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82B1 - 예인선 - Google Patents

예인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82B1
KR102617282B1 KR1020227044388A KR20227044388A KR102617282B1 KR 102617282 B1 KR102617282 B1 KR 102617282B1 KR 1020227044388 A KR1020227044388 A KR 1020227044388A KR 20227044388 A KR20227044388 A KR 20227044388A KR 102617282 B1 KR102617282 B1 KR 10261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guide
tugboat
hull
marin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399A (ko
Inventor
토마스 뱅스룬
Original Assignee
스빗처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빗처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스빗처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3000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06Power 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021/566Towing or pushing equipment comprising running ropes or chains, e.g. endless, driven by ground-born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양 선박(2)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예인선(1)이 설명된다. 예인선은 외주(P)(perimeter)를 갖는 선체(11)를 포함한다. 예인선(1)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을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을 또한 포함한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해양 선박(2)의 라인(20)을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내뻗는 또는 내뻗도록 위치 가능하다.

Description

예인선{TUGBOAT}
본 발명은 해양 선박들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예인선들에 관한 것이다.
예인선은 다른 선박을 밀거나 견인하여 다른 선박을 조종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다른 선박은 혼잡한 항구 또는 좁은 운하의 컨테이너선과 같이 자체 추진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거나 폐선과 같이 자체 추진으로 이동할 수 없을 수 있다.
예인선이 다른 선박(이를테면 컨테이너선)을 견인할 수 있으려면, 예인선과 다른 선박 사이에 견인용 라인이 연장되어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견인용 라인을 제공하는 한 가지 방식은 선박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강도(및 일반적으로 직경)의 라인들의 연속적인 교환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히빙 라인(예를 들어, 12 밀리미터 직경의)의 단부가 다른 선박, 이를테면 다른 선박의 이를테면 이물 또는 고물로부터 예인선으로 던져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빙 라인의 단부는 통상적으로 다른 선박으로부터 예인선 상, 이를테면 예인선의 갑판 상의 유능한 선원(AB, able-bodied seaman)으로 던져진다. AB는 히빙 라인을 잡아서 그것을 예인선 상에 보관된 메신저 라인(예를 들어, 24 밀리미터 직경의)에 묶는다. 메신저 라인은 예인선 상에 또한 보관되고 그것에 부착되는 견인용 라인(예를 들어, 76 밀리미터 직경의)에 부착된다. 히빙 라인, 그리고 그 후 메신저 라인 그리고 그 다음 견인용 라인은 그 다음 예를 들어 다른 선박의 캡스턴을 사용하여, 다른 선박까지 잡아 당겨진다. 그 다음 견인용 라인은 이를테면 다른 선박 상의 볼라드 위에 배치되어, 다른 용기에 부착된다. 그 다음 예인선은 다른 선박을 그 사이에 연장된 견인용 라인을 사용하여 조종할 수 있다.
다른 선박의 히빙 라인은 보통 경량이고 바람에 민감하기 때문에, 히빙 라인을 예인선을 향해 정확하게 던지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를테면 히빙 라인에 큰 매듭("몽키 포우(monkey paw)" 또는 "몽키 피스트(monkey's fist)"이라고도 함)을 묶어 던져질 히빙 라인 끝의 무게를 늘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몽키 피스트 매듭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금속 물체들 예를 들어 볼트들과 같은 추가 무게를 매듭에 포함시켜 히빙 라인의 끝을 정확하게 던지도록 돕는다. 그러나, 이는 AB가 히빙 라인의 몽키 피스트에 치일 경우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극단적인 경우들에서는, 예인선 자체, 이를테면 그것의 갑판이 무거운 몽키 피스트의 충격으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상 또는 대형 항구에서라도 상황들로 인해 예인선 선원이 메신저 라인과 같은 예인선의 라인을 홀딩하거나, 예인선의 라인을 다른 선박의 라인, 이를테면 히빙 라인에 정렬시키고 묶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허문헌 1: ES 1023207U호(1993.06.16 공개) 특허문헌 2: NL 1010650C1호(2000.08.01 공개)
본 발명은 해양 선박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예인선을 제공하며, 상기 예인선은: 외주(perimeter)를 갖는 선체, 및 상기 해양 선박의 라인을 상기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상기 선체로부터 떨어져 내뻗는 또는 내뻗도록 위치 가능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을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라인(이를테면 히빙 라인(heaving line))은 상기 예인선의 갑판 또는 상기 갑판에 서 있는 AB 또는 다른 선원을 향해서가 아니라,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을 향해 던져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상기 해양 선박으로부터 던져지는 라인에 의해, 상기 예인선 상의 선원들이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적어지고, 상기 예인선 자체가 손상될 가능성이 적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은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이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에 있을 때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과 체결하기 위한 라인 체결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또는 각 가이드 디바이스는 상기 선체로부터 내뻗는 또는 내뻗도록 위치 가능한 가이드 아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아암은 상기 선체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아암은 상기 선체에 관해 회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아암은 상기 가이드 아암 말단의 단부를 상기 예인선의 이물과 고물 방향에서 연장되는 축을 향해 피벗점으로 그리고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선체에 관해 상기 피벗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추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은 상기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상기 가이드 아암들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각 가이드 디바이스는 상기 라인을 각각의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를 따라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의 상기 가이드 아암에 관해 이동 가능한 보조 가이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가이드는 상기 라인을 각각의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를 따라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의 상기 가이드 아암에 관해 회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상기 보조 가이드들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상기 선체에 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상기 보조 가이드들의 움직임 동안, 상기 보조 가이드들은 상기 보조 가이드들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따라 이동하는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상기 보조 가이드들 각각은 포물선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아암은 상기 선체에 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선체에 관해 상기 가이드 아암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구동 메커니즘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예인선은 상기 선체 및 각각의 상기가이드 디바이스의 상기 가이드 아암에 관한 상기 보조 가이드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예인선은 상기 구동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을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상기 선체로부터 멀어져 내뻗는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상기 선체로부터 멀어져 내뻗지 않거나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전개 위치보다 더 적은 정도로 내뻗는 넣어진 위치(stow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선체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이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이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에 있을 때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을 제2 라인에 커플링하기 위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은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에 커넥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랑니을 상기 제2 라인에 커플링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상기 예인선의 라인의 일 부분의 움직임을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한 작동 위치로 상기 선체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예인선의 상기 라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을 가이딩할 수 있는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바꾸기 위해 상기 선체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상기 해양 선박의 상기 라인을 가이딩할 수 있는 상기 외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바꾸기 위해 상기 선체에 관해 상기 선체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축은 상기 예인선의 요 축(yaw axis)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예인선의 라인 핸들링 시스템의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예인선의 선체의 갑판 상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넣어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인선의 일례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예인선의 라인의 일 부분을 선체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작동 위치로 이동된 도 1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선체로부터 멀어져 예인선이 해양 선박의 라인을 선체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안착해 있는 물 위에 내뻗는 전개 위치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이 이동된 도 2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인선의 라인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에 의해 선체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가이딩되었음이 보일 수 있는 도 3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이제 예인선이 해양 선박에 인접하고 해양 선박의 라인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의 두 개의 가이드 아암 중 하나 위에 걸쳐지는 도 3 및 도 4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이다;
