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927B1 - 콘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927B1
KR102151927B1 KR1020190043964A KR20190043964A KR102151927B1 KR 102151927 B1 KR102151927 B1 KR 102151927B1 KR 1020190043964 A KR1020190043964 A KR 1020190043964A KR 20190043964 A KR20190043964 A KR 20190043964A KR 102151927 B1 KR102151927 B1 KR 102151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contents
sealing
hollow bod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952A (ko
Inventor
임강섭
Original Assignee
임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강섭 filed Critical 임강섭
Priority to KR102019004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2Ramp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에서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콘테이 백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방수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측벽으로부터 보강밴드의 뜯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배출을 원할히할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테이너 백{A container bag}
본 발명은 측벽에서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콘테이 백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방수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측벽으로부터 보강밴드의 뜯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배출을 원할히할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종이재, 직물 또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원료(resin)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작은 입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콘테이너 백은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접어서) 보관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항공 또는 선박을 통한 운송시에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하여 정해진 공간에(콘테이너)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바, 상기와 같은 통상의 플렉서블한 콘테이너 백(10)은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공간활용에 불리하다.
따라서 콘테이너 백(10)은 내용물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구현토록 함으로써 적재 부피를 줄이는 것이 개선사항이다.
이러한 배부름 현상을 줄이는 기술의 하나가 특허등록 10-1625405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사각 형상의 콘테이너 백(100)의 중공형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다각유지벨트(150)가 구비되며, 이 다각유지벨트(150)는 양단부가 측벽(110a,110b)의 내면에 고정된다.
다각유지벨트(150)의 일단부는 모서리부(111)의 일측으로 연결된 측벽(110a)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모서리부(111)의 타측으로 연결된 측벽(110b) 내면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측벽(110a,110b)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된다. 그리하여, 콘테이너 백(100)에 내용물를 수납시 측벽(110a,110b)이 외측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측벽(110a,110b)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콘테이너 백(100)은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와 측벽(110a,110b) 간의 연결부분(A)이 접착, 열융착 또는 재봉으로 연결되는데, 이 연결부분(A)의 면적이 작아서 내용물의 수납시 외측방향으로 팽창력에 의해서 연결부분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배부름 현상을 줄이는 또 다른 콘테이너 백이 특허등록 10-1874264호에 개시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폭이 넓은 벨트구조인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몸체부(100)에 봉재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맞서서 안쪽으로 향하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배불림현상도 방지되며, 육면체 형상이 잘 유지되도록 하여, 컨테이너백의 직립유지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테이너 백은 내부 횡방향 보강부(300)가 몸체부(100)에 재봉(裁縫)에 의해 직접 결합됨으로써, 재봉 잔사(殘絲)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고 재봉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쌀, 밀가루, 화학재료와 같은 방수(防水)가 요구되는 분체물을 수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특허등록 10-1625405호 특허등록 10-18742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중공형 몸체와 보강밴드를 열실링을 부착시킴으로써, 종래 재봉으로 고정하였던 것과는 달리 방수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여 쌀, 밀가루, 화학재료와 같은 수분에 취약한 내용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테이너 백의 측벽에 열실링되는 보강밴드의 실링부의 탈락을 최소화하여 콘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테이너 백의 측벽과 보강밴드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함이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4부분의 모서리부를 가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에는 상기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팔각형상의 보강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밴드는 상기 각 측벽의 중앙부분에 대향 배치되는 평면띠와, 상기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각 평면띠를 연결하는 연결띠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띠는 상기 각 측벽에 열실링으로 고정되되, 상기 평면띠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과 열실링되는 사각형상의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각 측벽과 분리되는 비실링부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콘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에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중공형 몸체(11)와 보강밴드(20)를 열실링을 부착시킴으로써, 종래 재봉으로 고정하였던 것과는 달리 방수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여 쌀, 밀가루, 화학재료와 같은 수분에 취약한 내용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강밴드(20)의 실링부(21a) 둘레에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를 형성하여, 연결띠(22)와 평면띠(21)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가 비실링부(21b)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21a)의 탈락을 최소화하여 중공형 몸체(11)의 배부름현상을 최종적으로 방지한다.
