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460B1 -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460B1
KR102468460B1 KR1020200025846A KR20200025846A KR102468460B1 KR 102468460 B1 KR102468460 B1 KR 102468460B1 KR 1020200025846 A KR1020200025846 A KR 1020200025846A KR 20200025846 A KR20200025846 A KR 20200025846A KR 102468460 B1 KR102468460 B1 KR 10246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member
contact
arm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815A (ko
Inventor
쇼이치 미즈사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자 및 그 단자가 형성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30) 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상기 2 개의 아암부 (31, 32) 중 일방의 아암부 (31) 는, 전후 방향에서 타방의 아암부 (32) 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 그 타방의 아암부 (32) 측에 위치하는 압연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 (31A)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아암부 (32) 는, 단자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에서 상기 일방의 아암부 (31) 의 상기 접촉부 (31A) 와 중복되는 위치에, 상기 접촉부 (31A) 와 접촉한 상대 접속체를 상기 일방의 아암부 (31) 측에 위치하는 압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32C)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아암부 (32) 의 지지부 (32C) 는, 그 지지부 (32C) 의 판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접촉부 (31A) 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TERMINAL}
본 발명은 상대 접속체가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됨과 함께 그 실장면에 평행한 전후 방향에서 상대 접속체로서의 평형 도체 (FPC) 가 삽입 발출된다. 그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폭 방향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이고, 평형 도체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 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그 복수의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단자는 2 종 형성되고, 이 2 종의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어느 종의 단자도 띠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커넥터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을 단자 폭 방향으로 하고 있다. 제 1 단자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직각인 상하 방향 (커넥터 두께 방향) 에서 대향함과 함께 서로 병행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와, 양아암부의 전단 (前端)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고, 후방으로 개구되는 양아암부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 간으로의 평형 도체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상아암부는, 하아암부보다 짧고, 그 상아암부의 후단부에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하아암부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접촉부는, 하아암부에 대면하는 압연면 (하면) 을 접촉면으로 하고 있고, 그 접촉면에서 평형 도체에 상방으로부터 탄성을 가지고 접촉한다. 상기 하아암부는, 전후 방향에서 접촉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촉부와 접촉한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지지부는,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 및 단자 폭 방향에서 상아암부의 접촉부 전체와 중복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단자는, 전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고, 평형 도체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아암부를 가지고 있지만, 그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아암부는 가지고 있지 않다.
일본 특허 제6272660호
단자에는, 양호한 전기적 도통 상태를 얻기 위해, 도전성이 높은 도금 재료로 단자의 접촉부의 접촉면에 도금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도금 처리에는, 예를 들어 금 등의 고가의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자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단자에 도금이 실시되는 범위를 단자의 접촉부의 접촉면만으로 하여, 접촉면 이외에 도금이 미치는 것을 회피하여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제 1 단자의 상아암부에 형성된 접촉부의 접촉면 (하면) 에 도금을 실시하고자 했을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 제 1 단자의 하아암부의 지지부가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 및 단자 폭 방향에서 상아암부의 접촉부 전체와 중복되어 있으므로, 하아암부가 장해가 되어, 하방으로부터 접촉부의 접촉면에 도금을 분사하거나 하여 도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그 제 1 단자의 접촉부의 접촉면에 도금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통상, 제 1 단자 전체를 도금조에 침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단자 전체에 도금을 실시하면, 본래 도금이 필요없는 부분, 즉 접촉면 이외의 부분에도 도금 재료가 사용되게 되고, 그 만큼, 단자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비용이 불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서로 병행하는 2 개의 아암부를 갖는 단자에 도금 처리를 할 때, 그 단자의 일방의 아암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양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방의 아암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타방의 아암부가 장해가 되는 일 없이, 상기 접촉부에만 도금을 실시하여,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자 및 그 단자가 형성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자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자는, 상대 접속체가 전기 커넥터를 향하여 전방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에 있어서,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 금속판 부재가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병행하여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2 개의 아암부와, 그 2 개의 아암부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양아암부간으로의 후방으로부터의 상대 접속체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고, 상기 2 개의 아암부 중 일방의 아암부는, 전후 방향에서 타방의 아암부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 그 타방의 아암부측에 위치하는 압연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아암부는, 상기 단자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에서 상기 일방의 아암부의 상기 접촉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상기 접촉부와 접촉한 상대 접속체를 상기 일방의 아암부측에 위치하는 압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지지부의 판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자에서는,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가, 그 지지부의 판두께 방향, 즉, 그 양아암부끼리의 대향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타방의 아암부측에서 일방의 아암부의 접촉부의 접촉면을 향하여, 예를 들어, 도금 재료를 분사하거나 함으로써, 그 도금 재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접촉부의 접촉면 및 그 근방에 그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타방의 아암부에 있어서의 다른 부보다 단자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를 폭 넓게 형성함으로써, 지지부 자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도, 그 지지부는, 그 전체에서 상대 접속체가 일방의 아암부의 접촉부로부터 받는 힘, 즉 타방의 아암부측을 향한 힘에 충분히 대항하여 상대 접속체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지지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지지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고 있고, 그 구멍부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단자 폭 방향에서 그 타방의 아암부에 있어서의 다른 부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발명에 관련된 단자를 전기 커넥터에 형성함으로써, 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에 도금 처리가 실시되는 범위를 접촉부의 접촉면 및 그 근방에 그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 접속체」 란, 전기 커넥터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체를 말하고,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FPC 등의 평형 도체나,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상대 전기 커넥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단자에 있어서,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가, 그 지지부의 판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통하여,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타방의 아암부측에서 일방의 아암부의 접촉부에 도금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도금 처리가 실시되는 범위를 접촉부의 접촉면 및 그 근방에 그치게 할 수 있다.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함으로써, 단자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1 개의 제 1 단자, 1 개의 제 2 단자, 가동 부재, 1 개의 금구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 는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B) 는 (A)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 은,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제 3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제 3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일체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B) 는 가동 부재의 제 3 축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금형이 배치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9(A) 는,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경사 상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횡단면을 하방에서 본 단면도이고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A) 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의 사시도, (B) 는 (A) 의 제 2 단자의 저면도, (C) 는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의 사시도, (D) 는 (C) 의 제 2 단자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커넥터 (1)」 라고 한다) 의 사시도이다.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고, 그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접속체로서의 평형 도체 (F) 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게 되어 있다. 그 커넥터 (1) 는, 평형 도체 (F) 가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과 평형 도체 (F) 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 축 방향 (전후 방향) 으로, X1 방향을 전방, X2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면내 (XY 평면 내) 에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Y 축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직각인 Z 축 방향 (상하 방향) 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한다.
평형 도체 (F)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로부 (도시 생략)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회로부는, 평형 도체 (F) 의 절연층 내에서 매설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전단 위치까지 달하고 있다. 또, 상기 회로부는, 그 전단측 부분만이 평형 도체 (F) 의 상면에 노출된 접속 회로부 (F1) 를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접속 회로부 (F1) 는, 제 1 단자 (20) 와 접촉하는 제 1 접속 회로부 (F1A) 와, 제 2 단자 (30) 와 접촉하는 제 2 접속 회로부 (F1B) 를 갖고, 양자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커넥터 폭 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또, 평형 도체 (F) 는, 상기 전단측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결부 (F2)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 (F2) 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귀부 (F3) 의 후단 가장자리는, 커넥터 (1) 의 후술하는 걸림부 (45A) 와 걸리는 피걸림부 (F3A) 로서 기능한다 (도 10(C) 참조). 또, 평형 도체 (F) 는, 절결부 (F2) 보다 후방 위치에서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하여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후방 귀부 (F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후방 귀부 (F4) 의 전단 가장자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하우징 (10) 의 위치 결정면 (16C-2) 에 대해 상기 전단 가장자리가 후방에서 맞닿음으로써, 평형 도체 (F) 가 전후 방향에서 정규의 삽입 위치에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
커넥터 (1) 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제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도 2 참조) 와, 후술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10) 에 대해 회동 (回動) 가능한 전기 절연재제의 가동 부재 (40) 와, 하우징 (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금구 (50) 를 구비하고 있고, 평형 도체 (F) 가 후방으로부터 삽입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하,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양 단자를 「단자 (20, 30)」 라고 총칭한다.
