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956B1 - 저장용 포대 - Google Patents

저장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956B1
KR102287956B1 KR1020190162014A KR20190162014A KR102287956B1 KR 102287956 B1 KR102287956 B1 KR 102287956B1 KR 1020190162014 A KR1020190162014 A KR 1020190162014A KR 20190162014 A KR20190162014 A KR 20190162014A KR 102287956 B1 KR102287956 B1 KR 10228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extension
inclined surface
stora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1633A (ko
Inventor
박현복
Original Assignee
(유)복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복영산업 filed Critical (유)복영산업
Priority to KR102019016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9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비료, 광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형상유지부재에 의해 자루부의 사각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와 같은 실내공간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측방배출부가 마련되어 있어 저장대상물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장용 포대{Sack for storage}
본 발명은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비료, 광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포대의 일종인 톤백(ton bag)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톤백은 보통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4개의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톤백의 하부에는 열고 조일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톤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백 내에 내용물을 넣은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단 걸고리에 걸고 이어서 차량에 상차 및 하차 또는 구내운송하거나 포장기 기계 등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톤백에 담긴 내용물을 저장장치에 쏟아 저장하고자 할 때는 지게차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톤백을 들어올린 후 작업자들이 톤백의 하단부를 낫이나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개하여 개봉하거나 배출구를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쏟아낸다.
그리고 내용물이 담긴 톤백을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 주로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톤백을 넣어 적재한다.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컨테이너에 톤백을 넣기 위해서는 톤백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의 내부에 다수의 톤백을 가지런하게 적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톤백은 내용물이 담기면 톤백 측면의 중앙부분이 측면의 상부나 하부보다 바깥 방향으로 불록하게 튀어나오므로 컨테이너에 넣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623호에는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톤백은 측면에 설치된 보강띠와 로프에 의해 내용물이 저장될 때 바깥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톤백은 중간 부분이 상부 및 하부에 비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막기에는 부족하다.
즉, 내용물을 저장하기 전에 사각의 형태를 갖지만 내용물을 가득 저장하면 사각의 형상이 원형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저장된 후 형태가 원형으로 변형되므로 사각의 컨테이너에 넣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623호 :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도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펼침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상기 자루부의 외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밴드와; 상기 자루부의 외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밴드에 교차하며 상기 자루부의 폭 방향으로이격되는 수직지지밴드와; 상기 자루부의 사각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자루부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형상유지수단은 상기 자루부의 각 모서리 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 측이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을 제한하는 다수의 형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의 일단부에서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자루부의 다른 측면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장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는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시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상호 접하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교차하는 상기 자루부의 다른 측면이 상호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사각형상유지수단은 상기 자루부의 내주면 측에 장착되어 상기 자루부 펼침시 사각형상을 유지시키되 상기 자루부 접힘이 가능하도록 접철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자루부의 제1측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측면에 마주하는 제2측면에서 상기 제1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의 각 일측을 연결하는 제3측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각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측이 자루부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접철가능한 제3연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측면의 각 타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3측면과 마주하는 제4측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각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측이 상기 제3연장부 방향으로 접철가능한 제4연장부를 구비하고, 접철 가능한 상기 제3 및 제4연장부는 펼침 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에 대해 직각 이상 확개되지 않도록, 각 양측 단부에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각각 면접하는 복수의 경사면과; 펼침 시 중심측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중심측에 펼쳐지는 각을 제한하는 한 쌍의 펼침각 제한면;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루부는 내부로 저장되는 저장대상물을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되 조절끈에 의해 직경 조절이 가능한 하방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상유지수단은 상기 자루부의 마주하는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자루부의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자루부의 내부공간으로 내용물 저장시 상기 자루부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되게 상호 걸림가능하되, 상기 하방배출구로 상기 저장대상물 배출 시 상방의 저장대상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상호 결속되는 제1고리와 제2고리가 형성된 제1 및 제2폭확장방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자루부는 내부로 저장되는 저장대상물을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되 조절끈에 의해 직경 조절이 가능한 하방배출구 형성되며, 상기 저장대상물을 측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의 측부에 상기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게 절제 또는 개구된 측방배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형상유지부재에 의해 자루부의 사각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와 같은 실내공간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측방배출부가 마련되어 있어 저장대상물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형상유지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장용 포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장용 포대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장용 포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저장용 포대의 측부배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1)는 자루부(10)와, 고리부(30)들과, 사각형상유지수단(40)을 구비한다.