도 6은 해양 선박의 라인이 걸쳐지는 가이드 아암이 가이드 아암의 말단부가 예인선의 이물과 고물 방향에서 연장되는 축에 더 가깝도록 선체에 관해 회전된 도 5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의 보조 가이드들이 해양 선박의 라인을 가이드 아암을 따라 선체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가이드 아암에 관해 회전된 도 6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보조 가이드들이 해양 선박의 라인을 가이드 아암으로부터 들어올리고 라인을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더 옮기기 위해 가이드 아암에 관해 더 회전된 도 7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의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이 라인 체결자(line engager)가 라인들과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의 커플링 존의 정렬을 돕도록 이동된 도 8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이다;
도 10은 명료성을 위해 라인 핸들링 시스템의 여러 다른 구성요소는 제외되고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춘 도 9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확대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에 의해 커넥터를 사용하여 결합된 라인들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2는 예인선의 라인 핸들링 시스템이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가고, 라인들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의 커플링 존에서 제거된 도 10의 예인선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13은 몽키 피스트 매듭(monkey's fist knot)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인선(1)의 일례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예인선(1)은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양 선박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예인선(1)은 외주(P)를 갖는 선체(1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는, 선체(11)의 외주(P)의 적어도 일부가 예인선(1)의 펜더(fender)에 의해 획정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펜더가 생략될 수 있다. 예인선(1)은 또한 외주(P) 내에 갑판(12) 및 갑판(12) 상에 조타실(18)을 갖는다. 예인선(1)은 라인들(15)을 보관하기 위한 한 쌍의 라인 보관소(16)를 더 갖는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보관소들(16) 각각은 윈치(winch)의 형태이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보관소들(16)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 이를테면 스풀(spool)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서플라이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보관소들(16)은 갑판(12) 상에 위치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보관소들(16)은 다른 곳, 이를테면 갑판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둘보다 많은 라인 보관소(16), 또는 단지 하나의 라인 보관소(16)가 있거나 또는 라인 보관소(16)가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들)(15)은 쓰이지 않을 때, 갑판(12) 자체 상에 간단히 보관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보관소들(16)에 의해 보관되는 라인들(15)은 견인용 라인들(tow lines)(15)(당업계에서는 예인용 라인들(towing lines)이라고도 함)이다. 견인용 라인들(15)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음 임의의 견인용 라인들(15)일 수 있고, 강하고 부유하기에 충분히 가벼운 합성 재료를 가질 수 있다. 견인용 라인들(15)은 예를 들어, 각각 76 밀리미터 직경들을 가질 수 있다. 도면들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견인용 라인들(15)의 각각의 자유 단부들은 예를 들어 보조될 해양 선박의 볼라드들에 견인용 라인들(15)의 자유 단부들의 부착을 돕기 위해 스플라이스 아이(splice eye)와 같은 아이를 가질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견인용 라인들(15)의 추가 세부 사항들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예인선(1)은 또한 추가 라인(13)(이러한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인)을 지닌다. 메신저 라인(13)은 예를 들어, 24 밀리미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메신저 라인(13)은 견인용 라인(15)을 예인선(1)으로부터 예인선(1)에 의해 보조될 해양 선박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은 쓰이지 않을 때, 갑판(12) 자체 상에 보관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메신저 라인(13)은 갑판(12) 상 또는 갑판 아래의 라인 보관소와 같은 다른 곳에 보관될 수 있다. 도 1에서, 메신저 라인(13)은 제1 단부가 견인용 라인(15) 중 하나의 자유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견인용 라인(15)의 자유 단부가 아이를 가질 때, 메신저 라인(13)의 제1 단부가 아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메신저 라인(13)은 견인용 라인(15)에 부착되지 않거나, 적어도 처음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메신저 라인(13)의 반대쪽의 제2 단부는 선체(11)의 외주(P)에 매달리거나 위에 걸쳐지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은 예인선(1)의 선수 끝에 제공된다. 그러나, 메신저 라인(13)은 예인선(1)이 예인선(1)이 안착한 물에 관해 움직임으로 인해, 물에 의해 선수의 중심으로부터 예인선(1)의 우현 측을 따라 선미를 향해 끌어 당겨졌다. 일부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은 제공될 때 선체 상에, 이를테면 펜더 상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홈, 리브 또는 다른 특징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예인선(1)의 좌현 또는 우현 측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막히거나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메신저 라인(13)이 선수로부터 얼만큼 멀리 이동할 수 있는지를 수용하고 제한할 수 있다.
메신저 라인(13)의 제2 단부는 메신저 라인(13)의 제2 단부의 부유를 돕기 위한 부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의 일 부분은 눈에 띄게 착색될 수 있다. 메신저 라인(13)의 이러한 부분은 메신저 라인(13)의 제2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예를 들어, 대략 1 미터) 연장될 수 있다. 메신저 라인(13)의 이렇게 눈에 띄는 부분은 예인선(1)의 AB 또는 승무원이 메신저 라인(13)의 위치, 특히 메신저 라인(13)이 쓰이지 않을 때 정확하게 넣어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메신저 라인(13)의 부력 요소 및/또는 눈에 띄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서, 메신저 라인(13)의 중간 부분은 갑판(12) 상의 비트(bitt) 또는 다른 가이드(14)를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트 또는 가이드(14)는 메신저 라인(13) 및 견인용 라인들(15)을 사용 중 라인 보관소들(16)로부터 가이딩하는 것을 돕고, 또한 견인용 라인들(15)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예인선(1)에 안전하게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메신저 라인(13)은 비트 또는 다른 가이드(14)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열되지 않을 수 있거나, 비트 또는 다른 가이드(14)가 생략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메신저 라인(13)의 추가 세부 사항들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예인선(1)은 또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을 갖는다.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1)에 관해 작동 위치로 이동 가능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을 포함한다. 작동 위치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의 예인선(1)의 라인의 일 부분의 움직임을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하여 가이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에 의해 가이딩될 예인선(1)의 라인은 메신저 라인(13)이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메신저 라인(13) 이외의 예인선의 라인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에 의해 가이딩될 수 있다. 예인선(1)의 라인을 이러한 방식으로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또는 부근에 위치시키면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예인선(1)의 라인과 예인선(1)에 의해 보조될 해양 선박의 라인의 후속 결합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은 예인선(11)의 이물과 고물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A-A) 상의 선체(11)의 선수 단부에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은 예를 들어, 예인선(1)의 선미에 또는 예인선(1)의 좌현 또는 우현 측 상에 있을 수도 있다.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이 이러한 실시 예의 영역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그에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의 위치 차를 수용하도록 선체(11)에 관해 다른 곳에 재위치될 수 있거나, 그 외 다르게 수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예인선(1)의 라인을 가이딩할 수 있는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바꾸기 위해 선체에 관해 예를 들어 선체(11)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 이를테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축은 갑판(12)을 통과할 수 있다. 축은 예인선(1)의 요 축(yaw axis)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라인 핸들링 시스템(100)은 예인선(1)이 예인선(1)에 의해 보조될 해양 선박에 관해 이동하는 동안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인 핸들링 시스템의 이동성은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예인선(1)의 라인의 해양 선박의 라인에 대한 후속 커플링을 가능하게 할 외주(P)의 특정 부분을 향해 예인선(1)의 라인을 가이딩할 수 있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외주(P)의 상기 부분은 예를 들어, 해양 선박에 가장 가까운 외주(P)의 부분일 수 있다.
