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066B1 -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066B1
KR101236066B1 KR1020110035658A KR20110035658A KR101236066B1 KR 101236066 B1 KR101236066 B1 KR 101236066B1 KR 1020110035658 A KR1020110035658 A KR 1020110035658A KR 20110035658 A KR20110035658 A KR 20110035658A KR 101236066 B1 KR101236066 B1 KR 10123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 cake
loading
compartm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214A (ko
Inventor
서정설
Original Assignee
서정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설 filed Critical 서정설
Priority to KR1020110035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06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어묵의 포장시 어묵의 수량 및 위치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카운트하여 선별 및 가이드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냉각공정을 거친 어묵(4)들이 배출되는 컨베이어벨트(1)의 배출단(1a)의 직하방에 위치되며, 타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이송벨트(10); 및 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 구비되며, 각 이송벨트(10)들 사이사이에 직립 설치된 복수개의 측벽(20)과, 인접된 한 쌍의 측벽(20) 사이에 위치된 이송벨트(10)의 상면으로 이루어진 적재칸(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A automatic loading apparatus for wrapping of fried fish plate}
본 발명은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어묵의 포장시 어묵의 수량 및 위치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카운트하여 선별 및 가이드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으로서 어묵은 보통 막대형상이나 판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판형상의 어묵은 자동생산라인을 통해 대량생산되고 있는데, 이 자동생산라인은 보통 재료를 혼합하는 믹서공정과, 혼합된 재료를 판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판형상의 어묵을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하면서 기름에 튀기는 후라이공정과, 튀겨진 어묵에서 기름을 제거하는 탈유공정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공정들을 통해 판형상의 어묵이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후라이공정을 통해 기름에 튀겨진 후 탈유공정을 거친 어묵은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어묵을 포장하기에 앞서 냉각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냉각공정에 사용되는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판형상의 어묵은 마지막 포장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포장공정 이전에 냉각기에서 배출되는 어묵들은 소정의 작업다이에 낙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무작위적으로 낙하되는 어묵은 작업다이의 여기저기에 흩어지는데, 포장작업을 위해서 작업자는 어묵을 일일이 정렬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어묵을 정해진 개수만큼씩 나뉘어야 하므로 어묵을 일일이 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어묵을 일일이 세어서 정렬시켜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지연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묵들이 냉각기를 통해 계속적으로 작업다이에 낙하되는데 반해 포장작업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작업다이에는 어묵들이 계속적으로 무작위적으로 쌓이게 되어, 어묵들이 포장되는데 있어서 시간이 지연되어 어묵의 신선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작업자가 어묵의 개수를 일일이 세어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어묵들을 일일이 정렬시킬 필요도 없이 어묵을 간편하게 포장할 수 있어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신선도가 향상되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컨베이어벨트(1)에 의해 이송되는 어묵(4)들이 냉각공정을 거쳐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연속 배출되는 배출단(1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단(1a)에서 무작위적으로 연속 낙하되는 어묵(4)들을 자동으로 적재하는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타단이 전방을 향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이송벨트(10); 및 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각 이송벨트(10)들 사이사이에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직립 설치된 복수개의 측벽(20)과, 상기 인접된 한 쌍의 측벽(20) 사이에 구비된 이송벨트(10)의 상면으로 이루어진 내측공간으로, 상기 낙하되는 어묵(4)들이 적재되는 복수개의 적재칸(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벽(20)의 상단에는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형상의 가이드면(21)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단(1a)에서 어묵(4)들이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어 무작위적으로 연속 낙하될 때, 배출단(1a)의 직하방에 위치된 적재칸(23)의 측벽(20)의 상단에 부딪치면서 가이드면(21)에 의해 안내되어 각 적재칸(23)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재칸(23) 또는 상기 배출단(1a)에 구비되어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수량검출센서(30); 및 상기 수량검출센서(30)로부터 정해진 수량의 어묵(4)이 각 적재칸(23)에 적재된 것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재칸(23)의 이송벨트(1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량검출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40)에 