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637B1 -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 Google Patents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0637B1 KR102630637B1 KR1020210063517A KR20210063517A KR102630637B1 KR 102630637 B1 KR102630637 B1 KR 102630637B1 KR 1020210063517 A KR1020210063517 A KR 1020210063517A KR 20210063517 A KR20210063517 A KR 20210063517A KR 102630637 B1 KR102630637 B1 KR 102630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kimchi
- radish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4000241872 Lycium chinens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5468 Lycium chinens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202807 Glycyrrhi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0736199 Paeon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6484 Paeon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8865 Angelica giga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0000001810 Angelica giga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533367 Cnidium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0554 Glycyrrhiza ural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8917 Glycyrrhiza ural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8598 Paeonia lactiflo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4000236658 Paeonia lactiflo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508715 Ziziphus jujuba var. inerm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1841 zingiber officina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045403 Astragalus propinqu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4000178993 Brassica jun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7539 Brassica juncea var jun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070406 Malus silvestr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3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FBMORZZOJSDNRQ-GLQYFDAESA-N Atractylenolide III Chemical compound C=C([C@@H]1C2)CCC[C@]1(C)C[C@@]1(O)C2=C(C)C(=O)O1 FBMORZZOJSDNRQ-GLQYFDAE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132011 Atractylodes lan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229182 Ledebouriella seseloi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claims 2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1 saponin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405911 Rehmannia glut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7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JEPYKJPYRNKOW-REOHCLBHSA-N (S)-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C(O)=O BJEPYKJPYRNKOW-REOHCLBHSA-N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3
- BJEPYKJPYRNKOW-UHFFFAOYSA-N alpha-hydroxy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2717 Increased upper airway secre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299 Nitric Oxide Synth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1487 Nitric Oxide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057 Raphanus caud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0 Raphanu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FEWJPZIEWOKRBE-UHFFFAOYSA-N 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H+].[H+].[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766 flatu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60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WIUHFFTVRNATP-UHFFFAOYSA-N glycine betaine Chemical compound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435 phleg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574 pickled cabb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52 swallo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KQXZKUSFCKOGQ-JLGXGRJMSA-N (3R,3'R)-beta,beta-carotene-3,3'-diol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H](O)CC1(C)C JKQXZKUSFCKOGQ-JLGXGRJMSA-N 0.000 description 1
- RSWGJHLUYNHPMX-UHFFFAOYSA-N 1,4a-dimethyl-7-propan-2-yl-2,3,4,4b,5,6,10,10a-octahydrophenanthre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60 Abdominal dis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520 Angelica archangel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TYPSVDGIQAOBAD-DZGCQCFKSA-N Atractylone Chemical compound C([C@]1(C)C2)CCC(=C)[C@@H]1CC1=C2OC=C1C TYPSVDGIQAOBAD-DZGCQCFK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1 Benzo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55 Brassica juncea var. subintegr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IIDATRCGITYRZ-UHFFFAOYSA-N Catalpol Natural products OCC1OC(OC2OC=CC3C(O)C(=C(CO)C23)O)C(O)C(O)C1O QIIDATRCGITY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48268 Citrus deli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678 Citrus unshiu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335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5137 Eruc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HFTWTHSIMCSLFQ-UHFFFAOYSA-N Glabric acid Natural products C12C(=O)C=C3C4CC(C)(C(O)=O)C(O)CC4(C)CCC3(C)C1(C)CCC1C2(C)CCC(O)C1(C)C HFTWTHSIMCSL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FTWTHSIMCSLFQ-CMLLUXCUSA-N Glabric acid Chemical compound C([C@H]1C2=CC(=O)[C@H]34)[C@](C)(C(O)=O)[C@H](O)C[C@]1(C)CC[C@@]2(C)[C@]4(C)CC[C@@H]1[C@]3(C)CC[C@H](O)C1(C)C HFTWTHSIMCSLFQ-CMLLUXCU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PYKUZBSLRQECL-UKMVMLAPSA-N Lycop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C2(C)C UPYKUZBSLRQECL-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7 Magno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13 Naus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YDNKGUBLIKNAM-UHFFFAOYSA-N Oxyallobutulin Natural products C1CC(=O)C(C)(C)C2CCC3(C)C4(C)CCC5(CO)CCC(C(=C)C)C5C4CCC3C21C