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099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099B1
KR102629099B1 KR1020190103577A KR20190103577A KR102629099B1 KR 102629099 B1 KR102629099 B1 KR 102629099B1 KR 1020190103577 A KR1020190103577 A KR 1020190103577A KR 20190103577 A KR20190103577 A KR 20190103577A KR 102629099 B1 KR102629099 B1 KR 10262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vable member
width direction
met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201A (ko
Inventor
쇼이치 미즈사와
하루히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단자를 하우징 및 가동 부재와 일체 몰드 성형한 후에, 다른 부재를 가공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적은 공정수로 제조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가동 부재 (40)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 (46D-1) 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 부재 (50) 는, 하우징 (10) 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압연면이 피이동 규제부 (46D-1) 에 대향하여 그 피이동 규제부 (46D-1) 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 (51) 를 갖고,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 는, 피이동 규제부 (46D-1) 및 이동 규제부 (51) 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수용부 (15A) 를 갖고, 그 수용부 (15A) 는, 피이동 규제부 (46D-1) 의 이동이 규제를 받는 피규제 방향으로 하우징 (10) 을 관통하는 관통 공간 및 하우징 밖에서 피규제 방향에서 상기 관통 공간에 연통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방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평형 도체의 발출을 저지하는 제 1 위치와 평형 도체의 발출을 허용하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가동 부재를 갖는 커넥터는,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가동 부재와는 별도 부재를 이루고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하우징 및 가동 부재를 각각 별도의 공정에서 성형한 후, 그 하우징과 그 가동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 가동 부재의 성형 그리고 하우징과 가동 부재의 조립이 모두 별도의 공정에서 실시되는 만큼, 공정수가 많아져, 커넥터의 제조 작업이 번잡해짐과 함께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
특허문헌 1 에서는, 가동 부재와 하우징을 동시에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금속띠 형상 편 (片) 을 대략 가로 U 자 형상으로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진 복수의 단자 (컨택트) 와, 그 단자의 일단측 부분을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가동 부재 (액추에이터) 와, 그 단자의 타단측 부분을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있고, 그 가동 부재와 그 하우징이 단자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굴곡 가공되기 전의 상기 금속띠 형상 편의 일단측 부분을 가동 부재와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그 가동 부재로 유지함과 함께, 그 금속띠 형상 편의 타단측 부분을 하우징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그 하우징에서 유지한 후, 상기 금속띠 형상 편의 중간 부분 (가동 부재 및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부분) 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따라서,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의 제조 시에 있어서, 가동 부재의 성형과 하우징의 성형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하면, 성형의 공정이 하나 적어짐과 함께, 하우징과 가동 부재를 조립하는 공정도 불필요해지므로, 그 만큼 제조 작업이 간단해진다.
일본 특허공보 제4859261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만일 가동 부재의 성형과 하우징의 성형을 동일한 공정에서 실시하였다고 해도, 그 후에 금속띠 형상 편을 굴곡 가공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공정수가 많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를 하우징 및 가동 부재와 일체 몰드 성형한 후에, 다른 부재를 가공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적은 공정수로 제조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평형 도체의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함과 함께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해서 삽입 가능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이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평형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고 있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금속 부재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그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 금속 부재의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그 피이동 규제부보다 크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 부분은, 그 노출 부분의 압연면이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하여 그 피이동 규제부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 및 상기 이동 규제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그 피이동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이동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수용부를 갖고 있고, 그 수용부는,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이동이 규제를 받는 피규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공간 및 하우징 밖에서 피규제 방향에서 상기 관통 공간에 연통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방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상기 금속 부재를, 그 금속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을 따르도록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상기 금형에 의해 유지함과 함께 그 금속 부재의 타부 (他部) 를 그 금형 내에서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그 결과, 금속 부재의 노출 부분에서 상기 이동 규제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동 부재의 일부에 상기 피이동 규제부가 상기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에 접면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을 떼어낸 후,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금속 부재의 상기 이동 규제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가동 부재를 가동으로 함으로써,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 부재를 하우징 및 가동 부재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조금도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 (基部) 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이동 규제부는, 상기 회동 축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금속 부재의 상기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이, 상기 회동 축부에 형성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하여 대면하고, 그 회동 축부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된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그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이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축부의 둘레면을 따른 형상을 이루어 그 둘레면에 접하고, 상기 회동 축부의 회동을 안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 부재의 상기 이동 규제부에, 상기 회동 축부의 회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안내부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축부는, 그 회동 축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부에,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대경부 (大徑部) 를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타부에, 상기 대경부보다 소경인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소경부 (小徑部) 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상기 대경부의 만곡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제 1 발명에서, 일체 몰드 성형으로 상기 회동 축부를 성형할 때,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이동 규제부에 대하여 회동 축부측에 일방의 금형이 배치됨과 함께, 그 반대측에 타방의 금형이 배치된다. 만일, 상기 회동 축부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동일 직경을 이루고 있는 경우,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과 회동 축부의 외주면의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일방의 금형의 선단부 (先端部) 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 따라서, 상기 선단부는 얇아지므로, 매우 손상되기 쉽다.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회동 축부에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회동 축부를 성형할 때에, 대경부와 소경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부 (段部) 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형의 선단부가 초래된다. 상기 단부는, 회동 축부의 반경 방향에서의 대경부와 소경부의 차분에 상당하는 치수를 갖고 형성되므로, 상기 금형의 선단부도, 그것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를 갖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금형의 선단부에 그 두께 치수의 분만큼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그 금형의 선단부의 손상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 커넥터 폭 방향 또는 커넥터 두께 방향 중 어느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가동 부재는, 소정의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른바 슬라이드식의 것이어도 된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일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내벽면끼리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띠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이동 규제부의 연장 방향에서의 그 이동 규제부의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규제부의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금속 부재가 하우징에 유지됨으로써, 그 이동 규제부는 양팔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결과, 그 이동 규제부에서 가동 부재의 피이동 규제부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피이동 규제부의 맞닿음 힘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부를 갖고 있고, 그 걸림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후부 (後部) 에 갖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의 삽입 후에 상기 평형 도체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걸림면을 전부 (前部) 에 갖고 있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가동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면이, 상기 가동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일체 몰드 성형 후, 금형을 상기 안내면을 따라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발거 (拔去)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단순한 형상의 금형으로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를 갖고, 그 접촉 아암부는, 그 후단부 (後端部) 에 형성된 접촉부에서 평형 도체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회동 기부가 상기 접촉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기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후단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의 후단이 회동 부재의 회동 기부의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가 단자의 후단에 맞닿는 일이 없어져, 좌굴 등에 의한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후단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 아암부인 제 2 접촉 아암부의 후단은, 제 1 단자의 접촉 아암부인 제 1 접촉 아암부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 아암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단자의 후단이 회동 부재의 회동 기부의 홈부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제 2 단자의 후단이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 아암부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가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양단자의 후단에 맞닿는 일이 없어져, 좌굴에 의한 양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상기 접촉 아암부를 따라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 아암부의 후단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를 갖고 있고, 그 피유지 아암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그 홈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피유지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가,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의 상기 피유지 아암부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부가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 커넥터의 제조 시, 금형에 단자를 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벽부의 상기 공간을 거쳐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형의 일부를 상기 피유지 아암부와 간섭시키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금형에 의해 상기 홈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상기 접촉 아암부를 따라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 아암부의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를 갖고 있고, 그 피유지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그 접촉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피유지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가,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의 상기 피유지 아암부가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상이하게 위치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벽부가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의 제조 시, 상기 접촉부에 도금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공간을 거쳐 그 접촉부에 도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함께, 복수의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 1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를 갖고, 상기 제 1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제 1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금구측 규제부가 상기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의 가동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구는, 상기 제 1 금구에 더하여,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제 2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상기 제 1 축부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2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제 2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제 2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금구측 규제부가 상기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금구측 규제부가 상기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일방의 측 및 타방의 측 중 어느 측으로도 가동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기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1 금구의 제 1 금구측 규제부의 삽입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 통과 허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구측 규제부는, 상기 삽입 통과 허용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음과 함께 그 자유단부가 그 삽입 통과 허용부 외에 위치하고 있고, 그 자유단부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기부에서 회동 기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유지되고 있는 상기 제 1 금구측 규제부가 상기 돌기부에서 상기 회동 기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그 가동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를 갖고, 상기 단자의 이동 규제부인 단자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측 규제부가 상기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일방의 측으로의 가동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복수의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상기 제 1 축부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측 규제부가 상기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상기 금구측 규제부가 상기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일방의 측 및 타방의 측 중 어느 측으로도 가동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평형 도체의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해서 삽입 가능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이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평형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발명에서는, 압연 금속판제의 복수의 금속 부재를, 그 금속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상기 금형에 의해 유지함과 함께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그 금형 내에 노출시키고, 상기 금형 내에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그 금속 부재의 노출 부분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가동 부재의 일부에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한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에 접면시킨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금형을 떼어낸 후,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금속 부재의 상기 이동 규제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가동 부재를 가동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자를 하우징 및 가동 부재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조금도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단자를 포함하는 금속 부재를 하우징 및 가동 부재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조금도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정이 적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는, 도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제 1 단자, 제 2 단자 및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제 1 단자 단체 (單體) 의 사시도, (C) 는, 제 2 단자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5(A) 는,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B) 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 은,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의 삽입 직전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斷面),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를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의 발출 직전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는, 도 1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 는, 도 1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단자, 제 1 금구, 제 2 금구 및 제 3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제 1 금구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15(A) 는,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고, (B) 는, (A) 의 제 1 금구의 돌기부 근방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 은,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은,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의 삽입 직전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를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 은,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속 동작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A) 는, 도 2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단자 및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단자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 는, 도 2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커넥터 (1)」 라고 한다) 를 평형 도체 (FA)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 (FA) 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평형 도체 (FA) 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 커넥터 (1) 는, 평형 도체 (FA) 가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과 평형 도체 (FA) 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 축 방향 (전후 방향) 에서, X1 방향을 전방, X2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면내 (XY 평면 내) 에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Y 축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Z 축 방향 (상하 방향) 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한다.
