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935B1 - 운전실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운전실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935B1
KR102626935B1 KR1020217025155A KR20217025155A KR102626935B1 KR 102626935 B1 KR102626935 B1 KR 102626935B1 KR 1020217025155 A KR1020217025155 A KR 1020217025155A KR 20217025155 A KR20217025155 A KR 20217025155A KR 102626935 B1 KR102626935 B1 KR 10262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inclined portion
operator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315A (ko
Inventor
히데아키 미야모토
마코토 사사키
히로아키 다나카
노리히로 이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1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7Transversal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운전실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운전석(31)과,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고, 적어도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조작 레버(41)와, 상면(52)을 가지고, 운전석(31)의 측방에, 또한, 조작 레버(41)의 후방에 설치되는 암레스트(51)를 포함한다. 상면(52)의 전방부(52F)의 폭은, 상면(52)의 후방부(52R)의 폭보다 크다. 상면(52)의 전방부(52F)는 경사부(81)를 가진다.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는, 운전석(31)을 향함에 따라서 낮아진다.

Description

운전실 및 작업 차량
본 개시는, 운전실 및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07-15301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오퍼레이터 시트와, 오퍼레이터 시트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콘솔 박스와, 우측 콘솔 박스에 설치된 암레스트(armrest) 및 작업기 레버를 구비하는 휠 로더(wheel loader)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7-153016호 공보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휠 로더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시트에 착석하고, 암레스트에 팔(팔꿈치로부터 손목에 걸친 전완(前腕))을 두면서 작업기 레버를 조작한다. 그러나, 오퍼레이터의 팔의 위치 및 기울기는, 작업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된다. 그러므로, 작업기 레버를 조작할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의 움직임이 암레스트에 의해 저해되고, 오퍼레이터가 작업기 레버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개시의 목적은, 조작부가 원활하게 조작되는 운전실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운전실은 운전석과, 조작부와, 암레스트를 구비한다. 운전석은 바닥면 상에 설치된다. 조작부는 운전석의 측방에 형성된다. 조작부는 적어도 운전석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암레스트는 상면을 가진다. 암레스트는, 운전석의 측방, 또한, 조작부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면의 전방부의 폭은, 상면의 후방부의 폭보다 크다. 상면의 전방부는 경사부를 가진다.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의 높이는, 운전석을 향함에 따라서 낮아진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 차량은, 상기의 운전실과, 조작부에 의해 제어되는 작업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조작부가 원활하게 조작되는 운전실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4]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 도 4 중의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 도 4 중의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 좌우의 조작 레버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 도 9 중의 화살표 X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 도 9 중의 화살표 XI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3] 도 9 중의 화살표 XII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4] 도 9 중의 화살표 XIV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전면(前面)도이다.
[도 15] 도 9 중의 화살표 XV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 전후 방향으로 동작하는 조작 레버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7] 전후 방향으로 조작 레버를 동작시키는 오퍼레이터의 팔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8] 중립 포지션에 위치결정된 조작 레버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9] 상면의 최정상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20]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좌측면도이다.
[도 21]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좌측면도이다.
[도 22] 서로 다른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착석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23] 도 10 중의 2점쇄선 XXIII로 둘러싸인 범위의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도 23 중의 XXIV-XXIV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5] 좌우 방향으로 동작하는 조작 레버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같은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유압 셔블의 전체 구조의 설명]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서의 유압 셔블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차량 본체(11)와, 작업기(12)를가진다. 차량 본체(11)는 선회체(旋回體)(13)와, 주행 장치(15)를 가진다.
주행 장치(15)는, 한 쌍의 크롤러 벨트(crawler belt)(15Cr)와, 주행 모터(15M)를 가진다. 유압 셔블(100)은 크롤러 벨트(15Cr)의 회전에 의해 주행 가능하다. 주행 모터(15M)는, 주행 장치(15)의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장치(15)가 차륜(타이어)을 가져도 된다.
선회체(13)는 주행 장치(15) 위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13)는, 선회 중 심(26)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 장치(15)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다. 선회 중심(2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선회체(13)는 운전실(캡)(14)을 가진다. 운전실(14)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운전실(14) 내에는, 운전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31)은, 운전실(14)의 바닥면(30) 위에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석(31)에 착석하여, 유압 셔블(100)을 조작한다.
그리고, 본 개시는, 운전석이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타입의 작업 차량의 운전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선회체(13)는 엔진 후드(19)와, 선회체(13)의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가진다. 엔진 후드(19)에는, 엔진, 작동유 탱크, 에어 클리너 및 유압 펌프 등이 수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차량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선회체(13)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지면의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한다. 작업기(12)는 붐(boom)(16)과, 암(17)과, 버킷(18)을 가진다.
붐(16)은 붐 핀(23)을 통하여, 차량 본체(11)(선회체(13))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17)은 암 핀(24)을 통하여, 붐(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18)은 버킷 핀(25)을 통하여, 암(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업기(12)는, 붐 실린더(20A) 및 붐 실린더(20B)와, 암 실린더(21)와, 버킷 실린더(22)를 더 구비한다.
붐 실린더(20A), 붐 실린더(20B), 암 실린더(21) 및 버킷 실린더(22)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이다. 붐 실린더(20A) 및 붐 실린더(20B)는, 붐(16)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붐(16)을 회동 동작시킨다. 암 실린더(21)는 암(17)을 회동 동작시킨다. 버킷 실린더(22)는 버킷(18)을 회동 동작시킨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이다.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정면 방향이 전방이며,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배후 방향이 후방이다. 좌우 방향(측방)이란,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이다.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향했을 때의 우측이 오른쪽이며,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향했을 때의 좌측이 왼쪽이다.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지면이 있는 측이 하방이며, 비어 있는 측이 상방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31)은 시트 쿠션(33)과, 시트 백(seat back)(32)과, 헤드레스트(35)와, 서스펜션 기구부(36)를 가진다.
시트 쿠션(33)은, 오퍼레이터가 허리를 내리놓는 시트 부위이다. 시트 백(32)은, 시트 쿠션(33)의 후방단(後方端)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설치되어 있다. 시트 백(32)은 오퍼레이터의 의자 등이 되는 시트 부위이다. 헤드레스트(35)는 시트 백(32)의 상방단(上方端)에 장착되어 있다. 헤드레스트(35)는, 오퍼레이터의 머리를 지탱하는 시트 부위이다.