JYDNKGUBLIKN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KRGDOXKVOZESV-WRJNSLSBSA-N Paeoniflorin Chemical compound C([C@]12[C@H]3O[C@]4(O)C[C@](O3)([C@]1(C[C@@H]42)O[C@H]1[C@@H]([C@@H](O)[C@H](O)[C@@H](CO)O1)O)C)OC(=O)C1=CC=CC=C1 YKRGDOXKVOZESV-WRJNSLSB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98054 Pollachius pollach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1976 Polycarp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768 Shig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292 Sola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QZIYBXSHAGNOE-USOSMYMVSA-N Stachyose Natural products O(C[C@H]1[C@@H](O)[C@H](O)[C@H](O)[C@@H](O[C@@]2(CO)[C@H](O)[C@@H](O)[C@@H](CO)O2)O1)[C@@H]1[C@H](O)[C@@H](O)[C@@H](O)[C@H](CO[C@@H]2[C@@H](O)[C@@H](O)[C@@H](O)[C@H](CO)O2)O1 UQZIYBXSHAGNOE-USOSMYMV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Natural products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865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KQXZKUSFCKOGQ-LQFQNGICSA-N Z-zeaxanthin Natural products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H](O)CC1(C)C JKQXZKUSFCKOGQ-LQFQNGICSA-N 0.000 description 1
- QOPRSMDTRDMBNK-RNUUUQFGSA-N Zeaxanth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O)C1(C)C)C=CC=C(/C)C=CC2=C(C)CC(O)CC2(C)C QOPRSMDTRDMBNK-RNUUUQFG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29 Ziziph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930 alkal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97 alkalo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JKQXZKUSFCKOGQ-LOFNIBRQSA-N all-trans-Zeaxanth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C(O)CC2(C)C JKQXZKUSFCKOGQ-LOFNIBRQ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7 anti-cholestero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9 anti-fatigu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4 anti-py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1 anti-spasm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1 antipy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97 app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68 arom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666 astragalus root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687 belch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3 benz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37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FVWJYYTZTCVBKE-ROUWMTJPSA-N betulin Chemical compound C1C[C@H](O)C(C)(C)[C@@H]2CC[C@@]3(C)[C@]4(C)CC[C@@]5(CO)CC[C@@H](C(=C)C)[C@@H]5[C@H]4CC[C@@H]3[C@]21C FVWJYYTZTCVBKE-ROUWMTJPSA-N 0.000 description 1
- MVIRREHRVZLANQ-UHFFFAOYSA-N betulin Natural products CC(=O)OC1CCC2(C)C(CCC3(C)C2CC=C4C5C(CCC5(CO)CCC34C)C(=C)C)C1(C)C MVIRREHRVZLA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0 bloa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7 cardio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HDWRKICQLTVDL-PZYDOOQISA-N catalp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2[C@@]3(CO)O[C@H]3[C@@H](O)[C@@H]2C=CO1 LHDWRKICQLTVDL-PZYDOOQISA-N 0.000 description 1
- UXSACQOOWZMGSE-UHFFFAOYSA-N catalp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2C3(CO)OC3C(OC(=O)C=3C=CC(O)=CC=3)C2C=CO1 UXSACQOOWZMG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3 cell cultur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0 cereb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9 hem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7 kidne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HDWRKICQLTVDL-UHFFFAOYSA-N methyl irido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2C3(CO)OC3C(O)C2C=CO1 LHDWRKICQLTV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65 muscl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93 nause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YKRGDOXKVOZESV-UHFFFAOYSA-N paeoniflorin Natural products O1C(C)(C2(CC34)OC5C(C(O)C(O)C(CO)O5)O)CC3(O)OC1C24COC(=O)C1=CC=CC=C1 YKRGDOXKVOZE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4 se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326 skin blood flow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60 smooth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UQZIYBXSHAGNOE-XNSRJBNMSA-N stachy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C@@H]2[C@@H]([C@@H](O)[C@@H](O)[C@@H](CO[C@@H]3[C@@H]([C@@H](O)[C@@H](O)[C@@H](CO)O3)O)O2)O)O1 UQZIYBXSHAGNOE-XNSRJBNM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BPHJBAIARWVSC-XQIHNALSSA-N trans-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O)CC2(C)C)C KBPHJBAIARWVSC-XQIHNALS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97 ulce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91 uter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CYCYZXNIZJOKI-UHFFFAOYSA-N vitamin A aldehyde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NCYCYZXNIZJO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EFOAORQXAOVJQ-UHFFFAOYSA-N wuweizischun A Natural products C1C(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30 zeaxan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75 zeaxan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269 zeaxan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포장용기로부터 손쉽게 짜먹을 수 있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배추, 무 등을 소금에 절인 후, 고추, 마늘, 파,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리고,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이다. 