자루부(10)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막힌 자루부(10)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하방배출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방배출구(20)의 가장자리의 자루부에는 통로가 형성된 조임부(21)가 마련되고, 조임부(21)의 통로에 조임끈(25)이 삽입되어 있다.
내용물을 자루부(10)에 저장하기 전에 조절끈(25)의 양측 단부를 당겨 배출구(20)의 크기를 줄인 다음 조절끈(25)을 매듭지어 하방배출구(20)를 막는다. 그리고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에는 조절끈(25)을 풀어 하방배출구(20)를 확장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달리 자루부(10)의 하부에 하방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자루부(10)를 뒤집어 자루부(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자루부(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내용물로 곡물류나 과채류와 같은 농산물, 비료, 광물, 화학원료 등일 수 있다.
자루부(10)는 자루 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모양과 크기,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자루부(10)는 통풍성을 위해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쉬망 구조의 자루부(10)는 통풍이 필요한 농산물의 저장이나 운반에 유리하다. 메쉬망이나 유연한 소재로 자루부(10)가 형성된 경우 일정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자루부(1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지지밴드들(13)과, 수직지지밴드들(15)이 자루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밴드들(13)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밴드들(15)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수평지지밴드들(13)과 수직지지밴드들(15)은 상호 교차한다.
자루부(10)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밴드(13)와 수직지지밴드(15)는 접을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지지밴드(13)와 수직지지밴드(15)는 소정 두께의 면으로 된 띠가 적용되었으나,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밴드(13)들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밴드(15)들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수평지지밴드(13)과 수직지지밴드(15)들은 상호 직교하게 연장된다.
수평지지밴드(13)는 도 1을 참고하면, 양단이 자루부(10)의 일측면에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수직지지밴드(15)들에 연결되게 길이연장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자루부(10)의 일측면 폭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후술되는 형상유지수단(40)의 형상유지부재(41)에 덮여질 수도 있다.
고리부(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가 자루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지게차나 호이스트, 크레인 등의 기계 장비를 이용하여 자루부(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고리부(30)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고리부(30)가 자루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접하는 2개의 수직지지밴드(15)가 상부로 연장되어 서로 만나 고리부(30)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고리부(30)는 수직지지밴드(15)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각형상유지수단(40)은 자루부(10)가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도 적재가 용이하게 사각 기둥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루부(10)를 지지하는 다수의 형상유지부재(41)를 구비한다.
다수의 형상유지부재(41)는 자루부(10)의 각 모서리 외측에 각각 장착되어 자루부(10)의 모서리 측이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을 제한한다. 자루부(10)의 동일 모서리 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형상유지부재(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수평지지밴드(13)들에 대응되는 위치의 자루부(10)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동일간격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유지부재(41)는 도 2를 참고하면,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8)와, 회동연결부(54)를 구비한다.
제1연장부(42)는 자루부(10)의 모서리 측에 위치되게 자루부(10)의 일측면에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 측에 장착된다.
제2연장부(48)는 자루부(10)의 모서리 측에 위치되게 자루부(10)의 일측면의 일단부에서 자루부의 일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루부(10)의 다른 측면의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장착되며, 제1연장부(4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가 제1연장부의 단부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주한다.
회동연결부(54)는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8)가 상호 확개되거나 인접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8)를 연결한다.