커넥터 (1) 의 상세한 구성의 설명에 앞서, 먼저,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및 발출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 설명해 둔다. 커넥터 (1) 의 가동 부재 (40) 는, 평형 도체 (F) 의 발출을 저지하는 제 1 위치로서의 폐쇄 위치와 상기 평형 도체 (F) 의 발출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로서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1) 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 전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가동 부재 (40) 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도시 생략) 및 하우징 (10) 에 대해 평행한 자세를 이루는 제 1 위치로서의 폐쇄 위치에서 평형 도체 (F) 의 삽입을 허용한다. 평형 도체 (F) 는, 그 전단 가장자리에서 단자 (20, 30) 와 맞닿아 그 단자 (20, 30) 의 맞닿음 부분을 탄성 변위시켜, 소정 위치 (정규의 삽입 위치) 까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평형 도체 (F) 가 삽입 접속된 후에 있어서도, 커넥터 (1) 의 사용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폐쇄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5A) 와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3A) 가 걸림 가능하게 위치함으로써, 평형 도체 (F) 의 후방 (X2 방향) 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평형 도체 (F) 의 부주의한 발출이 방지된다 (도 10(C) 참조). 또, 커넥터 (1) 의 불사용시가 되는 평형 도체 (F) 의 발출시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기립 방향으로 회동되어 회로 기판의 실장면 및 하우징 (10) 에 대해 각도를 갖는 기립 자세를 이루는 제 2 위치로서의 개방 위치 (도 4(C) 참조) 로 오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3A) 에 대한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5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F) 의 후방으로의 이동, 즉 평형 도체 (F) 의 발출이 허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가동 부재 (40) 의 회동각은 둔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로 회동하는 것만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되어 있지만, 가동 부재 (40) 의 이동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슬라이드 이동을 수반하여 회동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 (1) 의 구성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 (1) 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1 개의 제 1 단자 (20), 1 개의 제 2 단자 (30), 가동 부재 (40), 1 개의 금구 (50) 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 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와 동일한 각도에서의 자세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 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1) 의 종단면도, 도 4 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1) 의 종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 의 각각에 있어서, (A) 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걸림부 (45A)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은, 상방에서 보아,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상을 이루고 있고 (도 5(B)), 서로 평행을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고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측방 프레임부 (10C) 를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면하여 하부를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전방 기부 (11) 와, 그 전방 기부 (11) 로부터 상방으로 세움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전벽 (前壁) (12) 을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의 전방 기부 (11) 및 전벽 (12) 은,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고 있다. 전벽 (12) 의 상면은,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하면이 맞닿음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고 (도 3(A), (B) 참조), 가동 부재 (40) 의 하방으로의 과잉인 변위를 규제하게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부 (10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부 (10A) 와 더불어 제 2 단자 (3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고 있다.
측방 프레임부 (10C)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방 기부 (11)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판상의 측방 기부 (14)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그 측방 기부 (14)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그 측방 기부 (14) 에 연결되어 있는 측벽 (15) 과, 그 측벽 (15)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측 (단자 배열 범위측) 에 위치하고 측방 기부 (14)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측방 돌출부 (16) 를 가지고 있다.
측벽 (15) 은, 도 1 및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후반부가 다른 부보다 커넥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대략 후반부의 전후 방향 중간역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제 1 축부 (47A) 및 제 3 축부 (47C) 를 수용하는 외측 수용부 (18A) 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관통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내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측방 돌출부 (16)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방 기부 (14) 의 전단 근처에 위치하는 전방 규제 돌출부 (16A) 와 그 전방 규제 돌출부 (16A)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규제 돌출부 (16B) 를 가지고 있다.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로 오게 되었을 때, 전방 규제 돌출부 (16A) 와 후방 규제 돌출부 (16B) 사이의 공간에는, 그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피규제 돌출부 (45B) 가 수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폐쇄 위치에서, 전방 규제 돌출부 (16A) 의 후면에 의해 상기 피규제 돌출부 (45B) 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방 규제 돌출부 (16B) 의 전면에 의해 상기 피규제 돌출부 (45B) 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방 돌출부 (16) 는, 후방 규제 돌출부 (16B) 보다 후방 위치에, 전방 규제 돌출부 (16A) 및 후방 규제 돌출부 (16B) 보다 낮게 형성된 축 규제 돌출부 (16C) 도 가지고 있다. 축 규제 돌출부 (16C) 는, 후방 규제 돌출부 (16B) 의 후면에서 후방 (X2 방향) 을 향하여 연장되고 나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 축 규제 돌출부 (16C) 의 상면은,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제 2 축부 (47B) 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대면하고, 그 제 2 축부 (47B) 의 소정량 이상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축 규제면 (16C-1) (도 6(B) 참조)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축 규제 돌출부 (16C) 의 후면 (경사면) 은, 커넥터 (1) 에 삽입된 평형 도체 (F) 의 후방 귀부 (F4) 의 전단 가장자리 (경사 가장자리) 에 맞닿음으로써, 그 평형 도체 (F) 를 전후 방향에서 정규의 삽입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 (16C-2)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부 (10C) 의 후단측 (X2 측) 에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을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 보았을 때,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7) 를 포함하는 범위에, 그 회동 축부 (47) 를 수용하는 수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부 (18) 는, 회동 축부 (47) 중 주로 후술하는 제 1 축부 (47A) 및 제 3 축부 (47C) 를 수용하는 외측 수용부 (18A)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 수용부 (18A)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주로 후술하는 제 2 축부 (47B) 를 수용하는 내측 수용부 (18B)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 수용부 (18A) 와 내측 수용부 (18B) 사이에 위치하고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제 4 축부 (47D) 를 수용하는 중간 수용부 (18C) 를 가지고 있다.
외측 수용부 (18A)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측벽 (15) 의 대략 후반부의 전후 방향 중간역을 상하 방향을 향하여 관통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내측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수용부 (18A) 는, 도 5(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축부 (47A) 및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를 수용한다 (도 6(A), (C) 도 참조). 그 외측 수용부 (18A) 를 형성하는 내벽면 중 전후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내벽면은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을 이루고 있고, 그 2 개의 내벽면 중 전방에 위치하는 내벽면을 「전방 내벽면 (18A-1)」, 후방에 위치하는 내벽면을 「후방 내벽면 (18A-2)」 으로 한다 (도 6(A) 및 도 7(A) 참조.)
내측 수용부 (18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후술하는 중간 수용부 (18C) 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축 규제 돌출부 (16C) 의 상면과 측벽 (15) 의 상면 사이에 걸치는 범위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 내측 수용부 (18B) 는, 가동 부재 (40) 의 제 2 축부 (47B) 를 수용한다.
중간 수용부 (18C)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측벽 (15) 과 축 규제 돌출부 (16C) 사이의 위치에서, 측방 기부 (14) 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중간 수용부 (18C) 는, 도 5(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제 4 축부 (47D) 를 수용한다. 그 중간 수용부 (18C)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제조시에 가동 부재 (40) 를 성형하기 위해 하방으로부터 배치되는 게이트 블록 (도시 생략) 을 가동 부재 (40) 의 성형 후에 하방으로 발출함으로써 형성된다. 중간 수용부 (18C) 의 하단측의 내벽면에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중간 수용부 (18C) 의 내폭을 넓히는 사면 (18C-1) 이, 그 중간 수용부 (18C)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5(B) 참조). 이와 같은 사면 (18C-1)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동 부재 (40) 의 성형 후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을 용이하게 발거 (拔去) 할 수 있다.
외측 수용부 (18A) 와 중간 수용부 (18C) 는 서로 연통되어 있고, 그 외측 수용부 (18A) 와 그 중간 수용부 (18C) 가 더불어, 상하 방향에서 측방 프레임부 (10C) 를 관통하는 1 개의 구멍상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5(B) 참조).
