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882B1 - 유리판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1882B1 KR102591882B1 KR1020187004188A KR20187004188A KR102591882B1 KR 102591882 B1 KR102591882 B1 KR 102591882B1 KR 1020187004188 A KR1020187004188 A KR 1020187004188A KR 20187004188 A KR20187004188 A KR 20187004188A KR 102591882 B1 KR102591882 B1 KR 102591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ribbon
- glass plate
- bending stress
- glass
- brea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3280 down draw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3 down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고 표면(Ga)측에 스크라이브 라인(S)이 형성된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에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유리 리본(G)을 브레이킹 절단해서 유리 리본(G)으로부터 유리판(Gx)을 잘라내는 브레이킹 기구(3)를 구비하고, 브레이킹 기구(3)가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에 이면(Gb)측으로부터 접촉해서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이 되는 지점 바(19)와, 유리판(Gx)을 지지한 상태에서 축선(29)의 주위를 회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를 표면(Ga)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키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를 갖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1)에 대해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의 회동 중에 축선(29)의 위치를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으로 변경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된 유리 리본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함과 아울러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부위에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유리판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으로서 사용되거나,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등의 커버 유리로서 사용되거나 하는 등 다종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있다.
유리판의 제조 방법의 하나로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등으로 대표되는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된 유리 리본을 소정의 길이마다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잘라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개시된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성형 후에 하방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폭방향을 따라 일방면측에 스크라이브 라인(동 문헌에서는 스코어 라인)이 형성된 유리 리본에 추종 강하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굽힘 응력을 부여해서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하는 브레이킹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브레이킹 기구가 브레이킹 절단을 실행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스크라이브 라인의 하방에 존재하는 잘라냄부가 유리판으로서 잘라내어진다.
브레이킹 기구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타방면측으로부터 접촉해서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이 되는 지점 부재(동 문헌에서는 앤빌)와, 잘라냄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지점 부재를 회전의 중심으로 해서 유리 리본의 일방면측에서 타방면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를 일방면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키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동 문헌에서는 유리판 맞물림 장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최근에 있어서는 유리판이 장착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박형화, 경량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이것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유리판에 있어서도 박판화를 도포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박판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것의 근원이 되는 유리 리본에 대해서도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유리 리본을 성형했을 경우, 그 성형의 과정에 있어서 폭방향 양단에는 중앙부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귀부라고 칭해지는 부위가 형성된다. 이 귀부는 두께에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유리 리본이 냉각 고화될 때에는 귀부 중에서 두께가 큰 부위와 작은 부위 사이에서 냉각 속도에 차이가 생겨 버린다. 그리고, 박판 유리의 근원이 되는 두께가 얇은 유리 리본을 성형했을 경우에는 귀부의 냉각 속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의 길이방향을 따라 휘어짐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휘어짐이 발생한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하려고 했을 경우, 휘어짐에 기인하여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지점 부재가 접촉하지 않고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가 지점 부재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지점 부재를 회전의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때에, 이것에 지지된 상태의 잘라냄부가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를 회전의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이 때문에 함께 회전의 중심이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와 지점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도 거의 변화되는 일이 없어 회동 중에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의 부상한 상태가 시정되는 것도 기대할 수 없다. 그 결과,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회동해도 지점 부재로부터 부상한 상태의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가 만곡되는 것만으로 지점 부재가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효과적으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유리 리본의 절단 불량이 유발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된 유리 리본에 대해 그 확실한 브레이킹 절단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서 하방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폭방향을 따라 일방면측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유리 리본에 대해 추종 강하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해서 유리 리본으로부터 스크라이브 라인의 하방에 존재하는 잘라냄부를 잘라내는 브레이킹 기구를 구비하고, 브레이킹 기구가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타방면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이 되는 지점 부재와, 잘라냄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를 일방면측으로부터 타방면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를 일방면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키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갖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축선의 위치를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으로 변경가능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선의 위치를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으로 변경가능한 점에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지지한 잘라냄부의 회동의 중심의 위치에 대해서도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두께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잘라냄부와 이어져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의 위치에 관해서도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두께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유리 리본에 발생한 휘어짐에 기인하여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가 지점 부재로부터 부상하는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이어도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의 위치를 두께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부상한 상태를 시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지점 부재를 확실하게 접촉시킨 상태 하에서 유리 리본의 브레이킹 절단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효과적으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고, 유리 리본을 확실히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지계에 설치되고, 또한 회동 중의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1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정지계」에는 공장 내의 바닥벽이나 측벽, 지면 등을 포함한다(이하, 동일).
이렇게 하면 제 1 이동 기구에 의해 회동 중의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축선의 위치를 두께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이동 기구가 정지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동 기구의 자체 중량을 정지계에 의해 지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축선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축선의 위치를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변경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축선의 위치를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지지한 잘라냄부의 회동의 중심의 위치, 나아가서는 잘라냄부와 연결되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의 위치에 대해서도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더욱 확실하게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지점 부재를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지계에 설치되고, 또한 회동 중의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2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 2 이동 기구에 의해 회동 중의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축선의 위치를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 기구가 정지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이동 기구의 자체 중량을 정지계에 의해 지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축선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회동 중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자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자전에 의해서도 축선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지점 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자전하고, 이것에 추종해서 잘라냄부가 회전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가 만곡되었을 때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작용시키는 굽힘 응력의 대소를 조절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동 중의 굽힘 응력 부여 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축선을 축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축부를 갖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회동 중의 굽힘 응력 부여 부재와 연결된 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자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잘라내기 후의 잘라냄부를 회전시켜서 세로로 놓인 자세로 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브레이킹 기구가 잘라냄부의 잘라내기 후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수단을 유리 리본의 일방면측 및 타방면측의 각각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잘라내기 후의 잘라냄부의 자세를 세로로 놓인 자세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예를 들면, 잘라냄부를 하류 공정으로 반송할 때에 그 자세를 반송에 적합한 자세로 하는 가능하다. 그런데, 잘라냄부를 회전시켜서 세로로 놓인 자세로 했을 경우, 잘라냄부가 잘라내기 직후의 자세로부터 기상하여 세로로 놓인 자세로 이행될 때에 잘라냄부의 자세의 변화에 기인하여 유리 리본의 하단부(잘라냄부가 잘라내어진 후의 하단부)를 하방으로부터 불어닥치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기류가 발생했을 경우, 유리 리본이 두께방향으로 요동하고, 상기 유리 리본과, 유리 리본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 기계 등을 접촉시킬 우려가 있고 유리 리본에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 에 의하면 브레이킹 기구가 구비한 요동 규제 수단에 의해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요동이 규제되는 점에서 상기와 같은 우려를 적확하게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요동 규제 수단이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요동 규제 수단이 롤러이기 때문에 요동 규제 수단과 유리 리본의 슬라이딩에 의해 유리 리본이 손상되어 버리는 사태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지점 부재를 확실하게 접촉시킨 상태 하에서 유리 리본의 브레이킹 절단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효과적으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리본을 확실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A-A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변형 부여 기구가 갖는 지지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B-B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크라이브 기구가 갖는 커터 휠 및 휠 지지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스크라이브 기구가 갖는 커터 휠 및 휠 지지 롤러의 주변을 도 6에 있어서의 D-D방향으로부터 본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크라이브 기구가 갖는 커터 휠 및 휠 지지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도 5에 나타내는 C-C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요동 규제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가스 분사 노즐 및 흡인 노즐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지점 바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4는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지점 바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는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지점 바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A-A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변형 부여 기구가 갖는 지지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B-B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크라이브 기구가 갖는 커터 휠 및 휠 지지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스크라이브 기구가 갖는 커터 휠 및 휠 지지 롤러의 주변을 도 6에 있어서의 D-D방향으로부터 본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크라이브 기구가 갖는 커터 휠 및 휠 지지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도 5에 나타내는 C-C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요동 규제 롤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가스 분사 노즐 및 흡인 노즐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지점 바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4는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지점 바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는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지점 바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브레이킹 기구가 갖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는 유리 리본의 폭방향을 「X-X방향」으로 나타내고, 유리 리본의 길이방향을 「Y-Y방향」으로 나타내고,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을 「Z-Z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1)는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서 하방으로 반송되는 가요성을 갖는 유리 리본(G)(예를 들면, 두께가 700㎛ 이하)을 소정 길이마다 절단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G)으로부터 잘라냄부로서의 유리판(Gx)을 연속적으로 잘라내기 위한 장치이다. 유리판의 제조 장치(1)는 유리 리본(G)의 표면(Ga)(유리 리본(G)의 표리면(Ga, Gb) 중 표면(Ga))에 대한 폭방향(X-X방향)을 따른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과, 스크라이브 라인(S)이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에의 굽힘 응력의 부여에 의한 유리 리본(G)의 브레이킹 절단을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1)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고,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를 생략한 구성요소는 도 3 이후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유리판의 제조 장치(1)는 도 1에 화살표 E-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는 형성 동작, 및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 후에 상방으로 귀환하는 귀환 동작을 행하는 스크라이브 기구(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크라이브 기구(2)보다 유리 리본(G)의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도 1에 화살표 F-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하면서 브레이킹 절단을 실행하는 브레이킹 동작, 및 브레이킹 절단의 실행 후에 상방으로 복귀하는 복귀 동작을 행하는 브레이킹 기구(3)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라이브 기구(2)와 브레이킹 기구(3)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스크라이브 기구(2)는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상단,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하단으로 해서 상하동한다. 한편, 브레이킹 기구(3)는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상단,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하단으로 해서 상하동한다.