제1연장부(42)는 자루부(10)의 일측면에 폭 방향 단부측에서 중심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본체(43)와, 제1연장본체의 단부에서 제1연장본체(43)보다 적은 두께로 자루부(10) 일측면 폭 방향 중심측으로 제1연장본체(43)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형성되어 자루부(10)와 수직지지밴드(13) 사이 또는 수직지지밴드(13)와 수평지지밴드(15) 사이로 삽입고정되는 제1밴드결합부(47)를 구비한다.
제1연장본체(43)는 제2연장부(48)와 마주하는 단부 측에, 길이방향에 대해 자루부(10)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44)과, 제1경사면과 자루부(10)사이에 제1인입홈(45) 형성된다.
제2연장부(48)는 자루부(10)의 일측면에 연결되며 교차하는 다른 측면에 폭 방향 단부측에서 중심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본체(49)와, 제2연장본체(49)의 단부에서 제2연장본체(49)보다 적은 두께로 자루부(10) 다른 측면 폭 방향 중심측으로 제2연장본체(49)의 길비방향에 나란하게 연장형성되어 자루부(10)와 수직지지밴드(13) 사이 또는 수직지지밴드(13)와 수평지지밴드(15) 사이로 삽입되는 제2밴드결합부(53)를 구비한다.
제2연장본체(49)는 제1연장부(42)와 마주하는 단부 측에, 길이방향에 대해 자루부(1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제1연장부(42)의 제1경사면(44)과 면접 가능한 제2경사면(50)과, 제2경사면(50)과 자루부(10)사이에 제2인입홈(51) 형성된다.
제1경사면(44)과 제2경사면(50)은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8)가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확개 시 상호 면접하도록 형성되어, 자루부(10)의 일측면과, 일측면에 교차하는 자루부(10)의 다른 측면이 상호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1연장부(42)의 제1인입홈(45)과 제2연장부(48)의 제2인입홈(51)은 회동연결부(54)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회동연결부(54)는 제1경사면(44)과 제2경사면(50)이 형성된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8)의 단부의 자루부(10)에 인접한 측을 상호 연결하여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2)가 연결된 측을 기준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 및 제2인입홈(45)(51)은 제1 및 제2연장부(42)(48)가 확개 시 회동연결부(54)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경사면(44)(50)과 자루부(10) 사이에 회동연결부(5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6)이 형성되게 자루부(10)에 인접한 측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회동연결부(54)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절곡된 판 형상으로서, 자루부(10)에 인접한 제1인입홈(45)의 단부에서 수용공간(46) 방향으로 연장된 제1회동지지부(55)와, 제1회동지지부(55)의 단부에서 제1회동지지부(55)의 연장방향에 대해 절곡되어 자루부(10)에 인접한 제2인입홈(51)의 단부로 연장된 제2회동지지부(56)를 구비한다.
형상유지부재(41)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얇은 두께로 형성된 회동연결부(54)와 제1 및 제2밴드결합부(47,53)는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1)는 제1연장부(42)와 제2연장부(48)를 갖는 형상유지부재(41)에 의해 자루부(10)의 모서리 측이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각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미도시)와 같은 실내공간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2)는 사각형상유지수단(14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1)의 구조와 동일하되, 수평지지밴드(13)가 자루부(10)의 폭을 전체 덮을 수 있도록 자루부(10)에 연장 또는 설치된다.
사각형상유지수단(140)은 자루부(10)의 내주면 측에 장착되어 자루부(10) 펼침시 사각형상을 유지시키되 자루부(10) 접힘이 가능하도록 접철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유지부재(141)를 구비한다.
형상유지부재(141)는 자루부의 마주하는 내주면(10a,10b)에 장착되며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연장부(142) 및 제2연장부(145), 제1 및 제2연장부(142)(145)의 각 일측을 연결하며 중심측이 자루부(10)의 내측으로 접철가능한 제3연장부와(148)와, 제1 및 제2연장부의 각 타측을 연결하며 중심측이 자루부(10)의 내측으로 접철가능한 제4연장부(153)를 구비한다.
제1연장부(142)는 도 2를 참고하면, 자루부(10)의 제1측면(10a)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에 중심측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자루부(10)에 니들펀칭에 의해 고정되는 제1니들펀칭부(144)를 구비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자루부(10) 내측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143)이 각각 형성된다.
