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637B1 -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 Google Patents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637B1
KR102630637B1 KR1020210063517A KR20210063517A KR102630637B1 KR 102630637 B1 KR102630637 B1 KR 102630637B1 KR 1020210063517 A KR1020210063517 A KR 1020210063517A KR 20210063517 A KR20210063517 A KR 20210063517A KR 102630637 B1 KR102630637 B1 KR 10263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kimchi
radish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803A (ko
Inventor
곽현정
Original Assignee
곽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현정 filed Critical 곽현정
Priority to KR102021006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6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Description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MANUFACTURING METHOD FOR SQUEEZABLE KIMCHI AND SQUEEZABLE KIMCHI MANUFAC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포장용기로부터 손쉽게 짜먹을 수 있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배추, 무 등을 소금에 절인 후, 고추, 마늘, 파,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리고,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이다. 영양 면에서도,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 무, 고추, 파, 마늘 등에는 많은 양의 다양한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김치를 섭취하여 이들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김치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지방같은 열량이 많은 영양소의 함량이 적은데 비해 칼슘과 무기질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뿐만 아니라, 김치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산균 발효유를 굳이 마시지 않더라도 김치를 통해 유산균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한편 김치는 숙성 과정에서 내염성 젖산균 등의 발효에 젖산, 탄산가스, 아세트산 등 각종 유기산이 생성되어 김치의 산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김치가 시어지면서 채소 중에 들어있는 펙틴질이 분해되어 연화되면서 비타민 C의 함량도 감소하며, 김치가 지나치게 시어지면서 상품가치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김치에 한약재 추출 성분을 첨가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약재의 경우 독특한 맛과 향을 가져 김치소와 단순 혼합하여 제조시 맛, 저작감 및 관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김치 섭취가 익숙하지 않은 해외에서의 김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저작 운동이 어려운 영유아, 노약자 또는 환자의 경우 김치의 섭취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 섭취가 용이한 김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여행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어느 곳에서나 김치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김치의 휴대 및 보관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1711호(2005.07.18. 공고, 발명의 명칭: 보관성을 연장한 김치 통조림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액과 김치속의 혼합성이 우수하고, 김치의 색상, 맛, 향, 목넘김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는 백출(atractylodes japonica),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및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 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짜먹는 김치는 튜브형 용기에 혼합물을 충전하여, 손으로 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저나 젓가락 없이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나 영 유아들도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저장성이 우수하여 여행 등 야외활동시도 간편한 휴대와 섭취가 가능하며,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혼합액과 김치속의 혼합성이 우수하고, 김치의 색상, 맛, 향, 목넘김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짜먹는 김치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S10) 혼합물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은 (S10)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S10)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재료는 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배추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추김치, 보쌈김치 등의 김치를 제조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Raphanus sativus)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무의 잎, 줄기, 뿌리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주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무, 알타리무(총각무), 열무(어린 무, young radis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갓은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의 잎과 줄기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는 물에 세척한 다음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는 물에 세척한 다음 불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염수에 침지하여 절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절임은 10~20(W/V, 중량/용적 백분율)%의 소금물에 불가식 부위를 제거한 주 재료를 12~30시간 동안 침지한 다음 건져내어 체에 받쳐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2~18(W/V)%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6(W/V)%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혼합물의 맛과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는 특유의 조직감과 함께 비타민 B군 및 C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고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를 함유하고 있어 소화를 돕는 기능이 우수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무는 채썰기, 깍둑썰기 등 섭취하기 용이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mm 이하의 크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파는 본 발명의 김치의 저작감 및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파는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양파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9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양파를 30 중량부 미만 포함시 상기 김치의 저작감이 저하되며,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김치의 맛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젓갈은 김치의 숙성을 도와 더욱 깊은 맛을 내게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젓갈은 굴젓, 명란젓, 멸치젓 및 새우젓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젓갈은 새우젓 및 멸치젓을 1:0.5~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젓갈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18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젓갈을 6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저하되고, 18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김치의 짠 맛이 지나치게 강해지며, 맛과 향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과는 포도당, 과당, 자당, 펜트테산, 펙틴, 사과산 및 구연산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소화작용을 향상시키고, 단맛을 더욱 증가시키며, 자극적인 향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과는 사과를 세절하여 갈거나, 착즙한 사과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과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사과를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김치의 맛이 저하되며, 6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김치의 맛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늘은 상기 김치의 숙성을 촉진시키고, 살균 및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늘은, 마늘을 세절하거나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마늘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늘을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관능성과 면역력 증진 효과가 저하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재추출액은 상기 김치를 섭취시 인체의 면역력 증진과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황기(黃耆, astragalus membranaceus)는 강장 및 강심 작용이 나타나며 혈관을 확장시켜 피부혈액순환과 만성궤양을 치료한다. 세포의 생성을 빠르게 하고 면역력 증가와 노화를 방지한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단너삼의 뿌리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황기 뿌리는 단맛이 강하며, 아미노산,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및 다당류 등의 활성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 항염 및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다른 약재의 독성을 중화하는 효능도 있다.
