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549A -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549A
KR20180094549A KR1020170020801A KR20170020801A KR20180094549A KR 20180094549 A KR20180094549 A KR 20180094549A KR 1020170020801 A KR1020170020801 A KR 1020170020801A KR 20170020801 A KR20170020801 A KR 20170020801A KR 20180094549 A KR20180094549 A KR 2018009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ide wall
contents
storage spa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218B1 (ko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부의 잔존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면서도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되어 보관 효율 및 수납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둘레면을 감싸 밀폐하는 측벽부; 상기 내용물의 입자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내용물의 입자 사이로 유입된 잔존 에어가 배출되도록 다겹원단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겹원단 재질의 삽입관부가 구비된 덮개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감싸 밀폐하되,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배출관부가 구비된 바닥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양벨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잔존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면서도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되어 보관 효율 및 수납 안전성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이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은 내용물의 수납 및 인출, 내용물의 미수납시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유연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내용물의 중량에 의해 직물 소재의 조직이 성글게 됨에 따라 조직 사이의 틈새로 미세 분진이 외부로 누출될 뿐만 아니라, 누출된 분진이 밀폐된 적재, 보관 공간 내에서 공기와 혼합되어 분진폭발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특히, 산화방지제로 널리 사용되는 비스페놀 A의 경우, 높은 전하량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운반시 진동충격 등으로 쉽게 대전되어 스파크를 발생시키므로 분진폭발 등 대형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이에, 직물 소재에 내면에 밀폐성 코팅재를 도포하여 컨테이너백의 수납공간을 밀폐하거나, 컨테이너백의 내부에 밀폐성 이너라이너를 함께 사용하는 수납방법 등이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미세한 입자형태의 내용물이 이너라이너 또는 밀폐된 컨테이너백 내부에 충진될 때 입자 사이에 포함된 다량의 공기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컨테이너백이 내용물과 함께 충진된 공기로 인해 부푼 상태에서 다단 적재시 하중 등으로 터져버려 내용물이 대량 유실되고 다량의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 공기층의 유동으로 컨테이너백의 직립성이 저하되고, 컨테이너백의 다단 적층시 상부측 컨테이너백이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4443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의 잔존 에어가 용이하게 배출되면서도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되어 보관 효율 및 수납 안전성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둘레면을 감싸 밀폐하는 측벽부; 상기 내용물의 입자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내용물의 입자 사이로 유입된 잔존 에어가 배출되도록 다겹원단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겹원단 재질의 삽입관부가 구비된 덮개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감싸 밀폐하되,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배출관부가 구비된 바닥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양벨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는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되 외부공간과 대면되는 외면부에 불활성수지 재질의 밀폐코팅층이 형성된 코팅원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겹원단은 최외곽에 상기 코팅원단이 배치되도록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된 통기성원단 및 상기 코팅원단이 다겹으로 적층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삽입관부는 각각의 코팅원단이 상호 연결되되 각각의 통기성원단이 상호 연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부의 코팅원단 및 통기성원단은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덮개부, 상기 바닥부 중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테두리측 접합단부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상기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가 삽입되어 재봉 결합되되, 상기 접합단부 중 상호 결합되는 한쌍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부직포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타측이 상기 접합단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덮개부,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대면되는 내면부에 상호 접속되도록 교차되어 직조된 복수의 전도섬유가 구비되며, 상기 전도섬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지부재에 접속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접합단부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접합단부 및 상기 부직포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일체로 재봉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내용물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되 보관/적재공간 또는 타 컨테이너백과 접촉되는 측벽부 및 바닥부가 밀폐성 코팅원단으로 구비되어 내용물의 누설 및 오염이 차단되면서도 다겹의 통기성원단으로 구비된 덮개부를 통해 미분형 내용물의 누설 없이 잔존 에어가 배출될 수 있어 다단 적층시 잔존 에어로 인한 쓰러짐이나 터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수납 효율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각 통기성원단이 상호 상이한 방식으로 직조되어 각 통기공간 간의 연통비율이 감소되므로 미분형 내용물의 누출로 인한 분진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폭발성 분진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우려가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각 