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98B1 -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498B1
KR102579498B1 KR1020197024124A KR20197024124A KR102579498B1 KR 102579498 B1 KR102579498 B1 KR 102579498B1 KR 1020197024124 A KR1020197024124 A KR 1020197024124A KR 20197024124 A KR20197024124 A KR 20197024124A KR 102579498 B1 KR102579498 B1 KR 10257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joint
mounting
wall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443A (ko
Inventor
요시오 오치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2306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35760A1/ja
Publication of KR2020002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과제]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브래킷(100)은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과, 제 1 부분(110)의 한쪽 측단연(11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 2 부분(120)의 한쪽 측단연(121)의 적어도 일부까지에 걸쳐서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협각(α1)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측벽부(101)와, 제 1 부분(110)의 다른 쪽 측단연(11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 2 부분(120)의 다른 쪽 측단연(122)의 적어도 일부까지에 걸쳐서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협각(α1)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102)와, 제 2 부분(120)에 설치된 재치부(125)를 갖는다. 제 1 지지체(30)는 재치부(125)의 재치면(126)에 재치되는 제 1 접합부(31)와, 제 2 접합부(32)를 포함한다. 체결 부재는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 1 드릴 나사(9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본 발명은 건물의 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는 종래의 건물의 벽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개시의 벽 구조에서는 구조체의 벽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브래킷 하지재가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 하지재에는 복수의 브래킷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 띠장(furring strips)이 복수의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판재가 세로 띠장에 부착되어, 판재가 벽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벽 구조에서는, 벽면에 부육(不陸; 요철)이 생긴 경우, 구조체에 부착되는 판재끼리의 부육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대책이 필요해진다.
이 점에서, 특허문헌 2 개시의 벽 구조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재치부(載置部; placing unit)에 볼트 고정 구멍이 관설(貫設)되고,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부에 긴 구멍이 관설되어 있다. 그리고, 수나사를 볼트 고정 구멍 및 긴 구멍에 삽통(揷通)하여, 슬라이드 부재 고정용 너트에 나입(螺入)시킬 때, 재치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부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벽면의 부육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개시의 벽 구조에서는 제 1 브래킷 부재의 입설부(立設部)에 볼트 고정 구멍이 관설되고, 제 2 브래킷 부재의 슬라이드부에 긴 구멍이 관설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를 볼트 고정 구멍 및 긴 구멍에 삽통하여, 너트에 나입시킬 때, 입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부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벽면의 부육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3947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11511호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7086호
그러나, 특허문헌 2, 3 개시의 벽 구조에서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긴 구멍에서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시의 공정도 많기 때문에, 시공이 번잡하다. 또한, 복수의 부재끼리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 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는 벽면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벽면에 배치된 복수의 브래킷과, 상기 벽면을 따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제 1 지지체와,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 1 지지체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와,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지지체에서의 상기 벽면과는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벽면을 덮는 복수의 판재를 구비하는 건물의 벽 구조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한쪽 측단연(側端緣; side edge)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해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돌출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재치면을 포함하는 재치부(place unit)를 갖고, 상기 제 1 지지체는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는 제 1 접합부와, 상기 판재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재치부와 상기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제 1 드릴 나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에서는 제 1 부분의 양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 2 부분의 양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 1, 2 측벽부를 갖는 강성이 높은 브래킷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를 재치면에 재치할 때 구조체의 벽면의 부육(不陸)을 조정하고, 그 위치에서 제 1 드릴 나사를 사용하여, 브래킷의 재치부와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를 체결할 수 있다.
즉, 제 1 드릴 나사가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체결할 때 브래킷에 큰 부하가 작용해도, 제 1, 2 측벽부에 의해 보강된 브래킷이 그 부하를 견딜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벽 구조에서는 벽면의 부육 조정과 제 1 지지체의 배치를 동일한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빨라진다.
또한, 이 벽 구조에서는, 간소한 체결 구성에 의해, 브래킷과 제 1 지지체와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판재의 중량을 브래킷이 장기간에 걸쳐서 지지하는 것에 의한 변형을 제 1, 2 측벽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에 의하면,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빠르며, 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판재가 적어도 2개의 제 1 지지체에서의 벽면과는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고, 판재가 제 1 지지체의 제 2 접합부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란, 구체적으로는, 판재가 제 1 지지체와는 다른 지지체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 2 접합부에 배치되고, 나사 등의 체결 부재나 부착구 등에 의해 제 1 지지체에 직접 부착되는 구성을 의미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재의 부착에 제 1 지지체와는 다른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품 점수의 삭감과 공정수 삭감에 의한 작업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 한편, 「판재가 적어도 2개의 제 1 지지체에서의 벽면과는 반대측에 간접적으로 부착되고, 판재가 제 1 지지체의 제 2 접합부에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란, 구체적으로는, 판재가 제 1 지지체와는 다른 지지체를 개재시킨 상태로 제 2 접합부에 배치되고, 그 다른 지지체가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제 1 지지체에 부착되며, 또한, 판재가 나사 등의 체결 부재나 부착구 등에 의해 그 다른 지지체에 부착되는 구성을 의미하고 있다. 그 다른 지지체는 적어도 1개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지지체와는 다른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벽면의 부육 조정을 한층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어, 판재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로서, 건물의 벽 구조는 제 1 지지체와 교차하는 동시에 벽면을 따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제 1 지지체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제 2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지지체는 제 2 접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재는 적어도 2개의 제 2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교차하는 제 1 지지체 및 제 2 지지체에 의해 벽면의 부육 조정을 한층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어, 판재를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로서, 브래킷은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에 의해, 브래킷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과, 양쪽의 접속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의 돌출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의 주변에 단열재가 배치되는 경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에 의해, 브래킷의 제 2 부분의 협각측과 단열재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로서, 돌출부는 제 2 부분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치면은 제 2 부분에서의 돌출부보다도 제 1 부분으로부터 먼 범위에 형성된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치면이 제 2 부분에서의 돌출부가 없는 범위에 형성되어서 평탄해지므로,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를 재치면에 확실하게 재치할 수 있고, 제 1 드릴 나사에 의해,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로서, 돌출부가 재치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 1 높이는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가 재치면에 대하여 돌출하는 제 2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높이가 제 2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돌출부에 의한 브래킷의 보강 효과에 따라서 제 2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제 1, 2 측벽부 및 돌출부가 시공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의 주변에 단열재가 배치되는 경우, 브래킷의 제 2 부분의 협각측에 있어서, 제 1, 2 측벽부의 근방에서 단열재와 브래킷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로서, 재치부에는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주 긴 구멍(主長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브래킷의 재치부와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를 체결할 때, 제 1 드릴 나사를 재치부의 주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제 1 접합부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제 1 지지체를 재치부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제 1 지지체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1 드릴 나사를 제 1 접합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벽면의 부육 조정을 위한 제 1 지지체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로서, 재치부에는 주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주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주 둥근 구멍(主丸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드릴 나사를 재치부의 주 긴 구멍에 삽입하여, 제 1 지지체의 위치 결정 조정을 행한 다음에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확실하게 체결한 후, 다른 제 1 드릴 나사를 재치부의 주 둥근 구멍에 삽입하여 제 1 접합부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 1 드릴 나사가 재치부에 파일럿 홀(下穴 ; pilot hole)을 뚫지 않아도 좋으므로, 다른 제 1 드릴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로서, 건물의 벽 구조는 브래킷의 재치부와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부재는 재치면에 재치되어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제 1 접합부가 재치되도록 재치면과 같은 측을 향하는 연장 재치면을 포함하는 연장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의 한쪽 측단연으로부터 제 1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1 연장 측벽부와, 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 측단연으로부터 제 2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2 연장 측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 부재는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체결하는 제 2 드릴 나사와, 연장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제 3 드릴 나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벽면의 부육이 큰 경우라도, 연장 부재를 사용하여 그 부육을 조정한 후에, 브래킷과 제 1 지지체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체를 제 1 방향으로 곧게 배치하는 것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판재를 높은 정밀도로 구조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연장 측벽부가 제 1, 2 측벽부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연장 부재가 벽면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및 제 2 드릴 나사가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체결할 때, 연장 부재의 재치부에 대한 가로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드릴 나사가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체결할 때, 연장 부재에 큰 부하가 작용해도, 제 1, 2 연장 측벽부에 의해 보강된 연장 부재가 그 부하를 견딜 수 있다. 또한, 제 3 드릴 나사가 연장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체결할 때, 연장 부재에 큰 부하가 작용해도, 제 1, 2 연장 측벽부에 의해 보강된 연장 부재가 그 부하를 견딜 수 있다. 그 결과, 연장 부재 및 제 2, 3 드릴 나사에 의해 벽면의 부육을 조정하면서 제 1 지지체를 브래킷에 용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로서, 연장 재치부에는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보조 긴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장 부재의 연장 재치부와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를 체결할 때, 제 3 드릴 나사를 연장 재치부의 보조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제 1 접합부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제 1 지지체를 연장 재치부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제 1 지지체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3 드릴 나사를 제 1 접합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벽면의 부육 조정을 위한 제 1 지지체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로서, 연장 재치부에는 보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보조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보조 둥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3 드릴 나사를 연장 재치부의 보조 긴 구멍에 삽입하고, 제 1 지지체의 위치 결정 조정을 행한 후에 연장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확실히 체결한 후, 다른 제 3 드릴 나사를 연장 재치부의 보조 둥근 구멍에 삽입하여 제 1 접합부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 3 드릴 나사가 연장 재치부에 파일럿 홀을 뚫지 않아도 좋으므로, 다른 제 3 드릴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로서,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은 주 긴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은 주 둥근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브래킷의 재치부와 연장 부재의 연장 재치부를 체결할 때, 제 2 드릴 나사를 재치부의 주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연장 재치부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부재를 재치부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연장 부재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2 드릴 나사를 연장 재치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 후, 다른 제 2 드릴 나사를 재치부의 주 둥근 구멍에 삽입하여 연장 재치부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 2 드릴 나사가 재치부에 파일럿 홀을 뚫지 않아도 좋으므로, 다른 제 2 드릴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드릴 나사에 의한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을 활용한 체결 작업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9 및 제 10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이 주 긴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이 주 둥근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그것들이 서로의 작용 효과를 저해할 일이 없다. 