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510B1 - 분립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0510B1 KR102560510B1 KR1020150173064A KR20150173064A KR102560510B1 KR 102560510 B1 KR102560510 B1 KR 102560510B1 KR 1020150173064 A KR1020150173064 A KR 1020150173064A KR 20150173064 A KR20150173064 A KR 20150173064A KR 102560510 B1 KR102560510 B1 KR 1025605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powder
- portions
- rotation direction
- granular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특히 분립체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을 억제한 상태에 있어서, 분립체를 연속적으로 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농업용의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60)의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인입부(66, 67)에,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를 구비한다.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를, 인입부(66, 67)가 형성된 회전체(60)의 면(60a)을 따라 또한 회전 방향 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 A2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한다.
농업용의 분립체를 조출하는 회전체(60)의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인입부(66, 67)에,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를 구비한다.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를, 인입부(66, 67)가 형성된 회전체(60)의 면(60a)을 따라 또한 회전 방향 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 A2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업용의 분립체(약제, 비료 및 종자 등)를 포장에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립체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 장치가 있고, 이러한 시비 장치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를 구비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비료를 저류하는 저류부(특허문헌 1의 도 5의 부호 43)의 하측에, 구동축(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의 부호 47)이 횡방향에 배치되고, 원판 형상(원기둥 형상)의 조출 롤(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의 부호 45)(회전체에 상당)이 구동축에 설치되어 있고, 조출 롤의 외주면에 다수의 오목부(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의 부호 45a)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출 롤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조출 롤의 오목부가 저류부의 출구부(특허문헌 1의 도 6의 부호 46b)에 도달하면, 조출 롤의 오목부로 비료가 인입한다. 이어서, 조출 롤의 오목부가 방출 위치[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의 공급 파이프(44)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조출 롤의 오목부로부터 비료가 나와, 포장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한 조출 롤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저류부의 비료를 조출해 갈 수 있는 것이며, 조출 롤의 회전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비료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예를 들어 약제 등에 있어서, 분립체를 끊어지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조출하는 것(포장에 분립체를 라인 형상으로 공급하는 것)이 요망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조출 롤의 외주면에 오목부를 배열하여 구비할 경우, 오목부와 오목부 사이에 구획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출 롤의 오목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비료가 조출되는 상태가 되고, 분립체가 간헐적으로 조출되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조출 롤을 고속으로 회전 구동하면, 분립체를 연속적으로 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조출 롤을 고속으로 회전 구동하면, 분립체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이 많아지므로, 분립체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을 억제하면서, 분립체를 연속적으로 조출한다고 하는 상태에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회전체를 구비한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특히 분립체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을 억제한 상태에 있어서, 분립체를 연속적으로 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
(구성)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에 있다.
농업용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분립체가 인입하는 복수개의 인입부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열하여 상기 회전체에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인입부가 상기 저류부의 출구부에 도달하면,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인입부로 인입하고, 상기 인입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인입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와서 포장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입부에,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의 상기 인입부 및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에 있어서,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인입부가 형성된 상기 회전체의 면을 따라 또한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작용 및 발명의효과)
[I]-1
특허문헌 1과 같이, 복수개의 인입부가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구비된 회전체에 있어서, 인접하는 회전 방향의 위쪽 인입부와 회전 방향의 아래쪽 인입부에 착안한 경우,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와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인입부가 형성된 회전체의 면을 따라 또한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와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소정 방향에서는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회전 방향에서는 서로 접근한 상태로 할 수 있다.
[I]-2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전항 [I]-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체가 회전하면, 인입부가 저류부의 출구부에 도달하여, 분립체가 인입부에 인입하는 것이며, 아래쪽 인입부의 하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의 하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온다. 이어서 아래쪽 인입부의 중앙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의 중앙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것이며, 이어서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온다.
이 경우,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가 방출 위치에 지연되는 일 없이 도달하는 상태가 되므로,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면, 지연되는 일 없이 다음의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상태가 얻어진다.
전술한 상태는 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관계없이 얻어지므로,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저속의 상태에서도(분립체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을 억제한 상태에서도), 전술한 상태가 얻어져, 회전체로부터 분립체를 연속적으로 조출할 수 있다.
[II]
(구성)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에 있다.
상기 인입부를 상기 회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인입부에, 상기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부를 구비함으로써,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효과)
전항 [I]-1에 기재된 상태를 얻는 경우,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인입부를 회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배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인입부에 중앙부, 하측부 및 상측부를 얻을 수 있다.