또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1)는 스크라이브 기구(2)보다 유리 리본(G)의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스크라이브 기구(2)에 반입되는 유리 리본(G)을 폭방향(X-X방향)을 따라 표면(Ga)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키는 변형 부여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킹 절단의 실행에 의해 잘라내어진 유리판(Gx)을 브레이킹 기구(3)로부터 수취하여 하류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에는 그 폭방향 양단에 제품 유리판의 제조 과정에서 제거되는 비유효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비유효부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귀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비유효부 중 귀부를 제외한 부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비유효부(Gu)」라고 표기하고, 귀부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귀부(Gm)」라고 표기한다.
이하, 변형 부여 기구(4)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 부여 기구(4)는 유리 리본(G)이 원래 갖는 폭방향(X-X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표면(Ga)측이 볼록해지도록 상기 유리 리본(G)을 만곡시킨다. 이 변형 부여 기구(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반송 경로룰 따라 2기가 배치되어 있고, 이 2기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양 변형 부여 기구(4)의 각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표면(Ga)측에 있어서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된 2개소와, 이면(Gb)측에 있어서 상술한 2개소의 상호 간에 위치하는 2개소의 각각에 유리 리본(G)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로서의 지지 롤러(4a)를 갖고 있다. 표면(Ga)측의 2개의 지지 롤러(4a)와 이면(Gb)측의 2개의 지지 롤러(4a)는 유리 리본(G)의 폭방향 중앙(Gc)을 기준으로 해서 대칭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유리 리본(G)의 폭방향 양단에 존재하는 비유효부(Gu)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Ga)측의 지지 롤러(4a)와 이면(Gb)측의 지지 롤러(4a)에 의해 유리 리본(G)을 두께방향(Z-Z방향)으로 끼워 넣고 있다. 또한, 표면(Ga)측의 지지 롤러(4a), 및 이면(Gb)측의 지지 롤러(4a)는 모두 프리 롤러이다.
각 지지 롤러(4a)는 그 각각이 볼 나사(도시 생략)를 통해 에어실린더(4b)와 연결되어 있고, 각 에어실린더(4b)는 각각 유리 리본(G)의 표면(Ga)측과 이면(Gb)측에 배치된 프레임(6)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롤러(4a)는 각 에어실린더(4b)의 내압의 증감을 조절함으로써 도 3에 화살표 H-H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볼 나사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여 두께방향을 따르는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Ga)측의 지지 롤러(4a)와 이면(Gb)측의 지지 롤러(4a)를 이동시키고, 각 지지 롤러(4a)의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을 따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른 만곡(곡률)을 임의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유리 리본(G)을 표면(Ga)측의 지지 롤러(4a)와 이면(Gb)측의 지지 롤러(4a)에 의해 끼워 넣을 때에 유리 리본(G)을 폭방향(X-X방향)을 따라 확실하게 만곡시키기 위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표면(Ga)측의 지지 롤러(4a)와 이면(Gb)측의 지지 롤러(4a)의 겹침값(J)(양 지지 롤러(4a)를 그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겹침값)을 3㎜~1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표면(Ga)측의 지지 롤러(4a)와 이면(Gb)측의 지지 롤러(4a)의 이반 거리(K)(양 지지 롤러(4a)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반 거리)를 30㎜~5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을 따른 만곡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리 리본(G)을 스크라이브 기구(2)에 반입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기구(2)가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로부터 스크라이브 기구(2)에 가장 근접한 변형 부여 기구(4)까지의 이간 거리(L)(유리 리본(G)의 반송 경로를 따른 이간 거리)를 100㎜~15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스크라이브 기구(2)에 반입되는 유리 리본(G)은 폭방향(X-X방향)을 따라 표면(Ga)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유리 리본(G)에 있어서는 폭방향 중앙(Gc)을 경계로 한 일방측의 부위와 타방측의 부위가 대칭으로 만곡된 상태가 된다.
이하, 변형 부여 기구(4)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리 리본(G)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로서 지지 롤러(4a)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지지 롤러(4a) 대신에 유리 리본(G)의 길이방향(Y-Y방향)에 장척의 벨트 컨베이어(이송방향은 상방으로부터 하방)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각 지지 롤러(4a) 대신에 유리 리본(G)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환봉 등을 배치해도 좋다.
이하, 스크라이브 기구(2)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스크라이브 기구(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표면(Ga) 상을 폭방향(X-X방향)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는 형성 부재로서의 커터 휠(2a)과, 이면(Gb)측으로부터 유리 리본(G)을 통해 주행 중의 커터 휠(2a)을 지지하고, 또한 커터 휠(2a)과 동기한 상태에서 이면(Gb) 상을 폭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형성 보조 부재로서의 휠 지지 롤러(2b)를 갖고 있다. 휠 지지 롤러(2b)의 지름(D2)은 커터 휠(2a)의 지름(D1)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커터 휠(2a) 및 휠 지지 롤러(2b)의 진행방향(M)의 전후에는 유리 리본(G)을 두께방향(Z-Z방향)으로 협지하면서 커터 휠(2a) 및 휠 지지 롤러(2b)와 함께 폭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한 쌍의 협지 롤러(7)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터 휠(2a), 휠 지지 롤러(2b), 및 각 협지 롤러(7)는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휠 지지 롤러(2b), 및 각 협지 롤러(7)는 모두 프리 롤러이다.