원단의 접합단부가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로 부직포와 다겹으로 적층됨에 따라 원단 자체의 두께 증가 없이 원단 간의 연결부분에 탄성적인 쿠션감이 부여될 수 있으므로 원단 및 부직포가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미분형 내용물의 누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넷째, 원단 간 연결부분에 배치된 접지부재를 경유하도록 각 원단의 내면부에 전도섬유가 직조되어 정전기로 인한 내용물의 전하가 접지부재측으로 원활하게 유도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의 축적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제품의 수납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수납공간의 최외곽이 밀폐성 코팅원단에 의해 커버되므로 이물질의 유입 또는 미분형 내용물의 누출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으며, 다겹원단으로 구비된 덮개부 내부의 배출유로공간을 통해 수납공간의 잔존에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납 효율성 및 보관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측벽부의 내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측벽부의 내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측벽부(10), 덮개부(20), 바닥부(40), 그리고 인양벨트(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내용물의 미수납시 보관 부피가 최소화되되, 내용물의 수납시 외형이 변형되며 수납량이 최대화되도록 유연성 재료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원기둥 형태나 다각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의 연속 배치시 측벽부 사이의 공극이 최소화되도록 사각기둥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부(10)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둘레면을 감싸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0)는 한 장의 원단이 수납공간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양측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원단이 폭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각각의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를 갖는 측벽부(10)에는 개방된 상단측 테두리를 따라 덮개부(20)가 결합되고, 개방된 하단측 테두리를 따라 하단부에 바닥부(4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덮개부(20), 상기 바닥부(40)의 내부에 외부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0)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벽부(10)의 상단 및 하단에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바닥부(40)의 재봉 결합을 위한 접합단부(11,1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내용물의 입자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내용물의 입자 사이로 유입된 잔존 에어가 배출되도록 다겹원단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20)는 수납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되 상기 수납공간의 단면적으로 초과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20)의 테두리에 상기 측벽부(10)와 재봉 결합을 위한 접합단부(21,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0)의 중앙부에는 삽입관부(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원단의 제조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덮개부(20)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의 테두리(23,24)를 따라 상기 삽입관부(3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30)는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삽입관부(30)를 통해 측벽부(10)의 내부측 수납공간과 외부공간이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관부(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내용물이 주입될 수 있으며, 외면 일측에 구비된 고정끈(33)을 통해 삽입관부(30)가 폐쇄되면 상기 수납공간이 밀봉되어 수납된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40)는 상기 측벽부(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감싸 밀폐한다.
이때, 상기 바닥부(40)는 수납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되, 상기 수납공간의 단면적으로 초과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40)의 테두리에 상기 측벽부(10)와 재봉 결합을 위한 접합단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40)의 중앙부에는 배출관부(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부(50)는 상기 바닥부(40)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원단의 제조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바닥부(4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40)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의 테두리(42)를 따라 상기 배출관부(5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부(50)는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부(50)를 통해 측벽부(10)의 내부측 수납공간과 외부공간이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부(50)가 개방되면 상기 수납공간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외면 일측에 구비된 고정끈(53)을 통해 상기 배출관부(50)가 폐쇄되면, 상기 수납공간이 밀봉되어 수납된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양벨트(60)는 상기 측벽부(10)의 둘레를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되, 하나의 인양벨트(60)는 덮개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60a)와 상기 고리부(60b)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부(10)에 결합되는 결합부(6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60a) 및 결합부(60b)는 상기 인양벨트(60)의 각 부분을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낸 것으로 고리부(60a) 및 결합부(60b)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양벨트(60)는 높은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60b)는 인양벨트(60)에서 측벽부(10)에 결합되는 양단부측을, 상기 고리부(60a)는 측벽부(10)에 결합되지 않는 인양벨트(60)의 중앙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리부(60a)가 인양장비 등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컨테이너백(100)이 인양될 수 있다.
