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786A -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786A
KR20200125786A KR1020190048151A KR20190048151A KR20200125786A KR 20200125786 A KR20200125786 A KR 20200125786A KR 1020190048151 A KR1020190048151 A KR 1020190048151A KR 20190048151 A KR20190048151 A KR 20190048151A KR 20200125786 A KR20200125786 A KR 20200125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bag
side wall
sealing
reinforc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필
임강섭
Original Assignee
임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필 filed Critical 임재필
Priority to KR102019004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5786A/ko
Publication of KR2020012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 높이의 배부름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여 제한된 콘테이너에 적재량을 높이고 내용물을 규정량 충진할 수 있도록 하며, 측벽으로부터 보강밴드의 뜯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배출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A container bag}
본 발명은 측벽에서의 불규칙한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콘테이 백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균일 높이의 배부름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여 제한된 콘테이너에 적재량을 높이고 내용물을 규정량 충진할 수 있도록 하며, 측벽으로부터 보강밴드의 뜯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배출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종이재, 직물 또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원료(resin)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작은 입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콘테이너 백은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접어서) 보관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항공 또는 선박을 통한 운송시에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하여 정해진 공간에(콘테이너)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바, 상기와 같은 통상의 플렉서블한 콘테이너 백(10)은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공간활용에 불리하다.
따라서 콘테이너 백(10)은 내용물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구현토록 함으로써 적재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개선사항이다.
이러한 배부름 현상을 줄이는 기술의 하나가 특허등록 10-1625405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사각 형상의 콘테이너 백(100)의 중공형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다각유지벨트(150)가 구비되며, 이 다각유지벨트(150)는 양단부가 측벽(110a,110b)의 내면에 고정된다.
다각유지벨트(150)의 일단부는 모서리부(111)의 일측으로 연결된 측벽(110a)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모서리부(111)의 타측으로 연결된 측벽(110b) 내면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측벽(110a,110b)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된다. 그리하여, 콘테이너 백(100)에 내용물를 수납시 측벽(110a,110b)이 외측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측벽(110a,110b)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콘테이너 백(100)은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와 측벽(110a,110b) 간의 연결부분(A)이 접착, 열융착 또는 재봉으로 연결되는데, 이 연결부분(A)의 면적이 작아서 내용물의 수납시 외측방향으로 팽창력에 의해서 연결부분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등록 10-16254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콘테이너 백의 측벽에 열실링되는 보강밴드의 실링부의 탈락을 최소화하여 콘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균일 높이의 배부름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여 제한된 콘테이너에 적재량을 높이고 내용물을 규정량 충진할 수 있도록 한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테이너 백의 측벽과 보강밴드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함이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4부분의 모서리부를 가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에는 상기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팔각형상의 보강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밴드는 상기 각 측벽의 중앙부분에 대향 배치되어 접합되는 평면띠와, 상기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두 측벽을 비접촉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각 평면띠를 연결하는 연결띠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띠는 상기 각 측벽에 열실링으로 접합되어 실링부를 형성하되,
상기 각 측벽의 횡방향 길이를 B, 상기 각 실링부의 횡방향 길이를 b, 상기 각 연결띠의 길이를 W라 하면,
0.25B ≤ b ≤ 0.5B, 0.707b ≤ W ≤ 2.12b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콘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
상기 일측 측벽의 양측 모서리부의 배부른 정점과 상기 평면띠의 배부른 정점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1가상선이라 하고,
상기 일측 측벽과 인접한 다른 측벽의 양측 모서리부의 배부른 정점과 상기 평면띠의 배부른 정점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2가상선이라 하면,
상기 제1가상선과 제2가상선은 상호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콘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평면띠 상기 측벽과 열실링되는 상기 실링부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각 측벽과 분리되는 비실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콘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보강밴드(20)의 실링길이(b), 측벽(11a)의 폭길이(B), 보강밴드(20)의 연결띠(21) 길이(W)를 0.25B ≤ b ≤ 0.5B, 0.707b ≤ W ≤ 2.12b 로 함으로써, 측벽에서 균일 높이의 배부름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여 제한된 콘테이너에 적재량을 높이고 내용물을 규정량 충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중공형 몸체(11)와 보강밴드(20)를 열실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종래 재봉으로 고정하였던 것과는 달리 방수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여 쌀, 밀가루, 화학재료와 같은 수분에 취약한 내용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강밴드(20)의 실링부(21a) 둘레에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를 형성하여, 연결띠(22)와 평면띠(21)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가 비실링부(21b)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21a)의 탈락을 최소화하여 중공형 몸체(11)의 배부름현상을 최종적으로 방지한다.