도 1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넣어진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넣어진 위치의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의 외주(P) 내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넣어진 위치의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갑판(12)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그리고 선체(11)의 가장자리의 작업면 아래에 위치된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갑판(12)에 평행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예인선(1)에서 선원들 및 장비의 작동에 방해될 가능성이 더 적다. 또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작업면을 따르는 견인용 라인들(15)과 같은 라인들의 움직임을 방해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넣어진 위치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의 상단 모서리 상 또는 위 또는 선체(11)의 외주(P) 외부와 같은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제1 및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 및 제1과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 사이 중간 부분(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디바이스(110)는 좌현 측 상에 위치되고 제2 가이드 디바이스(120)는 우현 측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은 그 외, 이를테면 좌현 또는 우현 양측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생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단지 하나의 가이드 디바이스(110, 120)만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딩 디바이스(110)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을 포함하고, 제2 가이딩 디바이스(120)는 제2 가이드 아암(121)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각각은 중간 부분(130)으로부터 말단의 말단부(111d, 121d), 중간 부분(130)에 인접한 반대쪽의 근단부를 갖고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각각은 근단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다른 하나로부터 떨어져 바깥으로 휘어지도록 만곡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암들(111, 121) 중 하나 또는 각각은 상이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암들(111, 121) 중 하나 또는 각각은 다른 비선형 경로를 따를 수 있거나, 직선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도 1의 넣어진 위치와 도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체(11)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넣어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갑판(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B-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넣어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축(B-B)은 예인선(1)의 폭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그러나,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선수 단부가 아닌 예인선(1) 상의 어딘가에 위치되는 실시 예들 중 일부와 같은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넣어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축(B-B)은 이러한 실시 예 외의 다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축(B-B)은 예인선(1)에 수직이거나 비스듬한 것과 같이 예인선(1) 폭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고/있거나 갑판(12)에 수직이거나 비스듬한 것과 같이 갑판(12)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넣어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의 선체(11)에 관한 움직임은 회전 이외의 것, 이를테면 병진 또는 회전과 병진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그리고 도 1에 표기된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에 관해 작동 위치로 그리고 그로부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140), 및 드라이버(14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19)를 포함한다. 드라이버(140)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 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전기 또는 다른 모터를 취하며, 선택적으로 모터(들)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 사이에 구동렬 또는 기어 박스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드라이버(140)는 유압 실린더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19)는 조타실(18)에 있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19)는 다른 곳, 이를테면 갑판(12) 상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19)는 사용자가 제어기(19)에 대한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들), 다이얼(들), 조이스틱(들)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이를테면 넣어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작동 위치로 그리고 그로부터 수동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도 2의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선체로부터 떨어져 위로 내뻗어 있고 사용 중,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어느 하나 위에 가로놓이는 예인선(1)의 라인의 일부가 라인이 가로놓인 가이드 아암(111, 121)을 따라 그리고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가이드 아암(111, 121)의 말단부(111d, 121d)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움직임의 안내는 라인 상에 중력이 작용하고/거나 라인의 일 부분이 예인선(1)이 안착한 물에 놓이고 물에 의해 잡아 당겨져 라인을 아래로 끌어 당기는 힘이 생성되는 것에 기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구성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기하학적 구조 및 표면 속성들 및 선체(11)에 관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위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그것들을 따르는 라인들의 움직임에 대한 방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가이드 암들(111, 121) 각각은 그것들을 따르는 라인들의 슬라이딩, 롤링 또는 다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평활하다. 실제로, 라인들이 걸리는 것을 방하기 위해 라인들이 이동할 수 있는 모든 표면이 평활하게 만곡되고 날카롭거나 뾰족한 특징들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라인의 일부의 움직임이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한 움직임이 되도록 선체(11)에 관해 정렬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이러한 특성들 중 임의의 또는 모든 특성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한 이러한 라인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을 돕는 다른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의 제2 단부는 선체(11)의 외주(P)에 매달리거나 위에 걸쳐지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메신저 라인(13)의 정렬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메신저 라인(13)의 일부가 제2 가이드 아암(121) 위에 가로놓이도록 된다. 그에 따라,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도 1의 넣어진 위치와 도 2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체(11)에 관해 이동함에 따라, 제2 가이드 아암(121) 위에 가로놓이는 메신저 라인(13)의 일부가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들어올려진다. 제2 가이드 아암(121)이 작동 위치에 접근됨에 따라 갑판에 점점 더 수선 또는 수직이 됨에 따라, 메신저 라인(13)의 일부는 대체로 선체(11) 및 예인선(1)이 안착한 물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힘을 받는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도 2의 작동 위치에 이를 때, 메신저 라인(13)의 일부는 도 2에 화살표에 의해 표기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아암(121)을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슬라이딩, 롤링 또는 그 외 다르게 이동한다(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움직임 동안 아직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그에 따라 메신저 라인(13)은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으로 하강 또는 그 외 다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더 상세히 후술될 제1 및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의 각각의 보조 가이드들(112, 122)이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위에 가로놓인다는 점이 언급될 것이다. 이는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라인 가이딩 메커니즘(100)을 비교적 컴팩트하게 만드는 것을 돕고, 그 외 넣어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움직임 동안 보조 가이드들(112, 122)이 선체(11)의 테두리와 접촉하거나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가이드들(112, 122)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따르는 라인(이러한 실시 예에서, 메신저 라인(13))의 움직임이 보조 가이드들(112, 122)에 의해 막힐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작동 위치에 이르기 전 또는 후 각각의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관해 이동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각각은 피벗점(111p, 121p)을 중심으로 선체(11)에 관해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그러한 회전은 선회점들(111p, 121p) 말단의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각각의 말단부들(111d, 121d)을 예인선(1)의 이물과 고물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A-A)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예인선(1)의 다른 곳에 위치된 실시 예들에서, 선체(11)에 관한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회전은 말단부들(111d, 121d)을 예인선(1)의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각각은 그 대신 상이한 방식으로, 이를테면 병진 이동 또는 회전과 병진의 조합에 의해 선체(11)에 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말단부들(111d, 121d)을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피벗점들(111p, 121p)을 중심으로 선체(11)에 관해 회전 가능하다.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이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은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을 비교적 컴팩트하게 만들어, 후술될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경사각이 예인선(1)의 라인이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게 하고,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보조될 해양 선박의 라인의 포획을 돕는 것과 같은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및 중간 부분(130)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을 획정한다. 