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762B1 -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 Google Patents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762B1
KR950011762B1 KR1019920018072A KR920018072A KR950011762B1 KR 950011762 B1 KR950011762 B1 KR 950011762B1 KR 1019920018072 A KR1019920018072 A KR 1019920018072A KR 920018072 A KR920018072 A KR 920018072A KR 950011762 B1 KR950011762 B1 KR 950011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vent
container
air
suspen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66A (ko
Inventor
올라프스트란드
맥컬럼 마아틴 도날드
Original Assignee
노르스크히드로아. 에스.
리타 릴러그레이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스크히드로아. 에스., 리타 릴러그레이븐 filed Critical 노르스크히드로아. 에스.
Publication of KR93000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8Large containers flexible bellows-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g Fram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Tub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라이너를 횡방향으로 접은 후의 단부도.
제3도는 제2도의 라이너를 종방향으로 접은 후의 도면.
제4도는 제1도 내지 3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제위치에 장착되어 화물 충전 준비가 완료된 라이너 또는 내측 백을 구비한 복합 용기(FIBC)의도면.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1-3도의 라이너와 유사하나 다만 현수 수단내의 통기구를 조절하는 일-방향 밸브를 제공하는 미로형 밀봉체를 구비하는 라이너를 도시한 선도.
제7-10도는 라이너에 구비된 통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미로형 밀봉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선도.
제11도는 미로형 밀봉체에 의해 조절되는 공기 통기구 및 충전 유입구를 구비한 백 또는 라이너를 도시한 선도.
제12도는 적절한 접합 공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제1-3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라이너의 상단부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라이너 102, 104, 106 : 접합시임
120, 122, 124 : 관형부재(현수 수단)
130 : 패키지 132 : 접착테이프
140 : 용기외각 150 : 상부모서리
152, 154 : 통기구 160, 162 : 밀봉체
12, 20, 21 : 밀봉체
본 발명은 분말형 또는 과립형 화물등 산적화물의 수송 및 저장용으로 특히 유용한 유연성 용기(flexible container)용 라이너(liner; 용기 내부의 덧댄부재)및 라이너를 내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위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의, 산적 화물용 유연성 용기는 일반적으로 리프팅 루프(lifting loop; 인양을 위한 고리)및 화물 충전(充塡)용 유입구를 구비한 용기 외각백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유연성 용기의 대부분의 사용자에게는, 수송되는 화물이 먼지, 물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함은 필수적이며, 이것은 대개 플라스틱 재료편, 종이 등으로 만들어진 비투과성 라이너를 용기 외각의 내벽에 부착함으로써 성취되며, 그 다음에 라이너 내부에 수송 및 또는 저장될 화물이 채워지게 된다.
용기의 제조 장소에서 화물-운반 용기 외각내에 라이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상기와 같은 복합 용기를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는 용기 외각을 형성하는 물질에 용기 조립체를 따라 부분적으로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라이너를 부착시키고,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용기 외각에 재봉하게 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라이너를 손상 또는 주름없이 그리고 용기 외각의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으로서 용기 외각에 배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라이너는 산적화물을 채웠을 때 파손되기 쉽다. 더구나, 사용중에 라이너의 변위및 분리가 일어나기 쉬우며 또한 만약 화물을 채우는 동안 또는 그전에 라이너가 변위된다면 백(bag)제조중에 라이너를 정확히 배치하는 것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이너를 용기 외각에 정열시키는 하나의 방법이 유럽 특허 제 0141429호에서 제안된 바 있으며, 이 방법에서는 먼저, 사각형 단면을 가진 단부개방 박스형 또는 터널형의 접기식(folding)수단내에 용기를 배치하고, 그다음에 용기 외각내부에 라이너를 배치한 후 팽창시킨다. 박스의 종방향 측벽들은 예를들어 힌지(hinge)에 의해 분할되고 서로 결합된다. 팽창후 박스는 서로 압착되며 이러한 과정동안 힌지 결합된 측벽들은 라이너 및 용기 외각 모두에서 거싯(gusset; 보강용 덧붙임판)이 된다. 용기 및 라이너는 서로 압축되며 그다음에 박스로부터 끌어내어지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로써 산적화물 적재장소로 수송될 준비가 완료된다.
