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699B1 -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699B1
KR102641699B1 KR1020210162150A KR20210162150A KR102641699B1 KR 102641699 B1 KR102641699 B1 KR 102641699B1 KR 1020210162150 A KR1020210162150 A KR 1020210162150A KR 20210162150 A KR20210162150 A KR 20210162150A KR 102641699 B1 KR102641699 B1 KR 102641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fish cake
conveyor
fish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700A (ko
Inventor
서정설
Original Assignee
서정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설 filed Critical 서정설
Priority to KR102021016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6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4Feeding articles along multiple paths to a single packag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어묵적층체(1)가 일정위치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는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와, 이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25~28)을 포함하는 어묵출발대기유닛(20); 상기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어묵적층체(1)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와, 이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5~38)을 포함하는 어묵이송유닛(30); 상기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0); 상기 어묵이송유닛(20)의 이송컨베이어(31~34)의 출구에서 전방에 배치되며 어묵적층체(1)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가이더(52,53)를 포함하는 어묵정렬유닛(5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40)로부터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 및 작동 정지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이다.

Description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Automatic sorting apparatus for wrapping of fried fish plate}
본 발명은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된 어묵을 정해진 수량 적층시킨 후 서로 충돌되지 않고 일렬로 정렬시켜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으로서 어묵은 보통 막대형상이나 판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판형상의 어묵은 자동생산라인을 통해 대량생산되고 있는데, 이 자동생산라인은 보통 재료를 혼합하는 믹서공정과, 혼합된 재료를 판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판형상의 어묵을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하면서 기름에 튀기는 후라이공정과, 튀겨진 어묵에서 기름을 제거하는 탈유공정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공정들을 통해 판형상의 어묵이 제조된다. 후라이공정을 통해 기름에 튀겨진 후 탈유공정을 거친 어묵은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냉각공정을 거쳐 포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어묵 포장작업은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정해진 수량만큼 가지런히 간추린 후 포장함에 따라 높은 생산성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성인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어묵을 적층시키기 위해 계속 만지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묵이 낙하되면서 자동으로 적층되도록 한 장치를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특허 제10-1236066호)받은 바 있다. 이와 같은 어묵 자동적재장치는 다수의 컨베이어를 병렬로 배치하고 각각의 컨베이어에 적재가이드를 설치하여 어묵이 낙하하면서 적재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각각의 컨베이어에 적재된다.
하지만, 종래의 어묵 자동적재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하더라도 다수의 컨베이어에 각각 적재된 어묵들이 한꺼번에 이송됨에 따라 많은 각각의 어묵들을 포장하기 위해 다수의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고, 각각의 컨베이어에 포장기계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비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 컨베이어에 적재된 어묵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가이드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각각의 컨베이어에 적재된 어묵들이 동시에 가이드에 투입될 경우 충돌되면서 적재된 어묵이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가 있어 작업자가 이를 다시 수작업으로 정렬시켜야 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606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배치된 다수의 이송라인에 각각 자동 적재된 어묵들을 서로 충돌되지 않으면서 일렬로 자동 정렬시켜 설비비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수를 줄임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며 적재된 어묵들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자가 어묵을 만지는 것이 최소화됨에 따라 보다 위생적인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이송벨트(11~14)에 각각 시트형 어묵이 소정의 개수로 자동 적재되는 어묵적재유닛(10)에서 적재된 어묵적층체(1) 포장을 위해 자동 정렬시키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로서, 상기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각 이송벨트(11~14)에서 적재된 어묵적층체(1)가 일정위치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는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와, 이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25~28)을 포함하는 어묵출발대기유닛(20); 상기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대기컨베이어(21~24)에 탑재된 어묵적층체(1)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와, 이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5~38)을 포함하는 어묵이송유닛(30);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에 구비되며,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0); 상기 어묵이송유닛(20)의 이송컨베이어(31~3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정렬컨베이어(51)와, 이 정렬컨베이어(51)를 구동시키는 제3구동수단과, 상기 정렬컨베이어(5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정렬가이더(52,53)를 포함하는 어묵정렬유닛(5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40)로부터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 및 작동 정지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가 어묵이송유닛(20)의 각 이송컨베이어(31~34)를 따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이송되어 서로 전후로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어묵정렬유닛(50)의 정렬가이더(52,5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후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컨베이어(21~24)로 