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797B1 - 상하개방형 톤백 - Google Patents

상하개방형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797B1
KR102053797B1 KR1020180052581A KR20180052581A KR102053797B1 KR 102053797 B1 KR102053797 B1 KR 102053797B1 KR 1020180052581 A KR1020180052581 A KR 1020180052581A KR 20180052581 A KR20180052581 A KR 20180052581A KR 102053797 B1 KR102053797 B1 KR 10205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tone bag
reinforcing
ton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417A (ko
Inventor
윤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Priority to KR102018005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7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surrounded by a 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농산물을 적재하여 보관 및 이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상하개방형 톤백에 대한 것으로서,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통기성이 확보된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상부 조임끈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톤백 상측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면덮개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외측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가로보강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각각의 외측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 띠 모양의 세로보강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중에서 상호 인접한 면부의 인접한 세로보강부들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인양 고리; 대각선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4개의 삼각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가운데에 위치된 각 삼각형 부재의 꼭지점 부분에 구비된 조임부보강대에 하부 조임끈이 끼워지고 조여짐으로써 상기 톤백의 저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저면배출부; 및 상기 저면배출부의 상측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가로보강부 중 하나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임끈을 풀어서 상기 저면부의 4개 삼각형 부재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내려온 때에, 상기 타단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톤백의 저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저면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하개방형 톤백{Ton Bag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본 발명은 당근, 마늘, 무 등의 농산물을 담아서 이동 또는 보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톤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를 위해 개방될 수 있는 상면덮개부와 하적을 위해 개방될 수 있는 저면배출부를 구비한 상하개방형 톤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백(양곡마대)이라 함은 쌀, 콩, 팥, 양파, 마늘 등과 같은 곡물을 담아서 일정기간동안 저장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 상기 톤백은 일정량의 곡물 및 농산물들을 담을 수 있도록 측면부와 밑면부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측면부의 상측 끝단에 일정길이의 조임끈이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가 형성되며, 상층부에는 적재물이 투입되어 저장된 톤백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 개의 인양 고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톤백은 상층의 개구부를 통해 일정량의 적재물을 투입한 후 조임끈을 조여서 개구부가 밀봉되도록 하며, 이후 크레인 기구 등을 인양 고리에 걸어서 적재물이 담겨진 톤백을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하고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곡물이나 채소 등의 내용물이 적재된 톤백은 통상적으로 사각형의 파렛트에 안착되어 저온 저장창고에 저장되는데, 양파나 감자와 같이 외주면이 둥근 내용물이 톤백 내부에 저장될 경우 톤백의 외주면이 둥글게 부풀어 오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일정량의 내용물을 담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톤백의 외주면이 둥글게 부풀어 올라서 톤백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내용물이 톤백 내부에 높이 적재되었을 경우에는 어느 방향으로든 붕괴될 가능성이 있어 톤백에 적재된 내용물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또한 붕괴시에 창고내부의 작업자들이 부상당할 안전사고 우려 또한 없지 않다. 더욱이, 톤백이 파렛트에 안착된 상태에서 저온 저장창고에 투입될 때 원형으로 둥글게 형성된 톤백 형상 때문에 상기 파렛트 사이에 유휴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내용물에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저장창고의 저장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톤백이 농산물 적재시에 둥글게 부풀어 오르지 않고 사각형, 즉 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톤백의 구조와 제조방법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88098호(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톤백은 다수의 가로 보강대 및 세로 보강대에 의해 전후좌우측면 및 저면이 보강된 한편 다수의 사각형성대가 톤백의 모서리 부근에 구비됨으로써 톤백이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유지되는 형상 안정성이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특허문헌 1의 톤백은 형상 안정성의 강화에 치중하다 보니 적재된 내용물의 하적시에 개방되는 저면의 배출부가 너무 작게 형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당근, 마늘, 무 등과 같이 (상품화를 위한 손질을 거치기 이전에) 줄기 부분이 덩어리진 뿌리 부분에 부착된 상태로 있는 농산물의 경우 줄기 부분이 서로 엉키기도 하고 톤백의 저면부 망사에 끼이기도 하여 저면의 배출부를 통한 농산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톤백의 형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용물을 보다 신속하게 또한 간섭없이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톤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88098호(2016.12.20.