용기 외각을 구성하는 직조된 피륙의 개방 특성으로 인해, 용기외각 및 내측의 라이너 사이의 모든 불필요한 공기는 새어나가게 되며, 최종적으로 평평하게 된 형태에서는 용기 외각과 라이너 사이에는 전혀 공기가 남아있지 않게 되고 따라서 후속되는 화물 적재 단계에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또한 라이너 및 외측백이 정확히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방법에는 내측 라이너 및 외측 백 사이에 정확하고 유연하며 주름이 없는 결합을 제공하는 반면에 백제조 장소에서의 추가적인 제조단계를 필요로한다. 더구나, 상기 방법은 팽창된 라이너 내부에 남아있는 공기에 의해 유발되는 또다른 문제, 즉 화물을 충전하는 동안 과립형 산적 화물에 의해 포획되는 공기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백이 충전된 후의 라이너 백내의 상기 잔류공기는 라이너의 유입구가 밀봉되었을 대 산적화물의 전체적의 10내지 15%까지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포획된 공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누출되게 되며 후속처리, 수송및 저장등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충전된 색(sack)들이 다루어지고 또한 적재될때, 그 내용물이 침전하여 서로 밀집되어 있음으로 인해 포획된 공기는 색내에서 변형가능한 쿠션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인해 색은 둥근 형상을 취할 수있으며, 색들의 더미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충전된 색들을 다루는데 역학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더구나, 포획된 공기는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수축할 것이며, 이것은 공기쿠션을 팽창 또는 수축시킬 것이다. 극단적인 경우에, 공기 쿠션의 과다한 팽창이 발생하면, 색의 벽이 파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외각에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한 공기 포획 문제들을 경감할 수 있는 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오랜 저장기간동안 과다한 공기 및 공기 포획문제를 완화하는 내측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라이너를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의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견고한 용기 외각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는 유연성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며, 예정된 방향으로 용기 외각에 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최소한 하나의 현수(suspension)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현수수단은 라이너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형성한다.
미리 형성되는 라이너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제거된 구조로 접해져서 용기외각내에 결합되며, 라이너의 각각의 현수 수단은 용기의 상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현수 수단은 라이너의 관형 구조로써 형성된다.
라이너를 구비한 백이 충전되었을 때, 유입구는 폐쇄되나 라이너 내부의 공기는 관형 현수 수단을 통하여 그리고 또는 관형 현수 수단의 벽 및 또는 라이너의 벽에 있는 하나이상의 통기구를 통하여 방출된다.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방향 밸브수단이 구비되어 배출구 및 또는 통기구를 통한 공기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방향 밸브수단은 서로를 밀봉시키는 라이너의 서로 대향하는 벽돌의 작동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일-방향 밸브는 관형 현수수단에 통기구가 구비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특히 만약 통기구가 용기의 상부 모서리 가까이에 형성되면, 통기구를 통한 공기의 유동은 "미로형" 밀봉체를 구비하는 일-방향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형태에서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는 일단부에 유입구를 구비하며, 그 유입 단부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하나이상의 통기구가 위치하며, 통기구의 본체측상의 각각의 통기구에 인접한 라이너의 서로 대향하는 벽들 사이에는 두개 이상의 가늘고 긴 밀봉체들이 구비되며, 가능고 긴 밀봉체들은 중심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통기구와 라이너의 내부 사이에 미로형 통로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가지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3도를 참조하면, 라이너(10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인 두개의 비투과성 .유연성 재료편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두개의 재료편은 단부 접합 시임(102) 및 측면 접합 시임(104,106)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백을 형성하는데, 상기 백은 일단부가 개방되고, 그 일단부에서는 부분(110,112)가 제거되어 성곽형 단부 형상을 형성한다. 부분(110,112)각각의 외주부에는 또다른 시임 또는 접합부(116,118)가 형성되어 세개의 관형부재(현수 수단)(120,122 및 124)를 형성한다. 관형부재(120)는 라이너 백용 충전 유입구를 제공하는데, 관형부재(122,124)는 용기 외각에 라이너를 연결시키는 현수 수단을 형성한다. 현수 수단인 관형부재(122,124)는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기 배출"기능을 제공한다.
