)의 양측에는 제1 수직부(47) 및 제2 수직부(4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부(47)는 오목부(45)의 하단에서부터 제1 패널(40)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직부(48)는 오목부(45)의 상단에서부터 제1 패널(40)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직부(47)의 상하 길이(L4)는 제2 수직부(48)의 상하 길이(L5)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L6)는 제1 패널(40)의 수평 길이(L2)의 1/1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40)의 수평 길이(L2)가 400mm일 경우,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L6)는 40mm일 수 있다.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과 오목부(45)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L7)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과 오목부(45)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L8)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45)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에서부터 오목부(45)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45)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오목부(45)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패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1 패널(4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과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은,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과 오목부(45)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L7)가,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과 오목부(45)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L8)보다 짧게 형성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의 제1 패널(40)은,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과 오목부(45)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L7)가,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과 오목부(45)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L8)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패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제1 패널(4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과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의 오목부(45)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에서부터 오목부(45)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었으나, 본 제3 실시예의 제1 패널(40)의 오목부(45)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에서부터 오목부(45)의 상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패널(40)의 오목부(45)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에서부터 오목부(45)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었으나, 본 제3 실시예의 제1 패널(40)의 오목부(45)는 오목부(45)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P)에서부터 오목부(45)의 하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에서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200)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고, 외피(200)의 내부에 비닐로 된 내피가 설치되어서 컨테이너 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 고안은 외피(200)의 재봉구조만으로 내용물에 의해 측면부(30)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20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외피(200)는 직조될 수 있다. 외피(200)는 합성수지재인 폴리프로필렌 필림이 가늘게 절단된 후 직조될 수 있다. 직조된 외피(200)는 약간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외피(200)는 바닥부(10), 덮개부(20) 및 측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0)는 외피(2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0)에는 배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는 바닥부(10)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배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15)의 상단은 바닥부(10)에서 재봉될 수 있다.
덮개부(20)는 외피(2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덮개부(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는 바닥부(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20)에는 투입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25)는 덮개부(2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투입통로를 통해 컨테이너 백의 내부로 내용물이 투입될 수 있다. 투입부(25)의 하단은 덮개부(20)에 재봉될 수 있다.
측면부(30)는 외피(20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부(30)의 하단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될 수 있다. 측면부(30)의 상단은 덮개부(2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될 수 있다. 바닥부(10) 및 덮개부(2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부(30)의 하단이 바닥부(1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되고, 측면부(30)의 상단이 덮개부(20)의 각각의 변에 재봉되면, 바닥부(10), 덮개부(20) 및 측면부(30)가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은 상하로 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30)는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널(40)의 하단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널(40)의 상단은 덮개부(20)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재봉될 수 있다.
제2 패널(50)의 하단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50)의 상단은 덮개부(20)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재봉될 수 있다.
바닥부(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즉, 바닥부(10)는 전방변, 후방변, 좌측변 및 우측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도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즉, 덮개부(20)도 전방변, 후방변, 좌측변 및 우측변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널(40)은 4개의 제1 패널(40)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1 패널(40)은 바닥부(10)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제1 패널(40)은 덮개부(20)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될 수 있다.
제2 패널(50)은 4개의 제2 패널(50)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2 패널(50)은 바닥부(10)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제2 패널(50)은 덮개부(20)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될 수 있다.