서스펜션 기구부(3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시트 쿠션(33) 및 바닥면(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 기구부(36)는, 시트 쿠션(3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운전실(14)은 콘솔(37(37R, 37L))과, 조작 레버(41(41R, 41L))를 가진다. 콘솔(37)은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콘솔(37R)은 운전석(31)의 우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콘솔(37L)은 운전석(31)의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콘솔(37R) 및 콘솔(37L)은, 운전석(31)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콘솔(37)은 하우징 형상을 가진다. 콘솔(37)은 상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고, 좌우 방향이 폭 방향으로 되는 장척(長尺) 형상을 가진다. 콘솔(37)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시트 쿠션(33)을 올라타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콘솔(37)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시트 쿠션(33) 및 시트 백(32)과 겹치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시트 쿠션(33) 위의 공간은 콘솔(37R), 시트 백(32) 및 콘솔(37L)에 의해, 각각, 우측방, 후방 및 좌측방의 3방향을 둘러싸이고, 전방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R)는 운전석(31)의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L)는 운전석(31)의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R) 및 조작 레버(41L)는, 운전석(31)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콘솔(37)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콘솔(37)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41)는 콘솔(37)의 후방단보다도, 콘솔(37)의 전방단(前方端)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시트 백(32)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시트 쿠션(33)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그립부(42)를 가진다. 그립부(42)는, 오퍼레이터가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립부(42)는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축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립부(42)는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그립부(42)는, 중심축(110)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는, 그립부(42)의 하방단(下方端) 쪽을 중심으로 하여 경도(傾倒) 가능하다.
그리고, 그립부(42)는 상기의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심축(110)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옆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되어도 되고, 궁형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져도 된다.
도 6은, 도 4 중의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4 중의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좌우의 조작 레버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41)는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동작한다. 조작 레버(41)는 오퍼레이터에 조작됨으로써, 작업기(12)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 조작 레버(41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전방으로 시프트(shift)한 전측(前側) 포지션(41B: 조작 레버(41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후방으로 시프트한 후측(後側) 포지션(41C: 조작 레버(41C)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41)는, 전측 포지션(41B) 및 후측 포지션(41C)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작업기(12)를 작동시킨다. 조작 레버(41)는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탄성력을 받아, 전측 포지션(41B) 및 후측 포지션(41C)으로부터 중립 포지션(41A)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작업기(12)를 정지시킨다.
일례로서, 왼쪽의 조작 레버(41L)가 전측 포지션(41B)에 위치결정되면, 암(17)의 덤프 동작이 실행되고, 왼쪽의 조작 레버(41L)가 후측 포지션(41C)에 위치결정되면, 암(17)의 굴삭 동작이 실행된다. 오른쪽의 조작 레버(41R)가 전측 포지션(41B)에 위치결정되면, 붐(16)의 하강 동작이 실행되고, 오른쪽의 조작 레버(41R)가 후측 포지션(41C)에 위치결정되면, 붐(16)의 상승 동작이 실행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41)는 적어도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조작 레버(41)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한다. 조작 레버(41)는 오퍼레이터에 조작됨으로써, 작업기(12)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 조작 레버(41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좌우 방향을 따라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이하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이라고도 함)으로 시프트한 내측 포지션(41D: 조작 레버(41D)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하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른 외측」라고도 함)으로 시프트한 외측 포지션(41E: 조작 레버(41E)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41)는, 내측 포지션(41D) 및 외측 포지션(41E)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작업기(12)를 작동시킨다. 조작 레버(41)는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탄성력을 받아, 내측 포지션(41D) 및 외측 포지션(41E)으로부터 중립 포지션(41A)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작업기(12)를 정지시킨다.
일례로서, 왼쪽의 조작 레버(41L)가 내측 포지션(41D)에 위치결정되면, 작업기(12)의 우선회가 실행되고, 왼쪽의 조작 레버(41L)가 외측 포지션(41E)에 위치결정되면, 작업기(12)의 좌선회가 실행된다. 오른쪽의 조작 레버(41R)가 내측 포지션(41D)에 위치결정되면, 버킷(18)의 굴삭 동작이 실행되고, 오른쪽의 조작 레버(41R)가 외측 포지션(41E)에 위치결정되면, 버킷(18)의 덤프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포지션 사이의 중간 위치에도 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왼쪽의 조작 레버(41L)는, 전측 포지션(41B)과 외측 포지션(41E) 사이의 중간 위치에도 경도 가능하며, 이 경우, 암(17)의 덤프 동작과, 작업기(12)의 좌선회가 동시에 실행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실(14)은 암레스트(51(51R, 51L))를 더 구비한다.
암레스트(51)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R)는 운전석(31)의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L)는 운전석(31)의 좌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조작 레버(4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R)는 조작 레버(41R)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L)는 조작 레버(41L)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R) 및 암레스트(51L)는, 운전석(31)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암레스트 지지부(53)를 통하여, 콘솔(37)에 장착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콘솔(37)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면에서 볼 때, 암레스트(51)는 콘솔(37)의 전방단보다도, 콘솔(37)의 후방단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시트 쿠션(33)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1) 및 암레스트(51)는, 콘솔(37)의 상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조작 레버(4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오퍼레이터의 팔걸이로서 이용된다. 대표적인 형태로서, 암레스트(51)는, 암레스트(51)의 골격을 이루는 금속제의 플레이트 재료와, 탄성을 가지고, 플레이트 재료를 덮는 쿠션재(우레탄폼 등)와, 쿠션재의 표면을 싸는 커버체로 구성되어 있다.