복수의 협지 롤러(7) 중 커터 휠(2a)의 후방에서 유리 리본(G)의 표면(Ga) 상을 주행하는 협지 롤러(7)(이하, 특정 협지 롤러(7a)로 표기)는 다른 협지 롤러(7)와는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협지 롤러(7)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특정 협지 롤러(7a)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소경부(7aa)와, 유리 리본(G)의 표면(Ga) 상을 전동하고 또한 소경부(7a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대경부(7ab)를 갖고 있다. 그리고, 특정 협지 롤러(7a)는 커터 휠(2a)이 형성한 스크라이브 라인(S)을 소경부(7aa)가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정 협지 롤러(7a)의 주행 중에는 소경부(7aa)와 대경부(7ab) 중 대경부(7ab)만이 유리 리본(G)의 표면(Ga)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커터 휠(2a) 및 표면(Ga) 상을 주행하는 2개의 협지 롤러(7)(이하, 이들을 통합해서 표면 주행군(8)으로 표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보 모터를 동력원으로 해서 구동하는 구동륜(9)과, 종동륜(10)과, 이들에 감겨진 벨트(11)를 구비한 컨베이어(1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12)는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이 이송방향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벨트(11)가 선회하는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륜(9)의 회전에 따라 벨트(11)가 선회함으로써 표면 주행군(8)이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주행군(8)을 구성하는 커터 휠(2a) 및 2개의 협지 롤러(7)는 이들의 각각과 연결된 각 볼 나사(12a)에 의해 컨베이어(12)와 연결된 상태에서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서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볼 나사(12a) 각각의 구동은 서보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표면 주행군(8)은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른 이동 중에 두께방향을 따라서도 이동함으로써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주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12)는 이것을 수용한 케이싱(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3)이 서보 모터(14)와 연결된 볼 나사(15)에 의해 프레임(6)에 설치된 가이드(16)를 따라 상하동함에 따라 컨베이어(12)가 상하동한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 지지 롤러(2b), 및 이면(Gb) 상을 주행하는 2개의 협지 롤러(7)(이하, 이들을 통합해서 이면 주행군(17)으로 표기)에 대해서도 각각이 볼 나사(18a)(볼 나사(12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볼 나사)와 연결됨과 아울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12)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유리 리본(G)을 사이에 두고 컨베이어(12)와 대향해서 배치된 컨베이어(18)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스크라이브 기구(2)가 형성 동작을 행할 때에는 양 컨베이어(12, 18)가 유리 리본(G)의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또한 표면(Ga)측과 이면(Gb)측에서 서로 동기한 상태에서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해 간다. 그리고, 양 컨베이어(12, 18)의 유리 리본(G)에의 추종 강하 중에는 표면 주행군(8) 및 이면 주행군(17)이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주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변형 부여 기구(4)가 유리 리본(G)에 부여된 만곡을 따라서 표면 주행군(8) 및 이면 주행군(17)이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유리 리본(G)에 있어서 표면 주행군(8)과 이면 주행군(17)에 의해 끼워진 부위(도 6에 있어서 크로스 해칭을 실시한 부위)의 형상이 평탄해지도록 커터 휠(2a), 휠 지지 롤러(2b), 및 각 협지 롤러(7)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제어하고 있다. 유리 리본(G)에의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이 완료되면 양 컨베이어(12, 18)의 유리 리본(G)에의 추종 강하가 정지한다.
한편, 스크라이브 기구(2)가 귀환 동작을 행할 때에는 양 컨베이어(12, 18)가 표면(Ga)측과 이면(Gb)측에서 서로 동기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해 간다. 그리고, 양 컨베이어(12, 18)의 상방으로의 이동 중에는 형성 동작 중과는 역방향으로 벨트(11)가 선회해서 표면 주행군(8) 및 이면 주행군(17)이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라 형성 동작 중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서보 기구에 의해 제어된 볼 나사(12a) 및 볼 나사(18a)의 구동에 의해 표면 주행군(8) 및 이면 주행군(17)이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 리본(G)으로부터 이반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양 주행군(8, 17)이 귀환 동작 중에 유리 리본(G)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양 컨베이어(12, 18)가 스크라이브 라인(S)(다음 회에 형성되는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까지 귀환하면 이들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한다.
이하, 스크라이브 기구(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는 형성 부재로서 커터 휠(2a)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리본(G)의 표면(Ga) 상을 이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일례를 들면 형성 부재로서 침 형상의 형성날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형성 보조 부재에 대해서도 휠 지지 롤러(2b)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유리 리본(G) 을 통해 이동 중의 형성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변형 부여 기구(4)가 유리 리본(G)에 부여한 만곡을 따라서 표면 주행군(8) 및 이면측 주행군(17)을 주행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는 복수의 변위 센서에 의해 스크라이브 기구(2)에 반입되기 직전의 유리 리본(G)의 만곡을 검출시킴과 아울러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표면 주행군(8) 및 이면측 주행군(17)이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유리 리본(G)이 굴곡을 갖고 있는 경우이어도 확실하게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주행군(8)과 이면 주행군(17)에 의해 끼워진 부위의 형상이 평탄해지도록 커터 휠(2a), 휠 지지 롤러(2b), 및 각 협지 롤러(7)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제어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 주행군(8, 17)에 의해 끼워진 부위의 만곡이 유지되도록 커터 휠(2a), 휠 지지 롤러(2b), 및 각 협지 롤러(7)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제어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특정 협지 롤러(7a) 대신에 커터 휠(2a)이 형성한 스크라이브 라인(S)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벗어난 높이 위치에 있어서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표면(Ga) 상을 주행하는 협지 롤러(7)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각 협지 롤러(7) 대신에 유리 리본(G)과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른 만곡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유리 리본(G)의 표면(Ga)측과 이면(Gb)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에 대해 양자의 상호간의 거리가 유리 리본(G)의 두께 치수에 대해 약간 길어지도록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제어된다. 또한, 복수의 협지 롤러(7) 중 일부의 협지 롤러(7)만을 가이드 롤러로 치환해도 좋다. 이러한 치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휠(2a)의 후방에서 유리 리본(G)의 표면(Ga) 상을 주행하는 협지 롤러(7)(특정 협지 롤러(7a))를 가이드 롤러(7x)로 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가이드 롤러(7x)도 프리 롤러이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7x)와 유리 리본(G)의 표면(Ga)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폭(AA)은 0.5㎜~5㎜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기구(2)가 귀환 동작을 행할 때에는 양 컨베이어(12, 18)가 표면(Ga)측과 이면(Gb)측에서 서로 동기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해 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 컨베이어(12, 18)를 각각 상방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이하, 브레이킹 기구(3)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킹 기구(3)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에 대해 이면(Gb)측으로부터 접촉해서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이 되는 지점 부재로서의 지점 바(19)와, 스크라이브 라인(S)의 하방에 존재하는 유리판(Gx)을 지지한 상태에서 표면(Ga)측으로부터 이면(Gb)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를 만곡시켜서 굽힘 응력을 부여하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와, 브레이킹 절단 후(유리판(Gx)의 잘라내기 후)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한 요동 규제 수단으로서의 요동 규제 롤러(21)와, 브레이킹 절단에 따라 발생한 유리 분말(Gk)을 날려버리기 위한 가스(22a)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 노즐(22)과, 유리 분말(Gk)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노즐(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브레이킹 기구(3)의 구성요소 중 최상방에 위치하는 요동 규제 롤러(21)는 스크라이브 기구(3)보다 하방에 위치해 있다.