제2연장부(145)는 도 2를 참고하면, 자루부(10)의 제2측면(10b)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에 중심측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자루부(10)에 니들펀칭에 의해 고정되는 제2니들펀칭부(147)를 구비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자루부(10) 내측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146)이 각각 형성된다.
제3연장부(148)는 제1 및 제2측면(10a,10b)의 각 일측을 연결하는 자루부(10)의 제3측면(10c)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제1연장부(142)와 제2연장부(145)의 각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측이 자루부(10) 내측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접철가능하게 형성된다.
제3연장부(148)는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중심측이 자루부(10) 내측 방향으로 접철되면서 자루부(10)의 측부가 함께 접히도록 자루부(10)의 중심을 마주하는 중심측이 상하방향 즉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부 절제되어 제1슬릿부(149)가 마련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자루부(10) 내측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제3경사면(150)이 각각 형성된다.
제3연장부(148)의 양측에 형성된 각 제3경사면(150)은 제1 및 제2연장부(142,145)에 대해 직교되게 회동 시, 제1연장부(142) 일측의 제1경사면(143)과 제2연장부(145) 일측의 제2경사면(146)에 각각 면접하게 형성된다. 즉, 제3연장부(148)는 펼침 시 제1연장부(142)와 제2연장부(145)에 대해 직각 이상 확개되지 않도록, 제3경사면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면접한다.
그리고, 제3연장부(148)는 제3경사면의 자루부(10)의 중심을 향하는 측이 각각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의 자루부(10)의 중심을 향하는 측과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제3연장부(148)는 자루부(10)에 마주하는 폭 방향 양측에 폭 방향 중심측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자루부(10)에 니들펀칭에 의해 고정되는 제3니들펀칭부(151)를 구비한다.
제4연장부(153)는 제1 및 제2측면(10a,10b)의 각 타측을 연결하는 자루부(10)의 제4측면(10d)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제1연장부(142)와 제2연장부(145)의 각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측이 자루부(10) 내측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4연장부(153)는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중심측이 자루부(10) 내측 방향으로 접철되면서 자루부(10)의 측부가 함께 접히도록 자루부(10)의 중심을 마주하는 중심측이 상하방향 즉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부 절제되어 제2슬릿부(154)가 마련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자루부(10) 내측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제4경사면(155)이 각각 형성된다.
제4연장부(153)의 양측에 형성된 각 제4경사면(155)은 제1 및 제2연장부(142,145)에 대해 제4연장부가 직교되게 회동 시, 제1연장부(142) 타측의 제1경사면(143)과 제2연장부(145) 타측의 제2경사면(146)에 각각 면접하게 형성된다. 즉, 제4연장부(153)는 펼침 시 제1연장부(142)와 제2연장부(145)에 대해 직각 이상 확개되지 않도록, 제4경사면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면접한다.
그리고, 제4연장부(153)는 제4경사면(155)의 자루부(10)의 중심을 향하는 측이 각각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의 자루부(10)의 중심을 향하는 측과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제4연장부(153)는 자루부(10)에 마주하는 폭 방향 양측에 폭 방향 중심측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자루부(10)에 니들펀칭에 의해 고정되는 제4니들펀칭부(156)를 구비한다.
제1슬릿부(149)와 제2슬릿부(154)는 제3연장부(148)와 제4연장부(153)가 펼침 시 중심측이 제1연장부(142)와 제2연장부(145)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중심측에 펼쳐지는 각을 제한하는 한 쌍의 펼침각 제한면(149a,154a);을 각각 구비한다.
한 쌍의 펼침각 제한면(149a,154a)은 제3연장부 또는 제4연장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상호 면접되면서 자루부(10)에 저장되는 저장대상물(미도시)에 의한 제3연장부(148) 또는 제4연장부(153)의 중심측 돌출을 제한한다.
