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653B1 - 저장용 포대 - Google Patents

저장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653B1
KR102051653B1 KR1020170099650A KR20170099650A KR102051653B1 KR 102051653 B1 KR102051653 B1 KR 102051653B1 KR 1020170099650 A KR1020170099650 A KR 1020170099650A KR 20170099650 A KR20170099650 A KR 20170099650A KR 102051653 B1 KR102051653 B1 KR 10205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od
support
storag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019A (ko
Inventor
박현복
Original Assignee
(유)복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복영산업 filed Critical (유)복영산업
Publication of KR2018011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자루부와,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자루부의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게 자루부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봉홀딩 튜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저장용 포대에 의하면 자루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봉홀딩 튜브에 지지봉을 삽입하여 자루의 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용 포대{Sack for storage}
본 발명은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비료, 광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포대의 일종인 톤백(ton bag)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톤백은 보통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4개의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톤백의 하부에는 열고 조일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톤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백 내에 내용물을 넣은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단 걸고리에 걸고 이어서 차량에 상차 및 하차 또는 구내운송하거나 포장기 기계 등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톤백에 담긴 내용물을 저장장치에 쏟아 저장하고자 할 때는 지게차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톤백을 들어올린 후 작업자들이 톤백의 하단부를 낫이나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개하여 개봉하거나 배출구를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쏟아낸다.
그리고 내용물이 담긴 톤백을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 주로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톤백을 넣어 적재한다.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컨테이너에 톤백을 넣기 위해서는 톤백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의 내부에 다수의 톤백을 가지런하게 적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톤백은 내용물이 담기면 톤백 측면의 중앙부분이 측면의 상부나 하부보다 바깥 방향으로 불록하게 튀어나오므로 컨테이너에 넣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623호에는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톤백은 측면에 설치된 보강띠와 로프에 의해 내용물이 저장될 때 바깥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톤백은 중간 부분이 상부 및 하부에 비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막기에는 부족하다.
즉, 내용물을 저장하기 전에 사각의 형태를 갖지만 내용물을 가득 저장하면 사각의 형상이 원형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저장된 후 형태가 원형으로 변형되므로 사각의 철제 컨테이너에 넣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97623호: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 포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상기 자루부의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자루부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봉홀딩 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자루부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자루부의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에 설치되는 측면간격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면간격고정부는 상기 자루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횡단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자루부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자루부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코너지지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루부는 사각형상의 저장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홀딩 튜브는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에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에 삽입된 4개의 상기 지지봉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상기 지지봉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갖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봉;을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봉의 종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봉이 상기 지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유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선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의하면 자루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봉홀딩 튜브에 지지봉을 삽입하여 자루의 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분리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는 자루부(10)와, 고리부들(30)과, 측면간격고정부(40)와, 봉홀딩 튜브(70) 및 지지봉(80)을 구비한다.
자루부(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갖는 자루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자루부(10)는 사각형상의 저장공간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달리 자루부는 정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루부(10)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막힌 자루부(10)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루부(10)의 배출구(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통로가 형성된 조임부(21)가 마련되고, 조임부(21)의 통로에 조절끈(25)이 삽입되어 있다.
내용물을 자루부(10)에 저장하기 전에 조절끈(25)의 양측 단부를 당겨 배출구(20)의 크기를 줄인 다음 조절끈(25)을 매듭지어 배출구(20)를 막는다. 그리고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에는 조절끈(25)을 풀어 배출구(20)를 확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달리 자루부(10)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자루부(10)를 뒤집어 자루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자루부(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내용물로 곡물류나 과채류와 같은 농산물, 비료, 광물, 화학원료 등일 수 있다.
자루부(10)는 자루 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모양과 크기,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자루부(10)는 통풍성을 위해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쉬망 구조의 자루부(10)는 통풍이 필요한 농산물의 저장이나 운반에 유리하다. 메쉬망이나 유연한 소재로 자루부(10)가 형성된 경우 일정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자루부(1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지지밴드들(13)과, 수직지지밴드들(15)이 자루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밴드들(13)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밴드들(15)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수평지지밴드들(13)과 수직지지밴드들(15)은 상호 교차한다.