제조된 후에는 라이너(100)는 대부분의 공기가 배출된 밀집형 패키지(130, 제3도 참조)를 형성하도록 접혀진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라이너(100)는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밀집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1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종방향 접철선(L1, L2, L3 및 L4)에 대해 접혀진다. 그다음에 라이너는 접철선(L5, L6 및 L7, 제3도 참조)을 따라 도면의 평면 밖으로 접혀지며 그 결과 제3도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패키지(130)가 된다. 접착테이프(132)는 라이너를 접혀진 위치에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접혀진 라이너는 그다음에, 제4도 및 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외각 주머니(140)내부에 방향을 잘잡아서 부착된다. 예를들어 직조된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는 용기 외각(140)은 전방 및 후방측면(142,144)및 두개의 내측 폴드(fold)또는 거싯(146, 148)을 구비하는 "사용준비완료"상태로 도시되었다. 용기 외각에는, 종래 방법의 폴딩(folding) 및 직조에 의해 상단부분에 형성되는 일체로된 인양 스트랩(strap ; 끈, 띠)이 구비된다. 인양스트랩은 단일지점 도는 다중의 지점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외각의 바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전개된 형태이거나 또는 별 또는 이중의 정사각형 형태의 바닥일 수 있다.
접혀진 라이너(130)는 측면(142, 144)사이에서 그리고 거싯(146,148)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라이너는 현수 수단인 관형부재(122, 124)에 의하여 용기 외각에 부착되며, 관형부재(122, 124)는 조임 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며 용기(140)의 상부 모서리(150)와 같은 높이로서 그것과 일렬로 설치되며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42, 144)의 대각선 반대방향 모서리에 연결된다.
사용시에, 용기를 충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때에는, 충전관(도시생략)을 구비한 충전장치는 라이너의 충전 유입구(120)내로 삽입되며, 라이너(100)는외측의 주머니(140)에 대하여 팽창되는데, 라이너는 퍼져서 주름없이 외측 주머니에 대하여 팽창한다. 그다음에 라이너는 산적화물 또는 과립형 물질로 채워진다.
한편, 산적화물은 충전중에 팽창하는 밀집형 패키지(130)내로 직접 충전될 수도 있다. 이때 라이너내로 유입될 수 있는 유일한 공기는 산적화물 자체내에 잔류하는 공기이다.
충전후에는 유입구(120)는 폐쇄 또는 밀봉된다.
관형부재(122, 124)는 산적화물 내에 잔류하는 공기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일방향 밸브수단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일방향 밸브 작동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하도록 놓여진 각각의 관의 측면을 형성하는 유연성 재료로 된 박판의 일부분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부분은 라이너내의 양의 압력에 감응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의 배출은 관형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개구 또는 통기구(152)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공기가 라이너로 부터 빠져나가고나면, 관형부재(122, 124)의 측면은 서로 봉합되어 관 및 통기구(152)를 폐쇄하여 공기 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라이너의 재로는 80/100 마이크론 두께의 단일 압출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라이너들은 80-85 마이크론 정도의 더 두꺼운 다중-층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층들은 서로 다른 특성들을 가지도록, 즉, 예를들어 외층은 강도가 높고 투과층인 반면에 내층은 불투과성이며 좋은 접합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라이너 재료는 높은 강도, 천공(puncture)에 대한 저항성 및 양효한 투과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은 단일층 구조로써 쉽게 성취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적층화한 용기 재료가 채택될 수도 있다.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두개의 관형부재(122, 124)대신에, 단일의 현수관 또는 세개 이상의 현수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더구나, 충전 유입구 또는 유입구들의 크기및 형태는 조건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으며 이점은 통기구(152)의 위치 및 치수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통기구(152)는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라이너가 두개의 재료편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지만, 라이너는 하나의 관형 재료편으로부터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경우 측면시임(104, 106)은 불필요하다.