상기 인삼(人蔘, 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인삼의 뿌리는 사포닌 배당체를 포함하여 항피로, 발육촉진, 혈당치 강하, 혈압강하 등의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삼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95~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귀(當歸, angelica gigas NAKAI)는 산형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시켜 제조된다. 맛은 달고 쓰며, 두통, 타박상, 관절염 치료 효과, 체내 저항력 증진 효과와, 빈혈 및 변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당귀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뿌리 부위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한다.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고 하며,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리코리시딘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항암효과, 콜레스테롤 강하효과 등의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감초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증진과,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은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성분은 배당체로서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과 알칼로이드인 파에오닌(paeonine)을 함유하고 탄닌·수지·안식향산도 있다. 약리적 작용으로는 흰쥐의 위장과 자궁의 평활근에 대하여 수축력을 약화시켰고, 토끼의 장관에는 진경(鎭痙)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당체 성분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한다. 또한 항균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균, 용혈성연쇄상구균 및 폐렴쌍구균의 발육 억제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작약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뿌리 및 줄기를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 천궁은 약성이 온화하고 맛이 시어서 체내에 들어가서는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해주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진통효과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천궁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이 저하를 방지하면서, 면역력 개선,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관목으로 잎의 길이가 7~10cm, 너비 3~5cm로서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2가화로 6~7월에 피며, 약간 붉은빛이 도는 백황색이다. 오미자의 열매는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구형(球形) 또는 도란상(倒卵狀) 구형이고 길이 6~12㎜로 한두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 열매는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갖추고 있다고 하여 오미자라 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에 함유된 신맛을 내는 성분으로 말산(malic acid) 및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등이 있다. 오미자는 한방에서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대뇌신경을 흥분시키고 강장작용이 나타났으며 호흡중독에도 직접 작용하고 있다. 또한, 심장활동을 도와서 혈압을 조절하고 간장에 들어가서는 간장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오미자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9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기자(枸杞子, lycium chinense miller)는 가짓과에 속하는 구기자 나무를 의미하며, 열매 부위를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漿果) 이고, 8~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길이는 10mm 및 지름은 약 5mm이다. 처음에는 달콤하나 나중에는 쓴 맛을 낸다. 구기자 열매는 건조시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씨는 편평하고 콩팥 모양이며, 지름이 약 2mm이고 황백색이다. 구기자 열매는 베타인(betaine), 제아잔틴(zeazanthin), 카로틴(carotene), 티아민(thiamine)과, 비타민 A, B1, B2 및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기자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1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관능성이 우수하고, 면역력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ginger, Zingiber officinale)은 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뿌리 부위를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한다.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및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생강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7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는 대추 나무의 열매를 의미하며, 과육에는 주로 당분이 들어 있으며 점액질, 능금산 및 주석산 등도 함유되어 있다. 상기 대추의 씨에는 베툴린, 베투릭산, 지방 등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는 이뇨강장, 건위진정 및 건위자양의 약재로 널리 쓰인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추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 및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0~1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는 백출(atractylodes japonica),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및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출(白朮, atractylodes japonica)은 삽주의 뿌리 부위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삽주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키가 50㎝ 가량 자란다. 땅속줄기는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덩어리로 회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 백출에는 아트락틸롤(atractylol) 및 아트락틸론(atractylonen) 등의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소화효소의 분비촉진과 지속적인 이뇨효과 및 진정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맛은 약간 쓰며 달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백출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와 김치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방풍(防風,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높이는 약 1m 이며, 뿌리는 해열 및 진통 등의 작용을 가져 약재로 사용된다. 맛은 맵고 달다. 감기에 효과가 우수하며, 관절 및 근육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풍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관능성과, 인체 면역력 개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여러해살이 약용식물인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GAERTNER) LIBOSCHITZ)의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숙지황은 지황의 뿌리를 술을 이용하여 9번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조되며, 단맛과 쓴맛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숙지황의 약효성분은 카탈폴(catalpol), 만니트(mannit)를 함유하며, 수용성 부분에 만니톨(mannitol), 스타키오스(stachyose) 및 글루코오스(glucos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숙지황은 빈혈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신장기능 강화와, 고혈압, 당뇨 등의 치료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숙지황은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고, 면역력 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피(陳皮, citri unshius pericarpium)는 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의 열매 껍질 부위를 건조하여 제조되며,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판상의 껍질이다. 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쓰면서 약간의 자극성을 가진다. 진피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헛배가 부르고 나른한 증상,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한다. 