[III]
(구성)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에 있다.
상기 인입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입부에, 상기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부를 구비함으로써,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효과)
전항 [I]-1에 기재된 상태를 얻는 경우,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인입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인입부에 중앙부, 하측부 및 상측부를 얻을 수 있다.
[IV]
(구성)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에 있다.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상기 인입부의 열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열 구비하고, 인접하는 열의 상기 인입부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위치를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어긋나게 함으로써,
하나의 열에 위치하는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인접한 열에 위치하는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분립체 공급 장치.
(작용 및 발명의효과)
전항 [I]-1에 기재된 상태를 얻는 경우,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인입부의 열을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열 구비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인입부에 중앙부, 하측부 및 상측부를 얻을 수 있다.
[V]
(구성)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특징의 분립체 공급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가 중복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효과)
인접하는 회전 방향의 위쪽 인입부와 회전 방향의 아래쪽 인입부에 착안한 경우,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와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지만, 소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와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중복되고 있다.
이에 의해, 전항 [I]-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도 방출 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아래쪽 인입부의 상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면서, 다음 위쪽 인입부의 하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아래쪽 인입부와 위쪽 인입부 사이에 있어서, 분립체가 도중에 끊어지는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회전체로부터 분립체를 연속적으로 조출할 수 있다.
[VI]
(구성)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특징의 분립체 공급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의 용적을 상기 인입부의 상기 중앙부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의 용적을 상기 인입부의 상기 중앙부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작용 및 발명의효과)
[VI]-1
인입부에 중앙부, 하측부 및 상측부를 구비한 경우, 인입부의 하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해서 인입부의 하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상태에 비하여, 인입부의 중앙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해서 인입부의 중앙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상태 쪽이, 많은 분립체가 나오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인입부의 상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해서 인입부의 상측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상태에 비하여, 인입부의 중앙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해서 인입부의 중앙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오는 상태 쪽이, 많은 분립체가 나오는 경향이 있다.
[VI]-2
전항 [VI]-1에 기재된 상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인입부의 상측부의 용적을 인입부의 중앙부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인입부의 하측부의 용적을 인입부의 중앙부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입부의 하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한 상태, 인입부의 중앙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한 상태 및 인입부의 상측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인입부 중앙부, 하측부 및 상측부로부터 나오는 분립체의 양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직파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플로트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인입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조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회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회전체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플로트 부근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인입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은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조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회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회전체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약제 공급 장치의 조출 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이며,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해서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이며,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이다.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 및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3)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링크 기구(3)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4)가 구비되어 있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가 지지되어,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6줄 형식의 승용형 직파기가 구성되어 있다.
[2]
이어서,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8)이 구비되고, 판재로 구성된 상자 형상의 프레임부(17)가 횡프레임(8)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부(17)에 보스부(9)가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8)의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10)이 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프레임부(17) 및 횡프레임(10)에 상하 방향의 세로 프레임(11)이 연결되어 있고, 세로 프레임(11)의 상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12)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8)의 중앙부,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13)이 후방 방향에 연결되고, 횡프레임(13)에 상하 방향의 세로 프레임(14)이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10)에 브래킷(18)이 연결되어 있고, 세로 프레임(14) 및 브래킷(18)의 상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15)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13)의 후방부에 브래킷(13a)이 연결되고, 3개의 플로트(16)의 후방부가 횡프레임(13)의 브래킷(13a)의 횡축심 P2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가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중앙의 플로트(16)가 우측 및 좌측의 후륜(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배수용의 홈을 전(田)면에 형성하는 고랑 오프너(38)가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후방부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이 전방으로 연장되어서,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의 전방부에 설치 부재(13b)가 연결되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의 브래킷(13b)에 평판 형상의 벽 부재(19)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륜(2)의 후방측에 벽 부재(19)가 위치하고 있으며, 후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날려진 진흙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에 실리지 않도록, 후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날려진 진흙이 벽 부재(19)에 의해 멈추어지게 된다.
도 2,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8)에 있어서, 횡프레임(13)의 사이 부분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20)이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갈퀴 형상의 정지 부재(21)가 횡프레임(20)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지 부재(21)가 플로트(16)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면에 있어서 플로트(16) 사이의 부분이 정지 부재(21)에 의해 정지(整地)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3)의 후방부 하부에, 프레임부(17)의 상부가 전후 축심 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횡프레임(8) 등의 전체가 전후 축심 P1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횡프레임(12)의 우측 및 좌측부에 브래킷(12a)이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링크 기구(3)의 후방부의 상부와 횡프레임(12)의 브래킷(12a)에 걸쳐서 스프링(22)이 접속되어 있고, 스프링(22)에 의해 횡프레임(8) 등의 전체가 기체와 병행인 자세로 가압되고 있다.