지점 바(19)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그 전체 길이가 유리 리본(G)의 폭 치수보다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지점 바(19)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의 전체 폭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 바(19)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와 접촉하는 부위는 평면으로 볼 때에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이 접촉하는 부위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볼록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점 바(19)는 에어실린더(도시 생략)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내압의 증감에 따라 도 10에 화살표 N-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점 바(19)는 유리 리본(G)으로의 접근, 및 유리 리본(G)으로부터의 이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보 모터(24)와 연결된 볼 나사(25)에 의해, 프레임(6)에 설치된 가이드(26)를 따라 상하동하는 플레이트(27)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27)의 상하동에 따라 에어실린더, 및 지점 바(19)가 상하동한다.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Gx)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지지체)로서의 복수의 척(20a)과, 복수의 척(20a)을 유리판(Gx)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서의 브레이킹 암(20b)을 갖고 있다.
복수의 척(20a)은 유리판(Gx)의 폭방향(X-X방향) 양단에 존재하는 귀부(Gm)를 따라 서로 이간되어 늘어서 있고, 이들의 각각이 귀부(Gm)의 파지,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척(20a)은 동 도면에 화살표 P-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클로(20aa)를 갖고 있고, 이 한 쌍의 클로(20aa)에 의해 귀부(Gm)를 파지한다. 또한, 각 척(20a)은 동 도면에 화살표 Q-Q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28)의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그 자세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킹 암(20b)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Gx)을 폭방향(X-X방향)으로 끼워서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브레이킹 암(20b)의 각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연장된 봉 형상의 암 본체(20ba)와, 암 본체(20ba)에 서로 이간되어 부착되고, 또한 각 척(20a)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플레이트(20bb)와, 복수의 유지 플레이트(20bb)의 각각을 암 본체(20ba)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20bc)를 갖고 있다.
암 본체(20ba)는 도 10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자세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브레이킹 자세로 자세를 변화(동 도면에 화살표 R-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암 본체(20ba)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척(20a)에 의해 파지된 유리판(Gx)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가 유리 리본(G)의 길이방향(Y-Y방향)을 따라 표면(Ga)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되고,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에 굽힘 응력이 부여된다. 암 본체(20ba)의 초기 자세로부터 브레이킹 자세로의 자세의 변화는 지점 바(19)와 접촉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를 따라 폭방향(X-X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29)의 주위를 암 본체(20ba)가 회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암 본체(20ba)의 회동에 따라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가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암 본체(20ba)의 초기 자세는 유리 리본(G)의 폭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연직선(30)에 대해 각도 θ만큼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다.
암 본체(20b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보 모터(31)와 연결된 볼 나사(32)에 의해 프레임(33)에 설치된 가이드(34)를 따라 상하동하는 플레이트(3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35)의 상하동에 따라 암 본체(20ba)(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가 상하동한다. 또한, 프레임(33)은 서보 모터(36)와 연결된 볼 나사(37)에 의해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38)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판(Gx)(유리 리본(G))의 폭 치수의 대소에 맞춰 프레임(33)을 이동시킴으로써 암 본체(20ba)의 폭방향을 따른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유지 플레이트(20bb) 각각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Gx)의 두께방향(Z-Z방향)으로 장척의 장공(20bb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20bba)에 삽입 통과된 볼트(20bc)가 상기 암 본체(20ba)에 고정됨으로써 유지 플레이트(20bb)가 암 본체(20ba)에 부착된다. 따라서, 동 도면에 화살표 W-W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 플레이트(20bb)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20bb)에 형성된 장공(20bba)의 길이의 분만큼 암 본체(20ba)에 대해 유리판(Gx)의 두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유지 플레이트(20bb)의 암 본체(20ba)에 대한 위치와 상기 각 척(20a)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각 척(20a)이 유리판(Gx)을 상기 유리판(Gx)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G)의 길이방향(Y-Y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을 유지하면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유지 플레이트(20bb)의 암 본체(20ba)에 대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유지 플레이트(20bb)를 슬라이딩시킬 때에 슬라이드의 폭을 가급적으로 작게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각도 θ의 값은 0.1°~1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 본체(20ba)의 하단부에는 도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킹 절단 시에 유리판(Gx)의 하단부(Gxa)에 있어서의 표면(Ga)측을 폭방향(X-X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하단 받침 부재로서의 하단 받침 바(39)가 부착되어 있다. 하단 받침 바(39)는 암 본체(20ba)와 연결된 상태에서의 회전, 및 유리판(Gx)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한 봉체(40)를 통해 암 본체(20ba)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 받침 바(39)는 봉체(40)의 회전, 또는 봉체(40)의 유리판(Gx)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에 따라 유리판(Gx)의 하단부(Gxa)를 폭방향을 따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위치(도 1 및 도 10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유리 리본(G)의 반송 경로로부터 벗어난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봉체(40)의 회전에 따라 도 1에 화살표 T-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위치와,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폭방향(X-X방향)의 바깥쪽으로 이간된 제 1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봉체(40)의 유리판(Gx)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른 이동에 따라 도 10에 화살표 U-U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위치와,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유리판(Gx)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간된 제 2 퇴피 위치(도 10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하단 받침 바(39)는 유리판(Gx)의 폭 치수의 대소에 맞추기 위해서 상기 하단 받침 바(39)의 장척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신축을 위한 기구는 도시 생략).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규제 롤러(21)는 유리 리본(G)의 표면(Ga)측 및 이면(Gb)측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표리 양측의 요동 규제 롤러(21)가 협동함으로써 브레이킹 절단 후의 유리 리본(G)에 있어서의 두께방향(Z-Z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리 양측의 요동 규제 롤러(21)는 모두 프리 롤러이다.