해수, 가래를 없애주며 이뇨작용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진피는 상기 황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1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포함시 김치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황기, 백출, 방풍, 인삼, 감초, 숙지황, 당귀, 작약 및 천궁을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된 제1 추출액에 오미자, 구기자, 진피, 생강 및 대추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시,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김치의 맛,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물은 1:2~1:15 중량비로 혼합된다. 상기 중량비로 혼합시, 상기 약재 혼합물의 맛과 향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김치속과 혼합시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물은 1:2~1:6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물은 혼합 후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의 유용 성분이 변성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되어 면역력 개선 효과 및 항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을 물에 전술한 중량비 조건으로 투입하고, 70~90℃에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제1 추출액은 60~90℃에서 1 시간 내지 6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가열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어,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효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추출액은 70~90℃에서 3~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은 2:1~1: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이 김치의 맛과 향에 영향을 주어 관능성이 저하됨을 방지하여,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은 1.5:1~1.1: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추출액은 상기 제1 추출액에 상기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의 유용 성분이 변성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되어 면역력 개선 효과 및 항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90℃에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제2 추출액은 60~90℃에서 20분 내지 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가열시, 상기 제2 약재 혼합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어,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효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추출액은 상기 제1 추출액에 전술한 함량의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70~90℃에서 30분 내지 1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제1 약재 혼합물과 제2 약재 혼합물을 여과 또는 제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추출액 제조 단계 이후, 상기 제2 추출액을 저온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약재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온 가열은, 상기 제2 추출액을 40~60℃에서 30분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제2 추출액을 저온 가열시, 상기 제2 추출액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손상되지 않고 용이하게 추출되면서, 본 발명의 김치의 맛, 향, 색상 등의 관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조된 제2 추출액을 40~60℃에서 1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재추출액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면역력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추가적인 면역력 개선의 상승 효과가 미미하며, 김치의 색상이 지나치게 탁해지며, 맛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0~7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소는 고춧가루, 생강 및 식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춧가루는 김치의 생리활성 효능, 색상 및 매운맛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춧가루는 붉은 고추를 말리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일광에 직접 건조하거나,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건조 또는 건조실에서 건조된 고추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춧가루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3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맛, 색상 및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0~2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은 특유의 맛과 함께 상기 김치의 강한 젓갈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강을 믹서기 등을 사용하여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생강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김치소의 맛, 저장성 및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천일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식염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고, 저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1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혼합시, 김치속과 주재료의 혼합성이 우수하며,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물은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5~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S20) 숙성 단계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10℃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숙성시 맛, 향 및 관능성과 면역력 증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0℃에서 숙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0~10℃에서 5~200일 동안 숙성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숙성시 상기 혼합물의 맛과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면역력 개선효과,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0℃에서 5~180일 동안 숙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전술한 주재료의 절임 후, 주재료와 김치소의 혼합 후 또는 상기 숙성을 거친 이후 주재료(또는 혼합물)를 절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주재료의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며, 튜브 형태의 용기에 용이한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를 사선으로 5mm 이하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mm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짜먹는 김치는 저장 용기에 공지된 방법으로 충전되어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 용기는 튜브형 용기 및 압축 용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튜브형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튜브형 용기는 상기 혼합물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0)는 치약 튜브와 같은 튜브형 용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휴대용기(100)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및 몸체(10)의 유출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1)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기(102)는 파우치형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3)를 포함하는 몸체(11); 및 몸체(11)의 유출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라미네이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캡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짜먹는 김치는 튜브형 용기에 혼합물을 충전하여, 손으로 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저나 젓가락 없이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나 영 유아들도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고, 휴대성 및 저장성이 우수하여 여행 등 야외활동시도 간편한 휴대와 섭취가 가능하며, 면역력 증진,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혼합액과 김치속의 혼합성이 우수하고, 김치의 색상, 맛, 향, 목넘김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파, 갓 및 오이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10~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작약(paeonia