[3]
이어서, 파종 장치(5)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23)가 횡프레임(15)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조출부(23)의 하부에 안내 부재(24)가 연결되어 있고, 안내 부재(24)는 후방측이 개방된 단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볍씨를 저류하는 호퍼(25)가 2개 구비되어 있고, 3개의 조출부(23)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25)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25)의 볍씨가 조출부(23)에 의해 소정량씩 조출되고, 볍씨가 안내 부재(24)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안내 부재(24)의 내부를 통해 낙하하여, 전면(표면)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파종 장치(5)는 조출부(23), 안내 부재(24) 및 호퍼(2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조출부(23)의 바로 아래의 전면(표면)에, 복수 입자의 볍씨를 하나의 괴상으로 공급[점파(占播)]하는 표면 뿌리기 형식(점파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이어서, 시비 장치(6)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6)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26)가 횡프레임(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비료를 저류하는 호퍼(27)가 2개 구비되어 있고, 3개의 조출부(26)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27)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에 고랑 오프너(28) 및 흙 모으기 부재(31)가 연결되고, 고랑 오프너(28)에 작구기(29)가 연결되어 있고, 조출부(26)와 작구기(29)에 걸쳐서 호스(30)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27)의 비료가 조출부(26)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30)로부터 작구기(29)에 공급되어서, 고랑 오프너(28) 및 작구기(29)에 의해 전면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공급되는 것이며, 비료가 공급된 홈이 흙 모으기 부재(31)의 흙 모으기 작용에 의해 매립된다.
이상과 같이, 시비 장치(6)는 조출부(26), 호퍼(27), 고랑 오프너(28), 작구기(29), 호스(30) 및 흙 모으기 부재(3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볍씨가 공급되는 위치의 옆에 인접한 위치인 전방측 위치에 있어서, 전면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 비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볍씨의 옆에 인접한 전면 하방의 위치에 비료가 위치하는 상태).
[5]
이어서, 약제 공급 장치(7)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공급 장치(7)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32)가 횡프레임(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약제(농업용의 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호퍼(33)(저류부에 상당)가 3개 구비되어 있고, 2개의 조출부(32)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33)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에 고랑 오프너(34) 및 흙 모으기 부재(37)가 연결되고, 고랑 오프너(34)에 작구기(35)가 연결되어 있고, 조출부(32)와 작구기(35)에 걸쳐서 호스(36)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33)의 약제가 조출부(32)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36)로부터 작구기(35)에 공급되고, 고랑 오프너(34) 및 작구기(35)에 의해 전면에 형성된 홈에 약제가 공급되는 것이며, 약제가 공급된 홈이 흙 모으기 부재(37)의 흙 모으기 작용에 의해 매립된다.
이상과 같이, 약제 공급 장치(7)는 조출부(32), 호퍼(33), 고랑 오프너(34), 작구기(35), 호스(36) 및 흙 모으기 부재(3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볍씨가 공급되는 위치의 전방측 위치에 있어서, 전면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 약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볍씨의 바로 아래에 약제가 위치하는 상태).
[6]
이어서, 파종 장치(5)에의 전동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9)에 입력축(40)이 지지되고, 전동축(39)이 입력축(40)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의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전동축(39)을 통하여 입력축(40)에 전달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41)이 좌우 방향에 배치되고, 입력축(40)의 동력이 베벨 기어에 의해 전동축(41)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종 장치(5)에 있어서, 1개의 구동축(42)이 조출부(23)를 따라 좌우 방향에 배치되고, 전동축(41)의 좌측부와 구동축(42)의 좌측부에 걸쳐서 전동 체인(43)이 설치되고, 전동축(41)의 동력이 전동 체인(43)을 통하여 구동축(42)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동 체인(43)을 덮는 커버(44)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42)에 전동 기어(4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서, 전동 기어(45)가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에 맞물려 있으며, 구동축(42)과 일체 회전 가능 및 슬라이드 가능한 시프트 부재(46)가 전동 기어(45)에 대향하도록 구동축(42)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46)를 전동 기어(45)에 맞물리면, 구동축(42)의 동력이 시프트 부재(46) 및 전동 기어(45)를 통하여,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에 전달되고, 조출부(23)에 내장된 조출 롤(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구동되어서, 조출부(23)로부터 볍씨가 조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46)를 전동 기어(45)로부터 이격시키면, 전동 기어(45)에의 전동이 차단되어서, 조출부(23)의 조출 롤이 정지되고, 조출부(23)로부터의 볍씨의 조출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동 기어(45) 및 시프트 부재(46)에 의해, 조출부(23)의 각각의 작동 및 정지를 행하는 소수조 클러치(each row clutch)가 구성되어 있다.