평형 도체 (FA)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폭 방향으로 하는 띠형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로부 (도시하지 않음)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회로부는, 평형 도체 (FA) 의 절연층 내에서 매설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A) 의 전단 (前端) 위치까지 도달해 있다. 또, 상기 회로부는, 그 전단측 부분만큼이 평형 도체 (FA) 의 상면에 드러난 접속 회로부 (FA1) 를 갖고 있고, 후술하는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평형 도체 (FA) 는, 상기 전단측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결부 (FA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 (FA2) 의 전방에 위치하는 귀부 (FA3) 의 후단 가장자리는, 커넥터 (1) 의 후술하는 걸림부와 걸리는 피걸림부 (FA3-1) 로서 기능한다. 상기 접속 회로부 (FA1) 는, 제 1 단자 (20) 와 접촉하는 제 1 접속 회로부 (FA1-1) 와, 제 2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접속 회로부 (FA1-2) 를 갖고, 양자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커넥터 폭 방향에서 번갈아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1) 는, 전기 절연재제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되는 금속 부재로서의 복수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도 4 참조) 와, 후술하는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하우징 (10) 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전기 절연재제 가동 부재 (40) 와, 하우징 (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 부재로서의 금구 (50) 를 구비하고 있고, 도 1 에서, 평형 도체 (FA) 가 후방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양단자를 「단자 (20, 30)」 라고 총칭한다.
커넥터 (1) 의 상세한 구성의 설명에 앞서, 먼저,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및 발출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해 둔다. 커넥터 (1) 의 가동 부재 (40) 는, 평형 도체 (FA) 의 발출을 저지하는 제 1 위치로서의 닫힘 위치와 상기 평형 도체 (FA) 의 발출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로서의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전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가동 부재 (40) 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도시하지 않음) 에 대하여 평행한 자세를 이루는 제 1 위치로서의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 (FA) 의 삽입을 허용한다. 평형 도체 (FA) 는, 그 전단 가장자리에서 단자 (20, 30) 와 맞닿아 그 단자 (20, 30) 의 맞닿음 부분을 탄성 변위시켜,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평형 도체 (FA) 가 삽입 접속된 후에 있어서도, 커넥터 (1) 의 사용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닫힘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5A) 와 평형 도체 (FA) 의 피걸림부 (FA3-1) 가 걸림 가능하게 위치함으로써, 평형 도체 (FA) 의 후방 (X2 방향) 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평형 도체 (FA) 의 부주의한 발출이 방지된다 (도 9(C) 도 참조). 또, 커넥터 (1) 의 미사용 시가 되는 평형 도체 (FA) 의 발출 시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기립 방향으로 회동되어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진 자세를 이루는 제 2 위치로서의 열림 위치로 초래됨으로써, 평형 도체 (FA) 의 피걸림부 (FA3-1) 에 대한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5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FA) 의 후방으로의 이동, 즉 평형 도체 (FA) 의 발출이 허용된다 (도 10(C) 도 참조).
커넥터 (1) 구성의 설명으로 돌아온다. 도 2 는, 커넥터 (1) 를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커넥터 (1) 를, 가동 부재 (40) 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은, 상방에서 보아,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평행을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고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단부 (端部) 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측방 프레임부 (10C) 를 갖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는, 도 2(B) 및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면하여 하부를 이루는 전방 기부 (11) 와, 그 전방 기부 (11) 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짐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전벽 (前壁) (12) 을 갖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의 전방 기부 (11) 및 전벽 (12) 은,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고 있다. 전벽 (12) 의 상면은,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하면이 맞닿음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고 (도 8(A), (B) 및 도 9(A), (B) 참조), 가동 부재 (40) 의 하방으로의 과잉인 변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부 (10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부 (10A) 와 더불어 제 1 단자 (2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고 있다.
측방 프레임부 (10C) 는,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 기부 (11)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판상의 측방 기부 (14)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그 측방 기부 (14) 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고 그 측방 기부 (14) 로부터 기립하고 있는 측벽 (15) 과, 그 측벽 (15) 보다 커넥터 폭 방향 (Y) 에서 내방 (단자 배열 범위측) 에 위치하고 측방 기부 (14) 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측방 지지부 (16) 를 갖고 있다.
측벽 (15) 에는, 후단쪽 위치에,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회동 축부 (46D) 및 금구 (50) 의 후술하는 이동 규제부 (51) 를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로서의 수용구멍부 (15A) 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측방 지지부 (16) 는,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그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걸림 아암부 (45)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측방 전(前)지지부 (16A) 를 전단측에 갖고 있음과 함께, 그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부기부 (副基部) (46B)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측방 후(後)지지부 (16B) 를 갖고 있다.
도 5(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받이부 (17A), 수용 오목부 (17B) 및 바닥구멍부 (17C) 를 갖는 공간 (17)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A) 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 (17) 은, 전방을 향해서 삽입된 평형 도체 (FA) 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이부 (17A) 와, 그 받이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고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17B) 와, 받이부 (17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구멍부 (17C) 를 갖고 있다.
받이부 (17A)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는, 후방 프레임부 (10B) 보다 상방 또한 닫힘 위치의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덮개판부 (42)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서는 커넥터 (1) 의 후단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전벽 (12) 의 후면에 걸치고,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는, 2 개의 측방 지지부 (16) 끼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받이부 (17A) 는, 후방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상방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평형 도체 (FA) 의 전단측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 받이부 (17A) 가 후방 뿐만 아니라 상방으로도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그 받이부 (17A) 의 후부에서 평형 도체 (FA) 를 비스듬한 자세로도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17B) 는, 받이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받이부 (17A) 와 연통하고,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두 개의 측벽 (15) 끼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 오목부 (17B) 는, 상방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어, 닫힘 위치로 초래된 가동 부재 (40) 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 (17B) 는, 전후 방향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근방의 위치로부터 하우징 (10) 의 전단까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오목부 (17B) 가 받이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 「상방에 위치한다」 는 것은, 수용 오목부 (17B) 가 받이부 (17A) 와 상하 방향에서 일부 중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또, 바닥구멍부 (17C) 는, 하우징 (10) 의 사각 프레임 형상 부분 (전방 프레임부 (10A), 후방 프레임부 (10B) 및 측방 프레임부 (10C) 로 이루어지는 부분) 으로 둘러싸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2 종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 는, 도 1 의 커넥터 (1) 로부터 제 1 단자 (20), 제 2 단자 (30) 및 금구 (50) 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B) 는, 제 1 단자 (20) 단체의 사시도, 도 4(C) 는, 제 2 단자 (30) 단체의 사시도이다.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는, 도 4(A) ∼ (C) 의 사시도에 보이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어,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는, 도 4(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제 1 단자 (20)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제 1 접촉 아암부 (21) 와,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속부 (22) 와,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전단과 제 1 접속부 (2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23) 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는, 전후 방향에서의 후반부 (X2 측의 부분) 가 전반부 (X1 측의 부분) 보다 좁은 폭으로 되어 있고, 후단쪽의 위치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굴곡 형성된 제 1 접촉부 (21A) 를 갖고 있다. 평형 도체 (FA) 가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방을 향한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탄성 변위하에서, 그 제 1 접촉부 (21A) 가 평형 도체 (FA) 의 후열의 제 1 접속 회로부 (FA1-1)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A) 참조).
또, 도 2(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은,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회동 기부 (46) 에 형성된 홈부 (46F)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5(A), 도 8(A) 도 참조). 이와 같이,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이 가동 부재 (40) 의 홈부 (46F) 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 (FA) 가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에 맞닿는 일이 없어져, 좌굴에 의한 제 1 단자 (20)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2) 의 후단측 부분 및 제 1 연결부 (23) 는,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8(A) 도 참조). 도 2(B) 및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2) 는, 그 전단측 부분이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도 8(A)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도 3(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단부에서 하우징 (10) 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 (32) 와, 제 2 접촉 아암부 (31) 및 피유지 아암부 (32) 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만곡한 제 2 연결부 (33) (도 4(A), (C)) 와, 그 피유지 아암부 (32) 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 2 접속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제 2 접촉 아암부 (31), 피유지 아암부 (32) 및 제 2 연결부 (33) 를 가짐으로써 후방을 향해서 개구한 가로 U 자 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고 (도 8(B) 도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가로 U 자 형상 부분에서 후방으로부터의 평형 도체 (FA) 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 (FA) 의 수용 시에 제 2 접촉 아암부 (31) 가 탄성 변위함으로써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피유지 아암부 (32) 로 평형 도체 (FA) 를 협압 (挾壓)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는, 제 2 연결부 (33) 의 상단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치수를 작게 하면서 약간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후단쪽의 위치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굴곡 형성된 제 2 접촉부 (31A) 를 갖고 있다.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는, 도 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촉부 (31A) 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1A)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평형 도체 (FA) 의 전열 (前列) 의 제 2 접속 회로부 (FA1-2) 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은, 도 5(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판두께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을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판두께의 범위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 (FA) 가 제 2 단자 (30) 의 후단 (31B) 에 맞닿는 일이 없어져, 좌굴에 의한 제 2 단자 (30)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는, 제 2 연결부 (33) 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어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위치까지 도달해 있다. 그 피유지 아암부 (32) 의 후단쪽 부분은,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 그 피유지 아암부 (32) 의 전단쪽의 부분 및 제 2 연결부 (33) 는, 전방 프레임부 (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5(A) 도 참조). 요컨대, 피유지 아암부 (32) 는, 도 5(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의해 양팔보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피유지 아암부 (32) 는, 도 4(A), (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보다 약간 전방의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 Y2 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1A) 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에서 더욱 Y2 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5(B) 도 참조). 이들 2 개의 굴곡 위치를 경계로 하여,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를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서 전단측 부분 (32A) (X1 측의 부분), 중간 부분 (32B) 및 후단측 부분 (32C) (X2 측의 부분) 의 3 개의 부분으로 구별했을 때, 도 4(A) 및 도 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단측 부분 (32A) 은,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방향에서,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전단측 부분과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다. 중간 부분 (32B) 은, 전후 방향에서는,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측 부분과 중복하여 위치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그 후단측 부분에 대하여 Y2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후단측 부분 (32C) 은, 전후 방향에서는, 제 2 접촉 아암부 (31)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제 2 접촉 아암부 (31) 에 대하여 Y2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의 중간 부분 (32B) 은,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측 부분, 즉, 제 2 접촉부 (31A) 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는 한편, 커넥터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 2 접촉부 (31A) 를, 하우징 (10) 의 바닥구멍부 (17C) 를 통해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4(A) 및 도 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의 전단측 부분 (32A) 은, 그 제 2 단자 (30) 의 Y2 측에서 인접하는 제 1 단자 (20) 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는, 그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전단측 부분 (폭이 넓은 부분) 과 중복되어 위치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전단측 부분에 대하여 Y1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중간 부분 (32B) 은, 전후 방향에서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측 부분 (폭이 좁은 부분) 과 중복하여 위치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그 후단측 부분에 대하여 Y2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후단측 부분 (32C) 은, 전후 방향에서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와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중간 부분 (32B) 은,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측 부분, 즉,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및 제 1 접촉부 (21A) 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는 한편, 커넥터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또, 그 중간 부분 (32B) 은, 도 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을 수용하는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홈부 (46F) 에 대해서도, 전후 방향에서 중복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및 제 1 접촉부 (21A) 그리고 가동 부재 (40) 의 홈부 (46F) 가 하우징 (10) 의 바닥구멍부 (17C) 를 통해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의 중간 부분 (32B) 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1A)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부 (31A) 의 양방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 1 접촉부 (21A) 및 제 2 접촉부 (31A) 가 하우징 (10) 의 바닥구멍부 (17C) 를 통해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1) 의 제조 시, 제 1 접촉부 (21A) 및 제 2 접촉부 (31A) 에 도금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바닥구멍부 (17C) 를 통해서 그 제 1 접촉부 (21A) 및 제 2 접촉부 (31A) 에 도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의 중간 부분 (32B) 이, 가동 부재 (40) 의 홈부 (46F) 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어, 그 홈부 (46F) 가 하우징 (10) 의 바닥구멍부 (17C) 를 통해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1) 의 제조 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형에 단자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 (40) 의 상기 홈부 (46F) 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측 금형의 일부를 상기 중간 부분 (32B) 과 간섭시키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하측 금형에 의해 상기 홈부 (46F)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접속부 (34) 는, 도 5(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부 (10B) 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나와 있고 (도 8(A)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부재 (40) 는, 그 가동 부재 (40) 를 닫힘 위치의 자세로 나타내는 도 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X 축 방향) 과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으로 넓어지는 대략 판상을 이루는 본체부 (41) 와, 그 본체부 (41) 보다 후방 (X2 측) 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회동 기부 (46) 를 갖고 있다.