그 결과, 벽면의 부육 조정을 위한 제 1 지지체의 위치 결정을 한층 정밀하게 및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을 한층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 지지체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즉 제 1 방향이 수평 방향일 때, 작업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이하와 같은 작업 수순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브래킷의 재치부와, 재치부에 위에서부터 포개지는 연장 부재의 연장 재치부를 체결할 때, 제 2 드릴 나사를 연장 재치부의 보조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재치부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부재를 재치부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연장 부재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2 드릴 나사를 재치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 후, 다른 제 2 드릴 나사를 연장 재치부의 보조 둥근 구멍에 삽입하여 재치부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로서, 판재는 제 1 내지 제 4의 4개의 단부를 갖는 사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의 제 1 단부는 판재의 뒷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해서 패이고, 제 1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판재의 제 2 단부는 판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해서 패이고, 제 2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에서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와 교차하는 제 3 단부는 판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해서 패이고, 제 3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3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 단부와 대향하는 판재의 제 4 단부는 판재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해서 패이고, 제 4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4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판재는, 이른바 「사방 반턱 쪽매 구조」이며, 제 1 반턱 쪽매 접합부 및 제 2 반턱 쪽매 접합부가 포개져 일방향의 접합 부분,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의 접합 부분이 형성된다. 또한, 제 3 반턱 쪽매 접합부 및 제 4 반턱 쪽매 접합부가 포개져 다른 방향의 접합 부분, 예를 들어 수평 방향의 접합 부분이 형성된다. 이로써,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판재끼리의 틈이 생기기 어렵다. 이로 인해, 실링 등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의 접합과 지수성(止水性)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판재의 접합부의 외관 품위도 향상된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하고 품질이 높은 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의 부착 장치는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는 벽면에 배치 가능한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한쪽의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부분의 다른 쪽의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돌출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재치면을 포함하는 재치부를 갖고, 상기 재치부에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주 긴 구멍과, 상기 주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주 둥근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의 부착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6 및 제 7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로서, 브래킷은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로서, 부착 장치는 브래킷과 함께 사용되는 연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부재는 연장 재치면을 갖고, 재치면에 재치되기 위한 연장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의 한쪽 측단연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연장 측벽부와, 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 측단연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연장 측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재치부는 연장 재치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보조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보조 둥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래킷의 재치면에 연장 부재의 연장 재치부를 재치하는 경우는, 연장 재치면은 재치면과 같은 측을 향하고, 제 1 연장 측벽부는 제 1 측벽부에 인접하고, 제 2 연장 측벽부는 제 2 측벽부에 인접하고,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은 각각 주 긴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보조 긴 구멍 및 보조 둥근 구멍은 각각 주 둥근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8 내지 제 11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의 판재의 시공 방법은, 벽면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하여, 브래킷, 제 1 지지체 및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판재를 부착하는 판재의 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브래킷을 상기 벽면에 배치하는 제 1 공정과, 복수의 상기 제 1 지지체를 상기 벽면을 따른 제 1 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된 상태로 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 1 지지체를 체결하는 제 3 공정과, 복수의 상기 판재를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지지체에서의 상기 벽면과는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벽면을 덮는 상태로 하는 제 4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 1 공정에서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돌출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재치면을 포함하는 재치부를 갖고, 상기 제 1 지지체는 상기 제 2 공정에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는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4 공정에서 상기 판재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 3 공정에서 상기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재치부와 상기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제 1 드릴 나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의 판재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하게,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형태로서, 4 공정은 복수의 제 2 지지체를 제 1 지지체와 교차하는 동시에 벽면을 따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제 1 지지체에 걸쳐서 배치하는 제 5 공정과, 판재를 적어도 2개의 제 2 지지체에 부착하는 제 6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5 공정에 있어서, 제 2 지지체는 제 1 지지체의 제 2 접합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8 형태로서, 재치부에는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주 긴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 공정에서, 제 1 드릴 나사를 주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제 1 접합부에 얕게 비틀어 박고, 다음으로,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제 1 지지체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하고, 다음으로, 제 1 드릴 나사를 제 1 접합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9 형태로서, 제 2 공정에서, 브래킷의 재치부와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와의 사이에 연장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부재는 재치면에 재치되고,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재치면과 같은 측을 향해서 제 1 접합부가 재치되는 연장 재치면을 포함하는 연장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의 한쪽 측단연으로부터 제 1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1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1 연장 측벽부와, 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 측단연으로부터 제 2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2 연장 측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 공정에서, 체결 부재는 제 2 드릴 나사에 의해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치부와 연장 재치부를 체결하고, 제 3 드릴 나사에 의해 연장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재치부와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8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하게, 연장 부재 및 제 2, 3 드릴 나사에 의해 벽면의 부육을 조정하면서 제 1 지지체를 브래킷에 용이하게, 또한 강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0 형태로서, 연장 재치부에는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보조 긴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 공정에서, 제 3 드릴 나사를 보조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제 1 접합부에 얕게 비틀어 박고, 다음으로,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제 1 지지체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하고, 다음으로, 제 3 드릴 나사를 제 1 접합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9 형태의 건물의 벽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에서는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판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건물의 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외벽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벽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것으로,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것으로, 제 1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벽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3의 벽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3에 따른 것으로, 제 2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4의 건물의 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4의 벽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4에 따른 브래킷 및 제 1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5에 따른 연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5의 벽 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5에 따른 브래킷, 연장 부재 및 제 1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6에 따른 브래킷, 연장 부재 및 제 1 지지체의 장착 수순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6에 따른 브래킷, 연장 부재 및 제 1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브래킷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 1 내지 6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수직 위쪽 방향을 위로 표시하고, 수직 아래쪽 방향을 아래로 표시한다. 또한, 도 1의 옥외로부터 옥내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수평 왼쪽 방향을 좌로 표시하고, 수평 오른쪽 방향을 우로 표시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각 방향은 도 1에 대응시켜서 표시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벽 구조는 건물의 벽 구조의 구체적 형태의 일례이다. 이 벽 구조는 주택, 시설, 창고 등의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8)에 대하여, 복수의 외벽판(2)을 부착한 것이다. 구조체(8)는 신축의 건물을 구성해도 좋고, 외장의 리폼 공사가 실시되는 기축의 건물을 구성해도 좋다. 외벽판(2)은 판재의 일례이다. 도 2 및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판(2)은 그 자체가 높은 강도나 강성을 갖고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판재이다. 외벽판(2)은 신축의 건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도 좋고, 기축의 건물의 벽면을 덮어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리폼용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판재는 외벽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건물을 외장하는 화장판, 옥내용 구조 패널, 내장판 등이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체(8)는 철근 콘크리트조나 벽돌조 등의 강고한 구체(軀體)이고, 그 구체의 옥외측의 표층에 모르타르(8M)가 도포되어 있다. 구조체(8)는 옥외 방향을 향하는 벽면(9)을 갖고 있다. 또한, 구조체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조체(8)의 모르타르(8M)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조체는 목조축조구법이나 목조화조벽구법 등에 의해 건축되는 목조 건축물을 구성해도 좋다.
구조체(8)와 외벽판(2)과의 사이에는 브래킷(100), 단열재(5), 방수 시트(6), 가로 지지체(30), 세로 지지체(40) 및 제 1 부착구(50)가 배치되어 있다. 가로 지지체(30)는 제 1 지지체의 일례이다. 세로 지지체(40)는 제 2 지지체의 일례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브래킷(100)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하는 상태로 벽면(9)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100)과 벽면(9)과의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페이서(3)가 필요에 따라서 배치된다. 스페이서(3)는 U자홈이 노치된 대략 직사각형 판이다. 스페이서(3)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브래킷(100)과 벽면(9)과의 사이의 열교(heat bridge)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벽면(9)의 부육에 따라서 스페이서(3)의 두께나 매수를 선택함으로써, 벽면(9)의 부육을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0)은 금속 판재가 구부림 가공 및 프레스 가공 등을 받음으로써 제조된다. 일례를 들면, 브래킷(100)은 두께 약 2mm 정도의 강제 판재가 구부림 가공 및 프레스 가공 등을 받음으로써, 부분적인 용접을 행하지 않고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10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0)의 가공시에, 각각 구부러진 2개의 돌출편의 맞대어진 단부끼리를 용접하여, 그것들의 돌출편을 연속시킬 수도 있다.
브래킷(100)의 형상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옥내외 방향에 대하여,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9)에 배치된 상태의 브래킷(10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0)은 제 1 부분(110), 제 2 부분(120), 제 1 측벽부(101), 제 2 측벽부(102), 돌출부(105, 106) 및 재치부(125)를 갖고 있다.