영양 면에서도,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 무, 고추, 파, 마늘 등에는 많은 양의 다양한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김치를 섭취하여 이들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김치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지방같은 열량이 많은 영양소의 함량이 적은데 비해 칼슘과 무기질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뿐만 아니라, 김치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산균 발효유를 굳이 마시지 않더라도 김치를 통해 유산균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한편 김치는 숙성 과정에서 내염성 젖산균 등의 발효에 젖산, 탄산가스, 아세트산 등 각종 유기산이 생성되어 김치의 산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김치가 시어지면서 채소 중에 들어있는 펙틴질이 분해되어 연화되면서 비타민 C의 함량도 감소하며, 김치가 지나치게 시어지면서 상품가치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김치에 한약재 추출 성분을 첨가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약재의 경우 독특한 맛과 향을 가져 김치소와 단순 혼합하여 제조시 맛, 저작감 및 관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김치 섭취가 익숙하지 않은 해외에서의 김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저작 운동이 어려운 영유아, 노약자 또는 환자의 경우 김치의 섭취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 섭취가 용이한 김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여행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어느 곳에서나 김치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김치의 휴대 및 보관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711호(2005.07.18. 공고, 발명의 명칭: 보관성을 연장한 김치 통조림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액과 김치속의 혼합성이 우수하고, 김치의 색상, 맛, 향, 목넘김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는 백출(atractylodes japonica),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및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 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짜먹는 김치는 튜브형 용기에 혼합물을 충전하여, 손으로 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저나 젓가락 없이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나 영 유아들도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저장성이 우수하여 여행 등 야외활동시도 간편한 휴대와 섭취가 가능하며,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혼합액과 김치속의 혼합성이 우수하고, 김치의 색상, 맛, 향, 목넘김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짜먹는 김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짜먹는 김치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S10) 혼합물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S10)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S10)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재료는 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배추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추김치, 보쌈김치 등의 김치를 제조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Raphanus sativus)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무의 잎, 줄기, 뿌리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주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무, 알타리무(총각무), 열무(어린 무, young radis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갓은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의 잎과 줄기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는 물에 세척한 다음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는 물에 세척한 다음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염수에 침지하여 절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절임은 10~20(W/V, 중량/용적 백분율)%의 소금물에 불가식 부위를 제거한 주 재료를 12~30시간 동안 침지한 다음 건져내어 체에 받쳐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2~18(W/V)%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6(W/V)%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혼합물의 맛과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는 특유의 조직감과 함께 비타민 B군 및 C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고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를 함유하고 있어 소화를 돕는 기능이 우수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무는 채썰기, 깍둑썰기 등 섭취하기 용이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mm 이하의 크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파는 본 발명의 김치의 저작감 및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파는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양파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9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양파를 30 중량부 미만 포함시 상기 김치의 저작감이 저하되며,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김치의 맛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젓갈은 김치의 숙성을 도와 더욱 깊은 맛을 내게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젓갈은 굴젓, 명란젓, 멸치젓 및 새우젓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젓갈은 새우젓 및 멸치젓을 1:0.5~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젓갈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18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젓갈을 6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저하되고, 18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김치의 짠 맛이 지나치게 강해지며, 맛과 향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과는 포도당, 과당, 자당, 펜트테산, 펙틴, 사과산 및 구연산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소화작용을 향상시키고, 단맛을 더욱 증가시키며, 자극적인 향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과는 사과를 세절하여 갈거나, 착즙한 사과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과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사과를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김치의 맛이 저하되며, 6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김치의 맛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늘은 상기 김치의 숙성을 촉진시키고, 살균 및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늘은, 마늘을 세절하거나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마늘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늘을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관능성과 면역력 증진 효과가 저하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재추출액은 상기 김치를 섭취시 인체의 면역력 증진과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황기(黃耆, astragalus membranaceus)는 강장 및 강심 작용이 나타나며 혈관을 확장시켜 피부혈액순환과 만성궤양을 치료한다. 세포의 생성을 빠르게 하고 면역력 증가와 노화를 방지한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단너삼의 뿌리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황기 뿌리는 단맛이 강하며, 아미노산,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및 다당류 등의 활성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 항염 및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다른 약재의 독성을 중화하는 효능도 있다.