본체부 (41) 는, 도 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닫힘 위치에서 단자 (20, 30) 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판부 (42) (도 8(A), (B) 도 참조) 와, 그 덮개판부 (42) 의 양측 외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단 (端) 아암부 (43) 와, 덮개판부 (42) 과 단 아암부 (43) 의 전단끼리를 연계하는 연계부 (44) 와, 연계부 (44) 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부 (45) 를 갖고 있다 (도 2 및 도 3 도 참조).
걸림 아암부 (45) 는, 도 2(B) 및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자유단인 하단부에,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걸림부 (45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부 (45A) 는, 도 8(C)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10) 의 받이부 (17A) 내로 상방으로부터 돌입되어 있다. 또, 그 걸림부 (45A) 는, 도 8(C)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 (FA) 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 (45A-1) 을 후부에 갖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 (FA) 의 삽입 후에 그 평형 도체 (FA) 에 형성된 피걸림부 (FA3-1) 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걸림면 (45A-2) 을 전부에 갖고 있다 (도 9(C) 도 참조).
안내면 (45A-1) 은, 도 8(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걸림 아암부 (45) 는, 평형 도체 (FA) 의 삽입 과정의 그 평형 도체 (FA) 의 귀부 (FA3) 의 전단부가 상기 안내면 (45A-1) 에 맞닿으면, 그 맞닿음 힘을 받아 걸림 아암부 (45) 가 상방을 향해서 용이하게 탄성 변위하는 탄성 아암부로서 기능한다.
또, 안내면 (45A-1) 은,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도 7(A) 및 도 10(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경사지는 일 없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 안내면 (45A-1) 은, 열림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열림 위치에서 안내면 (45A-1) 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성형 후에 상측 금형을 똑바로 상방으로 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B) 도 참조).
또, 걸림면 (45A-2) 은, 도 8(C) 및 도 9(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경사지는 일 없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 걸림면 (45A-2) 은, 닫힘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이루고 있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A) 의 피걸림부 (FA3-1) 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피걸림부 (FA3-1) 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확실하게 걸려, 평형 도체 (FA) 의 부주의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 기부 (46) 는,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로 연장되는 주기부 (主基部) (46A) 와, 그 주기부 (46A) 의 양단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부기부 (46B) 와,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주기부 (46A) 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 (46C) (도 2(B) 참조) 와, 단 아암부 (43) 의 양단면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회동 축부 (46D) 와, 주기부 (46A) 를 본체부 (41) 의 덮개판부 (42) 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 (46E) 를 갖고 있다.
부기부 (46B) 는, 도 2(B) 및 도 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하우징 (10) 의 측방 지지부 (16)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부분이 타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부분이 그 측방 지지부 (16) 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측방 피지지부 (46B-1) 를 형성하고 있다. 그 측방 피지지부 (46B-1) 는,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의 회동 범위 중 어느 위치에 있을 때에도, 측방 지지부 (16) 의 측방 후지지부 (16B) 에 의해 지지된다.
돌출부 (46C) 는, 도 2(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1 쌍의 결합부 (46E) 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 (46C) 의 쌍끼리의 사이, 바꾸어 말하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홈부 (46F) 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축부 (46D)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수용구멍부 (15A)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금구 (50) 의 후술하는 이동 규제부 (51) 와 함께, 그 수용구멍부 (15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회동 축부 (46D) 는, 그 회동 축부 (46D) 의 둘레 방향에서의 상반부에,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대경부 (46D-1) 를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하반부에, 상기 대경부 (46D-1) 보다 소경인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소경부 (46D-2) 를 갖고 있다. 요컨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회동 축부 (46D) 의 단면은, 대경의 반원과 소경의 반원을, 각 반원의 중심을 공통으로 하여 상하 방향에서 맞춘 것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대경부 (46D-1) 와 소경부 (46D-2) 의 경계에는, 양자의 반경의 차분에 상당하는 단부 (46D-3) 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 (46D-1) 는, 도 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둘레면이 금구 (50) 의 후술하는 이동 규제부 (51) 의 만곡부 (51A) 에 대면하고 있고, 회동 축부 (46D)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40) 의 상방, 전방 혹은 후방의 성분을 갖는 방향을 향한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 대경부 (46D-1) 의 둘레면은, 금구 (50) 의 상기 만곡부 (51A)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회동 피안내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결합부 (46E) 는, 도 2(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덮개판부 (42) 의 범위에서 복수 지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12 개 지점) 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합부 (46E)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덮개판부 (42) 의 하부의 전면 (前面) 과 주기부 (46A) 의 상면을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결합부 (46E) 가 쌍을 이루고, 쌍을 이루는 2 개의 결합부 (46E) 끼리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협폭 (狹幅) 구멍부 (47) 가 형성되어 있고, 또, 서로 인접하는 상이한 쌍끼리의 사이에, 협폭 구멍부 (47)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 광폭 (廣幅) 구멍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 개의 결합부 (46E) 는, 도 2(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양측에서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 개의 결합부 (46E)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협폭 구멍부 (47)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2 접촉 아암부 (31)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 결합부 (46E) 의 쌍끼리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광폭 구멍부 (48)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에는,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나타내는 도 8(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홈부 (46F), 광폭 구멍부 (48) 및 본체부 (41) 의 하면을 따른 공간 (41A) 에 의해 전후 방향에서 연속한 하나의 제 1 탄성 변위 허용부 (40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탄성 변위 허용부 (40A) 는, 커넥터 (1) 에 평형 도체 (FA) 가 삽입되었을 때의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상방으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한다.
또, 그 가동 부재 (40) 에는,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나타내는 도 8(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협폭 구멍부 (47) 및 본체부 (41) 의 하면을 따른 공간 (41B) 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연속한 하나의 제 2 탄성 변위 허용부 (40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탄성 변위 허용부 (40B) 는, 커넥터 (1) 에 평형 도체 (FA) 가 삽입되었을 때의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상방으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한다.
금구 (5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하우징 (10) 의 수용구멍부 (15A) 및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6D)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 (10) 의 측벽 (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금구 (50) 는, 압연 금속판제 대조편 (帶條片) 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압연면 (판면) 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룬 자세로 측벽 (15) 에 유지되어 있다.
금구 (50) 는, 도 4(A) 및 도 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대략 Ω 형상을 이루는 이동 규제부 (51) 와, 그 이동 규제부 (51) 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전방 피유지부 (52) 와, 그 이동 규제부 (51) 로부터 후방으로 크랭크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후방 피유지부 (53) 와, 그 후방 피유지부 (53) 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고정부 (54) 를 갖고 있다.
이동 규제부 (51) 는, 도 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0) 의 수용구멍부 (15A) 내에서 전후 방향, 즉 수용구멍부 (15A) 의 대향 내벽면 (15A-1, 15A-2) 끼리의 대향 방향에서,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6D)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우징 (10)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 이동 규제부 (51) 는, 대략 반원상을 이루어 만곡한 만곡부 (51A) 와, 그 만곡부 (51A) 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는 전방 직상부 (直狀部) (51B) 와, 그 만곡부 (51A) 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는 후방 직상부 (51C) 를 갖고 있다.