그리고, 인양벨트(60)는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양단부측 결합부(60b)가 상호 중첩된 상태로 측벽부(10)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20)의 상측에 완전한 링 형상의 고리부(60a)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결합부(60b)가 이격된 상태로 측벽부(10)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20)의 상측에 반원 또는 원호형의 고리부(6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벨트(60)는 상기 측벽부(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되되, 결합부(60b)의 중첩 여부 및 결합 위치에 따라 상호 독립 배치된 복수의 고리부(60a)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교차 배치된 복수 고리부(60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바닥부(40)는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되, 외부공간과 대면되는 외면부에 불활성수지(inert resin) 재질의 밀폐코팅층(10a,40a)이 형성된 코팅원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사(synthetic fiber)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수지가 섬유 모양으로 가공된 것으로 의미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사는 평직, 능직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직조될 수 있으며,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면서도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시트형태의 통기성원단(l0b,4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불활성수지라는 말은 경화 상태에서 다른 물질과의 접촉시 화학적인 반응이 발생되지 않거나 반응정도가 매우 적은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과 같이 화학적인 안정성이 높은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기성원단(10b,40b)의 일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불활성수지가 얇게 도포 및 경화되어 밀폐코팅층(10a,4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원단은 밀폐코팅층(10a,40a)이 형성된 통기성원단(10b,40b)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바닥부(40)는 상기 코팅원단에서 밀폐코팅층(10a,40a)이 적층된 일면측이 외부공간과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수납공간에 주입 및 수납된 내용물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며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되, 보관/적재공간 또는 다른 컨테이너백과 접촉되는 측벽부(10) 및 바닥부(40)가 밀폐성 코팅원단으로 구비되므로 내용물이 미세한 입경을 갖는 미분 형태인 경우에도 외부공간으로의 누출 없이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외부공간의 이물질로 인한 내용물의 오염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코팅층(10a,40a)이 불활성수지로 구비됨에 따라 내용물이나 외부공간의 수분 등의 기타 이물질과의 접촉시에도 변성 없이 안정적인 밀폐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0)의 다겹원단은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된 통기성원단(20a,20b)이 상호 면접촉되도록 다겹으로 적층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통기성원단(20a,20b)은 합성수지사의 직조를 통해 형성되므로 섬유 사이에 공기가 유동 가능한 통기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둘 이상의 통기성원단(20a,20b)의 상호 면접촉되도록 적층되면, 일측 원단의 통기공간이 타측 원단의 합성수지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기성원단(20a,20b)은 통기공간 간의 상호 연통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호 대면되는 면이 접착제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점 결합되거나, 시침 등과 같이 넓은 간격으로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측벽부(10)에 재봉됨에 따라 간접적으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에 충진된 내용물의 누설이 차단될 수 있으면서도 각 통기공간의 부분적인 연통을 통해 수납공간의 잔존 에어가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백(100)의 다단 적층시 수납공간에 충진된 잔존 에어로 인한 쓰러짐이나 터짐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어 제품의 수납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0)는 직조 방식이 상호 상이한 복수의 통기성원단이 적층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통기성원단이 평직으로 구비된 경우, 타측 통기성원단은 능직이나 수자직, 편성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통기성원단의 통기공간이 상호 엇갈림 배치될 수 있으며, 일측 통기성원단의 통기공간이 타측 통기성원단의 섬유에 의해 차폐되는 비율이 증가되므로 미분형 내용물의 누출로 인한 분진 발생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비스페놀 A 등과 같은 가연성 화학물질의 분진으로 인한 분진 폭발 등의 사고 우려가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덮개부(20)의 다겹원단은 통기성원단과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덮개부(20)는 하나의 통기성원단과 하나의 부직포가 면접촉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30)는 상기 통기성원단(30a,30b)이 다겹으로 적층되어 구비된 다겹원단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용물의 주입시 입자 사이의 잔존 에어가 다겹원단 간 상호 연통된 통기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납 효율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부(30)의 상단 테두리측 접합단부(32)는 외면측으로 다단으로 접혀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단의 테두리측 직조 조직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주입시 직조 조직의 풀림으로 인한 튿어짐 등의 파손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부(50)는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된 통기성원단(50b)의 외면부에 불활성수지 재질의 밀폐코팅층(50a)이 형성된 코팅원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출관부(50)의 폐쇄시 수납공간의 하부측이 더욱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어 제품의 보관성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부(50)의 하단 테두리측 접합단부(52)는 외면측으로 다단으로 접혀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단의 테두리측 직조 조직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배출시 직조 조직의 풀림으로 인한 튿어짐 등의 파손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덮개부(20), 상기 바닥부(40) 중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테두리측 접합단부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상기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70)가 삽입되어 재봉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직포(70)는 복수의 합성섬유사가 상호 얽히도록 열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결합된 원단으로, 섬유 사이에 매우 미세한 통기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0)의 상단 테두리측 접합단부(11) 및 상기 덮개부(20)의 외곽 테두리측 접합단부(21,22)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부직포(70)가 끼움되어 재봉 결합된다.