표면(Ga)측의 요동 규제 롤러(21)(이하, 표면측 롤러(21)로 표기)는 유리 리본(G)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S)보다 상방에 위치한 부위(Gd)(이하, 상방 부위(Gd)로 표기)의 표면(Ga)과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표면측 롤러(21)는 에어실린더(4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어실린더(41)의 내압의 증감에 따라 도 10에 화살표 O2-O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리본(G)에 접근해서 요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위치(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유리 리본(G)으로부터 이반되어 퇴피하기 위한 퇴피 위치(도 10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표면측 롤러(21)는 브레이킹 절단 시에는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암 본체(20ba)의 회동에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를 중심으로 이면(Gb)측으로부터 표면(Ga)측으로 회동하려고 하는(표면(Ga)측으로 불룩해지려고 하는) 상방 부위(Gd)를 표면(Ga)측으로부터 표면측 롤러(21)가 지지하고, 상방 부위(Gd)의 회동을 방지한다. 즉, 표면측 롤러(21)가 유리 리본(G)의 브레이킹 절단을 보조하는 브레이킹 보조 수단(브레이킹 보조 롤러(21))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표면측 롤러(21)를 브레이킹 보조 수단으로서 확실하게 기능시키기 위해서 표면측 롤러(21)와 지점 바(19)의 유리 리본(G)의 길이방향(Y-Y방향)을 따른 이간 거리는 10㎜~1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Gb)측의 요동 규제 롤러(21)(이하, 이면측 롤러(21)로 표기)는 상방 부위(Gd)의 이면(Gb)과 면함과 아울러 표면측 롤러(21)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면측 롤러(21)는 표면측 롤러(21)와 마찬가지로 에어실린더(41)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1)의 내압의 증감에 따라 도 10에 화살표 O1-O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측 롤러(21)와 마찬가지로 규제 위치(도 10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퇴피 위치(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후에 상세히 서술하지만 표면측 롤러(21)와 이면측 롤러(21) 사이에서는 규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타이밍이 다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가 함께 규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 양단에 존재하는 비유효부(Gu)가 양 롤러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폭방향의 일방단측에 존재하는 비유효부(Gu)를 두께방향으로 끼우는 양 롤러를 도시하고 있지만 타방단측에도 일방단측의 양 롤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양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가 규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양 롤러의 각각과 유리 리본(G)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양 롤러의 규제 위치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규제 위치로 이동한 표면측 롤러(21)와 표면(Ga)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폭(BB), 및 규제 위치로 이동한 이면측 롤러(21)와 이면(G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폭(CC)은 함께 0.5㎜~5㎜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측 롤러(21)는 서보 모터(42)와 연결된 볼 나사(43)에 의해 프레임(6)에 설치된 가이드(44)를 따라 상하동하는 도 2에 나타낸 플레이트(45)와 연결되어 있다(연결부는 도시 생략). 그리고, 플레이트(45)의 상하동에 따라 표면측 롤러(21)가 상하동한다. 한편, 이면측 롤러(21)는 도 2에 나타낸 플레이트(27)와 연결되어 있다(연결부는 도시 생략). 그리고, 플레이트(27)의 상하동에 따라 이면측 롤러(21)가 상하동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분사 노즐(22)은 유리 리본(G)의 이면(Gb)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지점 바(19)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분사 노즐(22)은 유리 리본(G)의 반송 중에 귀부(Gm)가 통과하는 패스 라인을 지향해서 가스(22a)를 분사하도록 자세가 조절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가스 분사 노즐(22)은 평면으로 보았을 경우에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에 대해 경사진 자세를 취하고 있고, 노즐의 선단부가 폭방향(X-X방향)외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이 가스 분사 노즐(22)은 상기 이면측 롤러(21)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플레이트(27)와 연결되어 있다(연결부는 도시 생략). 그리고, 플레이트(27)의 상하동에 따라 가스 분사 노즐(22)이 상하동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노즐(23)은 유리 리본(G)을 두께방향(Z-Z방향)으로 끼워서 상기 지점 바(19) 및 가스 분사 노즐(22)과는 반대측이 되는 표면(Ga)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흡인 노즐(23)은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을 따라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 길이가 스크라이브 라인(S)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흡인 노즐(23)은 집진기(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집진기의 가동에 따라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브레이킹 절단에 의해 발생한 유리 분말(Gk)을 흡인한다(상세는 후술). 또한, 흡인 노즐(23)은 에어실린더(도시 생략)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내압의 증감에 따라 도 10에 화살표 V-V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 노즐(23)은 유리 리본(G)으로의 접근, 및 유리 리본(G)으로부터의 이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도 2에 나타내는 플레이트(4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45)의 상하동에 따라 에어실린더, 및 흡인 노즐(23)이 상하동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의 반송 중에 귀부(Gm)가 통과하는 패스 라인의 폭방향(X-X방향) 외측에는 유리 분말(Gk)을 흡인하기 위한 보조 흡인 노즐(4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흡인 노즐(46)은 흡인 노즐(23)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보조 흡인 노즐(46)에 대해서도 흡인 노즐(23)과 마찬가지로 집진기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조 흡인 노즐(46)은 이면측 롤러(21) 및 가스 분사 노즐(22)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플레이트(27)와 연결되어 있다(연결부는 도시 생략). 그리고, 플레이트(27)의 상하동에 따라 보조 흡인 노즐(46)이 상하동한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을 행할 때에는 지점 바(19),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요동 규제 롤러(21), 가스 분사 노즐(22),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이 유리 리본(G)의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또한 서로 동기한 상태에서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해 간다. 그리고, 이들의 유리 리본(G)에의 추종 강하 중에는 이하와 같이 해서 유리 리본(G)으로부터 유리판(Gx)이 잘라내어진다.
처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 표면측 롤러(21)가 퇴피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 하에서 지점 바(19) 및 흡인 노즐(23)이 각각 유리 리본(G)에 접근하고, 지점 바(19)에 대해서는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에 접촉한다. 또한, 도면 밖의 복수의 척(20a)이 귀부(Gm)를 파지함과 아울러 도면 밖의 하단 받침 바(39)가 제 1 퇴피 위치, 또는 제 2 퇴피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도면 밖의 암 본체(20ba)가 회동해서 초기 자세로부터 브레이킹 자세로의 자세의 변화를 개시한다. 이 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부위(Gd)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측 롤러(21)가 표면(Ga)측으로부터 상방 부위(Gd)를 지지한다. 또한, 가스 분사 노즐(22)이 가스(22a)의 분사를 개시하고,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이 흡인을 개시한다. 즉, 가스 분사 노즐(22)과,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은 각각 유리판(Gx)의 잘라내기 전부터 가스(22a)의 분사, 및 흡인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유리 리본(G)의 브레이킹 절단이 완료되고, 유리 리본(G)으로부터 유리판(Gx)이 잘라내어지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 바(19)가 유리 리본(G)으로부터 이반됨과 아울러 지점 바(19)와 교대로 이면측 롤러(21)가 유리 리본(G)에 접근하고, 퇴피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표리 양측의 요동 규제 롤러(21)가 유리판(Gx)의 잘라내기 후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G)의 하단부(Ge)를 끼운 배치가 된다. 또한, 유리판(Gx)이 잘라내어지면 가스 분사 노즐(22)이 분사한 가스(22a)가 유리 리본(G)의 하단부(Ge)와 유리판(Gx)의 상단부(Gx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이면(Gb)측으로부터 표면(Ga)측을 향해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킹 절단 시에 발생한 유리 분말(Gk)의 일부는 가스(22a)의 압력에 의해 블로잉되어 흡인 노즐(23)로 유도된다. 또한, 유리 분말(Gk)의 다른 일부는 가스(22a)의 압력에 의해 보조 흡인 노즐(46)로 유도된다.
최후에 유리 분말(Gk)의 흡인이 완료되면 가스 분사 노즐(22)에 의한 가스(22a)의 분사가 정지함과 아울러 흡인 노즐(23)에 의한 흡인이 정지한다. 또한, 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가 각각 규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흡인 노즐(23)은 유리 리본(G)으로부터 이반된다. 또한, 지점 바(19),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요동 규제 롤러(21), 가스 분사 노즐(22),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의 유리 리본(G)에의 추종 강하도 정지한다. 또한, 잘라내어진 유리판(Gx)은 브레이킹 기구(3)로부터 이송 기구(5)로 전달된다.