상기 인삼(人蔘, 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인삼의 뿌리는 사포닌 배당체를 포함하여 항피로, 발육촉진, 혈당치 강하, 혈압강하 등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삼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95~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귀(當歸, angelica gigas NAKAI)는 산형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시켜 제조된다. 맛은 달고 쓰며, 두통, 타박상, 관절염 치료 효과, 체내 저항력 증진 효과와, 빈혈 및 변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당귀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뿌리 부위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한다.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고 하며,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리코리시딘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항암효과, 콜레스테롤 강하효과 등의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감초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증진과,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은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성분은 배당체로서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과 알칼로이드인 파에오닌(paeonine)을 함유하고 탄닌·수지·안식향산도 있다. 약리적 작용으로는 흰쥐의 위장과 자궁의 평활근에 대하여 수축력을 약화시켰고, 토끼의 장관에는 진경(鎭痙)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당체 성분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한다. 또한 항균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균, 용혈성연쇄상구균 및 폐렴쌍구균의 발육 억제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작약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뿌리 및 줄기를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 천궁은 약성이 온화하고 맛이 시어서 체내에 들어가서는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해주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진통효과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천궁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이 저하를 방지하면서, 면역력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관목으로 잎의 길이가 7~10cm, 너비 3~5cm로서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2가화로 6~7월에 피며, 약간 붉은빛이 도는 백황색이다. 오미자의 열매는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구형(球形) 또는 도란상(倒卵狀) 구형이고 길이 6~12㎜로 한두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 열매는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갖추고 있다고 하여 오미자라 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에 함유된 신맛을 내는 성분으로 말산(mal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등이 있다. 오미자는 한방에서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대뇌신경을 흥분시키고 강장작용이 나타났으며 호흡중독에도 직접 작용하고 있다. 또한, 심장활동을 도와서 혈압을 조절하고 간장에 들어가서는 간장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오미자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9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기자(枸杞子, lycium chinense miller)는 가짓과에 속하는 구기자 나무를 의미하며, 열매 부위를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漿果) 이고, 8~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길이는 10mm 및 지름은 약 5mm이다. 처음에는 달콤하나 나중에는 쓴 맛을 낸다. 구기자 열매는 건조시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씨는 편평하고 콩팥 모양이며, 지름이 약 2mm이고 황백색이다. 구기자 열매는 베타인(betaine), 제아잔틴(zeazanthin), 카로틴(carotene), 티아민(thiamine)과, 비타민 A, B1, B2 및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기자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1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ginger, Zingiber officinale)은 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뿌리 부위를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한다.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및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생강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7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는 대추 나무의 열매를 의미하며, 과육에는 주로 당분이 들어 있으며 점액질, 능금산 및 주석산 등도 함유되어 있다. 상기 대추의 씨에는 베툴린, 베투릭산, 지방 등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는 이뇨강장, 건위진정 및 건위자양의 약재로 널리 쓰인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추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 및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0~1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는 백출(atractylodes japonica),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및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출(白朮, atractylodes japonica)은 삽주의 뿌리 부위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삽주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키가 50㎝ 가량 자란다. 땅속줄기는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덩어리로 회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 백출에는 아트락틸롤(atractylol) 및 아트락틸론(atractylonen) 등의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소화효소의 분비촉진과 지속적인 이뇨효과 및 진정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맛은 약간 쓰며 달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백출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와 김치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방풍(防風,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높이는 약 1m 이며, 뿌리는 해열 및 진통 등의 작용을 가져 약재로 사용된다. 맛은 맵고 달다. 감기에 효과가 우수하며, 관절 및 근육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풍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관능성과, 인체 면역력 개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여러해살이 약용식물인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GAERTNER) LIBOSCHITZ)의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숙지황은 지황의 뿌리를 술을 이용하여 9번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조되며, 단맛과 쓴맛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숙지황의 약효성분은 카탈폴(catalpol), 만니트(mannit)를 함유하며, 수용성 부분에 만니톨(mannitol), 스타키오스(stachyose) 및 글루코오스(glucos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숙지황은 빈혈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신장기능 강화와, 고혈압, 당뇨 등의 치료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숙지황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고, 면역력 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피(陳皮, citri unshius pericarpium)는 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의 열매 껍질 부위를 건조하여 제조되며,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판상의 껍질이다. 