자루부(10)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밴드(13)와 수직지지밴드(15)는 접을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지지밴드(13)와 수직지지밴드(15)는 소정 두께의 면으로 된 띠가 적용되었으나,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가 자루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지게차나 호이스트, 크레인 등의 기계장비를 이용하여 자루부(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고리부(30)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고리부(30)가 자루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접하는 2개의 수직지지밴드(15)가 상부로 연장되어 서로 만나 고리부(30)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고리부(30)는 수직지지밴드(15)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간격고정부(40)는 자루부(10)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의해 자루부(10)의 측면들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 자루부(10)의 측면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자루부(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자루부(10)를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 포대를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측면간격고정부(40)은 자루부(10)에 설치된다. 측면간격고정부(40)의 일 예로 자루부(10)의 내부에 설치된 횡단밴드(41)를 포함할 수 있다. 횡단밴드(41)는 마주하는 양 측면간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저장공간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횡단밴드(41)의 일단은 자루부(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횡단밴드(41)의 타단은 자루부(10)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된다. 횡단밴드(41)의 양단은 수평지지밴드(13)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수평지지밴드(13)와 박음질하여 각각 고정할 수 있다.
횡단밴드(41)는 자루부(10)의 양 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므로 길이방향으로의 신축변형률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하면서도 길이방향의 변형이 낮은 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횡단밴드(41)는 자루부(10)의 내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하나가 설치되는 경우 횡단밴드(41)는 저장공간의 상부 또는 저장공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 저장공간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저장공간의 상부와 중간 부분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횡단밴드(41)는 위에서 첫 번째 수평지지밴드(13)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횡단밴드(41)는 위에서 두번째 또는 세번째 수평지지밴드(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횡단밴드(41)는 일정한 너비를 갖는 띠 형태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횡단밴드(41)는 자루부(10)의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태의 자루부(10)의 경우 횡단밴드(41)는 전방측 측면과 후방측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자루부(10)에 내용물을 저장시 전방측 측면과 후방측 측면이 횡단밴드(41)의 길이보다 더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횡단밴드(41)가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자루부(10)에 내용물을 저장시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 사이가 횡단밴드(41)의 길이보다 더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간격고정부(40)에 의해 자루부(10)에 내용물이 가득 채워지더라도 자루부(10)의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자루부(10)의 측면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막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자루부(10)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코너지지밴드(60)가 설치된다. 이러한 코너지지밴드(60)는 측면간격고정부인 횡단밴드(41)와 함께 자루부(1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측면간격고정부인 횡단밴드(41)가 자루부(10)의 측면들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 자루부(10)의 형태가 다른 모양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코너지지밴드(60)는 사각형 자루부(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모서리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자루부(10)의 형태를 사각형으로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봉홀딩 튜브(70)는 후술되는 지지봉(80)이 삽입될 수 있게 자루부(10)의 모서리 각각에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봉홀딩 튜브(70)는 수평지지밴드(13)의 모서리부분을 지지봉(8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중공을 갖게 박음질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기존의 수평지지밴드(13) 위에 수평지지밴드(13)와 동일 소재로 박음처리하여 봉홀딩 튜브(70)를 형성할 수 있다.
봉홀딩 튜브(70) 각각의 원형 중공의 내경은 적용되는 지지봉(80)의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를 경우 상호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르게는 자루부(10)의 상부에서 하단까지 하나의 단일 원형 중공을 갖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봉(80)은 자루부(10)의 사각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봉홀딩튜브(70)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봉(80)은 자루부(10)의 바닥으로부터 상부까지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더긴 길이를 갖는 것이 적용된다.
지지봉(80)은 자루부(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보관성을 위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신축식 낚시대처럼 다단으로 상호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지봉(80)에 의한 사각 형태유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간격유지봉(91)(92)이 적용될 수 있다.
