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720B1 -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 Google Patents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20B1
KR102647720B1 KR1020210185396A KR20210185396A KR102647720B1 KR 102647720 B1 KR102647720 B1 KR 102647720B1 KR 1020210185396 A KR1020210185396 A KR 1020210185396A KR 20210185396 A KR20210185396 A KR 20210185396A KR 102647720 B1 KR102647720 B1 KR 102647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mposite
aty
fabric
air 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5683A (ko
Inventor
채철수
Original Assignee
(주)부성티에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성티에프시 filed Critical (주)부성티에프시
Priority to KR102021018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7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를 별도로 공급하여 에어제트 텍스츄어링시키는 단계, 및 이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와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을 자동차 내장재, 가구용, 및 가방용 직물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신도 차와 교락에 의한 교락 압력과 교락수를 조절해 각각의 POY를 복합 가연한 것과 같은 복합 가연사의 느낌을 줄 수 있고, 이러한 효과는 원단 바닥이 지저분해 보이지 않게 하며, 은은한 멜란지 효과를 내게 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Air jet texturing (ATY) composite yar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fabric using same}
본 발명은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의 신도 차와 교락에 의해 각각의 POY를 복합 가연한 것과 같은 복합 가연사의 느낌을 줄 수 있는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에어제트 텍스츄어링(이하 'ATY'라 함) 복합사는 그 주요 기술은 부분배향사(이하 'POY'라 함)와 같은 수축성이 높은 원사와 수축성이 낮은 2종, 또는 3종 원사를 교락하여 수축성이 높은 원사에 의한 Loop 표면효과를 발휘하도록 복합사를 제조하는 것이 그 목표였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수년간 시행해왔던 합사가공방법(이하 'ITY'라 함) 복합사를 이용한 원단의 결점인 색차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데 한계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즉, 종래에는 일반 폴리에스터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부분배향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여 단순한 교락 가공(Interlace)을 통해 제조된 복합사를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품이 직편물에 사용될 때의 문제점으로는, 첫 번째로 심사로 사용되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사의 수축률이 낮아 효과사와의 이수축 효과가 떨어져 적당한 수준의 벌키감과 탄성 및 드레이프성을 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사용되는 심사와 효과사의 물성차이로 인한 염색성의 차이에 의해 최종 가공지에서 색차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ITY 복합사의 색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중인 다양한 기술 및 공법 중 가장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기술로서 원료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심사와 효과사의 소재로 사용되는 원사의 폴리머를 개질하여 사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고, 제조공법적인 측면에서는 심사와 효과사를 복합 인터레이스하여 열처리하는 방법 및 효과사만 열처리하여 심사와 복합 인터레이스하는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수축, 염색 특성이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으로 구성된 2성분 복합사로 구성되며 염색특성이 서로 상이한 2개 이상의 2성분 복합사가 에어로 교락되어 휘감고 있는 형태를 갖는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ATY)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ITY 복합사를 이용한 원단의 결점인 색차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데 한계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즉, 종래에는 일반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부분배향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여 단순한 교락가공(Interlace)을 통해 제조된 복합사를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제품이 직편물에 사용될 때의 문제점으로는, 심사로 사용되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사의 수축률이 낮아 효과사와의 이수축 효과가 떨어져 적당한 수준의 벌키감과 탄성 및 드레이프성을 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사용되는 심사와 효과사의 물성차이로 인한 염색성의 차이에 의해 최종 가공지에서 색차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ATY사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레이스 반점 불량을 극복하였고 ATY 반점이 드러나지 않는 ITY 복합사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또한, 멜란지 특성의 우수한 발현을 위해서는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터사의 ITY 복합사가 추천되나, 나일론―폴리에스터 ITY 복합사로 제조된 멜란지 직물의 최대 문제점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신도차와 교락에 의한 인터레이스 반점이 원단 전반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나 상품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신도차와 교락에 의한 인터레이스 반점이 원단 전반에 나타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의 신도 차와 교락에 의해 멜란지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고탄성 회복율을 갖는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을 가지는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로부터 제조된 직물을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의 제조방법은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를 