한편, 브레이킹 기구(3)가 복귀 동작을 행할 때에는 지점 바(19),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요동 규제 롤러(21), 가스 분사 노즐(22),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이 서로 동기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해 간다. 또한, 이들 브레이킹 기구(3)의 구성요소 중 유리 리본(G)에 대한 접근 및 이반이 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들 브레이킹 기구(3)의 구성요소의 이동 중에는 하단 받침 바(39)가 지지 위치로부터 제 1 퇴피 위치, 또는 제 2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지점 바(19),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요동 규제 롤러(21), 가스 분사 노즐(22),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이 브레이킹 절단(다음 회에 실행되는 브레이킹 절단)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까지 복귀하면 이들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하단 받침 바(39)를 제 1 퇴피 위치와 제 2 퇴피 위치 중 어느 쪽으로 이동시킬지의 선택은 이하와 같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된 유리 리본(G)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1)에 반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하단 받침 바(39)를 제 1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레이킹 기구(3)가 1회째(초회)의 브레이킹 동작을 개시할 때에는 제 1 퇴피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하단 받침 바(39)를 이동시킨다. 또한, 브레이킹 기구(3)가 1회째의 브레이킹 동작을 완료한 후, 2회째의 브레이킹 동작을 개시하기 까지의 사이는 하단 받침 바(39)를 제 2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레이킹 기구(3)가 2회째 이후의 브레이킹 동작을 완료한 후, 다음 회의 브레이킹 동작을 개시하기 까지의 사이는 하단 받침 바(39)를 제 2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브레이킹 기구(3)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리판(Gx)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지지체)로서 복수의 척(20a)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판(Gx)에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Gx)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한 흡착 패드 등을 지지 부재(지지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단 받침 부재로서의 하단 받침 바(39)가 유리판(Gx)의 하단부(Gxa)에 있어서의 표면(Ga)측을 폭방향(X-X방향)을 따라 지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단 받침 부재로서 하단 받침 바(39) 대신에 흡착 패드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반드시 표면(Ga)측을 폭방향을 따라 지지시킬 필요는 없고 이면(Gb)측을 폭방향을 따라 지지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레이킹 기구(3)가 복귀 동작을 행할 때에는 지점 바(19),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요동 규제 롤러(21), 가스 분사 노즐(22), 흡인 노즐(23), 및 보조 흡인 노즐(46)이 서로 동기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해 가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이 상하동하기 위한 기구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이들이 각각 상방으로 이동해서 복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가 규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양 롤러의 각각과 유리 리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규제 위치가 위치 결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 롤러가 규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양 롤러의 각각과 유리 리본(G)이 접촉하도록 규제 위치를 위치 결정해도 좋고, 양 롤러 중 한쪽만이 유리 리본(G)과 접촉하도록 규제 위치를 위치 결정해도 좋다.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 분사 노즐(22)에 의한 가스(22a)의 분사, 및 흡인 노즐(23)에 의한 흡인이 정지했을 때에 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가 규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 리본(G)의 요동의 계속 시간이나, 요동의 진폭 크기에 맞춰 가스 분사 노즐(22) 및 흡인 노즐(23)의 정지 전에 양 롤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고, 정지 후에 양 롤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가 모두 퇴피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브레이킹 기구(3)의 복귀 동작에 따라 양 롤러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규제 위치로 이동한 양 롤러의 각각과 유리 리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규제 위치를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양 롤러가 규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유리판(Gx) 1매당 잘라내기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규제 위치로 이동한 표면측 롤러(21)와 유리 리본(G)이 접촉하도록 규제 위치를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규제 위치에 있는 표면측 롤러(21)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즉, 표면측 롤러(21)와 유리 리본(G)이 브레이킹 기구(3)의 브레이킹 동작 중, 복귀 동작 중에 관계없이 항상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요동 규제 수단(브레이킹 보조 수단)으로서 롤러(표면측 롤러(21) 및 이면측 롤러(21))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리 리본(G)의 폭방향으로 장척인 봉 형상 부재를 요동 규제 수단(브레이킹 보조 수단)으로서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봉 형상 부재가 규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유리 리본(G)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규제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 형상 부재에 있어서 유리 리본(G)에 면하는 부위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유리 리본(G)과의 접촉에 기인해서 손상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록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 분사 노즐(22)이 유리 리본(G)의 반송 중에 귀부(Gm)가 통과하는 패스 라인을 지향해서 가스(22a)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으로 장척인 분사구를 구비한 가스 분사 노즐(22)을 사용하여 유리 리본(G) 전체 폭의 패스 라인을 향해 가스(22a)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하, 스크라이브 기구(2)와 브레이킹 기구(3)의 연동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된 유리 리본(G)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1)에 반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기구(2)는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에 대기하고 있고, 브레이킹 기구(3)는 브레이킹 절단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유리 리본(G)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1)에 반입되면 스크라이브 기구(2)가 형성 동작(1회째)을 개시하고, 유리 리본(G)에 스크라이브 라인(S)이 형성된다. 스크라이브 기구(2)는 형성 동작(1회째)의 완료 후, 연속해서 귀환 동작(1회째)을 개시한다. 즉,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1회째)을 완료하기 전에 스크라이브 기구(2)가 귀환 동작(1회째)을 개시한다. 그리고, 브레이킹 기구(3)가 대기한 높이 위치(브레이킹 절단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까지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가 도달하면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1회째)을 개시한다. 브레이킹 기구(3)는 브레이킹 동작(1회째)의 완료 후, 연속해서 복귀 동작(1회째)을 개시한다. 또한, 스크라이브 기구(2)는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까지 귀환한 후,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1회째), 또는 복귀 동작(1회째)을 행하고 있는 사이에 다시 형성 동작(2회째)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크라이브 기구(2)가 형성 동작(2회째)을 완료하기 전에 브레이킹 기구(3)가 복귀 동작(1회째)을 완료하고, 브레이킹 절단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브레이킹 기구(3)가 대기한 높이 위치까지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가 도달하면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2회째)을 개시한다. 이렇게 해서 스크라이브 기구(2)에 의한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과, 브레이킹 기구(3)에 의한 유리 리본(G)의 브레이킹 절단이 반복되어 실행된다.
이하, 이송 기구(5)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 기구(5)는 잘라내어진 유리판(Gx)을 브레이킹 기구(3)로부터 수취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취 암(5a)을 갖고 있다. 이 수취 암(5a)의 선단에는 유리판(Gx)의 상단부(Gxb)의 파지, 및 그 해제를 행하기 위한 척(5a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척(5aa)이 유리판(Gx)을 파지한 상태 하에서 수취 암(5a)이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유리판(Gx)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요소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문,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1)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1)와 상위하고 있는 주된 점은 암 본체(20ba)의 회동 중에 그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선(29)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과, 회동 중의 암 본체(20ba)가 더욱 자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봉체(40) 및 하단 받침 바(39)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1)는 암 본체(20ba)를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선(47)을 중심으로 자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48)와, 회전 기구(48)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기구(48)와 연결된 암 본체(20ba)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4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 기구(49)는 암 본체(20ba)를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 기구(49a)와, 암 본체(20b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이동 기구(49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 기구(49)는 정지계로서의 바닥벽(50)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48)는 암 본체(20ba)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축선(47)을 축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축부(48a)와, 축부(48a)와 연결된 제 1 서보 모터(도시 생략)를 수용한 하우징(48b)과, 하우징(48b)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51)가 설치되고, 또한 가이드(51)를 통해 하우징(48b)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48c)를 갖고 있다.
축부(48a)는 제 1 서보 모터에 의해 정역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축부(48a)는 암 본체(20ba)의 장척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있고, 축부(48a)의 회전과 동기해서 암 본체(20ba)가 자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암 본체(20ba)의 자전에 따라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가 중심축선(47)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48b)은 가이드(51)에 따라 유리 리본(G)의 폭방향(X-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Gx)(유리 리본(G))의 폭 치수의 대소에 맞춰 하우징(48b)을 이동시킴으로써 축부(48a)를 통해 하우징(48b)과 연결된 암 본체(20ba)의 폭방향을 따른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을 행할 때에는 제 1 서보 모터에 의해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가 제어된 축부(48a)가 회전하고, 이것에 동기해서 암 본체(20ba)가 중심축선(47)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킹 동작 중에 있어서의 암 본체(20ba)의 자세가 제어되고,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의 자세가 제어된다. 또한, 암 본체(20ba)가 자전함으로써 그 회동의 중심이 되는 축선(29)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이동 기구(49b)는 제 2 서보 모터(도시 생략)와 연결된 볼 나사(52)에 의해 프레임(53)에 설치된 가이드(54)를 따라 상하동하는 가동체(49ba)와, 프레임(53)을 지지하는 지지 테이블(49bb)을 갖고 있다.
