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845B1 - 톤백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톤백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845B1
KR101441845B1 KR1020140004932A KR20140004932A KR101441845B1 KR 101441845 B1 KR101441845 B1 KR 101441845B1 KR 1020140004932 A KR1020140004932 A KR 1020140004932A KR 20140004932 A KR20140004932 A KR 20140004932A KR 101441845 B1 KR101441845 B1 KR 10144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neau
opening
support frame
binding
rel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기
김지철
변철구
민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00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25Removing or cutting binding material, e.g. stra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톤백 개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톤백 개방장치는, 톤백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상기 톤백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상부에 톤백 안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톤백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톤백을 개방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에 걸림되도록 작동된 후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결속끈의 해제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되는 결속끈 해제부; 및 상기 결속끈 해제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톤백 개방장치{APPARATUS FOR OPENING TONBAG}
본 발명은 톤백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톤백에 담긴 내용물을 해당 장소에서 배출 시 톤백의 개방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는 톤백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백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식물원료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정해진 중량으로 담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할 때(이하 ‘내용물을 처리할 때’로 함) 사용된다.
이러한 톤백의 일반적인 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운반 시 지게차의 포크를 걸 수 있도록 2개 내지 3개의 운반용 끈이 형성되고, 운반용 끈은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톤백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는 톤백에 형성되는 결속끈에 의해 폐쇄 또는 개방된다. 즉, 개방부는 결속끈을 묶는 경우에 폐쇄되며 묶인 결속끈을 풀 경우에 개방된다. 이러한 개방부는 평상 시 톤백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톤백에 상부 측으로 내용물을 담아 해당 장소로 운반한 뒤 톤백의 하부 측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톤백의 개방부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결속끈을 풀어 개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톤백은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개방부를 개방 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결속끈을 풀어 개방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결속끈은 톤백에 담겨 있는 내용물 중량의 하중에 의해 매듭의 결속 상태가 더욱 견고해져 쉽게 풀리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개방부의 개방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204호(톤백 절개장치)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톤백 절개장치는 내용물의 배출 시 톤백의 하측 외주면을 칼날에 의해 자동으로 개봉하여 내용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톤백 절개장치는 톤백의 내용물을 배출 시 톤백의 하측 외주면을 칼날로 절개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톤백을 재활용할 수 없고, 톤백의 재구입에 따라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톤백에 담긴 내용물을 해당 장소에서 배출 시 톤백의 개방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는 톤백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톤백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상기 톤백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상부에 톤백 안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톤백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톤백을 개방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에 걸림되도록 작동된 후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결속끈의 해제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되는 결속끈 해제부; 및 상기 결속끈 해제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톤백 안착부의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톤백의 하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톤백 지지프레임; 상기 톤백 안착부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부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과 상기 개방부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끈 해제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결속끈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결속끈 해제부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압 또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레버 형태의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는,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과 상기 개방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지지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도록 하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개방부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톤백의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의 결속상태를 결속끈 해제부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 해제할 수 있는 톤백 개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결속끈의 해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톤백의 개방부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톤백 개방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톤백 개방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톤백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톤백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톤백 개방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톤백 개방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톤백 개방장치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톤백 개방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톤백 개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폐쇄시킨 결속끈(3)의 결속을 해제하여 개방부(2)를 개방하도록 본체(10)에 마련되는 결속끈 해제부(20)와, 그리고 결속끈 해제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톤백(1)은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운반 시 지게차의 포크를 걸 수 있도록 2개 내지 3개의 운반용 끈이 형성되고, 운반용 끈은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톤백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방부(2)가 형성되며, 개방부(2)는 톤백(1)에 형성되는 결속끈(3)에 의해 폐쇄 또는 개방된다. 즉, 개방부(2)는 결속끈(3)을 묶는 경우에 폐쇄되며 묶인 결속끈(3)을 풀 경우에 개방된다. 이러한 개방부(2)는 평상 시 톤백(1)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체(10)는 톤백(1)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톤백(1)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는 톤백 안착부(12)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톤백 지지프레임(14)과, 톤백 지지프레임(14)과 함께 톤백 안착부(12)를 형성하도록 톤백 지지프레임(14)의 내부에 마련되는 개방부 지지프레임(16)과, 그리고 톤백 지지프레임(14)과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8)를 포함한다.