라이너는 용기의 일체로된 일부분일수도 있는데, 이경우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특별한 미로형 통기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작은 크기의 용기를 통기시키는 경우에는, 이들은 처음에는 불토과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통기 문제잠니 미해결인 채로 남게 된다.
본 발명의 라이너 백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
1. 라이너가 팽창될 때 라이너는 오측 백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를 취한다.
2. 백을 충전시키거나 비울때 뿐 아니라 빈 백을 취급 또는 수송하는 동안에도 라이너는 외측백에 대하여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한다. 만약 우발적으로 물이 백내로 침투하게 되는 경우에도 라이너는 변위되지 않을것이다.
3. 제조 과정에서 부가적인 팽창-접철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제조 작업 경감의효과를 가져온다.
4. 빈 라이너내에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없으며,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포함될 장소로 수송되기 위해 빈 백들을 꾸리기(baling)/팔레팅(palletting)작업 동안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즉, 꾸러미 또는 팔레트들이 압착될 때 라이너가 파열될 위험이 없다. 또한 팔레트된 장치는 더욱 안정적이다(잘 변위되지 않는다)
5. 라이너내의 배기 밸브의 압력으로 인해 충전후의 백내의 과잉의 공기는 제거되어 백이 충전되고 라이너가 폐쇄 또는 밀봉된 후 산적 화물위의 "공기풍선"의 형성이 방지된다. 이것은 백이 여러층으로 쌓이게 될 때 라이너 파열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는, 통기/밀봉 조합체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편의 상부 및 하부에 대개는 약 5mm 직경의 두개의 통기구(152 및 154)를 천공함으로써 그리고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측편의 다리부를 가로질러 두개의 파단선형 밀봉체(156 및 158)를 형성함으로써 현수 수단의 관형부재(122 및 124)에 형성된다. 일체형 라이너를 가지 백에서의 선형 밀봉체내의 간극 및 선형 밀봉체들 사이의 간격은 제7도 상세시 도시되었다.
통기구(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벽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예를들어 벽에 슬릿을 형성하거나 또는 원형 또는 기타 형상의 구멍을 천공함으로써)구비될 수 있다. 요망되는 경우에는, 벽 재료는 부분절단되어 구멍을 덮는 플랩(falp)을 형성하여 색내로 물 또는 습기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대개는, 구멍은 3내지 15제곱 밀리미터 이하의 단면적을 가지며 10밀리미터 이하의 최대치수를 가진다. 약 5-7mm 직경의 원형 통기구가 사용되는 것이 편리하며, 바람직하게는 통기구들 중의 하나는 라이너벽 하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구멍을 통하여 빈공간내로 유입된 물은 밀봉체를 관통하여 색의 본체로 유입되지 않고 하부구멍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게 된다.
