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082B1 - 베플 백 - Google Patents
베플 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6082B1 KR102296082B1 KR1020210030784A KR20210030784A KR102296082B1 KR 102296082 B1 KR102296082 B1 KR 102296082B1 KR 1020210030784 A KR1020210030784 A KR 1020210030784A KR 20210030784 A KR20210030784 A KR 20210030784A KR 102296082 B1 KR102296082 B1 KR 102296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exterior material
- interior
- exterior
- baffle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06—Large containers flexible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16—Large container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플 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기능을 갖는 베플 백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장재와, 외장재의 횡방향 형상을 유지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와 상기 외장재 사이에 구비되며, 방수 재질인 내장재를 포함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부스러기 또는 수분이 탈락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내장재에 보강재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보강재 및 외장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과 재봉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재봉시 타공되는 홀을 통해 부스러기 또는 수분이 탈락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플 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기능을 갖는 베플 백에 관한 것이다.
베플 백은, 일반적으로,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 원료(resin)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작은 입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비교적 큰 용량의 포대를 말한다. 베플 백(container bag)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올레핀 테이프와 같은 합성수지사로 직조된 직물을 재단 및 봉제하여 제작되며,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시킬 수 있게 한다.
항공 또는 선박을 통한 운송 시에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하여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베플 백은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배불림 현상으로 인해 베플 백의 변형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적재 공간 활용에 불리한 점이 있었다. 통상의 베플 백은 내용물을 완전히 충전한 뒤, 네 개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된 벨트를 매개로 하여 인양되거나, 인양 후 이동시킬 때 투입된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기 때문에 베플 백 몸체의 측부가 팽창되고, 나아가 상기 몸체 하부가 더 팽창하고 반대로 상부는 축소되어, 베플 백이 직립된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베플 백의 내부에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보강 부재를 추가하는 발명이 제안된 바 있으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2377, "베플 타입 컨테이너 백", 이하 종래기술) 종래기술의 경우 베플 백에 구멍을 타공하여 보강 부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써, 이는 베플 백이 인양되어 이동할 때, 내용물이 내부 중력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성형된 내부의 배플 자체나 봉제된 부분이 팽창하면서 구멍이 생겨 구성 물질이 부스러기 형태로 탈락되거나 수분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부스러기 및 수분은 베플 백의 내부에서 이물질로서 작용하여 식품이나 정밀화학물질의 경우 오염의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내장되는 비닐을 더 포함함으로써 부스러기 또는 수분이 탈락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플 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내장되는 비닐과 보강재를 동일 재질로 구비하고, 내장되는 비닐과 보강재를 서로 융착 결합하여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과 재봉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재봉홀을 통해 부스러기 또는 수분이 탈락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플 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베플 백은 방수 기능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장재,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며 상기 외장재의 내부에 내삽되어 상기 외장재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방수 재질인 내장재, 및 상기 외장재 및 상기 내장재와 연결되어 상기 외장재의 횡방향 형상을 유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내장재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외장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경계선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장재는, 상기 외장재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의 인근 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 구비되는 제 1 내장재와, 상기 제 1 내장재가 구비되는 상기 외장재의 면의 부분을 제외한 범위 내에 구비되는 제 2 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의 제 1 결합부의 일면에 상기 제 1 내장재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의 제 1 결합부의 타면에 상기 제 2 내장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밀봉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장재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의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내장재와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각 변이 서로 봉재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외장재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의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외장재 피스와 봉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 1 재봉홀이 타공되고, 상기 외장재 피스의 상기 제 1 재봉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재봉홀이 타공되며, 상기 제 1 재봉홀과 상기 제 2 재봉홀을 따라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외장재 피스가 재봉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결합부재와, 양단에 상기 결합부재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벨트인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인장강도가 상기 결합부재의 인장강도보다 크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서로 봉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플 백 제작방법은 (a) 상기 보강재의 제 1 결합부에 상기 내장재를 열융착 하여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제 2 결합부에 상기 외장재를 이루는 외장재 피스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외장재 피스를 재봉하여 상기 외장재를 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d) 