[7]
이어서, 시비 장치(6)에의 전동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6)에 있어서, 1개의 구동축(47)이 조출부(26)를 따라 좌우 방향에 배치되고, 구동축(47)의 우측부에 제1 원웨이 클러치(51) 및 제2 원웨이 클러치(52)가 외부 끼움되어 있다. 전동축(41)의 우측부 아암부(41a)와 제1 원웨이 클러치(51)에 걸쳐, 연계 로드(48)가 접속되어 있고, 제1 원웨이 클러치(51)와 제2 원웨이 클러치(52)에 걸쳐, 링크 기구(49)가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41)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연계 로드(48)가 왕복 구동된다. 이에 의해, 연계 로드(48)의 왕로 작동이 제1 원웨이 클러치(51)를 통하여 구동축(47)에 전달되어서, 구동축(47)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이며, 연계 로드(48)의 귀로 작동이 링크 기구(49)를 통하여 제2 원웨이 클러치(52)에 전달되어서, 구동축(47)이 동일한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조출부(26)에 걸쳐서 입력축(50)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축(47)에 전동 기어(53)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서, 전동 기어(53)가 입력축(50)의 입력 기어(50a)에 맞물려 있으며, 구동축(47)과 일체 회전 가능 및 슬라이드 가능한 시프트 부재(54)가 전동 기어(53)에 대향하도록 구동축(47)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54)를 전동 기어(53)에 맞물리면, 구동축(47)의 동력이 시프트 부재(54) 및 전동 기어(53)를 통하여, 입력축(50)의 입력 기어(50a)에 전달되고, 조출부(26)에 내장된 조출 롤(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구동되어서, 조출부(26)로부터 비료가 조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54)를 전동 기어(53)로부터 이격시키면, 전동 기어(53)에의 전동이 차단되어서, 조출부(26)의 조출 롤이 정지되고, 조출부(26)로부터의 비료의 조출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동 기어(53) 및 시프트 부재(54)에 의해, 2개의 조출부(26)의 작동 및 정지를 행하는 소수조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8]
이어서, 약제 공급 장치(7)에의 전동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에 있어서, 중앙부의 2개의 조출부(23) 사이에 위치하는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 우측부의 2개의 조출부(23) 사이에 위치하는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 좌측부의 2개의 조출부(23) 사이에 위치하는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에 대하여,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에 맞물리는 전동 기어(55)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와 약제 공급 장치(7) 사이에, 좌우 방향의 횡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한 요동 아암(56)이 구비되어 있고, 요동 아암(56)에 접속된 연계 로드(57)가 위치 조절 기구(58)를 통하여 전동 기어(55)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조출부(32)에 걸쳐서 입력축(59)이 구비되어, 입력축(59)에 제1 원웨이 클러치(61) 및 제2 원웨이 클러치(62)가 외부 끼움되어 있고, 요동 아암(56)과 제1 및 제2 원웨이 클러치(61, 62)에 걸쳐, 제1 연계 로드(63) 및 제2 연계 로드(64)가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23)의 입력 기어(23a)에 의해 전동 기어(55)가 회전 구동되면, 연계 로드(57)가 왕복 구동되어서, 요동 아암(56)이 왕복 구동된다. 요동 아암(56)의 왕로 작동이 제1 연계 로드(63)로부터 제1 원웨이 클러치(61)를 통하여 입력축(59)에 전달되어서, 입력축(59)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이며, 요동 아암(56)의 귀로 작동이 제2 연계 로드(64)로부터 제2 원웨이 클러치(62)에 전달되어서, 입력축(59)이 동일한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조출부(32)에 내장된 조출 롤(60)(도 7 참조)(회전체에 상당)이 회전 구동되어서, 조출부(32)로부터 약제가 조출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아암(56)에의 구동 로드(57)의 접속 위치를, 요동 아암(56)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아암(56)에의 구동 로드(57)의 접속 위치를 요동 아암(56)의 요동 지지점에 접근시키면, 요동 아암(56)의 요동 범위가 커져, 조출 롤(60)의 회전 속도가 고속이 된다(약제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이 많아지는 상태).