제 1 부분(110)은 대략 정사각형상이며, 그 대략 중앙에 둥근 구멍(110H)이 관설되어 있다. 제 1 부분(110)은 고정부(115)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부(115)는 둥근 구멍(110H)을 둘러싸는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115)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벽면(9)에 당접되어, 둥근 구멍(110H)에 앵커 볼트(100B)가 삽통되고, 또한 앵커 볼트(100B)가 벽면(9)에 체결되어 있다. 이로써, 고정부(115)가 벽면(9)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120)은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제 1 부분(110)의 상단연(上端緣)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부분(120)은 제 1 부분(110)으로부터 옥외 방향을 향해서 굴곡되고, 고정부(115)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이 이루는 각도 중의 협각을 α1로 한다. 협각(α1)은 대략 직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120)의 옥내외 방향의 길이(L120)는 일례로서 제 1 부분(110)의 상하 방향의 길이(L110)의 약 2배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그 길이보다도 커도 좋고, 작아도 좋다. 예를 들어, 길이 L120을 길이 L110과 동일한 크기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부(101)는 제 1 부분(110)의 좌측단연(111)의 전체 범위에 접속하여 옥외 방향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판상 부분과 제 2 부분(120)의 좌측단연(121)의 전체 범위에 접속하여 아래쪽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판상 부분이 접속하여 대략 L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 측벽부(101)는 제 1 부분(110)의 좌측단연(111)의 하단으로부터 제 2 부분(120)의 좌측단연(121)의 선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협각(α1) 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제 2 측벽부(102)는 제 1 부분(110)의 우측단연(112)의 전체 범위에 접속하여 옥외 방향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판상 부분과 제 2 부분(120)의 우측단연(122)의 전체 범위에 접속하여 아래쪽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는 판상 부분이 접속하여 대략 L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 측벽부(102)는 제 1 부분(110)의 우측단연(112)의 하단으로부터 제 2 부분(120)의 우측단연(122)의 선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협각(α1)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110), 제 2 부분(120) 및 제 1 측벽부(101)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C1)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이음매 없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분(110), 제 2 부분(120) 및 제 2 측벽부(102)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C2)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이음매 없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110)에는 단면 U자 형상의 리브(105A)가 제 1 측벽부(101)와 둥근 구멍(110H)과의 사이에서 옥외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120)에는, 그 리브(105A)에 접속하는 단면 U자 형상의 리브(105B)가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옥내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리브(105A, 105B)에 의해 왼쪽의 돌출부(105)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분(110)에는, 단면 U자 형상의 리브(106A)가 제 2 측벽부(102)와 둥근 구멍(110H)과의 사이에서 옥외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120)에는, 그 리브(106A)에 접속하는 단면 U자 형상의 리브(106B)가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옥내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리브(106A, 106B)에 의해 오른쪽 돌출부(106)가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05, 106)는 각각 제 1 부분(110)의 하단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부분(110)의 상단연에서 옥외 방향을 향해서 굴곡하고, 옥외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제 2 부분(120)의 대략 중앙에서 끊어져 있다.
즉, 돌출부(105, 106)는 제 1 측벽부(101)와 제 2 측벽부(102)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 1 부분(110)의 하단연으로부터 제 2 부분(120)의 대략 중앙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협각(α1)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재치부(125)는 제 2 부분(120)에서의 선단연측에 설치되어 있다. 재치부(125)는 재치면(126)을 포함하고 있다. 재치면(126)은 제 2 부분(120)에서의 선단연, 좌측단연(121), 우측단연(122) 및 돌출부(105, 106)의 선단으로 둘러싸여, 제 1 측벽부(101) 및 제 2 측벽부(102)와는 반대측을 향하는 평면이다. 즉, 재치면(126)은 제 2 부분(120)에서의 돌출부(105, 106)의 선단보다도 제 1 부분(110)으로부터 먼 범위에 형성된 상향의 평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05, 106)가 재치면(126)에 대하여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높이(H1)는 제 1 측벽부(101) 및 제 2 측벽부(102)가 재치면(126)에 대하여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높이(H2)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재(5)는 구조체(8)의 벽면(9)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단열재(5)는, 예를 들어, 암면이나 유리솜 등의 섬유계 단열재나,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페놀, 발포 폴리스티렌 등의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 등이다. 단열재(5)는 브래킷(100)에 간섭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의 선단연측을 노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조체(8)의 시공 상황 등에 따라서는 단열재(5)를 생략할 수도 있다.
방수 시트(6)는 단열재(5)의 표면에 부설되어 있다. 방수 시트(6)는 방수지, 필름,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고, 방수성 외에 투습성을 갖춘 것도 있다. 또한, 구조체(8)의 시공 상황 등에 따라서는, 방수 시트(6)를 생략할 수도 있다. 방수 시트(6)는 브래킷(100)의 제 2 부분(120)에 대응하는 개소에 절개가 형성되어,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의 선단연측을 돌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지지체(30)는 기다란 L자 형상의 판재이다. 가로 지지체(30)는 제 1 접합부(31)와 제 2 접합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접합부(32)는 평판상의 제 1 접합부(31)의 일단연에 접속하고, 제 1 접합부(31)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로 지지체(30)는 예를 들어 강제 판재가 구부림 가공 등을 받음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가로 지지체(3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나 목재 등을 포함하는 각종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로 지지체(30)가 방수 시트(6)에 대하여 옥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하고, 또한 벽면(9)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벽면(9)에 배치되어 있다. 가로 지지체(30)는 적어도 2개의 브래킷(100)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0)과 가로 지지체(30)는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좌우 방향은 제 1 방향의 일례이다. 제 1 드릴 나사(91)는 체결 부재의 일례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 지지체(30)는 제 1 접합부(31)가 브래킷(100)의 재치면(126)에 재치되고, 또한, 제 2 접합부(32)가 제 1 접합부(31)에 대하여 벽면(9)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제 1 드릴 나사(91)로서는, 나사의 선단에 절인부(切刃部)나 뾰족부 등의 드릴이 형성되어, 나사 스스로 파일럿 홀을 뚫고, 나사내기(tapping), 체결을 행하는 주지의 드릴 나사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드릴 나사(91)는 나사부(91B)와, 나사부(91B)의 선단에 형성된 절인부(91C)와, 나사부(91B)의 밑동에 접속하는 머리부(91A)를 갖고 있다.
우선, 재치면(126)에 재치된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의 위치를 구조체(8)의 벽면(9)의 요철에 맞춰서 옥내외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한다. 그리고, 제 1 드릴 나사(91)의 머리부(91A)에 오목하게 설치된 홈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감합시킴으로써, 제 1 드릴 나사(91)를 도시하지 않은 전동 드라이버에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제 1 드릴 나사(91)의 절인부(91C)를 제 1 접합부(31)의 위에서부터 당접시켜, 체결 위치를 정한다. 그리고, 제 1 드릴 나사(91)에 하향의 부하(F1)를 작용시키면서 도시하지 않은 전동 드라이버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절인부(91C)는 제 1 접합부(31) 및 재치부(125)에 압박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제 1 접합부(31) 및 재치부(125)를 절삭하면서 절삭 부스러기를 배출하고, 제 1 접합부(31) 및 재치부(125)에 파일럿 홀을 뚫는다. 나사부(91B)는 절인부(91C)에 인접하는 부위에 의해 나사내기를 행하고, 그 부위보다도 머리부(91A)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의해, 제 1 접합부(31) 및 재치부(125)에 대하여 체결을 행한다. 하향의 부하(F1)는 절인부(91C)가 제 1 접합부(31) 및 재치부(125)에 파일럿 홀을 뚫을 때 가장 커진다.
이렇게 하여, 제 1 드릴 나사(91)는 재치면(126)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관통하여,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하고 있다. 또한, 제 1 접합부(31)의 체결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리 파일럿 홀을 뚫어 두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지지체(40)는 기다란 단면 모자 형상의 판재이다. 세로 지지체(40)는 중앙 판부(41)와 한쌍의 측판부(42)를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측판부(42)는 평판상의 중앙 판부(41)의 양 측단연에 각각 단차를 갖고 접속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평판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 지지체(40)는 예를 들어 철강제 판재가 구부림 가공 등을 받음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세로 지지체(4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나 목재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 지지체(40)가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에 대하여 옥외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하고, 또한 벽면(9)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벽면(9)에 배치되어 있다. 세로 지지체(40)는 적어도 2개의 가로 지지체(30)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40B)에 의해, 세로 지지체(40)의 한쌍의 측판부(42)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가 체결되어 있다. 상하 방향은 제 2 방향의 일례이다.