어묵적층체(1)가 투입되고 그 이후 후방에 위치한 어묵적층체(1)가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로 투입되는 투입시간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가 이송컨베이어(31~34)로 이송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을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묵적재유닛(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이송벨트(11~14)에 어묵적층체(1)가 상기 각 이송벨트(11~14)와 정렬 배치된 각 대기컨베이어(21~24)에 출발대기하고 동시에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로 투입됨에 따라 복수개의 어묵적층체(1)들이 전후로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이송되므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정렬가이더(53,54)에 안내되면서 서로 충돌되지 않고 전후 일렬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어묵적재유닛(10)의 복수개의 이송벨트(11~14)에 적재된 각 어묵적층체(1)들을 서로 충돌되지 않고 자동으로 일렬로 정렬시킴으로써, 적재된 어묵(1)들이 충돌되면서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흐트러진 어묵(1)들을 만지는 것이 방지되어 좀 더 위생적이며 작업자가 줄어 인건비가 절감되고, 포장장치를 복수의 열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비비가 절감되며 포장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31~34)와 이송벨트(11~14) 사이에 대기컨베이어(21~24)가 구비되어, 각각의 이송벨트(11~14)에서 계속 밀려오는 어묵적층체(1)들이 이송컨베이어(31~34)로 시간차를 두고 이송되기 전에 대기컨베이어(21~24)에서 일단 위치가 정렬된 후에 이송컨베이어(31~34)로 투입되므로, 이송컨베이어(31~34)의 작동대기시간 없이 어묵적층체(1)를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컨베이어(21~24)에 어묵적층체(1)가 탑재되고 그 이후 후방의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로 투입되는 투입시간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에 먼저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를 이송컨베이어(31~34)로 이송하므로, 각 이송벨트(11~14)에 적재된 어묵적층체(1)들이 서로 다른 시간으로 각 대기컨베이어(21~24)에 탑재되면서 먼저 탑재되었던 어묵적층체(1)와 충돌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어묵(1)이 충돌되면서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생산라인의 중단 없이 어묵적층체(1)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고 작업자가 어묵적층체(1)를 만지지 않기 때문에 더욱 더 위생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이송컨베이어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어묵이 정렬컨베이어로 정렬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어묵의 충돌방지를 위한 작동을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는 소정의 개수로 시트형 어묵을 적재하는 어묵적재유닛(10)의 출구에 구비된 어묵출발대기유닛(20)과, 이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출구에 구비된 어묵이송유닛(30)과, 이 어묵출발대기유닛(20)에 어묵적층체(1)가 위치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0)와, 상기 어묵이송유닛(30)의 출구에 위치되어 어묵적층체(1)를 정렬시키는 어묵정렬유닛(50)과, 상기 위치감지센서(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어묵적재유닛(10)은 배경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포장 전 공정을 거친 시트형 어묵이 낙하되면서 자동으로 반듯하게 적재되도록 해주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배출단(2)의 출구에 복수개의 이송벨트(11~14)가 전방으로 연장되되 폭방향으로 배치(병렬배치)되고, 각 이송벨트(11~14)의 입구에는 어묵이 각각의 이송벨트(11~14)에 가지런하게 적재되도록 가이드해주는 적재칸(1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묵이 배출단(2)에서 낙하되면서 각 이송벨트(11~14)의 적재칸(19)에 가지런히 적재된다.
그리고 각 적재칸(19)에 요구되는 개수의 어묵이 적재되었는지 카운트하는 도시안된 카운트센서가 구비되며, 적재칸(19)에 요구되는 개수의 어묵이 적재되면 상기 제어유닛(70)으로 그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각 이송벨트(11~14)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이송벨트(11~14)가 각각의 모터(15~18)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은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에 적재된 어묵적층체(1)가 출발대기하는 것으로, 상기 각 이송벨트(11~1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와, 이 대기컨베이어(21~24)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25~28)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전후 중간부의 출발대기지점(P)에 어묵적층체(1)가 출발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에 어묵적층체(1)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로 이송되는 시간이 다르므로, 제1구동수단(25~28)은 각각의 대기컨베이어(21~24)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어묵적층체(1)를 출발대기지점(P)까지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어묵이송유닛(30)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각 대기컨베이어(11~1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연장배치된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와, 이 각 이송컨베이어(31~34)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5~3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2구동수단(35~38)은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시키는데,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시키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이송컨베이어(31~34)마다 모터 및 구동접속수단을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단일의 모터를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의 구동축에 연결하되 각 이송컨베이어(31~34)의 구동축에 기어비가 서로 다른 기어를 장착하여 단일의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이송컨베이어(31~34)가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외에도 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위치감지센서(40)는 어묵적층체(1)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되는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60)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은 위치감지센서(40)는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각의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과 정렬 구비된다.
한편,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에는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로 먼저 투입된 어묵적층체(1)와 일정시간간격을 두고 새로운 어묵적층체(1)를 투입시키기 위해 투입시간간격(Time Interval)을 감지하는 타이밍센서(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입시간간격을 t1초로 설정하여 타이밍센서(70)가 t1초 간격으로 새로운 어묵적층체(1)를 투입하도록 상기 제어유닛(60)에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1구동수단(25~28)이 작동제어된다.