반대로 요동 아암(56)에의 구동 로드(57)의 접속 위치를 요동 아암(56)의 요동 지지점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요동 아암(56)의 요동 범위가 작아져서, 조출 롤(60)의 회전 속도가 저속이 된다(약제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이 적어지는 상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절 기구(58)는 전동 기어(55)에의 연계 로드(57)의 접속 위치를, 전동 기어(55)의 회전 중심에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 기어(55)에의 연계 로드(57)의 접속 위치를 전동 기어(55)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연계 로드(57)의 왕복 범위가 커져,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출 롤(60)의 회전 속도가 고속이 된다(약제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이 많아지는 상태).
반대로 전동 기어(55)에의 연계 로드(57)의 접속 위치를 전동 기어(55)의 회전 중심에 접근시키면, 연계 로드(57)의 왕복 범위가 작아져,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출 롤(60)의 회전 속도가 저속이 된다(약제의 단위 시간당의 조출량이 적어지는 상태).
[9]
이어서, 소수조 클러치의 조작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의 중앙부의 2개의 조출부(23)에 대한 2개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46)]를 조작하고, 시비 장치(6)의 중앙부의 2개의 조출부(26)에 대한 1개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53)]를 조작하는 중앙부의 조작 레버(6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부의 조작 레버(65)를 조작함으로써, 중앙부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46)] 및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53)]를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파종 장치(5) 및 시비 장치(6)의 중앙부의 2개의 조출부(23, 26)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수반해서 약제 공급 장치(7)의 중앙부의 2개의 조출부(32)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의 우측부 2개의 조출부(23)에 대한 2개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46)]를 조작하고, 시비 장치(6)의 우측부 2개의 조출부(26)에 대한 1개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53)]를 조작하는 우측부의 조작 레버(6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부의 조작 레버(65)를 조작함으로써, 우측부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46)] 및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53)]를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파종 장치(5) 및 시비 장치(6)의 우측부 2개의 조출부(23, 26)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수반해서 약제 공급 장치(7)의 우측부 2개의 조출부(32)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의 좌측부 2개의 조출부(23)에 대한 2개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46)]를 조작하고, 시비 장치(6)의 좌측부 2개의 조출부(26)에 대한 1개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53)]를 조작하는 좌측부의 조작 레버(6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부의 조작 레버(65)를 조작함으로써, 좌측부의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46)] 및 소수조 클러치[시프트 부재(53)]를 전동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파종 장치(5) 및 시비 장치(6)의 좌측부 2개의 조출부(23, 26)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수반해서 약제 공급 장치(7)의 좌측부 2개의 조출부(32)를 작동 및 정지시킬 수 있다.
[10]
이어서, 약제 공급 장치(7)에 있어서 조출 롤(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은 합성 수지에 의해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조출부(3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조출 롤(60)에 일체 성형된 축부(60c)에 입력축(59)이 연결되어서, 좌우 방향의 회전 축심 P3 주위로 회전 방향 A1로 회전 구동된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의 표면(60a)(인입부가 형성된 회전체의 면에 상당)에, 가로로 긴 오목부 형상의 복수개의 인입부(66, 67)가 회전 방향 A1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입부(66, 67)가 회전 방향 A1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의 표면(60a)에 있어서, 인접하는 인입부(66, 67) 사이에 위치하는 조출 롤(60)의 구획부(60b)도 마찬가지로, 인입부(66, 67)와 평행하고 회전 방향 A1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조출 롤(60)의 구획부(60b)의 폭 B2가 인입부(66, 67)의 폭 B1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의 회전 방향 A1, 및 조출 롤(60)의 표면(60a)을 따라 또한 회전 방향 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 A2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도 9의 지면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도 9의 지면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소정 방향 A2에서 일측(도 9의 지면 좌측) 및 타측(도 9의 지면 우측)에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소정 방향 A2에서는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회전 방향 A1에서는 서로 접근한 상태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로부터 소정 방향 A2의 일측(도 9의 지면 좌측)에 위치하고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도 9의 지면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로부터 소정 방향 A2의 타측(도 9의 지면 우측)에 위치하고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도 9의 지면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가 구비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범위 B3에서 중복되고 있다.
