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894A - 개폐 가능한 톤백 - Google Patents

개폐 가능한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894A
KR20190073894A KR1020170175128A KR20170175128A KR20190073894A KR 20190073894 A KR20190073894 A KR 20190073894A KR 1020170175128 A KR1020170175128 A KR 1020170175128A KR 20170175128 A KR20170175128 A KR 20170175128A KR 20190073894 A KR20190073894 A KR 2019007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able
present
binding
side porti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349B1 (ko
Inventor
손상민
Original Assignee
손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민 filed Critical 손상민
Priority to KR102017017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65B61/18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by applying or incorporating profile-strips, e.g. for reclosab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65D33/25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톤백에 관한 것으로, 적재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하부가 몸체부의 측부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개폐되도록, 하부와 측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부;를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한다.
또한, 몸체부는 결속부에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속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한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폐 가능한 톤백{TONBAEK OPENABLE AND CLOSABLR}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톤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농산물 및 자재 등의 적재물을 담아 이동 또는 보관이 용이하고 내용물을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톤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백(양곡마대)은 사료용, 농업용 및 공업용 등의 적재물을 담아서 이동 또는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톤백은, 일정양의 적재물을 담을 수 있도록 측면부와 밑면부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측면의 상측 끝단에 일정길이의 조임끈이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가 형성되며 상층부에 적재물을 넣고 저장된 톤백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고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톤백은, 상층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일정양의 적재물을 투입한 후 조임끈을 조여서 개구부가 밀봉되도록 하며, 이후 크레인기구에 고리를 걸어서 적재물이 담겨진 톤백을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 또는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536호 "톤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톤백은, 상부가 개방되는 자루 형 본체와; 상기 본체 외면에 하부 재봉띠가 재봉되고 상부 걸고리는 톤백 상단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고리수단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톤백에 있어서, 상기 고리수단 전체 내부에 탄성을 가진 심재를 내장하여 걸고리와 본체가 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톤백은 일회성 사용으로 재활용이 어려워 자재비 및 폐기물 처리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시간을 줄이기 위해 적재물을 반출시 사용자가 칼이나 낫 등을 통해 절개하기 때문에 기중기나 지게차가 들고 있는 상황에서는 작업이 어렵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많은 양의 적재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반출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간단한 결속수단을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톤백에 관한 것으로, 적재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하부가 몸체부의 측부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개폐되도록, 하부와 측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부;를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한다.
또한, 몸체부는 결속부에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속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결속수단을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 및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른 폐기물 처리 비용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의 하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 가능한 톤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의 하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가능한 톤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개폐 가능한 톤백(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톤백(10)은 적재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100); 및 몸체부(100)의 하부(130)가 몸체부(100)의 측부(110)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개폐되도록, 하부(130)와 측부(11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결속부(200)는 하부(130)와 측부(110)가 맞닿는 부분에서 측부(110)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몸체부(100)는 농산물 또는 자재 등의 다양한 적재물이 수용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합성수지의 망사로 직조되거나 내구력이 강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몸체부(100)는, 원통형, 삼각기둥형 및 직육면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개폐 가능한 톤백(10)에 대해 설명한다.
일예로, 몸체부(100)는 전면, 배면, 좌,우측면 및 하면을 이루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부(110)를 형성하는 4면 중 한면과 하부(130)를 형성하는 하면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측부(110)와 하부(130)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부분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몸체부(100)는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통해 이동이 용이하도록 측부(110) 상단에 복수의 고리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내부에 적재물을 수용한 후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끈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폐쇄시킬 수 있다.
이어서, 결속부(200)는 몸체부(100)의 하부(130)가 몸체부(100)의 측부(110)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개폐되도록, 하부(130)와 측부(11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속부(200)는 몸체부(100)의 측부(110)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에 놓인 톤백의 개폐가 용이하고 하며, 작업시 작업자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결속부(200)가 하면에 형성된 톤백의 경우, 개폐가 불편하고 적재물의 하중을 통해 발생하는 인장력 및 전단력으로 인해 하면이 벌어지거나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결속부(200)를 측부(110)의 하단에 설치함으로써, 개폐가 용이하며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른 톤백의 내구성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결속부(200)는 하부(13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작업시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속부(200)는, 연결 가능한 다양한 결속수단(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로, 지퍼를 통해 하부(130)와 측부(11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개폐 가능한 톤백(10)은, 결속부(200)를 통해 하부(130)를 개방하여 내부에 수용된 적재물을 반출시키거나 결속부(200)를 통해 하부(130)를 폐쇄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사용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결속부(200)에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속부(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덮개(300)는, 몸체부(100)의 하부(130)와 측부(110)를 연결하는 결속부(20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이물질 등으로 인해 결속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덮개(300)는 몸체부(100)의 내측에 일체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내,외측부 모두 형성되어 결속부(2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300)를 통해, 개폐 가능한 톤백(10)은 수명이 길어지며, 이에 따른 제작비 및 폐기물 처리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톤백(10)은 하부 및 측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강부(400)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400)는, 적재물의 부피 또는 무게에 따라 개폐 가능한 톤백(10)의 형상이 변화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10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일예로, 보강부(400)는 경화된 PP소재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400)는, 측부(1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130)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둘다 형성되어 몸체부(100)를 보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하부(130)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측부(110)의 일부와 포개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500)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500)는 일예로, 직육면체로 형성된 몸체부(100)의 하면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연장부(500)는 전면을 덮어 보강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장부(500)가 감싸 포개지는 전면은 별도의 보강수단 없이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부(500)는, 이동 또는 폐쇄시 전면과 포개져 끈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거나 걸림부(510)와 고리부(150)를 함께 지게차 연결되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고정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결속부(200)는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톤백(10)은 일단이 하부(130)에 고정되며, 타단이 측부(1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당김부(600)를 더 포함한다.
당김부(600)는, 일예로 경화된 PP소재로 형성되어, 일단이 하부(130)의 전면방향 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측부(1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당김부(600)는, 보강 역할이 가능하여, 몸체부(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보강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당김부(600)는 측부(110)와 벨크로 방식, 똑딱이 방식 및 고리걸림방식 등 다양한 체결수단을 통해 측부(110)와 탈착되게 된다.
이러한 당김부(600)는, 사용시 사용자가 당김부(600)를 당겨 내부에 수용된 적재물을 더욱 용이하게 반출되도록 하며, 이동 또는 보관시 측부(110)에 고정되어 사용되게 된다.
또 한편, 당김부(600)는 결속부(200)에 설치되어 결속부(200)의 개폐를 멀리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역할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결속수단을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 및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른 폐기물 처리 비용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개폐 가능한 톤백 100 : 몸체부
110 : 측부 130 : 하부
150 : 고리부 200 : 결속부
300 : 덮개 400 : 보강부
500 : 연장부 510 : 걸림부
600 : 당김부