한편, 제3연장부(148)와 제4연장부(153)가 장착되는 자루부의 제3측면(10c)과 제4측면(10d)에 장착되는 수평지지밴드(113)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릿부(149) 또는 제2슬릿부(154)에 대응되는 측이 제3 및 제4연장부(148)(153)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2)는 자루부가 접힐 수 있게 상호 나란한 제1 및 제2연장부(142,145)에 대해 제3 및 제4연장부(148,153)가 접철되되 자루부(10) 펼침 시 제1 및 제2연장부에 대해 제3 및 제4연장부(148,153)가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각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미도시)와 같은 실내공간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3)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3) 사각형상유지수단(24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사각형상유지수단(240)은 자루부(10)의 마주하는 내주면에 장착되어 자루부(10)의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자루부(10)의 내부공간(11)으로 저장대상물 저장시 자루부(10)의 폭이 저장대상물에 가압되어 확장되는 것을 방지되게 상호 걸림가능한 제1 및 제2폭확장방지부(241,251)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폭확장방지부(241)(251)는 하방배출구(20)로 저장대상물 배출 시 상방에 위치한 저장대상물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형성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폭확장방지부(241)는 자루부(10)의 내주면 중심측에서 자루부(10)의 내부공간(11) 중심측으로 연장되며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제1밴드(242)와, 제1밴드(242)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1밴드(242)에 멀어지는 방향 측의 하단에 상방으로 인입된 제1걸림홈(244)이 형성된 제1고리(243)를 구비한다.
제2폭확장방지부(251)는 제1폭확장방지부(241)와 마주하는 측의 자루부(10) 내주면 중심측에서 자루부(10) 중심측으로 연장되며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제2밴드(252)와, 제2밴드(252)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2밴드(252)에 멀어지는 방향 측의 하단에 하방으로 인입된 제2걸림홈(254)이 형성된 제2고리(253)를 구비한다.
제1걸림홈(244)은 제2폭확장방지부(251) 측을 항햐는 단부 하단에 상방으로 인입 형성된다. 제2걸림홈(254)는 제1폭확장방지부(241) 측을 향하는 단부 상단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된다.
제1걸림홈(244)은 도 7을 참고하면, 자루부(10)의 내주면에 연결된 제1밴드(24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1간섭방지경사면(245)과, 제1간섭방지경사면(245)에서 제1폭확장방지부(24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1수평연장면(246)과, 제1수평연장면(246)의 단부에서 제1밴드(24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면(247)을 구비한다.
제2걸림홈(254)은 자루부(10)의 내주면에 연결된 제2폭확장방지부(25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2간섭방지경사면(255)과, 제2간섭방지경사면(255)에서 제2밴드(2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연장면(256)과, 제2수평연장면(256)의 단부에서 제2밴드(25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걸림면(247)과 접하는 제2걸림면(25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제1폭확장방지부(241)와 제2폭확장방지부(251)가 상호 걸림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제1걸림면(247)의 단부는 제1간섭방지경사면(245)의 양측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2수평연장면(256)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제2걸림면(257)의 단부는 제2간섭방지경사면(255)의 양측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제1수평연장면(246)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3)는 제1폭확장방지부(241)와 제2폭확장방지부(251)가 상호 걸려 저장대상물에 의해 자루부(10)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각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하방배출구(20)로 저장대상물 배출시 제1 및 제2폭확장방지부의 상방에 위치한 저장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걸림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폭확장방지부(341)와 제2폭확장방지부(351)는 제1 및 제2고리(243,253) 대신 상호 마주하는 면에 상호 부착 및 탈착가능한 밸크로 부재(356)가 마련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5)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5)는 측방배출부(4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또는 제4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폭확장방지부(341,351)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폭확장방지부(241,251)가 적용될 수도 있다.