가동체(49ba)는 회전 기구(48)가 구비한 지지대(48c)와 연결되어 있고, 제 2 이동 기구(49b)가 가동체(49ba)를 통해 회전 기구(48)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체(49ba)의 상하동에 따라 상기 가동체(49ba)와 연결된 지지대(48c)가 상하동함으로써 회전 기구(48), 및 회전 기구(48)와 연결된 암 본체(20ba)가 상하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49ba)의 상하동과 동기해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가동체(49ba)는 브레이킹 절단 시에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를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시키기 위해서 유리 리본(G)에 추종해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체(49ba)의 하방으로의 이동 속도는 제 2 서보 모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49ba)는 유리 리본(G)의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이하, 기본 속도로 표기)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본 속도에 대해 가속된 속도(이하, 가속 속도로 표기), 또는 기본 속도에 대해 감속된 속도 (이하, 감속 속도로 표기)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을 행할 때에는 제 2 서보 모터에 의해 이동 속도가 제어된 가동체(49ba)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동기해서 암 본체(20ba)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가동체(49ba)의 이동 속도가 기본 속도로부터 가속 속도, 또는 감속 속도로 스위칭됨으로써 암 본체(20ba)의 하방으로의 이동 속도가 변화하고,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점 바(19)와 암 본체(20ba)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화된다. 이 위치 관계의 변화에 따라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를 지점 바(19)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암 본체(20ba)의 이동 속도가 변화함으로써 축선(29)의 위치를 지점 바(19)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이동 기구(49a)는 제 3 서보 모터(도시 생략)와 연결된 볼 나사(55)에 의해 프레임(56)에 설치된 가이드(57)를 따라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체(49aa)를 갖고 있다.
가동체(49aa)는 제 2 이동 기구(49b)가 구비한 지지 테이블(49bb)과 연결되어 있고, 제 1 이동 기구(49a)가 가동체(49aa)를 통해 제 2 이동 기구(49b)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체(49aa)의 두께방향(Z-Z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체(49aa)와 연결된 지지 테이블(49bb)이 두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이동 기구(49b), 제 2 이동 기구(49b)에 지지된 회전 기구(48), 및 회전 기구(48)와 연결된 암 본체(20ba)가 두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49aa)의 두께방향으로의 이동과 동기해서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가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체(49aa)의 두께방향을 따른 이동방향, 및 이동 속도는 제 3 서보 모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킹 기구(3)가 브레이킹 동작을 행할 때에는 제 3 서보 모터에 의해 이동방향, 및 이동 속도가 제어된 가동체(49aa)가 이동하고, 이것에 동기해서 암 본체(20ba)가 두께방향(Z-Z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브레이킹 동작 중에 있어서의 암 본체(20ba)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어되고,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 전체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어된다. 또한, 암 본체(20ba)가 두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축선(29)의 위치를 두께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 기구(48), 제 1 이동 기구(49a), 및 제 2 이동 기구(49b)는 이들 3자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3자 중 하나의 기구만, 또는 2개의 기구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기구(48), 제 1 이동 기구(49a), 및 제 2 이동 기구(49b)의 3자를 동시에 동작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본체(20ba)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 자세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브레이킹 자세로 자세 변화할 때에 유리 리본(G)에 추종 강하 중의 지점 바(19)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어서 축선(29)의 위치를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표면(Ga)측으로부터 이면(Gb)측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 암 본체(20ba)의 자세 변화할 때에는 회전 기구(48), 제 1 이동 기구(49a), 및 제 2 이동 기구(49b)의 각 기구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회전 기구(48)는 중심축선(47)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암 본체(20ba)를 자전시킴으로써 암 본체(20ba)의 연직선(30)에 대한 경사 각도를 각도 θ로부터 점차적으로 크게 하고 있다(θ<θ1<θ2).
여기서, 만일 암 본체(20ba)가 자전만을 행했을 경우에는 (1)자전에 따라 축선(29)의 위치가 두께방향(Z-Z방향)에 있어서 이면(Gb)측으로부터 표면(Ga)측으로 이동해 버린다. 또한, (2)자전에 따라 축선(29)의 위치가 지점 바(19)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해 버린다. 그 때문에 이들 (1), (2)의 이동을 부정하여 축선(29)의 위치를 지점 바(19)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표면(Ga)측으로부터 이면(Gb)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제 1 이동 기구(49a), 및 제 2 이동 기구(49b)가 행하고 있다.
제 1 이동 기구(49a)는 암 본체(20ba)를 유리 리본(G)의 두께방향(Z-Z방향)을 따라 표면(Ga)측으로부터 이면(Gb)측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때의 암 본체(20ba)의 이동 속도를 상기 (1)에 있어서 축선(29)이 이면(Gb)측으로부터 표면(Ga)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1)의 이동이 부정되고 축선(29)의 위치가 두께방향에 있어서 표면(Ga)측으로부터 이면(Gb)측으로 이동한다.
제 2 이동 기구(49b)는 가동체(49ba)를 감속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암 본체(20ba)를 감속 속도와 같은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즉, 제 2 이동 기구(49b)에 대해서는 축선(29)의 위치를 지점 바(19)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행하고 있다. 이 동작에 의해 상기 (2)의 이동이 부정되고 축선(29)의 위치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지점 바(19)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유지된다.
회전 기구(48), 제 1 이동 기구(49a), 및 제 2 이동 기구(49b)가 상기 동작을 행함으로써 도 1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킹 절단의 개시 시에 유리 리본(G)의 길이방향(Y-Y방향)을 따른 휘어짐에 기인하여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가 지점 바(19)로부터 부상해 있었다고 해도 브레이킹 절단 중에 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Gs)의 부상한 상태가 시정된다.
브레이킹 절단이 완료되어 유리 리본(G)으로부터 유리판(Gx)이 잘라내어지면 암 본체(20ba)가 중심축선(47)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한다. 이것에 의해 굽힘 응력 부여 부재(20)에 지지된 유리판(Gx)이 중심축선(47)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세로로 놓인 자세가 된다. 그리고, 세로로 놓인 자세로 된 상태의 유리판(Gx)이 브레이킹 기구(3)로부터 이송 기구(5)로 전달된다. 또한, 암 본체(20ba)의 반시계방향의 자전은 이면측 롤러(21)가 퇴피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 이동한 후에 실행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기구(48)가 구비한 축부(48a)가 암 본체(20ba)의 장척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부(48a)를 암 본체(20ba)의 장척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연결하고, 암 본체(20ba)의 자전의 중심이 되는 중심축선(47)의 위치를 본 실시형태와는 다른 위치로 변경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기구와 브레이킹 기구가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동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가 일체가 되어서 상하동하도록 해도 좋다. 즉, 스크라이브 기구와 브레이킹 기구의 양자가 일체가 되어서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로부터 브레이킹 절단이 완료되는 높이 위치까지 유리 리본에 추종 강하해서 브레이킹 절단을 실행함과 아울러 브레이킹 절단의 완료 후, 양자가 일체가 되어서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을 개시하는 높이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가요성을 갖는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가요성이 없는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유리 리본의 브레이킹 절단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나 부재를 제거하거나, 변경을 가하거나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변형 부여 기구는 가요성이 없는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하는 경우에는 불요하다. 또한, 커터 휠이나 휠 지지 롤러는 유리 리본의 만곡을 따라서 주행시킬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단지 유리 리본의 폭방향(X-X방향)을 따라서만 주행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휠 지지 롤러 대신에 유리 리본의 전체 폭과 접촉가능한 평탄면이 형성된 정반에 의해 주행 중의 커터 휠을 지지(유리 리본을 통해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유리 분말을 블로잉하기 위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 노즐이나, 유리 분말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노즐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은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렇게 했을 경우에는 가스 분사 노즐이 분사한 가스의 압력이나, 흡인 노즐이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유리 리본이 두께방향(Z-Z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요동을 억제하는데에 유리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리 양측의 요동 규제 롤러 중 이면측의 요동 규제 롤러는 반드시 배치하지 않아도 좋고, 표면측의 요동 규제 롤러만을 배치하고 상기 롤러를 브레이킹 보조 롤러로서만 기능시켜도 좋다.