미로형 밀봉체는 통기구들을 개폐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밀봉체는, 예를들어 색의 대향하는 벽들의 적절한 부위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또는 제조하는 동안 색에 대해 가열 밀봉 바아(heat sealer bar)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용기의 밀봉체들 또는 서로대향하는 벽돌 사이에 선형 열 밀봉체로서 형성된다. 밀봉체들은 간단한 직선형 밀봉체들이거나 또는 좀더 복잡한 형상의 밀봉체들일 수 있다. 따라서, 밀봉체들은 만곡되거나 또는 급커어브형 또는 파형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단순한 직선형 밀봉체를 기준으로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미로형 밀봉체는 최소한 두개의 선형 밀봉체들을 그들 길이의 일부에 대하여, 예를들어, 그들 길이의 10내지 50%에 대하여 겹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요망되는 경우, 2개 이상의 밀봉체가 사용될 수있으며, 이 경우 다중의 중첩이 발생하여 통기구 및 색이 내부 사이에 더욱 비틀린 형태의 통로가 형성된다. 또는, 하나의 선형 밀봉체가 각각 중심축 방향으로 간극을 둔 파단 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밀봉체 또는 밀봉선이 상기 간극들과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봉체의 선은 용기의 외측 모서리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체들 사이의 통로는 대개 0.5 내지 5제곱밀리미터 이하의 최대 단면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밀봉체들은 20mm이하의 간격을 두며(예를들어 5 내지 10mm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과립형 입자들은 밀봉체들을 통하여 바로 빠져 나갈수는 없으며 또한 백이 취급중에 굴절되었을때 통로는 자체밀봉을 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통기구를 통하여 색내로 공기를 흡인하는 경향이 있다. 파단선형 밀봉체가 사용되어 선형 밀봉체에 중심축 방향 간극들을 제공할때, 간극들은 대개 선의 인접한 밀봉 부분의 10에서 50%까지 연장한다. 따라서 간극은, 밀봉 부분 각각이 25 내지 50mm의 길이일때 10 내지 15mm의 길이가 될 수 있다.
도시된 선형 밀봉체(156, 158)는 파단선형으로 되어 짧은 밀봉체들(160a, 160b, 160c 등등 및 162a, 162b, 162c 등등)의 두개이 평행한 열을 형성하며 짧은 밀봉체들 사이에는 중심축 방향 간극(164 및 166)이 형성된다. 밀봉체(160 및 162)는 각각의 단부에서 약 20 내지 30%정도로 서로 겹치게 되며, 짧은 밀봉체들 사이의 중심축 방향 간극은 대개 10 내지 15mm이며, 선형 밀봉체들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30mm이다. 이것은 밀봉체 바깥쪽에 잉여공간(168)을 형성하며 두개의 원형 통기구(152 및 154)가 이 잉여 공간내의 라이너 벽을 관통하여 천공되어 있다.
미로형 밀봉체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으며, 특히 제11도에 선도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중앙 충전 유입구만을 가지는 구조의 라이너 또는 백의 상부 모서리에 통기구가 배치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또는, 통기된 라이너백이나 현수 수단에 밀봉체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그 대신에, 밀봉체(12)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형 밀봉체(20)이나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 또는 톱니형 밀봉체(21)일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밀봉체들은 위상이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어서 밀봉체들을 배치하는데 있어 극도의 정확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정교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라이너가 서로 다른 칫수로 제조될때, 중앙 충전 유입구(120) 및 현수 수단(122, 124)사이의 U-형 삭제 부분(110, 112)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인해 단일 칫수의 U-형 내측 부분(170)을 구비하는 접합공구(제12도 참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현수수단(122, 124)의 외연부(172)가 라이너 벽의 대응하는 측면시임(174)과 실질적으로 일렬이 될 때에는 현수 수단의 외연부를 따라 별도로 접합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백을 만드는 동안 이미 봉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백의 폭이 더 넓어서 라이너 백의 측연부(174)가 현수수단(122, 124)의 측연부(172)로부터 상당한 거리로 떨어져있다면(상기 수단이 상당히 좁아서 예를들어 40-80mm의 통기구로서 적절히 가능하다면), 백의 재료를 곡선(176)을 다라 접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제12도에 도시된 접합 공구의 일부분이 내연부(172)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며, 곡선부(176)는 요망될 때에만 사용될 수 있다. 요망되지 않을 때에는, 이 부분은 냉각된 채로 남아 있으며, 다만 접합이 필요할 때에만 가열된다. 따라서 1270 및 2030mm사이의 폭을 가진 라이너 백은 동일한 공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2)

