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27B1 -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 Google Patents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27B1
KR102600427B1 KR1020230083214A KR20230083214A KR102600427B1 KR 102600427 B1 KR102600427 B1 KR 102600427B1 KR 1020230083214 A KR1020230083214 A KR 1020230083214A KR 20230083214 A KR20230083214 A KR 20230083214A KR 102600427 B1 KR102600427 B1 KR 10260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x
cream
radish
concentrated
coffe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일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홍 filed Critical 김진홍
Priority to KR102023008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2Stevio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율무를 세척 및 침수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증숙된 율무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율무를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율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에 스테비아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유지방 함량이 높은 유크림을 대체할 수 있어 섭취자의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며, 영양학적 가치 및 관능적 기호도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MANUFACTURING METHOD OF COFFEE CREAM WITH JOB'S TEARS AND CRE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율무를 증숙, 건조 및 로스팅하고 분쇄하고, 이를 물과 함께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종래 원두커피용 유크림을 대체토록 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익 등의 제과제빵에서 샌딩 재료로 사용되거나 각종 음료, 특히 원두커피에 사용되는 유크림은 액상 형태로, 생크림, 휘핑크림 등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유크림은 우유에서 분리한 유지방분으로, 유지방 함량이 38% 정도로 높을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의 함량 역시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섭취자의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유크림이 소비자들로부터 기피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7702호에는 식물성 휘핑크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수상 및 유상의 이원화된 배합 공정과 예비 유화 및 급속냉각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그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한 데다 유크림 보다 풍미가 상당히 떨어지고 열변화에 불안정하여 이수현상 등이 나타나는 물성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177호에 저지방 휘핑크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유크림과 수화된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사용한 저지방 휘핑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상기한 유크림으로 인한 단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크림을 대체할 원두커피용 크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9-0097702 A KR 10-2014-0065177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유크림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율무를 증숙, 건조 및 로스팅하고, 이를 물과 함께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유크림을 대체할 수 있으며, 영양학적 가치 및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한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비아를 첨가함으로써, 단맛을 부가하고, 전체적인 풍미 및 질감을 개선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은,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율무를 세척 및 침수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증숙된 율무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율무를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율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에 스테비아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율무는 도정율이 40~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숙, 열풍건조 및 로스팅은,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110~120℃의 스팀으로 20~60분간 증숙하고, 60~80℃의 열풍으로 건조한 후, 200~280℃에서 5~30분 동안 원적외선 로스팅장치를 이용하여 로스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율무 분말에 2~3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50~80℃에서 20~60분간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수 시 침지수는, 물과 원두커피 추출액을 1:0.01~0.1 부피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에 의하면, 종래의 유지방 함량이 높은 유크림을 대체할 수 있어 섭취자의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며, 영양학적 가치 및 관능적 기호도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율무의 증숙, 건조 및 로스팅하고, 이를 물과 함께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종래 유지방이 높은 유크림을 대체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율무 농축 크림은 음료의 종류와 없이 모두 첨가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피 음료, 특히 원두커피 추출액에 혼합하여 섭취함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의 율무 농축 크림이 커피의 풍미를 배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은,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율무를 세척 및 침수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증숙된 율무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율무를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율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에 스테비아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
먼저, 율무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율무는 도정률이 40~45%인 것이 바람직한바, 율무는 율무피가 40%, 율무알곡이 60%의 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정률이 40% 미만일 경우 제조된 크림의 질감이 좋지 못하고, 45%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준비된 율무를 세척 및 침수하는 단계
다음으로, 준비된 율무를 세척하고, 이를 침지수에 3~25℃에서 5~12시간 침지한다. 이때, 상기 침지수로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준비된 율무가 충분히 침수될 정도이면 족하다.