공고)“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상하개방형 톤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 안정성이 유지되면서도 내용물의 하적이 편리한 상하개방형 톤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늘, 무, 당근 등과 같이 덩어리진 뿌리에 줄기가 부착된 농산물을 톤백 저면의 배출부를 통하여 하적할 때에 줄기가 엉켜서 하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톤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기가 내용물에 균일하게 공급됨으로써 톤백이 보관되는 저온 저장창고의 저장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상하개방형 톤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하게 제조가능한 경제적인 상하개방형 톤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은,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통기성이 확보된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되, 유연한 망사 재질로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에 끼워진 상부 조임끈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톤백 상측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면덮개부; 소정 폭을 가진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외측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가로보강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각각의 양측단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각각의 외측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 띠 모양의 세로보강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중에서 상호 인접한 면부의 인접한 세로보강부들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인양 고리; 대각선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4개의 삼각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가운데에 위치된 각 삼각형 부재의 꼭지점 부분에 하부 조임끈이 끼워질 수 있는 조임부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4개 삼각형 부재의 상기 조임부보강대에 상기 하부 조임끈이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하부 조임끈을 조임으로써 상기 4개 삼각형 부재에 의해 상기 톤백의 저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저면배출부; 및 상기 저면배출부의 상측으로 상기 톤백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가로보강부 중 하나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임끈을 풀어서 상기 저면부의 4개 삼각형 부재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내려온 때에, 상기 타단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톤백의 저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저면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삼각형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로보강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임부보강대와 결합된 저면보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면보강부는, 상기 톤백의 저면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 망사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측면 보강부,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와 평행하게 부착된 중앙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보강부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상단 가로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 고리가 연결되는 상호 인접한 두 세로보강부들과 상기 인양 고리는 하나의 띠 모양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보강부는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 외의 나머지 가로보강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에는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에 의하면, 톤백의 형상 안정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면서도 내용물의 하적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마늘, 무, 당근 등과 같이 덩어리진 뿌리와 그로부터 길게 뻗은 줄기 부분을 가지는 농산물이 톤백에서 하적될 때 줄기들이 서로간에 또는 톤백 저면과 엉키는 문제를 해소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톤백의 우수한 형상 안정성 덕분에, 톤백이 보관되는 저온 저장창고 내에서 냉기가 톤백 내부의 내용물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저온 저장창고의 저장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처럼 형상 안정성과 작업효율이 우수하면서도 톤백 제조비용이 종래에 비해 크게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면덮개부가 상부 조임끈에 의해 조여져 톤백 상측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톤백 내부가 드러나도록 상면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의 일 모서리 부분 확대도이자 본 발명의 톤백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저면도로서, 하부 조임끈에 의해 저면배출부가 조여져 톤백 저면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저면도로서, 하부 조임끈이 풀려서 저면배출부가 개방되되, 저면보강부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상태를 톤백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측면도로서, 하부 조임끈이 풀려서 저면배출부가 개방되고, 저면보강부 또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톤백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상면덮개부가 상부 조임끈에 의해 조여져 톤백 상측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톤백 내부가 드러나도록 상면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망사로 직조되어 통기성이 확보된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 등 네 개의 측면(본 명세서에서 “측면”은 문맥에 따라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지칭)과 저면부(150)를 포함하고, 상측은 개방된 직육면체의 톤백 본체(100)를 포함한다(도 2 참조).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톤백 본체(100)의 개방된 상측에는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의 상단 가장자리에 의해 가상의 톤백 상부면이 형성되고, 이 가상의 톤백 상부면은 후술하는 상면덮개부(1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망사 형태로 형성된 톤백 본체(100)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직조되어 제조될 수 있다.