만곡부 (51A) 는, 그 압연면이 회동 축부 (46D) 의 대경부 (46D-1) 의 둘레면을 따른 형상을 이루어 그 둘레면에 접하고 있다. 그 만곡부 (51A) 는, 회동 축부 (46D)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40) 의 상방, 전방 혹은 후방의 성분을 갖는 방향을 향한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만곡부 (51A) 는, 그 압연면에서 상기 대경부 (46D-1) 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그 회동 축부 (46D) 의 회동을 안내 가능한 회동 안내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규제부 (51) 의 만곡부 (51A) 에, 상기 회동 축부 (46D) 의 회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안내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부 (51A) 는 회동 축부 (46D)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회동 축부 (46D) 에 대하여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만곡부 (51A)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회동 축부 (46D)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전방 피유지부 (52) 는, 도 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 직상부 (51B) 의 전단으로부터 더욱 전방을 향해서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 (10) 에 매설 유지되어 있다. 후방 피유지부 (53) 는, 도 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 직상부 (51C)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하방 나아가서는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하우징 (10) 에 매설 유지되어 있다. 고정부 (54) 는, 후방 피유지부 (53) 로부터 후방으로 곧은 형상을 이루어 연장되고 측벽 (15) 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 고정부 (54) 는, 그 하면이 하우징 (10) 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구 (50) 는, 전방 피유지부 (52) 및 후방 피유지부 (53) 로 하우징 (10) 에 유지됨으로써, 이동 규제부 (51) 의 길이 방향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게 된다. 요컨대, 이동 규제부 (51) 는, 양팔보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이동 규제부 (51) 에서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6D) 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회동 축부 (46D) 의 맞닿음 힘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단자 (20, 30) 및 금구 (50) 를, 이들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도 4(A) 참조), 금형 (후술하는 상측 금형 (M1), 하측 금형 (M2) 및 후방 금형 (M3)) 에 배치하고, 그 금형에 의해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으로부터 배치되는 상측 금형 (M1), 하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하측 금형 (M2) 및 후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후방 금형 (M3) (도 7(B) 참조) 에 의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가 유지된다. 이 때,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금구 (50) 의 위치에서는, 도 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1) 이 이동 규제부 (51) 전체의 상면에 맞닿고, 하측 금형 (M2) 이 이동 규제부 (51) 중 만곡부 (51A) 의 상반부 이외의 부분의 하면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그 이동 규제부 (51)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회동 축부 (46D) 의 대경부 (46D-1) 와 소경부 (46D-2) 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부 (46D-3) 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측 금형 (M2) 의 선단부 (M2A) 가 초래된다. 상기 단부 (46D-3)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서 대경부 (46D-1) 와 소경부 (46D-2) 의 반경의 차분에 상당하는 치수를 갖고 형성되므로, 상기 하측 금형 (M2) 의 선단부 (M2A) 도, 그것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를 갖고 형성된다. 따라서, 하측 금형 (M2) 의 선단부 (M2A) 에 그 두께 치수의 분만큼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그 선단부 (M2A) 의 손상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하우징 (10) 과 가동 부재 (40) 를 동시에 성형하고, 상기 단자 (20, 30) 및 금구 (50) 를 하우징 (10) 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이 일체 몰드 성형의 결과, 도 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금구 (50) 의 위치에서는, 하우징 (10) 의 수용구멍부 (15A) (도 6(A) 참조) 내에서,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이동 규제부 (51) 의 만곡부 (51A) 의 내측 압연면과 하측 금형 (M2)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6D) 가 대경부 (46D-1) 의 외주면에서 만곡부 (51A) 의 내측 압연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도 7(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는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성형된다.
다음으로, 상측 금형 (M1) 을 상방 (Z1 방향) 으로, 하측 금형 (M2) 을 하방 (Z2 방향) 으로 그리고 후방 금형 (M3) 을 후방 (X2 방향) 으로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떼어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는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성형되므로, 성형 직후에, 가동 부재 (40) 는,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걸림부 (45A) 의 안내면 (45A-1) 이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금형 (M1) 을 떼어낼 때, 그 상측 금형 (M1) 을 상기 안내면 (45A-1) 을 따라 상방으로 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단순한 형상의 상측 금형 (M1) 으로 커넥터 (1) 를 제조할 수 있다.
금형 (M1, M2, M3) 을 떼어낸 후, 가동 부재 (40) 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그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6D) 를 금구 (50) 의 만곡부 (51A) 의 내측 압연면으로부터 분리시켜, 그 가동 부재 (40) 를 가동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1) 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한다. 이 때, 만곡부 (51A) 의 내측 압연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회동 축부 (46D) 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조작은, 금형 (M1, M2, M3) 을 떼어낸 후의 어느 단계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 (1) 의 출하 전에 제조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커넥터 출하 후, 커넥터 사용 개시 시에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단자 (20, 30) 및 금구 (50) 를 하우징 (10) 및 가동 부재 (40) 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 (40) 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조금도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정이 적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A) 의 접속 동작을 도 8 내지 도 1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평형 도체 (FA) 의 삽입 직전, 도 9 는 평형 도체 (FA) 를 삽입이 완료한 상태, 도 10 은 평형 도체 (FA) 의 발출 직전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XZ 평면) 에서의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며, 각 도면에 있어서, (A) 는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5A)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2)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속부 (34) 를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금구 (50) 의 고정부 (54)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한다. 그 제 1 접속부 (22), 그 제 2 접속부 (34) 및 그 고정부 (54) 의 땜납 접속에 의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8(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를 닫힘 위치에 가져온 상태의 커넥터 (1) 의 후방에, 평형 도체 (FA) 를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실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다 (도 1 도 참조). 다음으로, 평형 도체 (FA) 를 전방을 향해서 커넥터 (1) 의 받이부 (17A) 에 삽입한다.
받이부 (17A) 에 대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FA) 의 전단은, 먼저, 도 9(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제 1 접촉부 (21A) 에 맞닿아 그 맞닿음 힘의 상방향 분력으로 그 제 1 접촉부 (21A) 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킨다. 이 때, 탄성 변위한 제 1 접촉 아암부 (21) 는, 도 9(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제 1 탄성 변위 허용부 (40A) 내에 수용된다. 또한 평형 도체 (FA) 가 삽입되면, 그 평형 도체 (FA) 의 전단은, 도 9(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에 맞닿아 그 제 2 접촉부 (31A) 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켜,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피유지 아암부 (32) 의 사이를 눌러 넓히도록 하여 전진한다. 이 때, 탄성 변위한 제 2 접촉 아암부 (31) 는, 도 9(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제 2 탄성 변위 허용부 (40B) 내에 수용된다.
도 9(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A) 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도,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는 탄성 변위한 상태이다. 이 결과, 제 1 접촉부 (21A) 및 제 2 접촉부 (31A) 가 평형 도체 (FA) 의 제 1 접속 회로부 (FA1-1) 및 제 2 접속 회로부 (FA1-2) (도 1 참조) 에 각각 접압을 갖고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받이부 (17A) 에 대한 평형 도체 (FA)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FA) 의 폭 방향에서 양측단 쪽에 위치하는 귀부 (FA3) 가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5) 에 형성된 걸림부 (45A) 의 안내면 (45A-1) 에 맞닿고 그리고 슬라이딩 접촉하고, 평형 도체 (FA) 가 상하 방향에서의 정규 삽입 위치로 안내된다. 또, 귀부 (FA3) 가 안내면 (45A-1) 과의 맞닿음 힘의 상하 방향 분력으로 걸림 아암부 (45) 를 상방을 향해서 탄성 변위시켜 평형 도체 (FA) 의 삽입을 허용하는 위치로 가져온다. 또한 평형 도체 (FA) 가 삽입되어, 귀부 (FA3) 가 걸림부 (45A) 의 위치를 통과하면, 걸림 아암부 (45) 는 탄성 변위량을 줄이도록 하방을 향해 변위하여 자유 상태로 되돌아가, 평형 도체 (FA) 의 절결부 (FA2) 내에 돌입한다. 이 결과, 도 9(C) 에 보이는 평형 도체 (FA) 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평형 도체 (FA) 의 피걸림부 (FA3-1) 가 걸림부 (45A) 의 걸림면 (45A-2) 의 전방에서 그 걸림면 (45A-2) 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평형 도체 (FA)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저지된다. 또한, 걸림 아암부 (45) 가 완전히 자유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걸림 아암부 (45) 가 약간의 탄성 변위량을 남긴 상태에서, 걸림부 (45A) 가 평형 도체 (FA) 의 절결부 (FA2) 내에 돌입하여 피걸림부 (FA3-1) 와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 ∼ (C) 에 나타내는 상태, 즉 커넥터 (1) 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형 도체 (FA) 를 커넥터 (1) 로부터 의도하여 발출할 때에는,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회동시켜, 도 10(A) ∼ (C)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로 가져온다. 도 10(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5) 의 걸림부 (45A) 는 평형 도체 (FA) 의 절결부 (FA2) 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위치한다. 요컨대, 평형 도체 (FA) 의 피걸림부 (FA3-1) 에 대한 걸림부 (45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FA)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평형 도체 (FA) 를 후방으로 당기면, 그 평형 도체 (FA) 를 용이하게 커넥터 (1) 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후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평형 도체가 삽입 발출되는 커넥터이고, 그 평형 도체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유지되는 단자 및 금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있는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공통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예를 들어, 단자를 1 종 밖에 갖고 있지 않는 점, 금구를 3 종 갖고 있는 점 등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상이하다.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하 「커넥터 (101)」 라고 한다) 를 평형 도체 (FB)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 (FB) 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 (FB) 는, 제 1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 (FB) 와 마찬가지로, 전단측 부분에 양측 가장자리에 절결부 (FB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 (FB2) 의 전방에 위치하는 귀부 (FB3) 의 후단 가장자리는, 커넥터 (101) 의 후술하는 걸림부와 걸리는 피걸림부 (FB3-1) 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 (FB) 에서는, 접속 회로부 (도시하지 않음) 가 그 평형 도체 (FB) 의 전단측 부분의 하면에서 드러나 있고, 이 점에서, 평형 도체 (FB) 의 상면에 접속 회로부 (FB1) 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커넥터 (101) 는, 전기 절연재제 하우징 (110) 및 가동 부재 (140) 와, 그 하우징 (1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 부재로서의 단자 (120), 제 1 금구 (150), 제 2 금구 (160), 제 3 금구 (170) 를 갖고 있다 (도 14(A), (B) 도 참조).
하우징 (110) 은, 도 13(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우징 (10) 과 마찬가지로, 전방 프레임부 (110A), 후방 프레임부 (110B), 측방 프레임부 (110C) 를 갖고 있다. 그 측방 프레임부 (110C) 에는, 가동 부재 (140) 의 후술하는 단판부 (端板部) (144) 및 제 2 축부 (145B) 를 수용하는 수용구멍부 (115A) 가, 그 측방 프레임부 (110C) 의 측벽 (115) 에 있어서의 후단쪽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110) 은, 도 1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B) 의 전단측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받이부 (117A) 가, 후방 프레임부 (110B) 보다 상방 또한 가동 부재 (140) 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6(A)).