의해 정해진 수량이 적재된 상태의 어묵(4)이 상기 적재칸(23)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서 복수개의 이송벨트(10)가 배출단(1a)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형태로 전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 각 이송벨트(10)의 사이사이에 측벽(20)을 형성함으로써 이송벨트(10)와 그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20)에 의해 적재칸(23)이 형성되므로, 배출단(1)에서 낙하되는 어묵(4)들이 상기 측벽(20) 상단에 부딪치면서 적재칸(23)에 자동으로 가지런히 적재되므로, 종래 작업자가 낙하된 어묵을 일일이 수량을 세면서 수작업으로 가지런지 적재시키던 것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포장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출단(1a) 또는 적재칸(23)에 수량검출센서(30)를 구비하고, 이 수량검출센서(30)에 접속되어 이송벨트(10)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12)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어묵(4)의 수량을 세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한 수량의 어묵(4)이 포장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작업에 비해 어묵(4)이 포장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므로, 어묵(4)이 좀 더 신선한 상태로 포장되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20)의 상단에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면(21)이 형성되어, 배출단(1a)에서 무작위적으로 연속 낙하되는 어묵(4)들이 측벽(20) 상단에 부딪치면서 가이드면(21)에 의해 적재칸(23)으로 안내되어 적재칸(23)에 보다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됨과 동시에 적재될 수 있으므로, 어묵(4)이 계속 낙하되더라도 보다 원활하게 정렬되면서 적재되어 작업이 지체되지 않아서 결국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어묵(4)의 정렬과 적재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한 적재칸(23)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제작도 용이히고 설치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전체적으로 설비비용을 줄이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의 일실시예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는 일단이 어묵(4)들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컨베이너벨트(1)의 배출단(1a)의 하측에 위치되며 타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이송벨트(10); 상기 이송벨트(10)들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각 이송벨트(10)들 사이사이에 직립 설치되어 낙하되는 어묵(4)들이 각 이송벨트(10)로 안착되도록 해주는 측벽(20)과, 이 측벽(20)들 사이에 위치된 이송벨트(20)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낙하되는 어묵(4)들이 수납 적재되는 복수개의 적재칸(23); 상기 적재칸(23) 또는 상기 냉각기의 배출단(1a)에 구비되어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수량검출센서(30); 및 이 수량검출센서(30)로부터 정해진 수량의 어묵(4)이 각 적재칸(23)에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적재칸(23)의 이송벨트(10)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정해진 수량이 적재된 어묵(4)의 묶음이 인출되도록 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벨트(10)는 폭이 가공된 어묵(4)의 폭과 대응되거나 어묵(4)의 폭보다 다소 넓은 폭을 갖는 것으로 소정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형태인 복수개의 이송벨트(1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작업다이(11)에 구동모터(12)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10)의 일단은 어묵(4) 제조공정 중 마지막 공정인 냉각공정을 거친 어묵(4)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배출단(1a)에서 낙하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어묵(4)이 배출되는 냉각기의 배출단(1a) 직하방에 위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배출단(1a)은 도시안된 냉각기 내부에 배치되어 어묵(4)들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1)의 말단을 나타내는데, 이 컨베이어벨트(1)는 지지프레임(2)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어묵(4)들이 도 1과 같이 컨베이어벨트(1)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열을 이루어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벨트(10)의 일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배출단(1a)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배출단(1a)에서 낙하되는 어묵(4)들이 이송벨트(10)의 일단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측벽(20)은 상기 이송벨트(10)들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베이스판(22)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 것으로, 상기 각 측벽(20)들은 각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 측벽(20)들간의 간격은 상기 이송벨트(10)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판(22)이 이송벨트(10)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 측벽(20)이 각 이송벨트(10) 사이에 배치되도록 작업다이(11)에 적절히 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벽(20)의 상단에는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면(21)이 형성된다.
상기 적재칸(23)은 상기 이송벨트(10)의 양측방에 위치된 한 쌍의 측벽(20)과, 이 한 쌍의 측벽(20)들 사이에 위치된 이송벨트(1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칸으로서, 상기 배출단(1a)을 통해 낙하되는 어묵(4)들이 상기 측벽(20) 상단에 부딪치면서 가이드면(21)에 의해 적재칸(23)으로 유도되어 적재칸(23)에 적재된다.