[암레스트의 설명]
(암레스트의 전체 형상에 대하여)
계속해서, 암레스트(51)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중의 화살표 X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9 중의 화살표 XI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 중의 화살표 XII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 중의 화살표 XIV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5는, 도 9 중의 화살표 XV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좌측의 암레스트(51L)와, 우측의 암레스트(51R)는,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진다. 도 9 내지 도 15 중에는, 좌측의 암레스트(51L)가 나타내어져 있고,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좌측의 암레스트(51L)를 참조하여, 암레스트(51)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레스트(51)는 상면(52)을 가진다. 상면(52)은 상방을 향하고 있다. 상면(52)은, 오퍼레이터의 팔꿈치가 놓이는 팔걸이면을 이루고 있다. 상면(52)은 전체로서,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고, 좌우 방향이 폭 방향으로 되는 장척 형상을 가진다.
상면(52)은 전방단(71)과, 후방단(72)과, 내측방단(74)과, 외측방단(75)을 가진다.
전방단(71)은 상면(52)의 전방단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단(72)은 상면(52)의 후방단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방단(74)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에 가까운 쪽의 상면(52)의 측방단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방단(75)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로부터 먼 쪽의 상면(52)의 측방단에 위치하고 있다. 상면(52)은 전방단(71), 후방단(72), 내측방단(74) 및 외측방단(75)에 둘러싸인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암레스트(51)는 전면(61)과, 후면(62)과, 내측면(55)과, 외측면(59)을 더 구비한다.
전면(61)은 전방을 향하고 있다. 전면(61)은 좌우 방향으로 면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면(6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41)와 대향하고 있다. 후면(62)은 후방을 향하고 있다. 후면(62)은 좌우 방향으로 면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면(55)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 쪽을 향하고 있다. 내측면(55)은 전후 방향으로 면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면(55)의 전방단 및 후방단은 각각, 전면(61) 및 후면(62)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면(59)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 쪽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외측면(59)은 전후 방향으로 면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면(59)의 전방단 및 후방단은 각각, 전면(61) 및 후면(62)에 접속되어 있다.
전면(61), 내측면(55), 후면(62) 및 외측면(59)의 상방단은, 상면(52)에 접속되어 있다. 전면(61)의 상방단은, 면취면(beveled surface)(63f)을 통하여, 상면(52)의 전방단(71)에 접속되어 있다. 내측면(55)의 상방단은, 면취면(63i)을 통하여, 상면(52)의 내측방단(74)에 접속되어 있다. 후면(62)의 상방단은, 면취면(63r)을 통하여, 상면(52)의 후방단(72)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면(59)의 상방단은, 면취면(63j)를 통하여, 상면(52)의 외측방단(75)에 접속되어 있다.
면취면(63f), 면취면(63i), 면취면(63r) 및 면취면(63j)은 만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면취면(63f), 면취면(63i), 면취면(63r) 및 면취면(63j)은, 평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전면(61), 내측면(55), 후면(62) 및 외측면(59)과, 상면(52)의 코너부에는, 상기와 같은 면취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상면의 전방 경사부 및 후방 경사부에 대하여)
도 16은, 전후 방향으로 동작하는 조작 레버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52)은 전방 경사부(66)과, 후방 경사부(67)를 더 구비한다. 후방 경사부(67)는 전방 경사부(66)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66)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41) 및 후방 경사부(67)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 경사부(66)의 높이 H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을 향하면 낮아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높이 H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후방단(72)을 향하면 낮아진다.
상면(52)은 최정상부(73)를 더 구비한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최정상부(73)의 높이 Hmax는,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에 의해 변화되는 상면(52)의 높이 중에서 가장 높아진다. 상면에서 볼 때, 최정상부(73)는, 좌우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에서 볼 때, 최정상부(73)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66)는, 상면(52)의 전방단(71)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후방 경사부(67)는, 상면(52)의 후방단(72)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66)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으로부터 최정상부(73)까지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후방 경사부(67)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최정상부(73)로부터 상면(52)의 후방단(72)까지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정상부(73)는, 상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수평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전방 경사부(66) 및 후방 경사부(67)는 최정상부(73)을 통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 경사부(66)의 최소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최소 높이보다 낮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 경사부(66)의 최소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단(71)의 높이 Hf에 대응하고 있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 경사부(66)의 최대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최정상부(73)의 높이 Hmax에 대응하고 있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최소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단(72)의 높이 Hr에 대응하고 있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최대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최정상부(73)의 높이 Hmax에 대응하고 있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경사부(66)의 길이(전후 방향에서의 전방단(71) 및 최정상부(73)의 사이의 길이) L1은,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경사부(67)의 길이(전후 방향에서의 최정상부(73) 및 후방단(72)의 사이의 길이) L2보다 크다(L1>L2). 최정상부(73)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단(71)보다 후방단(72)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경사부(66)의 길이 L1은, 전후 방향에서의 암레스트(51)의 전장 L의 절반 이상의 길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경사부(67)의 길이 L2는, 전후 방향에서의 암레스트(51)의 전장 L의 절반보다 작은 길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경사부(66)의 길이 L1과,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경사부(67)의 길이 L2의 합(L1+L2)은, 전후 방향에서의 암레스트(51)의 전장 L의 80% 이상이라도 되고, 90% 이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 경사부(66)의 최소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최소 높이와 같거나,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최소 높이 이상이라도 된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경사부(66)의 길이 L1은,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 경사부(67)의 길이 L2 이하면 된다(L1≤L2). 최정상부(73)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단(71) 및 후방단(72)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후방단(72)보다 전방단(71) 가까이에 위치해도 된다.
전방 경사부(66)는, 만곡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 전방 경사부(66)는 전방단(71) 및 최정상부(73)의 사이에 있어서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경사부(67)는, 만곡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 후방 경사부(67)는 최정상부(73) 및 후방단(72) 사이에 있어서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66)를 구성하는 만곡면은 곡률 1/Ra를 가진다. 후방 경사부(67)를 구성하는 만곡면은, 곡률 1/Ra와 같은 크기의 곡률 1/Rb를 가진다(1/Ra=1/Rb). 전방 경사부(66) 및 후방 경사부(67)를 구성하는 만곡면은, 전방단(71)으로부터 후방단(72)에 걸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곡률 1/Ra는 곡률 1/Rb와 다른 크기라도 된다. 이 경우에, 곡률 1/Ra는 곡률 1/Rb보다 커도 되고(1/Ra>1/Rb), 곡률 1/Rb보다 작아도 된다(1/Ra<1/Rb). 전방 경사부(66)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만곡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후방 경사부(67)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만곡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전방 경사부(66) 및 후방 경사부(67) 중 적어도 한쪽이, 평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전방 경사부(66)는 적어도 1개의 만곡면과, 적어도 1개의 평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후방 경사부(67)는 적어도 1개의 만곡면과, 적어도 1개의 평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측 포지션(41B)의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중립 포지션(41A)의 높이보다 낮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중립 포지션(41A)의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측 포지션(41C)의 높이보다 낮다.