톤백 본체(100)의 상측에는,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면덮개부(160)가 구비된다. 상면덮개부(160)는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와는 별개로 제조된 후 상기 전면부(110) 등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덮개부(160)는 상기 전면부(110) 등의 재질보다 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망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상면덮개부(16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부 조임끈 수용부(161)의 내측에 끼워진 상부 조임끈(169)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톤백 본체(10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도 1). 상기 상부 조임끈(169)을 풀어서 상면덮개부(160)를 펼침으로써 톤백 본체(100)의 상부를 개방할 때에 톤백 본체(100)의 상부가 활짝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조임끈(169)의 길이는 상기 4개 측면의 상단 가장자리의 둘레 길이를 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톤백 본체(100)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가로보강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가로보강부(200)는 소정 폭을 가진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의 외측면(톤백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한 면을 지칭)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부착된다. 상하방향 일 위치에서, 가로보강부(200)는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 각각에 대응하여 부착되는 낱개의 부재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부(110), 좌측면부(130), 후면부(120) 및 우측면부(140)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하나의 기다란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가로보강부(200)는 예를 들어 톤백 본체(100)보다 치밀한 조직으로 직조되어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소재(PP소재 등)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보강부(200)는 상기 전면부(110) 등의 상단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상단 가로보강부(210)와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하단 가로보강부(230), 그리고 그 사이 위치에 부착되는 중간 가로보강부(220)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톤백 본체(100)는 상기 가로보강부(200) 외에 세로보강부(300)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로보강부(300)는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세로보강부(300)는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 각각의 양측단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되 한 쌍의 세로보강부(300) 상호간에도 소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세로보강부(300)는 상기 전면부(110) 등의 외측면에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세로보강부(300)가 상기 전면부(110) 등 외측면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서만 연장되고 종래기술(특허문헌1)과 같이 저면부(150)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면부가 넓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하개방형 톤백에는, 톤백 본체(100)에서 상기 전면부(110), 후면부(120), 좌측면부(130) 및 우측면부(140) 중 상호 인접한 측면의 인접한 세로보강부들(300)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인양 고리(400)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즉, (평면도에서 본) 사각형 톤백 본체(100)의 네 귀퉁이에 각각 하나씩 총 4개의 인양 고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양 고리(400)는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에 의해 톤백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인양 고리(400)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세로보강부(300)의 상단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인양 고리(40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보강부(300)와 애초에 일체로 제작되어 톤백 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인양 고리(400)와 세로보강부(300)가 일체로 제작된 경우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210)와의 결합 부위는 인양 고리(400)의 일부로 지칭될 수도 있고 세로보강부(300)의 일부로 지칭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세로보강부(300)는 상기 가로보강부(20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210)와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2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세로보강부(300)와 인양 고리(400)가 일체로 제작되어 톤백 본체(10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210)와의 결합부위에서 상단 가로보강부(210)의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양 고리(400)는 톤백의 운반시에 큰 하중을 받게 되고, 농산물 등 내용물의 적재 상태에 따라서는 인양 고리(400)와 톤백 본체(100)와의 결합 부분, 특히 톤백 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와의 결합 부분을 분리시키는 방향의 하중이 가해질 수도 있다. 상단 가로보강부(210)를 세로보강부(300)의 외측, 즉 인양 고리(4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세로보강부(300) 또는 인양 고리(400)가 상단 가로보강부(210)와 각 측면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단 가로보강부(210)는 인양 고리(400)가 톤백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로보강부(200), 세로보강부(300) 및 인양 고리(400)(인용 고리가 세로보강부와 별개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경우)는 봉재에 의해 상기 톤백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그 외에 접착 등 다른 결합 방법에 의해 또는 이러한 여러 결합 방법들의 조합에 의해 톤백 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형상 안정성을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의 일 모서리 부분 확대도이자 본 발명의 톤백의 사용상태도이다.
망사 형태로 제조된 톤백은 통기성은 좋으나 곡물이나 흙 등을 담는 마대와 달리 그 소재 특성상 농산물 등의 적재시에 하중에 의해 둥글게 부풀어 올라 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톤백을 운반할 때와 톤백을 저장하기 위해서 창고 내의 사각 파렛트 위에 내려놓을 때 톤백 내에 적재된 농산물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내용물 적재시 일정량을 적재하기도 어렵다. 이를 보완하여 톤백의 사각형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 중 일부가 바로 망사형이 아닌 단단한 PP소재의 가로보강부(200)와 세로보강부(300)이고, 다른 수단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모서리지지부(500)이다.
상기 톤백 본체(100)의 내측의 각 모서리(101)에는 띠 형상으로 직조되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모서리지지부(500)가 구비된다. 모서리지지부(500)는 상기 가로보강부(200)와 세로보강부(300)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도 4와 같은 형태로 인접한 측면으로 가로질러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모서리지지부(500)는 상기 가로보강부(200)와 상하방향으로 엇갈린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보강부(200)에는 고정되지 않고 상기 세로보강부(300)에만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모서리지지부(500)는 톤백 본체(100)의 각 모서리(101)가 사각형의 모서리를 형성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튼튼하게 폴리프로필렌(PP)으로 직조된다.