도 4에 각각 도시된 나사(40B)도 드릴 나사이다. 드릴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나사(40B)에 의해, 세로 지지체(40)의 한쌍의 측판부(42)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를 체결하는 작업 전에, 측판부(42)와 제 2 접합부(32)에 파일럿 홀을 뚫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착구(50)는 제 1 고정부(55), 제 1 상당접부(56), 제 1 하당접부(57), 제 1 지승부(支承部)(51), 제 1 상계지부(52), 제 1 하계지부(53) 및 입설편(立設片)(59)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고정부(55)는 세로 지지체(40)의 중앙 판부(41)에 당접 가능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상당접부(56)는 제 1 고정부(55)로부터 이간하도록 옥외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제 1 하당접부(57)는 제 1 상당접부(56)보다도 아래쪽 위치에서 제 1 고정부(55)로부터 이간하도록 옥외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제 1 지승부(51)는 제 1 상당접부(56)와 제 1 하당접부(57)와의 사이에서 제 1 고정부(55)로부터 옥외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상계지부(52)는 제 1 지승부(51)의 선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하계지부(53)는 제 1 지승부(51)의 선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입설편(59)은 제 1 하당접부(57)보다도 아래쪽에서 제 1 고정부(55)로부터 옥외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부착구(50)가 세로 지지체(40)의 중앙 판부(41)에 대하여 옥외측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하는 상태로 벽면(9)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착구(50)는 복수의 외벽판(2)의 서로 맞대어진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1 고정부(55)를 세로 지지체(40)의 중앙 판부(41)에 당접시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사(50B)에 의해, 제 1 부착구(50)의 제 1 고정부(55)와 세로 지지체(40)의 중앙 판부(41)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각 제 1 부착구(50)의 사이에는 제 1 부착구(50)로부터 입설편(59)을 제거한 구성의 부착구가 필요에 따라서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판(2)은 사변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판(2)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요업계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벽판(2)의 재질이나 형상은 상기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벽판(2)의 재질은 금속계재, 목질계재, 수지계재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외벽판(2)의 형상은 사변 형상이고 상하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재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외벽판(2)의 표면(2F)은 예를 들어 벽돌 무늬 등의 디자인이 새겨진 외장면으로 되어 있다. 외벽판(2)의 좌단부에는 앞측 좌우 접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판(2)의 우단부에는 뒷측 좌우 접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판(2)의 하단부에는 앞측 상하 접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판(2)의 상단부에는 뒷측 상하 접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앞측 상하 접합부(23)는 판재의 제 1 반턱 쪽매 접합부의 일례이다. 뒷측 상하 접합부(24)는 판재의 제 2 반턱 쪽매 접합부의 일례이다. 뒷측 좌우 접합부(22)는 판재의 제 3 반턱 쪽매 접합부의 일례이다. 앞측 좌우 접합부(21)는 판재의 제 4 반턱 쪽매 접합부의 일례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외벽판(2)의 크기에 대하여, 앞측 좌우 접합부(21), 뒷측 좌우 접합부(22), 앞측 상하 접합부(23) 및 뒷측 상하 접합부(24)의 크기가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측 좌우 접합부(21)는 외벽판(2)의 이면(2B)으로부터 표면(2F)을 향해서 패이고, 수직 방향, 즉, 외벽판(2)의 좌단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뒷측 좌우 접합부(22)는 외벽판(2)의 표면(2F)으로부터 이면(2B)을 향해서 패이고, 수직 방향, 즉, 외벽판(2)의 우단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뒷측 좌우 접합부(22)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2S)이 설치되어 있다. 코킹(22S)은 뒷측 좌우 접합부(22)를 따라서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코킹(22S)을 생략할 수도 있다.
앞측 상하 접합부(23)는 외벽판(2)의 이면(2B)으로부터 표면(2F)을 향해서 패이고, 좌우 방향, 즉, 외벽판(2)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앞측 상하 접합부(23)에는 상향으로 대략 테이퍼상으로 패인 계합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뒷측 상하 접합부(24)는 외벽판(2)의 표면(2F)으로부터 이면(2B)을 향해서 패이고, 좌우 방향, 즉, 외벽판(2)의 상단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뒷측 상하 접합부(24)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4S)이 설치되어 있다. 코킹(24S)은 뒷측 상하 접합부(24)를 따라서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코킹(24S)을 생략할 수도 있다. 뒷측 상하 접합부(24)에는 코킹(24S)보다도 위쪽에서 상향으로 대략 테이퍼상으로 돌출되는 계합 볼록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외벽판(2)의 뒷측 상하 접합부(24)와 상측의 외벽판(2)의 앞측 상하 접합부(23)가 포개짐으로써, 상하 방향에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반턱 쪽매부(수직 방향의 접합 부분)가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외벽판(2)의 앞측 좌우 접합부(21)와 좌측의 외벽판(2)의 뒷측 좌우 접합부(22)가 포개짐으로써,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반턱 쪽매부(수평 방향의 접합 부분)가 형성된다. 즉, 외벽판(2)은 앞측 좌우 접합부(21), 뒷측 좌우 접합부(22), 앞측 상하 접합부(23) 및 뒷측 상하 접합부(24)를 구비하는, 이른바 「사방 반턱 쪽매 구조」인 판재이다.
도 1,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벽판(2)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제 1 부착구(50)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세로 지지체(40)에서의 벽면(9)과는 반대측, 즉 중앙 판부(41)에 부착되어, 벽면(9)을 덮고 있다. 외벽판(2)은 적어도 2개의 가로 지지체(30)에서의 벽면(9)과는 반대측에서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에 간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부착구(50)의 제 1 하계지부(53)는 하측의 외벽판(2)의 계합 볼록부(24A)를 계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상계지부(52)가 상측의 외벽판(2)의 계합 오목부(23A)를 계지하고 있다. 제 1 지승부(51)가 상측의 외벽판(2)의 하단부를 지승하고 있다. 제 1 상당접부(56) 및 제 1 하당접부(57)가 상하의 외벽판(2)의 이면(2B)에 당접하고, 구조체(8)의 벽면(9)과 외벽판(2)의 이면(2B)과의 사이에 통기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입설편(59)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의 서로 대향하는 측단면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벽판(2)의 가로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부착구(50)는 복수의 외벽판(2)의 서로 맞대어진 코너부에서 외벽판(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설편(59)이 없는 다른 부착구는 각 제 1 부착구(50)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의 상하 반턱 쪽매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다른 외벽판(2)에 대해서도 실시함으로써, 각 외벽판(2)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구조체(8)에 지지되어, 벽면(9)을 덮고 있다.
<작용 효과> 상술한 외벽판(2)의 시공 방법을 정리하면, 실시형태 1의 외벽판(2)의 시공 방법은 제 1 공정 내지 제 4 공정에 의해 실시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공정에서는 앵커 볼트(100B)에 의해 고정부(115)를 구조체(8)에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브래킷(100)을 벽면(9)에 배치한다.
제 2 공정에서는 복수의 가로 지지체(30)를 벽면(9)을 따른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의 브래킷(100)에 걸쳐서 배치된 상태로 한다. 이때,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를 브래킷(100)의 재치면(126) 위에 재치한다.
제 3 공정에서는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해 브래킷(100)과 가로 지지체(30)를 체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전동 드라이버에 유지된 제 1 드릴 나사(91)를 제 1 접합부(31) 및 재치부(125)에 꽉 눌러서, 부하(F1)를 작용시키면서 전동 드라이버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릴 나사(91)가 재치면(126)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관통하여,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하는 상태로 한다.
제 4 공정은 제 5 공정과 제 6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공정에서는 복수의 세로 지지체(40)를 가로 지지체(30)와 교차하는 동시에 벽면(9)을 따른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의 가로 지지체(30)에 걸쳐서 배치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나사(40B)에 의해, 세로 지지체(40)의 한쌍의 측판부(42)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가 체결됨으로써,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에 세로 지지체(40)가 배치된다.
제 6 공정에서는, 세로 지지체(40)의 중앙 판부(41)에 체결된 제 1 부착구(50)에 의해, 복수의 외벽판(2)을 적어도 2개의 세로 지지체(40)에 대하여 벽면(9)과는 반대측에 부착하여, 벽면(9)을 덮는 상태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공정에 있어서, 제 1 부분(110)으로부터 제 2 부분(120)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 1, 2 측벽부(101, 102)를 갖는 브래킷(100)을 사용함으로써,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를 재치면(126)에 재치할 때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하고, 그 위치에서 제 1 드릴 나사(91)를 사용하여, 브래킷(100)과 가로 지지체(30)를 체결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릴 나사(91)가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할 때 브래킷(100)에 큰 부하(F1)가 작용해도, 제 1, 2 측벽부(101, 102)에 의해 보강된 브래킷(100)이 그 부하(F1)에 견딜 수 있다. 이로 인해, 벽면(9)의 부육 조정과 가로 지지체(30)의 배치를 동일한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빨라진다.