별도로 공급하여 에어제트 텍스츄어링시키는 단계, 및 이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배향사(POY)는 나일론 POY사 및 폴리에스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며; 상기 잠재권축사는 PPT사 및 PBT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배향사(POY)는 오버 피드 20~25%를 부여하면서 공급되며, 상기 잠재권축사는 오버 피드 10~15%를 부여한 후 에어 노즐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 노즐로서 에어 홀이 3개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단계는 10~13kg/㎠의 공기압으로, 교락수 100~120개/m, 및 사속 320~390m/min일 때의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ATY 복합사는 권축회복율(수축율)이 50 ~ 70%인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TY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물은 그 신율 값이 20 ~ 40%로서, 멜란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은 100~500g/㎡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짐으로써 소정의 용도의 두께에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자동차 내장재, 가구용, 및 가방용 직물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섬도, 필라멘트 가닥 수와 교락 압력과 교락수를 조절해 각각의 POY를 복합 가연한 것과 같은 복합 가연사의 느낌을 줄 수 있는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원단 바닥이 지저분해 보이지 않게 하며, 은은한 멜란지 효과를 내게 하여 상품성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종의 POY사를 교락하여 ATY 복합사를 제조하여, 폴리에스터 잠재권축사 PPT 와 나일론 POY사와 또는 폴리에스터 POY사의 신도차를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멜란지의 안정성을 높이고 벌키해지게 함과 동시에 경사, 위사 양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신율을 부여하여 고탄성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은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미래형 전기자동차용 내장용이나 가구, 및 가방용 직물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Effect 원사와 심사 역할을 하는 Core 장섬유 원사를 이용하여 ATY(Air Textured Yarn)는 루프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Y(Air Textured Yarn)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시예 1의 습식 가공 전과 후의 복합사 Loop의 crimp 형태로 확인한 결과이고,
도 4는 실시예 1과 2에 따른 원사와 건식(DRY) 가공, 및 습식(WET) 가공 시의 형태를 확인한 사진이고,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직물의 표면 사진을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고,
도 6은 실시예 1의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조건을 각각 사속 300m/min, 사속 350m/min, 사속 380m/min, 및 사속 400m/min으로 변경시키면서 제조된 ATY 복합사의 가공 수축후의 표면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이고,
도 7은 노즐의 에어 홀 개수에 따른 작업성 및 루프 형성능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의 신도 차와 교락에 의한 교락수를 조절하여 제조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다양한 용도의 직물에 이용하는 데 있다.
ATY(Air Textured Yarn)는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Effect 원사와 심사 역할을 하는 Core 장섬유 원사를 아래의 도 1에서와 같이, 통과 할 때 지나가는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불어주게 되면(A), (B)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상을 띄게 됨으로 사용되어지는 소재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내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Effect 원사는 Core 원사에 비해 많이 투입되어 루프가 발생된다. 또 다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한 가닥의 실을 사용하여 ATY 가공을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는 다음 도 2와 같이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를 별도로 공급하여 에어제트 텍스츄어링시키는 단계, 및 이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분배향사(POY)는 나일론 POY사 및 폴리에스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PPT사 및 PBT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잠재권축사는 원사가 생사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바르게 배열되어 있다가, 염색가공(일반적인)을 하면 파마머리처럼 꼬임이 발생하는 원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나일론 POY사-잠재권축사 PPT, 또는 폴리에스터 POY-잠재권축사 PPT, 나일론/폴리에스터 POY-잠재권축사 PPT 등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는 별도로 공급하는데, 이때 상기 부분배향사(POY)는 Effect 사로 오버 피드 2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고, 상기 잠재권축사는 Core사로 오버 피드 1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부분배향사(POY)로서 나일론을 사용하는 경우 Core : Effect 사의 오버피드율을 1:3, 폴리에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Core : Effect 사의 오버피드율을 1:2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단계는 교락 압력 10~13kg/㎠의 공기압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락 압력이 10kg/㎠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교락이 이루어지지 않아 강도는 올라가나 신도가 낮아지고 직물 제품의 불량 발생율이 높으며 또한, 13k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교락에 의하여 신도는 높아지나 강도가 약해지고 제직성이 문제가 된다.
노즐 내에서 압축공기는 필라멘트를 노즐 밖으로 불어내고, 필라멘트를 회전운동 시킨다. 오버피드에 의해 필라멘트는 굽힘과 비틀림 변형을 받으면서 루프를 생성하며, 필라멘트 상호간에 교락이 이루어져 벌크한 가공사를 생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즐로서 에어 홀이 3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에어홀이 1개인 노즐에 비해 작업성 및 루프 형성 성능 면에서 바람직하다.