조작 레버(41)는, 회전 중심 G를 중심으로 하여 경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립부(42)는 선단부(43W)를 가진다. 선단부(43W)는,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서의 그립부(42)의 선단 부분이다.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 선단부(43W)는, 조작 레버(41)의 회전 중심 G의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그립부(42)의 단부이다.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 선단부(43W) 및 회전 중심 G는, 중심축(110)의 축 상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레버(41)가, 전측 포지션(41B), 중립 포지션(41A) 및 후측 포지션(41C) 사이에서 경도하는 동안에, 좌우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그립부(42)의 선단부(43W)가, 원호형의 궤적(120)을 그리며 이동한다. 이 경우에, 전방 경사부(66)를 구성하는 만곡면의 곡률 1/Ra는, 원호형의 궤적(120)의 곡률 1/r보다 작고(1/Ra<1/r), 후방 경사부(67)를 구성하는 만곡면의 곡률 1/Rb는, 원호형의 궤적(120)의 곡률 1/r보다 작다(1/Rb <1/r).
그리고, 전방 경사부(66)를 구성하는 만곡면의 곡률 1/Ra는, 원호형의 궤적(120)의 곡률 1/r 이상이라도 되고(1/Ra≥1/r), 후방 경사부(67)를 구성하는 만곡면의 곡률 1/Rb는, 원호형의 궤적(120)의 곡률 1/r 이상이라도 된다(1/Rb≥1/r).
도 17은, 전후 방향으로 조작 레버를 동작시키는 오퍼레이터의 팔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5,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일반적인 운전 자세에 있어서, 자기의 전완을 암레스트(51)의 상면(52)에 두면서, 손바닥으로 그립부(42)를 파지하여 조작 레버(41)를 조작한다.
오퍼레이터의 팔(상완)은, 견관절(C)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팔꿈치(D(Da, Db, Dc))로부터 절곡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의 팔(전완)은, 팔꿈치(D(Da, Db, Dc))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견관절(C) 및 팔꿈치(D(Da, Db, Dc)) 사이의 경사보다 수평에 가까운 경사로 연장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의 팔(전완)이 팔꿈치(D(Da, Db, Dc))로부터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끝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손바닥(E(Ea, Eb, Ec))이, 조작 레버(41)의 그립부(42)를 파지하고 있다.
도 17 중에서는,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되어 있을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이 꺾은선(310A)에 의해 표시되고, 조작 레버(41)가 전측 포지션(41B)에 위치결정되어 있을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이 꺾은선(310B)에 의해 표시되고, 조작 레버(41)가 후측 포지션(41C)에 위치결정되어 있을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이 꺾은선(310C)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전측 포지션(41B) 및 후측 포지션(41C)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 견관절(C)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그립부(42)를 파지하는 손바닥(E)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오퍼레이터의 팔꿈치(D)의 위치가, 견관절(C)을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이동하고 또한, 암레스트(51)의 상면(52) 상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팔(전완)의 위치 및 경사가 변화된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암레스트(51)의 상면(52)을, 조작 레버(41)를 전후 방향으로 동작시킬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전완)의 동작을 고려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레버(41)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전측 포지션(41B)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도시키면, 팔꿈치(D)의 위치가, 전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이동하고, 오퍼레이터의 전완이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경사진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암레스트(51)의 상면(52)이 전방 경사부(66)를 가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전방 경사부(66)의 높이 H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을 향하면 낮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방 경사부(66)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전측 포지션(41B)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도시킬 때의 오퍼레이터의 전완의 동작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므로,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전완이 상면(52)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후측 포지션(41C)을 향하여 후방으로 경도시키면, 팔꿈치(D)의 위치가 후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이동한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암레스트(51)의 상면(52)이 후방 경사부(67)를 가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후방 경사부(67)의 높이 H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후방단(72)을 향하면 낮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후방 경사부(67)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후측 포지션(41C)을 향하여 후방으로 경도시킬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꿈치의 동작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므로,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전완이 상면(52)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들로부터,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전측 포지션(41B) 및 후측 포지션(41C) 사이에 있어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전방 경사부(66)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으로부터 최정상부(73)까지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고, 후방 경사부(67)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최정상부(73)로부터 상면(52)의 후방단(72)까지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면(52)이, 그 전방단(71)과 후방단(72) 사이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 형상을 이루므로, 상면(52)의 형상을,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전측 포지션(41B) 및 후측 포지션(41C)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의 움직임에 의해 대응시킬 수 있다. 결과,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더욱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의 조작 시에, 상면(52)에 팔을 두면서, 팔의 경사를 바꾸거나, 팔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옮기려고 하면, 최정상부(73)와, 오퍼레이터의 팔 사이에 과대한 마찰 저항이 생기거나, 오퍼레이터의 팔이 최정상부(73)에 걸리는 등, 팔의 움직임이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상면에서 볼 때, 최정상부(73)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팔은, 상면(52) 위의 최정상부(73)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른 직선형의 범위에서 지탱되므로, 오퍼레이터는 용이하게 팔의 경사를 바꾸거나, 팔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옮기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경사부(66) 및 후방 경사부(67)는, 만곡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팔은, 상면(52) 위의 전방 경사부(66) 및 후방 경사부(67)에 있어서도 좌우 방향을 따른 직선형의 범위에서 지탱되므로, 오퍼레이터는 더욱 용이하게 팔의 경사를 바꾸거나, 팔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옮기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경사부(66) 및 후방 경사부(67)를 구성하는 만곡면은, 상면(52)의 전방단(71)으로부터 상면(52)의 후방단(72)까지의 사이에 걸쳐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용이하게 팔의 경사를 바꾸거나, 팔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옮기거나 하는 효과를, 오퍼레이터의 팔이 놓이는 상면(52)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한결같이 얻을 수 있다.