또한, 제 1 드릴 나사(91)가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하는 구성이 긴 구멍 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브래킷(100)과 가로 지지체(30)와의 사이에 느슨함이나 틈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외벽판(2)의 중량을 브래킷(100)이 장기간에 걸쳐서 지지하는 것에 의한 변형을 제 1, 2 측벽부(101, 102)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건물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돌출부(105, 106)에 의해, 브래킷(100)의 제 1 부분(110) 및 제 2 부분(120)과, 양쪽의 접속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0)의 주변에 단열재(5)가 배치되어 있지만, 돌출부(105, 106)가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부담함으로써, 제 1, 2 측벽부(101, 102)의 높이를 짧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래킷(100)의 제 1, 2 측벽부(101, 102)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있어서, 제 1, 2 측벽부(101, 102)에 의해, 단열재(5)와 브래킷(100)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05, 106)가 재치면(126)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 1 높이(H1)는 제 1 측벽부(101) 및 제 2 측벽부(102)가 재치면(126)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 2 높이(H2)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돌출부(105, 106)에 의한 브래킷(100)의 보강 효과에 따라서 제 2 높이(H2)를 작게 할 수 있고, 제 1, 2 측벽부(101, 102) 및 돌출부(105, 106)가 시공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0)의 주변에 단열재(5)가 배치된 경우에, 제 1, 2 측벽부(101, 102)의 근방에서 단열재(5)와 브래킷(100)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5, 106)는 제 2 부분(12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까지밖에 연장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재치면(126)은 제 2 부분(120)에서의 돌출부(105, 106)가 없는 범위가 평탄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를 재치면(126)에 확실하게 재치할 수 있고,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해,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외벽판(2)은 소위 「사방 반턱 쪽매 구조」이며, 앞측 상하 접합부(23) 및 뒷측 상하 접합부(24)가 포개져서 상하 반턱 쪽매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앞측 좌우 접합부(21) 및 뒷측 좌우 접합부(22)가 포개져서 좌우 반턱 쪽매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틈이 생기기 어렵다. 이로 인해, 실링 등을 사용하지 않고, 외벽판(2)의 접합과 지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벽판(2)의 접합부의 외관 품위도 향상된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하고 품질이 높은 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벽 구조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3 공정에 있어서, 브래킷(100)의 재치면(126)에 대한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의 위치 맞춤으로는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할 수 없을 정도로 벽면(9)의 부육이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연장 부재(200)를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그 큰 부육을 조정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벽 구조에서는, 브래킷(100)에 관하여, 돌출부(105, 106)가 제 2 부분(120)의 선단연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재치면(126)은 돌출부(105, 106)에 의해 폭 방향에 있어서 복수로 분단된 평면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기타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연장 부재(200)는 금속 판재가 구부림 가공 등을 받음으로써 제조된다. 일례를 들면, 연장 부재(200)는 두께 2mm 정도의 철강 판재가 구부림 가공 등을 받아서 단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 부재(20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연장 부재(200)의 형상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와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의 연장 부재(20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연장 부재(200)는 연장 재치부(225), 제 1 연장 측벽부(201) 및 제 2 연장 측벽부(202)를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재치부(225)는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연장 재치부(225)의 옥내외 방향의 길이(L225)는, 일례로서, 제 2 부분(120)의 옥내외 방향의 길이(L120)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것보다 길어도 짧아도 좋다. 연장 재치부(225)는 연장 재치면(226)을 포함하고 있다. 연장 재치면(226)은 연장 재치부(225)의 상면이다.
제 1 연장 측벽부(201)는 연장 재치부(225)의 좌측단연(221)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장 측벽부(201)는 좌측단연(221)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옥내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연장 측벽부(202)는, 연장 재치부(225)의 우측단연(222)에 있어서, 제 1 연장 측벽부(20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장 부재(200)에서의 제 1 연장 측벽부(201)와 제 2 연장 측벽부(202)와의 내폭(W2)은 브래킷(100)에서의 제 1 측벽부(101)와 제 2 측벽부(102)와의 외폭(W1)보다도 약간 긴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연장 부재(200)는, 이하와 같이 하여,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드릴 나사(92)에 의해, 연장 재치부(225)와 재치부(125)가 체결되고, 제 3 드릴 나사(93)에 의해,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31)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드릴 나사(92) 및 제 3 드릴 나사(93)는 체결 수단의 일례이다. 제 2 드릴 나사(92) 및 제 3 드릴 나사(93)의 구성은 제 1 드릴 나사(9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간략한다.
연장 부재(200)를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31)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작업은 상술한 제 2 공정에 포함된다. 제 2 드릴 나사(92)에 의해, 연장 재치부(225)와 재치부(125)를 체결하는 작업과, 제 3 드릴 나사(93)에 의해,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하는 작업은 상술한 제 3 공정에 포함된다.
연장 부재(200)는 연장 재치부(225)가 브래킷(100)의 재치면(126)에 재치되어, 브래킷(100)의 제 1 부분(1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옥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이고, 또한 연장 재치면(226)이 재치면(126)과 같은 측을 향하는 상태로 된다. 이로써, 제 1 연장 측벽부(201)는 제 1 측벽부(101)와 같은 하향으로 돌출되어, 제 1 측벽부(101)에 인접한다. 또한, 제 2 연장 측벽부(202)는 제 2 측벽부(102)와 같은 하향으로 돌출되어, 제 2 측벽부(102)에 인접한다. 이때, 재치면(126)에 재치된 연장 재치부(225)의 위치를 옥내외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한 체결 작업과 동일한 작업을 제 2 드릴 나사(92)에 대하여 행한다. 이로써, 제 2 드릴 나사(92)는 연장 재치부(225) 및 재치부(125)에 대해서 파일럿 홀 뚫기, 나사내기 및 체결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제 2 드릴 나사(92)는 재치면(126)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관통하여,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체결한다. 또한, 연장 재치부(225)의 체결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리 파일럿 홀을 뚫어 두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가로 지지체(30)는 제 1 접합부(31)가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면(226)에 재치되고, 또한, 제 2 접합부(32)가 제 1 접합부(31)에 대해서 벽면(9)과는 반대측에서 접속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연장 재치면(226)에 재치된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의 위치를 벽면(9)의 요철에 맞춰서 옥내외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한 체결 작업과 동일한 작업을 제 3 드릴 나사(93)에 대하여 행한다. 이로써, 제 3 드릴 나사(93)는 연장 재치부(225) 및 제 1 접합부(31)에 대해서 파일럿 홀 뚫기, 나사내기 및 체결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제 3 드릴 나사(93)는 연장 재치면(226)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31)를 관통하여,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한다. 또한, 제 1 접합부(31)의 체결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리 파일럿 홀을 뚫어 두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으로는, 벽면(9)의 부육이 큰 경우에도, 연장 부재(200)를 사용하여 그 부육을 조정한 후에, 브래킷(100)과 가로 지지체(30)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지지체(30)를 좌우 방향으로 똑바로 배치하는 것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외벽판(2)을 높은 정밀도로 구조체(8)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2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으로도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2 연장 측벽부(201, 202)가 제 1, 2 측벽부(101, 102)를 사이에 둠으로써, 연장 부재(200)가 벽면(9)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및 제 2 드릴 나사(92)가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체결할 때, 연장 부재(200)의 재치부(125)에 대한 가로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드릴 나사(92)가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체결할 때 연장 부재(200)에 큰 부하(F2)가 작용해도, 제 1, 2 연장 측벽부(201, 202)에 의해 보강된 연장 부재(200)가 그 부하(F2)를 견딜 수 있다. 또한, 제 3 드릴 나사(93)가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할 때 연장 부재(200)에 큰 부하(F3)가 작용해도, 제 1, 2 연장 측벽부(201, 202)에 의해 보강된 연장 부재(200)가 그 부하(F3)를 견딜 수 있다. 그 결과, 연장 부재(200) 및 제 2, 3 드릴 나사(92, 93)에 의해,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하면서 가로 지지체(30)를 브래킷(100)에 용이하게, 또 강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벽 구조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외벽판(2)의 좌우의 단부가 앞측 좌우 접합부(21) 및 뒷측 좌우 접합부(22)가 없는 평탄한 측단면으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벽 구조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로 지지체(40) 및 제 1 부착구(50) 대신에,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 제 2 부착구(350) 및 조이너(360)를 사용하여, 외벽판(2)을 벽면(9)에 부착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기타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로 인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는 기다란 단면 역 모자 형상의 판재이다.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는 부착판부(341), 제 1 지지판부(342) 및 제 2 지지판부(343)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지지판부(342)는 평판상의 부착판부(341)의 한쪽 측단연에 단차를 가지고 접속하여 부착판부(3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 평판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지지판부(343)는 평판상의 부착판부(341)의 다른 쪽 측단연에 단차를 가지고 접속하여 부착판부(341) 및 제 1 지지판부(34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 평판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지지판부(343)는 제 1 지지판부(342)보다도 폭이 넓다.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는 제 2 지지체의 일례이다.
복수의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가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에 대하여 옥외측에서, 또한 벽면(9)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벽면(9)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는 각각 외벽판(2)의 좌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와, 외벽판(2)의 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340B)에 의해,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의 부착판부(341)와 가로 지지체(30)의 제 2 접합부(32)가 체결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벽판(2)의 좌단부 및 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의 각각의 제 1 지지판부(342)는 서로 인접하고 있다. 그러한 제 1 지지판부(342)에는 조이너(360)가 나사(360B)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조이너(360)는 기다란 단면 모자 형상의 판재이다. 조이너(360)는 옥외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면 대략 C자 형상의 볼록부(361)를 포함하고 있다.
