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707B1 - 측면 개방형 벌크-백 - Google Patents

측면 개방형 벌크-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707B1
KR101802707B1 KR1020170070505A KR20170070505A KR101802707B1 KR 101802707 B1 KR101802707 B1 KR 101802707B1 KR 1020170070505 A KR1020170070505 A KR 1020170070505A KR 20170070505 A KR20170070505 A KR 20170070505A KR 101802707 B1 KR101802707 B1 KR 10180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bag
contents
incision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복술
Original Assignee
구복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복술 filed Critical 구복술
Priority to KR102017007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surrounded by a 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개방형 벌크-백으로, 양파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여 운반 보관할 수 있고, 가공 공장 등에서 가공을 위해 벌크-백에 담긴 내용물을 인출할 때 벌크-백의 측면을 통해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면(10)은 개방되고, 바닥(20)과 측면(30)은 폐쇄되며, 측면(30)의 상부로는 인양고리(40)가 부착되어 내부에 양파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벌크-백(1)으로; 상기 측면(30)의 하부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선(3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32)은 결속부재(3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벌크-백(1)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운반이나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결속부재(34)의 결속해제에 의해 상기 절개선(32)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측면 개방형 벌크-백{A Side open type bulk-bag}
본 발명은 측면 개방형 벌크-백에 관한 것으로, 양파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여 대량으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소포장 또는 가공 공장 등에서 소포장이나 가공을 위해 벌크-백에 담긴 내용물을 인출할 때 벌크-백의 측면을 통해 소량씩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파나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과 같은 농산물은 현장에서 수확 후 도매시장이나 가공공장으로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변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이 가능한 포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포대는 통상 '톤백' 또는 '벌크-백'으로 불리고 있으며, 이러한 톤백 또는 벌크-백은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는 폐쇄 가능한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벌크-백에 있어서는 하부(하면)에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의 배출을 위하여는 벌크-백을 지게차나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지면으로부터 높게 올려주어야 하며,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를 폐쇄하고 있던 조임구를 풀게 되면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게 됨으로써 소포장이나 기타 가공을 위한 작업장이 상당히 어수선하게 됨은 물론,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이 넓게 확산되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허실이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 내지 4를 들 수 있는데, 특허문헌 1의 측면 개방형 톤백은 배추나 양배추, 무 등 비교적 부피가 큰 농수산물을 적재하고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톤백 본체의 전면 좌,우측을 상하로 완전히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에 다단으로 분리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전면을 작업 상황에 맞추어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바닥면의 외곽으로 분리 가능한 측면을 부착하고, 각 측면은 인접하는 측면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측면을 완전히 전개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은 양파용 망사 마대에 관한 것으로, 양파가 적재된 마대의 외관 형상을 파렛트 적재가 용이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인접하는 망사원단으로 이루어진 측면 내측 사이에 사선각띠를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4도 양파와 같은 농산물의 운반과 보관을 위하여 통풍기능을 갖도록 마대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창이 형성된 외부 몸체의 내측에 망사원단으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면서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특히 양파와 같은 농산물을 수확하여 벌크-백으로 운반한 후 소포장이나 가공을 위한 공장에서 소량씩 인출하는 작업을 할 때, 하부의 배출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꺼번에 다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측면 개방형도 상부로부터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일일이 작업자가 내용물을 꺼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므로 소포장이나 가공을 위한 작업효율이 그만큼 저하되는 아쉬움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88096호(2016.12.1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23125호(2010.03.04.)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78790호(2015.11.10.)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4818호(2014.08.