도 4(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받아들임부 (17A), 수용 오목부 (17B) 및 바닥 구멍부 (17C) 를 갖는 공간 (17)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A) 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 (17) 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된 평형 도체 (F) 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부 (17A) 와, 그 받아들임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고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17B) 와, 받아들임부 (17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 구멍부 (17C) 를 가지고 있다.
받아들임부 (17A)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는, 후방 프레임부 (10B) 보다 상방 또한 폐쇄 위치의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덮개판부 (42)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서는 커넥터 (1) 의 후단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전벽 (12) 의 후면에 걸쳐,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는, 2 개의 측방 돌출부 (16) 끼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받아들임부 (17A) 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상방으로도 개방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전단측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 받아들임부 (17A) 가 후방뿐만 아니라 상방으로도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그 받아들임부 (17A) 의 후부에서 평형 도체 (F) 를 비스듬한 자세로도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17B) 는, 받아들임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받아들임부 (17A) 와 연통되고,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2 개의 측벽 (15) 끼리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 오목부 (17B) 는,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폐쇄 위치로 오게 된 가동 부재 (40) 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 (17B) 는, 전후 방향에서는, 후술하는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근방의 위치로부터 하우징 (10) 의 전단까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오목부 (17B) 가 받아들임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 「상방에 위치한다」 란, 수용 오목부 (17B) 가 받아들임부 (17A) 와 상하 방향에서 일부 중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또, 바닥 구멍부 (17C) 는, 하우징 (10) 의 사각 프레임상 부분 (전방 프레임부 (10A), 후방 프레임부 (10B) 및 측방 프레임부 (10C) 로 이루어지는 부분) 으로 둘러싸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2 종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압연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다. 제 1 단자 (20)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제 1 접촉 아암부 (21) 와,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속부 (2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전단과 제 1 접속부 (2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23) 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도 3(A) 도 참조).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약간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 형성된 제 1 접촉부 (21A) 를 가지고 있다.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방을 향한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탄성 변위하에서, 그 제 1 접촉부 (21A) 가 평형 도체 (F) 의 전열 (前列) 의 제 1 접속 회로부 (F1A)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A) 참조).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2) 의 후단측 부분 및 제 1 연결부 (23) 는,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3(A) 도 참조).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2) 는, 그 전단측 부분이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압연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하우징 (10) 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 (3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접촉 아암부 (31) 및 피유지 아암부 (32) 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만곡된 제 2 연결부 (33) 와, 그 피유지 아암부 (32)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접속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일방의 아암부로서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타방의 아암부로서의 피유지 아암부 (32) 및 제 2 연결부 (33) 를 가짐으로써 후방 (X2 방향) 을 향하여 개구된 횡 U 자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고 (도 3(B) 도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횡 U 자상 부분에서 후방으로부터의 평형 도체 (F) 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 (F) 의 수용시에 제 2 접촉 아암부 (31) 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피유지 아암부 (32) 에서 평형 도체 (F) 를 협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 (33) 의 상단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약간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후단 근처의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 형성된 제 2 접촉부 (31A) 를 가지고 있다. 제 2 접촉부 (31A) 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부 (21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도 3(B) 도 참조), 평형 도체 (F) 의 후열 (後列) 의 제 2 접속 회로부 (F1B) 와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은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3(B) 도 참조).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는, 제 2 연결부 (33) 의 하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위치까지 달하고 있다. 그 피유지 아암부 (32) 의 후단 근처 부분은,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 그 피유지 아암부 (32) 의 전단 근처의 부분 및 제 2 연결부 (33) 는, 전방 프레임부 (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3(B) 도 참조). 요컨대, 피유지 아암부 (32)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피유지 아암부 (32)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 (33) 에 연결된 전단측 부분 (32A) 과, 제 2 접속부 (34) 와 연결된 후단측 부분 (32B) 과, 전후 방향에서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전단측 부분 (32A) 과 후단측 부분 (32B) 을 연결하는 지지부 (32C) 를 가지고 있다.
도 5(A) 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1) 의 평면도이고, (B) 는 (A) 의 커넥터 (1) 의 저면도이다. 도 5(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단측 부분 (32A) 은, 제 2 접촉 아암부 (31) 보다 단자 폭 치수 (Y 축 방향에서의 치수) 가 크고 (도 5(A) 도 참조),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단측 부분 (32B) 은, 전단측 부분 (32A) 보다 작은 단자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32C) 는, 도 5(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바닥 구멍부 (17C)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 (32C)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1) 에 평형 도체 (F) 가 접속된 상태에서,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와 접촉한 평형 도체 (F) 를, 지지부 (32C) 의 상면을 이루는 압연면 (지지면) 에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되어 있다 (도 10(B) 참조).
지지부 (32C) 는, 도 5(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Y1 측의 측가장자리가 전단측 부분 (32A) 보다 더욱 Y1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Y2 측의 측가장자리부에는 전후 방향에서 제 2 접촉부 (31A) 와 중복되는 위치에 절결부 (32C-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지지부 (32C) 의 단자 폭 치수는, 전후 방향에서의 절결부 (32C-1) 의 범위에서는, 전단측 부분 (32A) 의 단자 폭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음과 함께, 후단측 부분 (32B) 의 단자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그 지지부 (32C) 의 단자 폭 치수는, 전후 방향에서의 절결부 (32C-1) 이외의 범위에서는, 전단측 부분 (32A) 및 후단측 부분 (32B) 의 단자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지지부 (32C) 의 최대 단자 폭 치수는, 전단측 부분 (32A) 및 후단측 부분 (32B) 의 최대 단자 폭 치수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 (32C) 의 절결부 (32C-1) 는, 제 2 접촉 아암부 (31) 와 피유지 아암부 (32) 의 대향 방향 (상하 방향) 에서 보았을 때, 제 2 접촉부 (31A) 의 일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지지부 (32C) 에는, 절결부 (32C-1) 의 범위에, 상기 제 2 접촉부 (31A) 의 일부에 대해 중복되지 않는 범위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도 5(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 제 2 접촉부 (31A) 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 (32C-1) 의 범위 내에서 노출되어 있어 그 절결부 (32C-1) 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유지 아암부 (32) 보다 하방으로부터 절결부 (32C-1) 를 통하여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의 접촉면 (하면) 을 향하여, 도금 재료 (예를 들어, 금 등) 를 분사하거나 함으로써, 그 접촉면에 도금 재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결부 (32C-1) 를 통하여 도금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그 도금 재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제 2 접촉부 (31A) 의 접촉면 및 그 근방에 그치게 할 수 있으므로,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하여, 그 제 2 단자 (30) 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절결부 (32C-1) 를 통한 도금 재료의 도포는, 제 2 단자 (30) 와 하우징 (10) 의 일체 몰드 성형의 전후 어느 시점에서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 (32C) 는, 그 피유지 아암부 (32) 에 있어서의 다른 부, 즉 전단측 부분 (32A) 및 후단측 부분 (32B) 보다 최대 단자폭이 커 폭 넓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 (32C) 자체의 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 (32C) 는, 절결부 (32C-1) 가 형성되어 있어도, 커넥터 (1) 에 평형 도체 (F) 가 접속된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가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로부터 받는 힘, 즉 하방을 향한 힘에 대해 지지부 (32C) 전체에서 충분히 대항하여 평형 도체 (F) 를 지지할 수 있다. 또,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회로부를 형성하고, 그 지지부 (32C) 에 접촉시켜 그 회로부와 그 지지부 (32C) 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킴으로써, 그 지지부 (32C) 에 접촉부로서의 기능도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
제 2 접속부 (34)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부 (10B)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도 5(B)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가동 부재 (40) 는, 그 가동 부재 (40) 를 폐쇄 위치의 자세로 나타내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X 축 방향) 과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으로 퍼지는 대략 판상을 이루는 본체부 (41) 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본체부 (41) 의 후단측 (X2 측) 에 형성된 돌조부 (46) 및 회동 축부 (47) 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 (41) 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폐쇄 위치에서 단자 (20, 30) 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판부 (42) (도 3(A), (B) 도 참조) 와, 그 덮개판부 (42) 의 양측 외측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아암부 (43) 와, 덮개판부 (42) 와 단아암부 (43) 의 전단끼리를 연계하는 연계부 (44) 와, 연계부 (44)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외팔보상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부 (45) 를 가지고 있다 (도 2 도 참조).