Claims (5)

  1. 적재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가 상기 몸체부의 측부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가 개폐되도록, 상기 하부와 상기 측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부;
    를 포함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하부와 상기 측부가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측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속부에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속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측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부의 일부와 포개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톤백.
KR1020170175128A 2017-12-19 2017-12-19 개폐 가능한 톤백 KR10199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28A KR101994349B1 (ko) 2017-12-19 2017-12-19 개폐 가능한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28A KR101994349B1 (ko) 2017-12-19 2017-12-19 개폐 가능한 톤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94A true KR20190073894A (ko) 2019-06-27
KR101994349B1 KR101994349B1 (ko) 2019-06-28

Family

ID=6705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128A KR101994349B1 (ko) 2017-12-19 2017-12-19 개폐 가능한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094B1 (ko) 2019-10-15 2020-04-01 (주)동성씨알아이 지게차용 톤백받침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37Y1 (ko) 2021-12-24 2022-09-23 김숙자 수직으로 유지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톤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128A (ja) * 2003-05-02 2004-11-25 Ts Sade Co Ltd 土処理袋
KR101046456B1 (ko) * 2010-07-19 2011-07-04 (주)씨켐 훈증용 백
KR101646339B1 (ko) * 2014-08-27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KR101688096B1 (ko) *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측면 개방형 톤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128A (ja) * 2003-05-02 2004-11-25 Ts Sade Co Ltd 土処理袋
KR101046456B1 (ko) * 2010-07-19 2011-07-04 (주)씨켐 훈증용 백
KR101646339B1 (ko) * 2014-08-27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사 철계 분말 포장 용기
KR101688096B1 (ko) *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측면 개방형 톤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094B1 (ko) 2019-10-15 2020-04-01 (주)동성씨알아이 지게차용 톤백받침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49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0218A (en) Bulk storage bag with remotely openable discharge spout
EP3424833B1 (en) Foldable tote box
KR101994349B1 (ko) 개폐 가능한 톤백
US8695824B2 (en) Flexible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EP1678058B1 (en) Bulk bag
JP2015182787A (ja) 自立型フレコン
US6431753B1 (en) Bulk bag with remote discharge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KR200441487Y1 (ko) 벌크 백
AU2013101620A4 (en) Materials Handling Bag, Bag System and Method of Materials Handling using a Bag or Bag System.
CA2205273A1 (en) Upstanding lifting strap for a bulk container
JPH11334786A (ja) クレーン・フォークリフト等の揚重機器用運搬袋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20160626A1 (en) Suitcase with hard base and soft cover
CN103209909A (zh) 用于与集装箱内衬一起使用的隔板、向集装箱内衬提供限制措施的方法以及所用的集装箱内衬
KR200475490Y1 (ko) 보강 커버를 구비한 망사 톤백 구조
WO2016093215A1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IE39693L (en) Bulk material bag
USRE32308E (en) End wall closure for bulk material transport bag
KR200480316Y1 (ko) 하역 보자기
JP4536860B2 (ja) 輸送コンテナ
KR101958001B1 (ko) 다용도 톤백
JP2011136717A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JP2022514643A (ja) 廃棄物を包装するため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2018079968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それを用いた被充填物の充填方法及び処理方法
CN221092119U (zh) 吨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