도 18은, 중립 포지션에 위치결정된 조작 레버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부(42)는 근원부(根元部)(44W)를 더 가진다. 근원부(44W)는,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서의 그립부(42)의 근원 부분이다.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 근원부(44W)는, 조작 레버(41)의 회전 중심 G 측에 위치하는 그립부(42)의 단부이다.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본 경우에, 근원부(44W)는 중심축(110)의 축 상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되어 있을 때의 조작 레버(41)의 근원부(44W)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전방 경사부(66)와 접하는 가상 직선(130)이 상정되고 있다. 가상 직선(130)은,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전방 경사부(66)와 접점 Q에 있어서 접하는 접선에 대응하고 있다. 상면(52)의 전방단(71)은 가상 직선(130)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되어 있을 때, 그립부(42)를 파지하는 오퍼레이터의 상완은, 조작 레버(41)의 근원부(44W)로부터 접점 Q를 향한 가상 직선(130)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면(52)의 전방단(71)이 가상 직선(130)보다 하방에 위치하므로, 상면(52)에 놓인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의 전방단(71)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전측 포지션(41B) 또는 후측 포지션(41C)을 향하여 경도될 때,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의 전방단(71)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도 19는, 상면의 최정상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최정상부(73)가 좌우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전면에서 볼 때, 최정상부(73)는 만곡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면에서 볼 때, 최정상부(73)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면(52)은 최정상부(73)와, 최정상부(73)의 전후의 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상면(52)에 놓은 팔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내측 포지션(41D) 및 외측 포지션(41E) 사이에 있어서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도 7을 참조).
(상면의 전방부에 대하여)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52)은 전방부(52F)와, 후방부(52R)를 더 구비한다. 전방부(52F)는 전방단(71)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52R)는 후방단(72)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면(52)의 전방부(52F)의 폭 B1은, 상면(52)의 후방부(52R)의 폭보다 크다 (B1>B2).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를 폭이라고 한다.
상면(52)의 전방부(52F)는 상면(52)의 후방부(52R)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운전석(31)의 중심선(101)으로부터, 상면(52)의 전방부(52F)에서의 내측방단(74)까지의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운전석(31)의 중심선(101)으로부터, 상면(52)의 후방부(52R)에서의 내측방단(74)까지의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작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내측 포지션(41D) 및 외측 포지션(41E)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 상면(52) 상에 있어서 팔꿈치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그립부(42)를 파지하는 손바닥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의 전완(손목)의 위치가, 상면(52)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린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상면(52)의 전방부(52F)의 폭 B1이, 상면(52)의 후방부(52R)의 폭 B2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작 레버(41)의 조작에 따라 오퍼레이터의 전완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어도, 상면(52)의 전방부(52F)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전완(특히 손목)을 계속해서 지탱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 중의 운전실 내의 운전석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3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31)은 콘솔(37), 조작 레버(41) 및 암레스트(51)와는 독립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31)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도 20 중에 나타낸 전단 포지션, 도 5 중에 나타낸 중간 포지션, 및 도 21 중에 나타낸 후단 포지션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체격에 맞추어, 전후 방향에서의 운전석(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0 중에는, 작은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이 나타내어지고, 도 5 중에는, 중위의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이 나타내어지고, 도 21 중에는, 큰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이 나타내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체격이 작을수록 오퍼레이터의 팔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조작 레버(41)의 조작에 있어서, 중위의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50)(도 5을 참조)는, 큰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60)(도 21을 참조)보다 전방으로 시프트한다. 또한, 작은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 (255)(도 20을 참조)는, 중위의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50)(도 5을 참조)보다 전방으로 시프트한다.
도 22는, 서로 다른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의 착석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22 중에서는, 운전석(31)에, 큰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30)가 착석한 경우와, 중위의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20)가 착석한 경우와, 작은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10)가 착석한 경우가 비교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체격이 작을수록 오퍼레이터의 어깨 폭이 좁아지므로, 조작 레버(41)의 조작에 있어서, 중위의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20)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25)는, 큰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30)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35)보다도,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시프트한다. 작은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10)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15)는, 중위의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220)의 팔꿈치가 암레스트(51)에 놓이는 위치(225)보다도,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시프트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에 있어서는, 상면(52)의 전방부(52F)는, 상면(52)의 후방부(52R)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은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31)에 착석한 경우에는, 상면(52)의 전방부(52F)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팔꿈치를 지탱할 수 있고, 큰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한 경우에는, 상면(52)의 후방부(52R)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팔꿈치를 지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자기의 체격에 관계 없이, 암레스트(51)에 팔꿈치를 놓은 채 조작 레버(41)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면(52)의 전방부(52F)는 상면(52)의 후방부(52R)보다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암레스트(51)를, 전방부(52F) 측보다 후방부(52R) 측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히 큰 체격을 가지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31)에 착석한 경우에, 오퍼레이터의 허리와, 암레스트(51) 사이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므로, 오퍼레이터의 허리가 암레스트(51)에 의해 압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0 중의 2점쇄선 XXIII로 둘러싸인 범위의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 중의 XXIV-XXIV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52)의 전방부(52F)는 경사부(81)를 가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 Hs는, 운전석(31)을 향함에 따라서 낮아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 Hs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을 향함에 따라서 낮아진다.
경사부(81)는, 상면(52)의 전방단(71) 및 내측방단(74)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81)는 최정상부(73)(도 16을 참조)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81)는 전방 경사부(66)(도 16을 참조)의 일부이다. 경사부(81)는, 상면(52)의 외측방단(75)으로부터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81)는 도 23 중의 점 S1, 점 S2 및 점 S3을 연결하는 3변으로 둘러싸이는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점 S1은, 내측방단(74) 위로서, 전방단(71)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점 S2는, 전방단(71) 위로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내측방단(74) 및 외측방단(7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점 S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내측방단(74)보다 외측방단(75) 가까이에 위치해도 되고, 내측방단(74) 및 외측방단(75)의 중간에 위치해도 되고, 외측방단(75)보다 내측방단(74) 가까이에 위치해도 된다. 점 S3은, 내측방단(74) 및 전방단(71)의 교점에 위치하고 있다. 점 S1및 점 S3 사이의 길이는, 점 S3 및 점 S2 사이의 길이보다 크다. 점 S1 및 점 S3 사이의 길이는, 점 S3 및 점 S2 사이의 길이 이하라도 된다.