둘째, 사각형상 실링부(21a)의 각 모서리를 라운드형상 또는 모따기로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이 집중되는 실링부(21a) 모서리부분에서의 탈락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세째,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비실링부(21b)에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을 형성함으로써, 중공형 몸체(11)와 비실링부(21b)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됨이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네째,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추후 콘테이너 백(10)의 바닥부(13)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비실링부(21b)와 측벽(11a) 사이에 끼여진 내용물이 잔류됨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링부(21a)의 상단부를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띠(22)와의 경계부에서 비실링부(21b)의 면적을 크게 하여 인장력이 작용시 실링부(21a)의 탈락현상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콘테이너 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종래 다른 콘테이너 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을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8은 보강밴드의 평면띠 부분을 전체적으로 실링하였을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인장력 테스터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은 측벽에서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방수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며, 측벽으로부터 보강밴드의 뜯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용물의 배출을 원할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콘테이너 백(10)을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4부분의 모서리부(11b)를 가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11a)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몸체(11)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12)와,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상단부에는 견인을 위한 고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와 바닥부(13)에는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테이너 백(10)은 곡물, 합성수지 재료, 광물질, 시멘트 등의 분체류 내지 구황작물, 화학물질과 같은 다양한 내용물이 수납되며,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최대한 많은 양이 수납되도록 외형 변경이 용이한 유연성 재질로 제작된다.
예컨대, 상기 콘테이너 백(10)은 천연섬유재질 내지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질(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도 콘테이너 백(10)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공형 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팔각형상의 보강밴드(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밴드(20)는 상기 각 측벽(11a)의 중앙부분에 대향 배치되는 평면띠(21)와,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을 연결하도록 상기 각 평면띠(21)를 연결하는 연결띠(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11)와 상기 보강밴드(2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평면띠(21)는 상기 각 측벽(11a)에 열실링으로 고정되는데, 상기 평면띠(21)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11a)과 열실링되는 사각형상의 실링부(21a)와, 상기 실링부(21a)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각형상 실링부(21a)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형상 또는 모따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추후 콘테이너 백(10)의 바닥부(13)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상기 비실링부(21b)와 측벽(11a) 사이에 끼여진 내용물이 잔류됨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21b)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이 형성되어서, 내용물이 보다 원할하게 배출될 수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테이너 백(10)은 내용물이 상기 중공형 몸체(11)에 수용되게 되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해서 중공형 몸체(11)의 외측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서 각 측벽(11a) 방향("가"방향) 및 모서리부(11b) 방향("나"방향)으로 내용물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서, 각 측벽(11a)이 외측으로 배부름현상이 나타나려 하고, 각 모서리부(11b)에서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서 인접하는 측벽(11a)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의 하중은 각 보강밴드(20)에도 작용하게 되어 콘테이너 백(10)이 사각 형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측벽(11a)에 작용하는 "가"방향 하중 및 각 모서리부(11b)에 작용하는 "나"방향 하중은 상기 보강밴드(20)에 의해서 지지되게 되는데, 이 경우 보강밴드(20)의 평면띠(21)와 연결띠(22)에는 상호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수용성 몸체(11)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평면띠(21) 부분 전체를 열실링하는 경우, 열실링된 부분이 냉각된 후 내용물을 수용하여 상기 보강밴드(20)에 인장력이 작용할때 상기 평면띠(21)가 중공형 몸체(11)로부터 쉽게 탈락하게 되는 현상을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해서 관찰되었다.
즉, 상기 연결띠(22)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평면띠(21)의 모서리 부분("B", "C")에서 인장력이 집중되어 쉽게 탈락하는 현상을 목격하였다.
이는 열실링 부분이 냉각된 후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재질 특성상 경화되게 되어 보강밴드(20)의 인장력에 의해서 쉽게 중공형 몸체(11)로부터 탈락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링부(21a)의 둘레에 상기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띠(22)와 평면띠(21)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가 상기 비실링부(21b)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링부(21a)의 탈락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사각형상 실링부(21a)의 각 모서리를 라운드형상 또는 모따기로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이 집중되는 실링부(21a) 모서리부분에서의 탈락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폭이 165mm 인 평면띠(21) 전체를 실링한 평면띠(21)와, 도 6에서와 같이 실링부(21a)의 폭을 148.5mm(평면띠(21)폭 165mm의 90%)로 한 평면띠(21)를 각각 도 9에서와 같은 인장력 테스터기로 테스트한 결과 아래 [표 1]과 같았다.
아래 [표 1]에서 숫자는 평면띠(21)의 파단되는 순간의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평면띠(21) 전체를 실링(도8)
(평면띠 폭 전체 165mm 실링)