외벽판(2)의 좌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의 제 2 지지판부(343)는 조이너(360)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간되어 있다. 외벽판(2)의 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의 제 2 지지판부(343)는 조이너(360)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간되어 있다. 그러한 제 2 지지판부(343)에는 제 2 부착구(350)가 나사(350B)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착구(350)는 제 2 고정부(355), 제 2 상당접부(356), 제 2 하당접부(357), 제 2 지승부(351), 제 2 상계지부(352) 및 제 2 하계지부(353)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고정부(355)는 좌우 접합부 지지체(340)의 제 2 지지판부(343)에 당접 가능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상당접부(356)는 제 2 고정부(355)로부터 이간하도록 옥외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제 2 하당접부(357)는 제 2 상당접부(356)보다도 아래쪽의 위치에서 제 2 고정부(355)로부터 이간하도록 옥외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제 2 지승부(351)는 제 2 상당접부(356)와 제 2 하당접부(357)와의 사이에서 제 2 고정부(355)로부터 옥외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상당접부(356)의 양 단부와 제 2 하당접부(357)의 양 단부는 제 2 지승부(351)를 둘러싸도록 접속하고 있다. 제 2 상계지부(352)는 제 2 지승부(351)의 선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하계지부(353)는 제 2 지승부(351)의 선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 2 부착구(350)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1 부착구(50)의 입설편(59)에 상당하는 것을 갖고 있지 않은 점 이외에는, 제 1 부착구(5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설명을 간략하게 하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착구(350)는 제 1 부착구(50)와 동일하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의 상하 반턱 쪽매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조이너(360)의 볼록부(361)가 외벽판(2)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의 서로 대향하는 측단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것들의 측단면과 돌출부(361)에 둘러싸인 공간에 실링재(S1)가 충전된다. 조이너(360)의 볼록부(361)는 외벽판(2)의 가로 어긋남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 3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에서는 외벽판(2)을 1매씩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의 벽 구조에서는 복수의 세로 지지체(430)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간하고, 또한 벽면(9)을 따르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벽면(9)에 배치되어 있다. 세로 지지체(430)는 적어도 2개의 브래킷(100)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외벽판(2)은 적어도 2개의 세로 지지체(430)에서의 벽면(9)과는 반대측에서 직접적으로 부착되고, 세로 지지체(430)의 제 2 접합부(432)에 직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세로 지지체(430)는 제 1 지지체의 일례이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실시형태 4의 기타 구성은 실시형태 1 등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 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세로 지지체(430)는 기다란 단면 사각통 형상의 형재(型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지지체(430)는 각형(角型) 강관이다. 또한, 세로 지지체(43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나 목재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세로 지지체(430)는 제 1 접합부(431)와 제 2 접합부(432)를 포함하고 있다. 세로 지지체(430)는 옥내외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판상 부분을 포함하고, 그 중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판상 부분이 제 1 접합부(431)로 되어 있다. 또한, 세로 지지체(430)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판상 부분을 포함하고, 그 중의 벽면(9)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판상 부분이 제 2 접합부(432)로 되어 있다. 즉, 제 2 접합부(432)는 평판상의 제 1 접합부(431)의 일단연에 접속되고, 제 1 접합부(431)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평판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시형태 4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브래킷(100)의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실시형태 4에서는 브래킷(100)의 재치부(125)가 옥내외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재치면(126)이 좌향의 평면이 된 상태로 브래킷(100)의 고정부(115)가 벽면(9)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도 1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둥근 구멍(110H)이 긴 구멍(410H)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로써, 브래킷(100)을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면서 고정부(115)를 벽면(9)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4에 따른 브래킷(100)에 있어서, 재치부(125)에는 주 긴 구멍(150) 및 복수의 주 둥근 구멍(160)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4에 따른 브래킷(100)은 부착 장치의 일례이다.
주 긴 구멍(150)은 고정부(115)로부터 멀어지도록 옥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 긴 구멍(150)의 길이 방향은 옥내외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 긴 구멍(150)은 리브(106B)의 연장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 주 둥근 구멍(160)은 주 긴 구멍(15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주 긴 구멍(15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주 둥근 구멍(160)은 옥내외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주 둥근 구멍(160)은 리브(105B)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4의 외벽판(2)의 시공 방법은 제 1 공정 내지 제 4 공정에 의해 실시된다.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공정에서는, 재치면(126)이 좌향의 평면이 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100B)에 의해 고정부(115)를 구조체(8)에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브래킷(100)을 벽면(9)에 배치한다.
제 2 공정에서는, 복수의 세로 지지체(430)를 벽면(9)을 따른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의 브래킷(100)에 걸쳐서 배치된 상태로 한다. 이때, 세로 지지체(430)의 제 1 접합부(431)를 브래킷(100)의 재치면(126)의 왼쪽에 재치한다.
제 3 공정에서는,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해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세로 지지체(430)의 제 1 접합부(431)를 체결한다. 제 1 드릴 나사(91)를 체결하는 방향은 실시형태 4에서는 좌향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때,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드릴 나사(91)를 재치부(125)의 주 긴 구멍(150)에 삽입한 후, 제 1 접합부(431)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세로 지지체(430)를 재치부(125)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세로 지지체(430)를 옥내외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1 드릴 나사(91)를 제 1 접합부(431)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431)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벽면(9)의 부육 조정을 위한 세로 지지체(430)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제 1 드릴 나사(91)를 재치부(125)의 주 둥근 구멍(160)에 삽입하여 제 1 접합부(431)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125)와 제 1 접합부(431)를 한층 확실히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 1 드릴 나사(91)가 재치부(125)에 파일럿 홀을 뚫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른 제 1 드릴 나사(91)에 의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공정에서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제 2 부착구(350)를 나사(350B)에 의해 세로 지지체(430)의 제 2 접합부(432)에 체결하고, 제 2 부착구(350)에 의해 복수의 외벽판(2)을 적어도 2개의 세로 지지체(430)에 대하여 벽면(9)과는 반대측에 부착하여, 벽면(9)을 덮는 상태로 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4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으로도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5의 벽 구조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제 3 공정에 있어서, 브래킷(100)의 재치면(126)에 대한 세로 지지체(430)의 제 1 접합부(431)의 위치 맞춤으로는 벽면(9)의 부육을 조정할 수 없을 정도로 벽면(9)의 부육이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연장 부재(200)를 실시형태 4에 따른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세로 지지체(430)의 제 1 접합부(431)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그 큰 부육을 조정한다.
실시형태 5에서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장 부재(200)의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실시형태 5에서는, 연장 부재(200)는 연장 재치부(225)가 옥내외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재치면(226)이 좌향의 평면으로 된 상태에서 브래킷(100)에서의 주 긴 구멍(150) 및 주 둥근 구멍(160)이 설치된 재치부(125)의 왼쪽에 재치된다.
실시형태 5에 따른 연장 부재(200)에 있어서, 연장 재치부(225)에는 보조 긴 구멍(250) 및 복수의 보조 둥근 구멍(260)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5에 따른 브래킷(100) 및 연장 부재(200)는 부착 장치의 일례이다.
보조 긴 구멍(250)은 브래킷(100)의 제 1 부분(1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옥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조 긴 구멍(250)의 길이 방향은 옥내외 방향이다.
각 보조 둥근 구멍(260)은 보조 긴 구멍(25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보조 긴 구멍(25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보조 둥근 구멍(260)은 옥내외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은 재치부(125)의 주 긴 구멍(150)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은 재치부(125)의 주 둥근 구멍(160)에 대하여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은 재치부(125)의 주 긴 구멍(15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은 재치부(125)의 주 둥근 구멍(16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5의 외벽판(2)의 시공 방법의 제 3 공정에서는, 제 2 드릴 나사(92)에 의해,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부(225)를 체결한다. 제 2 드릴 나사(92)를 체결하는 방향은 실시형태 5에서는 좌향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때,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드릴 나사(92)를 재치부(125)의 주 긴 구멍(150)에 삽입한 후, 연장 재치부(225)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부재(200)를 재치부(125)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옥내외 방향으로 연장 부재(200)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2 드릴 나사(92)를 연장 재치부(225)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제 2 드릴 나사(92)를 재치부(125)의 주 둥근 구멍(160)에 삽입하여 연장 재치부(225)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 2 드릴 나사(92)가 재치부(125)에 파일럿 홀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다른 제 2 드릴 나사(92)에 의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드릴 나사(93)에 의해,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부(225)와 세로 지지체(430)의 제 1 접합부(431)를 체결한다. 제 3 드릴 나사(93)를 체결하는 방향도 좌향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때, 제 3 드릴 나사(93)를 연장 재치부(225)의 보조 긴 구멍(250)에 삽입한 후, 제 1 접합부(431)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세로 지지체(430)를 연장 재치부(225)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옥내외 방향으로 세로 지지체(430)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3 드릴 나사(93)를 제 1 접합부(431)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431)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벽면(9)의 부육 조정을 위한 세로 지지체(430)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제 3 드릴 나사(93)를 연장 재치부(225)의 보조 둥근 구멍(260)에 삽입하여 제 1 접합부(431)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재치부(225)와 제 1 접합부(431)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 3 드릴 나사(93)가 연장 재치부(225)에 파일럿 홀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다른 제 3 드릴 나사(93)에 의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은 재치부(125)의 주 긴 구멍(150)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은 재치부(125)의 주 둥근 구멍(160)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주 긴 구멍(150) 및 주 둥근 구멍(160)과,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이 서로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벽면(9)의 부육 조정을 위한 세로 지지체(430)의 위치 결정을 한층 정밀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한층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5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으로도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6의 벽 구조에서는 실시형태 5에 따른 브래킷(100) 및 연장 부재(200)를 사용하여 실시형태 1에 따른 가로 지지체(30)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형태 6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좌우 방향이다. 그리고, 실시형태 5에 따른 브래킷(100) 및 연장 부재(200)의 방향을 변경하여, 실시형태 2에 따른 브래킷(100) 및 연장 부재(200)와 같은 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부(225)는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의 위에 재치된다.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는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부(225)의 위에 재치된다. 또한, 제 2 드릴 나사(92)를 체결하는 방향과 제 3 드릴 나사(93)를 체결하는 방향은 하향이다.