또, 상기 받이부 (117A) 보다 상방에서 가동 부재 (140)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117B) 를 갖고 있다 (도 16(A), 도 20(A) 참조). 그 수용 오목부 (117B) 는, 도 1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부 (110A) 보다 상방에 형성된 상측 오목부 (117B-1) 와, 그 상측 오목부 (117B-1) 보다 하방 또한 전방 프레임부 (110A) 보다 후방에 형성된 하측 오목부 (117B-2) 를 갖고 있다. 하측 오목부 (117B-2) 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후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어, 상하 방향에서 받이부 (117A) 및 상측 오목부 (117B-1) 에 연통하고 있음과 함께, 가동 부재 (140) 의 회동 기부 (145) 의 대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또, 그 하측 오목부 (117B-2) 는, 도 16(A) 및 도 20(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120) 의 후술하는 상완부 (上腕部) (151)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가동 부재 (140) 의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 (145A) 와 단자 (120) 의 상완부 (151) 의 제 1 금구측 규제부로서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는, 1 종의 단자 (120) 만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점에서, 2 종의 단자 (20, 30) 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와 상이하다. 단자 (120) 는, 도 1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10) 의 받이부 (117A) 의 범위에 걸쳐 그 하우징 (110) 에 배열 유지되어 있다. 그 단자 (120) 는, 도 13(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후반부 (X2 측의 부분) 에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접촉 아암부 (121) 와, 그 접촉 아암부 (121) 보다 하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122) 와, 접촉 아암부 (121) 의 후단과 접속부 (122) 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123) (도 14(A) 참조) 를 갖고,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120) 의 접촉 아암부 (121) 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전단쪽의 위치에서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굴곡 형성된 접촉부 (121A) 를 갖고 있다. 평형 도체 (FB) 가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하방을 향한 접촉 아암부 (121) 의 탄성 변위하에서, 그 접촉부 (121A) 가 평형 도체 (FB) 의 접속 회로부 (도시하지 않음)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9(A) 참조). 접속부 (122) 는, 도 1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의 후방 프레임부 (110B)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 (123) 는, 하우징 (110) 의 후방 프레임부 (110B)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가동 부재 (140) 는, 그 가동 부재 (140) 를 닫힘 위치의 자세로 나타내는 도 1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X 축 방향) 과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으로 넓어지는 대략 판상을 이루는 본체부 (141) 와, 그 본체부 (141) 보다 후방 (X2 측) 또한 하방 (Z2 측) 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회동 기부 (145) 를 갖고 있다.
본체부 (141) 는, 도 1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닫힘 위치에서 단자 (120) 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판부 (142) 와, 도 13(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덮개판부 (142) 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 (도 11 에서는 전후 방향) 으로 연장되는 단벽부 (端壁部) (143) 와, 그 단벽부 (143)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하우징 (110) 의 수용구멍부 (115A) 에 수용되는 단판부 (144) 를 갖고 있다.
단벽부 (143) 는, 도 13(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기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덮개판부 (142) 보다 전방 (도 11 에서의 하방) 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 방향 (도 11 에서의 전후 방향) 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벽부 (143) 의 하단부에는,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걸림부 (143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걸림부 (143A) 의 상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진 걸림면 (143A-1) 을 이루고 있고 (도 19(B) 도 참조), 가동 부재 (1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즉, 걸림면 (143A-1) 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그 걸림면 (143A-1) 에서 평형 도체 (FB) 의 피걸림부 (FB3-1) 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B) 참조).
단판부 (144) 는, 도 13(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상방 또한 전방을 향해서 볼록 만곡하는 대략 부채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8(A), (B) 도 참조). 그 단판부 (144) 는, 도 11 및 도 1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의 수용구멍부 (115A) 에 수용되어 있고, 그 단판부 (144) 의 볼록 만곡면 (144A) 은,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를 회동할 때에, 그 수용구멍부 (115A) 의 전방 내벽면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수용구멍부 (115A) 의 내벽면 중 전방에 위치하는 내벽면) 에 대하여 슬라이딩 접촉하여 회동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동 기부 (145) 는, 도 1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로 연장되는 회동 축부로서의 제 1 축부 (145A) 와, 단판부 (144) 로부터의 양단면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각주상 (角柱狀) 의 회동 축부로서의 제 2 축부 (145B) 와, 제 1 축부 (145A) 를 본체부 (141) 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 (145C) 를 갖고 있다.
제 1 축부 (145A) 는, 도 16(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제 1 축부 (145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로 연장되어 있어, 단벽부 (143) 의 내측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에 위치하는 측면) 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도 13(B) 참조). 그 제 1 축부 (145A) 는, 가동 부재 (140) 가 그 회동 방향에서 어느 각도 위치에 있을 때에도,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1 금구 (150)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부분이, 그 제 1 금구 (150) 의 제 1 금구측 규제부로서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17 내지 도 20 참조).
제 2 축부 (145B) 는, 도 13(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제 2 축부 (145B) 는, 이미 서술한 단판부 (144) 와 함께 하우징 (110) 의 수용구멍부 (115A) 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축부 (145B) 는, 가동 부재 (140) 가 그 회동 방향에서 어느 각도 위치에 있을 때에도, 후술하는 제 2 금구 (160) 의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17(A), (B) 참조).
결합부 (145C) 는,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제 1 금구 (150) 의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도 1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 (141) 의 후면과 제 1 축부 (145A) 의 상면을 결합하는 협폭 결합부 (145C-1) 와, 도 1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협폭 결합부 (145C-1) 의 전단과 제 1 축부 (145A) 의 상면을 결합하는 광폭 결합부 (145C-2) 를 갖고 있다. 도 15(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광폭 결합부 (145C-2) 는 협폭 결합부 (145C-1)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고, 협폭 결합부 (145C-1) 와 광폭 결합부 (145C-2) 의 경계 위치는 단 (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결합부 (145C) 의 사이에는, 제 1 금구 (150) 의 후술하는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 허용부 (146) 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진입 허용부 (146) 는, 도 1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협폭 결합부 (145C-1)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후단 수용부 (146A) 와, 광폭 결합부 (145C-2)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 수용부 (146A) 보다 폭이 좁고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삽입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 통과 허용부 (146B) 를 갖고 있다 (도 18(A) 도 참조). 또, 도 18(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단 수용부 (146A) 는, 전반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후반부가 하방으로 개방된 홈 형상을 이루고, 또, 삽입 통과 허용부 (146B) 는 상방으로 개방된 홈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금구 (150) 는, 도 14(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형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제 1 금구 (150)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151) 와, 그 상완부 (151)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 (152) 와, 상완부 (151) 의 전단과 제 1 고정부 (15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153) 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6(A) 도 참조).
상완부 (151) 는, 도 15(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의 전방 프레임부 (1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매설 유지되는 제 1 광폭 아암부 (151A) (도 18(A) 도 참조) 와, 그 제 1 광폭 아암부 (151A)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금구측 규제부로서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를 갖고 있다. 그 제 1 광폭 아암부 (151A) 는 그 후단부가 전방 프레임부 (110A) 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그 제 1 광폭 아암부 (151A) 의 후단부 및 상기 제 1 협폭 아암부 (151B) 가, 하우징 (110) 의 수용 오목부 (117B) 의 하측 오목부 (117B-2) 에 수용되어 있다 (도 16(A) 도 참조). 그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도 15(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광폭 아암부 (151A)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 폭이 좁게 되어 있고, 후단부 (자유단부) 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양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 (151B-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도 16(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는 가동 부재 (140) 의 제 1 축부 (145A)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부분의 압연면이 노출되어 있다.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가동 부재 (140) 가 그 회동 방향에서의 어느 각도 위치에 있어도 그 가동 부재 (140) 의 제 1 축부 (145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제 1 축부 (145A) 에 접한 상태에서 그 제 1 축부 (145A)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140)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어, 하우징 (1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140) 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도 16(A), 도 20(A)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16(A) 참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20(A) 참조),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하면이 제 1 축부 (145A) 의 상면에 접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제 1 축부 (145A)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제 1 축부 (145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1 축부 (145A)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가동 부재 (140) 의 진입 허용부 (146) 에 전방으로부터 진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는, 진입 허용부 (146) 의 삽입 통과 허용부 (146B) 를 삽입 통과하고, 그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후단부가 삽입 통과 허용부 (146B) 밖에 도달하여 후단 수용부 (146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부 (151B-1) 는, 후단 수용부 (146A) 내에서, 가동 부재 (140) 의 회동 기부 (145) 에 형성된 광폭 결합부 (145C-2) 의 후면에 대향하여 그 후면과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고, 이 결과, 하우징 (1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140) 의 후방으로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제 1 금구 (150) 의 제 1 고정부 (152) 의 후단측 부분 및 제 1 연결부 (153) 는, 도 16(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의 전방 프레임부 (1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도 18(A) 도 참조). 제 1 금구 (150) 의 그 제 1 고정부 (152) 는, 그 전단측 부분이 하우징 (110) 의 전방 프레임부 (110A)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도 12(B), 도 13(B) 및 도 18(A)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금구 (16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10) 의 수용구멍부 (115A) 및 가동 부재 (140) 의 제 2 축부 (145B) 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금구 (160) 는, 도 1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금구 (150) 를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금구 (160) 는, 굴곡 가공되는 각도가 직각보다 작고, 후술하는 제 2 연결부 (163) 가 경사져 있는 점에서만 제 1 금구 (150) 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그 제 1 금구 (150) 와 동일하다. 그 제 2 금구 (160) 에 대해서는, 제 1 금구 (150) 와 대응하는 부분에, 그 제 1 금구 (150) 에 있어서의 부호에 「10」 을 더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금구 (160)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하완부 (下腕部) (161) 와, 그 하완부 (161)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 (162) 와, 하완부 (161) 의 전단과 제 2 고정부 (16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163) 를 갖고 있다. 그 제 2 금구 (160) 는,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상기 금속판 부재를 굴곡시키는 각도가 직각보다 작기 때문에, 도 17(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 (163) 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 2 금구 (160) 가 하우징 (110) 에 유지된 자세, 즉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으로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자세로, 제 2 금구 (160) 의 하완부 (161) 는 제 1 금구 (150) 의 상완부 (151)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하완부 (161) 는, 도 1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금구 (150) 의 제 1 광폭 아암부 (151A) 및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와 동일 형상의 제 2 광폭 아암부 (161A) 및 제 2 협폭 아암부 (161B) 를 갖고 있다. 그 하완부 (161) 는, 도 17(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서 하우징 (110) 의 수용구멍부 (115A) 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 2 광폭 아암부 (161A) 의 전단측 부분 및 제 2 협폭 아암부 (161B) 의 후단측 부분이 하우징 (110) 의 측벽 (1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하완부 (161) 는, 가동 부재 (140) 의 제 2 축부 (145B)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부분의 압연면이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협폭 아암부 (161B) 의 후단에는 돌기부 (161B-1)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돌기부 (161B-1) 가 일체 몰드 성형으로 측벽 (115) 에 매설됨으로써 하완부 (161) 가 강고하게 유지된다.