상기 보강재를 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d)단계는, (d1) 지지부재와 결합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d2)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부재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베플 백은 내부에 내장되는 비닐을 더 포함함으로써 부스러기 또는 수분이 탈락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장되는 비닐과 보강재를 동일 재질로 구비하고, 내장되는 비닐과 보강재를 서로 융착 결합하여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과 재봉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재봉홀을 통해 부스러기 또는 수분이 탈락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플 백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플 백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보강재와 외장재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재의 제 1 실시 예와 그에 따른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재의 제 2 실시 예와 그에 따른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베플 백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보강재 가공 단계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플 백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보강재와 외장재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재의 제 1 실시 예와 그에 따른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재의 제 2 실시 예와 그에 따른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베플 백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보강재 가공 단계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플 백(1000)의 기본 구성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베플 백(10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장재(100)와, 외장재(100)와 연결되어 외장재(100)의 횡방향 형상을 유지하는 보강재(300) 및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보강재(300)와 외장재(100) 사이에 구비되며, 방수 재질인 내장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100)는 통상의 컨테인 되는 백과 동일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자세히는 PP(polypropylene) 재질일 수 있다. 외장재(100)는 육면체 형상을 띠도록 모서리에 봉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재(300)는 외장재(100)의 내부 공간에 내삽되어 외장재(100)의 횡방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 때 횡방향의 정의는 외장재(100)의 높이에 수직한 평면 방향을 의미한다. 즉, 보강재(300)는 외장재(100)가 직육면체 형상을 띤다 했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100)의 측면 모서리 인근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히 서로 인접한 측면에 일측 및 타측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장재(100)의 측면 모서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외장재(100)의 내부에 물품이 과적재되었을 시, 외장재(100) 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재 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내장재(200)는 외장재(100)의 내부 공간에 내삽되되 보강재(300)와 외장재(100)의 사이에 내삽되고, 외장재(10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수용공간(210)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내장재(200)는 외장재(100)의 비해 얇고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비닐 형태일 수 있고, 외장재(100)의 인장강도보다 인장강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장재(200)의 재질은 PE(polyethylene)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재(100)의 형상 및 보강재(300)의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최적의 수용공간(210)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200)는 방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공간(210)에 탑재된 곡물 또는 수분이 수용공간(210)의 외측으로 탈락 또는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00)는 내장재(20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311)와, 외장재(100)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결합부(311)와 제 2 결합부(312)가 분리되어 존재함으로써 외장재(100)와 내장재(200) 사이의 공간과 수용공간(210)을 완전 분리할 수 있다. 즉, 외장재(100), 내장재(200), 보강재(300)가 한 번에 재봉되지 않으므로 수용공간(210)의 내측과 외장재(100)의 외측을 통하는 홀을 타공하지 않아도 외장재(100), 내장재(200), 보강재(3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210)을 외장재(100)의 외부와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플 백(1000)은 내부 공간에 내용물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의 일단은 외장재(100)의 상면의 내측면 또는 하면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수용공간(210)의 완전 밀폐를 위하여 가이드부(400)가 PP이거나, 또는 PE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장재(100)와 봉재 결합 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의 타단은 외장재(1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부(400)의 타단의 최대 단면적이 외장재(1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400)가 결합됨으로써 수용된 물품을 출입시킬 시 물품이 출입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400)는 가이드부(40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가이드부(400)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가이드부 개폐수단(410)을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부 개폐수단(410)을 통해 가이드부(400)의 타단부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물품이 출입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부 개폐수단(410)은 가이드부(400)의 타단부에 연결된 벨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플 백(1000)은 외장재(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뚜껑(500)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500)은 개폐가능한 형태일 수 있고, 가이드부(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재(100)의 내부공간 및 내장재(200)의 수용공간(210)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고, 가이드부(400)의 타단부가 외장재(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부(4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제 1 결합부(311) 및 제 2 결합부(312)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300)는 내장재(200)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311)와, 외장재(100)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결합부(311)와 제 2 결합부(312)는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결합부(311)은 수용 공간의 경계선에 구비되고, 