상기 수량검출센서(30)는 상기 배출단(1a) 또는 적재칸(23)의 측벽(2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단(1a)에서 낙하되어 적재칸(23)에 적재되는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것이다. 이때, 수량검출센서(30)는 배출단(1a)의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단(1a)에서 낙하되는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하거나 또는 적재칸(23)의 측벽(20)에 구비되어 적재칸(23)으로 낙하되는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량검출센서(30)가 배출단(1a)의 하측에 구비될 경우에는, 수량검출센서(30)는 배출단(1a)의 지지프레임(2)에 설치되어 배출단(1a)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보조프레임(3)에 소정간격 이격 설치된다. 이때, 수량검출센서(30)는 빛을 조사하여 낙하되는 어묵(4)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어묵(4)이 배출단(1a)에서 낙하될 때, 수량검출센서(30)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되돌아오게 되면, 어묵(4)이 낙하되고 있는 것이므로 어묵(4)의 카운트가 늘어나게 된다.
한편, 수량검출센서(3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서 각 적재칸(23)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각 적재칸(23)에 적재되는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량검출센서(30)는 빛을 조사하는 방식 이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포장지에 포장되는 어묵(4)의 수량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며, 상기 수량검출센서(30)는 정해진 수량의 어묵(4)이 하나의 적재칸(23)에 적재되는 경우에는 제어부(40)로 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수량검출센서(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수량검출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구동모터(12)는 이송벨트(10)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이에 따라, 이송벨트(10)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적재칸(23)에 일정 수량 적재된 어묵(4)이 적재칸(23)에서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벨트(1)에 의해 이송되는 어묵(4)들이 마지막 제조공정인 냉각공정을 거친 후 컨베이어벨트(1)의 배출단(1a)에서 이송벨트(10)로 무작위적으로 연속 낙하되는데, 연속 낙하되는 어묵(4)들은 측벽(20) 상단에 부딪치면서 가이드면(21)에 의해 각각의 적재칸(23)에 유도되어 정렬된 상태로 수납 적재된다. 이때, 배출단(1a)으로 유출되는 어묵(4)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무작위적인 배치상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상태의 어묵(4)들이 이송벨트(10)쪽으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산발적으로 낙하되는 어묵(4)은 측벽(2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면(21)에 의해 가이드되어 소정의 적재칸(23)으로 안내됨으로써 적재칸(23)에 보다 매끄럽게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단(1a)에서 적재칸(23)으로 낙하되는 어묵(4)은 수량검출센서(30)에 의해 수량이 체크되며, 이에 따라 각 적재칸(23)에 정해진 수량이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40)에 의해 이송벨트(1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어묵(4)이 적재칸(23)에서 인출되므로, 정해진 수량이 가지런지 적재된 어묵(4)을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어 포장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배출단(1a)을 통해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는 어묵(4)들을 구조가 간단하고 어묵(4)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설치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측벽(20)에 의해 정렬시킴과 동시에 적재칸(23)에 적재시킬 수 있으므로, 측벽(20)의 제작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전체적으로 설치비용도 절감하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묵(4)의 포장을 위해 정해진 수량의 어묵(4)을 가지런하게 적재시켜야만 하는데, 종래 작업자가 낙하된 어묵을 일일이 수량을 세면서 수작업으로 가지런지 적재시키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낙하되는 어묵(4)이 자동으로 정해진 수량이 가지런히 적재되므로, 포장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수량을 세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한 수량의 어묵(4)이 포장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에 비해 어묵(4)이 포장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므로, 어묵(4)이 좀 더 신선한 상태로 포장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컨베이어벨트(1)에 의해 이송되는 어묵(4)들이 냉각공정을 거쳐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연속 배출되는 배출단(1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단(1a)에서 무작위적으로 연속 낙하되는 어묵(4)들을 자동으로 적재하는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타단이 전방을 향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이송벨트(10); 및 상기 배출단(1a)의 직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각 이송벨트(10)들 사이사이에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직립 설치된 복수개의 측벽(20)과, 상기 인접된 한 쌍의 측벽(20) 사이에 구비된 이송벨트(10)의 상면으로 이루어진 내측공간으로, 상기 낙하되는 어묵(4)들이 적재되는 복수개의 