상기 어묵정렬유닛(50)은 어묵이송유닛(20)의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연장 배치되는 정렬컨베이어(51)와, 이 정렬컨베이어(51)를 구동시키는 제3구동수단(52)과, 상기 정렬컨베이어(5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각 이송컨베이어(31~34)를 따라 이송되는 어묵적층체(1)들을 정렬시키는 정렬가이더(53,5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묵이송유닛(30)의 각 이송컨베이어(31~34)를 통해 이송되는 어묵적층체(1)가 정렬가이더(53,5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후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위치감지센서(40)로부터 상기와 같은 신호를 수신하여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제1구동수단(25~28)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어묵적층체(1)가 위치되면, 제어유닛(60)은 대기컨베이어(21~24)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대기컨베이어(21~24)에 탑재된 적재된 어묵적층체(1)는 출발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어묵적층체(1)가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정렬되면, 제어유닛(60)을 각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가 어묵이송유닛(30)의 각 이송컨베이어(31~34)로 동시에 투입되는데, 각 이송컨베이어(31~34)는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되므로, 각 이송컨베이어(31~34)로 투입된 어묵적층체(1)는 전후로 서로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는 도 1과 같이, 배출단(2)에서 배출되는 어묵들이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에 소정 수량 자동 적재되며, 이와 같이 적재된 어묵적층체(1)는 이송벨트(11~14)를 따라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대기컨베이어(21~24)로 이송된다. 이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어묵적층체(1)는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각의 대기컨베이어(21~24)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위치감지센서(40)가 위치된 출발대기지점(P)으로 이송된다. 이때, 위치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60)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위치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70)에 의해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정지되어 각각의 적재된 어묵(1)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게 된다. 이때,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어묵적층체(1)가 순차 진입될 경우, 도 3과 같이 모든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어묵적층체(1)가 진입할 때까지 출발대기하게 되며, 모든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어묵적층체(1)가 위치되면, 제어유닛(60)에 의해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각 대기컨베이어(21~24)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들이 각 이송컨베이어(31~34)로 투입된다. 이때, 각 이송컨베이어(31~34)가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구동되므로, 도 3과 같이 각 이송컨베이어(31~34)로 투입된 어묵적층체(1)는 이송컨베이어(31~34)의 폭방향으로 정렬되지 않고 전후로 서로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어묵이송유닛(30)의 각 이송컨베이어(31~34)를 따라 이송되는 어묵적층체(1)는 어묵정렬유닛(50)의 정렬컨베이어(51)로 투입되는데, 도 4와 같이 각 이송컨베이어(31~34)에 의해 전후로 서로 간격이 벌어진 복수개의 어묵적층체(1)들은 정렬가이더(53,54)에 의해 안내되면서 서로 충돌되지 않고 전후 일렬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어묵적재유닛(10)의 서로 폭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벨트(11~14)에 각각 적재된 어묵적층체(1)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정렬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서로 충돌되지 않고 전후 일렬로 정렬되므로, 작업자가 줄어 인건비가 절감되고 포장작업이 용이하며 포장을 위해 복수열의 포장설비가 요구되지 않아서 설비비가 절감되고, 어묵적층체가 서로 충돌되면서 흐트러질 경우 가동라인이 중단되면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손으로 만져야 하는데 이와 같이 작업자가 어묵적층체를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다.