아울러, 율무 특유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면서, 깔끔한 풍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침지수로 물과 원두커피 추출액을 1:0.01~0.1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원두커피 추출액은 로스팅된 원두를 이용하여 내린 추출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두의 종류와 관계없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증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건져내 물기를 어느 정도 제거하고, 110~120℃의 스팀으로 20~60분간 증숙함으로써, 율무의 질감을 부드럽게 해준다. 즉, 상기 증숙의 과정을 통해 율무 농축 크림의 질감이 거칠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증숙된 율무를 열풍건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율무를 고온의 열풍으로 건조한다. 여기서, 열풍의 온도는 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된 율무의 함수율은 15~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후공정인 로스팅을 통해 율무의 수분이 최종 제거되기 때문이며, 열풍건조를 통해 함수율을 더 낮출 경우 율무 특유의 느끼한 맛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된 율무를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율무를 로스팅한다.
상기 로스팅은 200~280℃에서 5~30분 동안 원적외선 로스팅장치를 이용하여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온의 원적외선 로스팅을 통해 율무 특유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고, 깔끔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로스팅장치는 종래 게시된 다양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바, 이의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스팅된 율무를 분쇄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로스팅된 율무를 200~325mesh로 분쇄하여 율무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2~3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이를 50~80℃에서 20~60분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크림 형태, 즉 율무 농축 크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에 스테비아를 첨가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에 스테비아를 첨가하여 단맛을 부여하고, 전체적인 크림의 풍미 역시 높여준다.
상기 스테비아는 천연 감미료로, 설탕에 비해 단맛이 강하면서도 당지수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스테비아의 첨가량은 제한하지 않는데, 섭취자의 입맛에 따라 첨가량을 결정함이 바람직하며, 예시적으로 상기 율무 농축 크림과 스테비아를 100:1~5 중량비의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실온까지 냉각하여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율무의 풍부한 영양소를 모두 함유하여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것은 물론, 종래 유크림을 대체할 수 있으며, 그 맛이 담백하고 우수하며, 질감 역시 부드러워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율무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퀼라야 추출물 1~2중량부를 더 투입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퀼라야 추출물을 더 투입할 경우 율무 농축 크림의 질감을 더욱 부드럽게 하면서도, 그 풍미를 현저히 높여주기 때문이다.
상기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는 남미의 칠레, 볼리비아, 페루 지역에 분포하는 장미과 상록교목으로, 상기 퀼라야 추출물은 퀼라야의 껍질의 열수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예시적으로 퀼라야의 껍질에 5~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60~9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정률 45%의 율무를 준비하고, 이를 세척하였다. 그리고 율무를 3부피배의 20℃의 침지수에 10시간 침지한 후, 건져내 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때, 상기 침지수로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율무를 110~120℃의 스팀으로 50분간 증숙하고, 7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함수율이 20%가 되도록 한 후, 원적외선 로스팅장치를 이용하여 250℃에서 20분간 로스팅하였다.
다음으로, 로스팅된 율무를 200mesh로 분쇄하고, 분쇄된 율무 분말에 3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7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고, 이 율무 농축 크림 500g에 스테비아를 10g을 첨가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침지수로 정제수와 원두커피 추출액을 1:0.05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되, 상기 가열시 율무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퀼라야 추출물 1중량부를 더 투입하여 율무 농축 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퀼라야 추출물은 퀼라야의 껍질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에서 5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율무의 증숙 및 로스팅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2)
휘핑크림을 준비하여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는 커피 전문점에서 아메리카노를 구입한 후, 아메리카노 300ml에 각각의 율무 농축 크림 50ml를 혼합하여 제공하였다. 다만, 비교예 2는 카페라떼 300ml에 휘핑크림 50ml를 올려 제공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평소 커피를 좋아한다고 응답한 성인 남녀 각 20명씩 패널로 선정하여 맛, 질감, 외관,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시험예 1의 결과
구분 질감 외관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6.7 6.8 6.8 6.9 6.8
실시예 2 7.0 7.0 6.8 7.0 7.0
실시예 3 7.2 7.2 6.9 7.0 7.2
비교예 1 4.1 3.2 6.0 7.0 3.6