하완부 (161) 는, 도 17(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수용구멍부 (115A) 내에 위치하는 중간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부분은, 가동 부재 (140) 의 제 2 축부 (145B) 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를 이루고 있다. 그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는, 가동 부재 (140) 가 어느 각도 위치에 있어도 그 가동 부재 (140) 의 제 2 축부 (145B) 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 제 2 축부 (145B)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140)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어, 하우징 (1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140) 의 하방으로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17(A) 참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상면이 제 2 축부 (145B) 의 하면에 접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는 제 2 축부 (145B)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제 2 축부 (145B)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2 축부 (145B)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금구 (160) 의 하완부 (161)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광폭 아암부 (161A) 의 전단측 부분 및 제 2 협폭 아암부 (161B) 의 후단측 부분에서 하우징 (110) 에 유지됨으로써,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길이 방향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그 하우징 (110) 에 유지되게 된다. 요컨대,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는, 양팔보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에서 가동 부재 (40) 의 제 2 축부 (145B) 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제 2 축부 (145B) 의 맞닿음 힘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할 수 있다.
도 17(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금구 (160) 의 제 2 고정부 (162) 의 후단측 부분 및 제 2 연결부 (163) 는, 하우징 (110) 의 측벽 (1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그 제 2 고정부 (162) 는, 그 전단측 부분이 측벽 (115)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도 12(B) 및 도 13(B)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 3 금구 (17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10) 의 측벽 (115)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 금구 (160) 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측벽 (115) 에서 3 개의 그 제 3 금구 (170)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1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형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제 3 금구 (170) 는, 이미 서술한 단자 (120) 의 접촉 아암부 (121) 의 대부분 (접촉 아암부 (121) 의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 을 생략한 것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제 3 금구 (170) 는, 타부보다 폭넓게 형성된 전단부 (171) 와, 그 전단부 (171) 보다 하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 (172) 와, 전단부 (171) 의 후단과 제 3 고정부 (172) 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 (173) 를 갖고 있다. 전단부 (171) 및 제 3 연결부 (173) 는, 하우징 (110) 의 측벽 (1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제 3 고정부 (172) 는, 하우징 (110) 의 측벽 (115) 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커넥터 (10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단자 (120), 제 1 금구 (150), 제 2 금구 (160) 및 제 3 금구 (170) 를, 이들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도 14(A) 참조), 금형 (후술하는 상측 금형 (M4), 하측 금형 (M5) 및 후방 금형 (M6)) 에 배치하고, 그 금형에 의해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으로부터 배치되는 상측 금형 (M4), 하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하측 금형 (M5) 및 후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후방 금형 (M6) 에 의해, 단자 (120) 의 접속부 (122), 제 1 금구 (150) 의 상완부 (151), 제 2 금구 (160) 의 하완부 (161), 제 3 금구 (170) 의 제 3 고정부 (172) 가 협지 (挾持) 된다.
이 때, 도 1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4) 이 제 1 금구 (150) 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상면의 전역에 맞닿고, 하측 금형 (M5) 및 후방 금형 (M6) 이 제 1 금구 (150) 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하면의 전단측 영역 및 후단측 영역에 각각 맞닿는다. 이와 같이, 그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이 결과, 도 1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축부 (145A)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제 1 협폭 아암부 (151B), 하측 금형 (M5) 및 후방 금형 (M6)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 도 17(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4) 이 제 2 금구 (160) 의 하완부 (161) 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단쪽 영역 및 후단쪽 영역에 맞닿고, 제 2 축부 (145B)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하완부 (161), 상측 금형 (M4) 및 하측 금형 (M5)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 도 17(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측 금형 (M5) 이 제 2 금구 (160) 의 하완부 (161) 의 하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영역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완부 (161)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다음으로,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하우징 (110) 과 가동 부재 (140) 를 동시에 성형하고, 단자 (120), 제 1 금구 (150), 제 2 금구 (160) 및 제 3 금구 (170) 를 하우징 (110) 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이 일체 몰드 성형의 결과, 도 1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금구 (150) 의 위치에서는, 상완부 (151) 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하면 (압연면), 하측 금형 (M5) 및 후방 금형 (M6)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140) 의 제 1 축부 (145A) 가 그 상면에서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하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도 16(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는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성형된다. 또, 도 17(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2 금구 (160) 의 위치에서는, 하우징 (110) 의 수용구멍부 (115A) (도 17(A) 참조) 내에서, 제 2 금구 (160) 의 하완부 (161) 의 일부를 이루는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상면 (압연면) 과 상측 금형 (M4)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140) 의 제 2 축부 (145B) 가 그 하면에서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측 금형 (M4) 을 상방 (Z1 방향) 으로, 하측 금형 (M5) 을 하방 (Z2 방향) 으로, 그리고 후방 금형 (M6) 을 후방 (X2 방향) 으로,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떼어낸다. 금형 (M4, M5, M6) 을 떼어낸 후, 가동 부재 (140) 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그 가동 부재 (140) 의 제 1 축부 (145A) 를 제 1 금구 (150) 의 제 1 금구측 규제부로서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하면으로부터 분리함과 함께, 그 가동 부재 (140) 의 제 2 축부 (145B) 를 제 2 금구 (160) 의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켜, 그 가동 부재 (140) 를 가동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101) 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한다. 이 때,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하면 및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상면은 압연면이고 매끄럽기 때문에, 제 1 축부 (145A) 및 제 2 축부 (145B) 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 가동 부재 (140) 의 회동 조작은, 금형 (M4, M5, M6) 을 떼어낸 후의 어느 단계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 (101) 의 출하 전에 제조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커넥터 출하 후, 커넥터 사용 개시 시에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01) 는, 단자 (120) 및 금구 (150, 160, 170) 를 하우징 (110) 및 가동 부재 (140) 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 (140) 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조금도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정이 적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101) 와 평형 도체 (FB) 의 접속 동작을 도 18 내지 도 2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8 은 평형 도체 (FB) 의 삽입 직전, 도 19 는 평형 도체 (FB) 를 삽입이 완료한 상태, 도 20 은 평형 도체 (FB) 의 발출 직전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며, 각 도에 있어서, (A) 는 제 1 금구 (150) 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 (140) 의 걸림부 (143A)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B) 의 상면은 제 1 축부 (145A) 의 하부에 압압 (押壓) 되어 있고, 이 결과, 단자 (120) 의 접촉 아암부 (121) 의 탄성 변형 상태하에서, 평형 도체 (FB) 의 회로부와 단자 (120) 의 접촉부 (121A) 의 접압이 높아져 있다.
먼저, 커넥터 (101) 의 단자 (120) 의 접속부 (122) 를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제 1 금구 (150) 의 제 1 고정부 (152), 제 2 금구 (160) 의 제 2 고정부 (162), 제 3 금구 (170) 의 제 3 고정부 (172)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한다. 각 고정부 (152, 162, 172) 의 땜납 접속에 의해, 하우징 (110) 이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8(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를 열림 위치에 가져온 상태의 커넥터 (101) 의 후방에, 평형 도체 (FB) 를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실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다 (도 11 도 참조). 다음으로, 평형 도체 (FB) 를 전방을 향해서 커넥터 (101) 의 받이부 (117A) 에 삽입한다.
받이부 (117A) 에 대한 평형 도체 (FB)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FB) 의 전단은, 먼저, 도 19(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120) 의 접촉 아암부 (121) 의 접촉부 (121A) 에 맞닿아 그 맞닿음 힘의 하방향 분력으로 그 접촉부 (121A) 를 압하한다. 이 때, 접촉 아암부 (121) 는, 도 19(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서 탄성 변위한다.
평형 도체 (FB) 의 삽입은, 평형 도체 (FB) 의 전단이 하우징 (110) 의 전방 프레임부 (110A) 의 후면에 맞닿을 때까지 실시된다 (도 19(A), (B) 참조). 도 19(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B) 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도, 단자 (120) 의 접촉 아암부 (121) 는 탄성 변위한 채이고, 이 결과, 그 접촉 아암부 (121) 의 접촉부 (121A) 는, 평형 도체 (FB) 의 하면에 드러난 접속 회로부에 접압을 갖고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140) 를 회동시켜, 도 20(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닫힘 위치로 가져와, 도 20(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의 걸림부 (143A) 를 평형 도체 (FB) 의 절결부 (FB2) 내에 돌입시킨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B) 의 피걸림부 (FB3-1) 가 걸림부 (143A) 의 걸림면 (143A-1) 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걸림면 (143A-1) 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므로, 평형 도체 (FB)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부재 (140) 를 닫힘 위치로 가져옴으로써, 커넥터 (101) 와 평형 도체 (FB) 의 접속 동작이 완료한다.
도 20(A), (B) 에 나타내는 상태, 즉 커넥터 (1) 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형 도체 (FB) 를 커넥터 (101) 로부터 의도하여 발출할 때에는,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140) 를 회동시켜, 도 19(A), (B)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로 가져온다. 도 19(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1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가동 부재 (140) 의 걸림부 (143A) 는 평형 도체 (FB) 의 절결부 (FB2) 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위치한다. 요컨대, 평형 도체 (FB) 의 피걸림부 (FB3-1) 에 대한 걸림부 (143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FB)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평형 도체 (FB) 를 후방으로 당기면, 그 평형 도체 (FB) 를 용이하게 커넥터 (101) 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140) 에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 (145A) 및 제 2 축부 (145B) 를 형성하고, 제 1 금구 (150) 에 제 1 금구측 규제부로서의 제 1 협폭 아암부 (151B) 를 형성하고, 제 2 금구 (160) 에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 1 축부 (145A) 와 제 1 협폭 아암부 (151B) 의 조합 (「제 1 조합」 이라고 한다), 그리고 제 2 축부 (145B) 와 제 2 금구측 규제부 (161C) 의 조합의 양방의 조합 (「제 2 조합」 이라고 한다) 을 형성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예를 들어, 제 1 조합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후 방향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평형 도체가 삽입 발출되는 커넥터이고, 그 평형 도체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유지되는 단자 및 금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갖고 있는 점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공통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예를 들어, 단자에 의해 가동 부재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는 점, 금구를 1 종 밖에 갖지 않는 점 등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상이하다.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하 「커넥터 (201)」 라고 한다) 를 평형 도체 (FC)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 (FC) 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 (FC) 는, 제 2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 (FB) 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평형 도체 (FB) 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그 평형 도체 (FB) 에서의 부호의 「B」 를 「C」 로 치환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커넥터 (201) 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210) 및 가동 부재 (240) 와, 그 하우징 (2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 부재로서의 단자 (220) 및 금구 (260) 를 갖고 있다 (도 22(A), (B) 도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210) 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의 하우징 (110) 과 대응하는 부분에, 그 하우징 (110) 에 있어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하우징 (210) 은, 도 2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우징 (110) 과 마찬가지로, 전방 프레임부 (210A) (도 23(A) 참조), 후방 프레임부 (210B), 측방 프레임부 (210C) 를 갖고 있다. 그 측방 프레임부 (210C) 에는, 가동 부재 (240) 의 후술하는 단판부 (244) 및 제 2 축부 (245B) 를 수용하는 수용구멍부 (215A) 가, 그 측방 프레임부 (210C) 의 측벽 (215) 에 있어서의 후단쪽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210) 은, 평형 도체 (FC) 의 전단측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받이부 (217A) 가, 후방 프레임부 (210B) 보다 상방 또한 가동 부재 (240) 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받이부 (217A) 보다 상방에서 가동 부재 (240)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217B) 를 갖고 있다 (도 23(A) 참조). 그 수용 오목부 (217B) 는, 도 23(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후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어, 상하 방향에서 받이부 (217A) 에 연통하고 있음과 함께, 가동 부재 (240) 의 회동 기부 (245) 의 대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또, 그 수용 오목부 (217B) 는, 도 23(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220) 의 후술하는 상완부 (223)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가동 부재 (240) 의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 (245A) 와 단자 (220) 의 상완부 (223) 의 단자측 규제부로서의 협폭 아암부 (223B) 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이루고 있다.