  1. 유연성 산적화물 용기와 같은 용기용의 플라스틱 재료로된 라이너에 있어서, 예정된 방향으로 용기에 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최소한 하나의 현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현수수단은 라이너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수단 또는 각각의 현수 수단들은 라이너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현수 수단들은 속이 빈 관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4.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속이 빈 유연성 현수 수단의 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수단은 라이너의 상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속이빈 현수 수단의 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수단 또는 각각의 현수 수단에는 유연성 용기에 라이너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임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방향 밸브 장치가 통기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속이 빈 현수 수단 내부와 현수 수단에 인접한 모서리 내부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부분에 하나 이상의 통기구를 구비하며, 통기구를 통하는 공기의 유동은 일-방향 밸브 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10. 제8항에 있어서, 일-방향 밸브 장치는 속이 빈 현수수단의 벽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또는 각각의 통기구는 "미로형" 밀봉 장치에 의해 조절되며, 밀봉 장치의 밀봉선은 중첩되어 미로형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12. 일단부에 구비된 유입구, 이 일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 최소한 하나의 통기구, 및 사용시 산적화물이 충전되는 측면상의 하나 또는 각각의 통기구에 인접한 라이너의 서로 대향하는 벽돌 사이에 제공되며 중심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통기구와 라이너의 내부사이에 미로형 통로를 제공하는 두개의 길고 가느다란 밀봉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용기.
KR1019920018072A 1991-10-03 1992-10-02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KR950011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21002.1 1991-10-03
GB919121002A GB9121002D0 (en) 1991-10-03 1991-10-03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exible con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66A KR930007766A (ko) 1993-05-20
KR950011762B1 true KR950011762B1 (ko) 1995-10-10

Family

ID=1070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072A KR950011762B1 (ko) 1991-10-03 1992-10-02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5350239A (ko)
EP (2) EP0581393A3 (ko)
JP (1) JP2501731B2 (ko)
KR (1) KR950011762B1 (ko)
CN (1) CN1027153C (ko)
AT (1) ATE135988T1 (ko)
AU (1) AU656622B2 (ko)
BG (1) BG60643B1 (ko)
CA (1) CA2078852C (ko)
CZ (1) CZ286852B6 (ko)
DE (3) DE581393T1 (ko)
DK (1) DK0535869T3 (ko)
ES (2) ES2039344T3 (ko)
FI (1) FI108534B (ko)
GB (1) GB9121002D0 (ko)
GR (3) GR930300062T1 (ko)
HU (1) HU215024B (ko)
MX (1) MX9205652A (ko)
MY (1) MY109554A (ko)
NO (1) NO305592B1 (ko)
PL (1) PL170863B1 (ko)
RO (1) RO116473B1 (ko)
RU (1) RU2065389C1 (ko)
SK (1) SK279183B6 (ko)
TR (1) TR262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984A (en) * 1996-08-29 1999-07-06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Collapsible bag with handle
EP1084068B1 (en) 1998-06-09 2002-10-02 Lance John Muller Liner bag for flexible bulk container
US6286681B1 (en) 2000-04-27 2001-09-11 Sonoco Development, Inc. Ventilated plastic bag
EP1694571B1 (en) * 2003-12-09 2010-03-17 Amcor Limited Bulk packaging multi-wall sack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ck
US20050157961A1 (en) * 2004-01-21 2005-07-21 Dudley Langston Vented package
US7798711B2 (en) * 2004-07-27 2010-09-21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CA2515934A1 (en) * 2004-08-16 2006-02-16 Bemis Company Inc. Transversely sealed container
JP2006127025A (ja) * 2004-10-27 2006-05-18 Design Barcode Kk デザインバーコード
US7243478B2 (en) * 2005-04-04 2007-07-17 Walker-Dawson Interests, Inc. Vacuum system manifold and related methods
US8075188B2 (en) 2006-02-24 2011-12-13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flex crack resistance
US8182152B2 (en) 2006-03-28 2012-05-22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US20080178559A1 (en) * 2007-01-26 2008-07-31 Multisorb Technologies, Inc. Sorbent Packaging
US9016555B2 (en) 2007-04-03 2015-04-28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and bag-in-box container systems
JP5636568B2 (ja) * 2008-10-15 2014-12-10 幸爾 奥田 折畳み易い買物袋及び折畳んだ買物袋収納具
EP2246270B1 (en) * 2009-04-29 2013-12-11 SMQ Group B.V. A foldable ba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ldable bag
US8567660B2 (en) 2009-11-17 2013-10-29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US9120608B2 (en) 2009-11-17 2015-09-01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MX2013005546A (es) 2010-11-16 2014-05-27 Cdf Corp Sistema de empaquetado secundario para los productos preempacados.