통상 에어제트 텍스쳐링사의 물성과 작업성에 영향을 주는 공정변수 인자로는 공급사의 특성과 관련된 것과 공정 인자가 있다. 공급사의 특성과 관련된 인자로는 다음과 같다.
① 사의 구조 (고분자의 구조, 물리적 성질, 방사시 가공)
② 필라멘트당 선밀도
③ 사내의 필라멘트 수
④ 필라멘트 단면의 모양
그리고 공정 인자는 다음과 같다.
① 에어제트의 형태
② 오버피드 율
③ 공기압
④ 생산속도
⑤ 습식 혹은 건식공정 특성
⑥ 충격요소의 사용 유무
이들 변수에 따른 에어제트 텍스쳐링사의 물리적 특성 분석은 강·신도 특성, 섬도, 사의 불안정성, 벌키성, 가공사의 표면특성(루프 크기, 루프 빈도수) 등이 많이 측정된다. 이 중 한 가지 만으로는 가공사의 물성을 평가하기는 힘들며 이들 모두를 측정한 후에 품질 면에서의 물성을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사의 특성과 공정 인자들을 고려했을 때, 사용되는 노즐의 에어 홀이 3개인 것이 1개인 노즐에 비해 작업성 및 루프 형성 성능 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단계에서의 사속은 320~390m/min가 바람직하며, 사속이 320m/min 미만인 경우에는 심사에서의 루프가 다량 발생하고 작업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사속이 390m/mi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심사에서의 루프의 발생이 부족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ATY 복합사 제조에 사용되는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의 연신비와 교락수, 교락압력, 사속 조건 등을 조절하여 에어제트 텍스츄어링시킨 다음, 이를 상온에서 권취시켜 최종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ATY 복합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의 직물에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물은 100~500g/㎡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것이 최종 스피커용 그릴 직물의 두께인 2~3mm로 제조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섬도와 필라멘트 가닥수를 고정 조건으로 하여 ATY 작업시 오버피드율에 따라, 직물의 가공 수축율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권축회복율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ATY 복합사의 DRY 가공 및 WET 가공에 따른 조건에서 가공 전후의 권축회복율(수축율)은 50~70%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축률을 가지는 ATY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은 그 가공 조건(열 처리, 열수 처리, 건식 가공, 습식 가공 등)에 따라 신율이 달라지는데 통상 최종 직물의 신율은 상기 ATY 복합사의 수축률에 비해 낮은 10~50%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ATY 복합사로부터 제조된 직물은 파단 강도법에 따라 측정된 신율이 20~40%의 범위를 가지는 바, 이러한 값으로부터 가장 우수한 멜란지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직물의 신율 즉, 신축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실 간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직물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어 축소시 원사가 줄어들 수 있는 공간이 많아져 자연스럽게 원사가 수축되고 곱슬곱슬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curl 구조는 신축성을 발현하는 원동력이 된다. 경/위사의 신율이 많을 수록 신축성은 우수하나 직물 특성상 후도가 너무 두텁고 반발탄성이 좋아 스피커용 직물로서의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신축성 및 감성을 고려할 때 경사/ 위사의 신율은 10~50%수준이 우수하며, 특히 직물의 조직에 따라 약간씩 달라 질 수 있다. 신축성이 잘 발현되는 조직순은 이중직, 주자직, 능직, 평직 순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우수한 벌키성을 가지는 바, 직물의 부풀어 오르는 성질을 의미하는 벌키성(Bulkiness)은 필파워(Fill Power)로 많이 표현되며, 본 발명에서 '벌키성이 좋다' 라는 것은 ATY Loop 의 형태로 현미경 육안시험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벌키성이 좋을수록 직물의 표면에 많은 루프가 형성되어 볼륨감(벌키성)을 올리게 되고, 이는 직물 표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가공(발수, 방오, 건/습식 코팅, 필름 라미네이팅 등) 공정에서 약제의 침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직물은 자동차 내장재, 가구용, 및 가방용 직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나일론 100D/24F SD와 폴리에스터 50D/24F ISCRA 2PLY PPT사를 별도로 공급하였다. 상기 나일론 POY사는 Effect 사로 오버 피드 2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였고, 상기 폴리에스터 PPT사는 Core사로 1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였다.