덮개판부 (42) 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의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후술하는 돌조부 (46) 의 제 1 홈부 (46A) 와 연통되는 구멍부 (42A) 가, 그 덮개판부 (42) 의 두께 방향으로 그 덮개판부 (42)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A) 도 참조).
단아암부 (43)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하단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후단부)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회동 축부 (47) 의 후술하는 제 1 축부 (47A) 와 제 2 축부 (47B) 사이에 위치하여 회동 축부 (47) 의 일부를 이루고 있고, 그 제 1 축부 (47A) 와 제 2 축부 (47B) 를 연결하는 제 4 축부 (47D) 로서 형성되어 있다.
걸림 아암부 (45) 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단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3(C) 에서의 후단부) 에, 전방 (도 3(C) 에서의 하방) 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45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부 (45A) 는, 도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10) 의 받아들임부 (17A) 내에 상방으로부터 돌입되어 있다. 또, 그 걸림부 (45A) 는, 도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 (F) 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 (45A-1) 을 후부에 가지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 (F) 의 삽입 후에 그 평형 도체 (F) 에 형성된 피걸림부 (F3A) 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걸림면 (45A-2) 을 전부 (前部) 에 가지고 있다 (도 10(C) 도 참조).
안내면 (45A-1) 은, 도 3(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걸림 아암부 (45) 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과정의 그 평형 도체 (F) 의 전방 귀부 (F3) 의 전단부가 상기 안내면 (45A-1) 에 맞닿으면, 그 맞닿음력을 받아 걸림 아암부 (45) 가 상방을 향하여 용이하게 탄성 변위되는 탄성 아암부를 이루고 있다.
또, 안내면 (45A-1) 은,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4(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아, 경사지는 일 없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 안내면 (45A-1) 은, 개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안내면 (45A-1) 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성형 후에 상측 금형을 똑바로 상방으로 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걸림면 (45A-2) 은, 도 3(C) 및 도 10(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아, 경사지는 일 없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 걸림면 (45A-2) 은, 폐쇄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걸림면 (45A-2) 이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3A) 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피걸림부 (F3A) 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확실하게 걸려, 평형 도체 (F) 의 부주의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걸림 아암부 (45)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하단 근처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걸림부 (45A)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피규제 돌출부 (45B) 를 가지고 있다. 그 피규제 돌출부 (45B) 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오게 되었을 때, 하우징 (10) 의 전방 규제 돌출부 (16A) 와 후방 규제 돌출부 (16B)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여, 그 전방 규제 돌출부 (16A) 에 대해 후방에서, 그리고 후방 규제 돌출부 (16B) 에 대해 전방에서 맞닿음 가능하게 위치하여,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를 받도록 되어 있다 (도 1 참조). 또, 그 피규제 돌출부 (45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아 걸림부 (45A) 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부 (45A) 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돌조부 (46)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제 1 단자 (20) 와 대응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덮개판부 (42) 의 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도 참조). 각 돌조부 (46) 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그 돌조부 (46) 의 대략 전반부의 하면 (받아들임부 (17A) 측의 면) 으로부터 함몰된 제 1 홈부 (46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홈부 (46A) 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폐쇄 위치에서 그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을 수용한다 (도 9(B) 도 참조). 그 제 1 홈부 (46A) 는, 도 3(A) 및 도 4(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덮개판부 (42) 의 구멍부 (42A)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그 구멍부 (42A) 와 연통되어 있다. 또,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돌조부 (46) 의 대략 하반부 (폐쇄 위치에서의 대략 후반부), 즉 제 1 홈부 (46A) 보다 하방 (폐쇄 위치에서의 후방) 에 위치하는 부분 (후술하는 격벽 (46C)) 은,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돌조부 (46) 전역에 걸쳐 중실 (中實) 로 되어 있다 (도 9(A), (B) 도 참조).
서로 인접하는 돌조부 (46) 끼리간, 환언하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상하 방향 (폐쇄 위치에서의 전후 방향) 에서 돌조부 (46) 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제 2 홈부 (46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B) 및 도 4(B) 도 참조).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제 2 홈부 (46B) 는, 개방 위치에서의 대략 하반부 (폐쇄 위치에서의 대략 후반부), 즉 제 1 홈부 (46A) 보다 하방 (개방 위치에서의 후방) 에 형성된 홈상 부분에서,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오게 되었을 때에 그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을 수용하게 되어 있다 (도 9(B) 도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홈부 (46A) 에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이 수용되고, 제 2 홈부 (46B) 에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이 수용됨으로써,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제 1 홈부 (46A) 의 내벽면 및 제 2 홈부 (46B) 의 내벽면에 의해 제 1 접촉 아암부 (21) 및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각각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부주의한 변위가 규제된다. 또, 커넥터 (1) 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 (F) 가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및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에 맞닿는 일이 없어져, 좌굴 등에 의한 단자 (20, 30)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돌조부 (46) 에 있어서의 제 1 홈부 (46A) 보다 후방 (개방 위치에서의 하방) 에 위치하는 부분, 환언하면, 인접하는 제 2 홈부 (46B) 의 상기 홈상 부분끼리를 가로막는 부분이 격벽 (46C) 을 형성하고 있고, 그 격벽 (46C) 은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돌조부 (46) 전역에 걸쳐 중실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촉 아암부는, 그 후단이 제 1 접촉 아암부의 후단보다 하우징 (10) 의 후단측, 환언하면 받아들임부 (17A) 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평형 도체 (F) 의 삽입 개시시, 즉, 받아들임부 (17A) 의 후단 개구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이 개시된 직후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평형 도체 (F) 의 위치나 자세가 아직 불안정하므로, 제 2 접촉 아암부의 후단은, 제 1 접촉 아암부의 후단과 비교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평형 도체 (F) 로부터 부주의한 외력을 받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 (46C) 을 중실로 하여, 그 격벽 (46C) 의 벽두께 치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 를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그 격벽 (46C) 자체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만일 단자 (20, 30) 가 다수 형성되어 제 2 단자 (30) 끼리간의 간격을 작게 해야 하는 경우에도, 그 격벽 (46C) 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 따라서, 그 격벽 (46C) 의 측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 환언하면 제 2 홈부 (46B) 의 상기 홈상 부분의 내벽면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부주의한 변위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돌조부 (46) 의 격벽 (46C) 의 하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후부) 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의 측면은, 전방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하방) 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측을 향하는 사면 (46C-1)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벽 (46C) 에 사면 (46C-1)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만일,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정규의 위치로부터 약간 어긋나 있어도, 가동 부재 (40) 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한 회동 과정에서, 상기 후단 (31B) 이, 사면 (46C-1) 에 맞닿아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동 부재 (40) 의 제 2 홈부 (46B) 내에 확실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과정에서, 상기 후단 (31B) 이 격벽 (46C) 과 맞닿아 제 2 접촉 아암부 (31) 가 부주의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격벽 (46C) 은 큰 벽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격벽 (46C) 에 사면 (46C-1) 을 형성해도 그 격벽 (46C) 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홈부 (46A) 는 덮개판부 (42) 의 구멍부 (42A) 에 연통되어 있고, 도 3(A) 및 도 4(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홈부 (46A) 의 내벽면과 구멍부 (42A) 의 내벽면은 연속해서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홈부 (46A) 와 구멍부 (42A) 의 연속되는 내벽면 및 제 2 홈부 (46B) 의 내벽면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는 일 없이 똑바로 연장되고 (도 4(A), (B) 참조), 그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3(A), (B) 참조).