모서리지지부(500)가 구비됨으로써 톤백 본체(100)의 내부에 내용물이 적재될 때 톤백 본체(100)가 외측으로 둥글게 부풀어 오르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고 사각형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지지부(500)는 적재된 농산물이 톤백 본체(100)의 모서리(101) 부분에 투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톤백 본체(100)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지 않고 원래의 사각형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미리 설정된 기준치의 양만큼 일정하게 농산물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모서리지지부(500)는 합성수지로 직조되고 서로 인접한 측면에 끝부분이 봉재로 고정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그 봉재 고정작업이 간단하므로 노동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어, 다량의 제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사각형의 모서리(101)가 그 형상이 유지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파, 감자, 마늘과 같은 내용물(m)이 톤백 본체(100)내에 수납될 경우에 수납된 내용물(m)은 각 측면(110, 120, 130, 140)에 힘을 가하여 측면들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모서리지지부(500)가 고정된 모서리(101)에서는,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지지부(500)에 내용물(m)의 외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는 반면에, 모서리지지부(5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모서리(101)에는 내용물(m)의 하중이 미치지 않게 된다. 즉, 모서리지지부(500) 뒤의 모서리(101) 부분에 배치된 내용물(m')에는 외측으로 팽창되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모서리(101) 부분의 각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저면부(15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겠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일실시예의 저면도로서, 도 6은 하부 조임끈에 의해 저면배출부가 조여져 톤백 저면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하부 조임끈이 풀려서 저면배출부가 개방되되, 저면보강부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도 7의 상태를 톤백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하부 조임끈이 풀려서 저면배출부가 개방되고, 저면보강부 또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톤백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의 저면부(150)는 농산물 등의 적재 또는 저장시에는 저면배출부(600) 및 저면보강부(7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농산물 등의 내용물을 톤백 하측으로 하적하고자 할 때에는 개방될 수 있다.
저면배출부(600)는 톤백 본체(100)의 저면부(150)의 최하측에 위치하며, 사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4개의 삼각형 부재(610)에 의해 저면부(15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저면보강부(700)는 상기 저면배출부(600)의 바로 상측에 구비되어 저면배출부(600)를 보완 또는 보강하여, 내용물이 적재된 톤백을 운반할 때에 톤백의 저면부(150)가 내용물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저면배출부(600)는 톤백 본체(100)의 저면부(150)가 대각선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4개의 삼각형 부재(6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삼각형 부재(6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장변(最長邊)은 저면부(150)에 붙어 있고,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저면배출부(600) 가운데 부분) 양측의 단변(短邊) 부분이 절개되어 삼각형 부재(610)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웃한 삼각형 부재(610)들이 서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 부분은 조임부보강대(630)에 의해 뭉툭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상기 삼각형 부재(6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저면부(150)를 대각선을 따라 절개할 때에는 대각선 양단부 부근 일부를 제외하고 절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삼각형 부재(610)들을 제외한, 절개되지 아니한 저면부(15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테두리 형상(도 7 참조)이 저면부(150)가 사각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조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저면부(150)가 대각선을 따라 끝에서 끝까지 절개된다면, 톤백을 인양하고 상기 저면배출부(600) 및 저면보강부(700)를 개방하였을 때, 상황에 따라 저면부(150)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쉽게 접히거나 뒤틀어질 수 있게 되므로, 내용물이 원하는 위치를 벗어난 곳으로 배출되어 손상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저면부(150)를 대각선을 따라 충분히 절개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톤백의 횡단면 대비 저면배출부(600)의 개방면적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본 발명의 톤백에 주로 적재될 무, 마늘, 당근 등의 농산물을 하적할 때에 저면부(150) 가장자리의 망사에 줄기 부분이 걸려서 배출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저면부(150)의 대각선에서 절개되지 아니한 부분의 길이는 대각선 총 길이의 1/10 - 1/1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되지 아니한 저면부(15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테두리 부분에는 망사가 아닌 부재를 덧대거나 하단 가로보강부(230)가 저면부(150)의 가장자리 쪽으로 조금 연장되도록 구성하여(도 6 참조), 무, 마늘, 당근 등의 농산물의 줄기 부분이 저면부(150) 가장자리의 망사에 끼이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저면부(150)를 대각선 방향으로 끝에서 끝까지 절개하여 저면배출부(600)를 형성하면 저면부(150)의 개방면적이 극대화되어 내용물의 배출에 보다 유리해진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 경우 저면부(150)의 형상안정성 부분은 가로보강부(200)들에 의해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삼각형 부재(610)에는, 일단부가 상기 가로보강부(200) 중 하나, 예를 들어 하단 가로보강부(23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임부보강대(630)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삼각형 부재(610)의 중심선(상기 최장변의 중앙에서 상기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을 잇는 선)을 따라 부착된 저면보강대(67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면보강대(670)의 상기 일단부는 가로보강부(200)에 결합되지 않고 저면부(150)의 망사 부분 가장자리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저면보강대(670) 역시 봉재에 의해 상기 톤백 본체(100)의 저면부(150)에 결합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다른 결합 방법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임부보강대(630)는 하부 조임끈(69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4개 삼각형 부재(610)의 상기 조임부보강대(630)에 상기 하부 조임끈(690)이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끼워져서 조여지면, 상기 4개의 삼각형 부재(610)의 조임부보강대(63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배출부(600)의 가운데로 모이게 되고, 이로써 상기 4개의 삼각형 부재(610)로 이루어진 상기 저면배출부(600)가 톤백 본체(100)의 저면부(150)를 폐쇄하게 된다. 