그러나, 중간 부분(130)이 비교적 작은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및 중간 부분(130)은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획정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중간 부분(130)이 생략된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함께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0)은 예인선(1)의 라인이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있을 때 예인선(1)의 라인과 체결하기 위한 라인 체결자(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체결자(230)는 예인선(1)의 라인의 일 부분이 삽입 가능한 커플링 존(250)을 획정한다. 라인 체결자(230)는 이러한 실시 예에서 더 상세히 후술될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의 일부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체결자(230)는 이러한 실시 예와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작동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선체(11)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도 3 및 도 4 각각은 도 1 및 도 2, 그러나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예인선(1)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위치는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넣어진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 있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위치들은 상이한 순서일 수 있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해양 선박의 라인을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내뻗어 있다. 해양 선박은 선박이고 예인선(1)은 조종을 돕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의 외주(P)로부터 떨어져 예인선(1)이 안착하는 물 위에 내뻗어 있다. 해양 선박의 라인을 이러한 방식으로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또는 부근에 위치시키면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해양 선박의 라인과 예인선(1)의 라인의 후속 결합을 도울 수 있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해양 선박의 라인을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라인(이를테면 히빙 라인(heaving line))은 예인선(1)의 갑판(12) 또는 갑판(12)에 서 있는 AB 또는 다른 선원을 향해서가 아니라,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을 향해 던져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해양 선박으로부터 던져지는 라인들에 의해, 예인선(1) 상의 선원들이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적어지고, 예인선(1) 자체가 손상될 가능성이 적어진다.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해양 선박의 라인을 가이딩할 수 있는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바꾸기 위해 선체에 관해 예를 들어 선체(11)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 이를테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축은 갑판(12)을 통과할 수 있다. 축은 예인선(1)의 요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라인 핸들링 시스템의 이러한 이동성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의해 획정되는 가시적인 "타겟"이 해양 선박을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해양 선박의 라인을 예인선(1)으로 성공적으로 던질 수 있다. 라인 핸들링 시스템(100)은 예인선(1) 및 해양 선박이 서로에 관해 이동하는 동안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어, "타겟"이 해양 선박에 관한 예인선(1)의 위치와 관계없이 해양 선박의 관점으로부터 동일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실시 예의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각각, 도 4 및 도 1에 도시된 전개 위치와 넣어진 위치 사이에서 선체(11)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 예에서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내뻗어 있찌 않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넣어진 위치에 있을 때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내뻗어 있을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적은 정도로 내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작동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갑판(12) 및 예인선(1)의 폭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B-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들에서, 축(B-B)은 예인선(1) 폭 및/또는 갑판(12)에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작동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의 회전은 축(B-B) 이외의 축을 중심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작동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의 선체(11)에 관한 움직임은 회전 이외의 것, 이를테면 병진 또는 회전과 병진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드라이버(140)는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19)의 제어하에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선체(11)에 관해 전개 위치로 그리고 그로부터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일부 다른 방식으로 야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이를테면 작동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전개 위치로 그리고 그로부터 수동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 예의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각각이 가이드 아암들(111, 121) 각각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을 포함한다.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내뻗어 있다. 뿐만 아니라,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 예의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각각은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각각의 말단부들(111d, 121d)을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피벗점들(111p, 121p)을 중심으로 선체(11)에 관해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피벗점들(111p, 121p)은 선체(11)의 외주(P)의 안쪽으로 위치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피벗점들(111p, 121p)은 선체(11)의 외주(P) 상에 또는 그것의 바깥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해양 선박의 라인(이를테면 히빙 라인)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사이에 수용되도록 의도된다. 말단부들(111d, 121d)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면 가이드 아암들(111, 121)이 예인선(1)의 움직임 동안 스위핑(sweeping)할 수 있는 영역의 폭을 증가시킨다. 이어서, 이는 해양 선박의 라인이 던져질 수 있는 영역을 증가시키며, 그 후 여전히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에 의해 가이딩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선체(11)에 관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선체(11)에 관해 서로 의존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그리고 도 1에 표기된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에 관해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142), 및 구동 메커니즘(142)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를 포함한다. 구동 메커니즘(142)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전기 또는 다른 모터를 취하며, 선택적으로 모터(들)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사이에 구동렬 또는 기어 박스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구동 메커니즘(142)은 유압 실린더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작동 제어기(19)는 상술된 것이고 조타실(18)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구동 메커니즘(142)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는 상술된 사용자 작동 제어기(19)와 별개일 수 있고/거나 다른 곳, 이를테면 갑판(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142)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는 사용자가 제어기(19)에 대한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들), 다이얼(들), 조이스틱(들)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선체(11)에 관해 수동으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추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선체(11)에 관해 이동 불가능 또는 실질적으로 이동 불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 예들에서, 해양 선박의 라인은 예인선(1)을 해양 선박의 라인에 관해 이동시킴으로써 라인 체결자(230)를 향해 이동하도록 촉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도 2에 도시된 배열과 비교할 때,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이 선체(11)에 관해 이동되어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말단부들(111d, 121d)이 더 멀리 떨어져 펴지게 된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실시 예에서, 말단부들(111d, 121d)은 예인선(1)의 보(beam)(즉, 최대 폭)보다 큰 거리만큼 떨어져 이격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말단부들(111d, 121d)은 예인선(1)의 보 이하의 거리만큼 떨어져 이격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도 3 및 도 4의 예인선(1)은 이제 예인선(1)에 의해 조종될 해양 선박(2)에 인접해 있다. 해양 선박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선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서 히빙 라인(20)인 해양 선박(2)의 라인(20)의 일 부분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제1 가이드 아암(111)의 해양 선박(2) 선미 상의 위치로부터 던져지고,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제1 가이드 아암(111) 위에 걸쳐진다. 히빙 라인(20)은 예를 들어, 12 밀리미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해양 선박(2)의 리빙 라인(20)이 이러한 방식으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제1 가이드 아암(111) 위에 걸쳐지면, 그 후 히빙 라인(20)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에 의해 선체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가이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이 걸쳐지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이 제1 가이드 아암(111)의 말단부(111d)가 예인선(1)의 이물과 고물 방향에서 연장되는 중심축(A-A)에 더 가깝게 이동하도록 선체(11)에 관해 회전되었다. 이는 히빙 라인(20)을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더 가깝게 끌어 당기는 효과를 갖는다.