DE212011100198U1 (de) * 2011-02-15 2013-10-07 Lada Sagdeeva Mehrschichtbehälter
JP6377049B2 (ja) * 2015-12-08 2018-08-22 シコー株式会社 脱気機構付き袋
EP3184455A1 (en) * 2015-12-21 2017-06-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packaging with a straining feature
NL2019993B1 (nl) * 2017-11-29 2019-06-05 Vreugdenhil Groep B V Houder voor opslag en transport van stortgoed, vulsysteem en werkwijze daarvoor
US11767158B2 (en) * 2019-08-16 2023-09-26 Lincoln Global, Inc. Bulk flux bag hybrid liner bag
CN114229219A (zh) * 2021-12-28 2022-03-25 中山互润天成环保包装有限公司 一种回形单向排气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9772A (en) * 1960-12-07 1964-09-22 Technipak Proprietary Ltd Self sealing sachets or containers
US3133691A (en) * 1962-10-30 1964-05-19 Nat Distillers Chem Corp Vent for thermoplastic bag
GB1066487A (en) * 1963-10-07 1967-04-26 Ici Ltd Vented bags
GB1152463A (en) * 1965-09-06 1969-05-21 British Visqueen Ltd Plastics Gusseted Sack
US3951284A (en) * 1972-08-18 1976-04-20 Du Pont Of Canada, Ltd. Device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and methods
CH575320A5 (ko) * 1973-09-18 1976-05-14 Platmanufaktur Ab
US3937396A (en) * 1974-01-18 1976-02-10 Schneider William S Valve for vented package
JPS5333695Y2 (ko) * 1975-01-27 1978-08-19
US4312392A (en) * 1980-03-19 1982-01-26 Toyama Industry Co., Ltd. Ba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4390051A (en) * 1981-04-03 1983-06-28 Bonar Industries Inc. Securing a liner within a flexible container
US4461402A (en) * 1983-04-01 1984-07-24 Don Fell Limited Container liner
JPS6038562U (ja) * 1983-08-23 1985-03-16 株式会社 アキラ商会 電動枝打ち機
NO153250C (no) 1983-11-09 1986-02-12 Norsk Hydro As Storsekk, omfattende en ytterbeholder og en innerbeholder med innslag, samt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dens fremstilling
FR2570352B1 (fr) * 1984-09-19 1987-05-07 Est Papeterie Conteneur etanche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pulverulents
CN87100147A (zh) * 1986-01-08 1987-07-29 挪威海德罗公司 散装物料的运输和贮存容器
JPS62260657A (ja) * 1986-04-23 1987-11-12 ウインドメ−レル ウント ヘルシエル 側ひだと空気抜き開口部を有する合成熱可塑性フイルム製の袋
NO161305C (no) * 1987-04-24 1989-08-02 Norsk Hydro As Storsekk med lukkeanordning.