제 2 결합부(312)는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1 결합부(311)는 내장재(200)와 홀을 형성하지 않는 밀봉 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결합부(312)는 외장재(100)와 재봉홀을 형성하여 봉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210)은 제 1 결합부(311)에 형성된 결합에 의해 수용공간(210)이 밀폐되고, 더하여 제 2 결합부(312)에 형성된 결합에 의해 서로 재질이 다른 외장재(100)와 보강재(300)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 결합부(312)에서 외장재(100)와 보강재(300)의 봉재 결합이 이루어져 재봉홀이 타공 되더라도 수용공간(210)에 탑재된 물품은 제 1 결합부(311)에 의해 밀폐되므로 수용공간(210)에 탑재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100)는 각 변이 서로 봉재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외장재 피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외장재 피스(110)는 외장재(100)의 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외장재 피스(110)의 변이 봉재 결합된 부분은 외장재(100)의 모서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봉재되지 않은 종래의 외장재에 비해 외장재(100)의 형상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200)는 제 1 내장재(220)와 제 2 내장재(2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내장재(220)는 외장재(100)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의 인근 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 구비되고, 제 2 내장재(230)는 제 1 내장재(220)가 구비되는 외장재(100)의 면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보강재(300)의 제 1 결합부(311)는 일면에 제 1 내장재(220)가 결합되고, 타면에 제 2 내장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장재(220)가 외장재(100)의 내부의 엣지 부분까지 연장되어 위치함으로써, 보강재(300)와 외장재(100) 내부의 엣지 부분이 이루는 공간도 수용공간(210)에 포함될 수 있어 수용공간(210)이 수용 부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결합부(311)에서 보강재(300)와 제 1 내장재(220) 및 제 2 내장재(230)는 용융되어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결합부(311)와 내장재(200)는 서로 용융점이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한 자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00)와 내장재(200)는 수용공간(210)의 내측으로부터 고주파가 조사되어 용융될 수 있고 서로 융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312)는 외장재 피스(110)와 봉재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 1 재봉홀(312a)이 타공될 수 있고, 외장재 피스(110)에는 제 1 재봉홀(3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재봉홀(111)이 타공될 수 있으며, 제 1 재봉홀(312a)과 제 2 재봉홀(111)을 따라 제 1 결합부(311)와 외장재 피스(110)가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2)와 외장재 피스(110)가 결합된 이후에 각각의 외장재 피스(110)는 서로 봉재 결합되어 외장재(100)가 육면체 형상을 띠도록 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2)에서 외장재(100)와 내장재(200) 및 보강재(300)의 봉재 결합이 이루어져 재봉홀이 타공되더라도 수용공간(210)에 탑재된 물품은 제 1 결합부(311)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210)에 탑재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고, 제 2 결합부(312)에 의해 서로 재질이 다른 외장재(100)와 내장재(200) 및 보강재(300)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로,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보강재(300)의 실시 예와, 그에 따른 제 1 결합부(311) 및 제 2 결합부(312)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보강재(300)의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 보강재(300)는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결합부(311) 및 제 2 결합부(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결합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310) 외장재(1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외장재(100)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일측 모서리 및 타측 모서리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일측 모서리 및 타측 모서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 1 결합부(311) 및 제 2 결합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보강재(300)에는 2개의 결합부재(31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강재(300)는 양단에 결합부재(310)가 연결되어 2개의 결합부재(310)를 연결하여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벨트인 지지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결합부(311)는 제 2 결합부(312)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벨트는 직조된 끈으로써 폭이 2 내지 4cm일 수 있다. 또는, 일 방향의 길이가 그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보다 2배 내지 3배 이상 긴 형상일 수 있으며, 제 2 실시 예의 보강재(300)는 그 적용례에 따라 그 형상이 용이하게 변동될 수 있다. 또한 각 보강재(300) 사이의 거리 또한 자유롭게 변형 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의 벨트를 채용함으로써, 내용물이 내부에서 잘 퍼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320)의 인장강도가 결합부재(310)의 인장강도보다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320)와 결합부재(310)는 서로 봉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20)의 재질은 외장재(100)와 동일한 PP일 수 있고, 결합부재(310)의 재질은 내장재(200)와 동일한 PE일 수 있다.
보강재(300)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됨에 따라 지지하는 지지부재(3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의 재질을 다르게 함으로써 지지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밀폐결합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지지부재(320)에 벨트 형상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적은 재료로 외장재(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재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대량생산으로 생산하여도 그 배치에 따라 외장재(100)의 부분별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보강재(300)의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 보강재(300)는 일 모서리의 길이가 외장재(1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외장재의 높이보다 짧은 판일 수 있다. 더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300)는 상술한 판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홀이 타공될 수 있다. 상기 타공된 홀을 통해서 내용물이 내부에서 잘 퍼질 수 있다. 또한 각 홀 사이의 거리 또한 자유롭게 변형 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수용공간(210)에 탑재되는 물품이 액체나 곡물과 같이 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여 베플 백(1000)의 상부보다 하부에 높은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 홀이 하측보다 상측에 조밀한 간격으로 타공될 수 있다.