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양파와 같은 각종 농산물을 밭에서 수확하여 공장이나 처리장으로 운반한 후, 이를 소포장하거나 가공을 하고자 할 때, 벌크-백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포장 작업이나 가공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측면 개방형 벌크-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은 개방되고, 바닥과 측면은 폐쇄되며, 측면의 상부로는 인양고리가 부착되어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벌크-백으로, 상기 측면의 하부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은 결속부재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벌크-백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운반이나 보관할 수 있고, 상기 결속부재의 결속해제에 의해 상기 절개선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절개선의 내측에는 외부로 연장 인출이 가능한 배출슈트의 일단 둘레가 봉제 되며, 상기 배출슈트는 결속부재의 결속시 측면 내측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측면 개방형 벌크-백은 일반적인 바닥 개방형 벌크-백과 같이 한꺼번에 내용물을 쏟으면 안 되는 상황에서 내용물을 힘들이지 않고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벌크-백을 높은 위치로 들어올리지 않고도 지면에서 수십 센티미터 위에 위치한 비교적 낮은 작업대 위에 올린 상태에서 측면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절개부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을 소량씩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좁은 장소에서 내용물의 소포장이나 내용물의 가공을 위한 처리작업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벌크-백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벌크-백의 절개선 개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벌크-백의 폐쇄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벌크-백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벌크-백의 개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벌크-백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벌크-백의 개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벌크-백의 요부 확대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벌크-백의 개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면(10)은 개방되고, 바닥(20)과 측면(30)은 폐쇄되며, 측면(30)의 상부로는 인양고리(40)가 부착되어 내부에 양파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벌크-백(1)으로; 상기 측면(30)의 하부 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선(3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32)은 결속부재(3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벌크-백(1)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운반이나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결속부재(34)의 결속해제에 의해 상기 절개선(32)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개선(32)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30)의 하단부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선(32a)과, 상기 제1절개선(32a)의 하단부와 교차하며 좌우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선(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대체로 'ㅗ'자 형태로 절개되어 있으며, 제1,2절개선(32a,32b)을 결속하고 있는 결속부재(34)의 해제시 측면(30)의 하부가 삼각 형태로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개선(32)의 내측에는 외부로 연장 인출이 가능한 배출슈트(50)의 일단 둘레가 봉제되며, 상기 배출슈트(50)는 결속부재(34)의 결속시 측면(30) 내측에 수용된 상태(도 4의 a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출슈트(50)는 결속부재(34)의 해제시 내용물의 압력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개방된 절개선(32)의 외부로 인출(도 4의 b 상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슈트(50)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측면(30)의 절개선 내측에 봉제되고, 타단에는 조임구(52)가 구비되어 있어 배출슈트(50)가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급격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임구(52)는 기존의 바닥이 개방된 벌크-백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조임구와 유사한 끈이나 로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개선(32)에는 보강띠(36)가 봉제되고, 상기 보강띠(36)에 일정간격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아이렛(38)이 부착되며, 상기 아이렛(38)을 통해 끈으로 이루어진 결속부재(34)가 결속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20)과 측면(30)은 통풍성이 우수한 망사원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양파 등의 농산물을 대량으로 운반하거나 보관하더라도 품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망사원단 자체가 종횡으로 조밀하게 직조된 보강부를 갖는 원단을 사용하거나 망사원단의 외부에 보강을 위한 보강벨트 등을 덧대어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띠(36)는 소정 폭으로 제작된 직물 벨트로 이루어져 있어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진 측면(30)과 바닥(20)의 절개선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띠(36)는 측면과 바닥의 전면 또는 내면의 어느 한 쪽에 봉제하거나 또는 양면에 모두 봉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30)의 배출구 측에 구비된 배출 슈트(50)는 필요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바, 배출 슈트(50)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제1절개선과 제2절개선의 개방에 의해 내용물을 그대로 배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측면 개방형 벌크-백(1)은 도 4의 a와 같은 상태 즉, 측면(30)의 절개선(32) 부위를 결속부재(34)를 사용하여 결속시킨 상태에서 양파 등의 내용물(P)을 담아서 운반 및 보관을 하면 되며, 소포장을 하거나 기타 가공을 위하여 양파를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벌크-백을 도시 안 된 소정의 작업대 위에 올린 상태에서 측면(30)의 하측에 형성된 절개부(32)의 결속부재(34)를 풀러내거나 칼이나 가위 등으로 절단하게 되면 도 4의 b와 같이 폐쇄되었던 절개부(32)가 개방되면서 양파 등의 내용물(P)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개방된 절개부(32)의 내측에 일단이 봉제된 배출슈트(50)를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배출슈트(50)의 타단에 구비된 조임구(52)를 풀어내게 되면 배출슈트(50)가 개방되면서 양파 등의 내용물(P)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은 바닥 개방형 벌크-백과 같이 한꺼번에 내용물을 쏟으면 안되는 경우에 적합하고, 벌크-백을 높은 위치로 