세째, 사각형상 실링부(21a)의 각 모서리를 라운드형상 또는 모따기로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이 집중되는 실링부(21a) 모서리부분에서의 탈락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네째,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비실링부(21b)에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을 형성함으로써, 중공형 몸체(11)와 비실링부(21b)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됨이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추후 콘테이너 백(10)의 바닥부(13)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비실링부(21b)와 측벽(11a) 사이에 끼여진 내용물이 잔류됨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링부(21a)의 상단부를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띠(22)와의 경계부에서 비실링부(21b)의 면적을 크게 하여 인장력이 작용시 실링부(21a)의 탈락현상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콘테이너 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을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측벽의 배부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의 경계조건을 벗어난 콘테이너 백의 배부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8은 보강밴드의 평면띠 부분을 전체적으로 실링하였을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의 조건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은 균일 높이의 배부름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여 제한된 콘테이너에 적재량을 높이고 내용물을 규정량 충진할 수 있도록 하며, 측벽으로부터 보강밴드의 뜯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배출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10)을 나타낸 도 3, 도 4,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이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4부분의 모서리부(11b)를 가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11a)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몸체(11)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12)와,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상단부에는 견인을 위한 고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와 바닥부(13)에는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테이너 백(10)은 곡물, 합성수지 재료, 광물질, 시멘트 등의 분체류 내지 구황작물, 화학물질과 같은 다양한 내용물이 수납되며,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최대한 많은 양이 수납되도록 외형 변경이 용이한 유연성 재질로 제작된다.
예컨대, 상기 콘테이너 백(10)은 천연섬유재질 내지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질(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도 콘테이너 백(10)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팔각형상의 보강밴드(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밴드(20)는 상기 각 측벽(11a)의 중앙부분에 대향 배치되는 평면띠(21)와,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을 연결하도록 상기 각 평면띠(21)를 연결하는 연결띠(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11)와 상기 보강밴드(2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띠(21)는 상기 각 측벽(11a)에 열실링으로 접합되어 실링부(21a)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10)은,
상기 각 측벽(11a)의 횡방향 길이를 B,
상기 각 실링부(21a)의 횡방향 길이를 b,
상기 각 연결띠(22)의 길이를 W라 하면,
0.25B ≤ b ≤ 0.5B, 0.707b ≤ W ≤ 2.12b 인 구조를 가진다.
도 9는 b=0.5B(B=2b) 인 경우 W와 b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써,
Figure pat00001
로 정의되므로 B=2b를 대입하면,
W=0.707b 인 관계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은 b=0.25B(B=4b) 인 경우 W와 b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써,
Figure pat00002
로 정의되므로 B=4b를 대입하면,
W=2.12b 인 관계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콘테이너 백(10)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상기 보강밴드(20)에 의해 보강되지 아니한 측벽(11a)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각 부분마다 균일 높이로 배부름이 발생되어 콘테이너 백(10)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a는 b=0.5B, W=0.707b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는 b=0.25B, W=2.12b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일측 측벽(11a)의 양측 모서리부(11b)의 배부른 정점(가)(나)과 상기 평면띠(21)의 배부른 정점(다)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1가상선(X)이라 하고, 상기 일측 측벽(11a)과 인접한 다른 측벽(11a)의 양측 모서리부(11b)의 배부른 정점(라)(마)과 상기 평면띠(21)의 배부른 정점(바)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2가상선(Y)이라 하면, 상기 제1가상선(X)과 제2가상선(Y)은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어 콘테이너 백(10)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콘테이너 백(10)들을 밀착시켜서 화물 수송용 콘테이너에 수용시킬때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적재를 편리하게 하고 정해진 콘테이너 공간에 많은량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의 상기 조건을 벗어난 조건인 b가 0.5B 보다 크고, W가 0.707b 보다 작은 경우의 콘테이너 백을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측벽(11a)의 양측 모서리부(11b)의 배부른 정점(라)(마)과 상기 평면띠(21)의 배부른 정점(바) 사이에 배부름 두께(t) 차이가 발생되어서, 사각형상의 콘테이너 백의 구현이 어렵게 되고 이는 화물 적재공간인 콘테이너에 콘테이너 백의 적재수량을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부(21a)는 사각형상으로 실링되어 상기 평면띠(21)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21a)의 둘레에는 상기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사각형상 실링부(21a)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형상 또는 모따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추후 콘테이너 백(10)의 바닥부(13)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상기 비실링부(21b)와 측벽(11a) 사이에 끼여진 내용물이 잔류됨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21b)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이 형성되어서, 내용물이 보다 원할하게 배출될 수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테이너 백(10)은 내용물이 상기 중공형 몸체(11)에 수용되게 되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해서 중공형 몸체(11)의 외측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서 각 측벽(11a) 방향("가"방향) 및 모서리부(11b) 방향("나"방향)으로 내용물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서, 각 측벽(11a)이 외측으로 배부름현상이 나타나려 하고, 각 모서리부(11b)에서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서 인접하는 측벽(11a)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의 하중은 각 보강밴드(20)에도 작용하게 되어 콘테이너 백(10)이 사각 형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측벽(11a)에 작용하는 "가"방향 하중 및 각 모서리부(11b)에 작용하는 "나"방향 하중은 상기 보강밴드(20)에 의해서 지지되게 되는데, 이 경우 보강밴드(20)의 평면띠(21)와 연결띠(22)에는 상호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수용성 몸체(11)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평면띠(21) 부분 전체를 열실링하는 경우, 열실링된 부분이 냉각된 후 내용물을 수용하여 상기 보강밴드(20)에 인장력이 작용할때 상기 평면띠(21)가 중공형 몸체(11)로부터 쉽게 탈락하게 되는 현상을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해서 관찰되었다.
즉, 상기 연결띠(22)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평면띠(21)의 모서리 부분("B", "C")에서 인장력이 집중되어 쉽게 탈락하는 현상을 목격하였다.
이는 열실링 부분이 냉각된 후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재질 특성상 경화되게 되어 보강밴드(20)의 인장력에 의해서 쉽게 중공형 몸체(11)로부터 탈락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링부(21a)의 둘레에 상기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띠(22)와 평면띠(21)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가 상기 비실링부(21b)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링부(21a)의 탈락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사각형상 실링부(21a)의 각 모서리를 라운드형상 또는 모따기로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이 집중되는 실링부(21a) 모서리부분에서의 탈락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폭이 165mm 인 평면띠(21) 전체를 실링한 평면띠(21)와, 도 6에서와 같이 실링부(21a)의 폭을 148.5mm(평면띠(21)폭 165mm의 90%)로 한 평면띠(21)를 각각 도 9에서와 같은 인장력 테스터기로 테스트한 결과 아래 [표 1]과 같았다.
아래 [표 1]에서 숫자는 평면띠(21)의 파단되는 순간의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평면띠(21) 전체를 실링(도8)
(평면띠 폭 전체 165mm 실링)