따라서, 가동 부재 (40) 와 하우징 (10) 을 동일한 공정으로 성형하여 커넥터 (1) 를 제조하고자 했을 경우, 가동 부재 (40) 를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성형하도록 하면, 상기 가동 부재 (40) 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홈부 (46A) 및 상기 제 2 홈부 (46B)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홈부 (46A) 가 형성하는 내벽면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오게 되었을 때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아, 하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진다 (도 3(A) 참조).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제 1 홈부 (46A) 의 내벽면 중 후방측 (X2 측) 에 위치하는 내벽면은, 그 제 1 홈부 (46A) 에 수용되어 있는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오게 되는 가동 부재 (40) 와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의 간섭이 보다 확실하게 회피되어,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가동 부재 (40) 의 제 1 홈부 (46A) 및 제 2 홈부 (46B) 는,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및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9(A) 도 참조). 요컨대, 그 후단 (21B) 및 그 후단 (31B) 은 각각 제 1 홈부 (46A) 및 제 2 홈부 (46B)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가동 부재 (40) 와 하우징 (10) 을 동일한 공정으로 성형하여 커넥터 (1) 를 제조하고자 했을 경우, 가동 부재 (40) 를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성형하도록 하면, 금형에 있어서 제 1 홈부 (46A) 및 제 2 홈부 (46B) 에 대응하는 금형 부분을,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 (21B) 및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후단 (31B) 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복잡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어져, 제 1 홈부 (46A) 및 제 2 홈부 (46B) 에 대응한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금형 부분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여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부 (47) 는, 회동 축선 둘레의 외주면이 비원통면을 이루고 있고,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 1 축부 (47A) 와, 제 2 축부 (47B) 와, 제 3 축부 (47C) 와, 제 4 축부 (47D) 를 가지고 있다.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축부 (47A) 는, 단아암부 (43) 의 하단부를 이루는 제 4 축부 (47D) 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축부 (47B) 는, 걸림 아암부 (45)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최단 위치에 있는 돌조부 (46) 의 하단부와 제 4 축부 (47D) (단아암부 (43) 의 하단부) 를 연결하고 있다. 제 3 축부 (47C) 는, 제 1 축부 (47A) 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4 축부 (47D) 는, 단아암부 (43) 의 하단부를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1 축부 (47A) 와 제 2 축부 (47B)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제 1 축부 (47A) 와 그 제 2 축부 (47B) 를 연결하고 있다. 회동 축부 (47) 는 하우징 (10) 의 수용부 (18) 에 수용되어 있다.
도 6 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또, 도 7 은,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1) 의 종단면도이고, 이 도 6 및 도 7 에 있어서의 (A)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축부 (47A) 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2 축부 (47B) 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3 축부 (47C)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축부 (47A) 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있고, 그 단면적은, 제 2 축부 (47B) 및 제 3 축부 (47C) 의 각각의 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제 1 축부 (47A) 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일 없이 똑바로 연장되는 평탄면을 이루고,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 만곡된 곡면을 이루고, 하면이 하방으로 볼록 만곡된 곡면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도 7(A) 에 보여지는 개방 위치에서의 제 1 축부 (47A) 의 전면을 「평탄면 (47A-1)」, 후면을 「평탄면 (47A-2)」, 상면을 「만곡면 (47A-3)」, 하면을 「만곡면 (47A-4)」 로 한다.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도 6(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축부 (47A) 의 평탄면 (47A-1) (개방 위치에서의 전면) 및 평탄면 (47A-2) (개방 위치에서의 후면) 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위치하고, 폐쇄 위치에서 각각 제 1 축부 (47A) 의 하면 및 상면을 이룬다. 또, 제 1 축부 (47A) 의 만곡면 (47A-3) (개방 위치에서의 상면) 및 만곡면 (47A-4) (개방 위치에서의 하면) 은, 폐쇄 위치에서 각각 제 1 축부 (47A) 의 전면 및 후면을 이룬다.
제 2 축부 (47B) 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7(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외주면 중, 하면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일 없이 똑바로 연장되는 평탄면을 이루고, 제 2 축부 (47B) 의 상부의 전면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는 평탄면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도 7(B) 에 보여지는 개방 위치에서의 제 2 축부 (47B) 의 하면을 「평탄면 (47B-1)」, 상부의 전면을 「평탄면 (47B-2)」 로 한다.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도 6(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축부 (47B) 의 평탄면 (47B-1) (개방 위치에서의 하부의 전면) 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위치하고, 제 2 축부 (47B) 의 후면이 된다. 또, 평탄면 (47B-1) (개방 위치에서의 상부의 전면) 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일 없이 똑바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제 2 축부 (47B) 의 하면이 된다.
제 3 축부 (47C) 는, 도 6(C) 및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구 (50) 의 후술하는 이동 규제부 (51) 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방을 향한 소정량 이상의 이동의 규제를 그 이동 규제부 (51) 로부터 받는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 3 축부 (47C) 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오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외주면 중, 상면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일 없이 똑바로 연장되는 평탄면을 이루고, 하부의 후면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C) 에 보여지는 개방 위치에서의 제 2 축부 (47B) 의 상면을 「평탄면 (47C-1)」, 하부의 후면을 「평탄면 (47C-2)」 으로 한다. 이 개방 위치에서는, 제 3 축부 (47C) 는,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탄면 (47C-1) 이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과 접면하고 있고, 이로써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도 6(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탄면 (47C-1) (개방 위치에서의 상면) 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위치하고, 제 3 축부 (47C) 의 전면이 된다. 또, 평탄면 (47C-2) (개방 위치에서의 하부의 후면) 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일 없이 똑바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제 3 축부 (47C) 의 상면이 된다. 이 폐쇄 위치에서는, 제 3 축부 (47C) 는, 도 6(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탄면 (47C-2) 이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과 접면하고 있고, 이로써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 3 축부 (47C) 는,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으로부터의 맞닿음력을 받으면서 그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회동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 3 축부 (47C) 는 비원통 외주면을 가지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축선의 위치 (회동 중심의 위치) 로부터 제 3 축부 (47C) 와 이동 규제부 (51) 의 맞닿음 위치까지의 직선 거리가, 가동 부재 (40) 의 회동 과정에 있어서 일정하게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동 과정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의 제 3 축부 (47C) 의 위치는, 그 제 3 축부 (47C) 가 이동 규제부 (51) 로부터의 맞닿음력을 받아 상하동하게 된다. 요컨대, 제 3 축부 (47C) 는, 이른바 캠부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A) 및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축부 (47A) 는, 외측 수용부 (18A) 의 전방 내벽면 (18A-1) 및 후방 내벽면 (18A-2) 의 각각 사이에 전후 방향에서의 간극 (이하, 「전후 방향 간극」 이라고 한다) 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외측 수용부 (18A) 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와 전방 내벽면 (18A-1) 사이의 전후 방향 간극을 「C1」, 가동 부재 (40) 와 후방 내벽면 (18A-2) 사이의 전후 방향 간극을 「C2」 로 한다 (도 6(A) 및 도 7(A) 참조). 도 6(A) 와 도 7(A) 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의 전후 방향 간극 (C1, C2) 의 치수는, 개방 위치에서의 전후 방향 간극 (C1, C2)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축부 (47A) 는, 폐쇄 위치에서의 전후 방향 간극 (C1, C2) 을 개방 위치에서의 전후 방향 간극 (C1, C2) 보다 감소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도 6(B) 및 도 7(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축부 (47B) 는, 축 규제 돌출부 (16C) 의 상면인 축 규제면 (16C-1) 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에서의 간극 (이하, 「상하 방향 간극」 이라고 한다) 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내측 수용부 (18B) 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축 규제면 (16C-1) 과의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을 「C3」 으로 한다 (도 6(B) 및 도 7(B) 참조). 도 6(B) 와 도 7(B) 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 간극 (C3) 의 치수는, 개방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 간극 (C3)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축부 (47B) 는, 폐쇄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 간극 (C3) 을 개방 위치에서의 상하 방향 간극 (C3) 보다 감소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 (10) 과 가동 부재 (40) 는, 이른바 동시 성형품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제조시에는 동일한 공정으로 성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성형되게 되어 있고, 하우징 (10) 및 가동 부재 (40) 의 성형시에, 전후 방향 간극 (C1, C2) 에 금형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됨과 함께 (도 8(A) 참조), 상하 방향 간극 (C3) 에 금형의 일부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간극 (C1, C2) 및 상하 방향 간극 (C3) 은, 개방 위치에서의 치수가 폐쇄 위치에서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전후 방향 간극 (C1, C2) 에 삽입되는 금형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 및 상하 방향 간극 (C3) 에 삽입되는 금형 부분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어, 이들 금형 부분에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제 1 축부 (47A) 의 위치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간극 (C1, C2) 은, 등간극 치수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직상 (直狀) 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제 2 축부 (47B)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간극은, 등간극 치수를 가지고 전후 방향에서 직상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 (40) 의 성형시에 전후 방향 간극 (C1, C2) 및 상하 방향 간극 (C3) 의 각각에 삽입되는 금형 부분의 형상을 직상으로서 단순화할 수 있다.