이 때, 보강재(300)는 외장재(1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외장재(100)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일측 모서리 및 타측 모서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 1 결합부(311) 및 제 2 결합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311)는 제 2 결합부(312)보다 모서리로부터 더 긴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강재(300)에 제 1 결합부(311)에 제 1 내장재(220), 제 2 내장재(230)가 결합될 시, 보강재(3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보다 자세히, 보강재(300)의 양단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굽혀져 고정되는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보강재(300)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됨에 따라 보강재(300)의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보강재(300)의 작업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로,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플 백(1000)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베플 백(1000)을 제작하는 베플 백(1000) 제작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300)의 제 1 결합부(311)에 제 1 내장재(220) 및 제 2 내장재(230)를 열융착 하여 결합하는 보강재-내장재 결합 단계(a), 보강재(300)의 제 2 결합부(312)에 외장재(100)를 이루는 외장재 피스(110)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보강재-외장재 피스 결합 단계(b), 및 외장재 피스(110)를 재봉하여 외장재(100)를 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는 외장재 피스 재봉 단계(c)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내장재 결합 단계(a)에서, 내장재(200)는 제 1 내장재(220)와 제 2 내장재(2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내장재(220)는 외장재(100)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의 인근 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 구비되고, 제 2 내장재(230)는 제 1 내장재(220)가 구비되는 외장재(100)의 면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재(300)의 제 1 결합부(311)는 일면에 제 1 내장재(220)가 결합되고, 타면에 제 2 내장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결합부(311)에서 보강재(300)와 내장재(200)는 용융되어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재(300)와 내장재(200)는 서로 용융점이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일한 자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00)와 내장재(200)는 수용공간(210)의 내측으로부터 고주파가 조사되어 용융될 수 있고 서로 융착될 수 있다.
보강재-외장재 피스 결합 단계(b)에서, 제 2 결합부(312)는 외장재 피스(110)와 봉재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 1 재봉홀(312a)이 타공될 수 있고, 외장재 피스(110)에는 제 1 재봉홀(3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재봉홀(111)이 타공될 수 있으며, 제 1 재봉홀(312a)과 제 2 재봉홀(111)을 따라 제 1 결합부(311)와 외장재 피스(110)가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2)와 외장재 피스(110)가 결합된 이후에 각각의 외장재 피스(110)는 서로 봉재 결합되어 외장재(100)가 육면체 형상을 띠도록 할 수 있다.
외장재 피스 재봉 단계(c)에서, 외장재 피스(110)의 각 변이 서로 봉재 결합되고, 봉재 결합된 부분이 외장재(100)의 모서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베플 백(1000)이 보강재(300)의 제 1 실시 예를 채택한 경우, 보강재-내장재 결합 단계(a)에 선행하여, (d) 보강재를 가공하는 보강재 가공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보강재 가공 단계(d)는, 지지부재(320)와 결합부재(310)를 배치하는 지지부재(320) 배치 단계(d1)와, 지지부재(320)와 결합부재(310)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단계(d2) 를 포함할 수 있다.