제2 패널(50)의 양측은 제1 패널(40)의 양측에 재봉될 수 있다. 제1 패널(40)의 양측은 제2 패널(50)의 양측에 재봉될 수 있다.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이 재봉되기 전에는, 제2 패널(50)은 제1 패널(40)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패널(4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45; 도 3 내지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의 재봉이 완료되었을 때,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의 재봉선은, 바닥부(10)의 각각의 변 및 덮개부(20)의 각각의 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2개씩 배치될 수 있고, 바닥부(10)의 각각의 꼭지점 및 덮개부(20)의 각각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패널(40)의 양측에 오목부(45)가 형성된 후, 제1 패널(40)의 양측에 제2 패널(50)의 양측이 재봉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내용물이 투입되었을 때, 제1 패널(40)보다 수평 폭이 넓은 제2 패널(50)은 제1 패널(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부(30)는 팽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에 의해 측면부(30)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면부(30)의 상단부에는 운반고리(60)가 재봉될 수 있다. 다만, 운반고리(60) 대신에 측면부(30)의 상단 둘레에 운반로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측면부(30)의 상단부에 운반고리(60)가 재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운반고리(60)는 4개의 운반고리(60)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운반고리(60) 각각은 덮개부(20)의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1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전방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좌측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2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전방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우측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3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좌측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운반고리(60) 중, 제4 운반고리(60)는 측면부(30)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될 수 있고, 측면부(30)의 우측에 배치된 제2 패널(50)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 내의 내용물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부(20)의 투입부(25)를 열고 외피(200)의 투입부(25) 내부에 있는 상기 내피의 투입부를 고정시킨 후 내용물을 투입하며, 내용물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내피의 투입부와 외피(200)의 투입부(25)를 동시에 끈으로 묶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고리를 운반기기의 후크에 걸어 운반하거나 또는 운반장소에서 대기 보관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백 내의 내용물을 운반 목적지에까지 운반하여 목적지의 저장탱크나 가공기계에 투입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운반기기의 후크를 상기 운반고리에 걸어 컨테이너 백을 들어 올린 다음 외피의 바닥부(10)를 저장탱크나 가공기계의 호퍼 위에 위치시키고, 바닥부(10)의 배출부(15)를 묶은 끈을 풀고 다시 상기 내피의 배출부 끈을 풀어 상기 내피 내의 내용물이 상기 호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200)의 제1 패널(40)의 상세한 구조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의 제1 패널(4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컨네이너 백의 외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에서 제2 패널(50)은 사각형의 하나의 패널이 외피(100)의 서로 이웃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를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에서 제2 패널(50)은 사각형의 2개의 패널이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패널은 외피(300)의 서로 이웃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패널(50)은 상기 2개의 패널이 재봉되는 부분은 외피(300)의 측면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에서 덮개부(20)는 투입부(25)를 제외한 부분이 사각형의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었으나, 본 제3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에서 덮개부(20)는 투입부(25)를 제외한 부분이 사다리꼴로 된 4개의 패널의 양측변이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꼴은 밑변이 윗변보다 길이가 길고 상기 양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20)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밑변은 측면부(30)의 상단 변에 재봉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은 투입부(25)에 재봉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상기 사다리꼴의 재봉된 상기 양측변은 측면부(30)의 상단 꼭지점에서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보이지 않으나, 본 제3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에서 바닥부(10)는 덮개부(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에서 바닥부(10)는 배출부(15)를 제외한 부분이 사각형의 하나의 패널로 형성되었으나, 본 제3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에서 바닥부(10)는 배출부(15)를 제외한 부분이 사다리꼴로 된 4개의 패널의 양측변이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꼴은 밑변이 윗변보다 길이가 길고 상기 양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0)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밑변은 측면부(30)의 하단 변에 재봉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0)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은 배출부(15)에 재봉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0)의 상기 사다리꼴의 재봉된 상기 양측변은 측면부(30)의 하단 꼭지점에서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제3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는 덮개부(20) 및 바닥부(10)에 적용된 사선 재봉 구조가 적용되어서, 상기 사선 재봉 구조가 적용되지 않은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비해, 니용물의 배출속도를 40% 이상 개선하였고, 또한 내용물의 배출 후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내용물이 남는 문제점을 90% 이상 개선하였다.