비교예 2 7.2 7.8 8.0 7.1 7.5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맛, 질감 및 전체 기호도가 비교예 1보다 현저히 높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우유와 휘핑크림을 사용한 비교예 2에 비해서도 그 관능적 기호도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율무 농축 크림은 그 영양성이 우수함은 물론, 관능성 및 기호도 역시 우수하여 상품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율무를 세척 및 침수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증숙된 율무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율무를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율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율무 농축 크림에 스테비아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된 율무 분말에 물을 가하고,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율무 분말에 2~3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50~80℃에서 20~60분간 가열하여 크림 형태로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율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율무는 도정율이 4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 열풍건조 및 로스팅은,
    상기 세척 및 침수된 율무를 110~120℃의 스팀으로 20~60분간 증숙하고, 60~80℃의 열풍으로 건조한 후, 200~280℃에서 5~30분 동안 원적외선 로스팅장치를 이용하여 로스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시 침지수는,
    물과 원두커피 추출액을 1:0.01~0.1 부피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
KR1020230083214A 2023-06-28 2023-06-28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KR10260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214A KR102600427B1 (ko) 2023-06-28 2023-06-28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214A KR102600427B1 (ko) 2023-06-28 2023-06-28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427B1 true KR102600427B1 (ko) 2023-11-09

Family

ID=8874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214A KR102600427B1 (ko) 2023-06-28 2023-06-28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702A (ko) 2008-03-12 2009-09-16 주식회사 선인 식물성 휘핑크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5177A (ko) 2012-11-21 2014-05-2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저지방 휘핑크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5243A (ko) * 2013-07-05 2015-01-14 김포시(농업기술센터) 곡물가루의 분산성 개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40829A (ko) * 2015-03-26 2015-04-15 전현철 꿀 칼슘 시리얼 천마 또는 커피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312872B1 (ko) * 2021-03-31 2021-10-13 박덕근 참깨 크림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70197A (ko) * 2021-06-22 2022-12-29 홍슬기 천마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702A (ko) 2008-03-12 2009-09-16 주식회사 선인 식물성 휘핑크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5177A (ko) 2012-11-21 2014-05-2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저지방 휘핑크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5243A (ko) * 2013-07-05 2015-01-14 김포시(농업기술센터) 곡물가루의 분산성 개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40829A (ko) * 2015-03-26 2015-04-15 전현철 꿀 칼슘 시리얼 천마 또는 커피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312872B1 (ko) * 2021-03-31 2021-10-13 박덕근 참깨 크림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70197A (ko) * 2021-06-22 2022-12-29 홍슬기 천마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132B1 (ko)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58265B (zh) 绿茶米面及制作方法
KR102148112B1 (ko) 커피제조용 메밀을 이용한 메밀커피의 제조방법
US8652554B2 (en) Method for preparing instant dried scorched rice with excellent resilience
US8652559B2 (en) Method for preparing aseptic packaged instant wet scorched rice
KR10156407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고품질 식혜의 제조방법
KR102339806B1 (ko) 팥 식혜의 제조방법
KR102600427B1 (ko) 원두커피용 율무 농축 크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율무 농축 크림
KR20190139003A (ko) 과일을 이용한 퓨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퓨레
KR102206721B1 (ko)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976835B1 (ko)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KR101429353B1 (ko) 유자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272701B1 (ko) 과즙으로 호화된 쌀가루를 이용한 한국과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즙으로 호화된 쌀가루를 이용한 한국과과
KR20120104463A (ko) 원두를 이용한 청국장, 청국장가루, 볶음 청국장, 숙성 청국장, 숙성 청국장가루, 간장, 된장, 된장가루, 고추장, 고추장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156B1 (ko) 면류 반죽 조성물
KR20200132321A (ko) 부추 및 수수를 이용한 소스 제조방법
US1956427A (en) Flaked cereal beverage product
KR102368037B1 (ko) 새싹보리를 이용한 메밀검정콩국수의 제조방법
KR102400869B1 (ko) 천연당화법에 의한 식혜 제조방법
KR102511754B1 (ko) 볶은 수수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9699803A (zh) 一种火锅味花生酥及其生产工艺
KR950009132B1 (ko) 숭늉음료 및 숭늉차의 제조방법
KR101986051B1 (ko) 핸드드립 메밀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2513627B1 (ko) 열처리 입국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5574B1 (ko) 매생이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두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