여기서 톤백 안착부(12)는 톤백(1)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톤백 지지프레임(14)과 개방부 지지프레임(16)으로 구성되어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이에 톤백(1)에 저장된 내용물을 개방부(2)를 통해 배출하려는 경우 톤백(1)은 톤백 안착부(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톤백 안착부(12)는 톤백(1)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부(2)를 개방하려는 경우 톤백(1)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톤백 안착부(12)는 톤백(1)의 하부영역이 일부 수용되어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톤백 지지프레임(14)과 개방부 지지프레임(16)에 의해 전체적으로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톤백 안착부(12)에 안착되는 톤백(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톤백 지지프레임(14)은 톤백 안착부(12)의 상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톤백 지지프레임(14)은 본체(10)의 상부에 톤백(1)의 하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톤백 안착부(12)에 안착된 톤백(1)의 하부영역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톤백 지지프레임(14)은 하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다수의 지주(15)가 마련되며, 지주(15)는 후술하는 개방부 지지프레임(16)과 보강리브(15A)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보강리브(15A)는 지주(15)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개방부 지지프레임(16)과 연결된다.
즉, 지주(15)는 톤백 지지프레임(14)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며, 보강리브(15A)는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지주(15)와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은 톤백 안착부(12)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은 톤백 지지프레임(14)의 내부, 다시 말해 톤백 지지프레임(14)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톤백 지지프레임(14)의 내부에서 톤백(1)에 형성된 개방부(2)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톤백(1)의 개방부(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리브(18)는 톤백 지지프레임(14)과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톤백 지지프레임(14)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개방부 지지프레임(16)에 연결되어 지주(15)에 마련된 보강리브(15A)와 함께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개방부 지지프레임(16)은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결속끈 해제부(20)는 톤백(1)의 개방부(2)를 폐쇄시킨 결속끈(3)의 결속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메인프레임을 구성하는 실린더(22)와, 실린더(22)에 마련되는 로드(24)와, 그리고 로드(24)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후크(26)를 포함한다.
실린더(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24)를 개방부(2)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실린더(22)는 지주(15) 사이에 마련되는 받침부(21)에 톤백(1)의 개방부(2)를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여기서 지주(15) 사이에 마련되는 받침부(21)는 실린더(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실린더(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로드(24)를 톤백(1)의 개방부(2) 방향으로 돌출 또는 복원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로드(24)는 실린더(22)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로드(24)는 사용자 조작부(30)의 조작에 따라 실린더(22)로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22)로부터 돌출되거나 복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로드(24)는 실린더(22)에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톤백(1)의 개방부(2)로 돌출 또는 복원될 수 있도록 실린더(22)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게 된다.
즉, 로드(24)는 실린더(22)에 공기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실린더(22)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작동되어 톤백 안착부(12)에 안착된 톤백(1)의 개방부(2)로 돌출되거나 또는 복원될 수 있게 된다.
후크(26)는 로드(24)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후크(26)는 로드(24)의 작동에 따라 톤백(1)의 개방부(2)를 폐쇄시킨 결속끈(3)에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후크(26)와 결속끈(3)의 걸림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속끈 해제부(20)는 실린더(22)에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24)를 톤백 안착부(12)에 안착된 톤백(1)의 하부영역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키고 개방부(2)를 폐쇄시킨 결속끈(3)에 후크를 걸림시킨 후 결속끈(3)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실린더로부터 돌출된 로드를 복원시킴으로써 개방부(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 조작부(30)는 결속끈 해제부(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조작부(30)는 본체(10)에 마련된 지주(15)에 결속끈 해제부(20)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압 또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레버 형태의 조작부로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30)의 조작에 따라 외부에서 결속끈 해제부(20)로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흐름을 편리하게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톤백 개방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마련된 톤백 안착부(12)에 톤백(1)의 하부영역이 안착되면, 사용자 조작부(30)의 조작에 따라 결속끈 해제부(20)에 외부의 공기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결속끈 해제부(20)에 공기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면, 로드(24)는 실린더(22)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면서 실린더(22)로부터 톤백(1)의 개방부(2)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작동되기 시작한다. 즉, 로드(24)는 실린더(22)로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선단부에 마련된 후크(26)가 톤백(1)의 개방부(2)를 폐쇄시킨 결속끈(3)에 인접할 수 있도록 실린더(22)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로드(24)의 작동에 따라 후크(26)가 결속끈(3)에 인접되면, 사용자는 후크(26)에 결속끈(3)의 매듭을 걸림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6)가 결속끈(3)의 매듭에 걸림되면, 사용자 조작부(30)의 조작에 따라 결속끈 해제부(20)에 외부의 공기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때, 공기압 또는 유압은 실린더(22)로부터 돌출된 로드(24)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린더(22)에 로드(24)를 복원시킬 수 있는 공기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면, 로드(24)는 톤백(1)의 개방부(2)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린더(22)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여 복원되도록 작동되며 후크(26)는 로드(24)의 작동에 따라 결속끈(3)을 기계적인 힘으로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결속끈(3)의 결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결속끈(3)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면, 개방부(2)는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됨으로써 톤백(1)의 내용물이 개방부(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백 개방장치는, 톤백(1)의 개방부(2)를 폐쇄시킨 결속끈(3)의 결속상태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제하여 개방부(2)를 개방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결속끈(3)의 결속상태를 결속끈 해제부(20)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 해제함으로써, 결속끈(3) 해제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톤백(1)의 개방부(2)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톤백 안착부