다만, 이때 저면배출부(600)의 중앙 부분에는 4개의 상기 조임부보강대(630)가 만나서 형성되는, 저면배출부(600)에 의해 막혀지지 않는 통공부(650)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저면배출부(600)는, 그 조임 구조 때문에 형성된 상기 통공부(650)를 통하여 톤백 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농산물 등이 유출될 수 있고, 또한 무, 마늘, 당근 등의 농만술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저면부(150)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삼각형 부재(610) 사이의 절개부(620)를 통해서도 내부의 농산물 등이 유출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조치 또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개방형 톤백에서는 톤백 내부에서 상기 저면배출부(600)의 바로 상측에 상기 저면보강부(7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저면보강부(700)는 상기 저면부(150)와 유사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저면부(150)의 통기성 유지를 위해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형성된다(도 7). 저면보강부(700) 역시 톤백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PE 또는 PP 재질로 직조될 수 있다.
상기 저면보강부(700)의 일단부는 상기 측면들(110, 120, 130, 140) 중 하나의 가로보강부(200), 예를 들어 하단 가로보강부(23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된다(도 9 및 도 10).
또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저면보강부(700)는 자유단인 상기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710),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측면 보강부(720), 그리고 상기 저면보강부(700)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710)와 평행한 방향으로 부착된 중앙 보강부(730)를 구비함으로써 형상 안정성이 강화되어, 톤백 본체(100)의 저면부(150)가 평평한 면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하부 조임끈(690)이 조여져서 상기 저면배출부(600)가 폐쇄된 때에는(도 6), 상기 저면보강부(700)가 상기 저면배출부(600)의 바로 상측에 펼쳐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도 7 참조) 상기 통공부(650)와 삼각형 부재(610) 사이의 절개부(620)가 차단 및 보강되어, 톤백을 들어올릴 때나 운반할 때에 톤백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통공부(650)나 절개부(620)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론, 상기 하부 조임끈(690)에 의해 조여져서 톤백 저면부(150)를 1차 폐쇄하는 상기 저면배출부(600)에 의해 상기 저면보강부(70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됨으로써, 상기 저면보강부(700)가 톤백의 저면부(150)를 2차 폐쇄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조임끈(690)을 풀어서 상기 저면배출부(600)의 상기 4개의 삼각형 부재(610)가 저면부(150)의 가장자리 부분을 축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되어 내려옴으로써 저면부(150)가 1차 개방이 되면(도 7 및 도 8),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저면보강부(700)는 상기 일단부를 축으로 하여 하향 회전되어 상기 타단부가 아래로 내려올 수 있게 되고(도 9 및 도 10), 이로써 톤백 본체(100)의 저면부(150)는 2차 개방되어 완전히 개방되게 되며, 비로소 내측의 내용물이 완전 개방된 저면부(15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실제에서는, 상기 톤백이 들여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 조임끈(690)을 풀게 되면, 톤백 내부의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저면보강부(700)가 밀려내려가고, 밀려내려오는 저면보강부(700)에 의해 저면배출부(600)의 상기 4개의 삼각형 부재(610)가 밀리면서 열리게 되어, 톤백 내부의 내용물이 하측으로 배출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저면보강부(700)는 상기 저면배출부(600)의 저면부(150) 폐쇄 기능을 보완 및 보강할 뿐 아니라, 톤백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이 하측으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부재로서도 작용하여, 톤백의 내용물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또는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저면배출부(600) 역시 상기 저면보강부(700)가 위치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서 저면부(150) 하측으로 늘어뜨려진 가이드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톤백 내부의 내용물이 톤백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범위 내로 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안정성이 강화된 측면 개방형 톤백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톤백 본체 101 : 모서리
110 : 전면부 120 : 후면부
130 : 좌측면부 140 : 우측면부
150 : 저면부 160 : 상면덮개부
161 : 상부 조임끈 수용부 169 : 상부 조임끈
200 : 가로보강부 210 : 상단 가로보강부
220 : 중간 가로보강부 230 : 하단 가로보강부
300 : 세로보강부 400 : 인양 고리
500 : 모서리지지부 600 : 저면배출부
610 : 삼각형 부재 620 : 절개부
630 : 조임부보강대 650 : 통공부
670 : 저면보강대 690 : 하부 조임끈
700 : 저면보강부 710 :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
720 : 측면 보강부 730 : 중앙 보강부
m, m' : 내용물

Claims (4)

  1. 각종 농산물을 적재하여 보관 및 이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톤백에 있어서,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통기성이 확보된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되, 유연한 망사 재질로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에 끼워진 상부 조임끈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톤백 상측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면덮개부;