실시형태 6의 외벽판(2)의 시공 방법의 제 3 공정에서는, 제 2 드릴 나사(92)에 의해, 브래킷(100)의 재치부(125)와 재치부(125)에 위에서부터 겹치는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부(225)를 체결한다.
이때,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드릴 나사(92)를 연장 재치부(225)의 보조 긴 구멍(250)에 삽입한 후, 재치부(125)에 얕게 비틀어 박음으로써, 연장 부재(200)를 재치부(125)에 가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옥내외 방향으로 연장 부재(200)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한 후, 제 2 드릴 나사(92)를 재치부(125)에 완전히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제 2 드릴 나사(92)를 연장 재치부(225)의 보조 둥근 구멍(260)에 삽입하여 재치부(125)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재치부(125)와 연장 재치부(225)를 한층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드릴 나사(93)에 의해, 연장 재치부(225)의 보조 긴 구멍(250) 및 보조 둥근 구멍(26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연장 부재(200)의 연장 재치부(225)와 연장 재치부(225)에 위에서부터 겹치는 가로 지지체(30)의 제 1 접합부(31)를 체결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6의 벽 구조 및 외벽판(2)의 시공 방법으로도 시공이 용이하고 빠른 동시에,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브래킷의 변형예)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4 내지 6에 따른 브래킷(100), 즉, 재치부(125)에 주 긴 구멍(150) 및 주 둥근 구멍(160)이 설치된 브래킷(100)의 변형예로서, 돌출부(105, 106)를 없앤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25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브래킷(100)에서 주 긴 구멍(150) 및 주 둥근 구멍(160)을 없앤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형태를 실시형태 1 내지 6에 입각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6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1 내지 3, 6에서는 제 1 방향이 좌우 방향이지만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실시형태 4, 5와 같이, 제 1 방향이 상하 방향이라도 좋다. 제 2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1 측벽부(101)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즉, 제 1 측벽부(101)는 제 1 부분(110)의 좌측단연(111)의 하단보다도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부터 제 2 부분(120)의 좌측단연(121)의 선단보다도 고정부(115)측으로 어긋난 위치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협각(α1)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 2 측벽부(10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제 1 부착구(50)나 실시형태 2에 따른 제 2 부착구(350)를 사용하지 않고, 외벽판(2)을 직접 세로 지지체(40)에 나사나 못 등으로 고정하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9…벽면 8…구조체 100…브래킷 30…제 1 지지체(가로 지지체) 91, 92, 93…체결 부재(91…제 1 드릴 나사, 92…제 2 드릴 나사, 93…제 3 드릴 나사) 40, 340…제 2 지지체(40…세로 지지체, 340…좌우 접합부 지지체) 2…판재(외벽판) 115…고정부 110…제 1 부분 120…제 2 부분 111…제 1 부분의 한쪽의 측단연(제 1 부분의 좌측단연) 121…제 2 부분의 한쪽의 측단연(제 2 부분의 좌측단연) α1…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 101…제 1 측벽부 112…제 1 부분의 다른 쪽의 측단연(제 1 부분의 우측단연) 122…제 2 부분의 다른 쪽의 측단연(제 2 부분의 우측단연) 102…제 2 측벽부 126…재치면 125…재치부 31…제 1 접합부 32…제 2 접합부 105, 106…돌출부 H1…제 1 높이 H2…제 2 높이 200…연장 부재 226…연장 재치면 225…연장 재치부 221…연장 재치부의 한쪽의 측단연(연장 재치부의 좌측단연) 201…제 1 연장 측벽부 222…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의 측단연(연장 재치부의 우측단연) 202…제 2 연장 측벽부 2B…판재의 이면(외벽판의 이면) 2F…판재의 표면(외벽판의 표면) 23…판재의 제 1 반턱 쪽매 접합부(앞측 상하 접합부) 24…판재의 제 2 반턱 쪽매 접합부(뒷측 상하 접합부) 22…판재의 제 3 반턱 쪽매 접합부(뒷측 좌우 접합부) 21…판재의 제 4 반턱 쪽매 접합부(앞측 좌우 접합부) 150…주 긴 구멍 160…주 둥근 구멍 250…보조 긴 구멍 260…보조 둥근 구멍

Claims (20)

  1. 벽면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벽면에 배치된 복수의 브래킷과,
    상기 벽면을 따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제 1 지지체와,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 1 지지체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와,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지지체에서의 상기 벽면과는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벽면을 덮는 복수의 판재를 구비하는 건물의 벽 구조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한쪽 측단연(側端緣)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돌출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재치면을 포함하는 재치부(載置部)를 갖고,
    상기 재치부에는
    상기 재치부에서의 상기 제 1 측벽부보다도 상기 제 2 측벽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주 긴 구멍과,
    상기 주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에서의 상기 주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또한 상기 제 2 측벽부보다도 상기 제 1 측벽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 둥근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지지체는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는 제 1 접합부와,
    상기 판재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재치면과 상기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제 1 드릴 나사를 포함하고 있는 건물의 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와 교차하는 동시에 상기 벽면을 따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지지체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제 2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체는 상기 제 2 접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재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2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건물의 벽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건물의 벽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부분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재치면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돌출부보다도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먼 범위에 형성된 평면인 건물의 벽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재치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 1 높이는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상기 재치면에 대하여 돌출하는 제 2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건물의 벽 구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상기 재치부와 상기 제 1 지지체의 상기 제 1 접합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어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1 접합부가 재치되도록 상기 재치면과 같은 측을 향하는 연장 재치면을 포함하는 연장 재치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의 한쪽 측단연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1 연장 측벽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 측단연으로부터 상기 제 2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2 연장 측벽부를 갖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재치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를 체결하는 제 2 드릴 나사와, 상기 연장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장 재치부와 상기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제 3 드릴 나사를 포함하고 있는 건물의 벽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재치부에는,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보조 긴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벽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재치부에는 상기 보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보조 둥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벽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긴 구멍 및 상기 보조 둥근 구멍은 상기 주 긴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긴 구멍 및 상기 보조 둥근 구멍은 상기 주 둥근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건물의 벽 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제 1 내지 제 4의 4개의 단부를 갖는 사변 형상이며, 상기 판재의 제 1 단부는 상기 판재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해서 패이고, 상기 제 1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판재의 제 2 단부는 상기 판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해서 패이고, 상기 제 2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상기 판재에서의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와 교차하는 제 3 단부는 상기 판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해서 패이고, 상기 제 3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3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 3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판재의 제 4 단부는 상기 판재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해서 패이고, 상기 제 4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 4 반턱 쪽매 접합부를 갖고 있는 건물의 벽 구조.
  13. 구조체에 의해 구성되는 벽면에 배치 가능한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돌출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재치면을 포함하는 재치부를 갖고,
    상기 재치부에는
    상기 재치부에서의 상기 제 1 측벽부보다도 상기 제 2 측벽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주 긴 구멍과,
    상기 주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에서의 상기 주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또한 상기 제 2 측벽부보다도 상기 제 1 측벽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 둥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부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부착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 함께 사용되는 연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연장 재치면을 갖고,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기 위한 연장 재치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의 한쪽 측단연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연장 측벽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 측단연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연장 측벽부를 갖고, 상기 연장 재치부에는 상기 연장 재치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긴 구멍, 및 상기 보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보조 둥근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기 재치면에 상기 연장 부재의 연장 재치부를 재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 재치면은 상기 재치면과 같은 측을 향하고, 상기 제 1 연장 측벽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연장 측벽부는 상기 제 2 측벽부에 인접하고, 상기 보조 긴 구멍 및 상기 보조 둥근 구멍은 각각 상기 주 긴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긴 구멍 및 상기 보조 둥근 구멍은 각각 상기 주 둥근 구멍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부착 장치.
  16. 벽면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하여, 브래킷, 제 1 지지체 및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판재를 부착하는 판재의 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브래킷을 상기 벽면에 배치하는 제 1 공정과,
    복수의 상기 제 1 지지체를 상기 벽면을 따른 제 1 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브래킷에 걸쳐서 배치된 상태로 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 1 지지체를 체결하는 제 3 공정과,
    복수의 상기 판재를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지지체에서의 상기 벽면과는 반대측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벽면을 덮는 상태로 하는 제 4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제 1 공정에서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한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이루는 각도의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다른 쪽 측단연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협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가 돌출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재치면을 포함하는 재치부를 갖고,
    상기 재치부에는
    상기 재치부에서의 상기 제 1 측벽부보다도 상기 제 2 측벽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주 긴 구멍과,
    상기 주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에서의 상기 주 긴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또한 상기 제 2 측벽부보다도 상기 제 1 측벽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 둥근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지지체는
    상기 제 2 공정에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는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4 공정에서 상기 판재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 3 공정에서 상기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재치부와 상기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제 1 드릴 나사를 포함하고 있는 판재의 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4 공정은 복수의 제 2 지지체를 상기 제 1 지지체와 교차하는 동시에 상기 벽면을 따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지지체에 걸쳐서 배치하는 제 5 공정과, 상기 판재를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2 지지체에 부착하는 제 6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5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체는 상기 제 1 지지체의 제 2 접합부에 배치되는 판재의 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공정에서,
    상기 제 1 드릴 나사를 상기 주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제 1 접합부에 얕게 비틀어 박고,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상기 제 1 지지체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 1 드릴 나사를 상기 제 1 접합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는 판재의 시공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서, 상기 브래킷의 재치부와 상기 제 1 지지체의 제 1 접합부와의 사이에 연장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고,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재치면과 같은 측을 향해서 상기 제 1 접합부가 재치되는 연장 재치면을 포함하는 연장 재치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의 한쪽 측단연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1 연장 측벽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의 다른 쪽 측단연으로부터 상기 제 2 측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에 인접하는 제 2 연장 측벽부를 갖고,
    상기 제 3 공정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제 2 드릴 나사에 의해 상기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재치부와 상기 연장 재치부를 체결하고, 제 3 드릴 나사에 의해 상기 연장 재치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장 재치부와 상기 제 1 접합부를 체결하는 판재의 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재치부에는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보조 긴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 3 공정에서, 상기 제 3 드릴 나사를 상기 보조 긴 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제 1 접합부에 얕게 비틀어 박고,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상기 제 1 지지체를 어긋나게 하여 위치 결정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 3 드릴 나사를 상기 제 1 접합부에 완전히 비틀어 박는 판재의 시공 방법.