lactiflor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약재로부터 추출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재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배추(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무(Raphanus sativus)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무의 잎(무청), 줄기, 뿌리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주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무, 총각무(알타리무), 열무(어린 무, young radis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갓은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의 잎과 줄기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짜먹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무김치, 백김치, 갓김치, 오이김치, 열무김치, 총각김치, 파김치 및 보쌈김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는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혼합시, 김치속과 주재료의 혼합성이 우수하며,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관능성과, 면역력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김치는 상기 주재료 및 김치속을 1:0.5~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주재료의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며, 튜브 형태의 용기에 용이한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는 사선으로 5mm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5mm의 크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김치소는 고춧가루, 생강 및 식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춧가루는 김치의 생리활성 효능, 색상 및 매운맛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춧가루는 붉은 고추를 말리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일광에 직접 건조하거나,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건조 또는 건조실에서 건조된 고추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춧가루는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3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김치의 맛, 색상 및 향 등의 관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50~2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강은 특유의 맛과 함께 상기 김치의 강한 젓갈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강을 믹서기 등을 사용하여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생강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김치소의 맛, 저장성 및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염은 천일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식염은 상기 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김치의 맛과 향이 우수하고, 저장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1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짜먹는 김치는 통상의 휴대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0)는 치약 튜브와 같은 튜브형 용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휴대용기(100)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2)를 포함하는 몸체(10); 및 몸체(10)의 유출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기(101)는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짜먹는 김치가 수용된 휴대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기(102)는 파우치형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재료와 김치속을 포함하는 짜먹는 김치(1)가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부(13)를 포함하는 몸체(11); 및 몸체(11)의 유출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캡(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라미네이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캡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1) 약재추출액 제조: 하기 표 1의 함량 조건의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백출(atractylodes japonica), 방풍,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당귀(angelica gigas NAKAI), 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7 중량비로 혼합하고, 70~9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추출액에 하기 표 1의 함량을 갖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생강(Zingiber officinale)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70~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추출액을 40~5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상기 제2 추출액 중에서 제1 약재 혼합물과 제2 약재 혼합물을 필터링하여 제거하여 약재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 김치소 제조: 무(5mm 이하 크기) 100 중량부, 고춧가루 200 중량부, 양파(갈은 양파) 58 중량부, 젓갈(새우젓 및 멸치액젓 1:1 중량비) 135 중량부, 사과(갈은 사과) 40 중량부, 마늘(다진마늘) 33 중량부, 생강 8 중량부, 식염(천일염) 10 중량부 및 상기 제조된 약재추출액 67 중량부를 상기 김치양념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김치소를 제조하였다.
(3) 혼합물 제조 및 포장: 주재료(배추)를 준비하여 불가식 부위를 제거한 배추를 반으로 잘라서 12~20시간 동안 염수에 침지한 다음, 건져내어 체에 받쳐 수분을 제거하여 절임 배추를 제조한 다음, 주재료를 5mm 크기로 사선으로 절단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주재료 및 상기 김치소를 1:0.8~1:2 중량비로 혼합하여, 하기 도 4와 같은 짜먹는 김치(혼합물)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짜먹는 김치를 공지된 방법으로 압축 튜브에 충전하여 포장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6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 조건의 제1 약재 혼합물 및 제2 약재 혼합물을 적용한 약재추출액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및 비교예 7~13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 조건의 김치소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주재료를 3mm 크기로 사선으로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혼합물을 0~5℃에서 30일 동안 저장하여 숙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절임 배추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의 김치소를 1:0.8~1:2 중량비로 혼합하고, 0~5℃에서 180일 동안 저장하여 숙성한 다음, 5mm 크기로 사선으로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주재료로 열무(young summer radis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주재료로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의 잎과 줄기 부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짜먹는 김치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염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의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염증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Nitric oxide(NO)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식세포를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시키면 여러 pathway를 활성화 시키고, NOS(NO 합성효소)에 의해 NO가 발생한다.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배양액에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이를 NO kit (Nitric oxide detection kit, iNtRON 21021,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각각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저장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LPS (sigma, St. Louis, MOLogan, UT, USA) 1㎍/ml와 함께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 중 50㎕를 취한 후, NO kit의 N1 buffer 50㎕를 첨가하여 10분 방치하고, 이어 N2 buffer 50㎕를 첨가하여 10분간 방치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는 Nitrite를 표준용액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식세포를 양성대조군으로,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여,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을 각각 처리한 후 NO2- 생성 농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6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난 비교예 1~13 보다 NO 생성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이로부터 염증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항산화 효과: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의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 테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mM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 D9132-1G, USA)는 에탄올 내에서 프리라디칼을 발생한다. 