또, 커넥터 사용시에는,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오게 되어 전후 방향 간극 (C1, C2) 및 상하 방향 간극 (C3) 이,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전후 방향 간극 (C1, C2) 및 상하 방향 간극 (C3) 이 허용 간극량 이하가 되어, 커넥터 사용시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가 전후 방향 (삽입 발출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외력을 받아도 제 1 축부 (47A) 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의 백래시가 억제되고, 제 2 축부 (47B) 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의 백래시가 억제된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 와 단자 (20, 30) 의 접촉 상태에 악영향이 잘 미치지 않게 된다.
금구 (50)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하우징 (10) 의 외측 수용부 (18A) 및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 (10) 의 측벽 (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금구 (50) 는, 압연 금속판제의 띠조편 (帶條片) 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그 압연면 (판면) 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평행을 이룬 자세로 측벽 (15) 에 유지되어 있다.
금구 (50) 는, 도 2, 도 6(C) 및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규제부 (51) 와, 그 이동 규제부 (51) 의 전단에서 굴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전방 피유지부 (52) 와, 그 이동 규제부 (51) 의 후단으로부터 크랭크상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후방 피유지부 (53) 와, 그 후방 피유지부 (53)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하우징 (10) 외로 연장되는 고정부 (54) 를 가지고 있다.
이동 규제부 (51) 는, 도 6(C) 및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0) 의 외측 수용부 (18A) 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즉 외측 수용부 (18A) 의 전방 내벽면 (18A-1) 과 후방 내벽면 (18A-2) 끼리의 대향 방향에서,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우징 (10)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 (51) 는, 그 압연면 (판면) 이 상하 방향 (커넥터 두께 방향) 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고, 환언하면, 상하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상의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 (판면) 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자세로 그 이동 규제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동 규제부 (51) 의 상하 방향 치수가 작아진다. 따라서, 금구를 유지하는 하우징 (1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은 제 3 축부 (47C) 의 상면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면 (47C-1),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평탄면 (47C-1))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은 제 3 축부 (47C) 의 상면과의 사이에 다소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동 규제부 (51)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3 축부 (47C)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또,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 규제부 (51) 는 외측 수용부 (18A) 내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이동 규제부 (51) 의 양측에서 외측 수용부 (18A) 의 일부를 이루는 각각의 공간은, 전후 방향에 보았을 때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서 등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공간은,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커넥터 (1) 의 제조시에, 상기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방으로부터 금형 (후술하는 상측 금형 (M1)) 의 일부를 배치할 수 있고, 그 금형의 일부와 이동 규제부 (51) 를 협동시킴으로써, 금구 (50) 와 하우징 (10) 의 일체 몰드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 피유지부 (52) 는, 도 6(C) 및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 규제부 (51) 의 전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굴곡된 전방 굴곡부 (52A) 를 거쳐 연장되어 있다. 전방 피유지부 (52) 는,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그 전체가 하우징 (10) 에 의해 매설 유지되어 있다.
후방 피유지부 (53) 는, 도 6(C) 및 도 7(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 규제부 (51) 의 후단에서 하방을 향하여 굴곡된 후방 상굴곡부 (53A) 를 거쳐 연장됨과 함께, 또한 후방을 향하여 굴곡된 후방 하굴곡부 (53B) 를 거쳐 연장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후방 피유지부 (53) 는,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그 전체가 하우징 (10) 에 의해 매설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구 (50) 는, 피유지부 (52, 53) 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 (10) 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금구가 하우징에 압입 유지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구 (50) 와 하우징 (10) 의 접촉 면적, 즉 금구 (50) 가 하우징 (1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면적이 크고, 금구 (50) 가 하우징 (10) 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결과, 이동 규제부 (51) 가 제 3 축부 (47C) 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제 3 축부 (47C) 로부터 강한 맞닿음력을 받아도, 그 맞닿음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대항하여, 제 3 축부 (47C) 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피유지부 (52) 및 후방 피유지부 (53) (이하, 필요에 따라 「피유지부 (52, 53)」 라고 총칭한다) 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 (전방 굴곡부 (52A), 후방 상굴곡부 (53A), 후방 하굴곡부 (53B)) 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유지부 (52, 53)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부 (52, 53) 를 길게 하여, 그 하우징 (10) 과 일체 몰드 성형될 때의 그 하우징 (10) 과의 접면역 (接面域) 을 크게 할 수 있어, 그 하우징 (10) 에 의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 (54) 는, 후방 피유지부 (53) 로부터 후방으로 직상을 이루어 연장되고 측벽 (15)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 고정부 (54) 는, 도 6(C) 및 도 7(C) 그 하면이 하우징 (10) 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구 (50) 에 고정부 (54) 를 형성함으로써, 금구 (50) 가 그 고정부 (54) 로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고정되므로, 이동 규제부 (51) 에 의해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제 3 축부 (47C) 로부터 받는 맞닿음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대항할 수 있다.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는, 그 이동 규제부 (51) 에 대해 전후 방향에서의 양측에 형성된 피유지부 (52, 53) 로 하우징 (10) 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이동 규제부 (51) 는 양팔보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그 이동 규제부 (51) 로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의 이동을 규제할 때, 그 제 3 축부 (47C) 로부터 받는 맞닿음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대항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단자 (20, 30) 및 금구 (50) 를, 이들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해 평행을 이루도록, 금형 (후술하는 상측 금형 (M1), 하측 금형 (M2) 및 후방 금형 (M3)) 에 배치하고, 그 금형에 의해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으로부터 배치되는 상측 금형 (M1), 하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하측 금형 (M2) 및 후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후방 금형 (M3) (도 8(A), (B) 참조) 에 의해,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제 2 단자 (30) 의 피유지 아암부 (32),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가 유지된다.
이 때,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축부 (47A) 의 위치에서는,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간극 (C1, C2) (도 7(A) 참조) 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측 금형 (M1) 의 금형 부분 (M1A) 이 상방으로부터 배치됨과 함께 하측 금형 (M2) 의 금형 부분 (M2A) 이 하방으로부터 배치된다. 또,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2 축부 (47B) 의 위치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간극 (C3) (도 7(B) 참조) 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 금형 (M3) 의 금형 부분 (도시 생략) 이 후방으로부터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성형되므로, 전후 방향 간극 (C1, C2) 은 크게 확보되어 있고, 상측 금형 (M1) 의 금형 부분 (M1A) 및 하측 금형 (M2) 의 금형 부분 (M2A) 은, 그 전후 방향 간극 (C1, C2) 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 (전후 방향 치수) 를 가지고 형성된다. 따라서, 금형 부분 (M1A, M2A) 에 그 두께 치수의 분만큼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그 금형 부분 (M1A, M2A) 의 손상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하 방향 간극 (C3) 도 크게 확보되어 있으므로, 후방 금형 (M3) 의 상기 금형 부분은, 그 상하 방향 간극 (C3) 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 (상하 방향 치수) 를 가지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금형 부분에 그 두께 치수의 분만큼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그 금형 부분의 손상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금구 (50) 및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의 위치에서는, 도 8(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1) 이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전체의 상면에 맞닿고, 하측 금형 (M2) 의 금형 부분 (M2B) 이 이동 규제부 (51) 의 전단측 부분 및 후단측 부분의 하면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그 이동 규제부 (51)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 (M1, M2) 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금형 (M2) 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서, 금형 내에서 하우징 (10) 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과 중복되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하방에서 보아, 하우징 (10) 의 중간 수용부 (18C) (도 5(B) 참조) 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가동 부재 (40) 를 성형하기 위한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 (空所) (도시 생략) 가 하측 금형 (M2) 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에는, 가동 부재 (40) 를 성형하기 위한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 (도시 생략) 이 하방으로부터 배치된다. 그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은, 금형 내에서 가동 부재 (40) 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에 용융된 전기 절연 재료를, 그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의 주입구로부터 주입한다.