평면띠(21)폭의 90% 실링(도6)
(실링부(21a) 폭: 148.5mm,
비실링부(21b) 폭: 17.5mm)
1 300㎏f 329㎏f
2 310㎏f 335㎏f
3 302㎏f 334㎏f
4 299㎏f 311㎏f
5 314㎏f 329㎏f
평균 305㎏f 327.6㎏f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평면띠(21)의 상하 가장자리에 비실링부(21b)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폭을 실링한 평면띠(21)보다 약 7.5% 인장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21b)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이 형성되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1)와 비실링부(21b)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됨이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추후 콘테이너 백(10)의 바닥부(13)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상기 비실링부(21b)와 측벽(11a) 사이에 끼여진 내용물이 잔류됨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를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띠(22)와의 경계부에서 상기 비실링부(21b)의 면적을 크게 하여 인장력이 작용시 상기 실링부(21a)의 탈락현상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두 말할 것고 없다.
10...콘테이너 백 11...중공형 몸체
11a...측벽 11b...모서리부
20...보강밴드 21...평면띠
21a...실링부 21b...비실링부
21c...경사부 21d...관통공
22...연결띠

Claims (4)

  1.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4부분의 모서리부를 가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1)에는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팔각형상의 보강밴드(20)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밴드(20)는 상기 각 측벽(11a)의 중앙부분에 대향 배치되어 접합되는 평면띠(21)와,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두 측벽(11a)을 비접촉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각 평면띠(21)를 연결하는 연결띠(22)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띠(21)는 상기 각 측벽(11a)에 열실링으로 접합되어 실링부(21a)를 형성하되,
    상기 각 측벽(11a)의 횡방향 길이를 B, 상기 각 실링부(21a)의 횡방향 길이를 b, 상기 각 연결띠(22)의 길이를 W라 하면,
    0.25B ≤ b ≤ 0.5B, 0.707b ≤ W ≤ 2.12b 인 것을 특징으로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1)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
    상기 일측 측벽(11a)의 양측 모서리부(11b)의 배부른 정점(가)(나)과 상기 평면띠(21)의 배부른 정점(다)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1가상선(X)이라 하고,
    상기 일측 측벽(11a)과 인접한 다른 측벽(11a)의 양측 모서리부(11b)의 배부은 정점(라)(마)과 상기 평면띠(21)의 배부른 정점(바)을 상호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2가상선(Y)이라 하면,
    상기 제1가상선(X)과 제2가상선(Y)은 상호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평면띠(21)는 상기 측벽(11a)과 열실링되는 상기 실링부(21a)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21a)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21b)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밴드를 구비한 횡방향 콘테이너 백.
KR1020190048151A 2019-04-25 2019-04-25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KR20200125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51A KR20200125786A (ko) 2019-04-25 2019-04-25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51A KR20200125786A (ko) 2019-04-25 2019-04-25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86A true KR20200125786A (ko) 2020-11-05

Family

ID=7324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151A KR20200125786A (ko) 2019-04-25 2019-04-25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57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405B1 (ko) 2014-04-25 2016-05-30 최용덕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405B1 (ko) 2014-04-25 2016-05-30 최용덕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644A (en) Bulk cargo bag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US7600917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6402378B1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an enlarged interior baffle space
KR100678622B1 (ko)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JPH0880994A (ja) 袋容器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47251B1 (ko) 컨테이너 백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US8083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ulk products
US5873655A (en) Bulk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 bands
US2020007106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fibc, fibc
KR102181187B1 (ko) 일체형 횡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콘테이너 백
KR20200125786A (ko)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KR102151927B1 (ko) 콘테이너 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20200128284A (ko) 배부름 방지용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CN104828406B (zh) 集装袋的内袋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NZ544664A (en) Fluidising mat, container and container liner with such a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