적재칸(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벽(20)의 상단에는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형상의 가이드면(21)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단(1a)에서 어묵(4)들이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어 무작위적으로 연속 낙하될 때, 배출단(1a)의 직하방에 위치된 적재칸(23)의 측벽(20)의 상단에 부딪치면서 가이드면(21)에 의해 안내되어 각 적재칸(23)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칸(23) 또는 상기 배출단(1a)에 구비되어 어묵(4)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수량검출센서(30); 및 상기 수량검출센서(30)로부터 정해진 수량의 어묵(4)이 각 적재칸(23)에 적재된 것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재칸(23)의 이송벨트(1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량검출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40)에 의해 정해진 수량이 적재된 상태의 어묵(4)이 상기 적재칸(23)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3. 삭제
KR1020110035658A 2011-04-18 2011-04-18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KR10123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658A KR101236066B1 (ko) 2011-04-18 2011-04-18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658A KR101236066B1 (ko) 2011-04-18 2011-04-18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214A KR20120118214A (ko) 2012-10-26
KR101236066B1 true KR101236066B1 (ko) 2013-02-22

Family

ID=4728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658A KR101236066B1 (ko) 2011-04-18 2011-04-18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556A (ko) 2017-11-14 2019-05-22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20230075700A (ko) 2021-11-23 2023-05-31 서정설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KR20240025245A (ko) 2022-08-18 2024-02-2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어묵 자동 분류 포장기 및 포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2417A (zh) * 2016-10-27 2017-05-31 贵州省兴仁县荣凯五金搪瓷制品有限公司 一种搪瓷桶烘烤转接台及其操作方法
CN106742416A (zh) * 2016-10-27 2017-05-31 贵州省兴仁县荣凯五金搪瓷制品有限公司 一种搪瓷盖烘烤转接台及其操作方法
CN108163241A (zh) * 2017-12-26 2018-06-15 刘晓莉 一种月饼全自动排盘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754A (en) * 1977-11-25 1979-06-16 Komatsu Seisakusho:Kk System for conveying packaging bags
JPH05305927A (ja) * 1991-12-20 1993-11-19 Nippon Cement Co Ltd シート状部材の重ね合わせ器および該重ね合わせ器を使用した重量検査装置
JP2007276988A (ja) 2006-04-11 2007-10-25 Kinzo Tsukasaki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754A (en) * 1977-11-25 1979-06-16 Komatsu Seisakusho:Kk System for conveying packaging bags
JPH05305927A (ja) * 1991-12-20 1993-11-19 Nippon Cement Co Ltd シート状部材の重ね合わせ器および該重ね合わせ器を使用した重量検査装置
JP2007276988A (ja) 2006-04-11 2007-10-25 Kinzo Tsukasaki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556A (ko) 2017-11-14 2019-05-22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20230075700A (ko) 2021-11-23 2023-05-31 서정설 어묵 포장용 자동 정렬장치
KR20240025245A (ko) 2022-08-18 2024-02-2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어묵 자동 분류 포장기 및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214A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066B1 (ko)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JP2007014925A (ja) 農産物選別装置
JP2017105596A (ja) 果菜引継ぎ移送方法と、果菜引継ぎ移送装置と、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果菜容器詰め方法と、果菜容器詰め装置と、果菜選別容器詰め方法と、果菜選別容器詰め装置
JP5658444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及び果菜自動選別方法
JP2018194362A (ja) 食品把持移載装置及び食品把持移載方法
JP2000142625A (ja) 卵の自動選別包装装置
KR102605525B1 (ko) 봉지포장상품의 패키지 포장시스템
CN108001737B (zh) 一种中支烟盒码堆包装输送系统
US20140123686A1 (en) Automatic, periodic plate-freezing
CN214934100U (zh) 摆盘机
CN112340121A (zh) 整理装置及包装设备
KR101388067B1 (ko) 포장 대상물 자동 적재장치
CN112810899A (zh) 一种注塑件自动分料码垛机及其分料装置
JP4152021B2 (ja) 卵の自動選別包装装置
JP4715007B2 (ja) 長物選別箱詰め装置
CN109205264B (zh) 自动分拣及装箱系统及其作业方法
CN220948912U (zh) 非油炸方便面包装生产线
CN215922692U (zh) 食品包装机的毛坯盒送料装置
JP3687820B2 (ja) 組合せ計量方法及び組合せ秤
JP6166583B2 (ja) 果菜自動選別箱詰め装置
JP5319155B2 (ja) 物品仕分け装置
CN219097181U (zh) 一种数粒机构及集自动送料和数粒包装一体化设备
CN211076650U (zh) 一种具有双推料机构的提升机包装生产线
JP2009078841A (ja) 容器搬送設備
JP2017013471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