그 다음 히빙 라인(20)은 간단하게 상술되었던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보조 가이드들(112, 122)에 의해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훨신 더 가깝게 가이딩된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 각각은 보조 가이드들(112, 122) 각각을 포함한다. 제1 보조 가이드(112)는 라인을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제1 가이드 아암(111)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유사하게, 제2 보조 가이드(122)는 라인을 제2 가이드 아암(121)을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제2 가이드 아암(121)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실시 예,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의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선체(11)에 관한 움직임은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서로를 향한 움직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은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관해 회전 가는하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관한 움직임은 회전 이외의 것, 이를테면 병진 또는 회전과 병진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회전은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선체(11)에 관한 회전과 동일한 각각의 축들을 중심으로 한다. 즉, 보조 가이드들(112, 122)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과 동일한 피벗점들(111p, 121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은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의 피벗점들(111p, 121p) 이외의 피벗점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2, 122)은 선체(11) 및 각각의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관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들들(112, 122)은 선체(11) 및 각각의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관해 서로 의존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그리고 도 1에 표기된 바와 같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선체(11)에 관해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144), 및 구동 디바이스(144)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를 포함한다. 구동 디바이스(144)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 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전기 또는 다른 모터를 취하며, 선택적으로 모터(들)와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들(112, 122) 사이에 구동렬 또는 기어 박스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구동 디바이스(144)는 유압 실린더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작동 제어기(19)는 상술된 것이고 조타실(18)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구동 디바이스(144)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는 상술된 사용자 작동 제어기(19)와 별개일 수 있고/거나 다른 곳, 이를테면 갑판(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디바이스(144)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는 사용자가 제어기에 대한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들), 다이얼(들), 조이스틱(들)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2, 122)은 선체(11) 및 각각의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관해 수동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아암(111)은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라 도중에 위치되는 표시자 또는 마커(M)를 포함한다.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제1 가이드 아암(111) 상의 위치 또는 영역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제1 보조 가이드(112)가 라인(20)을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이동되기 전 해양 선박(2)의 라인(20)이 위치되어야 하는 제1 가이드 아암(111) 상의 위치 또는 영역을 나타낸다. 영역은 표시자 또는 마커(M)와 제1 가이딩 아암(111)의 피벗점(111p)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선원은 표시자 또는 마커(M)에 관한 라인(20)의 위치 또는 진행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것들이 라인(20)이 표시자 또는 마커(M)에 의해 표기되는 제1 가이드 아암(111) 상의 위치 또는 영역에 있음을 노트할 때, 그것들은 제1 보조 가이드(112)의 움직임을 라인(2)을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구동하게 야기한다. 이러한 야기는 구동 디바이스(144)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제어기의 선원의 작동에 기인하거나, 또는 제1 보조 가이드(112)의 선원의 수동 움직임에 기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제1 보조 아암(112)에 의해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라 라인(20)의 성공적인 후속 구동을 위해 라인(20)이 제1 가이드 아암(111)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의 말단부(111d)보다 제1 가이드 아암(111)의 피벗점(111p)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의 피벗점(111p)과 말단부(111d) 사이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의 피벗점(111p)보다 제1 가이드 아암(111)의 말단부(111d)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도 있다.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자 또는 마커(M)는 제1 가이드 아암(111) 상의 지점에 도포된(이를테면 페인팅에 의해) 마킹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외관들(이를테면 색상들)들을 갖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의 두 부분이 만나는 제1 가이드 아암(111)상의 지점일 수 있다. 표시자 또는 마커(M)는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르는 라인(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아암(121)은 또한 제2 보조 가이드(122)가 라인을 제2 가이드 아암(121)을 따라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구동하기 위해 이동되기 전 해양 선박의 라인이 위치되어야 하는 제2 가이드 아암(121)의 위치 또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제2 가이드 아암(121)을 따라 도중에 위치되는 상기한 표시자 또는 마커(M)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단지 하나만이 상기한 지표 또는 마커(M)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제1 및 제2 가이드 아암들(111, 121) 중 어느 것도 상기한 지표 또는 마커(M)를 포함하지 않을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들(112, 122) 양자가 도 6에 도시된 상황과 비교할 때, 선체(11) 및 제1 가이드 아암(111)에 관해 회전되었다. 이는 이러한 실시 예에서 제1 보조 가이드(112)를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과 접촉하게 가져오고, 그 다음 히빙 라인(20)을 제1 가이드 아암(111)을 따라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더 가깝게 구동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가이드들(112, 122) 양자가 도 7에 도시된 상황과 비교할 때, 선체(11) 및 제1 가이드 아암(111)에 관해 더 회전되었다. 이는 이러한 실시 예에서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을 제1 가이드 아암(111)으로부터 들어올리고 히빙 라인(20)을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향해 더 멀리 옮기는 효과를 갖는다.
도 7 및 도 8로부터, 각각의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선체(11)에 관한 움직임 동안, 보조 가이드들(112, 122)은 보조 가이드들(112, 122) 중 양자를 따라 이동하는 교차점(X)에서 서로 교차한다는 것이 주의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기하학적 구조 및 작동은 교차점(X)이 보조 가이드(112, 122) 중 단지 하나만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차는 보조 가이드들(112, 122) 및 선체(11)가 함께 히빙 라인(20) 및 메신저 라인(13)이 위치되는 공간을 둘러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히빙 라인(20) 및 메신저 라인(13)을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에 관해 유지시키도록 돕는다. 뿐만 아니라,이러한 실시 예에서, 보조 가이드(112, 122)들 각각은 포물선 형상을 갖는다. 이는 교차점(X)이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피하고 보조 가이드들(112, 122)이 히빙 라인(20)을 교차점(X)에 가두거나 죌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돕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의 기하학적 구조는 보조 가이드들(112, 122)이 서로 절대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실시 예들에서, 보조 가이드들(112, 122) 중 하나 또는 양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의 상황에서, 예인선(1)의 메신저 라인(13) 및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 양자는 이제 선체(11)의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위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라인(13, 20)은 보조 가이드들(112, 122) 및 선체(11)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있다. 두 개의 라인(13, 20)은 이제 간단하게 상술되었지만 이제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의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에 의해 커플링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작동될 때 커넥터를 라인들에 적용함으로써 예인선(1)의 라인 및 해양 선박(2)의 라인을 함께 커플링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예인선(1)의 메신저 라인(13) 및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이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있을 때 예인선(1)의 메신저 라인(13)을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에 커플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선체(11)에 관해 이동 가능(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다. 그러한 움직임은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이 라인들(13, 20)을 함께 커플링하기에 적합한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을 바꾸기 위해 사용 가능하다.