US4781472A (en) * 1987-11-06 1988-11-01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Large bag with liner
US4874258A (en) * 1988-06-23 1989-10-17 Marino Technologies, Inc. Bulk cargo container with inner liner
JPH02139383A (ja) * 1988-08-22 1990-05-29 Keiichi Isotani 粉粒体用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49714T1 (es) 1994-05-01
FI924367A (fi) 1993-04-04
US5350239A (en) 1994-09-27
AU656622B2 (en) 1995-02-09
AU2359692A (en) 1993-04-08
TR26231A (tr) 1995-02-15
CA2078852C (en) 1997-03-18
SK302092A3 (en) 1995-01-05
KR930007766A (ko) 1993-05-20
MY109554A (en) 1997-02-28
CZ302092A3 (en) 1994-04-13
DK0535869T3 (da) 1996-06-10
NO923847L (no) 1993-04-05
RU2065389C1 (ru) 1996-08-20
HUT67422A (en) 1995-04-28
CA2078852A1 (en) 1993-04-04
JP2501731B2 (ja) 1996-05-29
BG60643B1 (bg) 1995-11-30
MX9205652A (es) 1993-04-01
EP0581393A3 (en) 1994-02-09
EP0535869A1 (en) 1993-04-07
GR3020138T3 (en) 1996-08-31
GB9121002D0 (en) 1991-11-13
DE581393T1 (de) 1994-08-18
EP0581393A2 (en) 1994-02-02
CN1027153C (zh) 1994-12-28
SK279183B6 (sk) 1998-07-08
JPH0680149A (ja) 1994-03-22
PL170863B1 (pl) 1997-01-31
HU9203088D0 (en) 1992-12-28
NO923847D0 (no) 1992-10-02
CZ286852B6 (cs) 2000-07-12
DE535869T1 (de) 1993-11-04
CN1071134A (zh) 1993-04-21
GR940300016T1 (en) 1994-04-29
DE69209421T2 (de) 1996-08-22
RO116473B1 (ro) 2001-02-28
FI924367A0 (fi) 1992-09-29
HU215024B (hu) 1998-08-28
GR930300062T1 (en) 1993-06-30
ATE135988T1 (de) 1996-04-15
BG96937A (bg) 1994-07-29
DE69209421D1 (de) 1996-05-02
NO305592B1 (no) 1999-06-28
PL296119A1 (en) 1993-04-05
EP0535869B1 (en) 1996-03-27
ES2039344T1 (es) 1993-10-01
ES2039344T3 (es) 1996-07-16
FI108534B (fi) 200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762B1 (ko) 유연성 용기용 라이너
USRE34560E (en) Semi-bulk with liner
US20060045392A1 (en) Transversely sealed container
RU2194659C2 (ru) Контейнер, имеющий прямоугольное дно, и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е
JP4141633B2 (ja) コンテナ・ライナーの中味の排出を助長する変位手段を備えたコンテナ・ライナー
JP2004512233A (ja) 再閉塞可能なバッグ
US6371646B1 (en) Bulk bag with multiple ply walls and a method of forming it from tubular blanks
JPH08504393A (ja) 膨張式パッケージバック
KR20170100471A (ko) 장방형의 공기 포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120181A (en) Pillow bag with integral filling conduit
CN104787424A (zh) 具有空气缓冲性能的包装盒及其应用
US5758973A (en) Bulk bag with reinforced lift straps
GB1591323A (en) Freight containers for bulk storage transporters
US20060035777A1 (en) Self-closing sealable valve bag
US6095688A (en) Stabilized, cubic, flexible container
AU6806900A (en)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US20140205209A1 (en) Bare liner bulk bag
US3297234A (en) Plastic bag with inlet valve
CA3071450A1 (en) Shipper bag providing fluid-assisted container evacuation
WO1995001925A1 (en) Container liners
IE48691B1 (en) A plastic bag with a filling entry
JPS6013791Y2 (ja) 袋体構造
CZ116099A3 (cs) Obalový prostředek ve formě sáčku nebo pytlíku z plastové fólie nebo pod. neprodyšného materiálu
JPH0523904Y2 (ko)
CN114746347A (zh) 气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