1000 : 베플 백
100 : 외장재
110 : 외장재 피스
111 : 제 2 재봉홀
200 : 내장재
210 : 수용공간
220 : 제 1 내장재
230 : 제 2 내장재
300 : 보강재
310 : 결합부재
311 : 제 1 결합부
312 : 제 2 결합부
312a : 제 1재봉홀
320 : 지지부재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부 개폐수단
500 : 뚜껑
100 : 외장재
110 : 외장재 피스
111 : 제 2 재봉홀
200 : 내장재
210 : 수용공간
220 : 제 1 내장재
230 : 제 2 내장재
300 : 보강재
310 : 결합부재
311 : 제 1 결합부
312 : 제 2 결합부
312a : 제 1재봉홀
320 : 지지부재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부 개폐수단
500 : 뚜껑
Claims (12)
- 방수 기능을 갖는 베플 백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장재;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며 상기 외장재의 내부에 내삽되어 상기 외장재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방수 재질인 내장재; 및
상기 외장재 및 상기 내장재와 연결되어 상기 외장재의 횡방향 형상을 유지
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내장재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외장재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양단에 상기 결합부재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부재 보다 인장강도가 높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서로 봉재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내장재와 동일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경계선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는,
상기 외장재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의 인근 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 구비되는 제 1 내장재와,
상기 제 1 내장재가 구비되는 상기 외장재의 면의 부분을 제외한 범위 내에 구비되는 제 2 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의 제 1 결합부의 일면에 상기 제 1 내장재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의 제 1 결합부의 타면에 상기 제 2 내장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밀봉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재질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내장재와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각 변이 서로 봉재 결합되어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외장재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의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외장재 피스와 봉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 1 재봉홀이 타공되고,
상기 외장재 피스의 상기 제 1 재봉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재봉홀이 타공되며,
상기 제 1 재봉홀과 상기 제 2 재봉홀을 따라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외장재 피스가 재봉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기 결합부재와,
양단에 상기 결합부재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벨트인 상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 삭제
- 제 1항의 상기 베플 백을 제작하는 베플 백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보강재의 제 1 결합부에 상기 내장재를 열융착 하여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제 2 결합부에 상기 외장재를 이루는 외장재 피스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외장재 피스를 재봉하여 상기 외장재를 육면체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제작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d) 상기 보강재를 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d)단계는,
(d1) 지지부재와 결합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d2)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부재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플 백 제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0784A KR102296082B1 (ko) | 2021-03-09 | 2021-03-09 | 베플 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0784A KR102296082B1 (ko) | 2021-03-09 | 2021-03-09 | 베플 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6082B1 true KR102296082B1 (ko) | 2021-09-02 |
Family
ID=7779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0784A KR102296082B1 (ko) | 2021-03-09 | 2021-03-09 | 베플 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0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0241A (ko) * | 2022-09-21 | 2024-03-28 | 제일산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백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05833A1 (en) * | 2002-04-29 | 2005-05-19 | Avram Levi | Net-based baffle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
KR101032147B1 (ko) * | 2010-12-22 | 2011-05-03 | 유인상 |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KR20160088714A (ko) * | 2015-01-16 | 2016-07-26 | 박혜진 |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진 컨테이너 백 |
KR101922377B1 (ko) | 2018-06-20 | 2018-11-26 | 박찬경 |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
-
2021
- 2021-03-09 KR KR1020210030784A patent/KR1022960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05833A1 (en) * | 2002-04-29 | 2005-05-19 | Avram Levi | Net-based baffle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
KR101032147B1 (ko) * | 2010-12-22 | 2011-05-03 | 유인상 |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KR20160088714A (ko) * | 2015-01-16 | 2016-07-26 | 박혜진 |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진 컨테이너 백 |
KR101922377B1 (ko) | 2018-06-20 | 2018-11-26 | 박찬경 |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0241A (ko) * | 2022-09-21 | 2024-03-28 | 제일산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백 |
KR102702155B1 (ko) | 2022-09-21 | 2024-09-04 | 제일산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86781B2 (en) |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 |
US7500786B2 (en) |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 |
US9394082B1 (en) |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bag container having corner baffles | |
EP2785616B1 (en) |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 |
US20120281932A1 (en) |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 |
KR102296082B1 (ko) | 베플 백 | |
KR102006704B1 (ko) |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 |
KR101803469B1 (ko) |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 |
KR102492023B1 (ko) |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10193B1 (ko) | 콘테이너 백 | |
KR101964076B1 (ko) | 컨테이너 백 | |
KR101803470B1 (ko) |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 |
KR101832881B1 (ko) |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 |
KR102181187B1 (ko) | 일체형 횡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콘테이너 백 | |
AU2014200708A1 (en) | Lined Bag | |
KR102591080B1 (ko) | 횡방향 절개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 |
KR200246203Y1 (ko) | 컨테이너 백 | |
AU2013201046A1 (en) | Gusseted Bag | |
KR102165313B1 (ko) |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 |
KR20230150422A (ko) | 단일 레이어 방수 베플 백 및 그 제작방법 | |
KR102426062B1 (ko) | 컨테이너 백 | |
JP2926474B2 (ja) | 粉粒体の袋容器 | |
KR102151927B1 (ko) | 콘테이너 백 | |
KR20110009647U (ko) | 분말 운반용 컨테이너 백 | |
KR20220019861A (ko) | 컨테이너 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