KR1020197024124A 2017-06-21 2018-06-18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KR102579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1125 2017-06-21
JP2017121125 2017-06-21
JPJP-P-2017-251901 2017-12-27
JP2017251901A JP7236212B2 (ja) 2017-06-21 2017-12-27 建物の壁構造、取付装置及び板材の施工方法
PCT/JP2018/023060 WO2018235760A1 (ja) 2017-06-21 2018-06-18 建物の壁構造、取付装置及び板材の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443A KR20200021443A (ko) 2020-02-28
KR102579498B1 true KR102579498B1 (ko) 2023-09-19

Family

ID=6502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124A KR102579498B1 (ko) 2017-06-21 2018-06-18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51548B2 (ko)
EP (1) EP3569792A4 (ko)
JP (1) JP7236212B2 (ko)
KR (1) KR102579498B1 (ko)
CN (1) CN110352282B (ko)
CA (1) CA3054647C (ko)
RU (1) RU2754407C2 (ko)
TW (1) TWI768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39513S (ko) * 2018-12-07 2019-08-19
WO2020157690A1 (en) * 2019-02-01 2020-08-06 Renson Sunprotection-Screens Nv Fire-safe wall cladding
JP7319150B2 (ja) 2019-09-12 2023-08-01 ニチハ株式会社 建築用ブラケット、建物壁構造、および板材施工方法
US11946260B2 (en) * 2020-11-27 2024-04-02 Välinge Innovation AB Set f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and connecting device therefore
CN113863600A (zh) * 2021-09-01 2021-12-31 广东玛格家居有限公司 一种装配式饰面墙板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43A (ja) * 2001-08-28 2003-03-05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7211511A (ja) * 2006-02-10 2007-08-23 Kyowa:Kk 外壁材固定具
KR101341846B1 (ko) * 2013-09-09 2014-01-03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01840U1 (de) 1985-04-25 Wagner, Peter, Dipl.-Ing., 3303 Vechelde Befestigungswinkel für eine Fassadenunterkonstruktion
JPS484077Y1 (ko) * 1967-07-20 1973-02-01
JPS5322972A (en) 1976-08-13 1978-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 apparatus using computer
FR2435568A1 (fr) 1978-08-07 1980-04-04 Safama Dispositif pour l'accrochage, a distance d'une paroi, d'un revetement constitue d'une pluralite de panneaux
JPH0622038Y2 (ja) * 1989-07-19 1994-06-0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長尺タイル乾式施工構造
DK36895A (da) 1995-04-03 1996-10-25 Fiberline Composites A S Beslagsserie til samling af I- eller U-bjælker
JPH0932167A (ja) 1995-07-25 1997-02-0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パネル取付金具
US5755416A (en) 1996-04-15 1998-05-26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L-shaped shelf bracket with a frictionally engaging strut member
JPH10205100A (ja) 1996-11-22 1998-08-0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外壁パネルの取付用金具
JPH11324157A (ja) 1998-05-21 1999-11-26 Sekisui Plastics Co Ltd 断熱壁の構築方法及び取り付け治具並びに断熱壁構造
KR200214426Y1 (ko) * 1998-12-22 2001-03-02 이재업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JP2000336768A (ja) * 1999-03-19 2000-12-05 Misawa Homes Co Ltd 外壁パネル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外壁パネル取付用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RU2146323C1 (ru) * 1999-09-15 2000-03-10 Цыкановский Евгений Юльевич Комплект фасадной подвески
DE29920358U1 (de) * 1999-11-15 2000-02-03 Brf Bau Holding Friedrichshain Stoßfugenelement für Fassadenplatten
US6484465B2 (en) * 1999-12-14 2002-11-26 Architectural Facades, Inc. Open joint wall panel system
JP3380522B2 (ja) 2000-05-29 2003-02-24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
JP2002038631A (ja) 2000-07-24 2002-02-06 Inax Corp 外壁構造
US6612087B2 (en) 2000-11-29 2003-09-02 The Steel Network, Inc. Building member connector allowing bi-directional relative movement
JP2002339473A (ja) 2001-05-12 2002-11-27 Masataka Hashi 外側断熱ブラケット付パネル
JP3647838B2 (ja) 2002-10-31 2005-05-18 河野 隆明 建築物等の補強装置
JP4116505B2 (ja) 2003-07-03 2008-07-09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柱の支持構造
US7503150B1 (en) 2003-10-20 2009-03-17 The Steel Network, Inc. Connector assembly for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building members
US7104024B1 (en) 2003-10-20 2006-09-12 The Steel Network,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building members together that permits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uilding members
WO2005090706A1 (ja) * 2004-03-18 2005-09-29 Co-Max Co. Ltd. 外壁取付具および外壁材の施工方法
JP2006052582A (ja) 2004-08-11 2006-02-23 Tanakku:Kk 建築用ブラケット
JP2007321510A (ja) * 2006-06-02 2007-12-13 Asahi Tostem Gaiso Kk 留付金具及び外壁構造
JP3137086U (ja) 2007-05-31 2007-11-15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施工構造
RU74686U1 (ru) 2007-05-31 2008-07-10 Нитиха Ко., Лтд. Внешнестеновой кронштейн и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ован
JP4960166B2 (ja) 2007-07-31 2012-06-27 住友林業株式会社 引き寄せ金物
JP5405182B2 (ja) 2009-04-23 2014-02-05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壁材留具
IT1395903B1 (it) * 2009-10-12 2012-10-26 Grupo It Al Co Italia S R L Sistema di ancoraggio per pareti ventilate.
US8555592B2 (en) 2011-03-28 2013-10-15 Larry Randall Daudet Steel stud clip
DE202011100168U1 (de) * 2011-05-03 2012-08-06 Kalzip Gmbh Befestigungswinkel für die Unterkonstruktion von vorgehängten Fassaden und Montagesystem umfassend wenigstens einen solchen Befestigungswinkel
JP5868632B2 (ja) * 2011-08-11 2016-02-24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壁材
FR3012489B1 (fr) * 2013-10-31 2017-10-13 Ateliers Lr Etanco Moyen de fixation d'une ossature a une paroi
JP6456594B2 (ja) 2014-03-10 2019-01-23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内装壁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1551096S (ko) 2015-09-24 2016-06-06
JP1568631S (ko) 2016-06-09 2017-02-06
CN106013454B (zh) * 2016-06-24 2018-08-21 东南大学 基于大空间结构体和独立式外围护结构的建筑及建造方法
JP1586221S (ko) 2017-03-15 2017-09-19
JP1598491S (ko) 2017-06-30 2018-02-26
CN207436429U (zh) * 2017-11-22 2018-06-01 嘉兴友邦集成木作家居有限公司 一种装饰面板安装结构
CN108086620A (zh) * 2017-12-30 2018-05-2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用于墙体的装饰组件及装饰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43A (ja) * 2001-08-28 2003-03-05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7211511A (ja) * 2006-02-10 2007-08-23 Kyowa:Kk 外壁材固定具
KR101341846B1 (ko) * 2013-09-09 2014-01-03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9127986A (ru) 2021-07-21
KR20200021443A (ko) 2020-02-28
US10851548B2 (en) 2020-12-01
JP2019007327A (ja) 2019-01-17
RU2754407C2 (ru) 2021-09-02
CN110352282B (zh) 2021-08-31
TW201920818A (zh) 2019-06-01
CA3054647C (en) 2023-03-28
JP7236212B2 (ja) 2023-03-09
EP3569792A1 (en) 2019-11-20
RU2019127986A3 (ko) 2021-07-21
CN110352282A (zh) 2019-10-18
TWI768065B (zh) 2022-06-21
EP3569792A4 (en) 2020-11-04
CA3054647A1 (en) 2018-12-27
US20200071934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498B1 (ko) 건물의 벽 구조, 부착 장치 및 판재의 시공 방법
US20220195735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plank member construction method
JP6283335B2 (ja) 外装構造
TWI681098B (zh) 建築物的外部隔熱構造
JP2023024657A (ja) 建物の壁構造、ブラケット及び板材の施工方法
KR101781378B1 (ko) 슬라브 옥상 스틸방수 시스템
US10907361B2 (en) Fixture and wall structure for buildings
JP7053206B2 (ja)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JP2007056485A (ja) 内装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の構築方法
CN212176408U (zh) 一种墙面板材结构
JP5199609B2 (ja) 大型壁パネルの設置構造
JPH071116U (ja) 間仕切パネル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