자루부(410)는 본 발명의 제 3 또는 제4 실시 예의 자루부(10)의 구조에 제1측면(10a) 하단과, 하단 양측에서 소정길이 상방으로 제1측면(10a) 모서리측이 일부 분리된 구조를 가져 저장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되는 측방배출부(46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5)는 분리구조를 갖는 측방배출부(460)가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자루부의 제1측면(410a)에 절제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이부(461)와, 자루부의 제1측면(410a)의 좌우측에 위치한 제3 및 제4측면의 절제된 부분과 제3측면(410c)과 제4측면(410d)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410e)의 절제된 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제1이부(461)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이부(463)와, 제1이부(461)와 제2이부(463)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시키는 슬라이더(465)를 구비하는 지퍼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5)는 사각형상유지수단이 마련되어 적재가 용이하면서, 하방배출구(20) 외에도 측방배출부(460)도 마련되어 있어 저장대상물의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6)는 측방배출부(6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자루부(61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자루부(10)의 구조에 제1측면(610a)의 하부 부분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들 사이와 좌우측에 배치된 수직지지밴드들 사이에 내부공간(11)의 측부를 개방하는 측방배출부(660)가 형성된다.
측방배출부(660)는 자루부(610)의 하단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의 상단과, 좌우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밴드(15)들의 마주하는 폭 방향 측단을 따라 자루부(610)가 절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6)는 측방배출부(660)가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자루부의 제1측면(610a)에 절제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이부(661)와, 수평지지밴드의 상단과 수직지지밴드의 마주하는 측단을 따라 연장되어 제1이부(661)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이부(663)와, 제1이부(661)와 제2이부(663)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시키는 슬라이더(665)를 구비하는 지퍼구조를 갖는 개폐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7)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7)는 측방배출부(7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자루부(71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자루부(10)의 구조에 제1측면(710a)의 하단의 수평지지밴드와 상부 측의 수평지지밴드 사이와, 좌우측에 배치된 수직지지밴드들 사이가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져 내부공간(11)의 측부를 개방하는 측방배출부(760)가 형성된다.
자루부(710)는 자루부 본체부(711)와; 측방배출부(760)는 자루부(710)의 하단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의 상단과, 좌우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밴드(15)들의 마주하는 폭 방향 측단과 상부측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의 하단을 따라 절제되어 자루부 본체부(711)와 분리구조를 갖는 절제부(7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7)는 측방배출부(760)가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절제부(7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이부(761)와; 자루부 본체부(711)의 하단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의 상단과, 수직지지밴드(15)의 마주하는 측단과, 상부측의 수평지지밴드(13)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어 제1이부(761)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이부(763)와, 제1이부(761)와 제2이부(763)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시키는 슬라이더(765)를 구비하는 지퍼구조를 갖는 개폐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7)는 자루부 본체부(711)의 하단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와 자루부 상부측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 사이에 수평지지밴드(13)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자루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양단이 절제부(712) 중심측에 위치되며 상호 탈부착 가능한 보조지지밴드(7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8)는 수평지지밴드(13)가 자루부(810)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며 중심측에는 보조지지밴드(713)가 장착되며, 절제부(813)가 자루부(810)의 일측면(810a)의 상단과 하단의 수평지지밴드(13)들 사이와 수직지지밴드(15)들 사이에 절제되어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8)는 절제부(8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이부(861)와; 자루부 본체부(811)의 하단에 위치한 수평지지밴드(13)의 상단과, 마주하는 수직지지밴드(15)들의 측단과, 상단의 수평지지밴드(13)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어 제1이부(861)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제2이부(863)와, 제1이부(861)와 제2이부(863)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시키는 슬라이더(865)를 구비하는 지퍼구조를 갖는 개폐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9)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의 양단이 자루부(910)의 동일 측면에 위치한 수직지지밴드(15)들에 연결되고, 자루부(910)의 제1측면(910a)의 상부 모서리 양측이 절제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형상유지부재(141)가 장착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9)는 제1측면(910a)의 절제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된 제1이부(961)와, 제1측면(910a)와 직교하며 제1측면(910a)의 상부와 분리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의 가장자리측에 각각 장착된 제2이부(966)와, 제1이부(961)와 제2이부(963)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시키는 복수의 슬라이더(965)를 구비하는 지퍼구조를 갖는 개폐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는 사각형상유지수단과 측방배출부를 구비하여 적재 및 배출이 용이하여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저장용 포대 10 : 자루부
13 : 수평지지밴드 15 : 수직지지밴드
30 : 고리 20 : 하방배출구
40,140 : 사각형상유지수단 41,141 : 형상유지부재
42 : 제1연장부 48 : 제2연장부
54 : 회동연결부 460 : 측방배출부