간단히 상술된 바와 같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커플링 존(250)을 획정하는 라인 체결자(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체결자(230)는 두 갈래(231, 232)를 갖는 포크를 포함하고 커플링 존(250)은 갈래들(231, 232)에 의해 그리고 그것들 사이에 획정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체결자(230)는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라인 체결자(230)는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이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있을 때 해양 선박(2)의 히빙 라인(20)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커플링 존(250)은 커플링될 라인들(13, 20)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의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라인들(13, 20)이 커플링 존(250)에 있을 때 커넥터를 라인들(13, 20)에 적용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그와 같이, 커플링 존(250)을 획정하는 라인 체결자(2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예인선(1) 상 또는 주위의 많은 위치 중 한 위치에 라인들(13, 20)을 커플링하기 위해 그것이 사용 가능한 충분한 움직임의 자유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라인 체결자(230)를 지원하기 위한 지지체(240)를 포함하고, 라인 체결자(230)는 라인들(13, 20)과 커플링 존(250)의 정렬을 돕기 위해 지지체(2400에 관해 이동 가능하다. 도 10에서는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체결자(230)가 도 9에 도시된 배열과 비교할 때, 지지체(240)에서 확장된 것이 보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메신저 라인(13) 및 히빙 라인(20)이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지만, 도 10으로부터 라인 체결자(230)의 지지체(240)에 관한 그러한 움직임이 커플링 존(250)이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R)에 접근한 이후 라인들(13, 20)이 커플링 존(250)에 수용됨을 보장하도록 돕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라인 체결자(230)는 라인 체결자(2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해 이동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들(13, 20)은 보조 가이드들(112, 122) 및/또는 가이드 아암들(111, 121)에 의해 라인들(13, 20)의 가이딩으로 인해 라인 체결자(2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커플링 존(250)에서 라인들(13, 20)의 존재를 검출하고 커플링 존(250)에서 라인들(13, 20)의 존재에 의존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센서(260)를 갖는다. 센서(260)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신호를 기반으로 커넥터를 라인들(13, 20)에 적용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 신호를 기반으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의 작동을 야기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신호가 커플링 존(250)에서 라인들(13, 20)의 존재를 나타낼 때, 라인들(13, 20)을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커넥터를 라인들(13, 20)에 적용하도록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라인들(13, 20)을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커넥터를 라인들(13, 20)에 적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의 작동은 일부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작동 제어기(19)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이를테면 단지 신호가 커플링 존(250)에서 라인들(13, 20)의 존재를 나타낼 때에만, 센서(260)로부터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의 그러한 선택적 작동을 허용하는 제어기를 가질 수 있다.
메신저 라인(13) 및 히빙 라인(20)을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커넥터는 예를 들어 클립, 클램프, 핀 또는 스트랩과 같은 많은 형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커넥터(210)는 와이어의 길이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와이어의 서플라이(220)를 포함하고, 서플라이(220)로부터 커넥터(210)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는 예를 들어, 1 내지 3 밀리미터, 이를테면 1.5 내지 2 밀리미터, 예를 들어 1.8 밀리미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서플라이(220)는 연속적인 커넥터들(210)이 절단될 수 있는 예를 들어, 1 미터, 10 미터 또는 100미터 와이어를 홀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이 작동될 때 라인들(13, 20) 주위에 커넥터(210)를 래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들(13, 20) 주위 커넥터(210)의 래핑은 커넥터(210)가 라인들(13, 20)의 번들을 단지 한 번 둘러싸게 하는 것을 수반하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커넥터(210)는 라인들(13, 20)의 번들을 한 번보다 많이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또한 라인들(13, 20) 주위에 커넥터(210)를 래핑한 후 커넥터(210)의 자유 단부들(211, 212)을 함께 트위스트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커넥터(210)를 라인들(13, 20)에 관해 제 위치에 홀딩하는 것을 돕고 그 결과로 라인들(13, 20)을 서로에 관해 제 위치에 홀딩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라 메신저 라인(13) 및 히빙 라인(20)을 커플링하는 커넥터(210)의 최종 배열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210)가 라인들(13, 20) 각각에서의 각각의 벤드들에 인접하게 라인들(13, 20)에 적용되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라인들(13, 20)에서의 벤드들은 커넥터(210)의 동일한 측 상에 있다. 특정 실시 예들에서, 이러한 와이어 커플링 배열이 메신저 라인(13) 및 히빙 라인(20)이 서로에 관해 미끄러지기 전에 약 40kg(400N)의 힘을 견딜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대략 5,000N의 힘이 커넥터 와이어(210)를 파단시킬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러한 힘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의 크기는 이러한 도면들과 상이할 수도 있다.
라인들(13, 20)이 함께 커플링되었을 때, 보조 가이드들(112, 122)은 서로 떨어져 이동될 수 있고 가이드 아암들(111, 121)이 서로 떨어져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히빙 라인(20) 및 메신저 라인(13)을 보조 가이드들(112, 122) 및 선체(11)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메신저 라인(13)이 히빙 라인(20)을 사용하여 해양 선박(2)까지 잡아 당겨질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그 후, 견인용 라인들(15)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메신저 라인(13)을 사용하여 해양 선박(2)까지 잡아 당겨질 수 있고, 나아가 선택적으로 견인용 라인들(15) 중 적어도 하나의 반대쪽 단부는 예인선(1)의 비트 또는 가이드(14)에 부착될 수 있다.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이러한 실시 예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전개 위치로부터 넣어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이 라인들(13, 20)을 함께 커플링하기 위해 커넥터(210)를 라인들(13, 20)에 적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도 9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계속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이 넣어지는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과 함께 선체(11)의 외주(P) 내 그리고 갑판(12) 에 인접한 넣어진 위치로 이동하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사용들 사이에 예를 들어 선체(11)에 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상술된 실시 예들에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을 포함하지만,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에서 자유롭도록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예인선의 라인의 일 부분의 움직임을 가이딩하기 위한 작동 위치로 선체(11)에 관해 이동 가능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외주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예인선의 라인의 일 부분의 움직임을 가이딩하기 위한 작동 위치로 선체(11)에 관해 이동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전개 위치로부터 선체(11)에 관해 이동 불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상술된 실시 예들 중 둘 이상이 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하나의 실시 예의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 예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특히 도시된 예들을 논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설명된 예들에 대해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1)

  1. 예인선(1) 상에 배치시키기 위한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며,
    상기 예인선(1)은 해양 선박(2)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며, 외주(perimeter; P)를 갖는 선체(11)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예인선(1)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해양 선박(2)의 라인(20)을 상기 외주(P)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상기 선체(11)로부터 떨어져 내뻗는 또는 내뻗도록 위치 가능한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예인선(1)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이 상기 외주(P)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에 있을 때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을 제2 라인(13)에 커플링하기 위한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커플링 존에서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과 상기 제2 라인(13)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260)를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라인 핸들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커플링 존에서 상기 해양 선박(2)의 라인(20)과 상기 제2 라인(13)들의 존재에 의존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인, 라인 핸들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상기 해양 선박(2)의 라인(20)과 상기 제2 라인(13)에 커넥터(210)를 적용하여 상기 해양 선박(2)의 라인(20)과 제2 라인(13)을 함께 커플링하기 위한 것인, 라인 핸들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커넥터(210)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라인 핸들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200)은 상기 해양 선박(2)의 라인(20)과 상기 제2 라인(13)의 주위에 커넥터(210)를 래핑하도록 구성된, 라인 핸들링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이 상기 외주(P)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에 있을 때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과의 체결을 위한 라인 체결자(230)를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체결자(230)는, 해양 선박(2)의 라인(20)과 제2 라인(13)이 삽입 가능한 커플링 존을 획정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디바이스(110, 120)를 포함하며, 상기 또는 각 가이드 디바이스(110, 120)는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예인선(1) 상에 배치될 때 상기 선체(11)로부터 내뻗는 또는 내뻗도록 위치 가능한 가이드 아암(111, 121)을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아암(111, 121)은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상기 예인선(1) 상에 배치될 때 상기 선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한, 라인 핸들링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을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은 상기 제1 및 제2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110, 120)의 각각의 상기 가이드 아암들(111, 121)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이 상기 예인선(1) 상에 배치될 때,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상기 선체(11)에 대해 상기 가이드 아암(111, 121)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142)을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상기 구동 메커니즘(142)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 제어기(19)를 포함하는, 라인 핸들링 시스템.