즉, 상기 측벽부(10)의 상단 테두리측 접합단부(11)가 부직포(70)의 일면에 면접촉되되, 부직포(70)의 타면에 상기 덮개부(20)의 외곽 테두리측 접합단부(21,22)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측벽부(10) 및 덮개부(20)의 접합단부(11,21,22)와 부직포(70)가 일체로 재봉 결합된다.
이때, 부직포는 상기 수납공간의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의 띠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덮개부(20)의 접합단부(11,21,22) 사이를 일체로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0)의 하단 테두리측 접합단부(12) 및 상기 바닥부(40)의 외곽 테두리측 접합단부(41)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부직포(70)가 끼움되어 재봉 결합된다.
즉, 상기 측벽부(10)의 하단 테두리측 접합단부(12)가 부직포(70)의 일면에 면접촉되되, 부직포(70)의 타면에 상기 바닥부(40)의 외곽 테두리측 접합단부(41)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측벽부(10) 및 바닥부(40)의 접합단부(12,41)와 부직포(70)가 일체로 재봉 결합된다.
이때, 부직포는 상기 수납공간의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의 띠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바닥부(40)의 접합단부(12,41) 사이를 일체로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삽입관부(30)의 연결부분, 상기 바닥부(40) 및 상기 배출관부(50)의 연결부분, 상기 측벽부(10) 간의 연결부분에도 각각의 내면 사이에 상기 부직포(70)가 배치된 상태에서 재봉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부(20)의 개구 테두리측 접합단부(23,24) 및 상기 삽입관부(30)의 하단 테두리측 접합단부(31)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부직포(70)가 끼움되어 재봉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40)의 개구 테두리측 접합단부(42) 및 상기 배출관부(50)의 상단 테두리측 접합단부(51)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부직포(70)가 끼움되어 재봉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부(10) 및 덮개부(20), 상기 측벽부(10) 및 바닥부(40)과 같이 하나의 원단과 다른 원단이 연결되는 모든 연결부분에서 재봉사 간의 간극으로 인한 미분형 내용물의 누설이 감소될 수 있어 제품의 수납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수납공간의 잔존 에어가 덮개부(10)뿐만 아니라 원단 간의 모든 연결부분에서 상기 부직포(70)의 미세한 통기공간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잔존 에어의 완전 배출을 위한 대기 시간이 감축되어 전체적인 포장 작업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접합단부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접합단부 및 상기 부직포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일체로 재봉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부(10)의 상단 테두리측 접합단부(11)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부직포(70) 및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덮개부(20)의 외곽 테두리측 접합단부(21,22)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재봉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0)의 하단 테두리측 접합단부(12)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부직포(70) 및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바닥부(40)의 외곽 테두리측 접합단부(41)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재봉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부(30)의 하단 테두리측 접합단부(31)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부직포(70) 및 상기 덮개부(20)의 개구 테두리측 접합단부(23,24)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재봉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관부(50)의 상단 테두리측 접합단부(51)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부직포(70) 및 상기 바닥부(40)의 개구 테두리측 접합단부(42)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재봉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에 충진된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측벽부(10) 및 바닥부(40)의 연결부분, 그리고 바닥부(40) 및 배출관부(50)의 연결부분에는 두 열이상의 재봉사가 평행하게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중첩된 각 접합단부 및 접합단부 사이에 배치된 부직포를 통해 원단 자체의 두께 증가 없이도 원단 간의 연결부분에 탄성적인 쿠션감이 부여되므로 재봉 결합된 원단 및 부직포가 안정적으로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꺼운 원단의 사용으로 인한 소재 비용의 증가 없이 원단 간 연결부분에서 미분형 내용물의 누설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경제성 및 수납안정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각 접합단부가 접혀 중첩되며 상호 간의 보강구조를 형성하므로 재봉사의 관통시 형성된 홀로 인한 원단의 강도 저하 없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각 접합단부(31)가 외면측으로 접힘됨에 따라 원단 간의 연결부분이 외부공간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직포(70)를 통한 수납공간의 잔존 에어 배출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단부 중 상호 결합되는 한쌍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부직포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타측이 