[11]
이어서, 약제 공급 장치(7)에 있어서 약제의 조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이 조출부(3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조출부(32)의 내부에 있어서 조출 롤(60)의 외주부에 접촉하는 구획 부재(68)가 구비되어 있다. 구획 부재(68)는, 회전 축심 P3과 평행한 복수개의 평판 형상 판부를 회전 방향 A1을 따라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판부는 연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이 회전 방향 A1로 회전 구동되고, 인입부(66, 67)가 호퍼(33)의 하부에 위치하는 출구부(33a)에 도달하면, 약제가 인입부(66, 67)로 인입한다. 인입부(66, 67)가 구획 부재(68)에 도달함으로써, 구획 부재(68)의 평미레 작용에 의해, 인입부(66, 67)의 용적에 상당하는 약제가 인입부(66, 67)로 인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60)이 회전 방향 A1로 회전 구동되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아래쪽 인입부(67)의 하측부(67c)가 구획 부재(68)의 하변부(68a)(도 7 참조)(방출 위치에 상당)에 도달하는 것이며, 아래쪽 인입부(67)의 하측부(67c)로부터 약제가 나온다.
이어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인입부(67)의 중앙부(67a)가 구획 부재(68)의 하변부(68a)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67)의 중앙부(67a)로부터 약제가 나오는 것이며, 이어서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구획 부재(68)의 하변부(68a)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로부터 약제가 나온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범위 B3에서 중복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구획 부재(68)의 하변부(68a)에 도달하면,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도 구획 부재(68)의 하변부(68a)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로부터 약제가 나오면서,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로부터 약제가 나오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아래쪽 인입부(67)와 위쪽 인입부(66) 사이에 있어서, 약제가 도중에 끊어지는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조출 롤(60)로부터 약제를 연속적으로 조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인입부(66, 67) 대신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부(66, 67)를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하여, 인입부(66, 67)를 회전 방향 A1을 따라 배열하여 배치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로부터 소정 방향 A2의 일측에 위치하고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로부터 소정 방향 A2의 타측에 위치하고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가 구비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소정 방향 A2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범위 B3에서 중복되고 있다.
이 경우, 도 11에 있어서, 인입부(66, 67)의 전체를, 회전 방향 A1에 대하여 조금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1에 있어서, 인입부(66, 67)의 중앙부(66a, 67a)를 회전 방향 A1에 대하여 조금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구성하고, 인입부(66, 67)의 상측부(66b, 67b) 및 하측부(66c, 67c)를 회전 방향 A1과 평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의 인입부(66, 67) 대신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A1을 따라 배열되는 인입부(66, 67)의 열 L1, L2를 소정 방향 A2를 따라 복수 구비하고, 인접하는 열 L1, L2의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인입부(66, 67)의 위치를 회전 방향 A1을 따라 어긋나게 하여 구성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중앙부(66a, 67a), 상측부(66b, 67b) 및 하측부(66c, 67c)가 회전 방향 A1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하나의 열 L1에 위치하는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인접한 열 L2에 위치하는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소정 방향 A2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하나의 열 L1의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인접한 열 L2의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범위 B3에서 중복되고 있다.
이 경우, 도 12에 있어서, 인입부(66, 67)의 열 l1, L2를 3열 이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도 12에 있어서, 인입부(66, 67)를 회전 방향 A1에 대하여 조금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인입부(66, 67)를 회전 방향 A1에 대하여 조금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열 L1, L2의 인입부(66, 67)가 평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되고, 열 L1, L2의 인입부(66, 67)에 있어서 회전 방향 A1에 대한 경사가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의 조출 롤(60) 및 인입부(66, 67) 대신에,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판(69)의 상하 방향 회전 축심 P4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70)가 구비되고, 회전체(7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 형상의 인입부(66, 67)가 회전체(70)에 구비되어 있다.