  15. 해양 선박(2)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예인선(1)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라인 핸들링 시스템; 및
    외주(P)를 갖는 선체(11)를 포함하는, 예인선.
  16. 해양 선박(2)의 조종을 보조하기 위한 예인선(1)으로서,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라인 핸들링 시스템; 및
    외주(P)를 갖는 선체(1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아암(111, 121)은 피벗점(111p, 121p)으로부터 원위의 상기 가이드 아암(111, 121)의 단부(111d, 121d)를 상기 예인선(1)의 이물과 고물 방향에서 연장되는 축을 향해 그리고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선체(11)에 대해 상기 피벗점(111p, 121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예인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을 상기 외주(P)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해 상기 선체(11)로부터 멀어져 내뻗는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상기 선체(11)로부터 멀어져 내뻗지 않거나 상기 선체(11)로부터 상기 전개 위치보다 더 적은 정도로 내뻗는 넣어진 위치(stowed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선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예인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상기 예인선(1)의 라인의 일 부분의 움직임을 상기 외주(P)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향해 가이딩하기 위한 작동 위치로 상기 선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예인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인(13)은 상기 예인선(1)의 상기 라인인, 예인선.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을 가이딩할 수 있는 상기 외주(P)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바꾸기 위해 상기 선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한, 예인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핸들링 시스템(10)은 상기 라인 가이드 메커니즘(100)이 상기 해양 선박(2)의 상기 라인(20)을 가이딩할 수 있는 상기 외주(P)의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을 바꾸기 위해 상기 선체(11)에 대해 상기 선체(11)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예인선.
KR1020227044388A 2017-11-20 2018-11-19 예인선 KR102617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19228.7A GB2568533B (en) 2017-11-20 2017-11-20 Tugboat having a line handling system
GB1719228.7 2017-11-20
KR1020227013534A KR102480010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PCT/EP2018/081818 WO2019097065A1 (en) 2017-11-20 2018-11-19 Tugboa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534A Division KR102480010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399A KR20230003399A (ko) 2023-01-05
KR102617282B1 true KR102617282B1 (ko) 2023-12-27

Family

ID=608055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388A KR102617282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KR1020207017753A KR102391183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KR1020227013534A KR102480010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753A KR102391183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KR1020227013534A KR102480010B1 (ko) 2017-11-20 2018-11-19 예인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1414160B2 (ko)
EP (2) EP3713831B1 (ko)
JP (2) JP6956276B2 (ko)
KR (3) KR102617282B1 (ko)
CN (2) CN115432118A (ko)
AU (2) AU2018368626B2 (ko)
BR (1) BR112020009941A2 (ko)
CA (2) CA3171837A1 (ko)
ES (1) ES2939713T3 (ko)
GB (1) GB2568533B (ko)
SG (1) SG11202004717PA (ko)
WO (1) WO2019097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533B (en) 2017-11-20 2020-12-02 Svitzer As Tugboat having a line handling system
GB2568534B (en) 2017-11-20 2020-12-02 Svitzer As Tugboat with a moveable line guide mechanism
GB2568535B (en) 2017-11-20 2020-12-02 Svitzer As Line handling system for coupling together lines on a tugboat
CN115151922A (zh) 2020-08-27 2022-10-04 株式会社Lg新能源 集成电池管理平台服务系统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23207U (es) 1992-12-10 1993-06-16 Garcia Parga Fernando Brazo articulado para buques remolcadores.
NL1010650C1 (nl) 1998-11-25 2000-05-26 Imc Group B V Automatisch verbindingssysteem voor vaartuigen.
US20060102060A1 (en) 2002-07-26 2006-05-18 Sar Remolcadores, S.L. Automatic system for taking up and handling a connecting towrope between a tugboat and a towed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207A (en) 1910-02-28 1912-04-16 Green B Kelley Well-drilling machine.
GB340712A (en) 1929-11-14 1931-01-08 John Percy Grund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edgers, drags and like apparatus
GB891007A (en) 1959-04-24 1962-03-07 Ici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foamed polymeric materials
GB990994A (en) 1960-12-02 1965-05-05 Cable Covers Ltd Method of and means for clamping ropes together
US3280784A (en) 1965-11-05 1966-10-25 Theodore S Stainbrook Mooring line retaining device
FR1561189A (ko) 1967-12-06 1969-03-28
US3507243A (en) 1968-05-29 1970-04-21 Seal Basin Marine Co Marine cleat and rope guide
US3588051A (en) 1969-05-28 1971-06-28 Howard M Leeming Towing cable control apparatus
JPS5125439Y2 (ko) * 1973-06-13 1976-06-29
GB1495040A (en) 1975-10-25 1977-12-14 Texaco Development Corp Single point vessel mooring system
US4095548A (en) 1976-10-12 1978-06-20 Bruner Frank D Docking and mooring device
FR2372070A1 (fr) * 1976-11-26 1978-06-23 Intersub Internal Submarine Se Dispositif d'accrochage d'un engin sous-marin sur une structure immergee
US4173194A (en) 1977-12-05 1979-11-06 Mclaughlin Charles S Marine cleat for receiving a thrown line
US4275677A (en) * 1979-01-02 1981-06-30 Nelson Arthur J Tow of barges by tugs
JPS58177275A (ja) 1982-04-08 1983-10-17 鹿島建設株式会社 ワイヤタイプ鉄筋結束工具
NL8301580A (nl) 1983-05-04 1984-12-03 Seumeren Agenturen B V Van Hefwerktuig.