Claims (7)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펼침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저장대상물을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되 조절끈에 의해 직경 조절이 가능한 하방배출구가 형성되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상기 자루부의 외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밴드와;
    상기 자루부의 외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밴드에 교차하며 상기 자루부의 폭 방향으로이격되는 수직지지밴드와;
    상기 자루부의 사각 형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자루부의 각 모서리 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 측이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을 제한하는 다수의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는 사각형상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의 일단부에서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자루부의 다른 측면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는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시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상호 접하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교차하는 상기 자루부의 다른 측면이 상호 직각 이상으로 확개되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 또는 다른 측면의 폭방향 단부측에서 중심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호 마주하는 단부측에 상기 제1경사면 또는 상기 제2경사면이 형성된 연장본체와; 구부러짐이 가능하게 상기 연장본체에서 적은 두께로 상기 자루부의 폭 방향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자루부와 상기 수직지지밴드 사이 또는 상기 수직지지밴드와 상기 수평지지밴드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은
    상호 면접 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각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대해 외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형성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의 상기 자루부에 인접한 측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연결된 측을 기준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가 확개 시 상기 회동연결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경사면과 상기 자루부 사이에 상기 회동연결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자루부에 인접한 측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연결부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절곡된 판 형상으로서, 상기 자루부에 인접한 상기 제1인입홈의 단부에서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제1회동지지부와, 상기 제1회동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회동지지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절곡되어 상기 자루부에 인접한 상기 제2인입홈의 단부로 연장된 제2회동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62014A 2019-12-06 2019-12-06 저장용 포대 KR10228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014A KR102287956B1 (ko) 2019-12-06 2019-12-06 저장용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014A KR102287956B1 (ko) 2019-12-06 2019-12-06 저장용 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633A KR20210071633A (ko) 2021-06-16
KR102287956B1 true KR102287956B1 (ko) 2021-08-09

Family

ID=7660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014A KR102287956B1 (ko) 2019-12-06 2019-12-06 저장용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9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05Y1 (ko) * 2006-03-11 2006-05-30 이석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KR101594160B1 (ko)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저장용 포대
KR101802707B1 (ko) * 2017-06-07 2017-11-28 구복술 측면 개방형 벌크-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623B1 (ko)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05Y1 (ko) * 2006-03-11 2006-05-30 이석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KR101594160B1 (ko)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저장용 포대
KR101802707B1 (ko) * 2017-06-07 2017-11-28 구복술 측면 개방형 벌크-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633A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9599A (en)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US6935508B2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ufacture
US4573204A (en) Slide fastener for flexible bulk container
US6394277B2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196080A1 (en)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365912B2 (en) 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US6196719B1 (en) Tip-over dischargeable bulk bag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US20010008567A1 (en) Contained with repositionable slip-sheet to cover outlet
US10071842B2 (en) Apparatus, kit and method of assembly of a collapsible bulk material container
US6834995B1 (en) Bulk bag having a pair of loops to secure the discharge opening in a closed position
CA3024777A1 (en) Reusable plastic container for storing and shipping of produce
KR102287956B1 (ko) 저장용 포대
US5924796A (en) One piec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802707B1 (ko) 측면 개방형 벌크-백
NZ205363A (en) Large collapsible bag with rectangular spout
KR20200002012U (ko)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배출구를 갖는 톤백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SK278368B6 (en) Flexible container
JPH08276944A (ja) コンテナバッグ
JP3100141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US20240101328A1 (en) Self-standing foldable container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13201046A1 (en) Gusseted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