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쓰면서 약간의 자극성을 가진다. 진피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헛배가 부르고 나른한 증상,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한다. 해수, 가래를 없애주며 이뇨작용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진피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1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황기, 백출, 방풍, 인삼, 감초, 숙지황, 당귀, 작약 및 천궁을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추출액에 오미자, 구기자, 진피, 생강 및 대추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시,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김치의 맛,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물은 1:2~1:15 중량비로 혼합된다. 상기 중량비로 혼합시, 상기 약재 혼합물의 맛과 향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김치속과 혼합시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물은 1:2~1:6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물은 혼합 후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의 유용 성분이 변성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되어 면역력 개선 효과 및 항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을 물에 전술한 중량비 조건으로 투입하고, 70~90℃에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제1 추출액은 60~90℃에서 1 시간 내지 6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가열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어,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효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추출액은 70~90℃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은 2:1~1: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이 김치의 맛과 향에 영향을 주어 관능성이 저하됨을 방지하여,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은 1.5:1~1.1: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추출액은 상기 제1 추출액에 상기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의 유용 성분이 변성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되어 면역력 개선 효과 및 항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90℃에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제2 추출액은 60~90℃에서 20분 내지 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가열시, 상기 제2 약재 혼합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어,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효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추출액은 상기 제1 추출액에 전술한 함량의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70~90℃에서 30분 내지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제1 약재 혼합물과 제2 약재 혼합물을 여과 또는 제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추출액 제조 단계 이후, 상기 제2 추출액을 저온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약재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온 가열은, 상기 제2 추출액을 40~60℃에서 30분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제2 추출액을 저온 가열시, 상기 제2 추출액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손상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되면서, 본 발명의 김치의 맛, 향, 색상 등의 관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조된 제2 추출액을 40~60℃에서 1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재추출액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면역력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추가적인 면역력 개선의 상승 효과가 미미하며, 김치의 색상이 지나치게 탁해지며, 맛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0~7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소는 고춧가루, 생강 및 식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춧가루는 김치의 생리활성 효능, 색상 및 매운맛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춧가루는 붉은 고추를 말리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일광에 직접 건조하거나,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건조 또는 건조실에서 건조된 고추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춧가루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3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맛, 색상 및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0~2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은 특유의 맛과 함께 상기 김치의 강한 젓갈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강을 믹서기 등을 사용하여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생강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김치소의 맛, 저장성 및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천일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식염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고, 저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1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혼합시, 김치속과 주재료의 혼합성이 우수하며,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물은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5~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S20) 숙성 단계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10℃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숙성시 맛, 향 및 관능성과 면역력 증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0℃에서 숙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0~10℃에서 5~200일 동안 숙성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숙성시 상기 혼합물의 맛과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효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0℃에서 5~180일 동안 숙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전술한 주재료의 절임 후, 주재료와 김치소의 혼합 후 또는 상기 숙성을 거친 이후 주재료(또는 혼합물)를 절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주재료의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며, 튜브 형태의 용기에 용이한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를 사선으로 5mm 이하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mm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짜먹는 김치는 저장 용기에 공지된 방법으로 충전되어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 용기는 튜브형 용기 및 압축 용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튜브형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튜브형 용기는 상기 혼합물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0)는 치약 튜브와 같은 튜브형 용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휴대용기(100)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및 몸체(10)의 유출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1)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기(102)는 