경사부(81)의 폭 F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을 향하면 커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 Hs는, 점 S1 및 점 S2를 연결하는 변으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을 향하면 낮아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 Hs는, 점 S1 및 점 S2를 연결하는 변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면 낮아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 Hs는, 점 S1에서 가장 높아지고, 점 S3에서 가장 낮아진다.
상면(52)의 전방부(52F)는 수평부(82)를 더 가진다. 수평부(82) 및 경사부(81)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경사부(81)를 사이에 두고 운전석(3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82)는 경사부(81)(점 S1 및 점 S2를 연결하는 변)에 접속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암레스트(51)의 단면에 있어서, 수평부(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부(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일단(一端)에 있어서, 경사부(81)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81)는, 수평부(82)를 연장한 수평선과 각도 α를 이루고 있다. 각도 α는 0°<α<90°의 범위이다. 각도 α는 5°≤α≤30°의 범위라도 된다.
도 25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하는 조작 레버와,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내측 포지션(41D)의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중립 포지션(41A)의 높이보다 낮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중립 포지션(41A)의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외측 포지션(41E)의 높이보다 낮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서의 조작 레버(41)의 동작 영역(도 25 중의 해칭 영역(360))이, 경사부(81)와 중첩되어 있다.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된 조작 레버(4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수평부(82)와 나란하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상면(52)의 전방단(71)은, 전방단(71)이 수평부(82)에 연결되는 범위에 있어서, 외측 포지션(41E)에 위치결정된 조작 레버(41)와 중첩되어 있다.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에 위치결정된 조작 레버(41)는, 전방단(71)이 경사부(81)에 연결되는 범위에 있어서, 전방단(71)과 중첩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자기의 손바닥(왼손)에 의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그립부(42)를 파지하여,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내측 포지션(41D) 및 외측 포지션(41E)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경도시킨다. 이 때, 암레스트(51)의 상면(52) 위에서, 오퍼레이터의 손목의 위치가 변화된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암레스트(51)의 상면(52)을,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킬 때의 오퍼레이터의 손목의 움직임을 고려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레버(41)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내측 포지션(41D)을 향하여 좌우 방향에서의 내측에 경도시키면, 오퍼레이터의 손목은,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또한,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상면(52)의 전방부(52F)가 경사부(81)를 가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 Hs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을 향하면 낮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경사부(81)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내측 포지션(41D)을 향하여 좌우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경도시킬 때의 오퍼레이터의 손목의 움직임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므로,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전완이 상면(52)에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 있어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서의 조작 레버(41)의 동작 영역은, 경사부(81)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내측 포지션(41D)을 향하여 경도시킬 때, 오퍼레이터의 손목을 보다 확실하게 경사부(81) 위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전완이 상면(52)과 더욱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외측 포지션(41E)을 향하여 좌우 방향에서의 외방으로 경도시키면, 오퍼레이터의 손목은, 좌우 방향을 따른 외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운전실(14)에 있어서는, 상면(52)의 전방부(52F)가 수평부(82)를 더 가진다. 수평부(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경사부(81)를 사이에 두고 운전석(3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손목이, 좌우 방향을 따른 외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오퍼레이터의 손목을 수평부(82) 위를 통과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손목이 상면(52)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 및 외측 포지션(41E)의 사이에 있어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에 위치결정되어 있을 때, 및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전측 포지션(41B) 및 후측 포지션(41C) 사이에서 경도시킬 때, 자기의 손목을 수평부(82)에 놓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피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부(81)의 폭 F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을 향하면 커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과, 내측 포지션(41D) 및 외측 포지션(41E)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 좌우 방향에서의 오퍼레이터의 상완의 진동 폭은, 손목에 가까울수록 커지고, 팔꿈치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므로, 경사부(81)의 폭 F를 오퍼레이터의 상완의 움직임과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손목이 상면(52)과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서의 조작 레버(41)의 경도 각도는 β이다. 경사부(81)가 수평부(82)를 연장한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 α는, 조작 레버(41)의 경도 각도 β와 동등하다.
조작 레버(41)(그립부(42))는 선단부(43V)를 가진다. 선단부(43V)는, 조작 레버(41)를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서의 조작 레버(41)(그립부(42))의 선단 부분이다. 조작 레버(41)를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선단부(43V)는, 조작 레버(41)의 회전 중심 G의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41)(그립부(42))의 단부이다. 조작 레버(41)를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선단부(43V)는 중심축(110)의 축 상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 사이에 경도하는 동안에,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조작 레버(41)의 선단부(43V)가, 원호형의 궤적(380)을 그리며 이동한다. 이 경우에,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암레스트(51)의 단면에 있어서, 경사부(81)는, 조작 레버(41)의 선단부(43V)가 그리는 원호형의 궤적(380)과 동일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들의 경우, 경사부(81)의 형상을,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내측 포지션(41D)으로 조작될 때의 오퍼레이터의 손목의 움직임에 의해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더욱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81)가 수평부(82)를 연장한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 α는, 조작 레버(41)의 경도 각도 β보다 작아도 되고, 조작 레버(41)의 경도 각도 β보다 커도 된다.