    소정 폭을 가진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외측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가로보강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각각의 양측단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각각의 외측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 띠 모양의 세로보강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중에서 상호 인접한 면부의 인접한 세로보강부들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인양 고리;
    대각선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4개의 삼각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가운데에 위치된 각 삼각형 부재의 꼭지점 부분에 하부 조임끈이 끼워질 수 있는 조임부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4개 삼각형 부재의 상기 조임부보강대에 상기 하부 조임끈이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하부 조임끈을 조임으로써 상기 4개 삼각형 부재에 의해 상기 톤백의 저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저면배출부; 및
    상기 저면배출부의 상측으로 상기 톤백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가로보강부 중 하나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임끈을 풀어서 상기 저면부의 4개 삼각형 부재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내려온 때에, 상기 타단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톤백의 저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저면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면보강부는 상기 톤백의 저면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 망사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측면 보강부, 및 가운데 부분에 상기 말단부 가장자리 보강부와 평행하게 부착된 중앙 보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개방형 톤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가로보강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임부보강대와 결합된 저면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개방형 톤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강부는 상기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상단 가로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 고리가 연결되는 상호 인접한 두 세로보강부들과 상기 인양 고리는 하나의 띠 모양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보강부는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 외의 나머지 가로보강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 가로보강부에는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개방형 톤백.

  4. 삭제
KR1020180052581A 2018-05-08 2018-05-08 상하개방형 톤백 KR102053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581A KR102053797B1 (ko) 2018-05-08 2018-05-08 상하개방형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581A KR102053797B1 (ko) 2018-05-08 2018-05-08 상하개방형 톤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17A KR20190128417A (ko) 2019-11-18
KR102053797B1 true KR102053797B1 (ko) 2019-12-09

Family

ID=6872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581A KR102053797B1 (ko) 2018-05-08 2018-05-08 상하개방형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9393B (zh) * 2023-07-25 2023-10-20 山东远科非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精制高岭土用包装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58B1 (ko) * 2012-07-16 2013-02-13 박현복 농산물 저장용 포대
KR101594160B1 (ko)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저장용 포대
KR200485469Y1 (ko) * 2016-08-17 2018-01-11 도창옥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벌크 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98B1 (ko)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KR20170003515U (ko) * 2016-04-01 2017-10-13 서정욱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58B1 (ko) * 2012-07-16 2013-02-13 박현복 농산물 저장용 포대
KR101594160B1 (ko)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저장용 포대
KR200485469Y1 (ko) * 2016-08-17 2018-01-11 도창옥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벌크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17A (ko)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558B1 (ko) 저온 저장용 톤백
US4596040A (en) Large bulk bag
JP6298333B2 (ja) 自立型フレコン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8365912B2 (en) Wire contain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KR101232758B1 (ko) 농산물 저장용 포대
KR101397623B1 (ko)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688098B1 (ko)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US20230150728A1 (en) Firewood transport & storage assembly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KR101688096B1 (ko) 측면 개방형 톤백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1802707B1 (ko) 측면 개방형 벌크-백
KR101935827B1 (ko) 작업안정성이 강화된 측면 개방형 직립톤백
TWM593371U (zh) 蔬菓收置籃結構改良
KR200485469Y1 (ko)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벌크 백
KR101565146B1 (ko) 전복가능한 포대
JPS593966Y2 (ja) 粉粒物の荷役用袋
JPH0350071Y2 (ko)
KR102051653B1 (ko) 저장용 포대
KR200480316Y1 (ko) 하역 보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