파우치형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3)를 포함하는 몸체(11); 및 몸체(11)의 유출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라미네이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캡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짜먹는 김치는 튜브형 용기에 혼합물을 충전하여, 손으로 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저나 젓가락 없이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나 영 유아들도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저장성이 우수하여 여행 등 야외활동시도 간편한 휴대와 섭취가 가능하며,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혼합액과 김치속의 혼합성이 우수하고, 김치의 색상, 맛, 향, 목넘김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파, 갓 및 오이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무(Raphanus sativus)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무의 잎(무청), 줄기, 뿌리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주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무, 총각무(알타리무), 열무(어린 무, young radis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갓은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의 잎과 줄기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짜먹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무김치, 백김치, 갓김치, 오이김치, 열무김치, 총각김치, 파김치 및 보쌈김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는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혼합시, 김치속과 주재료의 혼합성이 우수하며,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김치는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5~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주재료의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며, 튜브 형태의 용기에 용이한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는 사선으로 5mm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5mm의 크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소는 고춧가루, 생강 및 식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춧가루는 김치의 생리활성 효능, 색상 및 매운맛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춧가루는 붉은 고추를 말리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일광에 직접 건조하거나,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건조 또는 건조실에서 건조된 고추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춧가루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3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맛, 색상 및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0~2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은 특유의 맛과 함께 상기 김치의 강한 젓갈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강을 믹서기 등을 사용하여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생강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김치소의 맛, 저장성 및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천일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식염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고, 저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1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통상의 휴대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0)는 치약 튜브와 같은 튜브형 용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휴대용기(100)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및 몸체(10)의 유출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1)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기(102)는 파우치형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3)를 포함하는 몸체(11); 및 몸체(11)의 유출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라미네이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캡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1) 약재추출액 제조: 하기 표 1의 함량 조건의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백출(atractylodes japonica), 방풍,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당귀(angelica gigas NAKAI), 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7 중량비로 혼합하고, 70~9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추출액에 하기 표 1의 함량을 갖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70~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추출액을 40~5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제2 추출액 중에서 제1 약재 혼합물과 제2 약재 혼합물을 필터링하여 제거하여 약재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김치소 제조: 무(5mm 이하 크기) 100 중량부, 고춧가루 200 중량부, 양파(갈은 양파) 58 중량부, 젓갈(새우젓 및 멸치액젓 1:1 중량비) 135 중량부, 사과(갈은 사과) 40 중량부, 마늘(다진마늘) 33 중량부, 생강 8 중량부, 식염(천일염) 10 중량부 및 상기 제조된 약재추출액 67 중량부를 상기 김치양념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김치소를 제조하였다.
(3) 혼합물 제조 및 포장: 주재료(배추)를 준비하여 불가식 부위를 제거한 배추를 반으로 잘라서 12~20시간 동안 염수에 침지한 다음, 건져내어 체에 받쳐 수분을 제거하여 절임 배추를 제조한 다음, 주재료를 5mm 크기로 사선으로 절단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주재료 및 상기 김치소를 1:0.8~1:2 중량비로 혼합하여, 하기 도 4와 같은 짜먹는 김치(혼합물)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짜먹는 김치를 공지된 방법으로 압축 튜브에 충전하여 포장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6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 조건의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을 적용한 약재추출액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및 비교예 7~13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 조건의 김치소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주재료를 3mm 크기로 사선으로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혼합물을 0~5℃에서 30일 동안 저장하여 숙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절임 배추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의 김치소를 1:0.8~1:2 중량비로 혼합하고, 0~5℃에서 180일 동안 저장하여 숙성한 다음, 5mm 크기로 사선으로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주재료로 열무(young summer radis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주재료로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의 잎과 줄기 부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염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의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염증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Nitric oxide(NO)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식세포를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시키면 여러 pathway를 활성화 시키고, NOS(NO 합성효소)에 의해 NO가 발생한다.