상기 나일론 POY사와 폴리에스터 PPT사를 별도 공급하면서 에어홀 3개인 노즐을 이용하여 12.4kg/㎠의 공기압으로 사속 380m/min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한 후, 상온에서 권취하여 ATY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ATY 복합사의 권축회복율(수축율)은 59~61%이었다.
삭제
실시예 2
나일론 POY사 50D/48F 2 PLY와 폴리에스터 PPT사 50D/24F ISCRA 2 PLY를 별도로 공급하였다. 나일론 POY사는 오버 피드 2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였고, 상기 폴리에스터 PPT사는 오버 피드 1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였다.
상기 나일론 POY사와 폴리에스터 PPT사를 별도 공급하면서 12.4kg/㎠의 공기압으로 사속 380m/min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한 후, 상온에서 권취하여 ATY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기 ITY 복합사는 권축회복율 61 ~ 66%이었다.
실험예 1 : 습식(WET) 가공 시의 형태 확인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ATY 복합사의 습식(WET) 가공 시 다음과 같은 Water absorption 법에 따른 Loop의 crimp 형태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3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습식 가공 전에 비해 습식 가공 후 루프가 많이 발생되어 볼륨감(벌키성)이 풍성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벌키성이 향상되는 경우 직물 표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가공(발수, 방오, 건/습식 코팅, 필름 라미네이팅 등) 공정에서 약제의 침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2 : 벌키성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직물의 벌키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4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2 모두에서 DRY 가공과 WET 가공에서 모두 벌키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실시예 1의 직물의 표면사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ATY 복합사의 표면 사진을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5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직물에서 모두 그 표면에서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가공 전후의 권축회복율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에 따라 각각 제조된 ATY 복합사의 권축회복율(수축율)을 각각의 가공 조건에 따라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가공조건 가공 전 가공 후 수축률
실시예 1 DRY(150℃/30초) 44.5cm 20cm 61%
WET(100℃/20분) 51.0 21.0 59%
실시예 2 DRY(150℃/30초) 43.5 17.0 61%
WET(100℃/20분) 45.4cm 15.5cm 66%
실험예 4 :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조건에 따른 ATY 복합사의 표면 구조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조건을 각각 사속 300m/min, 사속 350m/min, 사속 380m/min, 및 사속 400m/min으로 변경시키면서 제조된 ATY 복합사의 가공 수축후의 표면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6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사속 300m/min에서는 심사에서의 루프가 다량 발생하였고, 사속 400m/min에서는 루프의 발생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속 350m/min과 380m/min의 조건에서는 심사에서 적당한 루프가 발생함과 동시에 작업성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 직물의 신율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각 ATY 복합사로부터 제조된 직물의 신율을 다음 파단 강도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1) 샘플 준비
직물의 여러 조각을 가지고, 길이는 약 35cm, 너비는 약 6cm, 다음 제거 얀 가장자리에 직물 샘플의 너비가 5cm이고 길이가 30~33cm가 되도록 하였다.
2)테스트 단계
테스트 단계는 게이지 길이, 인장 속도, 및 프리텐션을 다음 표 2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게이지
길이(mm)
파단신율
(%)
인장속도(mm/min) 프리텐션
시료강도
(g/㎡)
프리텐션
(N)
200 <8 20 ≤200 2
200 8~75 100 >200≤500 5
100 >75 100 >500 10
신율(%)
실시예 1 25
실시예 2 35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은 25 ~ 35% 의 신율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은은한 멜란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노즐의 에어 홀 개수에 따른 작업성 및 루프 형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조건에서, 동일한 공기압 조건에서 사용되는 노즐의 에어홀이 1개인 것과 3개인 것을 이용하여 ATY 복합사를 제조하고, 루프 형성 성능을 제조된 ATY 복합사의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7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노즐의 에어홀이 1개인 것에 비해 에어홀이 3개인 것으로 제조할 때의 작업성(공정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에어홀이 3개인 것으로부터 제조된 직물에서 루프 형성이 더 풍부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부분배향사(POY)와 잠재권축사는 별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분배향사는 Effect사 이고 상기 잠재권축사는 Core 사로서, 상기 부분배향사인 Effect 사: 잠재권축사인 Core 사는 2:1의 오버피드율을 가지도록 부분배향사(POY)는 나일론 POY사를 사용하여 오버 피드 20%를 부여하면서 공급하고; 잠재권축사는 폴리에스터 PPT사를 사용하여 오버 피드 10%를 부여한 후 에어 홀이 3개인 에어 노즐로 별도로 공급하여;
    10~13kg/㎠의 공기압, 교락수 100~120개/m, 및 사속 320~390m/min의 조건으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시키는 단계를 거쳐 잠재권축사인 Core 사(심사)에 루프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 및
    이를 권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부분배향사인 Effect 사: 잠재권축사인 Core 사는 2:1의 오버피드율에 따라 제조된 ATY 복합사는 150℃, 30초의 DRY 조건, 및 100℃, 20분의 WET 조건에서 가공시킨 후의 권축회복율(수축율)은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어제트 텍스츄어링(ATY) 복합사.