1 유리판의 제조 장치 3 브레이킹 기구
19 지점 바 20 굽힘 응력 부여 부재
21 요동 규제 롤러 29 축선
47 중심축선 48 회전 기구
48a 축부 49a 제 1 이동 기구
49b 제 2 이동 기구 50 바닥벽
G 유리 리본 Ga 표면
Gb 이면 Gx 유리판
Gs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 S 스크라이브 라인
19 지점 바 20 굽힘 응력 부여 부재
21 요동 규제 롤러 29 축선
47 중심축선 48 회전 기구
48a 축부 49a 제 1 이동 기구
49b 제 2 이동 기구 50 바닥벽
G 유리 리본 Ga 표면
Gb 이면 Gx 유리판
Gs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 S 스크라이브 라인
Claims (8)
-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 성형되어서 하방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폭방향을 따라 일방면측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유리 리본에 대해 추종 강하하면서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굽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을 브레이킹 절단해서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의 하방에 존재하는 잘라냄부를 잘라내는 브레이킹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킹 기구가,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에 대해 타방면측으로부터 접촉해서 브레이킹 절단의 지점이 되는 지점 부재와,
상기 잘라냄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를 상기 일방면측으로부터 상기 타방면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부를 상기 일방면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키는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갖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에 수반되는 유리 리본의 브레이킹 절단의 실행 중에, 상기 축선의 위치를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일방면측으로부터 상기 타방면측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정지계에 설치되고, 또한 회동 중의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1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의 회동 중에 상기 축선의 위치를 상기 지점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정지계에 설치되고, 또한 회동 중의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를 상기 지점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2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회동 중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자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회동 중의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선을 축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축부를 갖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 부재가 상기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잘라내기 후의 상기 잘라냄부를 회전시켜서 세로로 놓인 자세로 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킹 기구가 상기 잘라냄부의 잘라내기 후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두께방향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수단을 상기 유리 리본의 상기 일방면측 및 상기 타방면측의 각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규제 수단이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48129A JP6589620B2 (ja) | 2015-12-21 | 2015-12-21 | ガラス板の製造装置 |
JPJP-P-2015-248129 | 2015-12-21 | ||
PCT/JP2016/084548 WO2017110348A1 (ja) | 2015-12-21 | 2016-11-22 | ガラス板の製造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869A KR20180093869A (ko) | 2018-08-22 |
KR102591882B1 true KR102591882B1 (ko) | 2023-10-20 |
Family
ID=5908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4188A KR102591882B1 (ko) | 2015-12-21 | 2016-11-22 | 유리판의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589620B2 (ko) |
KR (1) | KR102591882B1 (ko) |
CN (1) | CN108137372B (ko) |
WO (1) | WO20171103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93542B2 (ja) * | 2017-09-26 | 2022-12-20 |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帯状ガラスを分離するための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
US20210163334A1 (en) * | 2018-08-14 | 2021-06-03 | Corning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
JP7092018B2 (ja) * | 2018-12-18 | 2022-06-28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 |
KR20220025852A (ko) | 2019-06-26 | 2022-03-03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유리 리본들로부터 유리 시트들을 분리 및 운반하는 방법 |
JP7336071B2 (ja) * | 2019-10-08 | 2023-08-3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JPWO2021085052A1 (ko) * | 2019-10-29 | 2021-05-06 | ||
JP7425966B2 (ja) * | 2020-03-12 | 2024-02-0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JP7495659B2 (ja) | 2020-06-09 | 2024-06-05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CN115427363A (zh) * | 2020-06-23 | 2022-12-02 |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 玻璃板的制造方法、玻璃板的制造装置以及玻璃板 |
JP2022174492A (ja) * | 2021-05-11 | 2022-11-24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
JP2022174493A (ja) * | 2021-05-11 | 2022-11-24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装置 |
CN114195374B (zh) * | 2021-11-16 | 2024-04-23 | 兆虹精密(北京)科技有限公司 | 超薄玻璃的切断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31003A (ja) | 2010-04-29 | 2011-11-17 | Corning Inc | 連続した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割する方法 |
JP2012096988A (ja) | 2010-10-29 | 2012-05-24 | Corning Inc | 帯状ガラスを切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
JP2013043828A (ja) | 2011-08-23 | 2013-03-04 | Corning Inc | 動いている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
JP2014005176A (ja) * | 2012-06-25 | 2014-01-16 | Gy Systems Co Ltd | 折割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16025B1 (en) * | 2000-08-31 | 2003-09-09 | Corning Incorporated | Automated flat glass separator |
US20060261118A1 (en) * | 2005-05-17 | 2006-11-23 | Cox Judy K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pane of brittle material from a moving ribbon of the material |
CN106630558B (zh) * | 2011-08-18 | 2020-09-01 | 康宁股份有限公司 | 切断玻璃带的方法 |
KR20160023794A (ko) * | 2013-06-25 | 2016-03-03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이동하는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2015
- 2015-12-21 JP JP2015248129A patent/JP6589620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1-22 CN CN201680057442.7A patent/CN108137372B/zh active Active
- 2016-11-22 KR KR1020187004188A patent/KR1025918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22 WO PCT/JP2016/084548 patent/WO201711034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31003A (ja) | 2010-04-29 | 2011-11-17 | Corning Inc | 連続した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割する方法 |
JP2012096988A (ja) | 2010-10-29 | 2012-05-24 | Corning Inc | 帯状ガラスを切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
JP2013043828A (ja) | 2011-08-23 | 2013-03-04 | Corning Inc | 動いているガラスリボンから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装置および方法 |
JP2014005176A (ja) * | 2012-06-25 | 2014-01-16 | Gy Systems Co Ltd | 折割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137372B (zh) | 2021-01-05 |
WO2017110348A1 (ja) | 2017-06-29 |
JP6589620B2 (ja) | 2019-10-16 |
CN108137372A (zh) | 2018-06-08 |
JP2017114686A (ja) | 2017-06-29 |
KR20180093869A (ko) | 2018-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1882B1 (ko) | 유리판의 제조 장치 | |
KR102550388B1 (ko) | 유리판의 제조 장치 | |
KR102339936B1 (ko) | 유리판의 제조 장치 | |
JP6589886B2 (ja) | ガラス板の製造装置 | |
CN105492396B (zh) | 从移动玻璃带分离玻璃板的方法和设备 | |
US11472728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
JP2017226549A (ja) |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
JP2014210699A (ja) | 硝子板分断装置および硝子板分断方法 | |
TW201714841A (zh) | 處理玻璃帶的方法與系統 | |
KR20160100917A (ko) |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
KR20190067739A (ko) | 띠형상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
KR20210091821A (ko) | 유리 시트의 주변 영역을 취급하여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JP7193542B2 (ja) | 帯状ガラスを分離するための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 |
TW201215574A (en) | Glass panel subscribing method | |
TWI486315B (zh) | Sheet breaking device for sheet met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