상기 접합단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10) 및 상기 덮개부(20), 상기 바닥부(40)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대면되는 내면부에 상호 접속되도록 교차되어 직조된 복수의 전도섬유(9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도섬유(9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지부재에 접속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재는 카본,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소재가 시트형태로 구비된 카본 필름, 알루미늄 테이프 등을 의미하며, 상기 전도섬유(90)는 카본, 알루미늄 등 전도성 소재가 섬유형태로 구비된 것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접지부재는 측벽부(10)의 상단측 접합단부(11) 및 덮개부(20)의 외곽측 접합단부(21,22) 사이, 측벽부(10)의 하단측 접합단부(12) 및 바닥부(40)의 외곽측 접합단부(41) 사이, 덮개부(20)의 개구측 접합단부(23,24) 및 삽입관부(30)의 하단측 접합단부(31) 사이, 바닥부(40)의 개구측 접합단부(42) 및 배출관부(50)의 상단측 접합단부(51) 사이 등 원단과 원단이 연결되는 모든 부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는 연결부분의 폭에 따라 하나의 연결부분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부(10) 및 덮개부(20)의 연결부분, 측벽부(10) 및 바닥부(40)의 연결부분과 같이 넓은 폭을 갖는 연결부분에는 4개의 접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부(20) 및 삽입관부(30)의 연결부분, 바닥부(40) 및 배출관부(50)과 같이 비교적 좁은 폭을 갖는 연결부분에는 2개의 접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재(80a)는 일측이 상기 부직포(70)를 'ㄷ'자 형으로 감싸며, 하나의 접합단부 내면과 부직포(70)의 일면 사이, 다른 접합단부의 내면과 부직포(70)의 타면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타측이 외부공간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부재(80a)가 부직포(7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재봉 결합되므로 접합단부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섬유(90)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다는 의미는 복수의 전도섬유(90) 중 임의적으로 선택된 모든 쌍의 전도섬유(90)가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을 갖도록 직조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전도섬유(90)가 측벽부(10)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격자형으로 직조되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도섬유(90)는 측벽부(10), 덮개부(20), 바닥부(40)뿐만 아니라 삽입관부(30), 배출관부(50)의 내면에도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도섬유(90)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원단의 접지부재(80a)를 경유하도록 직조됨에 따라 모든 전도섬유(90)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지부재(80a)와 접속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측벽부(10)의 높이방향으로 직조된 전도섬유, 측벽부(10)의 상단/하단에 폭방향으로 직조된 전도섬유는 접지부재(80a)의 직접 접속되며, 측벽부(10)의 중앙부를 따라 폭방향으로 직조된 전도섬유는 높이방향으로 직조된 전도섬유와 접속되며 접지부재(80a)에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섬유(90)는 수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각 원단의 외면측으로 노출되는 비율보다 내면측으로 노출되는 비율이 높도록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10), 덮개부(20), 바닥부(40), 삽입관부(30), 배출관부(50)를 구성하는 합성섬유사는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시 마찰을 통해 다량의 정전기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생된 정전기는 수납공간의 내용물이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 등과 같은 폭발성 화학물질인 경우에, 분진 폭발 등의 산업 재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섬유(90)는 상기 내용물에 대전된 정전기의 전하를 흡수하여, 전도섬유(9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접지부재(80a)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의 주입 및 배출시 발생된 정전기가 수납공간의 내부에 축적되지 않고, 전도섬유 및 접지부재를 통해 외부공간으로 원활하게 유도 배출될 수 있으며, 정전기의 축적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60)의 결합부(60b) 및 상기 측벽부(10) 사이에는 보조접지부재(80b)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접지부재(80b)는 상기 측벽부(10)의 내면부측 전도섬유(90)에 접속되도록 보조전도섬유에 의해 재봉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접지부재(80b)는 상기 접지부재(80a)와 동일하게 높은 전도성을 갖는 소재의 필름 또는 시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전도섬유는 전도섬유(90)와 동일하게 높은 전도성을 갖는 소재의 섬유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의 정전기가 더욱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정전기의 축적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220) 및 삽입관부(230) 간 연결 형태, 삽입관부(230)의 원단 간 연결 형태, 다겹원단의 구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겹원단은 최외곽에 상기 코팅원단(220e,230e)이 배치되도록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된 