제1간격유지봉(91)은 직사각 형상의 자루부(10)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70)에 삽입된 4개의 지지봉(80) 중 상대적을 길이가 짧은 변에 위하는 2개의 지지봉(8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지지봉(80)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91a)과, 상호 이격된 삽입링(91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91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간격유지봉(92)은 직사각 형상의 자루부(10)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70)에 삽입된 4개의 지지봉(80) 중 상대적을 길이가 긴 변에 위하는 2개의 지지봉(8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지지봉(80)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91a)과, 상호 이격된 삽입링(91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9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간격유지봉(91)(92)에서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링(91a)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연결봉(91b)(92b)은 길이만 다르다.
따라서, 정사각형 자루부(10)가 적용되는 경우 하나의 간격유지봉을 호환되게 적용하면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간격유지봉(91)(92)는 지지봉(8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바닥 부분에도 적용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80)의 종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82)를 갖게 형성하고, 제1 및 제2간격유지봉은 지지봉(8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간격유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선부(82)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95)를 적용하여 장착하도록 구축할 수 있다.
물론, 나사선부(82)를 지지봉(80)의 상단에도 형성하고 너트부재(95)로 이탈을 억제하도록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저장용 포대에 의하면 자루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봉홀딩 튜브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간격유지봉으로 간격을 고정할 수 있어 자루의 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10: 자루부 13: 수평지지밴드
15: 수직지지밴드 20: 배출구
30: 고리부 40: 측면간격고정부
41: 횡단밴드 60: 코너지지밴드
70: 봉홀딩 튜브 80: 지지봉
91, 92: 제1 및 제2간격유지봉 95: 너트부재

Claims (4)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상기 자루부의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자루부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봉홀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부는 사각형상의 저장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홀딩 튜브는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에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에 삽입된 4개의 상기 지지봉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상기 지지봉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갖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종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봉이 상기 지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유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선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자루부의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에 설치되는 측면간격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면간격고정부는
    상기 자루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횡단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자루부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자루부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코너지지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9650A 2017-04-18 2017-08-07 저장용 포대 KR102051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800 2017-04-18
KR20170049800 201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019A KR20180117019A (ko) 2018-10-26
KR102051653B1 true KR102051653B1 (ko) 2019-12-03

Family

ID=6409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650A KR102051653B1 (ko) 2017-04-18 2017-08-07 저장용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72B1 (ko) * 2019-10-24 2020-04-27 최광수 지지막대가 내부에 구비된 직립형상유지 포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02B1 (ko) 2012-04-30 2014-04-23 박은숙 공기튜브를 이용한 자립형 벌크백
KR101565146B1 (ko) 2015-03-11 2015-11-02 박현복 전복가능한 포대
KR200478924Y1 (ko) * 2014-08-06 2015-12-02 중 기 유 조립식 양파 운반용 팔레트
KR101594160B1 (ko)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저장용 포대
KR101609339B1 (ko) 2015-12-24 2016-04-05 박은숙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623B1 (ko)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02B1 (ko) 2012-04-30 2014-04-23 박은숙 공기튜브를 이용한 자립형 벌크백
KR200478924Y1 (ko) * 2014-08-06 2015-12-02 중 기 유 조립식 양파 운반용 팔레트
KR101565146B1 (ko) 2015-03-11 2015-11-02 박현복 전복가능한 포대
KR101594160B1 (ko)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저장용 포대
KR101609339B1 (ko) 2015-12-24 2016-04-05 박은숙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019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JP6298333B2 (ja) 自立型フレコン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101688098B1 (ko)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KR102051653B1 (ko) 저장용 포대
AU2015299917B2 (en) Container bag
US5873655A (en) Bulk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 bands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US4953987A (en) Cone top to flat top fabric transport bag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KR101802707B1 (ko) 측면 개방형 벌크-백
RU2540788C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KR101565146B1 (ko) 전복가능한 포대
CN107031999B (zh) 一种袋装包装物装卸用吨包及装卸方法
US20210198011A1 (en)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US11667466B2 (en) Easy-empty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bulk garden products
JPS584875Y2 (ja) 粉粒体貯蔵袋の内容積調整具
WO2007012152A1 (en) Flexible inserts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