에탄올을 0.2 ml에 에탄올로 제조된 0.1 mM DPPH 용액 0.25 ml 및 최종농도가 전체 volume의 10%에 해당되도록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3의 혼합물을 희석하여 100㎍/m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10초 동안 강하게 교반하고, 냉암소에서 30분간 보관한 다음,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C인 Ascorbic Acid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효과는 하기 수식에 따라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식]
자유라디칼 소거능(%): (100-(시료처리군의 흡광도/시료 무처리(대조군)군의 흡광도)) X 100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6은 비교예 1~13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3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검사 기법은 순위시험법으로서 훈련된 19~50세의 관능검사 요원 30명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김치의 색, 향, 맛, 저작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 5개 항목에 대하여, 10점 만점의 기호 척도법으로 측정하고 평균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 및 표 6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6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나 제조된 비교예 1~13 보다 맛, 향이 우수하였으며, 혼합물 제조시 혼합성이 우수하여 색상이 우수하였고, 저작감이 우수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35~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 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는 5mm 이하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주재료 및 김치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재료는 배추, 무, 열무, 알타리무, 오이, 파 및 갓(Brassica juncea var. juncea)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김치소는 무 100 중량부, 양파 30~90 중량부, 젓갈 60~180 중량부, 사과 35~60 중량부, 마늘 15~50 중량부 및 약재추출액 20~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 추출액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japonica) 80~120 중량부,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20~60 중량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80~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0~80 중량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 40~80 중량부, 당귀(angelica gigas NAKAI) 40~80 중량부, 작약(paeonia lactiflora) 40~80 중량부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40~8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약재 혼합물과 물을 1:2~1:15 중량비로 혼합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액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60~120 중량부,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90~180 중량부,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60~10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40~80 중량부 및 대추(ziziphus jujuba var. inermis) 80~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약재 혼합물을 투입하고 60~90℃로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먹는 김치.
KR1020210063517A 2021-05-17 2021-05-17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KR102630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517A KR102630637B1 (ko) 2021-05-17 2021-05-17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517A KR102630637B1 (ko) 2021-05-17 2021-05-17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803A KR20220155803A (ko) 2022-11-24
KR102630637B1 true KR102630637B1 (ko) 2024-01-29

Family

ID=8423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517A KR102630637B1 (ko) 2021-05-17 2021-05-17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6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63B1 (ko) * 2010-11-09 2013-03-11 조민형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33170B1 (ko) 2016-08-17 2017-05-08 정해보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04B1 (ko) * 2012-07-02 2018-10-1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4568B1 (ko) * 2012-12-20 2015-08-13 황선호 산양산삼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0989A (ko) * 2014-11-21 2016-05-31 농업회사법인(주)태성김치 십전대보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3158B1 (ko) * 2017-05-08 2018-12-27 유관형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김치
KR102159441B1 (ko) * 2018-12-19 2020-09-23 곰소천년의젓갈영어조합법인 짜먹는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짜먹는 젓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63B1 (ko) * 2010-11-09 2013-03-11 조민형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33170B1 (ko) 2016-08-17 2017-05-08 정해보 건강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803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86B1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CN106387848B (zh) 一种青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1526124B1 (ko) 앤초비 간장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앤초비 간장소스
CN105795378A (zh) 一种保健海鳗的加工方法
CN110583922A (zh) 一种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630010A (zh)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20130109687A (ko)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CN105011120A (zh) 一种具有美容养颜功效的食用菌方便汤及其制备方法
KR102151925B1 (ko) 총명 쿠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키
CN105056096A (zh) 补肾活血通络酒及其制备方法
KR102202852B1 (ko) 전통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 쌍화차
CN107692027A (zh) 一种藤三七面条及其制备方法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100900279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2630637B1 (ko) 짜먹는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짜먹는 김치
KR20110131143A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건강국수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1053064B1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KR102375752B1 (ko) 면역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치
KR101926032B1 (ko) 분말 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06899A (ko) 새콤달콤한 검은 콩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5053471A (zh) 一种清热美容山药梨脯的加工方法
KR20090031012A (ko) 복분자 열매와 잎을 이용한 복분자차의 제조방법
CN103340391A (zh) 一种风味果蔬营养酱的制备方法及此方法制备的风味果蔬营养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