회전체(70)의 회전 방향 A1, 및 회전체(70)의 표면(70a)(인입부가 형성된 회전체의 면에 상당)을 따라 또한 회전 방향 A1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 A2[회전체(70)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복수개의 인입부(66, 67)가 회전 방향 A1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입부(66, 67)가 회전 방향 A1 및 소정 방향 A2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소정 방향 A2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소정 방향 A2에서는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회전 방향 A1에서는 서로 접근한 상태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중앙부(66a, 67a), 중앙부(66a, 67a)로부터 소정 방향 A2의 일측(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66c, 67c), 중앙부(66a, 67a)로부터 소정 방향 A2의 타측(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중앙부(66a, 67a)보다도 회전 방향 A1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66b, 67b)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범위 B3에서 중복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70)의 표면(70a)에 접하도록 호퍼(33)의 출구부(33a)가 구비되고, 지지판(69)에 있어서 호퍼(33)의 출구부(33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소정 방향 A2와 평행한 긴 구멍 형상의 개구부(69a)(방출 위치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판(69)의 개구부(69a)는, 도 2에 도시한 호스(36)에 접속되어 있고, 호스(36)를 통하여 작구기(35)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70)가 회전 방향 A1로 회전 구동되어서, 인입부(66, 67)가 호퍼(33)의 출구부(33a)에 도달하면, 약제가 인입부(66, 67)로 인입하는 것이며, 호퍼(33)의 출구부(33a)의 평미레 작용에 의해, 인입부(66, 67)의 용적에 상당하는 약제가 인입부(66, 67)로 인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70)가 회전 방향 A1로 회전 구동되면,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아래쪽 인입부(67)의 하측부(67c)가 지지판(69)의 개구부(69a)에 도달하는 것이며, 아래쪽 인입부(67)의 하측부(67c)로부터 약제가 나와서 지지판(69)의 개구부(69a)로 들어간다.
이어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인입부(67)의 중앙부(67a)가 지지판(69)의 개구부(69a)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67)의 중앙부(67a)로부터 약제가 나와서 지지판(69)의 개구부(69a)에 들어가는 것이며, 이어서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지지판(69)의 개구부(69a)에 도달하여,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로부터 약제가 나와서 지지판(69)의 개구부(69a)로 들어간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범위 B3에서 중복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지지판(69)의 개구부(69a)에 도달하면,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도 지지판(69)의 개구부(69a)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로부터 약제가 나와서 지지판(69)의 개구부(69a)로 들어가면서,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로부터 약제가 나와서 지지판(69)의 개구부(69a)로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인접하는 회전 방향 A1의 위쪽 인입부(66) 및 회전 방향 A1의 아래쪽 인입부(67)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중복되지 않고 동일한 위치(소정 방향 A2와 평행한 라인 L3)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5에 도시한 구성[소정 방향 A2로부터 볼 때, 위쪽 인입부(66)의 하측부(66c)와, 아래쪽 인입부(67)의 상측부(67b)가 중복되지 않고 동일한 위치(소정 방향 A2와 평행한 라인 L3)에 위치함]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의 인입부(66, 67)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부(66, 67)의 중앙부(66a, 67a)의 깊이보다도, 인입부(66, 67)의 상측부(66b, 67b) 및 하측부(66c, 67c)의 깊이가 깊어지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내지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의 인입부(66, 67)에 있어서, 인입부(66, 67)의 중앙부(66a, 67a)의 폭보다도, 인입부(66, 67)의 상측부(66b, 67b) 및 하측부(66c, 67c)의 폭이 커지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인입부(66, 67)의 상측부(66b, 67b)의 용적을, 인입부(66, 67)의 중앙부(66a, 67a)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인입부(66, 67)의 하측부(66c, 67c)의 용적을, 인입부(66, 67)의 중앙부(66a, 67a)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제 공급 장치뿐만 아니라, 비료(농업용의 분립체에 상당)을 조출하는 시비 장치나, 볍씨(농업용의 분립체에 상당)나 종자(농업용의 분립체에 상당)를 조출하는 파종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33 : 저류부
33a : 저류부의 출구부
60, 70 : 회전체
60a, 70a : 폐로입부가 형성된 회전체의 면
66, 67 : 인입부
66a, 67a : 인입부의 중앙부
66b, 67b : 인입부의 상측부
66c, 67c : 인입부의 하측부
68a, 69a : 방출 위치
A1 : 회전 방향
A2 : 소정 방향
L1, L2 : 인입부의 열
33a : 저류부의 출구부
60, 70 : 회전체
60a, 70a : 폐로입부가 형성된 회전체의 면
66, 67 : 인입부
66a, 67a : 인입부의 중앙부
66b, 67b : 인입부의 상측부
66c, 67c : 인입부의 하측부
68a, 69a : 방출 위치
A1 : 회전 방향
A2 : 소정 방향
L1, L2 : 인입부의 열
Claims (6)
- 농업용의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분립체가 인입하는 복수개의 인입부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상기 회전체에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인입부가 상기 저류부의 출구부에 도달하면,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인입부로 인입하고, 상기 인입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인입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와서 포장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입부에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의 상기 인입부 및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에 있어서,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인입부가 형성된 상기 회전체의 면을 따라 또한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인입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인입부에, 상기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부를 구비함으로써,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가 중복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 삭제