[운전실 및 유압 셔블의 구성 및 효과의 정리]
운전실(14)은 운전석(31)과, 조작부로서의 조작 레버(41)와, 암레스트(51)를 구비한다. 운전석(31)은 바닥면(30) 위에 설치된다. 조작 레버(41)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된다. 조작 레버(41)는 적어도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암레스트(51)는 상면(52)을 가진다. 암레스트(51)는 운전석(31)의 측방에, 또한, 조작 레버(41)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면(52)의 전방부(52F)의 폭은, 상면(52)의 후방부(52R)의 폭보다 크다. 상면(52)의 전방부(52F)는 경사부(81)를 가진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부(81)의 높이는, 운전석(31)을 향함 따라서 낮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면(52)의 전방부(52F)의 폭이, 상면(52)의 후방부(52R)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조작 레버(41)의 조작에 따라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흔들리는 오퍼레이터의 팔을, 상면(52)의 전방부(52F)에 의해 계속해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상면(52)의 전방부(52F)에, 조작 레버(41)를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작시켰을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경사부(81)를 형성함으로써,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과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들로부터,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면(52)의 전방부(52F)는 상면(52)의 후방부(52R)보다도,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체격이 작은 오퍼레이터는, 상면(52)의 전방부(52F)에 팔꿈치를 놓고 조작 레버(41)를 조작하고, 체격이 큰 오퍼레이터는, 상면(52)의 후방부(52R)에 팔꿈치를 놓고 조작 레버(41)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는 자기의 체격에 관계 없이, 조작 레버(41)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1)는 적어도, 제1 포지션으로서의 중립 포지션(41A)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운전석(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시프트한 제2 포지션으로서의 내측 포지션(41D) 사이에서 경도 가능한 조작 레버이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내측 포지션(41D)의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중립 포지션(41A)의 높이보다 낮다.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중립 포지션(41A) 및 전측 포지션(41D)의 사이에서의 조작 레버(41)의 동작 영역이, 경사부(81)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내측 포지션(41D)으로 조작하면, 오퍼레이터의 팔(손목)이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또한,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오퍼레이터의 팔(손목)을 경사부(81) 위를 통과시킴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과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 있어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1)는 중립 포지션(41A)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운전석(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시프트한 제3 포지션으로서의 외측 포지션(41E) 사이에서 더욱 경도 가능하다.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외측 포지션(41E)의 높이는, 바닥면(30)을 기준으로 하는 중립 포지션(41A)의 높이보다 높다. 상면(52)의 전방부(52F)는 수평부(82)를 더 가진다. 수평부(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경사부(81)를 사이에 두고 운전석(31)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수평부(82)는 경사부(8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외측 포지션(41E)으로 조작하면, 오퍼레이터의 팔(손목)은 좌우 방향을 따른 외방으로, 또한,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동안, 오퍼레이터의 팔(손목)을 수평부(82) 위를 통과시킴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 및 외측 포지션(41E)의 사이에 있어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암레스트(51)의 단면에 있어서, 경사부(81)는, 수평부(82)를 연장한 수평선과 각도 α(0°<α<90°)를 이룬다. 각도 α는,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서의 조작 레버(41)의 경도 각도 β와 동등하다.
또한,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 동작하는간에,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조작 레버(41)의 선단부(43V)가 원호형의 궤적(380)을 그려서 이동한다.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암레스트(51)의 단면에 있어서, 경사부(81)는, 조작 레버(41)의 선단부(43V)가 그리는 원호형의 궤적(380)과 동일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경사부(81)의 형상을, 조작 레버(41)가 중립 포지션(41A)으로부터 내측 포지션(41D)으로 조작될 때의 오퍼레이터의 팔의 움직임에 의해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4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과 더욱 간섭하기 어려워지므로,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중립 포지션(41A) 및 내측 포지션(41D)의 사이에 있어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81)의 폭 F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면(52)의 전방단(71)을 향하면 커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조작 레버(41)를 좌우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 동작시킬 때, 좌우 방향에서의 오퍼레이터의 팔의 진동 폭은, 손목에 가까울수록 커지고, 팔꿈치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므로, 경사부(81)의 폭을 오퍼레이터의 상완의 동작과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팔이 상면(52)과 더욱 간섭하기 어려워지므로,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41)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100)은 운전실(14)과, 작업기(12)를 구비한다. 작업기(12)는 조작 레버(41)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작업기(12)를 제어할 때 조작 레버(41)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유압 셔블의 운전실에 한정되지 않고, 오퍼레이터의 팔걸이용 암레스트를 구비한 각종 작업 차량의 운전실에 적용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1 : 차량 본체
12 : 작업기
13 : 선회체
14 : 운전실
15 : 주행 장치
15Cr : 크롤러 벨트
15M : 주행 모터
16 : 붐
17 : 암
18 : 버킷
19 : 엔진 후드
20A, 20B : 붐 실린더
21 : 암 실린더
22 : 버킷 실린더
23 : 붐 핀
24 : 암 핀
25 : 버킷 핀
26 : 선회 중심
30 : 바닥면
31 : 운전석
32 : 시트 백
33 : 시트 쿠션
35 : 헤드레스트
36 : 서스펜션 기구부
37, 37L, 37R : 콘솔
41, 41L, 41R : 조작 레버
42 : 그립부
43V, 43W : 선단부
44W : 근원부
51, 51L, 51R : 암레스트
52 : 상면
52F : 전방부
52R : 후방부
53 : 암레스트 지지부
55 : 내측면
59 : 외측면
61 : 전면
62 : 후면
63f, 63i, 63j, 63r : 면취면
66 : 전방 경사부
67 : 후방 경사부
71 : 전방단
72 : 후방단
73 : 최정상부
74 : 내측방단
75 : 외측방단
81 : 경사부
82 : 수평부
100 : 유압 셔블
101 : 중심선
110 : 중심축
120, 380 : 궤적
130 : 가상 직선
210, 220, 230 : 오퍼레이터
215, 225, 235, 250, 255, 260 : 위치
310A, 310B, 310C : 꺾은선
360 : 해칭 영역

Claims (8)

  1. 바닥면 상에 설치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측방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운전석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조작부; 및
    상면을 가지고, 상기 운전석의 측방에, 또한,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암레스트(armrest);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전방부의 폭은, 상기 상면의 후방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상면은, 전방 경사부와, 상기 전방 경사부보다도 후방의 후방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전방 경사부의 높이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전방단을 향하면 낮아지고,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후방 경사부의 높이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후방단을 향하면 낮아지고,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전방 경사부의 길이는,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후방 경사부의 길이보다 큰,
    운전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전방부는, 상기 상면의 후방부보다도, 상기 운전석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운전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제1 포지션과,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운전석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시프트(shift)한 제2 포지션 사이에서 경도(傾倒) 가능한 조작 레버이며,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 포지션의 높이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포지션의 높이보다 낮고,
    전후 방향으로 본 경우에,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2 포지션의 사이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 영역이, 상기 전방 경사부와 중첩되어 있는, 운전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운전석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시프트한 제3 포지션 사이에서 더욱 경도 가능하며,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3 포지션의 높이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포지션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상면의 전방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운전석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경사부에 접속되는 수평부를 더 가지는,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운전실.