JPS6018081A (ja) 1983-07-11 1985-01-30 Toshiba Corp Fm復調器
JPS60119690U (ja) 1984-01-24 1985-08-13 日本鋼管株式会社 係船装置
EP0174067A1 (en) * 1984-08-17 1986-03-12 Faredoon Rustom Mistry Tug for rendering assistance to a larger vessel
GB8420925D0 (en) * 1984-08-17 1984-09-19 Mistry F R Tug
US4706594A (en) * 1986-05-02 1987-11-17 Joel Burns Boat mooring line guide and holder
JPS63121589A (ja) * 1986-11-11 1988-05-25 Nkk Corp タグラインの引込方法および引込用フツク
US4865087A (en) 1988-05-03 1989-09-12 Ingersoll-Rand Company Wire tying mechanism
GB9016291D0 (en) 1990-07-25 1990-09-12 Alden Timothy J Sealing method and apparatus
FI97349C (fi) * 1994-03-14 1996-12-10 Aquamaster Rauma Ltd Vetojärjestely hinaajaa varten
JP2858728B2 (ja) 1994-03-24 1999-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結束機
US5595220A (en) 1995-01-18 1997-01-21 Panduit Corp. Portable cable tie installation tool
DE69613258T2 (de) 1995-03-10 2001-09-20 Max Co Ltd Werkzeug zum Binden von Bewehrungsstäben
US5529010A (en) * 1995-04-21 1996-06-25 Foss Maritime Company Transom link method and apparatus
DK172027B1 (da) 1995-08-22 1997-09-22 A P Moeller Skib og fremgangsmåde til oparbejdelse af trækspændinger, samt en anvendelse af skibet
NL1001302C2 (nl) * 1995-09-27 1997-03-28 Willem Pot Noodsleepvoorziening voor vaartuigen.
NO302514B1 (no) * 1995-11-24 1998-03-16 Scanrope As Utrullingssystem for slepeliner/trosser/wire
KR200251715Y1 (ko) 1998-06-24 2002-02-19 김인환 견인로우프
ES1042352Y (es) * 1999-03-18 2000-01-01 Lopez Jose Parra Punto de amarre para embarcaciones.
US6354235B1 (en) * 1999-07-30 2002-03-12 Robert C. Davies Convoy of towed ocean going cargo vessels and method for shipping across an ocean
JP2002046687A (ja) 2000-08-03 2002-02-12 Kayaba Ind Co Ltd 曳航装置
JP2002046688A (ja) * 2000-08-03 2002-02-12 Kayaba Ind Co Ltd 曳航装置
JP4747454B2 (ja) 2001-07-30 2011-08-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2005254878A (ja) 2004-03-09 2005-09-22 Hiate Kaiun Kk クレーン機構を具備するタグボート
US7334610B2 (en) 2004-10-13 2008-02-26 Panduit Corp. Harness board fixture
NO332933B1 (no) * 2005-08-18 2013-02-04 Rolls Royce Marine As System for håndtering av en wire, kjetting og kabel ombord på et fartøy
WO2009059445A1 (de) 2007-11-10 2009-05-14 Mamutec Ag Klemmkausche
CA2719649C (en) 2008-04-11 2015-04-07 Eric Carlson Threading device
NO330246B1 (no) 2009-02-25 2011-03-14 Odim Asa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håndtering av tau
US8286678B2 (en) * 2010-08-13 2012-10-16 Chevron U.S.A. Inc.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US10233604B2 (en) 2010-11-23 2019-03-19 Gobbler Oil Spill Recovery Ltd. Oil spill recovery vessel
CN104677488A (zh) 2013-11-29 2015-06-03 大连君方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拖船故障诊断系统
KR101527836B1 (ko) 2014-05-08 2015-06-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op 제어 라인 가이드 장치 및 방법
GB2542815B (en) 2015-09-30 2019-02-06 Subsea 7 Norway As Holding back a tensioned rope using a wedge thimble
DK179634B1 (en) * 2016-03-31 2019-03-05 A.P. Møller - Mærsk A/S A TUGBOAT WITH A CRANE FOR HANDLING A TOWING LINE
DK201670186A1 (en) 2016-03-31 2017-10-16 A P Møller - Mærsk As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one or more tugboats
US10279870B2 (en) * 2016-06-17 2019-05-07 Alaska Maritime Prevention And Response Network Emergency vessel towing system and method
NO341050B1 (en) * 2016-08-10 2017-08-14 Rolls Royce Marine As Motion compensating crane system
GB2568533B (en) 2017-11-20 2020-12-02 Svitzer As Tugboat having a line handling system
GB2568534B (en) 2017-11-20 2020-12-02 Svitzer As Tugboat with a moveable line guide mechanism
GB2568535B (en) 2017-11-20 2020-12-02 Svitzer As Line handling system for coupling together lines on a tugboat
FI128398B (en) 2018-03-29 2020-04-30 Rolls Royce Oy Ab Reprocessing system, special vessels, use of the reprocessing system and guide post
DK180450B1 (en) 2019-07-15 2021-04-29 Svitzer As A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 mooring l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23207U (es) 1992-12-10 1993-06-16 Garcia Parga Fernando Brazo articulado para buques remolcadores.
NL1010650C1 (nl) 1998-11-25 2000-05-26 Imc Group B V Automatisch verbindingssysteem voor vaartuigen.
US20060102060A1 (en) 2002-07-26 2006-05-18 Sar Remolcadores, S.L. Automatic system for taking up and handling a connecting towrope between a tugboat and a towed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3831B1 (en) 2023-01-11
BR112020009941A2 (pt) 2020-11-03
JP2021503415A (ja) 2021-02-12
JP2022000381A (ja) 2022-01-04
KR20230003399A (ko) 2023-01-05
KR20200108826A (ko) 2020-09-21
GB2568533B (en) 2020-12-02
ES2939713T3 (es) 2023-04-26
EP3713831A1 (en) 2020-09-30
AU2021240268B2 (en) 2023-05-04
CA3083045A1 (en) 2019-05-23
GB201719228D0 (en) 2018-01-03
WO2019097065A1 (en) 2019-05-23
EP4180314A1 (en) 2023-05-17
JP7244599B2 (ja) 2023-03-22
CN111867931B (zh) 2022-10-28
KR20220054468A (ko) 2022-05-02
US20220340239A1 (en) 2022-10-27
AU2018368626B2 (en) 2021-07-01
AU2021240268A1 (en) 2021-10-28
KR102391183B1 (ko) 2022-04-28
CA3083045C (en) 2022-12-06
KR102480010B1 (ko) 2022-12-21
AU2018368626A1 (en) 2020-06-18
US11414160B2 (en) 2022-08-16
CN111867931A (zh) 2020-10-30
GB2568533A (en) 2019-05-22
US11702173B2 (en) 2023-07-18
JP6956276B2 (ja) 2021-11-02
CA3171837A1 (en) 2019-05-23
SG11202004717PA (en) 2020-06-29
CN115432118A (zh) 2022-12-06
US20200277025A1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300B1 (ko) 예인선
KR102383665B1 (ko) 예인선
KR102617282B1 (ko) 예인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