또, 어느 금형에는, 상기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와는 상이한 위치에, 하우징 (10) 을 성형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용 공소 (도시 생략) 가 그 금형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성형용 공소에는, 하우징 (10) 을 성형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용 게이트 블록 (도시 생략) 이 배치된다. 그 하우징 성형용 게이트 블록은, 금형 내에서 하우징 (10) 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에 용융된 전기 절연 재료를, 그 하우징 성형용 게이트 블록의 주입구로부터 주입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 및 하우징 성형용 게이트 블록의 각각으로부터 금형 내에 주입한 전기 절연 재료가 냉각되어 고화됨으로써, 하우징 (10) 과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가동 부재 (40) 가 동시에 성형된다. 이 때, 상기 단자 (20, 30) 및 금구 (50) 가 하우징 (10) 으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된다. 또, 도 8(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금구 (50) 의 위치에서는, 하우징 (10) 의 외측 수용부 (18A) 내에서,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가 형성됨과 함께, 그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과 하측 금형 (M2)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가 상기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에 접한 상태에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을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로부터 발출하고, 하우징 성형용 게이트 블록을 하우징 성형용 공소로부터 발출하여 떼어낸다. 이 때,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의 발출에 의해, 하우징 (10) 에, 중간 수용부 (18C) 가 형성된다. 또, 상측 금형 (M1) 을 상방 (Z1 방향) 으로, 하측 금형 (M2) 을 하방 (Z2 방향) 으로 그리고 후방 금형 (M3) 을 후방 (X2 방향) 으로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떼어낸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성형되므로, 성형 직후에, 가동 부재 (4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걸림부 (45A) 의 안내면 (45A-1) 이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도 4(C) 참조). 따라서, 상측 금형 (M1) 을 떼어낼 때, 그 상측 금형 (M1) 을 상기 안내면 (45A-1) 을 따라 상방으로 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단순한 형상의 상측 금형 (M1) 으로 커넥터 (1) 를 제조할 수 있다.
금형 (M1, M2, M3) 을 떼어낸 후, 가동 부재 (40) 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그 가동 부재 (40) 의 제 3 축부 (47C) 를 금구 (50) 의 이동 규제부 (51) 의 하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가동 부재 (40) 를 가동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1) 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된다. 이 가동 부재 (40) 의 회동 조작은, 금형 (M1, M2, M3) 을 떼어낸 후의 어느 단계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 (1) 의 출하 전에 제조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커넥터 출하 후, 커넥터 사용 개시시에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단자 (20, 30) 및 금구 (50) 를 하우징 (10) 및 가동 부재 (40) 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 (40) 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전혀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정이 적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금형 (M2) 의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는, 금형 내에서의 하우징 (10) 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과 중복되는 범위에, 커넥터 두께 방향 (상하 방향) 에서의 하측, 즉 가동 부재 (40) 가 형성되는 측 (상측) 과는 반대측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형의 구조 (형상의 분할 위치 등) 상, 그 금형의 상측에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를 형성할 수 없는 경우, 즉, 그 금형의 상측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을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금형의 하측에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를 형성해 두고,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 내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을 배치하여 가동 부재 (40) 를 성형할 수 있다. 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하우징 성형용 게이트 블록이 배치되므로, 하우징 (10) 과 가동 부재 (40) 를 동일한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의 중간 수용부 (18C) (도 5(B) 참조) 의 위치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이 배치되고, 그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의 주입구는 가동 부재 (40) 의 제 4 축부 (47D) (도 5(B) 참조) 의 범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인 제 4 축부 (47D) 의 표면에는, 가동 부재 (40) 의 성형 후,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을 발거했을 때, 이른바 주입흔이 형성된다. 그 주입흔은, 제 4 축부 (47D)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받아들임부 (17A) 의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제 4 축부 (47D) 에 주입흔이 형성되므로, 만일 그 주입흔이 돌기상을 이루고 있어도, 그 주입흔이 받아들임부 (17A) 내에 돌출되어 위치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그 받아들임부 (17A) 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시 및 삽입 후에 그 평형 도체 (F) 와 상기 주입흔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의 성형시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인 중간 수용부 (18C) 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이 단자 (20, 30) 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금형에는, 가동 부재 성형용 공소를, 커넥터 두께 방향 (상하 방향) 에서 금형 내의 공간 (가동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 을 향하여 직상으로 연장되는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해 두면 되고, 금형의 형상이나 구조가 복잡해지는 일은 없다. 또, 가동 부재 성형용 게이트 블록이 배치되는 위치는,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는 한정되지 않고, 단자나 금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인접하는 단자끼리간의 위치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속부 (22)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속부 (34)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금구 (50) 의 고정부 (54)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한다. 그 제 1 접속부 (22), 그 제 2 접속부 (34) 및 그 고정부 (54) 의 땜납 접속에 의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를 폐쇄 위치에 가져온 상태의 커넥터 (1) 의 후방에, 평형 도체 (F)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를 전방을 향하여 커넥터 (1) 의 받아들임부 (17A) 에 삽입한다.
받아들임부 (17A) 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의 전단은, 먼저,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의 제 2 접촉부 (31A) 에 맞닿게 하고 그 맞닿음력의 상방향 분력으로 그 제 2 접촉부 (31A) 를 밀어올림으로써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킨다. 또한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면,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은,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의 제 1 접촉부 (21A) 에 맞닿아 그 제 1 접촉부 (21A) 를 밀어올림으로써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킨다.
도 10(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도, 제 1 단자 (20) 의 제 1 접촉 아암부 (21) 및 제 2 단자 (30) 의 제 2 접촉 아암부 (31) 는 탄성 변위된 채로 있다. 이 결과, 제 1 접촉부 (21A) 및 제 2 접촉부 (31A) 가 평형 도체 (F) 의 제 1 접속 회로부 (F1A) 및 제 2 접속 회로부 (F1B) (도 1 참조) 에 각각 접압으로써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받아들임부 (17A) 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의 폭 방향에서 양측단 근처에 위치하는 전방 귀부 (F3) 가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5) 에 형성된 걸림부 (45A) 의 안내면 (45A-1) 에 맞닿고 그리고 슬라이딩 접촉하여, 평형 도체 (F) 가 상하 방향에서의 정규의 삽입 위치에 안내된다. 또, 전방 귀부 (F3) 가 안내면 (45A-1) 과의 맞닿음력의 상하 방향 분력으로 걸림 아암부 (45) 를 상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켜 평형 도체 (F) 의 삽입을 허용하는 위치에 가져온다. 또한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고, 전방 귀부 (F3) 가 걸림부 (45A) 의 위치를 통과하면, 걸림 아암부 (45) 는 탄성 변위량을 줄이도록 하방을 향하여 변위되어 자유 상태로 되돌아가, 평형 도체 (F) 의 절결부 (F2) 내에 돌입한다. 이 결과, 도 10(C) 에 보여지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3A) 가 걸림부 (45A) 의 걸림면 (45A-2) 의 전방에서 그 걸림면 (45A-2) 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평형 도체 (F)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저지된다. 또한, 걸림 아암부 (45) 가 완전히 자유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걸림 아암부 (45) 가 약간의 탄성 변위량을 남긴 상태에서, 걸림부 (45A) 가 평형 도체 (F) 의 절결부 (F2) 내에 돌입하여 피걸림부 (F3A) 와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A) ∼ (C) 에 나타나는 상태, 즉 커넥터 (1) 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형 도체 (F) 를 커넥터 (1) 로부터 의도하여 발출할 때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회동시켜, 개방 위치 (도 4(C) 참조) 에 가져온다.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5) 의 걸림부 (45A) 는 평형 도체 (F) 의 절결부 (F2) 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 위치한다. 요컨대,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3A) 에 대한 걸림부 (45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평형 도체 (F)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를 후방으로 당기면, 그 평형 도체 (F) 를 용이하게 커넥터 (1) 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 (30) 는, 하방으로부터의 제 2 접촉부 (31A) 로의 도금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피유지 아암부 (32) 의 지지부 (32C) 에 절결부 (32C-1) 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하방으로부터의 도금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분은 상기 서술한 절결부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A), (B) 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130) 를 단체로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저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130) 는, 지지부 (132C) 에 구멍부 (132C-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점에서, 지지부 (32C) 에 절결부 (32C-1) 가 형성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30) 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제 2 단자 (130) 는, 지지부 (132C) 를 제외하고, 본 실시형태의 제 2 단자 (30) 와 기본적인 형상이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지지부 (132C) 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 2 단자 (30) 에 있어서의 부호에 「1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130) 의 피유지 아암부 (132) 의 지지부 (132C) 는, 그 양측 가장자리가 그 피유지 아암부 (132) 의 다른 부 (전단측 부분 (132A) 및 후단측 부분 (132B))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다른 부보다 단자 폭 치수가 커, 폭 넓게 되어 있다. 