  5. 제4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상기 암레스트의 단면(斷面)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경사부는, 상기 수평부를 연장한 수평선과 각도 α(0°<α <90°)를 이루고,
    상기 각도 α는,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2 포지션의 사이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경도 각도와 동등한, 운전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2 포지션의 사이에서 동작하는 동안에,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부가 원호형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고,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상기 암레스트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경사부는, 상기 원호형의 궤적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 운전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경사부의 폭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면의 전방단을 향하면 커지는,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운전실.
  8. 제1항에 기재된 운전실;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제어되는 작업기;
    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KR1020217025155A 2019-03-01 2020-02-26 운전실 및 작업 차량 KR102626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7958 2019-03-01
JP2019037958A JP7338990B2 (ja) 2019-03-01 2019-03-01 運転室および作業車両
PCT/JP2020/007636 WO2020179566A1 (ja) 2019-03-01 2020-02-26 運転室および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315A KR20210113315A (ko) 2021-09-15
KR102626935B1 true KR102626935B1 (ko) 2024-01-17

Family

ID=7227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155A KR102626935B1 (ko) 2019-03-01 2020-02-26 운전실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93915B2 (ko)
JP (1) JP7338990B2 (ko)
KR (1) KR102626935B1 (ko)
CN (1) CN113412074A (ko)
DE (1) DE112020000338T5 (ko)
WO (1) WO2020179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8989B2 (ja) * 2019-03-01 2023-09-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運転室および作業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2562A (ja) * 2009-05-11 2010-11-18 Yanmar Co Ltd 操作ユニット
JP2015096421A (ja) 2015-01-15 2015-05-2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20160355111A1 (en) * 2015-08-17 2016-12-08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for a sea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96613A (en) * 1955-11-16 1958-06-18 Mabel Louise Lav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rm rests
NZ194573A (en) 1979-08-31 1984-07-06 Massey Ferguson Services Nv Cab for agricultural industrial or construction vehicle:door hinge axis inclined
JP2980858B2 (ja) * 1997-03-13 1999-11-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建設車両の操作用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H11296246A (ja) * 1998-04-06 1999-10-2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運転操作装置
JP3783189B2 (ja) 1998-05-08 2006-06-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JP3352041B2 (ja) * 1998-11-11 2002-1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モノレバー操縦装置
USH1831H (en) * 1998-12-18 2000-02-01 Caterpillar Inc. Ergonomic motor grader vehicle control apparatus
JP4699884B2 (ja) 2005-12-01 2011-06-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20080023250A1 (en) 2006-07-31 2008-01-31 Hefner Robert E Ergonomic machine control console
CN101289068A (zh) 2008-03-18 2008-10-22 刘旗周 乘用车
US20100052356A1 (en) * 2008-09-04 2010-03-04 Caterpillar Inc. Suspension system for a seat assembly including an array of fluid chambers and machine using same
US8714049B2 (en) 2011-02-11 2014-05-06 Cnh Industrial America Llc Adjustable control system
JP2013183682A (ja) 2012-03-07 2013-09-19 Kubota Corp 作業車
GB2514356B (en) * 2013-05-20 2017-01-11 William Mcmillan Nigel An armrest and armrest pad
US10555372B2 (en) * 2016-05-09 2020-02-04 Daechang Co., Ltd. Armres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569881B2 (en) * 2016-10-18 2020-02-25 Molon Labe, Llc Staggered aircraft seat assembly
US11540439B2 (en) * 2018-07-18 2023-01-03 Ariens Company Lawn mower including a control panel and movable seat
EP3966048A4 (en) * 2019-05-09 2022-08-10 Ariens Company COMMERCIAL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220388433A1 (en) * 2019-10-25 2022-12-08 Safran Seats Usa Llc Passenger seat armrest with a multi-zone top surface
US11447052B2 (en) * 2020-03-13 2022-09-20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Adjustable width control pod bracket assembly
JP2023023333A (ja) * 2021-08-05 2023-02-16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構造
KR102509694B1 (ko) * 2021-09-16 2023-03-14 주식회사 다온티앤티 캠핑카용 보조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2562A (ja) * 2009-05-11 2010-11-18 Yanmar Co Ltd 操作ユニット
JP2015096421A (ja) 2015-01-15 2015-05-2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20160355111A1 (en) * 2015-08-17 2016-12-08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for a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8990B2 (ja) 2023-09-05
US11993915B2 (en) 2024-05-28
KR20210113315A (ko) 2021-09-15
JP2020138711A (ja) 2020-09-03
CN113412074A (zh) 2021-09-17
DE112020000338T5 (de) 2021-09-23
WO2020179566A1 (ja) 2020-09-10
US20220136209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571B2 (en) Ergonomic machine control console
EP3815966A1 (en) Work vehicle
JP5921791B1 (ja) キャブおよびブルドーザ
EP3396073B1 (en) Device for operating construction machine
KR102626935B1 (ko) 운전실 및 작업 차량
US20020145325A1 (en) Armrest structure
JPWO2017141420A1 (ja) 作業車両の操作装置
KR102641400B1 (ko) 캡 및 작업 차량
US20220009564A1 (en) Housing body and working machine
WO2020085197A1 (ja) 作業車両
WO2020179565A1 (ja) 運転室および作業車両
KR102623758B1 (ko) 소형 로더
WO2023100602A1 (ja) キャブ及び作業機械
JP2006103423A (ja) 座席の水平制御装置
JPH0827839A (ja)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2006006721A (ja) 建設機械の運転装置
JP2023155554A (ja) 作業機械およびキャブ
JP378803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4322730A (ja) 建設機械の運転席装置
JPH07186791A (ja) 作業車の運転座席
JP2000257119A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H0568734U (ja) 建機操縦用座席
JPH0530249U (ja) 建機の操縦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