한편, 상기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에 어묵이 적재되는 속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이송벨트(11~14)에 어묵적층체(1)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로 투입되는 시간이 다른데,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컨베이어(21~24)에 어묵적층체(1)가 투입됐지만 t1초가 지나도록 다른 대기컨베이어(21~24)에는 어묵적층체(1)가 투입되지 않아서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면, 상기 이송벨트(11~14)에서 새로운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로 투입되면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와 서로 충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제어유닛(60)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어묵적층체(1)가 위치되고 그 이후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로 후방에 위치된 어묵적층체(1)가 투입되는 투입시간간격(t1초)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t2)내에 상기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가 이송컨베이어(31~34)로 이송되도록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t1>t2)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먼저 투입된 어묵적층체(1)가 위치하고 어묵적재유닛(10)에 타이밍센서(70)에 의해 감지된 후방의 어묵적층체(1)가 t1초 후에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대기컨베이어(21~24)로 투입되면서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먼저 출발대기중이던 어묵적층체(1)와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어묵적층체(1)가 충돌되면서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가동라인이 중단되는 것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고 흐트러진 어묵(1)을 작업자가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적이며 상기와 같은 작업자가 요구되지 않아서 인건비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어묵적층체 10 : 어묵적재유닛
11~14 : 이송벨트 20 : 어묵출발대기유닛
21~24 : 대기컨베이어 25~28 : 제1구동수단
30 : 어묵이송유닛 31~34 : 이송컨베이어
35~38 : 제2구동수단 40 : 위치감지센서
50 : 어묵정렬유닛 51 : 정렬컨베이어
52 : 제3구동수단 53,54 : 정렬가이더
60 : 제어유닛 70 : 타이밍센서

Claims (2)

  1. 복수개의 이송벨트(11~14)에 각각 시트형 어묵이 소정의 개수로 자동 적재되는 어묵적재유닛(10)에서 적재된 어묵적층체(1) 포장을 위해 자동 정렬시키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로서,
    상기 어묵적재유닛(10)의 각 이송벨트(11~1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각 이송벨트(11~14)에서 적재된 어묵적층체(1)가 일정위치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는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와, 이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25~28)을 포함하는 어묵출발대기유닛(20);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대기컨베이어(21~24)에 탑재된 어묵적층체(1)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와, 이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5~38)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34)가 각각 탑재된 어묵적층체(1)들을 전후로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이송시키는 어묵이송유닛(30);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에 구비되며,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0);
    상기 어묵이송유닛(20)의 이송컨베이어(31~34)의 출구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정렬컨베이어(51)와, 이 정렬컨베이어(51)를 구동시키는 제3구동수단과, 상기 정렬컨베이어(5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정렬가이더(52,53)를 포함하는 어묵정렬유닛(5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40)로부터 어묵적층체(1)가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 위치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기컨베이어(21~24)가 작동 및 작동 정지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각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가 어묵이송유닛(20)의 각 이송컨베이어(31~34)를 따라 서로 다른 이송속도로 이송되어 서로 전후로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어묵정렬유닛(50)의 정렬가이더(52,5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후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70)은 어묵출발대기유닛(20)의 복수개의 대기컨베이어(21~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컨베이어(21~24)로 어묵적층체(1)가 투입되고 그 이후 후방에 위치한 어묵적층체(1)가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로 투입되는 투입시간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상기 대기컨베이어(21~24)의 출발대기지점(P)에서 출발대기하던 어묵적층체(1)가 이송컨베이어(31~34)로 이송되도록 제1구동수단(25~28)을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KR1020210162150A 2021-11-23 2021-11-23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KR102641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50A KR102641699B1 (ko) 2021-11-23 2021-11-23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50A KR102641699B1 (ko) 2021-11-23 2021-11-23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700A KR20230075700A (ko) 2023-05-31
KR102641699B1 true KR102641699B1 (ko) 2024-02-28

Family

ID=8654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150A KR102641699B1 (ko) 2021-11-23 2021-11-23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151B2 (ja) * 2005-05-30 2011-04-13 山崎製パン株式会社 食品の整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849B2 (en) * 2009-04-02 2011-01-04 Laitram, L.L.C. Merge conveyor including high-friction rollers
KR101236066B1 (ko) 2011-04-18 2013-02-22 서정설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KR20130022150A (ko) * 2011-08-25 2013-03-06 예인해 어묵을 자동분배하여 대량생산을 유도하는 어묵 적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151B2 (ja) * 2005-05-30 2011-04-13 山崎製パン株式会社 食品の整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700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0062B2 (ja) インダクションコンベヤ
TWI626205B (zh) 積載輸送機系統及搬送系統
US83027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ffering products
JP2001269738A (ja) 鉄板部材の積み重ね装置
JP2016132034A (ja)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CN111217120A (zh) 按序排列输出加料机构
KR102641699B1 (ko)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JP4941442B2 (ja) 部品実装ライン及び作業機間の基板搬送方法
US8371024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illing structures with different cavities
JPS62249818A (ja) 成形品振分け装置
DE19630554C2 (de) Beschickungs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r Verpackungsposition mit einer Produkteinheit
US20050232732A1 (en) Intermediate store
KR20180131883A (ko) 김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JPH11322059A (ja) 物品の方向転換装置及びパレタイザ
CN217024416U (zh) 自动送料设备
JP6344515B2 (ja) 物品搬送設備
JP5478112B2 (ja) 物品供給装置
JP2006194722A (ja) 組合せ計量装置
JP2726383B2 (ja) アンプルの定量取り出し装置
JP2017081677A (ja) 分離搬送システム
CN203358926U (zh) 包装机自动理料装置
JP3231264B2 (ja) 食品搬送処理システム、及びこの食品搬送処理システムの使用方法
GB2199007A (en) Reordering of conveyed articles
JP3668093B2 (ja) 給紙装置
CN104249827A (zh) 包装机自动理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