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배양액에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이를 NO kit (Nitric oxide detection kit, iNtRON 21021,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각각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저장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LPS (sigma, St. Louis, MOLogan, UT, USA) 1㎍/ml와 함께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 중 50㎕를 취한 후, NO kit의 N1 buffer 50㎕를 첨가하여 10분 방치하고, 이어 N2 buffer 50㎕를 첨가하여 10분간 방치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는 Nitrite를 표준용액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식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여,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을 각각 처리한 후 NO2- 생성 농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6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난 비교예 1~13 보다 NO 생성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이로부터 염증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항산화 효과: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의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 테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mM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 D9132-1G, USA)는 에탄올 내에서 프리라디칼을 발생한다. 에탄올을 0.2 ml에 에탄올로 제조된 0.1 mM DPPH 용액 0.25 ml 및 최종농도가 전체 volume의 10%에 해당되도록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3의 혼합물을 희석하여 100㎍/m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10초 동안 강하게 교반하고, 냉암소에서 30분간 보관한 다음,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C인 Ascorbic Acid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효과는 하기 수식에 따라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식]
자유라디칼 소거능(%): (100-(시료처리군의 흡광도/시료 무처리(대조군)군의 흡광도)) X 100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6은 비교예 1~13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검사 기법은 순위시험법으로서 훈련된 19~50세의 관능검사 요원 30명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김치의 색, 향, 맛, 저작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 5개 항목에 대하여, 10점 만점의 기호 척도법으로 측정하고 평균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 및 표 6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6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나 제조된 비교예 1~13 보다 맛, 향이 우수하였으며, 혼합물 제조시 혼합성이 우수하여 색상이 우수하였고, 저작감이 우수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35~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 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35~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 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517A KR102630637B1 (ko) | 2021-05-17 | 2021-05-17 |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517A KR102630637B1 (ko) | 2021-05-17 | 2021-05-17 |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5803A KR20220155803A (ko) | 2022-11-24 |
KR102630637B1 true KR102630637B1 (ko) | 2024-01-29 |
Family
ID=8423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3517A KR102630637B1 (ko) | 2021-05-17 | 2021-05-17 |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063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863B1 (ko) * | 2010-11-09 | 2013-03-11 | 조민형 |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1733170B1 (ko) | 2016-08-17 | 2017-05-08 | 정해보 |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6304B1 (ko) * | 2012-07-02 | 2018-10-11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44568B1 (ko) * | 2012-12-20 | 2015-08-13 | 황선호 | 산양산삼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160060989A (ko) * | 2014-11-21 | 2016-05-31 | 농업회사법인(주)태성김치 | 십전대보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933158B1 (ko) * | 2017-05-08 | 2018-12-27 | 유관형 |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김치 |
KR102159441B1 (ko) * | 2018-12-19 | 2020-09-23 | 곰소천년의젓갈영어조합법인 | 짜먹는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짜먹는 젓갈 |
-
2021
- 2021-05-17 KR KR1020210063517A patent/KR1026306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863B1 (ko) * | 2010-11-09 | 2013-03-11 | 조민형 |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1733170B1 (ko) | 2016-08-17 | 2017-05-08 | 정해보 |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5803A (ko) | 2022-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3386B1 (ko) |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 |
CN106387848B (zh) | 一种青辣椒酱及其制备方法 | |
KR101526124B1 (ko) | 앤초비 간장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앤초비 간장소스 | |
CN105795378A (zh) | 一种保健海鳗的加工方法 | |
CN110583922A (zh) | 一种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4630010A (zh) |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 |
KR20130109687A (ko) |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 |
CN105011120A (zh) | 一种具有美容养颜功效的食用菌方便汤及其制备方法 | |
KR102151925B1 (ko) | 총명 쿠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키 | |
CN105056096A (zh) | 补肾活血通络酒及其制备方法 | |
KR102202852B1 (ko) | 전통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 쌍화차 | |
CN107692027A (zh) | 一种藤三七面条及其制备方法 | |
KR101518412B1 (ko) |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 |
KR100900279B1 (ko) |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 |
KR102630637B1 (ko) |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 |
KR20110131143A (ko) |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건강국수 | |
KR102491108B1 (ko) |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 |
KR101053064B1 (ko) |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 |
KR102375752B1 (ko) |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치 | |
KR101926032B1 (ko) | 분말 식초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90014254A (ko) |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06899A (ko) | 새콤달콤한 검은 콩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CN105053471A (zh) | 一种清热美容山药梨脯的加工方法 | |
KR20090031012A (ko) | 복분자 열매와 잎을 이용한 복분자차의 제조방법 | |
CN103340391A (zh) | 一种风味果蔬营养酱的制备方法及此方法制备的风味果蔬营养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