들어올리지 않고도 지면에서 수십 센티미터 위에 위치한 비교적 낮은 작업대 위에 올린 상태에서 측면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절개부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을 소량씩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출 슈트를 통해 배출 방향과 배출상태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좁은 장소에서 내용물의 소포장이나 내용물의 가공을 위한 처리작업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측면 개방형 벌크-백은 배출슈트(50)의 조임구(52)를 다시 조이고, 이를 측면(30)의 내측으로 접어 넣은 후 절개부(32)에 결속부재(34)를 사용하여 결속시키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바, 내용물의 배출시 톤 백 자체는 손상을 입지 않으므로 결속부재만 새것으로 교체하기만 하면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반복 사용에 의한 벌크-백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1)도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절개선(32)의 절개 형태가 상이한데, 이 절개선(32)은 측면(30)의 하단부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제1절개선(32a)과, 상기 복수의 제1절개선(32a) 하부를 가로지르는 제2절개선(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절개선(32)이 대체로 '∪'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 예의 'ㅗ'형 절개형태보다는 개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데, 이는 제1절개선(32a)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개방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개방면적은 제1절개선(32a)의 길이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사각단면 형태의 배출슈트(50)가 절개선(32)의 내측에 봉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U'형 절개선에 의해 절개된 상판(33)이 배출슈트(5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배출슈트(50)의 측면과 바닥은 접혀진 상태로 상판(33)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결속부재(34)가 상기 상판(33)과 측면(30)의 절개선(32)에 봉제된 보강띠(36)의 아이렛(38)에 결속되어 측면(3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부재(34)를 절단해내는 것에 의해 벌크-백 내부의 내용물 압력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배출슈트(50)가 외부로 전개되어 내용물(P)이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도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2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절개선(32)의 절개 형태가 상이한데, 이 절개선(32)은 측면(30)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제1절개선(32a)과, 상기 복수의 제1절개선(32a)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2절개선(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절개선(32)이 대체로 '∩'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 예의 절개형태보다는 개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데, 이는 제1절개선(32a)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개방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개방면적은 제1절개선(32a)의 길이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사각 단면 형태의 배출슈트(50)가 절개선(32)의 내측에 봉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U'형 절개선에 의해 절개된 하판(35)이 배출슈트(5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배출슈트(50)의 측면과 상판은 접혀진 상태로 하판(35)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결속부재(34)가 상기 하판(35)과 측면(30)의 절개선(32)에 봉제된 보강띠(36)의 아이렛(38)에 결속되어 측면(3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부재(34)를 절단해내는 것에 의해 벌크-백 내부의 내용물 압력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배출슈트(50)가 외부로 전개되어 내용물(P)이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측면 개방형 벌크-백도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 예와 유사하며, 다만, 절개선(32)의 절개 형태가 상이한데 이는 측면(30)의 소정 높이에서 측면(30)의 하단부를 향하여 사선방향으로 양분된 복수의 제1절개선(32a)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절개선(32)이 대체로 '∧'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 예의 절개형태보다는 개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개선(32a)의 기울기와 길이를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개방면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배출슈트(50)가 절개선(32)의 내측에 봉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형 절개선에 의해 절개된 하판(35)이 배출슈트(5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배출슈트(50)의 측면은 접혀진 상태로 하판(35)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결속부재(34)가 상기 하판(35)과 측면(30)의 절개선(32)에 봉제된 보강띠(36)의 아이렛(38)에 결속되어 측면(3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부재(34)를 절단해내는 것에 의해 벌크-백 내부의 DKQ력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배출슈트(50)가 외부로 전개되어 내용물(P)이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의 구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절개선의 형태를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으로 형성하거나 절개선의 절개방향을 수직과 수평 및 사선 방향으로 다양하게 조합할 수도 있고, 측면의 한 면에만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측면 또는 모든 측면에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태 또는 개방면적과 개방형태가 상이한 다양한 형태의 절개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또는 작업장의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부위의 절개부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에 기재될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다.