도 2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부 (210B) 는, 단자 (220) 를 유지하고 있지 않고, 제 2 실시형태의 하우징 (110) 의 후방 프레임부 (110B) 에 비해 전후 방향에서 크게 되어 있다. 또, 측방 프레임부 (210C) 의 측벽 (215) 에는, 금구 (260) 의 고정부 (262) 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오목부 (215B) 가, 측벽 (215) 의 후단쪽 위치에서 그 측벽 (215) 의 하면을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에는, 1 종의 단자 (220) 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220) 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210) 의 받이부 (217A) 의 범위에 걸쳐 그 하우징 (210) 에 배열 유지되어 있다 (도 22(A) 참조).
단자 (220) 는, 도 22(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부 (210A) (도 23(A) 참조) 에 유지되는 기부 (221) 와, 그 기부 (221) 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Y2 측의 부분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 (222) 와, 그 접촉 아암부 (222) 보다 상방에 위치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접촉 아암부 (222) 에 대하여 Y1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완부 (223)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완부 (223) 의 전단을 기부 (221)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Y1 측의 부분의 후단에 연결하는 연결부 (224) 와, 기부 (221) 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속부 (225) 를 갖고 있다.
접촉 아암부 (222) 는, 도 23(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0) 의 바닥구멍부 (217C) 내를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촉 아암부 (222) 는, 후단쪽의 위치에서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굴곡 형성된 접촉부 (222A) 를 갖고 있고, 그 접촉부 (222A) 는, 받이부 (217A) 내에 위치하고 있고, 평형 도체 (FB) 의 하면에 형성된 접속 회로부와 접압을 갖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완부 (223) 는, 하우징 (210) 의 수용 오목부 (217B) 내에서 접촉 아암부 (222) 의 후단과 거의 동일 위치까지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그 상완부 (223) 는, 도 22(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대략 전반부가 광폭 아암부 (223A) 를 이루고, 대략 후반부가 그 광폭 아암부 (223A)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가 작은 단자측 규제부로서의 협폭 아암부 (223B) 를 이루고 있다. 그 상완부 (223) 는, 가동 부재 (240) 의 제 1 축부 (245A)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부분의 압연면이 노출되어 있다. 그 협폭 아암부 (223B) 는, 가동 부재 (240) 의 진입 허용부 (246) 에 전방으로부터 진입하고 있고, 그 가동 부재 (240) 의 회동 축부로서의 제 1 축부 (245A)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협폭 아암부 (223B) 는, 가동 부재 (240) 가 그 회동 방향에서의 어느 각도 위치에 있어도 제 1 축부 (245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제 1 축부 (245A) 에 접한 상태에서 그 제 1 축부 (245A)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24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어, 하우징 (2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240) 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도 23(A)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2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23(A) 참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협폭 아암부 (223B) 의 하면이 제 1 축부 (245A) 의 상면에 접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협폭 아암부 (223B) 는 제 1 축부 (245A)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제 1 축부 (245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협폭 아암부 (223B)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1 축부 (245A)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된다.
연결부 (224) 는, 도 23(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0) 의 전방 프레임부 (210A) 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기부 (221) 와 함께 전방 프레임부 (210A) 에 의해 매설 유지되어 있다. 접속부 (225) 는, 전방 프레임부 (210A) 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부재 (240) 는, 제 2 실시형태의 가동 부재 (140) 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도 21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220) 의 협폭 아암부 (223B) 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 허용부 (246) 가 제 2 실시형태의 가동 부재 (140) 의 진입 허용부 (146) 보다 폭이 좁아져 있는 점에서, 그 가동 부재 (140) 와 상이하다. 그 가동 부재 (240) 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의 가동 부재 (140) 와 대응하는 부분에, 그 가동 부재 (140) 에 있어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금구 (26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210) 의 수용구멍부 (215A) 및 가동 부재 (240) 의 회동 축부로서의 제 2 축부 (245B) 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금구 (260) 는, 도 2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금구 (260)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하완부 (261) 와, 그 하완부 (261) 보다 하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262) 와, 하완부 (261) 의 후단과 고정부 (262) 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263) 를 갖고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연결부 (263) 는 단자 (220) 의 연결부 (224) 보다 상하 방향으로 짧게 되어 있고, 그 결과, 금구 (260) 의 하완부 (261) 는 단자 (220) 의 상완부 (223)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하완부 (261) 는, 도 22(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후단측 부분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 (폭 치수) 가 연결부 (224) 의 폭 치수와 동일하고, 하완부 (261) 의 타부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완부 (261) 는, 도 24(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0) 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서 하우징 (210) 의 수용구멍부 (215A) 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그 하완부 (261) 의 전단측 부분 및 후단측 부분이 하우징 (210) 의 측벽 (2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하완부 (261) 는, 가동 부재 (240) 의 제 2 축부 (245B)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부분의 압연면이 노출되어 있다.
하완부 (261) 는, 도 2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수용구멍부 (215A) 내에 위치하는 중간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부분은, 가동 부재 (240) 의 제 2 축부 (245B) 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금구측 규제부 (261C) 를 이루고 있다. 그 금구측 규제부 (261C) 는, 가동 부재 (240) 가 어느 각도 위치에 있어도 그 가동 부재 (240) 의 제 2 축부 (245B) 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 제 2 축부 (245B)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240)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어, 하우징 (2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240) 의 하방으로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2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24(A) 참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상면이 제 2 축부 (245B) 의 하면에 접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구측 규제부 (261C) 는 제 2 축부 (245B)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제 2 축부 (245B)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금구측 규제부 (261C)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2 축부 (245B)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구 (260) 의 하완부 (261) 는, 그 전단측 부분 및 후단측 부분에서 하우징 (210) 에 유지됨으로써,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길이 방향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그 하우징 (210) 에 유지되게 된다. 요컨대, 금구측 규제부 (261C) 는, 양팔보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금구측 규제부 (261C) 에서 가동 부재 (240) 의 제 2 축부 (245B) 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제 2 축부 (245B) 의 맞닿음 힘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할 수 있다.
연결부 (263) 는, 도 2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10) 의 측벽 (2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고정부 (262) 는, 도 2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반부에 형성된 광폭 고정부 (262A) 와, 후반부에 형성되고 그 광폭 고정부 (262A) 보다 폭이 좁은 협폭 고정부 (262B) 를 갖고 있다. 도 24(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광폭 고정부 (262A) 는, 측벽 (215) 의 바닥오목부 (215B) 내에 위치하고, 협폭 고정부 (262B) 가 측벽 (215) 밖을 향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고정부 (262) 는,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커넥터 (20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단자 (220), 금구 (260) 를, 이들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도 22(A) 참조), 금형 (후술하는 상측 금형 (M7), 하측 금형 (M8) 및 후방 금형 (M9)) 에 배치하고, 그 금형에 의해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으로부터 배치되는 상측 금형 (M7), 하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하측 금형 (M8) 및 후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후방 금형 (M9) 에 의해, 단자 (220) 의 상완부 (223), 금구 (260) 의 하완부 (261) 가 협지된다.