  7. 삭제
  8. 제6항에 따른 ATY 복합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100~500g/㎡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파단 강도법에 따라 측정된 신율 값이 25 ~ 35%로서, 멜란지 효과를 가지는 것인 직물.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자동차 내장재, 가구용, 및 가방용 직물로 사용되는 것인 직물.
KR1020210185396A 2021-12-22 2021-12-22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2647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396A KR102647720B1 (ko) 2021-12-22 2021-12-22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396A KR102647720B1 (ko) 2021-12-22 2021-12-22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683A KR20230095683A (ko) 2023-06-29
KR102647720B1 true KR102647720B1 (ko) 2024-03-14

Family

ID=8694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396A KR102647720B1 (ko) 2021-12-22 2021-12-22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7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033A (ja) 2001-09-28 2005-03-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異種複合糸、その布および製造方法
JP2010116630A (ja) 2008-11-11 2010-05-27 Suminoe Textile Co Ltd 原着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仮撚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カーペット
KR101290954B1 (ko) 2012-12-06 2013-07-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774B1 (ko) 2013-04-17 2014-03-17 주식회사 송이실업 심초형 잠재권축 혼섬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2224B (en) * 2003-04-11 2006-09-21 Heberlein Fibertechnology Inc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loop yarn and air jet texturing nozzle
KR101981757B1 (ko) * 2017-09-27 2019-05-27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033A (ja) 2001-09-28 2005-03-10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異種複合糸、その布および製造方法
JP2010116630A (ja) 2008-11-11 2010-05-27 Suminoe Textile Co Ltd 原着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仮撚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カーペット
KR101290954B1 (ko) 2012-12-06 2013-07-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774B1 (ko) 2013-04-17 2014-03-17 주식회사 송이실업 심초형 잠재권축 혼섬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683A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9991A (en) Composite crimped yarn and woven fabric
KR100737976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제조 방법
KR102647720B1 (ko) 에어제트 텍스츄어링 복합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285542B1 (ko) 이수축혼섬사및그직물의제조방법
JP4804140B2 (ja) 仮撚加工糸及び織編物、並びに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JP7007148B2 (ja) 仮撚加工糸および織編物
JPS58156052A (ja) 野蚕紬調ポリエステル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83179B2 (ja) 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JP2874283B2 (ja) スパンライク織物の製造方法
CN111621904B (zh) 包含尼龙6,6卷缩纤维的弹性布料及其制造方法
JP431255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同仮撚捲縮糸を含む織編物
JPH0313341B2 (ko)
JPH0625930A (ja) 混繊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織物
JP2024033730A (ja) 織物
KR101432527B1 (ko) 수축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JPH09241941A (ja) ナイロン織物の製造方法
KR20030054570A (ko) 소모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5142163A (zh) 一种高起绒高弹多组分异收缩复合纤维及高起绒高弹织物的制备方法
CN116024718A (zh) 一种高透气轻薄防透织物及其制备方法
CN112824568A (zh) 一种织物及其制造方法
JPH03249231A (ja) 複合交絡糸
JP2002249937A (ja) 仮撚加工糸
JPH04108135A (ja) ソフト風合を有する強撚編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57979A (ja) 捲縮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16506A (ko) 복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