1 : 벌크-백
10 : 상면
20 : 바닥
30 : 측면
32 : 절개선
33 : 상판
32a : 제1절개선
32b : 제2절개선
34 : 결속부재
35 : 하판
36 : 보강띠
38 : 아이렛
40 : 인양고리
50 : 배출슈트
52 : 조임구
P : 내용물(양파 등)

Claims (8)

  1. 삭제
  2. 상면(10)은 개방되고, 바닥(20)과 측면(30)은 폐쇄되며, 상기 측면(30)의 상부로는 인양고리(40)가 부착되어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벌크-백(1)으로;
    상기 측면(30)의 하부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절개선(3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32)은 결속부재(3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어 벌크-백(1)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운반이나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결속부재(34)의 결속해제에 의해 상기 절개선(32)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절개선(32)은 측면(30)의 하단부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제1절개선(32a)과, 상기 제1절개선(32a)의 하단부와 교차하며 상기 측면(30)의 하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제2절개선(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ㅗ'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2절개선(32a,32b)을 결속하고 있는 결속부재(34)의 해제시 측면(30)의 하부가 삼각 형태로 개방되어 벌크-백(1)에 담긴 내용물이 소량씩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개방형 벌크-백.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70505A 2017-06-07 2017-06-07 측면 개방형 벌크-백 KR10180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05A KR101802707B1 (ko) 2017-06-07 2017-06-07 측면 개방형 벌크-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05A KR101802707B1 (ko) 2017-06-07 2017-06-07 측면 개방형 벌크-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707B1 true KR101802707B1 (ko) 2017-11-28

Family

ID=6081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05A KR101802707B1 (ko) 2017-06-07 2017-06-07 측면 개방형 벌크-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633A (ko) * 2019-12-06 2021-06-16 (유)복영산업 저장용 포대
KR102590300B1 (ko) * 2023-04-24 2023-10-17 글로벌 영농조합법인 양파의 벌크 저장 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파 저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633A (ko) * 2019-12-06 2021-06-16 (유)복영산업 저장용 포대
KR102287956B1 (ko) * 2019-12-06 2021-08-09 (유)복영산업 저장용 포대
KR102590300B1 (ko) * 2023-04-24 2023-10-17 글로벌 영농조합법인 양파의 벌크 저장 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파 저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US4691371A (en) Receptacle having improved discharge spout
KR101235558B1 (ko) 저온 저장용 톤백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US20030047561A1 (en)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side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placing said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to a shipping container
KR101802707B1 (ko) 측면 개방형 벌크-백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JP6298333B2 (ja) 自立型フレコン
KR101688098B1 (ko)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JPH11334786A (ja) クレーン・フォークリフト等の揚重機器用運搬袋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40029872A1 (en) Bulk bag apparatus
US4917266A (en) Discharge spout construction for collapsible receptacle
US20020164093A1 (en) Container with repositionable slip-sheet to cover outlet
US5924796A (en) One piec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JP2002225977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85469Y1 (ko)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벌크 백
KR101565146B1 (ko) 전복가능한 포대
KR101935827B1 (ko) 작업안정성이 강화된 측면 개방형 직립톤백
KR20200002012U (ko)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배출구를 갖는 톤백
KR102287956B1 (ko) 저장용 포대
JPS593966Y2 (ja) 粉粒物の荷役用袋
KR101441845B1 (ko) 톤백 개방장치
KR102051653B1 (ko) 저장용 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