이 때, 도 2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7) 이 단자 (220) 의 상완부 (223) 의 상면의 전역에 맞닿고, 하측 금형 (M8) 및 후방 금형 (M9) 이 단자 (220) 의 상완부 (223) 의 하면 대략 전반 영역 및 후단측 영역에 각각 맞닿는다. 이와 같이, 그 상완부 (223)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이 결과, 도 2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축부 (245A)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상완부 (223), 하측 금형 (M8) 및 후방 금형 (M9)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 도 24(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7) 이 금구 (260) 의 하완부 (261) 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단쪽 영역 및 후단쪽 영역에 맞닿고, 제 2 축부 (245B)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하완부 (261), 상측 금형 (M7)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 도 24(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측 금형 (M8) 이 금구 (260) 의 하완부 (261) 의 하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영역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그 하완부 (261)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다음으로,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하우징 (210) 과 가동 부재 (240) 를 동시에 성형하고, 단자 (220) 및 금구 (260) 를 하우징 (210) 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이 일체 몰드 성형의 결과, 도 2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220) 의 상완부 (223) 의 위치에서는, 협폭 아암부 (223B) 의 하면 (압연면), 하측 금형 (M8) 및 후방 금형 (M9)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240) 의 제 1 축부 (245A) 가 그 상면에서 상완부 (223) 의 협폭 아암부 (223B) 의 하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도 23(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240) 는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성형된다. 또, 도 24(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금구 (260) 의 위치에서는, 하우징 (210) 의 수용구멍부 (215A) 내에서, 금구 (260) 의 하완부 (261) 의 일부를 이루는 금구측 규제부 (261C) 가 형성됨과 함께, 그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상면 (압연면) 과 상측 금형 (M7)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240) 의 제 2 축부 (245B) 가 그 하면에서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측 금형 (M7) 을 상방 (Z1 방향) 으로, 하측 금형 (M8) 을 하방 (Z2 방향) 으로, 그리고 후방 금형 (M9) 을 후방 (X2 방향) 으로,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떼어낸다. 금형 (M7, M8, M9) 을 떼어낸 후, 가동 부재 (240) 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그 가동 부재 (240) 의 제 1 축부 (245A) 를 단자 (220) 의 단자측 규제부로서의 협폭 아암부 (223B) 의 하면으로부터 분리함과 함께, 그 가동 부재 (240) 의 제 2 축부 (245B) 를 각각 금구 (260) 의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켜, 그 가동 부재 (240) 를 가동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201) 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한다. 이 때, 협폭 아암부 (223B) 의 하면 및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상면은 압연면이고 매끄럽기 때문에, 제 1 축부 (245A) 및 제 2 축부 (245B) 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 가동 부재 (240) 의 회동 조작은, 금형 (M7, M8, M9) 을 떼어낸 후의 어느 단계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 (201) 의 출하 전에 제조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커넥터 출하 후, 커넥터 사용 개시 시에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201) 는, 단자 (220) 및 금구 (260) 를 하우징 (210) 및 가동 부재 (240) 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 (240) 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조금도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정이 적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커넥터 (201) 와 평형 도체 (FB) 의 접속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101) 와 평형 도체 (FB) 의 접속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240) 에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 (245A) 및 제 2 축부 (245B) 를 형성하고, 단자 (220) 에 단자측 규제부로서의 협폭 아암부 (223B) 를 형성하고, 금구 (260) 에 금구측 규제부 (261C)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 1 축부 (245A) 와 협폭 아암부 (223B) 의 조합 (「제 1 조합」 이라고 한다), 그리고 제 2 축부 (245B) 와 금구측 규제부 (261C) 의 조합 (「제 2 조합」 이라고 한다) 의 양방의 조합을 형성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예를 들어, 제 1 조합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가동 부재의 이동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 커넥터 폭 방향 또는 커넥터 두께 방향 중 어느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른바 슬라이드식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도 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수용부에 가동 부재의 피이동 규제부 전체 그리고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 전체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은 피이동 규제부 및 이동 규제부의 전체인 것은 필수는 아니고, 피이동 규제부의 일부만이 수용되어 있거나, 이동 규제부의 일부만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평형 도체가 삽입 발출되는 형식의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커넥터의 형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평형 도체가 삽입 발출되는 형식의 커넥터,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폭 방향 및 커넥터 두께 방향이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을 이루는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피이동 규제부 및 이동 규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는,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수용부가 그 관통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예를 들어, 하우징 외의 공간으로서 상하 방향에서 상기 관통 공간에 연통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이나, 그 공간 및 상기 관통 공간의 양방에 걸친 공간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이동이 규제를 받는 피규제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대신에, 그 수용부는 피규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전후 방향이 피규제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는 하우징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그 수용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의 발출에 의해 형성된다.
1, 101, 201 : 커넥터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0, 110, 210 : 하우징
15A, 115A, 215A : 수용구멍부 (수용부)
17A, 117A, 217A : 받이부
20 : 제 1 단자 (금속 부재)
21 : 제 1 접촉 아암부
21A : 제 1 접촉부
21B : 후단
30 : 제 2 단자 (금속 부재)
31 : 제 2 접촉 아암부
31A : 제 2 접촉부
31B : 후단
32 : 피유지 아암부
40 : 가동 부재
45A, 143A : 걸림부
45A-1 : 안내면
45A-2, 143A-1 : 걸림면
46, 145, 245 : 회동 기부
46D : 회동 축부
46D-1 : 대경부 (피이동 규제부)
46D-2 : 소경부
46F : 홈부
50 : 금구 (금속 부재)
51 : 이동 규제부
120, 220 : 단자 (금속 부재)
145A, 245A : 제 1 축부 (회동 축부)
145B, 245B : 제 2 축부 (회동 축부)
146B : 삽입 통과 허용부
150 : 제 1 금구 (금속 부재)
151B : 제 1 협폭 아암부 (제 1 금구측 규제부)
151B-1 : 돌기부
160 : 제 2 금구 (금속 부재)
161C : 제 2 금구측 규제부
223B : 협폭 아암부 (단자측 규제부)
260 : 제 2 금구 (금속 부재)
261C : 금구측 규제부
FA, FB, FC : 평형 도체
FA3-1, FB3-1 : 피걸림부
M1, M4, M7 : 상측 금형
M2, M5, M8 : 하측 금형
M3, M6, M9 : 후방 금형

Claims (17)

  1.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평형 도체의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함과 함께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해서 삽입 가능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이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평형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고 있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금속 부재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그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 금속 부재의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그 피이동 규제부보다 크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 부분은, 그 노출 부분의 압연면이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하여 그 피이동 규제부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 및 상기 이동 규제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그 피이동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이동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수용부를 갖고 있고, 그 수용부는,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이동이 규제를 받는 피규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공간 및 하우징 밖에서 피규제 방향에서 상기 관통 공간에 연통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방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 (基部) 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이동 규제부는, 상기 회동 축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그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이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축부의 둘레면을 따른 형상을 이루어 그 둘레면에 접하고, 상기 회동 축부의 회동을 안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축부는, 그 회동 축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부에,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대경부 (大徑部) 를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타부 (他部) 에, 상기 대경부보다 소경인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소경부 (小徑部) 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상기 대경부의 만곡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 커넥터 폭 방향 또는 커넥터 두께 방향 중 어느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일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내벽면끼리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띠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이동 규제부의 연장 방향에서의 그 이동 규제부의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부를 갖고 있고,
    그 걸림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후부 (後部) 에 갖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의 삽입 후에 상기 평형 도체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걸림면을 전부 (前部) 에 갖고 있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가동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를 갖고, 그 접촉 아암부는, 그 후단부 (後端部) 에 형성된 접촉부에서 평형 도체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회동 기부가 상기 접촉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기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후단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후단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 아암부인 제 2 접촉 아암부의 후단은, 제 1 단자의 접촉 아암부인 제 1 접촉 아암부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 아암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상기 접촉 아암부를 따라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 아암부의 후단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를 갖고 있고,
    그 피유지 아암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그 홈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피유지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가,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상기 접촉 아암부를 따라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 아암부의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를 갖고 있고,
    그 피유지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그 접촉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피유지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가,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함께, 복수의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 1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를 갖고,
    상기 제 1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제 1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구는, 상기 제 1 금구에 더하여,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제 2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상기 제 1 축부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2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제 2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제 2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기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1 금구의 제 1 금구측 규제부의 삽입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 통과 허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구측 규제부는, 상기 삽입 통과 허용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음과 함께 그 자유단부가 그 삽입 통과 허용부 외에 위치하고 있고, 그 자유단부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기부에서 회동 기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를 갖고,
    상기 단자의 이동 규제부인 단자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복수의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상기 제 1 축부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7.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평형 도체의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해서 삽입 가능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이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평형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연 금속판제의 복수의 금속 부재를, 그 금속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상기 금형에 의해 유지함과 함께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그 금형 내에 노출시키고,
    상기 금형 내에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그 금속 부재의 노출 부분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가동 부재의 일부에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한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에 접면시킨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금형을 떼어낸 후,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금속 부재의 상기 이동 규제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가동 부재를 가동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90103577A 2018-09-25 2019-08-23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629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8906A JP7164374B2 (ja) 2018-09-25 2018-09-25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JP-P-2018-178906 2018-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201A KR20200035201A (ko) 2020-04-02
KR102629099B1 true KR102629099B1 (ko) 2024-01-24

Family

ID=680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77A KR102629099B1 (ko) 2018-09-25 2019-08-23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8374B2 (ko)
EP (1) EP3629422A1 (ko)
JP (1) JP7164374B2 (ko)
KR (1) KR102629099B1 (ko)
CN (1) CN110943332B (ko)
TW (1) TWI801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4374B2 (ja) * 2018-09-25 2022-11-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7152380B2 (ja) * 2019-10-10 2022-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11462844B2 (en) 2019-11-22 2022-10-04 Amphenol Fci Asia Pte. Ltd. FFC connector with anti-overstress features
JP2022040584A (ja) * 2020-08-31 2022-03-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86147B2 (ja) * 2020-11-06 2023-11-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11444400B2 (en) * 2020-12-21 2022-09-13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embedded interconnect
JP7565249B2 (ja) 2021-05-26 2024-10-10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984A (ja) 2007-04-20 2008-11-06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20120171890A1 (en) 2010-08-02 2012-07-05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KR101250658B1 (ko)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JP2016110902A (ja) 2014-12-09 2016-06-2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171029A (ja) 2015-03-13 2016-09-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20170062962A1 (en) 2015-08-24 2017-03-02 Molex, Llc Connector
KR101727363B1 (ko) 2013-07-04 2017-04-1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6300Y2 (ko) 1971-11-05 1975-05-21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4607348B2 (ja) * 2001-02-07 2011-01-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297465A (ja) * 2002-03-26 2003-10-17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TWM288981U (en) * 2005-06-28 2006-03-21 Compal Electronics Inc Connector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887351B2 (en) * 2008-10-30 2011-02-15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4859261B1 (ja) 2010-10-20 2012-0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761311B2 (ja) * 2016-09-13 2020-09-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164374B2 (ja) * 2018-09-25 2022-11-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984A (ja) 2007-04-20 2008-11-06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250658B1 (ko)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US20120171890A1 (en) 2010-08-02 2012-07-05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KR101727363B1 (ko) 2013-07-04 2017-04-1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16110902A (ja) 2014-12-09 2016-06-2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20170331206A1 (en) 2014-12-09 2017-11-16 Kyocera Corporation Cable connector
JP2016171029A (ja) 2015-03-13 2016-09-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20170062962A1 (en) 2015-08-24 2017-03-02 Molex, Ll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0932A (zh) 2020-08-16
EP3629422A1 (en) 2020-04-01
US20200099148A1 (en) 2020-03-26
CN110943332B (zh) 2023-04-07
JP2020053140A (ja) 2020-04-02
US10868374B2 (en) 2020-12-15
JP7164374B2 (ja) 2022-11-01
KR20200035201A (ko) 2020-04-02
CN110943332A (zh) 2020-03-31
TWI801639B (zh)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099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8298001B2 (en) Board connector provided with an actuator integral with a beam portion of a contact
JP4834147B2 (ja) 施錠機構を備えた電子コネクタ
JP6943647B2 (ja) コネクタ端子アセンブリ
EP1962390B1 (en)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EP2595257A1 (en)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102698063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N104283028A (zh) 扁平导体用电连接器
JP7461857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1026829A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CN111755885B (zh) 连接器装置以及连接器
JP698531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WO2021079587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22075341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2468460B1 (ko)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698531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85320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1886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20092045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210042807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N119343836A (zh) 端子装置
JP2021026831A (ja) 端子
JP2008177066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2001143835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9037782A (ja) ジャケット結合部材及びジャケット結合部材を有するケーブル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