통기성원단(220c,230c) 및 상기 코팅원단(220e,230e)이 다겹으로 적층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부(220)는 외부공간과 대면되는 외곽측에 코팅원단(220e)이 배치되되 수납공간과 대면되는 내곽측에 통기성원단(220c)이 배치되도록 적층된 다겹원단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팅원단(220e)과 통기성원단(220c)은 상호 대면되는 면이 접착제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점 결합되거나, 시침 등 넓은 간격으로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각 원단의 테두리측이 측벽부(210) 및 삽입관부(230)에 재봉됨에 따라 간접적으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관부(230)는 외부공간과 대면되는 외곽측에 코팅원단(230e)이 배치되되 수납공간과 대면되는 내곽측에 통기성원단(230c)이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220) 및 삽입관부(230)의 코팅원단(220e,230e)은 외곽측 통기성원단(220b,230b)의 일면에 밀폐코팅층(220a,230a)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원단(220e,230e)의 밀폐코팅층(220a,230a)은 외부공간과 대면되는 외곽측 통기성원단(220b,230b)의 외면측 또는 내곽측 통기성원단(220b,230b)과 대면되는 외곽측 통기성원단(220b,230b)의 내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20)의 코팅원단(220e)과 통기성원단(220c) 사이, 상기 삽입관부(230)의 코팅원단(230e)과 통기성원단(220c) 사이에는 배출유로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의 잔존에어는 상기 덮개부(220)의 내곽측 통기성원단(220cc)을 통과하여 상기 덮개부의 배출유로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유로공간으로 유입된 잔존에어는 덮개부(220) 및 측면부(210)의 재봉부분, 덮개부(220) 및 삽입관부(230)의 재봉부분을 따라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원간 간의 연결부분은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부직포가 끼움되어 재봉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의 잔존에어가 배출될 수 있으면서도 내용물의 누출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수납안전성 및 보관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20) 및 상기 삽입관부(230)는 각각의 코팅원단(220e,230e)이 상호 연결되되 각각의 통기성원단(220c,230c)이 상호 연결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부(220)의 코팅원단(220e) 테두리가 상기 삽입관부(230)의 코팅원단(230e) 테두리와 연결되되, 상기 덮개부(220)의 통기성원단(220c) 테두리가 상기 삽입관부(230)의 통기성원단(230c) 테두리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220)의 배출유로공간과 상기 삽입관부(230)의 배출유로공간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220)의 코팅원단(220e)은 개구측 테두리부가 상기 삽입관부(230) 코팅원단(230e)의 하단측 테두리부와 중첩된 상태에서 내면측으로 접혀 재봉 결합되되, 상기 덮개부(220)의 통기성원단(220c)은 개구측 테두리부가 상기 삽입관부(230) 통기성원단(230c)의 하단측 테두리와 중첩된 상태에서 내면측으로 접혀 재봉 결합된다. 이에 따라, 원단 간 재봉부분을 통한 내용물의 누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부(230)의 코팅원단(230e) 및 통기성원단(230c)은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270)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부(220)의 배출유로공간으로 유입된 잔존에어는 상기 삽입관부(230)의 배출유로공간으로 유동되어 상기 삽입관부(230)의 상단측 부직포(2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의 최외곽이 밀폐성 코팅원단에 의해 커버되므로 이물질의 유입 또는 미분형 내용물의 누출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으며, 다겹원단으로 구비된 덮개부 내부의 배출유로공간을 통해 수납공간의 잔존에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납 효율성 및 보관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부(250)는 통기성원단이 다겹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관부(240)와 동일하게 통기성원단(250b)의 외면에 밀폐코팅층(250a)이 형성된 코팅원단(250e)과 통기성원단(250c)이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잔존에어가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컨테이너백 10,210: 측벽부
20,220: 덮개부 30,230: 삽입관부
40,240: 바닥부 50,250: 배출관부
60: 인양벨트

Claims (5)

  1.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둘레면을 감싸 밀폐하는 측벽부;
    상기 내용물의 입자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내용물의 입자 사이로 유입된 잔존 에어가 배출되도록 다겹원단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겹원단 재질의 삽입관부가 구비된 덮개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를 감싸 밀폐하되, 중앙부에 상기 수납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배출관부가 구비된 바닥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양벨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는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되 외부공간과 대면되는 외면부에 불활성수지 재질의 밀폐코팅층이 형성된 코팅원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겹원단은 최외곽에 상기 코팅원단이 배치되도록 합성수지사가 직조되어 형성된 통기성원단 및 상기 코팅원단이 다겹으로 적층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삽입관부는 각각의 코팅원단이 상호 연결되되 각각의 통기성원단이 상호 연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삽입관부의 코팅원단 및 통기성원단은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덮개부, 상기 바닥부 중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테두리측 접합단부는 각각의 내면 사이에 상기 내용물의 입경 미만의 통기공간을 갖는 부직포가 삽입되어 재봉 결합되되,