- 삭제
- 농업용의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회전 구동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분립체가 인입하는 복수개의 인입부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상기 회전체에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인입부가 상기 저류부의 출구부에 도달하면, 분립체가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인입부로 인입하고, 상기 인입부가 방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인입부로부터 분립체가 나와서 포장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인입부에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측부와, 상기 중앙부보다도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부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상기 회전 방향의 위쪽의 상기 인입부 및 상기 회전 방향의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에 있어서,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인입부가 형성된 상기 회전체의 면을 따라 또한 상기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상기 인입부의 열을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열 구비하고, 인접하는 열의 상기 인입부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위치를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서 어긋나게 함으로써,
하나의 열에 위치하는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인접한 열에 위치하는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를, 상기 소정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열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위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와, 아래쪽의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가 중복되어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상기 상측부의 용적을 상기 인입부의 상기 중앙부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인입부의 상기 하측부의 용적을 상기 인입부의 상기 중앙부의 용적보다도 큰 것으로 설정하고 있는, 분립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34322A JP6510266B2 (ja) | 2015-02-24 | 2015-02-24 | 粉粒体供給装置 |
JPJP-P-2015-034322 | 2015-0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3498A KR20160103498A (ko) | 2016-09-01 |
KR102560510B1 true KR102560510B1 (ko) | 2023-07-28 |
Family
ID=5682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3064A KR102560510B1 (ko) | 2015-02-24 | 2015-12-07 | 분립체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510266B2 (ko) |
KR (1) | KR10256051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17679A1 (en) * | 2000-09-28 | 2003-11-27 | Lempriere Noel D. | Seed metering device |
US20100077948A1 (en) * | 2008-09-26 | 2010-04-01 | Horsch Thomas | Seed mete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125Y2 (ja) * | 1976-10-21 | 1983-01-10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育苗箱用播種機 |
JPS57115820U (ko) * | 1981-01-13 | 1982-07-17 | ||
JPS5977320U (ja) * | 1982-11-15 | 1984-05-25 | 株式会社クボタ | 播種ロ−ル |
JPS62119711U (ko) * | 1986-01-22 | 1987-07-29 | ||
JPH04100324U (ko) * | 1991-01-25 | 1992-08-31 | ||
JP2011142889A (ja) | 2010-01-18 | 2011-07-28 | Kubota Corp | 田植機 |
US8857353B2 (en) * | 2011-06-24 | 2014-10-14 | Cnh Industrial Canada, Ltd.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low to a metering system |
-
2015
- 2015-02-24 JP JP2015034322A patent/JP6510266B2/ja active Active
- 2015-12-07 KR KR1020150173064A patent/KR1025605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17679A1 (en) * | 2000-09-28 | 2003-11-27 | Lempriere Noel D. | Seed metering device |
US20100077948A1 (en) * | 2008-09-26 | 2010-04-01 | Horsch Thomas | Seed me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3498A (ko) | 2016-09-01 |
JP2016154475A (ja) | 2016-09-01 |
JP6510266B2 (ja) | 2019-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14822B2 (ja) | 水田作業機 | |
JP2011142872A5 (ko) | ||
JP5839983B2 (ja) | 作業機 | |
JP6091343B2 (ja) | 水田作業機 | |
JP6150715B2 (ja) | 乗用水田作業機 | |
JP5822714B2 (ja) | 作業機 | |
KR102560510B1 (ko) | 분립체 공급 장치 | |
JP2011142874A (ja) | 粉粒体供給装置 | |
JP2011234674A (ja) | 水田作業機 | |
JP6030535B2 (ja) | 水田作業機 | |
JP2013021943A (ja) | 湛水直播機 | |
JP6847146B2 (ja) | 粉粒体供給装置及び水田作業機 | |
JP2019103522A5 (ko) | ||
JP2017175971A (ja) | 粒状物繰出装置及びその装置を載設した農作業機 | |
JP6524045B2 (ja) | 水田作業機 | |
JP6468719B2 (ja) | 水田作業機 | |
JP5612315B2 (ja) | 水田作業機 | |
JP5822711B2 (ja) | 作業機のフレーム構造 | |
JP2015204803A (ja) | 水田作業機 | |
JP2005160405A (ja) | 施肥装置付き乗用型作業機 | |
KR102450180B1 (ko) | 분립체 공급 장치 | |
KR102451373B1 (ko) | 승용형 직파기 | |
JP2017225375A (ja) | 乗用型直播機 | |
JPH11225523A (ja) | 乗用型田植機 | |
JP2020096614A (ja) | 水田作業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