14: 톤백 지지프레임 16: 개방부 지지프레임
18: 지지리브 20: 결속끈 해제부
30: 사용자 조작부

Claims (6)

  1. 톤백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상기 톤백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상부에 톤백 안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톤백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톤백을 개방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킨 결속끈에 걸림되도록 작동된 후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결속끈의 해제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되는 결속끈 해제부; 및
    상기 결속끈 해제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톤백 안착부의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톤백의 하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톤백 지지프레임;
    상기 톤백 안착부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부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 지지프레임;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과 상기 개방부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끈 해제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결속끈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결속끈 해제부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압 또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레버 형태의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리브는,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과 상기 개방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톤백 지지프레임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도록 하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개방부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개방장치.
KR1020140004932A 2014-01-15 2014-01-15 톤백 개방장치 KR10144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932A KR101441845B1 (ko) 2014-01-15 2014-01-15 톤백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932A KR101441845B1 (ko) 2014-01-15 2014-01-15 톤백 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845B1 true KR101441845B1 (ko) 2014-09-18

Family

ID=5176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932A KR101441845B1 (ko) 2014-01-15 2014-01-15 톤백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353A (zh) * 2020-12-19 2021-03-02 淮阴工学院 一种吨袋自动解袋装置及解袋方法
KR102443499B1 (ko) 2022-05-31 2022-09-14 황석준 로터리 방식의 톤백 포장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842A (ko) * 1999-08-10 2001-08-20 페터스,슈베르트페거 용적 자루 비움 장치 및 방법
KR100504326B1 (ko) 2005-03-08 2005-07-28 주식회사 자동기 톤백 절개장치
KR101080204B1 (ko) 2011-05-16 2011-11-07 정원아이디어 주식회사 톤백 절개장치
KR101197681B1 (ko) 2009-12-28 2012-11-09 곽윤환 톤백 절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842A (ko) * 1999-08-10 2001-08-20 페터스,슈베르트페거 용적 자루 비움 장치 및 방법
KR100504326B1 (ko) 2005-03-08 2005-07-28 주식회사 자동기 톤백 절개장치
KR101197681B1 (ko) 2009-12-28 2012-11-09 곽윤환 톤백 절개장치
KR101080204B1 (ko) 2011-05-16 2011-11-07 정원아이디어 주식회사 톤백 절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353A (zh) * 2020-12-19 2021-03-02 淮阴工学院 一种吨袋自动解袋装置及解袋方法
KR102443499B1 (ko) 2022-05-31 2022-09-14 황석준 로터리 방식의 톤백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771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from a bag
KR101441845B1 (ko) 톤백 개방장치
US6431753B1 (en)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US20030047561A1 (en)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side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placing said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to a shipping container
US20130005225A1 (en) Automatic abrasive sand delivery machine especially for water-jet cutting machines
EP1678058B1 (en) Bulk bag
US20170022016A1 (en) Bulk Bag Design With Pass-Through Forklift Tine Sleeves and Method of Use
AU2002213503A1 (en)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JP2007091315A (ja) フレコンパック
KR101846462B1 (ko) 이동식 소화제 저장조 및 산불 진화 시스템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110008890U (ko) 톤백
US9254935B2 (en)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carrier therefor
KR101565146B1 (ko) 전복가능한 포대
JP2006315722A (ja) 充填物導入装置
US20140346176A1 (en) Trash bag securing system
AU2015100532A4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Discharge of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RU158744U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сбор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зерна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FI127198B (fi) Laite rakeisen aineen annostelemiseksi ja varastoimiseksi
US8777060B2 (en) Discharger for side-secured bag spout
JP3240001U (ja) 揚重機器用運搬袋
RU122080U1 (ru) Внутренний вкладыш гиб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JP2005335807A (ja) 遠隔操作で開封可能な安全性の高いコンテナ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