그 지지부 (132C) 의 단자 폭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그 지지부 (132C) 를 그 판두께 방향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 (132C-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멍부 (132C-1) 는, 제 2 단자 (130) 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 제 2 접촉부 (131A) 의 일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지지부 (132C) 에는, 구멍부 (132C-1) 의 범위에, 상기 제 2 접촉부 (131A) 의 일부에 대해 중복되지 않는 범위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2 단자 (130) 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구멍부 (132C-1) 를 통하여 제 2 접촉부 (131A) 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어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단자 (130) 에서는, 피유지 아암부 (132) 보다 하방으로부터 구멍부 (132C-1) 를 통하여 제 2 접촉 아암부 (131) 의 제 2 접촉부 (131A) 의 접촉면을 향하여, 도금 재료를 분사하거나 함으로써, 그 접촉면에 도금 재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결과, 도금 재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제 2 접촉부 (131A) 의 접촉면 (하면) 및 그 근방에 그치게 할 수 있으므로,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 (132C)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유지 아암부 (132) 에 있어서의 다른 부보다 단자 폭 방향에서 커 폭 넓게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 (132C) 자체의 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 (132C) 에 구멍부 (132C-1) 가 형성되고 있어도, 그 지지부 (132C) 는, 평형 도체 (F) 가 제 2 접촉 아암부 (131) 의 제 2 접촉부 (131A) 로부터 받는 힘 (하방을 향한 힘) 에 대해 지지부 (132C) 전체에서 충분히 대항하여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도 11(C), (D) 는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230) 를 단체로 나타내고 있고, (C) 는 사시도, (D) 는 저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230) 는, 지지부 (232C) 전체가 제 2 접촉부 (231A) 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어긋나 위치함으로써, 단자 폭 방향에서 그 제 2 접촉부 (231A) 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고, 이 점에서, 지지부 (32C) 의 절결부 (32C-1) 에 의해 제 2 접촉부 (31A) 와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30) 와는 구성이 상이하다.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2 단자 (230) 는, 피유지 아암부 (232) 를 제외하고, 본 실시형태의 제 2 단자 (30) 와 기본적인 형상이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피유지 아암부 (232) 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 2 단자 (30) 에 있어서의 부호에 「20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피유지 아암부 (232) 는, 도 11(C), (D)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의 2 위치에서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 일방의 측 (Y2 측) 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 보아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피유지 아암부 (232) 는, 전후 방향에서의 2 개의 굴곡 위치간의 범위에 지지부 (232C)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232C) 는, 도 11(D)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지지부 (232C) 전체가 제 2 접촉부 (231A) 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어긋나, 즉, 제 2 접촉부 (231A) 에 대해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2 단자 (230) 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 제 2 접촉부 (131A) 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어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단자 (230) 에서는, 피유지 아암부 (232) 보다 하방으로부터 제 2 접촉 아암부 (231) 의 제 2 접촉부 (231A) 의 접촉면 (하면) 을 향하여, 도금 재료를 분사하거나 함으로써, 그 접촉면에 도금 재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결과, 도금 재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제 2 접촉부 (231A) 의 접촉면 및 그 근방에 그치게 할 수 있으므로, 도금 재료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1 커넥터
10 하우징
16C-1 축 규제면
17A 받아들임부
18 수용부
18A 외측 수용부
18A-1 전방 내벽면
18A-2 후방 내벽면
18B 내측 수용부
18C 중간 수용부
20 제 1 단자
21 제 1 접촉 아암부
21A 제 1 접촉부
21B 후단
30 제 2 단자
31 제 2 접촉 아암부
31A 제 2 접촉부
31B 후단
32 피유지 아암부
32C 지지부
32C-1 절결부
40 가동 부재
46 돌조부
46A 제 1 홈부
46B 제 2 홈부
47 회동 축부
47A 제 1 축부
47B 제 2 축부
47C 제 3 축부
47D 제 4 축부
50 금구
51 이동 규제부
52 전방 피유지부
52A 전방 굴곡부
53 후방 피유지부
53A 후방 상굴곡부
53B 후방 하굴곡부
130 제 2 단자
131 제 2 접촉 아암부
131A 제 2 접촉부
132 피유지 아암부
132C 지지부
132C-1 구멍부
230 제 2 단자
231 제 2 접촉 아암부
231A 제 2 접촉부
232 피유지 아암부
232C 지지부
F 평형 도체
C1 전후 방향 간극
C2 전후 방향 간극
C3 상하 방향 간극

Claims (6)

  1. 상대 접속체가 전기 커넥터에 향하여 전방으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 금속판 부재가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병행하여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2 개의 아암부와, 그 2 개의 아암부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양 아암부간으로의 후방으로부터의 상대 접속체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고,
    상기 2 개의 아암부 중 일방의 아암부는, 전후 방향에서 타방의 아암부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 그 타방의 아암부측에 위치하는 압연면에서 상대 접속체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아암부는, 상기 단자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후 방향에서 상기 일방의 아암부의 상기 접촉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상기 접촉부와 접촉한 상대 접속체를 상기 일방의 아암부측에 위치하는 압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지지부의 판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타방의 아암부에 있어서의 다른 부보다 단자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지지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있고, 그 절결부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그 지지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고 있고, 그 구멍부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아암부의 지지부는, 단자 폭 방향에서 그 타방의 아암부에 있어서의 다른 부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단자 폭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단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00025846A 2019-03-07 2020-03-02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468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1236A JP6990203B2 (ja) 2019-03-07 2019-03-07 端子及び該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JP-P-2019-041236 2019-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15A KR20200107815A (ko) 2020-09-16
KR102468460B1 true KR102468460B1 (ko) 2022-11-17

Family

ID=7235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846A KR102468460B1 (ko) 2019-03-07 2020-03-02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90203B2 (ko)
KR (1) KR102468460B1 (ko)
CN (1) CN111668625A (ko)
TW (1) TW2020465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695A (ja) 2004-01-30 2005-08-11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回路基板
JP2014041731A (ja) * 2012-08-22 2014-03-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7468B1 (en) * 1994-12-15 2002-01-23 The Whitaker Corporation Make-first-break-last ground connections
JP4859261B1 (ja) * 2010-10-20 2012-0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2013098088A (ja) * 2011-11-02 2013-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端子金具
JP6272660B2 (ja) 2013-05-17 2018-01-3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ネクタ
JP6215681B2 (ja) * 2013-12-12 2017-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製造方法及び端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695A (ja) 2004-01-30 2005-08-11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回路基板
JP2014041731A (ja) * 2012-08-22 2014-03-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15A (ko) 2020-09-16
JP2020145079A (ja) 2020-09-10
JP6990203B2 (ja) 2022-01-12
TW202046572A (zh) 2020-12-16
CN111668625A (zh)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EP22421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KR101727363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150009993A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US11018449B2 (en) Connector
US8784133B2 (en) Connector
KR102468460B1 (ko)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6985320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936824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8531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8531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2302300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16076318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KR20190101877A (ko) 커넥터
JP7417196B2 (ja) コネクタ
CN111755865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EP4362234A1 (en) Connector
JP2020092045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