    상기 접합단부 중 상호 결합되는 한쌍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부직포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타측이 상기 접합단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덮개부,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대면되는 내면부에 상호 접속되도록 교차되어 직조된 복수의 전도섬유가 구비되며,
    상기 전도섬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지부재에 접속되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합단부는 외면측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에서 인접한 다른 접합단부 및 상기 부직포와 다겹으로 적층되어 일체로 재봉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KR1020170020801A 2017-02-16 2017-02-16 컨테이너백 KR10189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01A KR101892218B1 (ko) 2017-02-16 2017-02-16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01A KR101892218B1 (ko) 2017-02-16 2017-02-16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49A true KR20180094549A (ko) 2018-08-24
KR101892218B1 KR101892218B1 (ko) 2018-08-28

Family

ID=6345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01A KR101892218B1 (ko) 2017-02-16 2017-02-16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70B1 (ko) * 2018-10-17 2019-04-08 최용덕 컨테이너 백
CN110302952A (zh) * 2019-07-05 2019-10-08 重庆上诺建筑工程有限公司 天然气净化装置检修用物料筛分设备
KR102104819B1 (ko) * 2018-12-06 2020-04-27 김용찬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20220030053A (ko) * 2020-09-02 2022-03-10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20220111458A (ko) * 2021-02-02 2022-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940B1 (ko) * 2019-01-17 2019-10-01 최용덕 컨테이너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154A (ja) * 1998-08-27 2000-03-07 Wacker Chemie Gmbh 高分散性高含気性固体用の柔軟な大型容器及びその充填法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20160000781U (ko) * 2014-08-28 2016-03-09 김형석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154A (ja) * 1998-08-27 2000-03-07 Wacker Chemie Gmbh 高分散性高含気性固体用の柔軟な大型容器及びその充填法
KR101144432B1 (ko) 2011-06-07 2012-05-10 안병선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KR20160000781U (ko) * 2014-08-28 2016-03-09 김형석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70B1 (ko) * 2018-10-17 2019-04-08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102104819B1 (ko) * 2018-12-06 2020-04-27 김용찬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CN110302952A (zh) * 2019-07-05 2019-10-08 重庆上诺建筑工程有限公司 天然气净化装置检修用物料筛分设备
KR20220030053A (ko) * 2020-09-02 2022-03-10 최용덕 컨테이너 백
KR20220111458A (ko) * 2021-02-02 2022-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18B1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18B1 (ko) 컨테이너백
EP0703162B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CN103282289B (zh) 包括容器和袋的丝容纳设备和结构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US6179467B1 (en) Woven polypropylene bulk bag with polypropylene lining or l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US4948265A (en) Container bag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JP6590777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JP6665342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WO2018016537A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55252Y1 (ko) 포대
KR20160000781U (ko)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JP3221632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2107637B1 (ko)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CN103987634A (zh) 用于制造大容量柔性容器的方法、所得的柔性容器、对应的包装物
KR20240042699A (ko) 컨테이너백
KR101950211B1 (ko) 유독성 화합물 수납용 컨테이너백
KR20240040241A (ko) 컨테이너백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
KR102559833B1 (ko) 컨테이너백
KR20240040238A (ko) 컨테이너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