본 제3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300)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외피(100, 200)는, 제1 패널(40)의 양측에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패널(40)의 양측이 제2 패널(50)의 양측에 재봉되었을 때, 제1 패널(40) 및 제2 패널(50)이 팽팽해지게 되므로, 측면부(30)가 컨테이너 백의 내용물에 의해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닥부 15 : 배출부
20 : 덮개부 25 : 투입부
30 : 측면부 40 : 제1 패널
45 : 오목부 47 : 제1 수직부
48 : 제2 수직부 50 : 제2 패널

Claims (12)

  1. 직조된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있어서,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의 1/1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1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2 패널로 구비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2. 직조된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있어서,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의 1/1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1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2 패널로 구비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3. 직조된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있어서,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의 1/1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1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2 패널로 구비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1 운반고리와,
    상기 측면부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2 운반고리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3 운반고리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널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4 운반고리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외피의 서로 이웃하는 측면 가장자리부를 각각 형성하는 사각형의 2개의 패널이 재봉되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패널이 재봉되는 부분은 상기 외피의 측면 모서리를 형성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중 상기 투입부를 제외한 부분은 밑변이 윗변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다리꼴로 된 4개의 패널의 상기 양측변이 재봉되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밑변은 상기 측면부의 상단 변에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은 상기 투입부에 재봉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재봉된 상기 양측변은 상기 측면부의 상단 꼭지점에서 사선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중 상기 배출부를 제외한 부분은 밑변이 윗변보다 길이가 길고 양측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다리꼴로 된 4개의 패널의 상기 양측변이 재봉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밑변은 상기 측면부의 하단 변에 재봉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은 상기 배출부에 재봉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기 사다리꼴의 재봉된 상기 양측변은 상기 측면부의 하단 꼭지점에서 사선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8. 직조된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있어서,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의 1/1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1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2 패널로 구비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9. 직조된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있어서,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오목한 곡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의 1/1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1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2 패널로 구비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10. 직조된 컨테이너 백의 외피에 있어서,
    배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투입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에 상단이 재봉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 서로 이웃하는 변의 가장자리부에 상단이 재봉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바닥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각각의 변 중앙부에 상단이 재봉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 양측이 재봉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보다 수평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하 길이가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 패널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 수직부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하단과의 상하 길이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과 상기 오목부의 상단과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상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 지점에서부터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목부의 최고 수평 깊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수평 길이의 1/1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좌측 가장자리 및 좌측변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변 우측 가장자리 및 우측변 후방 가장자리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1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바닥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하단이 재봉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변 중앙부, 후방변 중앙부, 좌측변 중앙부 및 우측변 중앙부에 하나씩 상단이 재봉되는,
    4개의 제2 패널로 구비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이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1 운반고리와,
    상기 측면부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2 운반고리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좌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3 운반고리와,
    상기 측면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우측부에 일단이 재봉되고, 상기 측면부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널의 상단부 후방부에 타단이 재봉되는 제4 운반고리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의 외피.
  12. 삭제
KR2020200002529U 2020-07-15 2020-07-15 컨테이너 백의 외피 KR20049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29U KR200495734Y1 (ko) 2020-07-15 2020-07-15 컨테이너 백의 외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29U KR200495734Y1 (ko) 2020-07-15 2020-07-15 컨테이너 백의 외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03U KR20220000203U (ko) 2022-01-24
KR200495734Y1 true KR200495734Y1 (ko) 2022-08-05

Family

ID=8004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29U KR200495734Y1 (ko) 2020-07-15 2020-07-15 컨테이너 백의 외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3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200454330Y1 (ko) 2008-08-18 2011-07-14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백
US20160185521A1 (en) * 2013-08-02 2016-06-30 Roquette Freres Flexibl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container and an inner liner
JP2017030776A (ja) 2015-07-30 2017-02-09 太陽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WO2018084815A1 (en) * 2016-11-02 2018-05-11 Bigbagsan Cuval Dikim Ve Sanayi Ve Tic A.S. Method of manufacturing an fibc, fibc
KR102052041B1 (ko) 2018-03-02 2019-12-04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3802D0 (en) * 1993-07-03 1993-08-18 Mulox Ibc Ltd Container bag
KR200413209Y1 (ko) 2006-01-23 2006-04-04 주식회사 한국프레콘 컨테이너백
EP3643642A1 (en) * 2018-10-26 2020-04-29 Young Woo Ind Co., Ltd. Packaging ba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200454330Y1 (ko) 2008-08-18 2011-07-14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백
US20160185521A1 (en) * 2013-08-02 2016-06-30 Roquette Freres Flexibl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container and an inner liner
JP2017030776A (ja) 2015-07-30 2017-02-09 太陽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WO2018084815A1 (en) * 2016-11-02 2018-05-11 Bigbagsan Cuval Dikim Ve Sanayi Ve Tic A.S. Method of manufacturing an fibc, fibc
KR102052041B1 (ko) 2018-03-02 2019-12-04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03U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9897A (en) Packing containers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US20120281932A1 (en)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US5785175A (en) Flexible bulk bag with improved base
WO2013079345A1 (en) A container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KR200495734Y1 (ko) 컨테이너 백의 외피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JP2002225977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346357Y1 (ko)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CN218369629U (zh) 一种改进小包袋装货物专用集装袋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JP6594657B2 (ja) パレット
KR200495937Y1 (ko)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KR101011503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KR200246203Y1 (ko) 컨테이너 백
JP3100141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2051653B1 (ko) 저장용 포대
JP2017030776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2023060930A (ja) 飼料の積載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飼料用コンテナ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