평면띠(21)폭의 90% 실링(도6)
(실링부(21a) 폭: 148.5mm,
비실링부(21b) 폭: 17.5mm)
1 300㎏f 329㎏f
2 310㎏f 335㎏f
3 302㎏f 334㎏f
4 299㎏f 311㎏f
5 314㎏f 329㎏f
평균 305㎏f 327.6㎏f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평면띠(21)의 상하 가장자리에 비실링부(21b)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폭을 실링한 평면띠(21)보다 약 7.5% 인장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21b)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이 형성되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1)와 비실링부(21b)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됨이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추후 콘테이너 백(10)의 바닥부(13)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때 상기 비실링부(21b)와 측벽(11a) 사이에 끼여진 내용물이 잔류됨 없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를 경사부(21c)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띠(22)와의 경계부에서 상기 비실링부(21b)의 면적을 크게 하여 인장력이 작용시 상기 실링부(21a)의 탈락현상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두 말할 것고 없다.
10...콘테이너 백 11...중공형 몸체
11a...측벽 11b...모서리부
20...보강밴드 21...평면띠
21a...실링부 21b...비실링부
21c...경사부 21d...관통공
22...연결띠

Claims (3)

  1.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4부분의 모서리부를 가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몸체와, 상기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11)에는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팔각형상의 보강밴드(20)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밴드(20)는 상기 각 측벽(11a)의 중앙부분에 대향 배치되는 평면띠(21)와, 상기 모서리부(11b)의 이웃하는 측벽(11a)을 연결하도록 상기 각 평면띠(21)를 연결하는 연결띠(22)를 구비하며,
    상기 평면띠(21)는 상기 각 측벽(11a)에 열실링으로 고정되되, 상기 평면띠(21)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11a)과 열실링되는 사각형상의 실링부(21a)와, 상기 실링부(21a)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각 측벽(11a)과 분리되는 비실링부(21b)로 형성고,
    상기 실링부(21a)의 상단부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1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21a)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비실링부(21b)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되는 관통공(2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백.
KR1020190043964A 2019-04-15 2019-04-15 콘테이너 백 KR10215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64A KR102151927B1 (ko) 2019-04-15 2019-04-15 콘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64A KR102151927B1 (ko) 2019-04-15 2019-04-15 콘테이너 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793A Division KR102010193B1 (ko) 2018-11-27 2018-11-27 콘테이너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52A KR20200063952A (ko) 2020-06-05
KR102151927B1 true KR102151927B1 (ko) 2020-09-04

Family

ID=7108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964A KR102151927B1 (ko) 2019-04-15 2019-04-15 콘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9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8184B2 (ja) * 1995-10-31 2007-06-13 藤森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袋の接合構造
KR20040027809A (ko) * 2004-02-09 2004-04-01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101625405B1 (ko) 2014-04-25 2016-05-30 최용덕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20160088714A (ko) * 2015-01-16 2016-07-26 박혜진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진 컨테이너 백
KR101874264B1 (ko) 2017-11-20 2018-07-03 박찬경 컨테이너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52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781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US3552466A (en) Inflatable freight container
US6196719B1 (en) Tip-over dischargeable bulk bag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US5209364A (en)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US6402378B1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an enlarged interior baffle space
EP0703162A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JPH0880994A (ja) 袋容器
US7794148B2 (en) Bulk bag for dense materials
KR101700085B1 (ko)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US20040184679A1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47251B1 (ko) 컨테이너 백
US7320408B2 (en)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with internal restraint system for preventing the outward bulging of the liner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US5873655A (en) Bulk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 bands
US5924796A (en) One piec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2151927B1 (ko) 콘테이너 백
KR102181187B1 (ko) 일체형 횡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콘테이너 백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20200125786A (ko)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JP6822795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